KR20110095893A - 클라이언트 신호의 맵핑 및 디맵핑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클라이언트 신호의 맵핑 및 디맵핑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5893A
KR20110095893A KR1020117013821A KR20117013821A KR20110095893A KR 20110095893 A KR20110095893 A KR 20110095893A KR 1020117013821 A KR1020117013821 A KR 1020117013821A KR 20117013821 A KR20117013821 A KR 20117013821A KR 20110095893 A KR20110095893 A KR 20110095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ping
client signal
region
block
by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3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4634B1 (ko
Inventor
치우요우 우
야오 센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95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7Arrangements for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16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time allocation to individual channels within a transmission cycle is variable, e.g. to accommodate varying complexity of signals, to vary number of channels transmitted
    • H04J3/1605Fixed allocated frame structures
    • H04J3/1652Optical Transport Network [OT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16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time allocation to individual channels within a transmission cycle is variable, e.g. to accommodate varying complexity of signals, to vary number of channels transmitted
    • H04J3/1605Fixed allocated frame structures
    • H04J3/1652Optical Transport Network [OTN]
    • H04J3/1658Optical Transport Network [OTN] carrying packets or ATM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04L5/0046Determination of how many bits are transmitted on different sub-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03/00Aspects of optical multiplex system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H04J14/05 and H04J14/07
    • H04J2203/0001Provisions for broadband connections i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using frames of the Optical Transport Network [OTN] or using synchronous transfer mode [STM], e.g. SONET, SDH
    • H04J2203/0089Multiplexing, e.g. coding, scrambling, SON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70/00Multiplex communications
    • Y10S370/901Wide area network
    • Y10S370/902Packet switching
    • Y10S370/903Osi compliant network
    • Y10S370/907Synchronous optical network, SO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클라이언트 신호를 맵핑 및 디맵핑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클라이언트 신호를 맵핑하기 위한 방법은, 광 채널 페이로드 유닛(Optical Channel Payload Unit: OPU) 또는 광 채널 데이터 지류 유닛(Optical Channel Data Tributary Unit: ODTU)의 페이로드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 개의 서브블록으로 분할하는 단계로서, 상기 수개의 서브블록은 N 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N은 1 이상인, 상기 분할하는 단계; 및 전송될 클라이언트 신호를 N 바이트 입도(granularity)를 이용해서 상기 페이로드 영역의 수 개의 서브블록에 맵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술적 솔루션에서, 클라이언트 신호가 맵핑될 때, 하나의 블록의 맵핑 입도를 사용함으로써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맵핑이 수행되므로, 클라이언트 신호의 맵핑 프로세스가 덜 복잡하게 되고, 이에 의해 다중 레이트 서비스의 요건을 충족한다.

Description

클라이언트 신호의 맵핑 및 디맵핑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IMPLEMENTING MAPPING AND DE-MAPPING OF CLIENT SIGNAL}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클라이언트 신호의 맵핑 및 디맵핑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전송 네트워크(Optical Transport Network: OTN) 기술은 차세대 전송 네트워크를 위한 핵심 기술이다. OTN은 강력한 TCM(Tandem Connection Monitoring) 성능, 풍부한 OAM(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성능, 및 아웃밴드 FEC(Forward Error Correction) 성능을 갖추고 있으며 플렉시블 스케줄링 및 대용량 서비스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고, 백본 전송 네트워크(back)에 적용 가능하다.
시장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국제전기통신연합전기통신표준화부문(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Telecommunicatioin Standardization Sector: ITU-T)은 OTN에 대한 일련의 권고안을 공식화하였는데, 그 중에서 권고안 G.709는 주로 OTN 프레임의 구조 및 맵핑과 관련된 표준이다. 권고안 G.709에 규정된 표준 프레임 구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OTN 프레임은 4080*4 모듈러 구조이며, 프레임 동기화 및 얼라인먼트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프레임 얼라인먼트 신호(Frame Alignment Signal: FAS); OTU(Optical Channel Transport) 레벨 네트워크 관리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OTUk OH(Optical Channel Transport Unit-k Overhead); 관리 및 동작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ODUk OH(Optical Channel Data Unit-k Overhead); 서비스 적합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OPUk OH(Optical Channel Payload Unit-k Overhead); OTN 프레임이 페이로드 영역이라고도 하며, 주로 서비스 베어러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OPUk 페이로드 영역; 및 에러 정정 및 보정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FEC 영역을 포함한다.
고속 서비스를 전송하는 시나리오에서, 클라이언트 신호가 기존의 맵핑 방법을 통해 OPUk 페이로드에 맵핑되는 경우에는, 맵핑 프로세스가 오히려 복잡하게 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신호가 일반 맵핑 과정(Generic Mapping Procedure: GMP)에 기초하여 기존의 맵핑 방법을 통해 OPU0에 맵핑될 때, 프로세스를 위한 비트 폭이 16*8 비트이면, 클록 사이클에서 클라이언트 신호의 맵핑을 종료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클록 사이클이 시그마-델타 계산의 16배가 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맵핑 프로세스가 복잡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신호의 맵핑 및 디맵핑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클라이언트 신호의 맵핑 및 디맵핑 프로세스를 간단하게 하며 다중 레이트 서비스에 적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기술적 솔루션을 제공한다.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신호를 맵핑하기 위한 맵핑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광 채널 페이로드 유닛(Optical Channel Payload Unit: OPU) 또는 광 채널 데이터 지류 유닛(Optical Channel Data Tributary Unit: ODTU)의 페이로드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 개의 서브블록으로 분할하는 단계로서, 상기 수개의 서브블록은 N 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N은 1 이상인, 상기 분할하는 단계; 및
전송될 클라이언트 신호를 N 바이트 입도(granularity)를 이용해서 상기 페이로드 영역의 수 개의 서브블록에 맵핑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신호를 디맵핑하기 위한 디맵핑 방법이 제공하며, 상기 디맵핑 방법은,
광 채널 페이로드 유닛(Optical Channel Payload Unit: OPU) 또는 광 채널 데이터 지류 유닛(Optical Channel Data Tributary Unit: ODTU)의 페이로드 영역에 의해 베어링된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의 인디케이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로서, 상기 수개의 서브블록은 N 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N은 1 이상인, 상기 획득하는 단계;
상기 블록 수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페이로드 영역의 수 개의 서브블록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신호의 위치 분배(position distribution)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페이로드 영역은 N 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는 수 개의 블록을 포함하는, 상기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위치 분배에 따라 상기 페이로드 영역의 클라이언트 신호를 디맵핑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신호를 맵핑하기 위한 맵핑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맵핑 장치는,
광 채널 페이로드 유닛(Optical Channel Payload Unit: OPU) 또는 광 채널 데이터 지류 유닛(Optical Channel Data Tributary Unit: ODTU)의 페이로드 영역의 서브블록 크기에 따라, 전송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를 계산하도록 구성된 블록 수 계산 모듈로서, 상기 페이로드 영역은 N 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는 수개의 서브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N은 1 이상인, 상기 블록 수 계산 모듈;
상기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맵핑 제어 모듈로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페이로드 영역의 상기 수 개의 서브블록에서 상기 전송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위치 분배를 나타내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맵핑 제어 모듈; 및
버퍼에서, 상기 전송될 클라이언트 신호를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페이로드 영역의 대응하는 수 개의 서브블록에 맵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맵핑 모듈
을 포함한다.
또한,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신호를 디맵핑하기 위한 디맵핑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디맵핑 장치는,
광 채널 페이로드 유닛(Optical Channel Payload Unit: OPU) 또는 광 채널 데이터 지류 유닛(Optical Channel Data Tributary Unit: ODTU)의 페이로드 영역에 의해 베어링된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를 획득하고, 상기 블록 수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디맵핑 제어 모듈로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페이로드 영역의 서브블록에서 클라이언트 신호의 위치 분배를 나타내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페이로드 영역은 N 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는 수 개의 블록을 포함하며, N은 1 이상인, 상기 디맵핑 제어 모듈; 및
상기 디맵핑 제어 모듈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페이로드 영역에 의해 베어링된 클라이언트 신호를 디맵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디맵핑 모듈
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채택한 기술적 솔루션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클라이언트 신호가 맵핑될 때, 블록의 맵핑 입도(mapping granularity)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맵핑을 수행함으로써, 클라이언트 신호의 맵핑 프로세스가 간단해지고 이에 의해 다중 레이트 서비스의 요건이 충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종래 기술에 따른 기술적 솔루션을 더 분명하게 도해하기 위해, 실시예 및 종래 기술을 설명하는 첨부된 도면을 이하에 도입한다. 분명한 것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의 첨부된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는 창조적 노력 없이도 첨부의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유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제공된 OTN 프레임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 신호를 맵핑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OPUk 페이로드 영역 및 OPUk OH 영역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 신호를 맵핑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OPUk 페이로드 영역 및 OPUk OH 영역에 대한 다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 신호를 디맵핑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OPUk 페이로드 영역 및 OPUk OH 영역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 신호를 맵핑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 신호를 디맵핑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 신호를 맵핑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 신호를 디맵핑하는 장치에 대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신호를 맵핑 및 디맵핑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며, 블록의 맵핑 입도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 데이터의 블록 맵핑을 수행함으로써, 클라이언트 신호의 맵핑 프로세스를 간단하게 하는 동시에 다중 레이트 서비스에도 적용 가능하다.
특정한 실시예를 통해 상세한 설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행에서, GMP 맵핑 방식에 기초한 클라이언트 신호의 맵핑을 도해를 위한 예로서 취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맵핑 방식도 사용할 수 있다.
OPUk 페이로드 영역은 국부적으로 분할된 서브블록을 수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서브블록의 크기는 N 바이트이며, 여기서 바람직하게 N은 1보다 작지 않은 정수이다.
제1 실시예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신호를 맵핑하기 위한 방법은 구체적으로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10: OPU 또는 ODTU의 페이로드 영역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수개의 서브블록으로 분할되며, 이 서브블록의 크기는 N 바이트이고, N은 1 이상의 정수이다.
단계 220: 전송될 클라이언트 신호를 N 바이트 입도를 사용하여 페이로드 영역의 서브블록에 맵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 신호를 맵핑할 때, 블록의 맵핑 입도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맵을 수행함으로써, 클라이언트 신호의 맵핑 프로세스가 간단해지고 이에 따라 다중 레이트 서비스의 요건도 충족시킨다.
제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OPUk 페이로드 영역 및 OPUk OH 영역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OPUk 페이로드 영역은 M개의 서브블록의 국부적으로 분할되며, 각각의 서브블록의 크기는 N 바이트이고, 전체 OPUk 페이로드 영역의 크기는 M*N 바이트이다.
OPUk 페이로드 영역의 국부적으로 분할된 서브블록의 크기는 임의적일 수 있는데, 즉, N은 OPUk 페이로드 영역의 바이트 수에 의해 정확하게 분할될 수 있는 임의의 값이면 된다.
바람직하게, OPUk 페이로드 영역은 프로세서의 프로세싱 비트 폭에 따라 서브블록으로 국부적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국부적으로 분할된 서브블록의 크기는 플세서의 프로세싱 비트 폭의 약수이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의 프로세싱 비트 폭을 16*8=128이라 하면, 국부적으로 분할된 서브블록의 크기는 16 바이트, 8 바이트, 4 바이트, 2 바이트 또는 1 바이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OTN 프레임(이하에서는 간단히 프레임이라 한다)의 첫 번째 내지 4번째 로우 및 17번째 내지 3824번째 컬럼을 OPUk 페이로드의 예로 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OPUk 페이로드 영역은 클라이언트 신호를 베어링하기 위해 OPUk OH 영역에서 예약된 바이트 및/또는 다른 OH 바이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 신호를 맵핑하기 위한 방법은 구체적으로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401: (K+n)번째 프레임에 의해 베어링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를 획득한다.
OTN 프레임 구조에서, K번째 프레임의 OPUk OH 영역에 의해 수반되는 맵핑 OH 정보는 (K+n)번째 프레임에 의해 베어링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를 나타내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수신 단(receiving end)은 K번째 프레임의 OPUk OH 영역에 의해 수반된 맵핑 OH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K+n)번째 프레임에 의해 베어링된 클라이언트 신호의 맵핑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따라 (K+n)번째 프레임을 디맵핑하여 (K+n)번째 프레임을 수신한 후 (K+n)번째 프레임에 의해 베어링된 클라이언트 신호를 복구한다. 여기서, K는 양의 정수이고 n은 자연수이다.
예를 들어, (K+n)번째 프레임에 의해 베어링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는 OTN 프레임의 베어러 성능 및 (K+n)번째 프레임의 OPUk 페이로드 영역의 국부적으로 분할된 서브블록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며,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의 크기는 OPUk 페이로드 영역의 국부적으로 분할된 서브블록의 크기와 동일하며, 즉 N 바이트이다.
특정한 실행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K+n)번째 프레임에 의해 베어링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바이트 수(이하에서는 A로 나타냄)가 먼저 결정되고, 그 결정된 바이트 수는 OPUk 페이로드 영역의 국부적으로 분할된 서브블록의 크기에 의해 분할되며, 정확한 분할의 결과를 (K+n)번째 프레임에 의해 베어링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이하에서는 Cblock으로 나타냄)로서 취할 수 있으며, A, Cblock, N 사이의 관계는 A=Cblock*N+C이고, 여기서 C는 나머지이다. (K+n)번째 프레임은 클라이언트 신호의 Cblock*N 바이트를 베어링해야 하며, 여기서 Cblock*N은 (K+n)번째 프레임의 전체 OPUk 페이로드 영역의 바이트 수보다 크지 않으며, 즉, (K+n)번째 프레임의 최대 베어러 용량보다 크지 않다.
예를 들어, (K+n)번째 프레임의 OPUk 페이로드 영역의 국부적으로 분할된 서브영역의 크기가 N=4이고, (K+n)번째 프레임에 의해 베어링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그 결정된 바이트 수가 A=14408인 것으로 가정하면, (K+n)번째 프레임에 의해 베어링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가 Cblock=3602인 것으로 추가로 결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A=Cblock*N+0이며, 즉 (K+n)번째 프레임은 클라이언트 신호의 Cblock*N=14408 바이트를 베어링해야 한다.
다른 예에서 있어서, (K+n)번째 프레임의 OPUk 페이로드 영역의 국부적으로 분할된 서브영역의 크기가 N=4이고, (K+n)번째 프레임에 의해 베어링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그 결정된 바이트 수가 A=14407인 것으로 가정하면, (K+n)번째 프레임에 의해 베어링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가 Cblock=3601인 것으로 추가로 결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A=Cblock*N+3이며, 즉 (K+n)번째 프레임은 클라이언트 신호의 Cblock*N=14404 바이트를 베어링해야 하며, 클라이언트 신호의 나머지 3 바이트는 후속의 프레임에 의해 베어링될 수 있다.
단계 402에서, 맵핑 OH 정보가 생성되어, K번째 프레임의 OH 영역에 맵핑되는데, 여기서 맵핑 OH 정보는 (K+n)번째 프레임에 의해 베어링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를 나타내기 위한 인디케이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맵핑 OH 정보는, (K+n)번째 프레임의 OPUk 페이로드 영역의 국부적으로 분할된 서브영역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한 인디케이션 정보, (K+n)번째 프레임에 의해 베어링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 (K+n)번째 프레임의 맵핑 방식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한 실행은 다음과 같이 될 수 있다: 맵핑 OH 정보는 K번째 프레임의 OPUk OH 영역에 맵핑된다. OPUk OH 영역의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될 수 있다. OPUk OH 영역은 OTN 프레임의 첫 번째 내지 4번째 로우의 15번째 내지 16번째 컬럼에 위치하며, 2*4 바이트를 포함한다. OPUk OH 영역은 다음과 같이 분할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OTN 프레임의 15번째 컬럼의 첫 번째 내지 3번째 로우의 3 바이트는 예약된 (RES) 바이트이고, 4번째 로우의 1 바이트는 페이로드 구조 식별자(PSI) 바이트이다. OTN 프레임의 다중프레임 기간은 256이며, PSI[0]는 페이로드 타입(PT) 식별자에 관한 인디케이션 정보, 맵핑 타입에 관한 인디케이션 정보를 수반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PSI[0]에 의해 수반되는 인디케이션 정보는 GMP 맵핑 정보를 나타내며, PSI[1] 정보는 OPUk 페이로드 영역의 국부적으로 분할된 서브블록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한 인디케이션 정보를 수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X04일 수 있는 데, 서브블록 크기가 4 바이트라는 것을 나타내며, PSI[2] 내지 PSI[255]는 예약된 바이트로서 기능할 수 있다.
OTN 프레임의 16번째 컬럼의 첫 번째 내지 3번째 로우의 3 바이트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JC1, JC2, JC3 바이트이다. JC1, JC2, JC3 바이트는 14비트 Cbolck 필드(비트 C1, C2, ..., C14), 1비트 증가 인디케이터(Ⅱ) 필드 및 1비트 감소 인디케이터(DI) 필드, 및 JC1 및 JC2에 대한 에러 정정 코딩을 수행하기 위한 8비트 CRC-8 필드를 형성한다.
K번째 프레임의 Cblock 필드는 (K+n)번째 프레임에 의해 베어링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를 나타내기 위한 인디케이션 정보를 수반하며, 구체적으로 블록 수는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K번째 프레임의 Cblock 필드는 (K+n)번째 프레임에 의해 베어링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를 직접적으로 수반할 수 있거나; 또는 (K+n)번째 프레임의 Clock 값은 Ci 비트 리버설에 의해 수신 단에 표시될 수 있으며, Ci 비트 반전과 Cblock 값의 변화 간의 대응 관계는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C1 C2 C3 C4 C5 C6 C7 C8 C9 C10 C11 C12 C13 C14 II DI 가변 값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1 0 1 0 1 0 1 0 1 0 1 0 +1
0 1 0 1 0 1 0 1 0 1 0 1 0 1 0 1 -1
0 1 1 0 0 1 1 0 0 1 1 0 0 1 1 0 +2
1 0 0 1 1 0 0 1 1 0 0 1 1 0 0 1 -2
블록 수 1 1 그 외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K+n)번째 프레임에 의해 베어링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Cblock가 (K+1)번째 프레임에 대응하는 Cblock와 비교될 때와 같이 1 또는 2만큼 증가될 때, K번째 프레임의 Cblock 필드에서의 비트(Ci)의 일부는 비트 반전되고, Ⅱ 필드는 1에 설정되어, (K+n)번째 프레임에 의해 베어링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가 1 또는 2만큼 증가한다는 것을 수신 단에 표시한다.
(K+n)번째 프레임의 Cblock이 1 또는 2만큼 증가할 때, K번째 프레임의 Cblock 필드에서의 Ci의 일부는 비트 반전되고, DI 필드는 1에 설정되어, (K+n)번째 프레임에 의해 베어링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가 1 또는 2만큼 감소한다는 것을 수신 단에 표시한다.
(K+n)번째 프레임의 Cblock의 변화가 +2 또는 -2보다 클 때, K번째 프레임의 Ⅱ 필드 및 DI 필드는 1에 설정되고, Cblock 필드는 (K+n)번째 프레임의 Cblock 값을 직접적으로 수반하여, (K+n)번째 프레임에 의해 베어링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를 수신 단에 표시하고, CRC-8은 Cblock 값을 검증하고 소정의 에러 보정 성능을 제공한다.
(K+n)번째 프레임의 Cblock 값이 변화가 없을 때, K번째 프레임의 Ⅱ 비트 및 DI 비트는 0에 설정된다.
(K+n)번째 프레임의 Cblock 값을 비트 반전을 통해 수신 단에 표시하는 방법은 전송의 효율성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고,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에러 전송의 확률을 낮출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선택적으로, OTN 프레임의 16번째 컬럼의 첫 번째 내지 3번째 로우의 OH 바이트(Cblock 바이트로 칭하기도 함)는 Cblock 값을 나타내는 인디케이션 정보를 수반하는데 있어서 다른 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것에 대해서는 도 5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3*5 비트의 Cblock _ base 필드(베이스 수 필드) 및 3*3 비트의 Cblock _ delta 필드(가변 필드)를 포함한다.
Cblock 바이트의 베이스 수 필드는 각각의 프레임에 의해 수반되는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의 최솟값을 수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 최솟값을 베이스 수(Cblock _ base)로 취하며, 각각의 프레임은 베이스 수를 수반하며; 그리고 K번째 프레임의 Cblock 바이트의 가변 필드는 (K+n)번째 프레임에 의해 베어링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로부터 베이스 수를 추출함으로써 획득된 가변 값(Cblock _ delta)을 3회 수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수신 단은 (K+n)번째 프레임에 의해 베어링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가 K번째 프레임의 Cblock 바이트에 의해 수반되는 Cblock_base 및 Cblock _ delta에 따라 Cblock=Cblock _ base + Cblock _ delta임을 결정할 수 있다.
베이스 수 값 및 가변 값을 사용함으로써 (K+n)번째 프레임의 Cblock 값을 수신 단에 표시하기 위한 방법에서, 동일한 베이스 수 값이 수반되기 때문에, 전송의 신뢰성이 확보되며, 또한 각각의 프레임은 가변 값을 3회 수반하기 때문에, 전송의 신뢰성이 더 확보된다.
(K+n)번째 프레임의 맵핑 OH 정보는 K번째 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수신 단에 송신된다. K번째 프레임을 수신한 후, 수신 단은 (K+n)번째 프레임의 Cblock 값, OPUk 페이로드 영역의 국부적으로 분할된 서브블록의 크기, 및 맵핑 방식 등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K+n)번째 프레임에 의해 베어링된 클라이언트 신호를 정확하게 디맵핑할 수 있다.
맵핑 OH 정보에서의 인디케이션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는 디폴트 방식으로 수신 단에 표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상이한 레이트의 OPUk 유닛에 있어서, 페이로드의 국부적으로 분할된 서브블록의 크기는 디폴트에 의해 특정의 값에 대응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정의 대응이 표 2에 나타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서브블록 크기(바이트) OPUk/ODTUjk
1 OPU0/ODTU01/ODTU02/ODTU03/ODTU04
2 OPU1/ODTU12/ODTU13/ODTU14
8 OPU2/ODTU23/ODTU24
8 OPU2e/ODTU2e3/ODTU2e4
16 OPU3y/ODTU34
64 OPU4
표 2에 나타난 서브블록 크기와 레이트 레벨 간의 디폴트 대응을 통해 인디케이션을 사용함으로써, 수신 단은 그 수신된 OTN 프레임의 레이트 레벨에 따라 OPUk 페이로드 영역의 국부적으로 분할된 서브블록의 크기를 직접적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른 인디케이션 정보와의 조합으로 클라이언트 신호를 디맵핑할 수 있다.
또한, 클록 정보 및 클라이언트 신호 정보는 상이한 OH 필드들을 통해 각각 수반될 수 있으며, 블록의 입도의 사용에 의한 맵핑은 클록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OPUk OH 영역의 사용에 의한 맵핑 OH 정보를 수반하기 위한 전술한 방법은 예시적으로만 도해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K+n)번째의 맵핑 OH 정보도 역시 다른 방법을 통해 K번째의 OPUk OH 영역을 사용함으로써 수신 단에 수반될 수 있다.
단계 403에서, (K+n)번째 프레임의 Cblock 값을 사용함으로써 시그마-델타 계산이 수행되며, 클라이언트 신호는 (K+n)번째 프레임의 OPUk 페이로드 영역의 대응하는 서브블록에 맵핑된다.
(K+n)번째 프레임에 의해 베어링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를 사용함으로써 시그마-델타 계산이 수행되며, 이에 따라 OPUk 페이로드 영역에서의 클라이언트 신호의 위치 분배가 획득될 수 있으며, (K+n)번째 프레임에 의해 베어링될 클라이언트 신호는 N 바이트 입도를 이용해서 (K+n)번째 프레임의 OPUk 페이로드 영역의 대응하는 서브블록에 일정하게 맵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 신호 서브블록 및 스터프(stuff) 서브블록이 (K+n)번째 프레임의 OPUk 페이로드 영역에 일정하게 분배된다.
시그마-델타 계산은 간략하게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i x Cblock)modM<Cblock이면, i번째 서브블록이 클라이언트 신호 서브블록이다.
(i x Cblock)modM≥Cblock이면, i번째 서브블록이 스터프 서브블록이며, 여기서 Cblock은 베어링된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가고 M은 OPUk 페이로드 영역의 국부적으로 분할된 서브블록의 총수(total number)이다.
프레밍 프로세스(framing process)에서, 로우/컬럼 카운터가 현재의 클록 사이클에서 처리된 로우/컬럼이 OPUk 페이로드 영역에 위치하거나 부분적으로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면, 가산기/비교기는 시그마-델타 계산을 수행하며, 현재의 클록 사이클에서 처리된 로우/컬럼에 대응하는 서브블록이 클라이언트 신호가 맵핑되는 서브블록인지를 판정하고, 클라이언트 신호가 맵핑되는 서브블록인 경우, 그 서브블록을 클라이언트 서브블록으로서 사용하고 이 클라이언트 신호는 그 서브블록에 맵핑되며, 클라이언트 신호가 맵핑되는 서브블록이 아닌 경우에는, 그 서브블록을 스터프 서브블록으로서 사용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의 프로세싱 비트 폭이 16*8=128 비트인 것으로 가정하면, (K+n)번째 프레임의 OPUk 페이로드 영역의 국부적으로 분할된 서브블록의 크기는 N=8 바이트이고, 전체 OPUk 페이로드 영역은 M=1904 서브블록으로 분할된다. 현재의 클록 사이클에서 처리된 로우/컬럼이 OPUk 페이로드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로우/컬럼 카운터가 나타내는 경우, 클록 사이클에서 시그마-델타 계산을 2회 수행하는 데는 단지 11 비트 가산기/비교기가 선택되어야 하기 때문에, 2 서브블록(2*8 바이트)의 맵핑을 완료한다. 하나의 바이트의 결정 입도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시그마-델라 계산을 16회 수행하는 데 있어서는 14 비트 가산기/비교기가 선택되어야 하기 때문에 16 바이트의 맵핑을 완료한다.
다른 예에 있어서, OPU4에 대한 프로세싱 비트 폭이 64*8=512 비트인 것으로 가정하면, (K+n)번째 프레임의 OPU4 페이로드 영역이 64 바이트를 각각 가지는 238 서브블록으로 국부적으로 분할될 때, 프로세서 클록 사이클에서 시그마-델타 계산을 1회 수행하는 데 단지 8 비트 가산기/비교기가 신택되어야 때문에, 1 서브블록(64 바이트)의 맵핑을 완료한다. 마찬가지로, 하나의 바이트의 결정 입도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64배의 시그마-델타 계산을 수행하는 데 14 비트 가산기/비교기가 선택되어야 하기 때문에, 64 바이트의 맵핑을 완료한다.
OPU3 및 OPU4와 같은 높은 레이트 유닛에 있어서는, 페이로드 영역이 16 바이트, 32 바이트 또는 64 바이트의 수 개의 서브블록으로 유연성 있게 국부적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하나의 블록의 결정 입도를 사용함으로써 시그마-델타 계산을 수행하므로, 맵핑 프로세스가 현저하게 단순화된다.
선택적으로, OPUk 페이로드 영역에서 스터프 서브블록과 클라이언트 신호 서브블록의 수 개의 위상 관계(phase relation)도 또한 OPUk 페이로드 영역의 각각의 타입의 논리적 분할의 서브블록 크기에 대응해서 사전설정될 수 있으며, 각각의 위상 관계는 OPUk 페이로드 영역에 의해 베어링된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에 대응하므로, 클라이언트 신호가 맵핑될 때, 이 클라이언트 신호는 사전설정된 위상 관계에 따라 OPUk 페이로드 영역의 클라이언트 신호 서브블록에 직접 고정적으로 맵핑될 수 있다.
스터프 서브블록과 클라이언트 신호 서브블록의 위상 사전설정을 통해 클라이언트 신호의 맵핑은 결정 및 계산량을 많이 감소되고, 맵핑 프로세스는 단순화되므로, 유연성 있는 프로세싱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K+n)번째 프레임의 OH 정보 영역이 생성된 후 (K+n)번째 프레임이 송신된다.
이에 대응해서,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신호를 디맵핑하기 위한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 신호를 디맵핑하기 위한 방법은 구체적으로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601에서, 수신 단은 (K+n)번째 프레임의 맵핑 OH 정보를 획득한다.
수신 단은 K번째 프레임의 OPUk OH 영역을 디맵핑함으로써 (K+n)번째 프레임의 맵핑 OH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획득된 맵핑 OH 정보는 페이로드 영역에 의해 베어링된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의 인디케이션 정보, 페이로드 영역의 국부적으로 분할된 서브블록의 크기, 맵핑 방식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602에서, 수신 단은 (K+n)번째 프레임의 맵핑 OH 정보에 따라 시그마-델타 알고리즘을 사용함으로써 (K+n)번째 프레임의 페이로드 영역에 의해 베어링된 클라이언트 신호를 디맵핑한다.
이에 대응해서, 수신 단은 맵핑 OH 정보에 따라, (K+n)번째 프레임의 맵핑 방식, 페이로드 영역의 국부적으로 분할된 서브블록의 크기, 및 베어링된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수신 단은 상기 정보에 따른 시그마-델타 알고리즘을 사용함으로써 페이로드 영역의 서브블록에서의 클라이언트 신호의 위치 분배를 결정할 수 있으며, 즉, 클라이언트 서브블록 및 스터프 서브블록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페이로드 영역의 클라이언트 신호를 디맵핑하여 그 결정된 위치 분배에 따라 클라이언트 신호를 복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OPUk 페이로드 영역은 유연성 있게 블록들로 국부적으로 분할되며, 클라이언트 신호가 맵핑될 때, 하나의 블록의 맵핑 결정 입도를 사용함으로써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맵핑을 수행함으로써, 클라이언트 신호의 맵핑 프로세스가 간단해지고, 이에 의해 다중 레이트 서비스의 요건이 충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OPUk 페이로드 영역은 많은 상이한 방식으로 블록들로 유연성 있게 분할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OPUk 페이로드 영역 및 OPUk OH 영역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OPUk 페이로드 영역은 블록 구역(block region) 및 조정 구역(adjustment region)으로 분할된다. 블록 구역은 N 바이트의 크기를 각각 가지는 M개의 서브블록으로 국부적으로 분할되며, 전체 블록 구역의 크기는 M*N 바이트이다.
OPUk 블록 구역의 국부적으로 분할된 서브블록의 크기는 임의적이며, 즉 N은 OPUk 블록 구역의 바이트 수에 의해 정확하게 분할될 수 있는 임의의 값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바람직하게, OPUk 블록 구역은 프로세서의 프로세싱 비트 폭에 따라 서브블록으로 국부적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국부적으로 분할된 서브블록의 크기는 프로세서의 프로세싱 비트 폭의 약수이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의 프로세싱 비트 폭이 16*8=128 바이트인 것으로 가정하면, 국부적으로 분할된 서브블록의 크기는 16 바이트, 8 바이트, 4 바이트, 2 바이트 또는 1 바이트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해를 위해 OPUk 페이로드 영역의 예로서 OTN 프레임의 첫 번째 로우 내지 4번째 로우의 17번째 내지 3824번째 컬럼 및 4번째 로우의 16번째 컬럼을 취하고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OPUk 페이로드 영역은 OPUk OH 영역에서의 다른 예약된 바이트 및/또는 클라이언트 신호를 베어링하기 위한 그외 OH 바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도해를 위해 조정 구역의 예로서 OTN 프레임의 4번째 로우의 16번째 내지 20번째 컬럼을 취하고 블록 구역의 예로서 OPUk 페이로드 영역의 다른 부분들을 취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OPUk 조정 구역 및 블록 구역의 크기 비율 및 위치는 유연성 있게 조정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 신호를 맵핑하기 위한 방법은 구체적으로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801에서, (K+1)번째 프레임에 의해 베어링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 및 조정 바이트 수가 획득된다.
예를 들어, (K+1)번째 프레임에 의해 베어링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는 OTN 프레임의 베어러 성능 및 (K+1)번째 프레임의 OPUk 블록 구역의 국부적으로 분할된 서브블록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데이터 블록의 크기는 대응하는 OPUk 블록 구역의 국부적으로 분할된 서브블록의 크기와 동일하며, 즉 N 바이트이다.
특정한 실행은 이하와 같이 될 수 있다: (K+n)번째 프레임에 의해 베어링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바이트 수(이하에서는 A로 나타냄)가 먼저 결정되고, 그 결정된 바이트 수는 OPUk 블록 구역의 국부적으로 분할된 서브블록의 크기에 의해 분할되며, 정확한 분할의 결과를 (K+n)번째 프레임에 의해 베어링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이하에서는 Cblock _ base로 나타냄)로서 취할 수 있고, 나머지는 조정 바이트 수(이하에서는 Cdelta로 나타냄)로서 취할 수 있으며, A, Cblock _ base, N, 및 Cdelta 사이의 관계는 A=Cblock _ base*N+Cdelta이다. (K+n)번째 프레임은 클라이언트 신호의 Cblock _ base*N+Cdelta 바이트를 베어링해야 하며, 여기서 Cblock _ base*N은 (K+n)번째 프레임의 블록 구역의 바이트 수보다 크지 않으며, Cdelta는 조정 구역의 바이트 수보다 크지 않다.
예를 들어, (K+n)번째 프레임의 OPUk 블록 구역의 국부적으로 분할된 서브영역의 크기가 N=4이고, (K+n)번째 프레임에 의해 베어링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그 결정된 바이트 수가 A=14408인 것으로 가정하면, (K+n)번째 프레임에 의해 베어링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가 Cblock _ base=3602인 것으로 추가로 결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A=Cblock _ base*N+0이며, 즉 (K+n)번째 프레임의 블록 구역은 클라이언트 신호의 Cblock*N=14408 바이트를 베어링해야 하며, 조정 구역은 클라이언트 신호의 0 바이트를 베어링해야 한다.
다른 예에서 있어서, (K+n)번째 프레임의 블록 구역의 국부적으로 분할된 서브영역의 크기가 N=4이고, (K+n)번째 프레임에 의해 베어링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그 결정된 바이트 수가 A=14407인 것으로 가정하면, (K+n)번째 프레임의 블록 구역에 의해 베어링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가 Cblock _ base=3601인 것으로 추가로 결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A=Cblock _ base*N+3이며, 즉 (K+n)번째 프레임의 블록 구역은 클라이언트 신호의 Cblock _ base*N=14404 바이트를 베어링해야 하며, 조정 구역은 클라이언트 신호의 나머지 3 바이트를 베어링해야 한다.
단계 802에서는, 맵핑 OH 정보가 생성되어, K번째 프레임의 OH 영역에 맵핑되는데, 여기서 맵핑 OH 정보는 (K+n)번째 프레임의 블록 구역에 의해 베어링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를 나타내기 위한 인디케이션 정보, 및 (K+n)번째 프레임의 조정 구역에 의해 베어링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바이트 수를 나타내기 위한 인디케이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맵핑 OH 정보는, (K+n)번째 프레임의 OPUk 블록 구역의 국부적으로 분할된 서브영역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한 인디케이션 정보, (K+n)번째 프레임의 블록 구역에 의해 베어링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 (K+n)번째 프레임의 OPUk 조정 구역에 의해 베어링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바이트 수, (K+n)번째 프레임의 맵핑 방식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한 실행은 다음과 같이 될 수 있다: 맵핑 OH 정보는 K번째 프레임의 OPUk OH 영역에 맵핑된다. OPUk OH 영역의 구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될 수 있다. OPUk OH 영역은 OTN 프레임의 15번째 컬럼의 첫 번째 내지 4번째 로우 및 16번째 컬럼의 첫 번째 내지 3번째 로우에 위치하며, 4+3 바이트를 포함한다. OPUk OH 영역은 다음과 같이 분할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OTN 프레임의 15번째 컬럼의 첫 번째 내지 3번째 로우의 3 바이트는 예약된 (RES) 바이트이고, 4번째 로우의 1 바이트는 PSI 바이트이다. OTN 프레임의 다중프레임 기간은 256이며, PSI[0]는 PT 식별자에 관한 인디케이션 정보를 수반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PSI[0]에 의해 수반되는 인디케이션 정보는 GMP 맵핑 방식을 나타내며, PSI[1]는 OPUk 블록 구역의 국부적으로 분할된 서브블록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한 인디케이션 정보를 수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X04일 수 있는 데, 블록 크기가 4 바이트라는 것을 나타내며, PSI[2] 내지 PSI[255]는 예약된 바이트로서 기능할 수 있다.
OTN 프레임의 16번째 컬럼의 첫 번째 내지 3번째 로우의 3 바이트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Cblock 바이트이다. Cblock 바이트는 (3*5) 비트 Cbolck _ base 필드(블록 필드) 및 (3*3) 비트 Cdelta 필드(조정 필드)로 분할될 수 있으며, 여기서 K번째 프레임의 Cblock 바이트의 블록 필드는 (K+n)번째 프레임의 OPUk 블록 구역에 의해 베어링된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Cblock _ base)를 나타내기 위한 인디케이션 정보를 수반하며, 조정 필드는 (K+n)번째 프레임의 OPUk 조정 구역에 의해 베어링된 클라이언트 신호의 바이트 수(Cdelta)를 3회 나타내기 위한 인디케이션 정보를 수반한다. 수신 단은 K번째 프레임의 Cblock 바이트에 의해 수반되는 인디케이션 정보에 따라 (K+n)번째 프레임의 OPUk 블록 영역에 의해 베어링된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 및 (K+n)번째 프레임의 OPUk 조정 구역에 의해 베어링된 클라이언트 신호의 바이트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조정 구역의 위치 및 크기는 디폴트일 수 있거나 또는 대응하는 인디케이션 정보가 다른 OH 바이트를 통해 수신 단에 수반될 수 있으며, 이것은 유연성 있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K+n)번째 프레임의 블록 구역에 의해 베어링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가 Cblock _ base=3586이고, 조정 구역이 클라이언트 신호의 Cdelta=3 바이트를 베어링해야 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K번째 프레임의 Cblock 바이트의 블록 필드는 이진 코드 000111000000010을 수반하며, 조정 필드는 3개의 동일한 이진 코드 011을 수반한다.
또한, 클록 정보 및 클라이언트 신호 정보는 상이한 OH 필드들을 통해 각각 수반될 수 있으며, 블록의 입도의 사용에 의한 맵핑은 클록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맵핑 OH 정보에서의 인디케이션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는 디폴트 방식으로 수신 단에 표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OTN 프레임의 레이트 레벨을 사용하여 디폴트 방식에 의해 OPUk 페이로드 영역의 블록 구역의 국부적으로 분할된 서브블록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고, 이것은 표 2에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다.
OPUk OH 영역의 사용에 의한 맵핑 OH 정보를 수반하기 위한 전술한 방법은 예시적으로만 도해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K+n)번째의 맵핑 OH 정보도 역시 다른 방법을 통해 K번째의 OPUk OH 영역을 사용함으로써 수신 단에 수반될 수 있다.
(K+n)번째 프레임의 맵핑 OH 정보는 K번째 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수신 단에 송신된다. K번째 프레임을 수신한 후, 수신 단은 (K+n)번째 프레임의 Cblock _ base 값 및 Cdelta 값, OPUk 페이로드 영역의 국부적으로 분할된 서브블록의 크기, 및 맵핑 방식 등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K+n)번째 프레임에 의해 베어링된 클라이언트 신호를 정확하게 디맵핑할 수 있다.
단계 803에서, (K+n)번째 프레임의 Cblock _ base 값을 사용함으로써 시그마-델타 계산이 수행되며, 클라이언트 신호는 (K+n)번째 프레임의 페이로드 영역의 대응하는 서브블록에 맵핑된다.
(K+n)번째 프레임에 의해 베어링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획득된 블록 수를 사용함으로써 시그마-델타 계산이 수행되며, 이에 따라 블록 구역에서의 클라이언트 신호의 위치 분배가 결정될 수 있으며, (K+n)번째 프레임에 의해 베어링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일부 또는 전부는 N 바이트 입도를 이용해서 (K+n)번째 프레임의 OPUk 블록 구역의 대응하는 서브블록에 일정하게 맵핑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프레밍 프로세스(frame process)에서, 로우/컬럼 카운터가 현재의 클록 사이클에서 처리된 로우/컬럼이 OPUk 블록 구역에 위치하거나 부분적으로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면, 가산기/비교기는 시그마-델타 계산을 수행하며, 현재의 클록 사이클에서 처리된 로우/컬럼에 대응하는 서브블록이 클라이언트 신호가 맵핑되는 서브블록인지를 판정하고, 클라이언트 신호가 맵핑되는 서브블록인 경우, 그 서브블록을 클라이언트 서브블록으로서 사용하고 이 클라이언트 신호를 맵핑하며, 클라이언트 신호가 맵핑되는 서브블록이 아닌 경우에는, 그 서브블록을 스터프 서브블록으로서 사용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의 프로세싱 비트 폭이 16*8=128 비트인 것으로 가정하면, (K+n)번째 프레임의 OPUk 블록 구역은 15228 바이트이고, 조정 구역은 5 바이트이며, (K+n)번째 프레임의 OPUk 블록 영역의 국부적으로 분할된 서브블록의 크기는 N=4 바이트이며, 전체 OPUk 블록 구역은 M=3807 서브블록으로 분할된다. 현재의 클록 사이클에서 처리된 로우/컬럼이 OPUk 블록 구역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로우/컬럼 카운터가 나타내는 경우, 하나의 블록의 결정 입도를 사용함으로써 시그마-델타 계산을 4회 수행하는 데는 단지 12 비트 가산기/비교기가 선택되어야 하기 때문에, 4 서브블록(4*4 바이트)의 맵핑을 완료한다. 하나의 바이트의 결정 입도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시그마-델라 계산을 16회 수행하는 데 있어서는 14 비트 가산기/비교기가 선택되어야 하기 때문에 16 바이트의 맵핑을 완료한다. OPUk 조정 구역은 클라이언트 신호의 Cdelta 바이트를 베어링하고, 클라이언트 신호의 Cdelta 바이트는 동의 규칙에 따라 조정 구역에 맵핑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좌에서 우로 또는 우에서 좌로 맵핑된다.
선택적으로, OPUk 블록 구역에서의 스터프 서브블록(스터프 신호를 베어링하기 위한 서브블록)의 수 개의 위치 분배 관계 및 클라이언트 신호 서브블록(클라이언트 신호를 베어링하기 위한 서브블록)도 또한 OPUk 블록 구역의 각각의 타입의 논리적 분할의 서브블록 크기에 대응해서 사전설정될 수 있으며, 각각의 위치 분배 관계는 OPUk 블록 구역에 의해 베어링된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에 대응하므로, 클라이언트 신호가 맵핑될 때, 클라이언트 신호는 상기 사전 설정된 위치 분배 관계에 따라 OPUk 블록 구역의 클라이언트 신호 서브블록에 직접 고정되게 맵핑될 수 있다.
스터프 서브블록 및 클라이언트 신호 서브블록의 위치 분배의 사전 설정을 통한 클라이언트 신호의 맵핑은 결정 및 계산 프로세스를 많이 감소할 수 있고, 맵핑 프로세스를 단순화시키므로 유연성 있는 프로세싱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K+n)번째 프레임은 (K+n)번째 프레임의 OH 영역 정보가 생성된 후 송신된다.
이에 대응해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신호를 디맵핑하기 위한 방법을 더 제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 신호를 디맵핑하기 위한 방법은 구체적으로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901에서, 수신 단은 (K+n)번째 프레임의 맵핑 OH 정보를 획득한다.
수신 단은 K번째 프레임의 OPUk OH 정보를 디맵핑함으로써 (K+n)번째 프레임의 맵핑 OH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획득된 맵핑 OH 정보는 블록 구역에 의해 베어링된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의 인디케이션 정보, 블록 구역의 국부적으로 분할된 서브블록의 크기, 조정 구역의 크기, 조정 구역에 의해 베어링된 클라이언트 신호의 바이트 수, 맵핑 방식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902에서, 수신 단은 (K+n)번째 프레임의 맵핑 OH 정보에 따라 시그마-델타 알고리즘을 사용함으로써 (K+n)번째 프레임의 페이로드 영역에 의해 베어링된 클라이언트 신호를 디맵핑한다.
이에 대응해서, 수신 단은 맵핑 OH 정보에 따라, (K+n)번째 프레임의 맵핑 방식, 블록 구역의 국부적으로 분할된 서브블록의 크기, 상기 블록 구역에 의해 베어링된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 및 상기 조정 구역에 의해 베어링된 클라이언트 신호의 바이트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수신 단은 상기 정보에 따른 시그마-델타 알고리즘을 사용함으로써 페이로드 영역의 클라이언트 신호의 위치 분배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페이로드 영역의 클라이언트 신호를 디맵핑하여 그 결정된 위치 분배에 따라 클라이언트 신호를 복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OPUk 페이로드 영역은 유연성 있게 서브블록들로 국부적으로 분할되며, 클라이언트 신호가 맵핑될 때, 하나의 블록의 맵핑 결정 입도를 사용함으로써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맵핑을 수행함으로써, 클라이언트 신호의 맵핑 프로세스가 간단해지고, 이에 의해 다중 레이트 서비스의 요건이 충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OPUk 페이로드 영역은 블록 구역 및 조정 구역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OPUk 블록 구역은 블록 맵핑 및 바이트 맵핑 모두가 수행될 수 있도록 복수의 블록으로 유연성 있게 분할되어, 서비스 채택률이 높고, 맵핑 프로세스가 더욱 유연성 있게 되며, 솔루션은 더 다각화된다.
전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맵핑 방법, 디맵핑 방법 및 장치는 또한 ODUj 클라이언트 신호를 광학 채널 데이터 지류(tributary) 유닛 j 내지 k(ODTUjk)의 페이로드 영역에 맵핑하고 이 ODTUjk의 페이로드 영역으로부터 ODUj 클라이언트 신호를 디맵핑하는 데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ODU2 신호가 ODTU24에 맵핑될 때, 8 바이트의 블록 크기가 맵핑을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제4 실시예
이에 대응해서,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신호를 맵핑하기 위한 장치를 더 제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 신호를 맵핑하기 위한 장치는 블록 수 계산 모듈(1010), 맵핑 제어 모듈(1020) 및 맵핑 모듈(1030)을 포함한다.
블록 수 계산 모듈(1010)은 OPU 또는 ODTU의 페이로드 영역의 서브블록 크기에 따라 전송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를 계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페이로드 영역은 N 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는 수 개의 서브블록을 포함하며, 여기서 N은 1 이상이다.
맵핑 제어 모듈(1020)은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어 신호는 페이로드 영역의 서브블록에서 전송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위치 분배를 나타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맵핑 모듈(1030)은 버퍼(1040)에서 전송될 클라이언트 신호를, 맵핑 제어 모듈(1020)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페이로드 영역의 대응하는 서브블록에 맵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어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맵핑 제어 모듈(1020)은 블록 수 계산 모듈(1010)에 의해 계산된 블록 수에 따라 시그마-델타 계산을 구체적으로 수행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어 신호는 페이로드 영역의 서브블록에서 전송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위치 분배를 나타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맵핑 모듈(1030)은 현재의 클록 사이클에서 처리된 로우/컬럼과 관련해서 상기 제어 신호의 제어 하에 로우/컬럼 카운터의 지시에 따라 N 바이트 입도를 이용해서 버퍼(1040)로부터 클라이언트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신호를 페이로드 영역의 대응하는 서브블록에 맵핑한다.
어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맵핑 제어 모듈(1020)은 맵핑 OH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맵핑 OH 정보는 전송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의 인디케이션 정보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맵핑 모듈(1030)은 또한 맵핑 OH 정보를 OPU 또는 ODTU의 OH 영역에 맵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페이로드 영역이 조정 구역 및 블록 구역을 포함하고, 블록 구역이 N 바이트의 수 개의 서브블록을 포함하는 경우, 맵핑 모듈(1030)은 버퍼에서 수 바이트의 클라이언트 신호를 조정 구역에 맵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기능 모듈의 기능은 제2 또는 제3 실시예에서의 방법에 따라 구체적으로 실행될 수 있으며, 특정한 실행 프로세스에 있어서는, 제2 또는 제3 실시예에서의 관련 상세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 반복하지 않는다.
제5 실시예
이에 대응해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신호를 디맵핑하기 위한 장치를 더 제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 신호를 디맵핑하기 위한 장치는 디맵핑 제어 모듈(1110) 및 디맵핑 모듈(1120)을 포함한다.
디맵핑 제어 모듈(1110)은 OPU 또는 ODTU의 페이로드 영역에 의해 베어링된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를 획득하고, 이 블록 수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신호는 페이로드 영역의 서브블록에서의 클라이언트 신호의 위치 분배를 나타내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페이로드 영역은 N 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는 수 개의 블록을 포함하며, N은 1 이상이다.
디맵핑 모듈(1120)은 디맵핑 제어 모듈(1110)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페이로드 영역에 의해 베어링된 클라이언트 신호를 디맵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어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디맵핑 모듈(120)은 현재의 클록 사이클에서 처리된 로우/컬럼과 관련해서 그리고 제어 신호의 제어 하에 로우/컬럼 카운터의 지시에 따라 N 바이트 입도를 이용해서 버퍼(1130)로부터 페이로드 영역의 대응하는 서브블록에 의해 베어링된 클라이언트 신호를 디맵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기능 모듈의 기능은 제2 또는 제3 실시예에서의 방법에 따라 구체적으로 실행될 수 있으며, 특정한 실행 프로세스에 있어서는, 제2 또는 제3 실시예에서의 관련 상세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 반복하지 않는다.
전술한 방법 실시예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련의 동작을 표현하고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설명된 동작의 시퀀스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당업자는 알고 있는 데, 왜냐하면, 일부의 단계는 본 발명에 따라 다른 시퀀스로 수행되거나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명세서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는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포함된 동작 및 모듈은 본 발명에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님을 당업자는 또한 알고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른 관점에서 다른 주장을 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설명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다른 실시예의 관련 상세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채택된 기술적 솔루션에서, OPUk/ODTUjk 페이로드 영역은 복수의 블록으로 유연성 있게 논리적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신호가 맵핑될 때, 하나의 블록의 맵핑 결정 입도를 사용함으로써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맵핑이 수행되므로, 클라이언트 신호의 맵핑 프로세스가 단순화되고, 이에 의해 다중 레이트 서비스의 요건이 충족된다.
또한, OPUk/ODTUjk 페이로드 영역은 블록 구역 및 조정 구역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OPUk/ODTUjk 블록 구역은 블록 맵핑 및 바이트 맵핑 모두가 수행될 수 있도록 복수의 블록으로 유연성 있게 분할되므로, 서비스 채택률이 높고, 맵핑 프로세스가 더욱 유연성 있게 되며, 솔루션은 더 다각화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단계 중 전부 또는 일부는 관련 하드웨어에 명령을 내리는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자기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판독-전용 메모리(CD-ROM), 판독-전용 메모리(ROM),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클라이언트 신호를 맵핑 및 디맵핑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는 전술한 바에서 소개되었으며, 본 발명의 원리 및 실행은 특정한 실시예를 통해 여기에 개시하였으며,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단순히 본 발명의 방법 및 핵심 사항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특정한 실행 및 어플리케이션 범주와 관련해서 본 발명에 대한 변형 및 수정을 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명세서는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파악해서는 안 된다.

Claims (15)

  1. 클라이언트 신호를 맵핑하기 위한 맵핑 방법에 있어서,
    광 채널 페이로드 유닛(Optical Channel Payload Unit: OPU) 또는 광 채널 데이터 지류 유닛(Optical Channel Data Tributary Unit: ODTU)의 페이로드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 개의 서브블록으로 분할하는 단계로서, 상기 수개의 서브블록은 N 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N은 1 이상인, 상기 분할하는 단계; 및
    전송될 클라이언트 신호를 N 바이트 입도(granularity)를 이용해서 상기 페이로드 영역의 수 개의 서브블록에 맵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맵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될 클라이언트 신호를 N 바이트 입도를 이용해서 상기 페이로드 영역의 수 개의 서브블록에 맵핑하는 단계는,
    상기 페이로드 영역의 서브블록 크기에 따라 상기 전송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block number)를 계산하는 단계로서, 상기 클라이언트 신호는 N 바이트의 블록 크기를 가지는, 상기 계산하는 단계;
    상기 블록 수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페이로드 영역의 수 개의 서브블록에서 상기 전송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위치 분배(position distribution)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위치 분배에 따라 N 바이트 입도를 이용해서 상기 전송될 클라이언트 신호를 상기 페이로드 영역의 대응하는 수 개의 블록에 맵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맵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맵핑 오버헤드(OH)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맵핑 OH 정보를 OH 영역에 맵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맵핑 OH 정보는 상기 전송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의 인디케이션 정보(indication information)를 포함하는, 맵핑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수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페이로드 영역의 수 개의 서브블록에서 상기 전송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위치 분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 수에 따라 시그마-델타 알고리즘(sigma-delta algorithm)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페이로드 영역의 수 개의 서브블록에서 상기 전송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위치 분배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맵핑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수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페이로드 영역의 수 개의 서브블록에서 상기 전송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위치 분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 수에 따라 상기 블록 수에 대응하는 상기 페이로드 영역에서 스터프 신호(stuff signal)를 베어링하기 위한 수 개의 서브블록 및 상기 클라이언트 신호를 베어링하기 위한 수 개의 서브블록의 사전 설정된 위치 분배(preset position distribution)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맵핑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의 인디케이션 정보는,
    블록 수의 고정 값을 나타내는 베이스 수 부분(base number poition) 및 상기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의 가변 값을을 나타내는 조정 부분(adjustment portion)
    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수 부분 및 상기 조정 부분은 상기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를 나타내는, 맵핑 방법.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의 인디케이션 정보는,
    비트 반전 필드(bit reversal field) 및 증가/감소 인디케이션 필드
    를 포함하며,
    기 비트 반전 필드 및 상기 증가/감소 인디케이션 필드는 연대해서 비트 반전을 통해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를 나타내는, 맵핑 방법.
  8.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로드 영역은 조정 구역(adjustment region) 및 블록 구역(block region)을 포함하며, 상기 페이로드 영역의 블록 구역은 N 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는 수 개의 서브블록으로 분할되며,
    수 바이트의 전송될 클라이언트 신호를 상기 페이로드 영역의 조정 구역에 맵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맵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맵핑 OH 정보는 상기 조정 구역에 의해 베어링된 클라이언트 신호의 바이트 수의 인디케이션 정보를 더 포함하는, 맵핑 방법.
  10. 클라이언트 신호를 디맵핑하기 위한 디맵핑 방법에 있어서,
    광 채널 페이로드 유닛(Optical Channel Payload Unit: OPU) 또는 광 채널 데이터 지류 유닛(Optical Channel Data Tributary Unit: ODTU)의 페이로드 영역에 의해 베어링된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의 인디케이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로서, 상기 수개의 서브블록은 N 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N은 1 이상인, 상기 획득하는 단계;
    상기 블록 수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페이로드 영역의 수 개의 서브블록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신호의 위치 분배(position distribution)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페이로드 영역은 N 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는 수 개의 블록을 포함하는, 상기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위치 분배에 따라 상기 페이로드 영역의 클라이언트 신호를 디맵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맵핑 방법.
  11. 클라이언트 신호를 맵핑하기 위한 맵핑 장치에 있어서,
    광 채널 페이로드 유닛(Optical Channel Payload Unit: OPU) 또는 광 채널 데이터 지류 유닛(Optical Channel Data Tributary Unit: ODTU)의 페이로드 영역의 서브블록 크기에 따라, 전송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를 계산하도록 구성된 블록 수 계산 모듈로서, 상기 페이로드 영역은 N 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는 수개의 서브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N은 1 이상인, 상기 블록 수 계산 모듈;
    상기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맵핑 제어 모듈로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페이로드 영역의 상기 수 개의 서브블록에서 상기 전송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위치 분배를 나타내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맵핑 제어 모듈; 및
    버퍼에서, 상기 전송될 클라이언트 신호를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페이로드 영역의 대응하는 수 개의 서브블록에 맵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맵핑 모듈
    을 포함하는 맵핑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맵핑 제어 모듈은, 상기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에 따라 시그마-델타 계산을 수행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페이로드 영역의 서브블록에서 상기 전송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위치 분배를 나타내도록 구성되어 있는, 맵핑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맵핑 제어 모듈은 또한, 맵핑 오버헤드(OH)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맵핑 OH 정보는 상기 전송될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의 인디케이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맵핑 모듈은 또한, 상기 맵핑 OH 정보를 OH 영역에 맵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맵핑 장치.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로드 영역은 조정 구역 및 블록 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블록 구역은 N 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는 수 개의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맵핑 모듈은 또한, 상기 버퍼에서 수 바이트의 상기 클라이언트 신호를 상기 페이로드 영역의 조정 구역에 맵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맵핑 장치.
  15. 클라이언트 신호를 디맵핑하기 위한 디맵핑 장치에 있어서,
    광 채널 페이로드 유닛(Optical Channel Payload Unit: OPU) 또는 광 채널 데이터 지류 유닛(Optical Channel Data Tributary Unit: ODTU)의 페이로드 영역에 의해 베어링된 클라이언트 신호의 블록 수를 획득하고, 상기 블록 수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디맵핑 제어 모듈로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페이로드 영역의 서브블록에서 클라이언트 신호의 위치 분배를 나타내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페이로드 영역은 N 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는 수 개의 블록을 포함하며, N은 1 이상인, 상기 디맵핑 제어 모듈; 및
    상기 디맵핑 제어 모듈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페이로드 영역에 의해 베어링된 클라이언트 신호를 디맵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디맵핑 모듈
    을 포함하는 디맵핑 장치.
KR1020117013821A 2009-02-10 2010-01-14 클라이언트 신호의 맵핑 및 디맵핑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2446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10005200.5 2009-02-10
CN200910005200.5A CN101800912B (zh) 2009-02-10 2009-02-10 客户信号映射和解映射的实现方法及装置
PCT/CN2010/070171 WO2010091604A1 (zh) 2009-02-10 2010-01-14 客户信号映射和解映射的实现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893A true KR20110095893A (ko) 2011-08-25
KR101244634B1 KR101244634B1 (ko) 2013-03-18

Family

ID=42561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3821A KR101244634B1 (ko) 2009-02-10 2010-01-14 클라이언트 신호의 맵핑 및 디맵핑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894482B1 (ko)
EP (1) EP2296297B1 (ko)
JP (3) JP5367844B2 (ko)
KR (1) KR101244634B1 (ko)
CN (2) CN101800912B (ko)
AU (1) AU2010213281B2 (ko)
BR (1) BRPI1006791B1 (ko)
CA (1) CA2746011C (ko)
ES (1) ES2392502T3 (ko)
MX (1) MX2011007740A (ko)
PE (1) PE20120600A1 (ko)
RU (1) RU2485687C2 (ko)
WO (1) WO20100916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15967B (zh) 2008-06-26 2011-04-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业务数据的发送、接收方法、装置和系统
CN101800912B (zh) * 2009-02-10 2016-08-10 华为技术有限公司 客户信号映射和解映射的实现方法及装置
US8359525B2 (en) * 2009-03-06 2013-01-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optical transport network
JP5251620B2 (ja) * 2009-03-09 2013-07-31 富士通株式会社 フレーム生成装置およびフレーム生成方法
CN101834688B (zh) 2009-03-09 2011-08-31 华为技术有限公司 光传送网中的映射、解映射方法及装置
US8340134B1 (en) 2009-11-04 2012-12-25 Pmc-Sierra,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count information in generic mapping procedure
JP5433078B2 (ja) * 2010-05-26 2014-03-05 富士通株式会社 光転送ネットワーク伝送装置及びそのスタッフ制御方法
JP5301588B2 (ja) * 2011-02-25 2013-09-25 アンリツ株式会社 帯域制御評価装置
JP5301600B2 (ja) * 2011-03-31 2013-09-25 アンリツ株式会社 帯域制御評価装置
JP2013017048A (ja) * 2011-07-04 2013-01-24 Nec Corp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JP2013121003A (ja) * 2011-12-06 2013-06-17 Fujitsu Ltd データ平滑化回路及びデータ平滑化方法
CN103797742B (zh) * 2013-01-04 2017-11-21 华为技术有限公司 以太网中处理数据的方法、物理层芯片和以太网设备
US20140255028A1 (en) * 2013-03-08 2014-09-11 Altera Corporation Sub-rate mapping for lowest-order optical data unit
CN105429726B (zh) * 2014-09-22 2018-01-23 华为技术有限公司 光传输网的业务映射处理方法、装置及系统
CN110401506B (zh) 2016-05-27 2021-04-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业务传送方法和第一传送设备
CN109981209B (zh) 2017-12-28 2022-01-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光传送网中业务发送、接收方法及装置
EP3737110A4 (en) 2018-02-09 2021-01-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PROCESS AND DEVICE FOR PROCESSING SERVICE DATA IN AN OPTICAL TRANSPORT NETWORK
CN110649986B (zh) 2018-06-26 2022-07-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使用灵活光网络的业务传输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511916A (zh) * 2020-02-28 2021-03-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光传送网中业务处理方法、处理装置和电子设备
CN112511915A (zh) * 2020-02-28 2021-03-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光传送网中业务处理方法、处理装置和电子设备
CN112511920A (zh) * 2020-03-27 2021-03-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光传送网中业务处理方法、处理装置和电子设备
CN115623361A (zh) * 2021-07-14 2023-01-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光业务单元的映射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9791A (ja) * 1998-07-24 2000-02-18 Hitachi Ltd Ipデータグラムカプセル化方法及びip処理装置
US7286487B2 (en) * 2002-11-18 2007-10-23 Infinera Corporation Optical transmission network with asynchronous mapping and demapping and digital wrapper frame for the same
EP1638233B1 (en) * 2001-10-09 2007-12-19 Infinera Corporation Digital optical network architecture
US7885186B2 (en) * 2003-10-03 2011-02-08 Cien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adaptively managing bandwidth on optical links shared by multiple-services using virtual concatenation and link capacity adjustment schemes
US8014781B2 (en) * 2004-06-08 2011-09-06 Qualcomm Incorporated Intra-cell common reus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N100596043C (zh) * 2004-08-26 2010-03-24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低速信号在光传输网络中透明传送的方法和装置
CN100590997C (zh) * 2004-11-02 2010-02-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otn网络中业务复用的开销处理方法
US7288487B1 (en) * 2004-12-01 2007-10-30 Spansion Llc Metal/oxide etch after polish to prevent bridging between adjacent features of a semiconductor structure
US8274518B2 (en) * 2004-12-30 2012-09-25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izing graphics subsystems
CN101030827B (zh) * 2006-03-03 2011-04-20 华为技术有限公司 Dtm映射到otn的方法和装置
US7809017B2 (en) * 2006-09-21 2010-10-05 Nortel Networks Limited Multi-rate transparent MUX for optical communications networks
CN101051879B (zh) * 2007-04-06 2012-04-04 华为技术有限公司 低速业务复用及解复用的方法和装置
CN101291179B (zh) * 2007-04-17 2011-03-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光传送网中客户信号传送方法及相关设备
US7602814B2 (en) * 2007-04-30 2009-10-13 Ciena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apping and multiplexing wider clock tolerance signals in optical transport network transponders and multiplexers
CN101345700B (zh) * 2007-07-10 2011-12-07 华为技术有限公司 将以太网编码块映射到光传输网络传输的方法及装置
CN100589365C (zh) * 2007-09-14 2010-02-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光传输网中光净荷单元的时隙划分与开销处理的方法
US20100142947A1 (en) * 2008-12-08 2010-06-10 Jong-Yoon Shin Apparatus and method for pseudo-inverse multiplexing/de-multiplexing transporting
CN101800912B (zh) * 2009-02-10 2016-08-10 华为技术有限公司 客户信号映射和解映射的实现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255286A (ja) 2013-12-19
CN106130683A (zh) 2016-11-16
EP2296297A1 (en) 2011-03-16
RU2011131248A (ru) 2013-03-27
RU2485687C2 (ru) 2013-06-20
JP2012516588A (ja) 2012-07-19
JP2013258769A (ja) 2013-12-26
PE20120600A1 (es) 2012-05-20
US7894482B1 (en) 2011-02-22
CN106130683B (zh) 2020-01-10
EP2296297B1 (en) 2012-09-19
BRPI1006791A2 (pt) 2016-03-15
MX2011007740A (es) 2011-08-17
JP5367844B2 (ja) 2013-12-11
AU2010213281A1 (en) 2011-07-14
CA2746011A1 (en) 2010-08-19
JP5607802B2 (ja) 2014-10-15
WO2010091604A1 (zh) 2010-08-19
CA2746011C (en) 2014-04-29
US20110044686A1 (en) 2011-02-24
KR101244634B1 (ko) 2013-03-18
JP5607801B2 (ja) 2014-10-15
BRPI1006791B1 (pt) 2020-12-22
EP2296297A4 (en) 2011-10-12
CN101800912A (zh) 2010-08-11
CN101800912B (zh) 2016-08-10
ES2392502T3 (es) 2012-12-11
AU2010213281B2 (en) 201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4634B1 (ko) 클라이언트 신호의 맵핑 및 디맵핑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7222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and de-mapping in an optical transport network
KR101195103B1 (ko) 광 수송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시스템 및 장치
EP3462647A1 (en) Method for transporting client signal in optical transport network, and transport device
US6829741B1 (en) Forward error correction (FEC) based on SONET/SDH framing
US201502223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ic mapping procedure gmp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ic mapping procedure gmp demapping
JP2011130245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EP2388964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rvice data
EP2234293B1 (en) A method for transparent transmitting 10ge ethernet signal through the optical transport network
US20200328816A1 (en) Signal sending and receiv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111490846B (zh) 一种传输配置信息的方法、装置和系统
US7339952B1 (en) Pointer processing for optical communicatio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