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5853A - 무선 주파수 인식을 이용한 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주파수 인식을 이용한 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5853A
KR20110095853A KR1020110080731A KR20110080731A KR20110095853A KR 20110095853 A KR20110095853 A KR 20110095853A KR 1020110080731 A KR1020110080731 A KR 1020110080731A KR 20110080731 A KR20110080731 A KR 20110080731A KR 20110095853 A KR20110095853 A KR 20110095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fid
information
rfid reader
code information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정두
Original Assignee
공정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정두 filed Critical 공정두
Priority to KR1020110080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5853A/ko
Publication of KR20110095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8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06K17/00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the arrangement consisting of a wireless interrogation device in combination with a device for optically marking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주파수 인식을 이용한 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주파수 인식을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은 RFID 태그; 소정의 제어 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RFID 태그에 저장된 코드 정보를 획득하고, 무선망을 통해 상기 독출된 코드 정보 및 소정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휴대용 정보 기기; 상기 코드 정보 및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상기 무선망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코드 정보 및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반한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통계 데이터를 제공하는 모바일 RFID 응용 서버; 및 상기 코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모바일 RFID 응용 서버에 대응하는 인터넷 접속 정보를 제공하는 URL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무선 주파수 인식 기술을 응용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다양한 흡연 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무선 주파수 인식을 이용한 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Managing the information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주파수 인식을 이용한 흡연 정보 관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무선 주파수 인식을 통해 흡연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이용하여 흡연 및 금연에 관련된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주파수 인식을 이용한 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라 개인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개인 건강 관리와 관련된 비용 지출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담배는 그 중독성과 유해성으로 인해 개인 건강을 해치는 주된 원인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에는 흡연 연령이 낮아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여성 흡연자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국가적 차원에서도 국민 건강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금연을 장려하고 있다.
하지만, 흡연의 직/간접적인 영향으로 인해 다양한 질병이 발생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의료 비용도 날로 심화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흡연은 폐암뿐만 아니라 구강, 후두, 식도, 방광, 신장, 위, 췌장 등 각종 암의 직/간접적인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보험사에서는 흡연자에 대해 추가 보험 비용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간접 흡연의 심각성이 부각됨에 따라, 공공 장소 및 건물 내부에서의 금연이 강화되었으며, 흡연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날로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흡연자는 금연을 위해 금연보조제 등의 구매를 위해 별도의 개인 비용을 지불해야 하나, 국가나 정부 차원에서 흡연자를 위한 금연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시장에서 공급되는 독점적인 담배에는 담배 소비세 및 국민건강증진부담금 등의 각종 세금이 부과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해당 세금을 납부하는 흡연자가 흡연과 관련한 질병에 걸렸을 경우, 해당 질병의 치료에 소요되는 의료 비용을 보조 받거나, 흡연과 관련한 공제 보험 혜택 등을 받을 수 없는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주파수 인식(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이하, RFID라 칭함)을 통해 흡연 정보를 실시간 수집하고,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흡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집된 담배 구매 정보를 기반으로 개인별 차별화된 금연 광고 및 금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RFID 기술을 응용하여 개인별 차별화된 금연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한 모바일 RFID 응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담배 또는 담배 케이스의 일측에 RFID 태그를 부착하여 담배 유통 및 이동 경로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한 모바일 RFID 응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RFID 기술을 응용하여 금지 물품의 반입을 감지하고, 이를 특정 단말로 통보하는 것이 가능한 모바일 RFID 응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연 구역에서의 흡연 여부를 감지하여 범칙금을 부과하는 것이 가능한 모바일 RFID 응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무선 주파수 인식(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RFID)을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주파수 인식을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은 RFID 태그; 소정의 제어 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RFID 태그에 저장된 코드 정보를 획득하고, 무선망을 통해 상기 독출된 코드 정보 및 소정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휴대용 정보 기기; 상기 코드 정보 및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상기 무선망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코드 정보 및 사용자 식별 정보에 기반한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통계 데이터를 제공하는 모바일 RFID 응용 서버; 및 상기 코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모바일 RFID 응용 서버에 대응하는 인터넷 접속 정보를 제공하는 URL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무선 주파수 인식(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RFID)을 이용한 금지 물품 반입 제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지 물품 반입 제어 시스템 은 RFID 태그; 소정의 제어 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RFID 태그에 저장된 코드 정보를 획득하는 RFID리더; 및 상기 RFID리더로부터 상기 코드 정보 및 미리 저장된 소정의 RFID리더식별자를 수신하여, 상기 코드 정보에 상응하는 물품이 금지 물품인지 여부를 판단한 후,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상기 RFID리더로 전송하는 모바일RFID응용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무선 주파수 인식(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RFID)을 이용한 금지 물품 반입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지 물품 반입 제어 방법은 소정의 제어 명령을 통해 RFID 태그에 저장된 코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코드 정보가 금지 물품에 상응하는 코드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금지 물품이면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무선망을 통해 담배 구매 정보를 실시간 수집하고,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흡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집된 담배 구매 정보를 기반으로 개인 별 차별화된 금연 광고 및 금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RFID 기술을 응용하여 개인 별 차별화된 금연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한 모바일 RFID 응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담배 또는 담배 케이스의 일측에 RFID 태그를 부착하여 담배의 유통 경로 및 이동 경로를 자동적으로 관제함으로써, 청소년에 대한 담배 판매 및 청소년 흡연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RFID 기술을 응용한 흡연 방지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금연 장소에서의 흡연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RFID 기술의 응용을 통해 금지 물품-예를 들면, 담배, 주류, 인화성 물품 등을 포함함-의 반입을 감지하고, 이를 통보함으로써, 미연에 금지 물품의 반입을 차단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연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RFID 기술을 이용한 흡연 범칙금 부과 시스템.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RFID 기술을 이용한 금지 물품 반입 제어 시스템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RFID리더 블록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RFID 응용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RFID 기술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RFID는 사물에 전자 태그를 부착하고 판독기를 통해 각 사물의 정보를 수집, 가공함으로써 개체 간 정보 교환 및 측위, 원격 처리, 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RFID 기술은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기반 기술의 하나인 센싱 기술로서 구분되고 있으며, 각국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 하에 연구 및 시범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국내에서의 RFID 관련 기술 개발은 정보통신부, 산업자원부와 한국전산원, ETRI 등 국책 연구 기관을 주도로 추진되고 있으며,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해 기술력 차이를 극복하고, 상용화를 위해 산업체와 공동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RFID 시스템은 크게 태그와 리더기, 서버로 구성되며, 태그의 전원 공급 방식, 태그의 Read/Write 능력, 사용주파수 대역 및 통신 접속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예컨대, 태그의 전원 공급 방식에 따라 구분하면, 리더기에서 송출하는 전자기장에 의해 작동하는 수동형(Passive type)과 외부 또는 내부에서 제공하는 직접적인 전원의 공급을 받아 작동하는 능동형(Active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능동형은 리더기의 필요 전력을 줄이고 리더와의 인식 거리를 멀리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전원 공급 장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작동 시간의 제한을 받으며 수동형에 비해 고가인 단점이 있다.
반면, 수동형은 능동형에 비해 매우 가볍고, 가격도 저렴하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지만, 인식 거리가 짧고 리더기에서 더 많은 전력을 소모한다는 단점이 있다.
RFID 기술은 현재 자재관리, 공정 관리 및 수화물 관리 등의 물류 및 유통 분야에서 주로 적용되고 있으며, 그 외에도 가축 이력 관리, 도서관 관리, 군수품 관리 및 폐기물 관리 등의 공공 분야에도 점차 확대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RFID 서비스는 개체에 부착되는 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한 코드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이므로 효율적인 코드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RFID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존 시스템과의 효과적인 연동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기존의 시스템에서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를 RFID 기반 기술을 이용하여 확대, 통합해 나가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RFID 서비스는 기업의 비즈니스 목적에서만 검토되어 왔다. 즉 도서관의 도서관리, 매장의 재고품 관리, 물류 및 유통 관리 등과 같은 기업 응용의 영역에서만 주로 활용되어 왔다.
즉, RFID에 있어서, 대상 고객의 구분은 RFID 리더기를 사용하는 주체에 의해 구분되는데, 지금까지 RFID 리더기는 기업에서만 구매하고 활용해 왔으며, 일반 고객까지는 확대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 일반 고객들이 사용하고 있는 휴대용 정보 단말기 안에 RFID 리더기를 탑재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모바일 RFID 서비스는 사용자가 RFID 리더 기능이 장착된 휴대폰을 이용하여 제품, 장소, 유적지 등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인식하여 관련 콘텐트-여기서, 콘덴트는 제품정보, 이력정보, 멀티미디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음-를 획득하는 것을 기본 구조로 하는 서비스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흡연 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연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연 정보 관리 시스템은 RFID태그(110), 모바일RFID리더(120), 이동통신시스템(130), URL제공서버(140), 모바일RFID응용서버(150) 및 데이터베이스(160)를 포함한다.
RFID태그(110)는 외부 명령 및 내부 제어를 위한 집적 회로, 무선 신호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안테나, 해당 제품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 정보-예를 들면, EPC(Electric Product Code)-를 포함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RFID태그는 리더로부터 구동 전력(Operating Power)를 제공받아 동작하는 염가의 수동형 RFID태그와 RFID태그 내부에 전원 공급 수단-예를 들면, 배터리(battery)-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먼 거리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고가의 능동형 RFID태그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RFID태그(110)는 담배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의 일측에 부착되고, 일회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저가의 수동형 RFID 태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RFID태그에 구비된 메모리는 읽기만이 가능한 메모리-예를 들면, Read Only Memory-로 구성될 수 있다.
RFID태그에 기록되는 코드 정보는 코드의 구조를 식별하기 위한 버전 필드, 해당 상품의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상품 타입 필드, 해당 상품의 제조사를 식별하기 위한 제조사 필드, 해당 상품에 대응되는 고유 일련 번호를 기록하기 위한 일련 번호 필드, 해당 상품에 상응하는 모바일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URL주소를 기록하기 위한 주소 필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RFID리더(120)는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정보 기기의 내부 일측에 일체형으로 구비되거나 착탈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모바일RFID리더(120)는 휴대용 정보 기기의 하부 모듈 또는 주변 기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정보 기기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휴대폰, PDA, 넷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RFID리더(120)는 휴대용 정보 기기의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RFID태그(110)에 공급할 전력 공급 신호-이하, 파일롯(pilot)이라 명함-를 송출할 수 있다. RFID태그는 안테나에 인가된 파일롯을 이용하여 내부 구동 전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후, 모바일RFID리더(120)는 소정의 제어 명령-이하, ‘명령 신호’이라 명함-을 RFID태그(110)에 송신하며, RFID태그(110)는 수신된 명령 신호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코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모바일RFID태그(120)로 송신한다.
모바일RFID리더(120)는 휴대용 정보 기기(125)에 구비된 무선 송수신 수단을 이용하여 이동통신시스템(130)의 내부망 또는 이동통신시스템(130)의 외부망-예를 들면, 인터넷망-에 연결된 해당 모바일RFID응용서버(150)로 수신된 코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RFID응용서버(150)는 데이터베이스(160)를 참조하여 수신된 코드 정보에 상응하는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RFID응용서버(150)는 수신된 코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60)에 기록하거나, 수신된 코드 정보에 상응하는 상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60)로부터 추출하여 휴대용정보기기(125)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RFID응용서버(150)는 이동통신시스템(130)을 통해 휴대용 정보 기기(125)의 사용자 식별 정보-예를 들면, 이동 전화 번호, 가입자 인증 모듈 정보, 주민 등록 번호, 휴대용 정보 기기에 할당된 고정 IP 주소 정보, 지문 인식 정보, 홍체 인식 정보 등을 포함함- 및 코드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가입자에 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RFID응용서버(150)는 담배 구매 횟수, 구매 일자, 담배 제조사 및 제품명 등의 정보를 수신된 코드 정보 및 미리 저장된 코드 매핑 정보를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으며, 가입자 별 통계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산출된 통계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60)에 유지될 수 있으며, 모바일RFID응용서버(150)는 해당 가입자 또는 외부 기관(170)-여기서, 외부기관은 보험사, 정부기관, 학교, 병원, 담배제조사 등을 포함함-의 요청에 따라, 기 저장된 통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60)로부터 추출한 후, 소정의 포멧으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연자는 자신의 흡연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유무선망을 통해 모바일RFID응용서버(150)에 접속한 후, 소정의 정보 제공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다. 모바일RFID응용서버(150)는 서비스 가입자에 한해, 주기적 또는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실시간 수집된 데이터를 가공하여 해당 가입자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가공된 데이터는 단위 기간 동안의 흡연량, 일정 기간 동안의 흡연량 변화 그래프, 금연 일수, 금연 홍보 메시지, 금연 실천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 메일, SMS(Short Message Service)/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메시지 등의 형태로 해당 서비스 가입자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RFID응용서버(150)는 흡연자의 단위 기간 동안의 흡연량 및 흡연 변화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흡연량 및 흡연 변화량에 상응하는 금연 홍보 메시지 및 금연 실천 프로그램을 생성하여 해당 흡연자의 휴대용 정보 기기에 제공할 수 있다.
URL제공서버(140)는 코드 정보에 상응하는 URL 주소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RFID 리더가 구비된 휴대용 정보 기기(125)는 RFID태그에 저장된 코드 정보를 획득한 후, 해당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URL 요청 메시지를 URL제공서버(140)에 요청한다. URL제공서버(140)는 해당 코드에 상응하는 URL 주소를 추출하고, 추출된 URL 주소를 포함하는 소정의 URL 응답 메시지를 휴대용 정보 기기(125)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담배 소매상은 입고된 담배를 모바일RFID리더가 구비된 휴대용 정보 기기를 이용하여 모바일RFID응용서버(150)에 등록할 수 있다. 모바일RFID응용서버(150)는 주기적 또는 요청에 따라 해당 담배 소매점에 대한 제조사/제품 별 재고 정보를 해당 담배 소매점 주인의 휴대용 정보 기기 또는 컴퓨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담배제조사는 소매점별 재고 물량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담배케이스(100)의 일측에 RFID태그(110)를 부착하고, 모바일RFID응용서버(150)가 모바일RFID리더(120)가 구비된 휴대용 정보 기기(125)와 연동하여 흡연 관련 정보를 수집/가공/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주류를 포함한 다양한 물품 및 서비스에 응용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RFID 기술을 이용한 흡연 범칙금 부과 시스템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연 범칙금 부과 시스템은 RFID태그(210), 고정형RFID리더(220), URL제공서버(230), 모바일RFID응용서버(240), 데이터베이스(250), 범칙금부과서버(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형RFID리더(220)는 RFID태그(210)와의 송수신에 필요한 기능뿐만 아니라 스피커(222), 카메라 모듈(224), 각종 센서(226)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형RFID리더(220)는 연기감지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기감지센서를 통해 금연구역에서의 흡연을 감지할 수 있다. 흡연이 감지되면, 고정형RFID리더(220)는 해당 흡연자의 담배케이스에 부착된 RFID태그(210)에 저장된 코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코드 정보 및 RFID 리더 식별자-여기서, RFID 리더 식별자는 IP 주소일 수 있음-를 인터넷망을 통해 모바일RFID응용서버(240)으로 전송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정형RFID리더(220)가 인터넷망을 통해 모바일RFID응용서버(240)와 연동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고정형RFID리더(220)가 무선망을 통해 모바일RFID응용서버(240)와 통신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모바일RFID응용서버(240)는 RFID 리더 식별자를 이용하여 해당 RFID리더가 흡연 범칙금 부과를 위해 설치된 RFID리더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RFID 리더 식별자와 해당 RFID 리더 식별자에 대응되는 용도 및 상세 주소 정보를 매핑한 소정의 테이블이 데이터베이스(250)에 미리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수신된 RFID 리더 식별자가 흡연 방지 용도인 경우, 모바일RFID응용서버(240)는 소정의 금연 알림 메시지를 고정형RFID리더(220)에 전송할 수 있다. 연이어, 고정형RFID리더(240)는 스피커(224)를 통해 수신된 금연 알림 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RFID리더(240)는 LCD와 같은 소정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수신된 금연 알림 메시지를 해당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고정형RFID리더(240)는 금연 알림 메시지 송출 이후에도 센서(226)를 통해 계속해서 흡연이 감지되는 경우, 카메라 모듈(224)을 통해 해당 흡연자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고정형RFID리더(240)는 촬상된 사진을 모바일RFID응용서버(240)로 전송한다. 모바일RFID응용서버(240)는 코드 정보에 상응하는 흡연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50)를 참조하여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흡연자 정보는 RFID리더가 구비된 휴대용 정보 기기를 통해 구매한 담배의 RFID 코드 정보를 모바일RFID응용서버(240)에 등록할 때 함께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담배 소매상은 담배 판매 시 담배 구매자 정보를 전자신분증, 지문인식, 홍채인식 등을 통해 획득하고, 획득된 구매자 정보와 판매한 담배의 RFID 코드 정보를 모바일RFID응용서버(2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담배 구매자가 담배 구매 시, 모바일RFID리더가 구비된 휴대용 정보 기기를 통해 구매할 담배의 RFID 코드 정보를 독출하며, 독출된 코드 정보 및 휴대 전화 번호를 이동통신시스템을 통해 모바일RFID응용서버(24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모바일RFID응용서버(240)는 촬상된 흡연 사진, 흡연자 정보, 흡연 장소 정보 등을 범칙금부과서버(260)로 전송한다. 범칙금부과서버(260)는 촬상된 사진 및 흡연 장소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범칙금 고지서를 생성하고 생성된 범칙금 고지서를 유/무선망을 통해 해당 흡연자에게 전송한다. 따라서, 흡연자가 금연 구역에서 흡연을 할 경우, 실시간으로 금연 안내 메시지 및 범칙금 고지서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한 도 2에서는 고정형RFID리더(220)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RFID응용서버(240)는 RFID 리더가 구비된 휴대용 정보 기기와 연동하여 상기한 흡연 범칙금 부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RFID 기술을 이용한 금지 물품 반입 제어 시스템이다.
이하에서는, 금지 물품이 담배인 경우의 RFID 기술을 이용한 금지 물품 반입 제어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RFID리더(320)는 소정의 제어 명령을 송출하여 RFID태그(310)에 저장된 코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코드 정보 및 미리 저장된 RFID리더식별자를 모바일RFID응용서버(340)로 전송한다. 여기서, RFID리더(320)는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코드 정보 및 RFID리더식별정보를 모바일RFID응용서버(340)에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RFID응용서버(340)는 데이터베이스(340)를 참조하여, RFID리더식별자에 상응하는 금지 물품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RFID리더식별자에 상응하는 금지 물품과 수신된 코드 정보에 상응하는 물품이 동일한 경우, 모바일RFID응용서버(340)는 금지 물품이 반입되고 있음을 알리는 소정의 안내 메시지를 미리 지정된 관리자 휴대 단말기(350)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RFID응용서버(330)는 금지 물품이 반입되고 있음을 알리는 소정의 제어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망을 통해 RFID리더(320)로 전송할 수 있으며, RFID리더(32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소정의 경고음을 생성시킬 수 있다.
상기한 도 3에서는 금지 물품이 담배인 경우에 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금지 물품 반입 제어 시스템은 RFID태그가 부착된 주류, 인화 물질 등에 대해서도 응용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RFID리더 구조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RFID 리더는 제어부(400), 인코더/디코더(410), RFID 태그 드라이버(420), RFID 안테나(430), 촬상부(440), 음성출력부(450), 센싱부(460), 타이머 구동부(470), 영상출력부(480) 및 네트워크인터페이스(4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RFID 리더를 구성하는 하부 모듈의 구동 및 설정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하부 모듈과 송수신되는 제어 신호 및 메시지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코더/디코더(410)는 제어부(400)의 요청에 따라, RFID 태그와의 통신에 필요한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거나 후술할 RFID 태그 드라이버(42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를 복호하여 제어부(40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인코더/디코더(410)에 의해 처리되는 제어 메시지는 명령(Command)/응답(Response) 메시지를 포함한다.
RFID 태그 드라이버(420)는 RFID 안테나(430)를 통해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거나 인코더/디코더(410)로부터 수신된 제어 메시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RFID 태그 드라이버(420)는 RFID 송수신 모뎀 및 A/D 컨버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RFID 태그 드라이버(420)는 RFID 태그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소정의 전력 공급 신호-예를 들면, 파일롯 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다.
촬상부(440)는 제어부(4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영역의 사진을 촬영하고, 촬영된 사진 정보를 제어부(4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음성출력부(450)의 제어부(4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소정의 음성 메시지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제어부(400)로부터 수신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센싱부(Sensor Module, 460)는 해당 영역의 담배 연기, 온도, 습도 등을 감지하여 제어부(40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센싱부(460)는 금연 구역의 담배 연기를 감지할 수 있으며, 담배 연기가 감지되면, 제어부(400)에 감지 결과를 통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460)는 직접 센싱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싱용 RFID 태그를 통해 센싱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센싱 정보에 기반하여 소정의 감지 신호(또는 감지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40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센싱부(460)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에 기반하여 하부 모듈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타이머 구동부(470)는 제어부(4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타이머를 구동하거나 리셋(Reset)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타이머 구동부(470)는 구동된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소정의 제어 신호를 제어부(40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400)는 센싱부(460)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에 기반하여 금연 구역에서 흡연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450)는 음성출력부(450)에 금연 안내 음성 메시지를 전달한 후, 타이머 구동부(470)에 타이머 구동을 지시할 수 있다. 타이머 구동부(470)는 구동된 타이머가 만료되면, 제어부(400)에 타이머가 만료되었음을 지시하는 소정의 제어 신호를 송출하고, 제어부(400)는 타이머의 만료를 확인하면, 촬상부(440)에 사진 촬영을 지시하는 소정의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영상출력부(480)는 제어부(4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영상 신호는 금연 안내 메시지, 금연 홍보 영상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인터페이스(490)는 외부망-예를 들면, 인터넷망, 무선망 등을 포함함-으로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RFID 응용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RFID 리더가 휴대용 정보 기기의 일측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하의 설명에서는 RFID 리더가 구비된 휴대용 정보 기기를 간단히 ‘RFID 리더’라 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RFID 리더(520)는 코드 요청 메시지를 RFID 태그가 부착된 담배에 전송한다(S502), 담배 케이스에 부착된 RFID 태그(510)는 기록 영역에 저장된 코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코드 정보를 포함한 코드 응답 메시지를 RFID 리더(520)에 전송한다(S504). RFID 리더(520)는 코드 정보를 포함한 URL 요청 메시지를 URL 제공 서버(530)에 전송한다.
URL 제공 서버(530)는 수신된 코드에 상응하는 URL 주소를 추출하고, 추출된 URL 주소를 포함하는 URL 응답 메시지를 RFID 리더(520)에 전송한다. RFID 리더(520)는 상기 504 단계에서 수신된 코드 정보 및 소정의 정보기기식별자-여기서, 정보 기기 식별자는 휴대용 정보 기기에 할당된 전화 번호 일 수 있음-를 포함하는 정보 요청 메시지를 기 수신된 URL 주소에 상응하는 모바일 RFID 응용 서버(540)에 전송한다(S510).
모바일 RFID 응용 서버(540)는 수신된 코드 정보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컨텐츠를 RFID 리더(520)에 전송한다(S512). RFID 리더(520)는 수신된 컨텐츠를 소정의 출력 수단-여기서, 출력 수단은 스피커, 영상출력부 등을 포함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10 : RFID 태그
120 : 모바일 RFID 리더
150 : 모바일RFID응용서버
160 : 데이터베이스

Claims (3)

  1. 무선 주파수 인식(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RFID)을 이용한 금지 물품 반입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RFID 태그;
    소정의 제어 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RFID 태그에 저장된 코드 정보를 획득하는 RFID리더; 및
    상기 RFID리더로부터 상기 코드 정보 및 미리 저장된 소정의 RFID리더식별자를 수신하여, 상기 코드 정보에 상응하는 물품이 금지 물품인지 여부를 판단한 후,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상기 RFID리더로 전송하는 모바일RFID응용서버
    를 포함하는 금지 물품 반입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RFID응용서버는 상기 RFID리더식별자에 상응하여 미리 지정된 소정의 관리자 단말기로 금지 물품이 반입되었음을 알리는 소정의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지 물품 반입 제어 시스템.
  3. 무선 주파수 인식(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RFID)을 이용한 금지 물품 반입 제어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제어 명령을 통해 RFID 태그에 저장된 코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코드 정보가 금지 물품에 상응하는 코드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금지 물품이면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금지 물품 반입 제어 방법.
KR1020110080731A 2011-08-12 2011-08-12 무선 주파수 인식을 이용한 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958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731A KR20110095853A (ko) 2011-08-12 2011-08-12 무선 주파수 인식을 이용한 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731A KR20110095853A (ko) 2011-08-12 2011-08-12 무선 주파수 인식을 이용한 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500A Division KR20110029710A (ko) 2009-09-16 2009-09-16 무선 주파수 인식을 이용한 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853A true KR20110095853A (ko) 2011-08-25

Family

ID=44931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731A KR20110095853A (ko) 2011-08-12 2011-08-12 무선 주파수 인식을 이용한 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585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02142A (zh) * 2011-11-21 2012-06-20 龙岩亮剑输送机械有限公司 一种烟叶自动入库系统
CN103679420A (zh) * 2013-11-25 2014-03-26 浙江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烟草物流园区作业车辆智能引导系统
CN113271331A (zh) * 2020-01-30 2021-08-17 丰田自动车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系统
JP2022028555A (ja) * 2020-08-03 2022-02-16 三協立山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02142A (zh) * 2011-11-21 2012-06-20 龙岩亮剑输送机械有限公司 一种烟叶自动入库系统
CN103679420A (zh) * 2013-11-25 2014-03-26 浙江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烟草物流园区作业车辆智能引导系统
CN113271331A (zh) * 2020-01-30 2021-08-17 丰田自动车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系统
JP2022028555A (ja) * 2020-08-03 2022-02-16 三協立山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7219741B2 (ja) 2020-08-03 2023-02-08 三協立山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2498B2 (en) Providing content based on abandonment of an item in a physical shopping cart
EP2966883B1 (en) Sound signal-based local interactive platform system and local interactive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same
US201202539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ewership validation based on cross-device contextual inputs
US2019018873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ystem,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130009774A1 (en) Reminder method & system for merchandise returns
Sharma et al. RFID based mobiles: Next generation applications
KR20040089673A (ko) 태그를 사용한 인터랙티브 시스템
US201202394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ventory tracking
CN103856564A (zh) 一种提醒用户购买商品的方法及购物提醒服务器
US9369839B2 (en) Network architecture for synchronized display
JP6563647B2 (ja) サーバ装置、店舗端末、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886907A (zh) 处理商品信息的方法及装置
KR20110095853A (ko) 무선 주파수 인식을 이용한 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50138843A (ko) 타겟 터미널을 인식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그리고 터미널을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222114B1 (ko) Rfid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
CN106796671A (zh) 食品管理系统、冰箱、服务器、终端装置以及控制程序
KR20110029710A (ko) 무선 주파수 인식을 이용한 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50237515A1 (en) Method for collecting information by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100881947B1 (ko) Rfid를 이용한 지능형 스마트쇼핑 방법
US104176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ventory financing
WO2007145450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inpointing a tag's location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service method utilizing both of them
KR101079663B1 (ko) 모바일단말기를 이용한 고인 안장장소 방문관리시스템 및 방문관리방법
KR100785809B1 (ko) Rfid를 이용한 분실물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102238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information
KR100631150B1 (ko) 알에프 태그를 이용한 분실방지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