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4692A -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4692A
KR20110094692A KR1020100014248A KR20100014248A KR20110094692A KR 20110094692 A KR20110094692 A KR 20110094692A KR 1020100014248 A KR1020100014248 A KR 1020100014248A KR 20100014248 A KR20100014248 A KR 20100014248A KR 20110094692 A KR20110094692 A KR 20110094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er
menu
providing
generating
poin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욱
엄주일
이정근
정지수
박다혜
김보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4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4692A/ko
Priority to PCT/KR2011/001062 priority patent/WO2011102656A2/en
Priority to US13/029,815 priority patent/US9170709B2/en
Publication of KR20110094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화면에 포인터가 생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포인터를 움직이는 포인팅 기능을 구비한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움직임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움직임 신호가 미리 설정된 형태로 포인팅 디바이스가 움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포인터를 생성하여 생성된 포인터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고, 디스플레이 화면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 자리에 메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되는 포인터 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하고 및 사용자의 시청을 방해하지 않는 사용자 친화적 메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텔레비전 제품의 입력 장치인 4방향 입력 방식의 적외선 감지 리모트 컨트롤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그 중의 하나로 포인팅 디바이스가 사용되고 있다.
포인팅 디바이스에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텔레비전 메뉴 조작 시, 디바이스가 가리키는 위치에 포인터가 활성화되는 직접 포인팅 디바이스(direct pointing device) 및 디바이스의 동작을 인식하면 가리키는 방향과 무관하게 포인터가 활성화되는 간접 포인팅 디바이스(indirect pointing device)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되는 포인터 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하고 및 사용자의 시청을 방해하지 않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포인터가 생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포인터를 움직이는 포인팅 기능을 구비한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움직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움직임 신호가 미리 설정된 형태로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가 움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포인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 자리(edge)에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포인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중앙에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포인터를 생성한 후에,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포인터의 크기를 변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포인터를 생성한 후에,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포인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반복적으로 생성/소멸(ON/OFF)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포인터의 색상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는 경우, 소정의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오디오 신호를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에 연결된 스피커 또는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가 진동하도록 제어하는 진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진동 제어 신호를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이 사각 형태의 디스플레이 화면인 경우, 상기 가장자리에 1/4원 형태의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상기 포인터가 상기 제공된 메뉴를 기준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메뉴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하나의 가장 자리에 소정의 설정 항목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 1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 1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다른 하나의 가장 자리에 상기 제 1 아이템 중 현재 활성화된 제 1 아이템의 속성을 제어할 수 있는 복수의 제 2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 2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아이템 중 어느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 3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아이템 중 어느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 4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아이템 및 제 2 아이템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생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포인터를 움직이는 포인팅 기능을 구비한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움직임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움직임 신호가 미리 설정된 형태로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가 움직이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 자리(edge)에 메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포인터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의 특정 제스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가 제공하는 메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가 제공하는 메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포인팅 디바이스(110)는 통신부(112), 제어부(114) 및 센서부(116)를 포함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20)는 통신부(122), 제어부(124) 및 디스플레이부(126)를 포함한다.
포인팅 디바이스(110)는 센서부(116)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부(126) 화면에서 포인터(예를 들어, 커서)를 움직이는 포인팅 기능이나 동작을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센서부(116)는 자이로 센서 및/또는 가속도 센서 등 움직임을 전자신호로 변환하는 관성 센서로 이루어져 있다. 포인팅 디바이스(110)는 센서부(116)를 통하여 획득한 전자신호를 제어부(114)를 거쳐 통신부(112)를 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20)로 송신한다.
또한, 포인팅 디바이스(11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일반적인 리모트 컨트롤러가 구비하는 버튼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20)의 통신부(122)는 디스플레이부(126)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생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포인팅 디바이스(110)의 통신부(112)로부터 포인팅 디바이스(110)의 움직임에 따른 소정의 움직임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14)로 송신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20)의 제어부(124)는 수신한 움직임 신호가 미리 설정된 형태로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가 움직이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포인터를 생성 또는 활성화하여 디스플레이부(126) 화면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는 상황, 즉, 포인팅 디바이스(110)를 잘못 건드리는 상황에서 포인터가 생성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시청에 방해를 받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20)는 사전에 설정된 상황, 즉, 사용자의 특정 제스쳐 입력 등의 인터랙션에 반응하여 포인터를 생성한다.
도 2는 포인터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의 특정 제스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a) 내지 (d)는 미리 설정된 사용자의 특정 제스쳐의 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20)의 제어부(124)가 수신한 움직임 신호가 (a) 내지 (d)의 제스쳐로 인식하는 경우, 포인터를 생성한다. (a)는 사용자가 포인팅 디바이스를 좌우로 한 번 기울이는 제스쳐이고, (b)는 사용자가 포인팅 디바이스로 원을 그리는 제스쳐이고, (c)는 사용자가 포인팅 디바이스를 가볍게 툭 치는 제스쳐이고, (d)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뒤집는 제스쳐를 나타낸다. 미리 설정되는 사용자의 제스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20)의 제조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제스쳐에는 그 제한은 없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미리 설정된 특정 제스쳐에 대한 정보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20)의 제어부(124)는 포인터를 디스플레이부(116) 화면의 중앙에 생성한다. 임의의 위치에 포인터가 생성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포인터의 생성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126) 화면의 중앙에 포인터가 생성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포인터의 위치를 파악할 수가 있다.
사용자가 생성된 포인터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20)의 제어부(124)는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생성된 포인터의 크기를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20)의 제어부(124)는 소정의 시간 동안 포인터의 크기가 크게 변경되었다가 점차 작아지게 할 수도 있으며, 또는 포인터의 크기를 반복적으로 변경시킬 수도 있다.
사용자가 생성된 포인터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20)의 제어부(124)는 소정의 시간 동안 생성된 포인터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깜박이도록, 즉, 반복적으로 생성과 소멸(ON/OFF)시킬 수도 있다.
사용자가 생성된 포인터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20)의 제어부(124)는 소정의 시간 동안 생성된 포인터의 색상을 변경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20)의 제어부(124)는 포인터의 색상을 현재 포인터가 생성된 위치의 화면 색상과 보색이 되게 하거나, 시인성이 높은 색상으로 변경시킬 수도 있다. 소정의 시간이 지나는 경우, 포인터의 색상은 미리 정해진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포인터가 생성된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20)의 제어부(124)는 소정의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20)의 통신부(122)를 통하여 생성된 오디오 신호를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20)에 연결된 스피커(미도시) 또는 포인팅 디바이스(110)로 송신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 스피커 또는 포인팅 디바이스(1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포인터가 생성된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20)의 제어부(124)는 포인팅 디바이스(110)가 진동하도록 제어하는 진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20)의 통신부(126)를 통하여 진동 제어 신호를 포인팅 디바이스(110)로 송신할 수도 있다. 진동 제어 신호를 수신한 포인팅 디바이스(110)는 소정의 진동 출력 수단(미도시)를 통하여 진동할 수 있다.
포인터가 생성된 후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20)의 제어부(124)는 수신한 움직임 신호에 따라 포인터(예를 들어, 커서)를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20)의 제어부(124)는 수신한 움직임 신호로부터 포인팅 좌표 연산을 하여 연산된 좌표로 포인터를 이동시킨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20)의 제어부(124)는 디스플레이부(126) 화면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 자리(edge)에 메뉴를 제공한다. 제공되는 메뉴의 개수는 디스플레이부(126) 화면의 형태에 따라 가장 자리의 개수 이하이면 그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또는 모니터는 사각 형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그 화면 형태의 가장 자리는 4 개이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20)의 제어부(124)는 4 개 이하의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공되는 메뉴의 형태는 제한이 없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20)의 제어부(124)는 원형 형태의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6) 화면의 형태가 사각 형태인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20)의 제어부(124)는 각각의 가장자리에 1/4원 형태의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포인터가 가장 자리에 생성된 메뉴를 기준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 접근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20)의 제어부(124)는 접근하는 방향의 메뉴 를 활성화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가 제공하는 메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20)의 디스플레이부 화면의 가장 자리에 1/4원 형태의 메뉴(320, 330, 340, 350)가 제공되어 있다. 포인팅 디바이스(110)의 조작에 따라 포인터(310)가 2사분면의 가장 자리로 이동하는 경우, 2사분면의 가장 자리에 제공된 메뉴(320)가 활성화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20)의 제어부(124)는 디스플레이부(226) 화면의 하나의 가장 자리에 소정의 설정 항목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 1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 1 메뉴를 제공한다. 제 1 아이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20)를 포함하는 장치, 예를 들어, 텔레비전에서 수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항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 1 아이템은 텔레비전(TV), 게임(Game), 사진(Picture), 음악(Music), 비디오(Video), 인터넷(Internet) 등이 있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20)의 제어부(124)는 다른 하나의 가장 자리에 제 1 아이템 중 현재 활성화된 제 1 아이템의 속성을 제어할 수 있는 복수의 제 2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 2 메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 1 아이템이 텔레비전(TV)인 경우, 제 2 아이템은 채널 설정, 볼륨 설정 등과 같은 텔레비전(TV)의 제어에 관한 아이템을 의미한다. 즉, 제 2 메뉴는 제 1 메뉴의 하위 메뉴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120)의 제어부(124)는 포인팅 디바이스(110)을 통한 사용자 선택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 1 아이템 중 어느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 3 메뉴를 제공한다. 제 3 메뉴는 어플리케이션 항목인 제 1 아이템 중 하나를 넣을 수 있는 일종의 핫키(hotkey) 영역이다. 또한, 포인팅 디바이스(110)을 통한 사용자 선택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 2 아이템 중 어느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 4 메뉴를 제공한다. 제 4 메뉴는 제 2 아이템 중 하나를 넣을 수 있는 일종의 핫키 영역이다. 제 1 아이템 및 제 2 아이템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가 제공하는 메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지털 텔레비전(DTV)의 디스플레이부 화면(400)에 메뉴 (410, 420, 430, 440)가 도시되어 있다. 좌측 상단의 메뉴(410)에는 디지털 텔레비전(DTV)이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을 포함되어 있다. 좌측 상단의 메뉴(410)에는 텔레비전(DTV)이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의 예인 음악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412), 텔레비전 설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414) 및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416)이 표시되어 있다. 만약, 사용자가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포인터를 텔레비전 설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414)에 위치시키는 경우, 아이콘에 대한 텍스트 내용(418)이 표시될 수도 있다. 우측 상단의 메뉴(420)는 좌측 상단의 메뉴(410)의 하위 메뉴이다. 사용자가 사용자가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텔레비전 설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414)을 선택하거나, 또는 포인터가 그 위치에 있는 경우, 제 2 메뉴(420)에는 텔레비전 설정 어플리케이션의 속성을 제어할 수 있는 채널 설정 아이콘(424), 볼륨 설정 아이콘(426), 부가 설정 아이콘(428)이 표시된다. 또한, 텔레비전 설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414)이 표시되어, 제 2 메뉴(420)가 텔레비전 설정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메뉴임을 나타낼 수도 있다. 만약, 사용자가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포인터를 텔레비전 볼륨 설정 아이콘(426)에 위치시키는 경우, 아이콘에 대한 텍스트(418)가 표시될 수도 있다. 좌측 하단의 메뉴(430) 및 우측 하단의 메뉴(440)에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좌측 상단의 메뉴(410)에 포함되는 텔레비전(DTV)이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 및 우측 상단의 메뉴(420)에 포함되는 텔레비전(DTV)이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속성을 제어할 수 있는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이 각각 표시된다. 사용자는 좌측 상단의 메뉴 (410) 또는 우측 상단의 메뉴(420)에서의 아이콘을 포이팅 디바이스를 통하여 드래그하여 좌측 하단의 메뉴(430) 또는 우측 하단의 메뉴(440)에 포함되게 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좌측 하단의 메뉴(430)에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432), 우측 하단의 메뉴(440)에는 부가 설정 아이콘(442)이 표시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생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움직임 신호를 수신한다. 포인팅 디바이스는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포인터(예를 들어, 커서)를 움직이는 포인팅 기능이나 동작을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단계 52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수신한 움직임 신호가 미리 설정된 형태로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가 움직이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포인터를 생성 또는 활성화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는 상황에서 포인터가 생성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시청에 방해를 받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사전에 설정된 상황, 즉, 사용자의 특정 제스쳐 입력 등의 인터랙션에 반응하여 포인터를 생성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포인터를 디스플레이 화면의 중앙에 생성한다. 임의의 위치에 포인터가 생성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포인터의 생성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중앙에 포인터가 생성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포인터의 위치를 파악할 수가 있다.
사용자가 생성된 포인터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생성된 포인터의 크기를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소정의 시간 동안 포인터의 크기가 크게 변경되었다가 점차 작아지게 할 수도 있으며, 또는 포인터의 크기를 반복적으로 변경시킬 수도 있다.
사용자가 생성된 포인터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소정의 시간 동안 생성된 포인터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깜박이도록, 즉, 반복적으로 생성과 소멸시킬 수도 있다.
사용자가 생성된 포인터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소정의 시간 동안 생성된 포인터의 색상을 변경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포인터의 색상을 현재 포인터가 생성된 위치의 화면 색상과 보색이 되게 하거나, 시인성이 높은 색상으로 변경시킬 수도 있다. 소정의 시간이 지나는 경우, 포인터의 색상은 미리 정해진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포인터가 생성된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소정의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오디오 신호를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에 연결된 스피커 또는 포인팅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 스피커 또는 포인팅 디바이스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포인터가 생성된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포인팅 디바이스가 진동하도록 제어하는 진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진동 제어 신호를 포인팅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도 있다. 진동 제어 신호를 수신한 포인팅 디바이스는 진동 출력 수단를 통하여 진동할 수 있다.
단계 53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 자리에 메뉴를 제공한다. 제공되는 메뉴의 개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형태에 따라 가장 자리의 개수 이하이면 그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또는 모니터는 사각 형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그 화면 형태의 가장 자리는 4 개 이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4 개 이하의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공되는 메뉴의 형태는 제한이 없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원형 형태의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화면의 형태가 사각 형태인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각각의 가장자리에 1/4원 형태의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포인터가 가장 자리에 생성된 메뉴를 기준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 접근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접근하는 방향의 메뉴를 활성화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하나의 가장 자리에 소정의 설정 항목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 1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 1 메뉴를 제공한다. 제 1 아이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예를 들어, 텔레비전에서 수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항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 1 아이템은 텔레비전(TV), 게임(Game), 사진(Picture), 음악(Music), 비디오(Video), 인터넷(Internet) 등이 있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다른 하나의 가장 자리에 제 1 아이템 중 현재 활성화된 제 1 아이템의 속성을 제어할 수 있는 복수의 제 2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 2 메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 1 아이템이 텔레비전(TV)인 경우, 제 2 아이템은 채널 설정, 볼륨 설정 등과 같은 텔레비전(TV)의 제어에 관한 아이템을 의미한다. 즉, 제 2 메뉴는 제 1 메뉴의 하위 메뉴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통한 사용자 선택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 1 아이템 중 어느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 3 메뉴를 제공한다. 제 3 메뉴는 어플리케이션 항목인 제 1 아이템 중 하나를 넣을 수 있는 일종의 핫키(hotkey) 영역이다. 또한, 포인팅 디바이스을 통한 사용자 선택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 2 아이템 중 어느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 4 메뉴를 제공한다. 제 4 메뉴는 제 2 아이템 중 하나를 넣을 수 있는 일종의 핫키 영역이다. 제 1 아이템 및 제 2 아이템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9)

  1. 디스플레이 화면에 포인터가 생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포인터를 움직이는 포인팅 기능을 구비한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움직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움직임 신호가 미리 설정된 형태로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가 움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포인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 자리(edge)에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포인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중앙에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포인터를 생성한 후에,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포인터의 크기를 변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포인터를 생성한 후에,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포인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반복적으로 생성/소멸(ON/OFF)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포인터의 색상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는 경우, 소정의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오디오 신호를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에 연결된 스피커 또는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가 진동하도록 제어하는 진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진동 제어 신호를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이 사각 형태의 디스플레이 화면인 경우, 상기 가장자리에 1/4원 형태의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가 상기 생성된 메뉴를 기준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메뉴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하나의 가장 자리(edge)에 소정의 설정 항목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 1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 1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다른 하나의 가장 자리에 상기 제 1 아이템 중 현재 활성화된 제 1 아이템의 속성을 제어할 수 있는 복수의 제 2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 2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사용자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아이템 중 어느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 3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사용자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아이템 중 어느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 4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이템 및 제 2 아이템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5.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생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포인터를 움직이는 포인팅 기능을 구비한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움직임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움직임 신호가 미리 설정된 형태로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가 움직이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 자리(edge)에 메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의 중앙에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생성된 포인터의 크기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생성된 포인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반복적으로 생성/소멸(ON/OFF)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생성된 포인터의 색상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는 경우, 소정의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에 연결된 스피커 또는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가 진동하도록 제어하는 진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진동 제어 신호를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이 사각 형태의 화면인 경우, 상기 가장자리에 1/4원 형태의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2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터가 상기 생성된 메뉴를 기준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메뉴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24.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의 하나의 가장 자리(edge)에 소정의 설정 항목을 나타내는 복수의 제 1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 1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의 다른 하나의 가장 자리에 상기 제 1 아이템 중 현재 활성화된 제 1 아이템의 속성을 제어할 수 있는 복수의 제 2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 2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아이템 중 어느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 3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아이템 중 어느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하는 제 4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이템 및 제 2 아이템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29.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생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포인터를 움직이는 포인팅 기능을 구비한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움직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 신호가 미리 설정된 형태로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가 움직이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포인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 자리(edge)에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00014248A 2010-02-17 2010-02-17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1009469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248A KR20110094692A (ko) 2010-02-17 2010-02-17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CT/KR2011/001062 WO2011102656A2 (en) 2010-02-17 2011-02-17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13/029,815 US9170709B2 (en) 2010-02-17 2011-02-17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248A KR20110094692A (ko) 2010-02-17 2010-02-17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692A true KR20110094692A (ko) 2011-08-24

Family

ID=44930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248A KR20110094692A (ko) 2010-02-17 2010-02-17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46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5380A (zh) * 2019-04-28 2019-09-10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电视桌面的显示方法和装置
CN112395025A (zh) * 2020-12-10 2021-02-23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螺旋指针绘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5380A (zh) * 2019-04-28 2019-09-10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电视桌面的显示方法和装置
CN112395025A (zh) * 2020-12-10 2021-02-23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螺旋指针绘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395025B (zh) * 2020-12-10 2024-04-09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螺旋指针绘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070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11635928B2 (en) User interfaces for content streaming
EP3246788B1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048856B2 (en) Configuring a user interface based on an experience mode transition
EP3105669B1 (en) Application menu for video system
US20150193036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U2013360531B2 (en)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KR102058990B1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AU2014312481B2 (en) Display apparatus, portable device and screen display methods thereof
EP2610726B1 (en) Drag and drop operation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highlight of target objects
US8605219B2 (en) Techniques for implementing a cursor for televisions
EP3098702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980741B1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US20140145955A1 (en) Smart air mouse
EP2680125A2 (en) Enhanced user interface to transfer media content
KR102162828B1 (ko) 베젤에 프로그램 가능한 버튼을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US20120256835A1 (en) Motion control used as controlling device
EP2538309A2 (en) Remote control with motion sensitive devices
KR20150056074A (ko) 전자 장치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화면을 공유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RU2013136410A (ru) Система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позволяющая обойтись без визуального контроля устройства управления и обеспечивающая визуальную обратную связь
KR20110094693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10134810A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제어 방법
US20160142662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50382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538308A2 (en) Motion-based control of a controllle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