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3707A - Gps와 rfid 융합기술 기반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Gps와 rfid 융합기술 기반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3707A
KR20110093707A KR1020110012022A KR20110012022A KR20110093707A KR 20110093707 A KR20110093707 A KR 20110093707A KR 1020110012022 A KR1020110012022 A KR 1020110012022A KR 20110012022 A KR20110012022 A KR 20110012022A KR 20110093707 A KR20110093707 A KR 20110093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point
survey
gps
rfid
fo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민
김철민
이승호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ublication of KR20110093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7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PS와 RFID 융합기술 기반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표본점 및 표준목에 부착되며, 부착된 표준목 또는 표본점의 식별정보를 가지는 RFID 태그; 조사하고자하는 표본점, 현재 위치 및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표본점까지의 이동 경로를 나타내는 전자 지도를 표시하며, 상기 표본점의 GPS 신호 오차 범위 내에 진입하면, 상기 표본점을 식별하는 RFID 태그를 검색하여, 검색된 RFID 태그가 식별하는 표본점에 대한 이력을 표시하고, 조사요원이 조사정보를 입력하면, 입력한 조사정보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휴대 단말기; 및 상기 전송된 조사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산림 자원정보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와 RFID 융합기술 기반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GIS를 통해 전자 지도를 작성하여, 전자 지도상에 표본점 원점 위치 및 표본점 원점으로부터의 거리, 방향 등을 측정하고 이를 입력하여 표준목의 위치를 매핑한 후, GPS 신호를 수신하여 조사요원의 현재 위치를 지속적으로 획득하여 전자 지도에 표시한다.

Description

GPS와 RFID 융합기술 기반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방법 및 그 시스템{A method for forest inventory field survey system using GPS and RFID}
본 발명은 국가산림자원조사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및 무선 인식 기술(RFID, Radio Frequency ID)을 이용한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가산림자원조사는 전국의 산림 약 640만 ha를 대상으로 실시한다. 계통추출법(Systematic sampling)에 의해 추출된 약 4,000개의 고정표본점(PSP, Permannent Sample Plot)을 배치하여 조사한다. 국가산림자원조사는 임목자원, 산림환경, 산림생태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파악하며 구체적인 조사내용은 임분 현황조사, 입목조사(표본점 내 정상적으로 생육한 나무 중 10본에 대한 표준목조사 포함), 벌근/고사목/피해목 조사, 산림식생조사(치수, 초본식생) 및 토양탄소 조사 등이 포함된다.
국가산림자원조사의 고정표본점은 전국에 4km 간격으로 배치된 격자점을 표본점의 중심(이하 '원점'이라 함)으로 삼으며 이중에서 산림지에 위치한 격자점을 고정표본점으로 지정하고 현지조사를 실시한다. 고정표본점의 위치 설정은 현지 조사의 최우선 사항으로 모든 표본점은 차기 조사에 재측정하게 되므로 설계대로 정확한 위치에 설정되어야 한다. 원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지형도, 항공사진, GPS 등을 이용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산림 조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산림 조사는 조사요원에 의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졌다. 전술한 방법에 의거 원점의 위치가 확인되면 차기 조사 시 확인을 위해 원점 중심에 알루미늄 지주를 상단의 노란색 부분이 20cm 정도 지상으로 노출되도록 매설하고 지주로부터 동서남북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3본의 위치표식입목을 선정, 흉고부위에 페인트를 칠하거나 테이프를 부착한다. 또한 위치표시 입목의 흉고부위 상단에 알루미늄 표지 라벨을 원점을 향하도록 부착한다. 또한 표본점 임분 주의의 큰 나무, 나대지, 암석 등과 같이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지형지물을 표본점 배치도에 표시한다. 즉,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GPS로 표본점 원점에 대한 위치를 확인한 후 위치표식입목에 표찰을 달고,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테이프를 활용하여 표본점 위치를 표시하였다. 그러나 수관이 울폐된 산림 및 계곡 부위에서는 GPS 수신에 제약이 있을 수 있다. 그런 다음,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사요원이 직접 표본점의 약도를 기록하였으며, (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장에 조사 항목을 기입한 후, 사무실로 돌아가 전산 입력을 행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산림 조사 방법은 위치목 확인을 위한 표찰, 표본점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지주 또는 테이프는 유실될 우려가 있으며, 차기 조사 시 조사요원이 동일한 표본점 원점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했는지를 검증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수기로 기록하는 표본점의 약도는 조사요원이 수기로 직접 기록하므로, 정확성이 떨어진다. 또한 야장에 조사 항목을 기록하고 다시 전산 입력을 하는 방법은 전산 입력까지의 시간이 걸리며, 또 번거롭기까지 하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국가산림자원조사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목적으로 GIS, GPS 및 무선인식기술(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이하 RFID)을 융합 및 활용하여 향후 모니터링 조사를 위한 표본점 재방문 시 표본점 원점에 대한 위치 인식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GPS와 RFID 융합기술 기반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표본점 특히 표준목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 이력 관리 및 통신 기술을 통해 현장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산림 자원 조사 자료의 취득, 변동에 대해 실시간 관리할 수 있는 GPS와 RFID 융합기술 기반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GPS와 RFID 융합기술 기반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시스템은, 표본점 및 표준목에 RFID가 부착되며, 표준목 또는 표본점의 식별정보를 가지는 RFID 태그; 및 조사하고자하는 표본점, 현재 위치 및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표본점까지의 이동 경로를 나타내는 전자 지도를 표시하며, 상기 표본점의 GPS 신호 오차 범위 내에 진입하면, 상기 표본점을 식별하는 RFID 태그를 검색하여, 검색된 RFID 태그가 식별하는 표본점에 대한 이력을 표시하고, 조사요원이 조사정보를 입력하면, 입력한 조사정보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휴대 단말기; 및 상기 전송된 조사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산림 자원정보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는 GIS를 통해 전자 지도를 작성하여, 상기 전자 지도상에 표본점 원점 위치 및 표본점 원점으로부터의 거리, 방향 등을 측정하고 이를 입력하여 표준목의 위치를 매핑한 후, GPS 신호를 수신하여 조사요원의 현재 위치를 지속적으로 획득하여 상기 전자 지도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산림 자원정보 서버에 접근하여 상기 저장된 조사이력을 열람하는 관리용 단말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조사하고자 하는 표본점, 현재 위치 및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표본점까지의 이동 경로를 나타내는 전자 지도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본점의 GPS 신호 오차 범위 내에 진입하면, 상기 표본점을 식별하는 RFID 태그를 검색하는 전자 태그 리더부; 및 상기 검색된 태그에 해당하는 표본점의 이력에 대한 입력을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하며, 조사요원이 상기 조사정보를 입력하면, 입력한 조사정보를 저장한 후, 네트워크에 연결된 경우 저장한 조사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GPS와 RFID 융합기술 기반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방법은, 휴대 단말기가 조사하고자 하는 표본점, 현재 위치 및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표본점까지의 이동 경로를 나타내는 전자 지도를 표시하는 과정과, 휴대 단말기가 상기 표본점의 GPS 신호 오차 범위 내에 진입하면, 상기 표본점을 식별하는 RFID 태그를 검색하여, 검색된 RFID 태그가 식별하는 표본점에 대한 이력을 표시하는 과정과, 휴대 단말기가 산림 조사자로부터 조사정보를 입력 받아 입력받은 조사정보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과정과, 산림 자원정보 서버가 상기 전송된 이력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관리용 단말기가 상기 산림 자원정보 서버에 접근하여 상기 저장된 이력을 열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 단말기가 GPS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현재 위치를 계속해서 갱신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GIS, GPS 및 RFID(Radio Frequency ID)를 이용함으로써, 표본점의 위치를 정확하고, 빠르게 재 방문할 수 있어 그 표본점 및 표준목을 정확하고 빠르게 찾을 수 있다.
또한, 표본점 및 표준목에 대한 이력 등을 통신 기술을 통해 현장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산림 자원 조사 자료의 취득, 변동에 대해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국가 산림 자원 조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PS와 RFID 융합기술 기반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PS와 RFID 융합기술 기반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PS와 RFID 융합기술 기반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시스템의 현지조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PS와 RFID 융합기술 기반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시스템의 현지조사 방법에 따른 화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PS와 RFID 융합기술 기반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PS와 RFID 융합기술 기반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방법의 특징은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본점 원점과 표준목에 RFID 태그를 설치한다.
또한, 표본점, 표준목 등의 위치를 보다 효과적이고 정확히 찾기 위해,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한다.
GIS를 통해 전자 지도를 작성하여, 전자 지도상에 표본점 원점 위치 및 표본점 원점으로부터의 거리, 방향 등을 측정하고 이를 입력하여 표준목의 위치를 매핑한다. 그런 다음, GPS 신호를 수신하여 조사요원의 현재 위치를 지속적으로 획득하여 전자 지도에 표시한다. 조사요원은 이러한 전자 지도를 보면서 표본점을 찾아 갈 수 있다.
이때, 산림 조사자는 RFID 태그를 부착한 표본점 및 표준목에 대해 그 개략적인 위치를 GPS 신호를 통해 찾아내며, 그 정밀한 위치를 RFID 태그의 신호를 통해 찾아낸다. 이를 위하여,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GIS, GPS 및 태그 리더기가 적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다. 이에 따라, 표본점 및 표준목의 위치를 보다 정확히 찾아 낼 수 있다.
게다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 및 RFID 태그를 통해 찾아낸 표본점 및 표준목에 대한 이력을 포함한 조사정보를 휴대 단말기를 통해 산림자원조사정보를 위한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산림자원조사정보를 위한 서버는 국가산림자원조사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PS와 RFID 융합기술 기반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PS와 RFID 융합기술 기반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시스템은 RFID 태그(100), 휴대 단말기(200),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 및 관리용 단말기(400)를 포함하며, 복수의 GPS 위성(500)을 더 포함한다.
RFID 태그(100)는 안테나,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트랜시버 및 정보를 저장하는 집적회로를 포함한다. RFID 태그(100)는 수동형(Passive) RFID 태그, 반수동형(Semi-passive) RFID 태그 및 능동형(Active) RFID 태그를 이용할 수 있으며, 수동형 RFID 태그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RFID 태그(100)는 표본점 및 표준목에 설치되며, 그 RFID 태그(100)가 부착된 표본점 또는 표준목을 타 표본점들 및 표준목과 구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가진다. 표본점은 전국의 산림을 대상으로 국가산림자원조사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 4km 간격의 격자를 배치하고 계통추출법으로 추출된 4,000개의 고정표본점을 의미한다. 특히, 이렇게 설치된 표본점의 중심을 표본점 원점이라하며, 표본점 원점 인식용 RFID 태그(100)는 표본점 원점에 매설된 알루미늄 지주에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준목은 표본점 내에 정상적으로 생육한 나무 중에서 10본을 선정하며 표준목에 RFID 태그(100)를 부착하여,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상술한 표본점, 표본점의 중심인 표본점 원점, 및 표준목들 각각에 부착된 RFID 태그(100)는 각각 타 RFID 태그(100)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ID),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표본점에 설치된 RFID 태그(100)는 타 표본점과 구분하기 위한 표본점 번호를 더 저장하며, 표준목에 부착된 RFID 태그(100)는 타 표준목과 구분하기 위한 표준목 번호를 더 저장한다.
상술한 표본점들, 표본점들 중 표본점들의 중심인 표본점 원점, 및 표본점에 대응하는 표준목들은 서로 매핑되어 그룹으로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게다가,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는 표본점 및 표준목 각각에 설치된 RFID 태그(100)들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저장한다.
휴대 단말기(200)는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할 수 있으며,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읽어 올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기조사된 표본점에 대한 정보이며, 예컨대, 표본점의 위치, 식별 정보, 임분조사, 임목조사, 치수조사, 벌근/고사목 조사, 산림식생/토양탄소 조사 및 표준목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한다.
휴대 단말기(200)는 읽어 온 표본점들을 포함하는 표본점 리스트를 표시한다. 그러면, 조사자는 표본점 리스트에서 조사하고자 하는 위치의 표본점을 선택할 수 있다.
조사자가 어느 하나의 표본점을 선택하면, 휴대 단말기(200)는 선택한 표본점에 상응하는 표본점 원점을 포함하는 표본점들 및 표준목의 위치가 표시된 전자 지도를 표시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200)는 복수의 GPS 위성(500)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전자 지도상에 현재 위치를 표시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200)는 현재 위치에서 표본점 원점까지의 이동 경로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200)는 GPS 신호를 지속적으로 수신하며, 현재 위치를 계속해서 갱신한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200)를 휴대한 조사자는 표시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자신의 위치와 표본점 원점의 위치를 비교하여 표본점 원점을 찾아 갈 수 있다.
휴대 단말기(2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조사자가 표본점 원점을 향해 이동할 시, GPS 신호 수신 이력, 수신한 이력에 따른 실제 이동 경로를 가지는 GPS 로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200)는 저장된 GPS 로그를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송된 GPS 로그는 해당 조사자의 작업 일지로 활용할 수 도 있으며, 특정 표본점에 이르는 이동 경로의 생성, 편집, 등에 사용될 수 있다.
GPS 신호는 어느 정도 오차가 있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200)는 표본점 원점의 근처, 즉, GPS 신호 오차 범위 내에 진입하면, RFID 태그(100)를 검색한다.
휴대 단말기(200)는 미리 RFID 태그(100)와 RFID 태그(100)가 식별하는 표준목 또는 표본점을 매핑하여 저장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200)는 RFID 태그(100)를 검색하여, 검색된 RFID 태그(100)를 전자 지도상에 표시하여, 조사요원에 알린다.
그런 다음, 휴대 단말기(200)는 검색된 RFID 태그(100)에 매핑된 표준목 또는 표본점에 대한 조사 이력 항목을 표시한다. 산림 조사자는 표시된 항목에 대해 갱신된 조사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200)는 RFID 태그(100)에 매핑된 표준목 또는 표본점의 이력을 저장한다. 그런 다음, 휴대 단말기(200)는, 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한 시점에, 조사요원이 입력한 조사정보, 즉, 해당 표본점의 조사정보를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에 전송한다.
휴대 단말기(200)가 전송한 표본점의 조사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해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는 광대역 무선 통신 네트워크 중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는 엔티티들에 의해, IP 네트워크로 전달되며,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는 IP 네트워크의 어느 일 단(end)의 구성이 될 수 있다.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는 IP 네트워크를 통해 휴대 단말기(200) 및 관리용 단말기(400)의 접근을 허가한다. 이때, 기 등록된 조사요원 또는 관리자에게만 접근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는 조사요원 또는 관리자에게 기 등록된 조사요원 또는 관리자인지 여부를 인증 과정을 거치도록 하고, 인증된 조사요원 또는 관리자에만 접근을 허여한다. 예컨대, 조사요원 또는 관리자가 자신의 식별자(ID) 및 암호(Password)를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에 미리 등록한 후, 조사요원 또는 관리자가 휴대 단말기(200) 또는 관리용 단말기(400)를 통해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에 접근하고자 하면, 식별자 및 암호 입력을 통한 인증 과정을 거쳐 접근한다.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는 그 데이터베이스에 표본점들, 표본점들 중 표본점들의 중심인 표본점 원점, 및 표본점에 대응하는 표준목들은 서로 매핑되어 그룹으로 저장한다. 게다가,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는 그 데이터베이스에 표본점 및 표준목 각각에 설치된 RFID 태그(100)들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저장한다.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는 휴대 단말기(200) 또는 관리용 단말기(400)의 요청시 해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는 휴대 단말기(200)가 전송한 표본점 및 표준목에 대한 조사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는 그 데이터베이스에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표본점들 및 표준목들의 조사정보를 저장한다.
관리용 단말기(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에 접근할 수 있으며,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를 열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사요원은 관리용 단말기(400)를 통해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의 복수의 표본점들 및 표준목들의 조사정보를 가공 및 분석하여, 통계 자료 등을 추출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사요원이 표본점 원점을 향해 이동할 시, GPS 신호 수신 이력, 수신한 이력에 따른 실제 이동 경로를 가지는 GPS 로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200)는 저장된 GPS 로그를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조사요원은 관리용 단말기(400)를 통해 GPS 로그를 열람하여 해당 산림 조사자의 작업 일지를 작성할 수 있으며, 특정 표본점에 이르는 이동 경로를 생성 또는 편집할 수 있다.
상술한 휴대 단말기(200)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00)는 통신부(210), GPS 수신부(220), 태그 리더부(230), 표시부(240), 입력부(250), 저장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200)로는 GPS 수신 기능을 갖는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울트라 모바일PC(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 UMPC), 스마트 폰(smart phone), 또는 노트북 PC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대 단말기(200)로 UMPC를 예시하였다.
통신부(210)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와 휴대 단말기(200) 간에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모듈이다. 통신부(210)는 네트워크와 휴대 단말기(200) 간의 무선 구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제어부(270)로부터 수신한 기저 주파수(BB, base band)인 데이터를 중간 주파수(IF, Intermediate frequency) 및 고주파수(RF, radio frequency)로 변환하여 안테나(ANT, antenna)를 통해 전송하는 무선 주파수 송신기와,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한 고주파인 신호를 중간 주파수 및 기저 주파수로 변환하여 제어부(270)로 출력하는 무선 주파수 수신기를 포함한다.
GPS 수신부(220)는 GPS 위성으로부터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GPS 신호를 수신한다. GPS 신호는 현재 휴대 단말기(200)의 위도, 경도 및 고도 등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GPS 수신부(220)는 수신한 GPS 신호에서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제어부(270)에 전달한다.
태그 리더부(230)는 인식 범위 내의 RFID 태그(100)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 들여 그 정보를 제어부(270)에 전달한다. RFID 태그(100)를 인식 또는 검색하기 위한 인식 범위는 1 내지 2 m 이내가 될 수 있다.
RFID 태그(100) 중 표본점, 표본점 원점, 및 표본점에 대응하는 표준목들 각각에 부착된 RFID 태그(100)는 각각 타 RFID 태그(100)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ID),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표본점에 설치된 RFID 태그(100)는 타 표본점과 구분하기 위한 표본점 번호를 더 저장하며, 표준목에 부착된 RFID 태그(100)는 타 표준목과 구분하기 위한 표준목 번호를 더 저장한다.
표시부(240)는 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표시부(240)는 대표적으로 전자 지도 및 조사 이력 항목을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지도는 기본적으로 소정 축척의 지도이며, 표시부(240)의 크기에 따라 표시된다. 또한, 전자 지도상에는 국가산림자원조사 표본점원점, 표준목의 위치, 현재 휴대 단말기(200)의 위치, 및 현재 휴대 단말기(200)의 위치에서 산림 조사자가 목적하는 표본점의 경로가 표시된다.
이력은 표본점 및 표준목에 대한 이력이며, 표시부(240)는 이러한 표본점 및 표준목에 대한 조사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항목들을 표시한다. 즉, 표시부(240)는 휴대 단말기(200)가 특정 표본점 또는 표준목에 위치하면 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해당 표본점 또는 표준목의 조사 이력 관리를 위한 항목을 표시한다. 이러한 항목들은 임분조사표, 임목조사표, 치수조사표, 벌근/고사목 조사표, 산림식생/토양탄소조사표, 표본점 일반정보 및 표본점 배치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50)는 산림 조사자의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제어부(27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입력부(250)는 표시부(240)에 표시된 표준목 또는 표본점 이력의 각 항목에 대해 그 항목의 내용을 조사요원이 입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키 들을 구비한다.
저장부(2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메모리(memory), 스토리지(storage)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260)는 전자 지도와,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표본점, 표준목, RFID 태그(100)에 대한 정보들을 저장한다.
제어부(270)는 통신부(210)를 통해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에 통해 접속하여,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표본점, 표준목, RFID 태그(10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부(260)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70)는 조사요원이 입력부(250)를 조작하여 표본점 리스트를 요청하면, 저장부(260)에 저장한 정보에서 표본점 리스트를 불러와서 표시부(240)를 통해 표시한다.
제어부(270)는 조사요원이 어느 하나의 표본점을 선택하면, 해당 표본점의 위치가 표시된 전자 지도를 표시부(240)를 통해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270)는 GPS 수신부(220)를 통해 GPS 신호를 수신하여 전자 지도상에 현재 위치를 표시하고, 현재 위치에서 표본점 원점까지의 이동 경로를 표시부(240)를 통해 표시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270)는 GPS 수신부(220)를 통해 GPS 신호를 지속적으로 수신하며, 현재 위치를 계속해서 갱신하여 표시부(240)를 통해 갱신된 위치를 지속적으로 표시한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200)를 휴대한 조사자는 표시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자신의 위치와 표본점 원점의 위치를 비교하여 표본점 원점을 찾아 갈 수 있다.
조사자가 표시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표본점에 도착할 때까지, 제어부(270)는 수신한 GPS 신호의 이력인 GPS 로그를 저장부(260)에 저장한다. 그런 다음, 통신부(210)를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이 가능하면, 제어부(270)는 저장한 GPS 로그를 통신부(210)를 통해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에 전송한다.
한편, GPS 신호는 산림 내에서 어느 정도 수신 오차가 있기 때문에, 제어부(270)는 표본점을 기준으로 GPS 신호 오차 범위 내에 진입하면, RFID 태그(100)를 검색하도록 태그 리더부(230)를 제어한다.
제어부(270)는 태그 리더부(230)를 통해 RFID 태그(100)를 검색하면, 저장부(260)에 미리 저장된 RFID 태그(100)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RFID 태그(100)가 식별하는 표본점의 원점 및 표준목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270)는 검색된 RFID 태그(100)에 매핑된 표준목 또는 표본점에 대한 이력 항목을 표시한다. 이러한 항목은 그 내용이 없을 수도 있으며, 이미 그 내용이 기술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산림 조사자는 선택적으로 각 항목의 내용을 새로 입력하거나, 편집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70)는 조사요원이 입력한 RFID 태그(100)에 매핑된 표준목 또는 표본점의 이력을 저장부(260)에 저장한다. 그런 다음, 휴대 단말기(200)는, 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한 시점에, 조사요원이 입력한 항목, 즉, 표준목 또는 표본점의 이력을 통신부(210)를 통해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에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PS와 RFID 융합기술 기반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시스템의 현지조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서 표본점 및 표준목에 RFID 태그(100)가 설치된 상태이며,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는 표준목, 표본점 및 설치된 RFID 태그(100)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한 상태라고 가정한다.
휴대 단말기(200)는 산림 조사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S501 단계에서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에 표본점 리스트를 요청한다. 그러면,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는 S503 단계에서 표본점 리스트를 휴대 단말기(200)에 제공한다. 그러면, 휴대 단말기(200)는 S505 단계에서 표본점 리스트를 저장한다. 이러한 S501 내지 S505 단계는 조사요원이 산림 조사를 수행하기 전이라면 언제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표본점 리스트는 표본점 번호에 대한 목록이며, 해당 번호별로 표본점에 대한 각종 정보들을 포함한다.
산림 조사자는 특정 표본점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200)에 표본점 리스트를 요청한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200)는 S507 단계에서 표본점 리스트를 표시하고, 산림 조사자는 조사하고자하는 표본점 번호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휴대 단말기(200)는 S509 단계에서 전자 지도를 표시함과 동시에 전자 지도상에 산림 조사자가 선택한 표본점의 위치, 현재 위치 및 현재 위치에서 표본점까지의 이동 경로를 표시한다.
현 위치는 GPS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되며, 조사요원이 이동하면 계속해서 갱신된다. 산림 조사자는 휴대 단말기(200)에 표시된 현재 위치를 참조하여 이동 경로를 따라 표본점 근처까지 이동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200)는 GIS를 통해 전자 지도를 작성하여, 전자 지도상에 표본점 원점 위치 및 표본점 원점으로부터의 거리, 방향 등을 측정하고 이를 입력하여 표준목의 위치를 매핑한 후, GPS 신호를 수신하여 조사요원의 현재 위치를 지속적으로 획득하여 전자 지도에 표시한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200)는 전자 지도 상에 표본점의 위치와 산림 조사자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며, 산림 조사자의 이동에 따라 산림 조사자의 현재 위치도 이동시켜 표시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본점까지의 이동 경로를 GPS 로그로 저장하여 중첩하게 되면 다음번 산림 조사자가 방문할 때 이를 참조할 수 있게 되어 표본점 탐색을 보다 손쉽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GPS 신호는 최대 20m 정도의 오차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200)는 S511 단계에서 GPS 신호 상 개략적인 표본점에 접근하면, 휴대 단말기(200)는 RFID 리더부를 통해 RFID 태그(100)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200)는 S513 단계에서 RFID 태그(100)가 검색되면, S515 단계에서 해당 RFID 태그(100)가 식별하는 표본점 또는 표본목의 이력에 대한 항목을 표시한다. 조사자는 입력부(250)를 통해 표본점 조사항목별로 조사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조사자가 각 항목에 대한 조사정보의 입력을 완료하면, S517 단계에서 조사요원이 입력한 항목들에 대한 조사정보를 저장하고, S519 단계에서 통신부(210)를 통해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에 전송한다.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휴대 단말기(200)는 전자 야장 기능을 이용하여 조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야장 기능은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에 접속하고, 해당 표본점의 기조사자료에 대한 다운로드 기능, 신규 조사 정보를 휴대 단말기(200)를 통하여 직접 입력할 수 있는 야장 입력 기능, 입력 오류를 확인할 수 있는 유효성 검사 기능 및 최종적으로 갱신 정보를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에 업데이트할 수 있는 갱신 정보 업로드 기능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 9는 전자 야장 중, 임분조사표의 임황조사정보 탭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는 이러한 조사정보를 수신하여, S521 단계에서 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한편, 관리용 단말기(400)는 S523 단계에서 조사요원의 요청에 따라,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에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내용들을 열람 및 편집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200) 또는 관리용 단말기(4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목에 대한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표준목 모니터링 기능은 선정된 표준목의 위치에 대한 매핑 기능과 표준목 이력관리 기능을 포함하며, 표본점 원점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방위각과 거리 등을 입력하여 표준목에 대한 위치정보를 등록하고 해당 표준목에 대한 조사 정보를 등록하여 일관성 있는 표준목 이력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10은 표준목 표핑 화면으로 거리와 각도를 입력하여 빨강색으로 표준목이 매핑된 것을 볼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에서 휴대 단말기(200)는 표본점 리스트를 미리 저장한 상태라고 가정한다.
산림 조사자의 요청에 따라 휴대 단말기(200)는 S601 단계에서 표본점 리스트를 표시한다.
산림 조사자는 표본점 리스트에서 조사하고자하는 표본점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휴대 단말기(200)는 S603 단계에서 조사요원이 선택한 표본점을 감지하고, S605 단계에서 선택한 표본점에 따라 전자 지도를 표시한다. 전자 지도에는 산림 조사자가 선택한 표본점의 위치, 현재 위치 및 현재 위치에서 표본점까지의 이동 경로가 표시된다. 조사요원은 화면에 표시된 표본점 및 현재 단말의 위치를 보며, 이동 경로를 통해 표본점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200)는 S607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200)가 개략적인 표본점 위치에 도착하였는지 판단한다. 즉, GPS 신호 상 표본점에 도착하였는지 판단한다. GPS 신호는 20m 정도의 오차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GPS 신호 상 개략적인 표본점에 접근하면, 휴대 단말기(200)는 S609 단계에서 해당 표본점에 대한 RFID 태그(100)를 검색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200)는 S611 단계에서 RFID 태그(100)가 발견되면, S613 단계에서 검색된 RFID 태그(100)에 해당하는 표본점의 이력을 표시한다.
산림 조사자는 표본점의 각 항목에 대해 실제와 비교하고, 입력부(250)를 통해 해당 항목의 내용을 새로 입력하거나, 편집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이러한 조사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휴대 단말기(200)는 S615 단계에서 이를 감지하여, S617 단계에서 입력한 조사정보를 저장하고, S619 단계에서 통신부(210)를 통해 입력한 항목을 포함하는 해당 표본점에 대한 조사정보를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에 전송한다.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는 이러한 조사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상술한 방법을 통해 표본점에 대한 조사정보 이력 관리를 마친 후, 휴대 단말기(200)는 S621 단계에서 10본의 표준목에 대한 RFID 태그(100)를 검색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200)는 S623 단계에서 해당 RFID 태그(100)가 발견되면, S625 단계에서 검색된 RFID 태그(100)에 해당하는 표준목의 이력을 표시한다.
산림 조사자는 표준목의 각 항목에 대해 실제와 비교하고, 입력부(250)를 통해 해당 항목의 내용을 새로 입력하거나, 편집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이 완료되면, 휴대 단말기(200)는 S627 단계에서 이를 감지하여, S629 단계에서 입력한 항목들을 저장하고, S631 단계에서 통신부(210)를 통해 입력한 항목을 포함하는 해당 표준목에 대한 정보를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에 전송한다. 산림 자원정보 서버(300)는 이러한 항목들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RFID 태그
200 : 휴대 단말기
300 : 산림 자원정보 서버
400 : 관리용 단말기
500 : GPS 위성

Claims (8)

  1. 표본점 및 표준목에 부착되며, 부착된 표준목 또는 표본점의 식별정보를 가지는 RFID 태그;
    조사하고자하는 표본점, 현재 위치 및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표본점까지의 이동 경로를 나타내는 전자 지도를 표시하며,
    상기 표본점의 GPS 신호 오차 범위 내에 진입하면, 상기 표본점을 식별하는 RFID 태그를 검색하여, 검색된 RFID 태그가 식별하는 표본점에 대한 이력을 표시하고,
    조사요원이 조사정보를 입력하면, 입력한 조사정보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휴대 단말기; 및
    상기 전송된 조사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산림 자원정보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와 RFID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조사하고자 하는 표본점, 현재 위치 및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표본점까지의 이동 경로를 나타내는 전자 지도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본점의 GPS 신호 오차 범위 내에 진입하면, 상기 표본점을 식별하는 RFID 태그를 검색하는 전자 태그 리더부; 및
    상기 검색된 태그에 해당하는 표본점의 이력에 대한 입력을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하며,
    조사요원이 상기 조사정보를 입력하면, 입력한 조사정보를 저장한 후, 네트워크에 연결된 경우 저장한 조사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와 RFID 융합기술 기반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림 자원정보 서버에 접근하여 상기 저장된 조사이력을 열람하는 관리용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와 RFID 융합기술 기반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GIS를 통해 전자 지도를 작성하여, 상기 전자 지도상에 표본점 원점 위치 및 표본점 원점으로부터의 거리, 방향 등을 측정하고 이를 입력하여 표준목의 위치를 매핑한 후, GPS 신호를 수신하여 조사요원의 현재 위치를 지속적으로 획득하여 상기 전자 지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와 RFID 융합기술 기반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시스템.
  5. 휴대 단말기가 조사하고자 하는 표본점, 현재 위치 및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표본점까지의 이동 경로를 나타내는 전자 지도를 표시하는 과정과,
    휴대 단말기가 상기 표본점의 GPS 신호 오차 범위 내에 진입하면, 상기 표본점을 식별하는 RFID 태그를 검색하여, 검색된 RFID 태그가 식별하는 표본점에 대한 이력을 표시하는 과정과,
    휴대 단말기가 산림 조사자로부터 조사정보를 입력 받아 입력받은 조사정보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과정과,
    산림 자원정보 서버가 상기 전송된 조사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와 RFID 융합기술 기반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과정은,
    GIS를 통해 전자 지도를 작성하여, 상기 전자 지도상에 표본점 원점 위치 및 표본점 원점으로부터의 거리, 방향 등을 측정하고 이를 입력하여 표준목의 위치를 매핑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와 RFID 융합기술 기반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매칭하는 과정 이후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GPS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현재 위치를 계속해서 갱신하여 상기 전자 지도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와 RFID 융합기술 기반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관리용 단말기가 상기 산림 자원정보 서버에 접근하여 상기 저장된 이력을 열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와 RFID 융합기술 기반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방법.
KR1020110012022A 2010-02-10 2011-02-10 Gps와 rfid 융합기술 기반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937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575 2010-02-10
KR20100012575 2010-0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707A true KR20110093707A (ko) 2011-08-18

Family

ID=44930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022A KR20110093707A (ko) 2010-02-10 2011-02-10 Gps와 rfid 융합기술 기반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3707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07255A (zh) * 2011-10-10 2012-06-20 中国农业大学 基于rfid的土壤采样及自动标识装置
CN108052914A (zh) * 2017-12-21 2018-05-18 中国科学院遥感与数字地球研究所 一种基于slam和图像识别的森林林木资源调查方法
CN108828578A (zh) * 2018-06-27 2018-11-16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森林样方调查树木定位系统及方法
KR20200004766A (ko) 2018-07-04 2020-01-14 송유현 전자 지도상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수목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258983A (zh) * 2020-01-14 2020-06-09 山西省林业科学研究院 一种一、二类国家森林资源数据转换方法
CN113238264A (zh) * 2021-05-07 2021-08-10 南宁市自然资源信息集团有限公司 一种林权调查手簿及森林测量方法
KR20220086874A (ko) * 2020-12-17 2022-06-24 유혜선 산림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60955A (ko) 2021-05-28 2022-12-06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앱을 이용한 시민참여형 가로수 유지관리 플랫폼
CN116953750A (zh) * 2023-06-25 2023-10-27 农芯(南京)智慧农业研究院有限公司 基于物联网的疫木伐桩检测定位系统及方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07255A (zh) * 2011-10-10 2012-06-20 中国农业大学 基于rfid的土壤采样及自动标识装置
CN108052914A (zh) * 2017-12-21 2018-05-18 中国科学院遥感与数字地球研究所 一种基于slam和图像识别的森林林木资源调查方法
CN108828578A (zh) * 2018-06-27 2018-11-16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森林样方调查树木定位系统及方法
KR20200004766A (ko) 2018-07-04 2020-01-14 송유현 전자 지도상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수목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27101A (ko) 2018-07-04 2022-03-07 송유현 전자 지도상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수목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258983A (zh) * 2020-01-14 2020-06-09 山西省林业科学研究院 一种一、二类国家森林资源数据转换方法
KR20220086874A (ko) * 2020-12-17 2022-06-24 유혜선 산림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3238264A (zh) * 2021-05-07 2021-08-10 南宁市自然资源信息集团有限公司 一种林权调查手簿及森林测量方法
CN113238264B (zh) * 2021-05-07 2024-04-02 南宁市自然资源信息集团有限公司 一种林权调查手簿及森林测量方法
KR20220160955A (ko) 2021-05-28 2022-12-06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앱을 이용한 시민참여형 가로수 유지관리 플랫폼
CN116953750A (zh) * 2023-06-25 2023-10-27 农芯(南京)智慧农业研究院有限公司 基于物联网的疫木伐桩检测定位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3707A (ko) Gps와 rfid 융합기술 기반 국가산림자원조사 현지조사 방법 및 그 시스템
US8134465B2 (en) Registration method and placement assisting apparatus for location information tag
US9229089B2 (en) Acquisition of navigation assistance information for a mobile station
US85888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using mobile code
CN102479214B (zh) 基于条码识别技术及gis技术的定位方法及定位系统
CN112463908B (zh) 一种基于电子界址点与无人机的地籍快速调查系统与方法
CN103200238A (zh) 地理围栏的智能网络信息系统
CN205942445U (zh) 一种基于航拍的无线基站全景选址规划及勘察系统
CN108235736A (zh) 一种定位方法、云端服务器、终端、系统、电子设备及计算机程序产品
CN103530361A (zh) 基于北斗与gis的农务地块图形构建与精细管理中间件
CN105424031A (zh) 一种室内导航系统及方法
RU2011126307A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мобильный комплекс обеспечения потребителей мониторинговой информацией (мкопми)
CN111667216A (zh) 一种无人机室内仓储自主盘点系统及方法
CN107621650A (zh) 基于移动物联网管理的天线姿态地理信息监测系统
CN103501537A (zh) 基于智能手机和Wi-Fi无线网络的楼宇内部定位方法和系统
KR101000949B1 (ko) 웹 기반의 실시간 측량 데이터 관리 시스템
EP3499441A1 (en) Baggage checking system and baggage management method
CN104849741A (zh) 基于gps和射频技术的混合定位方法
CN109064084B (zh) 基于物联网的行李管控方法和系统
CN203118400U (zh) 一种适用于室内室外基于多模式混合定位技术的导游仪
US20200364717A1 (en) Mapping radio data layers of radio map to floor identifiers
KR100782150B1 (ko) 측지측량과 동시에 수치지도의 속성자료를 수정할 수 있는측지측량 방법
JP2009236545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CN202120314U (zh) 一种基于rfid的楼/门牌管理系统
CN113316160A (zh) 一种基于mr的基站设备的运维方法、系统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