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3632A -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3632A
KR20110093632A KR1020110008683A KR20110008683A KR20110093632A KR 20110093632 A KR20110093632 A KR 20110093632A KR 1020110008683 A KR1020110008683 A KR 1020110008683A KR 20110008683 A KR20110008683 A KR 20110008683A KR 20110093632 A KR20110093632 A KR 20110093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plink
synchronization
component carrier
timing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3015B1 (ko
Inventor
권기범
정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93025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1009363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EP11742487.9A priority Critical patent/EP2536227B1/en
Priority to PCT/KR2011/000909 priority patent/WO2011099795A2/ko
Priority to JP2012552806A priority patent/JP2013520065A/ja
Priority to CN201180014458.7A priority patent/CN102812762B/zh
Priority to CN201610908740.4A priority patent/CN107070615B/zh
Priority to US13/578,531 priority patent/US9054835B2/en
Publication of KR20110093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632A/ko
Priority to US14/733,068 priority patent/US9854545B2/en
Priority to JP2015154385A priority patent/JP6175466B2/ja
Priority to US15/820,980 priority patent/US20180098294A1/en
Publication of KR101803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0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US16/733,106 priority patent/US11012954B2/en
Priority to US17/322,832 priority patent/US11659503B2/en
Priority to US18/136,253 priority patent/US2023025478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0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synchronizing of arrival of multiple up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04W56/004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by altering transmission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4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i.e. toward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73Synchronisation aspects
    • H04B1/7087Carrier synchronisation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기지국에서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과 연결을 수행한 후,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요소 반송파 집합에서 업링크 타이밍 그룹을 생성하여 업링크 타이밍 그룹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한다.

Description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UPLINK SYNCHRONIZATION IN COMPONENT CARRIER AGGREGATION}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 대한 업링크 동기 그룹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간의 동기화는 중요한 문제이다. 왜냐하면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정상적인 정보를 교환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하나의 요소 반송파 또는 하나의 서비스 대역을 지원하는 기존의 무선 통신 시스템과 달리, 현재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을 사용하여 사용자 서비스 요구를 만족시키고자 한다. 그러나, 상기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에 대하여 어떻게 동기화를 수행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정해지지 않은 상태이다.
다시 설명하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동기화는 네트워크의 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며, 이러한 요소를 고려한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이 존재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효과적인 동기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동기화 과정의 효율성은 네트워크의 효율성으로 직결되며, 전송의 안전성 역시 보장하게 되므로,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용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여 동기화 과정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동기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에 대한 동기 그룹을 설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의 연결 상태를 고려하여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에 대한 동기 그룹을 설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동기 그룹을 설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에 대한 업링크 타이밍 동기 그룹을 설정하는 단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에 대한 동기 정보를 획득하여 기지국과의 동기를 설정 및 업데이트하는 단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기지국에서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사용할 요소 반송파 집합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동기화를 요청하는 동기화 요청 메시지를 동시에 또는 이격하여 하나 이상의 대표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화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업링크 전송 시간을 조절하는데 필요한 업링크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표 요소 반송파는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생성한 업링크 타이밍 그룹의 대표 요소 반송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생성한 업링크 타이밍 그룹에 대한 대표 요소 반송파를 설정하는 단계, 동기화를 요청하는 동기화 요청 메시지를 상기 하나 이상의 대표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동시에 또는 이격하여 송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업링크 전송 시간을 조절하는데 필요한 업링크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업링크 동기화 정보를 상기 대표 요소반송파가 포함된 업링크 타이밍 그룹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장치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이 사용할 요소 반송파 집합을 설정하는 요소 반송파 집합 결정부,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와 업링크 전송 시간을 조절하는데 필요한 업링크 동기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송신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동기화를 요청하는 동기화 요청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대표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동시에 또는 이격하여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동기화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업링크 동기화 정보를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대표 요소 반송파는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생성한 업링크 타이밍 그룹의 대표 요소 반송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장치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업링크 전송 시간을 조절하는데 필요한 업링크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며, 동기화를 요청하는 동기화 요청 메시지를 상기 대표 요소 반송파을 통해 동시에 또는 이격하여 송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수신한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생성한 업링크 타이밍 그룹에 대한 대표 요소 반송파를 설정하는 요소 반송파 집합 확인부, 및 상기 수신한 업링크 동기화 정보를 상기 대표 요소반송파가 포함된 업링크 타이밍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 반송파에 적용하는 업링크 타이밍을 조정하는 업링크 타이밍 조정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다수의 요소 반송파가 구성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동기화 과정에서의 TA(Timing Advance)와 관련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랜덤 액세스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업링크 동기를 획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업링크 동기 획득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업링크 동기 획득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기지국에서 단말의 요청에 의해 단말이 업링크 동기 획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의한 UE에서 업링크 타이밍 그룹을 이용하여 업링크 동기화를 획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의한 UE에서 업링크 타이밍 그룹을 이용하여 업링크 동기화를 획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의한 UE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한 단말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evolved Node-B, eNB)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사용자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Long Term Evolution),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단말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 또는 셀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 B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본 명세서에서 UE와 eNB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실시 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 및 LTE-A(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통신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는 실시 예는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을 사용하는 시스템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최근 논의중인 차세대 통신 시스템으로써, LTE-A 시스템을 일 예로 든다. 상기 LTE-A 시스템은, 시스템 요구 사항 즉, LTE-A에서 요구하는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만족시키기 위한 대역폭(Bandwidth)를 확장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다수 개의 단위 반송파인 요소반송파 또는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이하 'CC'라 칭함)의 사용을 정의하고 있다. 여기서, 하나의 CC는 최대 20MHz의 대역폭을 가질 수 있으며, 해당 서비스에 따라 20MHz이내에서 자원 할당이 가능하지만, 이는 시스템을 구현하는 과정에 따른 일 실시예이며, 시스템의 구성에 따라, 20MHz 이상의 대역폭을 가지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나의 요소 반송파들(Component Carriers)을 최대 5개까지 묶어 하나의 시스템 대역으로 사용하는 캐리어 집합체(carrier aggregation, 이하 "CA"라 함)의 사용을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차세대 통신 시스템에서는 20MHz의 최대 대역폭을 가지는 요소 반송파 5개를 사용할 경우, 최대 100MHz까지 대역폭을 확장시켜 서비스 품질을 지원한다. 이때, 각 요소 반송파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즉, 할당 가능한 주파수 대역은 실제 CA의 스케줄링에 따라 연속적(contiguous)일 수도 있고, 불연속적(non-contiguous)일 수도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를 구별하기 위하여 CC로 표시하고 CC0, CC1과 같이 지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요소 반송파에 포함되는 숫자가 요소 반송파의 순서 또는 해당 요소 반송파의 주파수 대역의 위치와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서는 제 1 요소 반송파(CC1, 110), 제 2 요소 반송파(CC2, 120), 제 3 요소 반송파(CC3, 130), 제 4 요소 반송파(CC4, 140)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요소 반송파는 스케줄러에 따라 업링크(Uplink, UL) 또는 다운링크(Downlink, DL)가 상이하게 할당될 수도 있고, 또는 동일한 업링크와 다운링크가 함께 할당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무선 통신 환경에서는 송신기에서 전파가 전파되어 수신기에서 전달되는 동안에 전파지연(propagation delay)을 겪게 된다. 따라서 송수신기 모두 정확히 송신기에서 전파가 전파되는 시간을 알고 있다 하더라도 수신기에 신호가 도착하는 시간은 송수신기간 거리, 주변 전파 환경 등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고 수신기가 이동하는 경우 시간에 따라 변하게 된다. 만일 수신기가 송신기가 전달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을 정확히 알 수 없는 경우 신호 수신이 실패하거나 수신하더라도 왜곡된 신호를 수신하게 되어 통신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다운링크/업링크를 막론하고, 정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eNB와 UE간 동기(synchronization)가 반드시 선결되어야 한다. 즉, 동기획득 절차는 통신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절차이며 이를 유지하는 것 또한 시스템 안정성 및 통신 품질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한편, 동기의 종류는 프레임 동기, 정보심벌 동기, 샘플링 주기 동기 등으로 다양하며, 이 중에서 샘플링 주기 동기의 경우 물리적 신호를 구분하기 위해 가장 기본적으로 획득하여야 하는 동기라 할 수 있다.
eNB에서 UE에게 전송하는 방향의 통신링크인 다운링크 전송에서 동기 획득은 UE에서 eNB의 신호를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eNB는 UE에서 다운링크 동기 획득이 용이하도록 상호 약속된 특정 신호를 전송하며 이를 기반으로 UE에는 eNB에서 보내온 특정 신호가 전송된 시간을 정확히 분별할 수 있어야 한다. 다운링크의 경우 하나의 eNB이 다수의 UE에게 동시에 동일한 동기 신호를 전송하므로 UE각각이 독립적으로 동기신호를 통하여 동기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업링크의 경우 다수의 UE로 부터 개별적으로 송신된 각각의 신호를 eNB가 수신하게 되므로 어느 하나의 UE를 기준으로 동기를 획득할 수가 없다. 따라서 다운링크와 다른 동기획득 절차가 필요하다.
따라서, 각 UE와 eNB간 거리가 상이한 경우 서로 다른 전송지연 시간을 갖게 되고, 각각 획득한 다운링크 동기를 기준으로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각 UE의 정보가 서로 다른 시간에 해당 eNB에서 수신되게 된다.
즉,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전송방식이 서로 다른 시간에 각 UE의 업링크 정보가 수신되더라도 이를 분리하여 수신할 수 있는 CDMA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복잡도를 증가시키기는 하지만 큰 문제 없이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나, OFDMA 또는 FDMA를 기반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eNB에서 모든 UE의 업링크 송신정보를 동시에 수신하여 한꺼번에 복조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므로 정확한 시간에 수신될수록 수신 성능이 높아지며 eNB에서 각 UE 신호의 수신시간의 차이가 커질수록 수신성능은 급격히 열화된다.
따라서, 기존 LTE와 같은 OFDMA 또는 SC-FDMA을 업링크 전송방식으로 사용하고 있는 시스템에서는 다운링크에서의 전송지연시간과 업링크에서의 전송지연시간을 획득하기 위해 각 UE마다 랜덤 접속방식 등을 이용하여 Timing Alignment 값을 계산하고 이를 각 UE에게 알려주어 업링크 동기를 획득하도록 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동기화 과정에서의 TA(Timing Advance)와 관련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eNB와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운링크 라디오 프레임i(210)가 송신되는 시점과 일치하도록 업링크 라디오 프레임i(220)을 송신해야 한다. 그런데, 사용자 단말과 eNB사이에는 전파 지연 등으로 인해 시간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전파 지연을 고려하여 다운링크 프레임 i(210)보다 조금 일찍 단말로 하여금 업링크 라디오 프레임i(220)을 송신하여 eNB의 단말간의 동기를 맞추는 방안으로써 TA(Timing Advance)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TA를 계산하는 수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NTA는 eNB으로부터 TA 명령 정보에 따라 제어되는 가변적인 값이며, NTAoffset은 프레임 구조에 따라 고정되어 설정되는 값이다. 한편 Ts는 샘플링 주기를 의미한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업링크 동기화를 이루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은 eNB에서 제공하는 TA 명령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반으로 TA를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eNB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동기를 획득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과 eNB 사이의 랜덤 액세스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380)은 eNB(39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업링크 동기를 필요로 한다. 업링크 동기를 위해 eNB(390)으로부터 동기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도 3은 동기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랜덤 액세스 과정(Random Access Procedure)를 진행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랜덤 액세스 과정은 사용자 단말이 네트워크에 핸드오버 등을 통해 새로이 결합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고 네트워크에 결합한 후, 동기화 또는 상태 변경(RRC_IDLE에서 RRC_CONNECTED)과 같이 다양한 상황에서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80)은 먼저 랜덤 액세스 프리엠블(Random access preamble)을 생성하기 위해 프리엠블 시그니처(preamble signature)를 무작위(random, 랜덤)로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한 프리엠블을 eNB(390)에 송신한다(S310). 프리엠블 시그니처 선택시 경쟁 기반(contention-based)으로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무 경쟁 기반(contention-free)로 진행하는 방식도 사용할 수 있는데, eNB는 미리 예약한 랜덤 액세스 프리엠블을 단말에게 알려주며 해당 단말은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선택한 프리엠블을 eNB(390)에게 송신한다(S310). 또한, 무 경쟁 기반 방식에서는 경쟁 기반 방식에서 필요한 CR 메시지와 같은 절차는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380)은 프리엠블 선택 또는 RACH 전송을 위해 임시 선택한 주파수 자원과 전송 시점을 고려하여 RA-RNTI(Random Access-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을 인지할 수 있다.
eNB(390)는 수신된 UE의 프리엠블에 대하여 랜덤 액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 RAR)을 수행하는데, 이때, 물리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를 통해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RAR메시지를 통해 송신하는 정보는, 일 예로, eNB에 의해 수신된 UE 프리엠블의 식별정보, eNB의 식별자(ID), 임시 C-RANI(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상기 UE 프리엠블을 수신한 타임 슬롯에 대한 정보, 그리고 TA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업링크 동기화를 위한 타이밍 정보가 상기 RAR메시지를 통해 수신되므로, 사용자 단말(380)은 eNB(390)와의 업링크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80)은 S320 단계에서 수신한 TA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된 스케쥴 시점에서 데이터 전송(Scheduled transmission)을 수행한다(S330). 물리 업링크 데이터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를 통해 동기화시킨 데이터를 송신하며,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S330 단계에서 송신되는 메시지는 일 예로, RRC 연결 요청(RRC Connection Request), 트래킹 영역 변경(Tracking Area update),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 중 하나는, 임시 C-RNTI, C-RNTI (if the UE already has one), 또는 UE 식별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S310~330 과정에서 충돌(collision)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eNB(390)는 CR메시지(Contention resoulution message)를 송신하면(S340), UE(380)는 i) UE(380)이 수신한 메시지가 자신의 것인지 확인하고 ACK를 보내거나, ii) 수신한 메시지가 다른 UE의 것으로 확인하고 응답 데이터를 보내지 않는다. 물론 다운링크 할당을 놓치거나 메시지를 디코딩 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응답 데이터를 보내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CR메시지(Contention resoulution message)는 C-RNTI 또는 UE 식별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반송파를 사용하는 경우의 TA를 획득하는 과정과는 달리,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무선 시스템에서는 도 1과 같이 각 요소 반송파간 중심 주파수의 위치가 크게 이격되어 있거나, 각 요소 반송파를 지원하는 망 내 장치가 동일하지 않는 등의 경우, 각 요소 반송파간에 TA의 값은 서로 상이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단일 반송파에서 사용하던 동기 획득 방안을 그대로 이용하는 경우, 다수의 요소 반송파의 모든 요소 반송파에 대한 업링크 동기를 획득하기 어렵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 단말은 사용가능 요소 반송파 중에서 업링크 동기를 획득한 일부 요소 반송파에 한하여, 안정적인 업링크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만일 사용자 단말이, 업링크 동기 기준이 서로 상이한 요소 반송파에 대하여 동일한 업링크 동기 기준을 통해 정보를 전송할 경우, 전송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매우 높고 이를 복구하기 위한 시간 및 자원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업링크 QoS(Quality of Service)를 만족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만일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용하는 경우, 단일 UE에 대하여 각 요소 반송파의 특성 및 무선 망 내 지원방식에 따라 다운링크에서의 전송지연시간이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각 요소 반송파 또는 동일한 TA값을 갖는 요소 반송파를 집합으로 구성하는 경우 각 요소 반송파 집합별 업링크 동기기준이 서로 상이하게 되어 이로 인한 업링크 성능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각 요소 반송파마다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로 구성된 요소 반송파 그룹간의 업링크 동기 기준이 상이한 경우, 사용자 단말에서 각 요소 반송파의 타입, 중심 주파수 위치 및 망 서비스 형태 등에 따라 해당 요소 반송파 또는 요소 반송파 그룹의 업링크 동기를 획득하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사용자 단말은 UE로, 기지국은 eNB로 기재하여 설명을 진행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업링크 동기를 획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서는 eNB가 UE에게 다수의 요소 반송파에 관련된 정보를 송신하면 UE가 요소 반송파들 중에서 타이밍과 관련된 그룹을 설정하고, 대표 요소 반송파를 통해 RAP(Random Access Procedure)를 진행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UE(480)와 eNB(490)가 연결된 상태(RRC_CONNECTED)인 경우 S410 단계를 진행한다. 만약 무선 자원 제어 연결 상태가 IDLE이거나 재설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S405 단계를 먼저 진행하고 S410 단계를 진행한다.
S405 단계는 무선 자원 제어 연결을 진행하는 단계이다. 이는 eNB(490)와 UE(480)가 무선자원제어연결 상태가 IDLE 모드인 경우, 또는 무선자원제어연결을 재설정해야 하는 경우 eNB(490)는 해당 UE의 요소 반송파 집합을 정의하여 전송할 수 없다. 따라서, 무선자원제어연결을 진행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여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하여 무선자원제어연결을 진행한다(S405). 무선자원제어연결을 진행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기 위해 다음 중 하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i) UE(480)가 측정(measurement)한 정보를 기반으로 무선자원제어연결을 시도할 가장 적합한 요소 반송파 선택할 수 있다.
ii) UE(480)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시스템에서 고정적으로 설정한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자원제어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iii) eNB(490)에서 시스템 정보를 통해 UE(480)에게 전송한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자원제어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iv) UE(480)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유효한 요소 반송파들의 시스템 정보 이용하여 해당 요소 반송파들을 통해 무선자원제어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일 예로 IDLE 모드인 UE는 무선자원제어연결을 위하여 상기의 선택조건을 기준으로 하나의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전송되는 방송채널 (broadcasting channel)을 통하여 시스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수신한 시스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한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와 상기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와 연결설정되어 있는 업링크 요소 반송파를 주 서빙 셀(primary serving cell: 이하 PCell)로 구성한다. 상기 구성된 PCell을 통하여 UE는 eNB에게 무선자원제어연결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때 UE는 상기 RACH 절차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자원제어연결 요구 메시지를 eNB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방법들 중 하나를 통해 무선자원제어연결 진행이 완료되어 eNB(490)와 UE의 무선자원제어연결 상태가 설정된 상태(RRC_CONNECTED 모드)가 되었다면 S410의 절차를 진행한다.
eNB(490)는 해당 UE(480)의 하드웨어 성능, eNB(490)의 가용 주파수 자원 등을 고려하여 UE(480)에게 다수의 요소 반송파(CC)를 사용하도록 허용할 수 있으며 이를 집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 eNB(490)는 UE(480)의 사용하도록 허용된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UE(480)에게 전송한다(S410).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UE(480)와 eNB(490)는 S405 단계 또는 이전부터 RRC_CONNECTED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 즉 UE(480)의 무선자원제어연결이 설정된 업링크 요소 반송파의 업링크 동기가 유지되고 있는 경우이다. UE(480)는 eNB(490)으로부터 상기와 같은 기준으로 결정된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의 송수신 방식은, 일 실시 예로 eNB(490)가 무선자원제어 재구성 메시지 내에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포함하여 UE(480)에게 송신할 수도 있으며, 그 이외의 메시지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는 각 요소 반송파의 추가/제거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최초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DL CC1, DL CC2, DL CC4 로 구성된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는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 추가 목록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목록에는 CC1, CC2, CC4가 포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업링크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도 업링크 요소 반송파 추가 목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변경함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 집합이 CC1, CC3, CC4 로 변경되는 경우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 제거 목록으로 CC2를 구성하고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 추가 목록에 CC3를 구성하여 상기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UE(480)는 수신된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기반으로 집합 내 요소 반송파들에 대한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이하 SI)를 수신한다 (S420).
만약, 요소 반송파 집합 내에 요소 반송파들 중에서 해당 요소 반송파의 시스템 정보를 해당 요소 반송파로 전송할 수 없는 요소 반송파(예를 들어, 확장 요소 반송파 (extension component carrier: 이하 ECC)) 또는 방송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요소 반송파(예를 들어, 부 서빙 셀(Secondary serving cell: 이하 SCell)에 속하는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가 존재하는 경우,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요소 반송파 또는 제어정보 형태로 변환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요소 반송파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변환된 시스템 정보는 eNB에서 전송하는 무선자원제어 재구성 메시지 내에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와 동시에 UE에게 전송될 수도 있으며,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가 수신된 이후 무선자원제어 재구성 메시지를 통하여 UE에게 전송될 수도 있다. 이 방법 이외에 현 단계에서는 해당 요소 반송파에 대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진행할 수 있다.
UE(480)는 수신된 시스템 정보를 기반으로 요소 반송파 집합 내의 요소 반송파들을 원소로 하는 업링크 타이밍 그룹(Uplink timing group, UL timing group)을 설정한다(S432).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먼저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 중에서 서로 다른 그룹으로 할당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방식으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고려할 수 있다. 즉, 다음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요소 반송파는 그룹 설정 시 다른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a-i) 요소 반송파들의 중심 주파수 값의 차이가 임계치 이상 범위인 요소 반송파 들은 서로 다른 그룹으로 할당한다. 중심 주파수가 크게 차이날 경우, 무선 신호의 전파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연이 달라지며 이에 따른 TA 값도 차이가 커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a-ii) 서로 다른 빔포밍(beamforming)이 되는 요소 반송파들 간에도 서로 다른 그룹으로 할당한다. 빔포밍이 다르면 TA 값이 달라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a-iii) 업링크 동기 갱신 요청이 있을 때마다 갱신하도록 설정된 요소 반송파들도 서로 다른 그룹으로 할당한다. 상기 설정은 eNB(490)에 의해 설정된 시스템 정보 내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도 있으며 그 이외의 메시지 내에 포함되어 전송 될 수도 있다.
a-iv) 매크로 셀(Macro cell)에서 서비스 하지 않는 요소 반송파이거나 펨토셀(femto cell), 피코셀(pico cell), 마이크로 셀(micro cell), 릴레이(relay), 리피터(repeater) 등에 의해 매크로 셀과 중첩된 공간에서 서비스 되는 요소 반송파들과 매크로 셀 에 의해 서비스 되는 요소 반송파 간에도 그 특성이 상이하므로 서로 다른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a-v) eNB(490)으로부터 업링크 동기 갱신 요청이 있는 요소 반송파 역시 동기가 변화된 요소 반송파이므로 다른 그룹으로 할당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업링크 타이밍 그룹으로 설정하는 조건은 앞서 살펴본 a-i)~ a-v)가 일 실시 예가 될 수 있으나, 이외에도 무선의 전파 특성과 소정 측정치 등을 고려하여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상이한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아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는,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b-i) 요소 반송파들의 중심 주파수 값의 차이가 임계치 이내 범위인 요소 반송파 간에는 전파 특성이 유사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그룹으로 할 수 있다.
b-ii) 동일한 빔 포밍이 되는 요소 반송파들 간 하나의 그룹으로 할 수 있다.
b-iii) 동일한 무선 망 내 장치에서 사용되는 요소 반송파들 간에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b-iv) 또한, 상기 서로 상이한 그룹에 속하도록 하는 조건(a-i~a-v)을 만족하지 않는 요소 반송파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생성할 수 있다.
UE(480)에서 그룹을 생성하는 방식으로는 두 가지 방식, 즉 상이한 그룹에 속하는 요소 반송파를 구별하여 그룹을 생성하는 방식과 동일한 그룹에 속하도록 요소 반송파를 구별하여 그룹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나뉘어 지며, 상기 두 방식을 혼용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각각의 방식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판단할 조건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
업링크 타이밍 그룹이 생성되면, UE(480)는 각 그룹 내 대표 요소 반송파(delegate CC)를 설정한다(S434). 이때, 대표 요소 반송파를 설정하는 기준은, 업링크 동기 획득을 위한 TA값을 획득이 가능한 요소 반송파 중에서 다음을 조건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c-i) 가장 낮은 중심 주파수 값을 갖는 요소 반송파,
c-ii) 가장 평균에 가까운 중심 주파수 값을 갖는 요소 반송파,
c-iii) 가장 높은 중심 주파수 값을 갖는 요소 반송파,
c-iv) 주파수 대역이 가장 넓은 요소 반송파,
c-v) RLM 동작이 정의된 부서빙셀
중에서 하나를 대표 요소 반송파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대표 요소 반송파를 설정하는데 필요한 사항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CC는 DL CC 또는 DL CC와 UL CC가 모두 포함된 개념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셀(Cell)이라 정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셀은 일정 지역에 단말기가 인지할 수 있는 무선신호가 도달할 수 있는 DL 주파수 자원(예를 들어 요소 반송파)만으로도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DL 주파수 자원과 상기 DL 주파수를 통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가 기지국으로 전송가능한 UL 주파수 자원의 쌍(pair)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구성할 수 있는 단말기에 한하여 기지국은 현재 무선통신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단말기와 주고받기 위해 다수의 서빙셀을 구성할 수 있다. 주서빙셀은 RRC 연결(establishment) 또는 재연결(re-establishment) 상태에서, 보안입력(security input)과 NAS 이동 정보(mobility information)을 제공하는 하나의 서빙셀을 의미한다. 단말의 성능(capabilities)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셀이 주서빙셀과 함께 서빙셀의 집합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셀을 부서빙셀이라 한다.
따라서, 하나의 단말에 대해 설정된 서빙셀의 집합은 하나의 주서빙셀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하나의 주서빙셀과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로 구성될 수 있다.
주서빙셀의 주파수내 인접셀 및/또는 부서빙셀의 주파수내 인접셀, 각각은 동일한 반송파 주파수에 속한다. 그리고, 주서빙셀와 부서빙셀의 주파수간 인접셀은 상이한 반송파 주파수에 속한다.
주서빙셀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를 하향링크 주요소 반송파(DL PCC)라 하고, 주서빙셀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를 상향링크 주요소 반송파(UL PCC)라 한다. 또한, 하향링크에서, 부서빙셀(920)에 대응하는 요소 반송파를 하향링크 부요소 반송파(DL SCC)라 하고, 상향링크에서, 부서빙셀에 대응하는 요소 반송파를 상향링크 부요소 반송파(UL SCC)라 한다.
PCC는 단말이 여러 CC 중에 초기에 단말과 접속(Connection 혹은 RRC Connection)을 이루게 되는 CC이다. PCC는 다수의 CC에 관한 시그널링을 위한 연결(Connection 혹은 RRC Connection)을 담당하고, 단말과 관련된 연결정보인 단말문맥정보(UE Context)를 관리하는 특별한 CC이다. 또한, PCC는 단말과 접속을 이루게 되어 RRC 연결상태(RRC Connected Mode)일 경우에는 항상 활성화 상태로 존재한다.
SCC는 PCC 이외에 단말에 할당된 CC로서, SCC는 단말이 PCC 이외에 추가적인 자원할당 등을 위하여 확장된 반송파(Extended Carrier)이며 활성화 혹은 비활성화 상태로 나뉠 수 있다.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째, 주서빙셀은 PUCCH의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둘째, 주서빙셀은 항상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부서빙셀(920)은 특정 조건에 따라 활성화/비활성화되는 반송파이다.
셋째, 주서빙셀이 무선링크실패(Radio Link Failure; 이하 RLF)를 경험할 때, RRC 재연결이 트리거링(triggering)되나, 부서빙셀(920)이 RLF를 경험할 때는 RRC 재연결이 트리거링되지 않는다.
넷째, 주서빙셀은 보안키(security key) 변경이나 RACH(Random Access CHannel) 절차와 동반하는 핸드오버 절차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다. 단, MSG4 (contention resolution)의 경우, MSG4를 지시하는 PDCCH만 주서빙셀를 통하여 전송되어야 하고 MSG4 정보는 주서빙셀 또는 부서빙셀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다섯째, NAS(non-access stratum) 정보는 주서빙셀를 통해서 수신한다.
여섯째, 언제나 주서빙셀는 DL PCC와 UL PCC가 짝(pair)으로 구성된다.
일곱째, 각 단말마다 다른 CC를 주서빙셀로 설정할 수 있다.
여덟째, 부서빙셀의 재설정(reconfiguration), 추가(adding) 및 제거(removal)와 같은 절차는 RRC 계층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신규 부서빙셀의 추가에 있어서, 전용(dedicated) 부서빙셀의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데 RRC 시그널링이 사용될 수 있다.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의 특징에 관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반드시 상기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예시일 뿐이고 더 많은 예를 포함할 수 있다.
RLM (Radio Link Monitoring)은 단말기가 cell-specific reference(CRS) 시그널을 기반으로 기지국간 설정된 서빙셀의 다운링크 품질을 탐지하기 위해 다운링크의 품질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말한다.
단말기는 측정된 CRS과 제어채널들의 에너지의 비로 정의되는 미리 정해진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다운링크 품질을 예측한다. 상기 RLM은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RLM을 통하여 다운링크 품질을 예측하기 위해 PDCCH(physical dedicated control channel) / PCFICH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가 전송되는 RE (resource element-단일 OFDM 심볼 내의 단일 부반송파) 의 수신 에너지와 상기 CRS의 평균 RE 에너지의 비를 dB 단위로 표현한 값을 기준으로 한다.
상기 미리 정해진 파라미터 중 동기불일치(out-of-sync)를 선언하는 기준이 되는 파라미터인 Qout 값은 PDCCH / PCFICH을 전송하기 위해 설정된 파라미터와 함께 PCFICH의 오류를 고려한 가상의 PDCCH (DCI format 1A 기반) 전송의 BER (block error rate)가 10%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값을 기준으로 설정된다. 상기 값은 CRS가 전송되는 안테나 포트의 개수에 의해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안테나 포트에 한하여 CRS가 전송되는 경우 Qout 값으로 설정할 상기 PDCCH와 CRS간 에너지의 비율은 4dB를 기준으로 하며 2개 이상의 안테나 포트에 대하여 CRS가 전송되는 경우 1dB를 기준으로 한다.
상기 미리 정해진 파라미터 중 동기회복 또는 동기유지(in-sync)를 선언하는 기준이 되는 파라미터인 Qin 값은 상기 Qout 의 경우에 비해 충분히 큰 신뢰성을 갖는 값을 기준으로 설정된다. 즉, PDCCH / PCFICH을 전송하기 위해 설정된 파라미터와 함께 PCFICH의 오류를 고려한 가상의 PDCCH (DCI format 1C 기반) 전송의 BER (block error rate)가 2%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값을 기준으로 설정된다. 상기 값은 CRS가 전송되는 안테나 포트의 개수에 의해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어 단일 안테나 포트에 한하여 CRS가 전송되는 경우 Qin 값으로 설정할 상기 PDCCH와 CRS간 에너지의 비율은 0dB를 기준으로 하며 2개 이상의 안테나 포트에 대하여 CRS가 전송되는 경우 -3dB를 기준으로 한다.
상기 예에서 Qout 값에 비해 Qin 값의 기준이 되는 에너지 비율의 값이 오히려 낮은 이유는 상기에서 언급한 PDCCH / PCFICH을 전송하기 위해 설정된 파라미터와 가상의 PDCCH 전송의 BER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이다. 상기 PDCCH / PCFICH을 전송하기 위해 설정된 파라미터들은 PDCCH의 DCI 포멧, 서브프레임 내의 제어정보가 전송되는 OFDM 심벌의 개수, PDCCH의 자기복제 비율을 나타내는 집성수준 (aggregation level) 등이 포함된다. 상기 파라미터들은 다운링크 대역폭에 영향을 받는다. 또한 Qout 및 Qin 값은 해당 셀에 대한 단말기의 DRX(discountinous reception) 동작 여부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업링크 타이밍 그룹이 생성되면, 단말기 또는 기지국은 각 그룹 내 대표 요소 반송파(delegate CC)를 설정한다. 상기 대표 요소 반송파 설정은 상기 대표 요소 반송파가 포함되어 있는 부서빙셀을 설정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이때, 대표 요소 반송파 또는 부서빙셀을 설정하는 기준은, 업링크 동기 획득을 위한 TA값을 획득이 가능한 요소 반송파 중에서 상기 c-i)~c-v) 조건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즉, S434에서 살펴본 c-i)~c-v) 중에서 하나를 대표 요소 반송파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업링크 타이밍 그룹별 대표 요소 반송파를 설정하는 방법은, 모든 그룹에 대하여 동일한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고, 또는 각 타이밍 그룹별로 구별되는 조건만 만족하는 다른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대표 요소 반송파의 선택은, 각 그룹의 네트워크 상태, 그룹을 구성하는 요소 반송파들의 특징 등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S432, S434 단계를 완료하여 업링크 타이밍 그룹과 해당 그룹의 대표 요소 반송파를 설정한 후, UE(480)은 업링크 동기 획득을 위하여, 각 그룹 내 대표 요소 반송파들을 통해, 즉, 필요 시 각각 프리엠블(random access preamble)을 설정하고 각 요소 반송파의 SI에 정의된 자원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설정한 프리엠블을 전송한다(S440). 상기 프리엠블은 사용자 단말이 동기화를 요청하는 동기화 요청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해당 프리엠블의 전송은 eNB(490)에 의해 설정된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UE(480)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또는 랜덤하게 프리엠블을 선택된 CC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업링크 동기 획득이 필요한 상황은 다음과 같다. 또는 다음의 상황이 아니어도, UE(480)에서 필요 여부를 판단하여 랜덤 액세스 프리엠블을 생성하여 eNB(490)로 송신할 수 있다.
d-i) eNB(490)이 다운링크 동기에 대한 전체 재설정을 요구하는 경우,
d-ii) 모든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초기화하고 재시도하는 경우,
d-iii) UE(480) TimeAlignment timer가 만료되었을 경우,
UE(480)는 사용 가능한 전체 요소 반송파 그룹들에 대하여 업링크 동기 획득을 위한 프리엠블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UE(480)는 사용 가능한 일부 요소 반송파 그룹에 대하여 업링크 동기 획득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은 아래와 같다.
e-i) 요소 반송파 그룹이 최초로 설정되어 해당 그룹 내에 TA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e-ii) UE(480)의 그룹 내 요소 반송파들을 통한 업링크 전송 데이터에 대한 응답이 모두 없을 경우,
e-iii) eNB(490)와 UE(480)간 RRC 연결을 재구성(re-configuration)한 경우,
e-iv) UE(480)가 물리적으로 다른 eNB(490)으로 특정 요소 반송파 그룹이 핸드오버 하는 경우,
e-v) eNB(490)이 다운링크 동기에 대한 특정 요소 반송파 그룹에 대하여 재설정을 요구하는 경우,
e-vi) 요소 반송파 TA 타이머(CC TimeAlignment timer)가 만료되었을 경우(상기 타이머는 각 요소 반송파 또는 그룹마다 설정 가능한 타이머임)에는 해당 요소 반송파가 포함된 요소 반송파의 그룹에 대해 업링크 동기 획득을 진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S432, S434 단계에서 요소 반송파 CC1, CC2, CC3, CC4, CC5가 있고, CC1, CC2는 그룹1, CC3, CC4, CC5는 그룹 2로 설정되었으며, 그룹 1의 대표 요소 반송파가 CC1이며, 그룹 2의 대표 요소 반송파가 CC3인 경우, UE(480)에서 사용 가능한 전체 요소 반송파 그룹들에 대해 업링크 동기가 필요할 경우 CC1과 CC3을 통해 랜덤 액세스 프리엠블을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일부 요소 반송파 그룹에서 동기 획득이 필요한 상황에서 그룹 2에 대해 동기 획득이 필요할 경우, CC3을 통해 랜덤 액세스 프리엠블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업링크를 통하여 데이터 송신 중인 상황에서 업링크 동기를 재설정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UE(480)는 다음과 같은 동작(예를 들어 업링크 데이터 전송 초기화)을 우선적으로 수행한 후, 업링크 동기를 확보하기 위한 절차로 HARQ 버퍼들 초기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SRS(Sounding Reference Signal) 해제, SPS(Semi-Persistent Scheduling) 할당/허용 초기화 등을 진행할 수 있다.
eNB(490)는 수신된 랜덤 액세스 프리엠블 신호를 기반으로 각 요소 반송파 그룹(대표 요소 반송파)에 대하여 그룹 별 TA값을 계산한다. 그리고 eNB(490)는 UE(480)의 업링크할당(UL grant) 정보와 업링크 타이밍 그룹(대표 요소 반송파)의 TA값을 랜덤 액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 메시지를 통해 UE(480)에게 전송한다(S450). 상기 TA 값은 사용자 단말이 업링크 전송 시간을 조절하는데 필요한 업링크 동기화 정보의 일 실시예가 된다.
그 후, UE(480)는 CR(contention resolution) 절차(S460)를 통해 수신한 TA 값이 유효하다고 판단되면 해당 TA값을 그룹 내 다른 요소 반송파에 적용하여 업데이트 한다(S470).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체 그룹에 대해 업링크 동기 획득 절차를 진행한 경우, CC1, CC3에 대한 TA 값을 그룹 1, 2에 포함된 요소 반송파들에 적용할 수 있다. 만약 그룹 2에 대해 CC3의 TA 값을 수신한 경우, 그룹 2에 포함된 요소 반송파들에 적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업링크 동기 획득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5는 eNB인 eNB(590)에서 업링크 타이밍 그룹을 설정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5를 참조하면, eNB(590)가 업링크 타이밍 정보를 송신하기에 앞서, eNB(590)는 UE의 모드(RRC_CONNECTED/ RRC_IDLE)를 확인한다. UE와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 무선 자원 제어 연결을 진행할 수 있으며(S505), 무선 자원 제어 연결을 위하여 PCell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는 도 4의 S405과정과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eNB(590)에서 그룹을 생성하는 방식은 도 4에 언급한 a-i)~a-v) 또는 b-i)~b-iv) 조건을 참조할 수 있다.
따라서, eNB(590)는 해당 UE(580)의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와 상기 설정한 업링크 타이밍 그룹 정보를 UE(580)에게 전송한다(S510). 여기서,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 정보는,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CC set info.) 메시지에 포함되어 UE(580)에 전송될 수도 있으며, 그와 별개로 독립적으로 설정된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 별개로 설정된 메시지인 경우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한편, UE별로 제공되는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 전송 메시지(CC set infomation message)는 RRC (L3) 메시지일 수도 있으며 L1 시그널링일 수도 있으며 L2 시그널링 일 수도 있다.
UE(580)는 수신된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기반으로 집합 내 요소 반송파들의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이하 SI)를 수신한다(S520). 이때, UE(580)는 eNB(590)에 의해 S508 단계에서 생성된 업링크 타이밍 그룹을 그대로 이용하거나, 혹은 현재의 네트워크 상황에 맞추어 도 4의 S432와 같이 업링크 타이밍 그룹을 일부 수정할 수 있다. 이는 UE(580)가 eNB(590)에 의해 생성된 그룹이 실제 UE(580)의 환경에 적합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을 추가 수정할 수 있음을 포함한다.
즉, 업링크 타이밍 그룹 정보를 수신한 후, 혹은 업링크 타이밍 그룹 정보를 변경하거나 새로이 생성한 후, UE(580)는 각각의 업링크 타이밍 그룹에 대해 대표 요소 반송파를 선택한다(S534). 업링크 타이밍 그룹에 대한 대표 요소 반송파의 선택시 고려할 조건들은 도 4의 S434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S534에서 업링크 타이밍 그룹별로 대표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는 과정이 완료한 후, 업링크 동기 획득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각 그룹 내 대표 요소 반송파들은 필요 시 각각 프리엠블(random access preamble)을 설정하고 각 요소 반송파의 SI에 정의된 자원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한 프리엠블을 전송한다(S540). 상기 프리엠블은 사용자 단말이 동기화를 요청하는 동기화 요청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UE(580)는 업링크 타이밍 정보를 얻기 위한 랜덤 액세스 프리엠블을 송신하는 메시지(Random access preamble transmit message) 등을 보낼 수 있다. 또한, 해당 프리엠블을 전송하는 방법은 eNB(590)에 의해 설정된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UE(580)에 의해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또는 랜덤하게 선택되어 전송될 수 있다.
한편, UE(580)에 의해 업링크 동기 획득이 필요한 상황은 d-i)~d-iii) 조건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UE(580)는 사용 가능한 전체 요소 반송파 그룹들에 대하여 업링크 동기 획득을 위해 프리엠블을 송신할 수 있다. 한편, UE(580)는 사용 가능한 일부 요소 반송파 그룹에 대하여 업링크 동기 획득을 필요로 할 수 있다.
eNB(590)는 수신된 랜덤 액세스 프리엠블 신호를 기반으로 각 요소 반송파 그룹(대표 요소 반송파) 마다 그룹 별 TA값을 계산하고, 해당 TA값을 업링크할당(UL grant) 정보와 함께 랜덤 액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 정보에 포함시켜 UE(580)에게 전송한다(S550). 상기 TA 값은 사용자 단말이 업링크 전송 시간을 조절하는데 필요한 업링크 동기화 정보의 일 실시예가 된다.
일 실시 예로 eNB(590)는 S508 단계에서 설정하였던 업링크 타이밍 그룹을 고려하여 TA 값을 계산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요소 반송파를 통해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해당 업링크 타이밍 그룹 내의 모든 요소 반송파들을 통해 랜덤 액세스 응답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UE(580)는 CR(contention resolution) 절차(S560)를 통해 수신한 TA 값이 유효하다고 판단되면 해당 TA값을 그룹 내 다른 요소 반송파에 적용하여 업링크 타이밍 그룹별 TA를 업데이트 한다(S570).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업링크 동기 획득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6은 eNB(690)에서 업링크 타이밍 그룹을 설정하고 그룹 정보를 별도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eNB(690)는 UE(680)의 모드(RRC_CONNECTED/ RRC_IDLE)를 확인한다. UE(680)와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 무선 자원 제어 연결을 진행할 수 있으며(S605), 무선 자원 제어 연결을 위하여 PCell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는 도 4의 S405, 도 5의 S505 과정과 동일하다.
eNB(690)는 해당 UE(680)의 하드웨어 성능, eNB(690)의 가용 주파수 자원 등을 고려하여 UE(680)에게 다수의 요소 반송파(CC)를 사용하도록 허용할 수 있으며 이를 집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 eNB(690)는 해당 UE(680)의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UE(680)에게 전송한다(S610). UE별로 제공되는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 전송 메시지(CC set infomation message)는 RRC (L3) 메시지 등에서 사용되는 메시지일 수도 있으며 L1 시그널링일 수도 있으며 L2 시그널링 일 수도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UE(680)와 eNB(690)는 S605 단계 또는 이전부터 RRC_CONNECTED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 즉 UE(680)의 무선자원제어연결이 설정된 업링크 요소 반송파의 업링크 동기가 유지되고 있는 경우이다. UE(680)는 eNB(690)으로부터 상기와 같은 기준으로 결정된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수신한다.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의 수신 방식의 일 실시 예로 eNB(690)는 무선자원제어 재구성 메시지 내에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할 수도 있으며 그 이외의 메시지가 될 수도 있다.
UE(680)는 수신된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기반으로 집합 내 요소 반송파들의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이하 SI)를 수신한다(S620).
eNB(690)는 UE(580)에 할당된 요소 반송파들에 대하여 업링크 타이밍 그룹을 생성한다(S624). 상기 eNB(690)에서 업링크 타이밍 그룹을 설정하는 과정은 앞서 a-i)~a-v) 또는 b-i)~b-iv)조건들을 고려하여 서로 다른 그룹으로 또는 동일한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eNB(690)는 그룹을 생성하는 두 가지 방식, 즉, 상이한 그룹에 속하는 요소 반송파를 구별하여 그룹을 생성하는 방식과 동일한 그룹에 속하도록 요소 반송파를 구별하여 그룹을 생성하는 방식을 혼용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각각의 방식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판단할 조건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
eNB(690)는 설정한 업링크 타이밍 그룹 정보를 UE(680)에게 전송한다(S626).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 정보는,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CC set info.) 메시지 등에 포함되지 않고 별개로 독립적으로 설정된 메시지를 이용하여 송신된다.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 정보는 PDCCH 채널, RRC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채널과 같은 채널을 통해 전송되며, L2 (MAC 엘레먼트 컨트롤) 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 메시지를 메시지를 수신한 UE(680)는 수신한 업링크 타이밍 그룹을 그대로 이용하거나, 현재의 네트워크 상황에 맞추어 업링크 타이밍 그룹을 일부 수정할 수 있다. 이는 eNB(690)에서 생성한 그룹이 실제 UE(680)의 환경에 적합하지 않는 경우 UE(680)가 수정을 할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업링크 타이밍 그룹 정보를 수신한 후, 혹은 업링크 타이밍 그룹 정보를 변경하거나 새로이 생성한 후, UE(680)는 각각의 업링크 타이밍 그룹에 대해 대표 요소 반송파를 선택한다(S634).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에 대한 대표 요소 반송파의 선택시 고려할 조건들은 도 4의 S434, 도 5의 S534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S634에서 업링크 타이밍 그룹별로 대표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는 과정이 완료한 후, 업링크 동기 획득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각 그룹 내 대표 요소 반송파들은 필요 시 각각 프리엠블(random access preamble)을 설정하고 각 요소 반송파의 SI에 정의된 랜덤 접속을 위해 할당된 자원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프리엠블을 전송한다(S640). 해당 프리엠블을 전송하는 방법은 eNB(690)에 의해 설정된 시간/주파수 자원에서 UE(680)에 의해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또는 랜덤하게 선택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프리엠블은 사용자 단말이 동기화를 요청하는 동기화 요청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eNB(690)는 수신된 랜덤 액세스 프리엠블 신호를 기반으로 각 요소 반송파(대표 요소 반송파) 마다 TA값을 계산하고 해당 값을 업링크할당(UL grant) 정보와 함께 랜덤 액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 정보에 포함시켜 UE(680)에게 전송한다(S650). 일 실시 예로 eNB(690)가 S624 단계에서 설정하였던 업링크 타이밍 그룹을 고려하여 TA 값을 계산하여 미리 전송할 수 있다. 한편, eNB(690)는 특정 요소 반송파를 통해 랜덤 액세스 응답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해당 업링크 타이밍 그룹 내의 모든 요소 반송파들을 통해 랜덤 액세스 응답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TA 값은 사용자 단말이 업링크 전송 시간을 조절하는데 필요한 업링크 동기화 정보의 일 실시예가 된다.
UE(680)는 CR(contention resolution) 절차(S660)를 통해 수신한 TA 값이 유효하다고 판단되면, 해당 업링크 타이밍 그룹 별 TA값을 해당 그룹 내 다른 요소 반송파에 적용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한다(S670).
상기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UE(680)는 eNB(690)로부터 설정된 업링크 타이밍 그룹을 수신하고, 해당 그룹의 대표값을 통해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한다. 그 후, 랜덤 액세스 절차에 따른 프리엠블에 대응하여 상기 타이밍 그룹의 TA값을 수신하여 동기 획득을 위한 업링크 타이밍 조절을 수행한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의한 eNB에서 단말의 요청에 의해 단말이 업링크 동기 획득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도면을 설명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eNB인 eNB는 UE의 RRC 모드를 확인한다(S702). eNB와 UE의 무선 자원 제어(RRC)의 연결 상태가 RRC_CONNECTED인 경우(S704), eNB는 다음 단계(S710)로 진행한다.
만약, RRC_CONNECTED가 아닌 경우에는, S705로 진행한다. S705에서 eNB는 UE로부터 RRC 연결 요청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eNB는 UE로부터 RRC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S705), RRC 연결을 완료한다(S706). 이때, eNB는 UE로부터 RRC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RRC 연결 설정 메시지를 전송하며, 최종적으로 UE로부터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여 RRC 연결을 완료한다. 앞서 S405, S505, S605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무선 자원 제어 연결을 위하여 PCell을 이용할 수 있다.
eNB는 RRC_CONNECTED UE에 대하여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CC를 포함하는 CC 집합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CC 집합 정보를 UE로 송신한다(S710).
그리고 eNB는 상기 UE의 CC집합 정보를 기반으로 집합 내의 적어도 하나의 특정 요소 반송파에 대한 SI를 송신한다(S720). 여기서, 상기 CC 집합 정보는 RRC 메시지를 통해 전송가능하다. 또한, 상기 설정된 CC 집합의 SI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해 전송 가능하다.
eNB는 업링크 타이밍 그룹 생성을 수행하는 주체가 eNB인지 확인한다(S722). 만약 eNB에서 업링크 타이밍 그룹을 생성하는 경우, 상기 UE의 CC집합 정보를 고려하여 업링크 타이밍 그룹을 생성하고, 생성된 업링크 타이밍 그룹에 대한 정보를 UE에 송신한다(S726). 물론 업링크 타이밍 그룹을 생성하여 이에 대한 정보는, S710의 CC 집합 정보를 설정하여 송신하는 시점과 같이 진행하거나 CC 집합 정보와 함께 업링크 타이밍 그룹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eNB는 UE로부터 랜덤 액세스 프리엠블을 수신한다(S740). 상기 프리엠블은 사용자 단말이 동기화를 요청하는 동기화 요청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S740은 업링크 타이밍 그룹 생성을 수행하는 주체가 UE인 경우도 포함한다. 즉, UE가 S710의 사용 가능한 CC 집합 정보와, S720의 해당 CC의 SI 정보를 참조하여 업링크 타이밍 그룹을 생성하고, 생성된 타이밍 그룹별로 대표 요소 반송파를 설정하여, 해당 대표 요소 반송파를 통해 랜덤 액세스 프리엠블을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따라서, eNB는 UE로부터 송신된 프리엠블을 수신하게 된다. 여기서, eNB는 UE로부터 동기화 요청 메시지, 예를 들어, 프리엠블을 다수의 대표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동시에 또는 시간상 이격하여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eNB는 수신된 프리엠블에 대하여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데, 이 경우, 상기 UE에 할당된 업링크 할당 정보와 각 업링크 타이밍 그룹 별TA 정보를 함께 송신한다(S750). 상기 TA 값은 사용자 단말이 업링크 전송 시간을 조절하는데 필요한 업링크 동기화 정보의 일 실시예가 된다. 또한 업링크 타이밍 그룹별 TA 정보를 다수의 대표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동시에 또는 이격하여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 별 TA 정보는, 그룹 인덱스에 대응하여 TA 값을 포함하는 테이블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정해진 기준 TA값에 대응하여 각 타이밍 그룹 별 정해진 단위 오차를 포함하는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룹 별 오차는 정해진 단위 값에 대응하여 정수배의 크기로 표기될 수 있다. 또는 그룹 별 오차를 구체적으로 명시할 수도 있다. 또는 정해진 규칙에 따라 TA를 나타내는 지시자 형태로 전송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eNB는 UE에 CR(Contention Resolution) 메시지를 송신한다(S760). 이는 UE 로 하여금 수신한 TA 값의 유효성을 확인하여 해당 그룹의 TA 값을 업데이트 할 수 있도록 동작함을 포함한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의한 UE에서 업링크 타이밍 그룹을 이용하여 업링크 동기화를 획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UE는 RRC 모드를 확인한다(S802). 만약, RRC_CONNECTED가 아닌 경우, 즉, IDLE 모드인 경우에는 UE는 RRC 연결 설정 과정을 수행한다.
이에, UE는 RRC 연결을 설정할 특정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고(S806), 선택한 특정 요소 반송파로 RRC 연결 요청(RRC Connecit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eNB로부터 RRC 연결 설정(RRC Conneciton setup) 메시지를 선택한 특정 요소 반송파를 통해 수신한 후, 최종적으로 eNB로RRC 연결 설정 완료(RRC Conneciton setup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하여 RRC 연결 설정을 완료한다(S808).
RRC 모드를 확인한 결과, UE가 RRC_CONNECTED 인 경우(S804), 업링크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는지 확인한다(S810).
업링크가 유지되고 있지 않다면, S812 단계로 진행한다. S812에서 UE는 eNB로부터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iton setup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하는지 확인한다(S812).
여기서, UE의 RRC 모드가 IDLE 모드인 경우, 또는 RRC 연결 재구성을 수행하는 경우, eNB는 해당 UE의 요소 반송파 집합을 정의하여 전송할 수 없다. 따라서, UE는 f-i) UE가 measurement한 정보를 기반으로 RRC Connection을 시도할 가장 적합한 요소 반송파 선택, f-ii) UE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시스템에서 고정적으로 설정한 정보 이용, f-iii) eNB에서 시스템 정보를 통해 UE에게 전송한 정보 이용, f-iv) UE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유효한 요소 반송파들의 시스템 정보 이용 중 하나를 사용하여, RRC연결을 진행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고,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RRC 연결이 완료되어 UE의 모드가 RRC Connected 모드가 되었다면 S830으로 진행한다.
만일, UE가 핸드오버를 진행하고 있다면 수신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를 확인하여(S814), 모빌리티 제어 정보 (Mobility Control Information, MCI)을 확인한다(S816). 그리고, 확인한 MCI 정보를 기반으로 목표 eNB(T-eNB)로부터 해당 CC의 동기 획득을 위한 정보를 확인한다(S818). 즉, UE는 목표 eNB(T-eNB)로부터 업링크 동기화를 획득할 수 있다. 만일, UE가 핸드오버를 진행하고 있지 않다면 수신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만을 확인하고(S814), S816 및 S818절차를 진행하지 않는다.
다시 설명하여, 업링크 동기화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만일 UE가 핸드오버하고 있지 않는 경우, UE는 소스 eNB(Source eNB, S-eNB)와 해당 요소 반송파의 업링크 동기를 획득하기 위한 절차를 진행하여 업링크 동기를 획득한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 UE가 핸드오버하고 있는 경우, UE는 해당 요소 반송파의 업링크 동기를 획득하기 위한 절차를 소스 eNB로부터 전송받은 목표 eNB(Target eNB, T-eNB)의 요소 반송파의 시스템 정보를 기반으로 업링크 동기를 획득하기 위한 절차를 진행하여 업링크 동기를 획득한다. 바람직하기로는 랜덤 접속 절차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그 이외의 절차가 적용될 수도 있다.
그 후, UE는 소스 eNB(S-eNB) 또는 목표 eNB(T-eNB)와의 동기를 맞추기 위하여 임의의 프리엠블을 선택하여 소스 eNB(S-eNB) 또는 목표 eNB(T-eNB)로 전송한다(S820). 상기 프리엠블은 사용자 단말이 동기화를 요청하는 동기화 요청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UE의 프리엠블 전송에 따라 소스 eNB(S-eNB) 또는 목표 eNB(T-eNB)로부터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는 상기 UE를 위한 업링크 할당 정보과 업링크 동기를 맞추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CC를 포함하는 그룹 별 TA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S822).
UE는 CR(Contention Resolution) 과정을 통해 상기 S822에서 수신한 TA가 유효한지 검증하고(S824), 상기 TA가 유효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수신한 TA값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CC를 포함하는 업링크 타이밍 그룹을 업데이트한다(S826).
한편, RRC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S820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업링크가 유지되거나 UE가 업링크 동기화를 획득한 상황에서, UE는 eNB로부터 요소 반송파들의 집합 정보를 수신한다(S830). 또한, 수신한 CC 집합에 대한 SI 정보를 수신한다(S832).
그 후, UE는 업링크 타이밍 그룹 정보를 수신하였는지 확인한다(S840). 이때, 업링크 타이밍 그룹 정보가 eNB에서 생성되는 경우, UE는 상기 CC 집합 정보 수신 과정, 혹은 별도의 메시지를 통해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 정보에는 각 그룹별 대표 CC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 정보에 각 그룹별 대표 CC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S852절차를 진행하지 않으나 만일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 정보에 각 그룹별 대표 CC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UE는 수신한 업링크 타이밍 그룹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업링크 타이밍 그룹에서 대표 CC를 설정한다(S852). 상기 대표 CC는 도 4의 c-i)~c-v) 조건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각 업링크 타이밍 그룹의 TA 조정을 위한 대표 CC는 모든 그룹에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여 설정될 수도 있고, 각 업링크 타이밍 그룹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이한 기준을 적용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업링크 타이밍 그룹 정보를 수신하지 않았거나, 수신한 업링크 타이밍 그룹 정보가 현재 UE가 위치한 무선 상황 또는 UE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UE는 수신한 CC 집합 정보를 고려하여 업링크 타이밍 그룹 정보를 설정한다(S850). 그리고, 설정한 업링크 타이밍 그룹 내에서 상기 타이밍 그룹을 대표하는 특정 CC를 설정한다(S852).
UE는 대표 CC를 통해 프리엠블을 선택하여 송신한다(S854). 이는 대표 요소 반송파가 설정된 후, TA를 업데이트할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UE는 eNB로부터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 때, UE의 업링크 할당 정보와 각 업링크 그룹 별 TA 정보를 수신한다(S856). 여기서, UE는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 별 그룹 인덱스에 대응하는 테이블 형태의 TA 값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UE는 정해진 기준 TA값에 대응하여 각 타이밍 그룹 별 단위 오차를 포함하는 형태의 TA차이 값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정해진 단위 값에 대응하여 정수배의 크기로 정해지는 업링크 타이밍 그룹 별 오차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명시된 각 업링크 타이밍 그룹 별 오차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정해진 규칙에 따라 지시자 형태로 정해진 TA 지시자를 확인할 수도 있다.
그 후, UE는 CR(Contention Resolution) 과정을 통해 수신한 TA가 유효한지 검증한다(S860).
확인한 TA가 유효함을 확인한 경우, UE는 업링크 타이밍 그룹별 TA값을 업데이트 한다(S870).
여기서, 본 명세서의 일 예에 따라UE는 업링크 타이밍 그룹 별 TA를 업데이트 한 결과를 대표 CC를 통해 eNB에 전송할 수도 있다. 즉, eNB와의 보다 정확한 동기 획득을 위하여 TA 값 확인 절차를 추가로 더 진행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E의 동작에 대한 도면이다. 여기서, 초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의 설정이 eNB에서 수행되는 경우 UE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UE는 eNB으로부터 CC 세트 정보를 수신한다(872). 상기 CC 세트 정보는 PCC(Primary Component Carrier)를 통하여(via) 수신될 수 있다. PCC는 앞서 살펴본 PCell로, IDLE 모드인 UE는 무선자원제어연결을 위하여 상기의 선택조건을 기준으로 하나의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전송되는 방송채널 (broadcasting channel)을 통하여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CC 세트 정보는, RRC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UE는 상기 수신한 CC 세트 정보를 기반으로 CC 세트내 CC들에 대한 SI를 수신한다(874). 상기 SI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통하여 다수의 UE들에게 공통으로 전송될 수도 있으며 또는 RRC메시지를 통해 전용 채널 형태로 전송될 수도 있다. 상기 SI는 PCC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에, UE는 상기 SI을 이용하여 CC 세트 내 업링크 CC들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874 단계에서, UE는 eNB로부터 사용할 각 CC의 RAP 또는 시간/주파수 자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각 CC의 RAP 또는 시간/주파수 자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UE는 최초 업링크 타이밍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RAP 또는 시간/주파수 자원에 대한 정보는, PCC를 통해 상기 SI내에 포함되어 전송되거나, 또는 RRC 메시지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UE는 수신된 SI내의 RACH정보와 CC 파라미터들을 기반으로 업링크 동기획득을 위하여 구성된 모든 업링크CC들을 통해 동시에 RAP를 전송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876).
여기서, 상기 UE는 eNB에 의해 설정된 '구성된 업링크 CC'들의 RACH 파라미터 중 상기 UE전용(specific) RACH 파라미터를 확인한다.
이 때, 상기 UE전용 RACH 파라미터 중, RAP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UE는 자신의 RAP정보를 확인하여 각 구성된 업링크 CC들로 전송할 RAP를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RAP 정보는 eNB가 UE구별을 위하여 UE마다 서로 상이하게 설정한 프리엠블 정보이다.
또는, 상기 UE전용 RACH 파라미터 중, 시간 / 주파수 자원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UE는 자신의 시간 / 주파수 자원 정보를 확인하여 각 구성된 업링크 CC들로 전송할 RAP를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시간 / 주파수자원 정보는 eNB가 UE마다 서로 상이하게 설정한 정보이다.
상기 876단계의 확인 결과, 구성된 모든 업링크CC들을 통해 동시에 RAP를 전송 가능함을 확인한 UE는, 동시에 RAP를 전송한다(878).
반면에, 상기 876단계의 확인 결과, UE가 모든 업링크CC들을 통해 동시에 RAP를 전송할 수 없음을 확인한 경우, UE는 890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RAP 동시 전송과 관련하여, UE는 다수 개의 업링크 CC들 중 각각의 업링크 CC의 SI내 존재하는 RACH 파라미터들을 확인하고, 상기 RACH 파라미터에 정의되어 있는 다수의 시간/주파수 자원들을 확인하여, 동일한 시간에 RACH를 전송할 RAP전송 시간(rach_t)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RAP전송 시간(rach_t)은 상기 UE에 의해 모든 업링크 CC들을 통해 상기 RAP들이 동일하게 전송되는 시간이다.
그런데, UE가 상기 RAP전송 시간(rach_t) 설정할 수 없는 경우, 즉, UE가 동일한 시간에 구성된 모든 업링크 CC을 통해 RAP를 전송할 수 없는 경우, UE는 eNB에게 RAP 자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890).
일 예로, 모든 업링크 CC들의 RACH 파라미터를 확인하여 RAP를 전송할 수 있는 시간이 t0, t1제한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UE는 CC1, CC3, CC4를 통해 t0 시간에 RAP를 전송 가능함을 확인/ t1 시간에서는 전송 불가능함을 확인하며, CC2를 통해 t1 시간에 RAP를 전송 가능함을 확인하고, t0 시간에서는 전송 불가능함을 확인한 경우, UE는 eNB로 RAP 자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RAP 자원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UE는 eNB로부터 RAP 자원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892). 여기서, 상기 RAP 자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eNB는 상기 UE가 모든 CCs를 통해 동시에 RAP를 전송할 수 없음을 확인 가능하다. 따라서, eNB는 상기 UE의 RAP 전송시 사용할 전송 시간 주파수 자원 및 프레임블 종류를 RAP 자원 정보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여 UE에게 전송한다.
이에, UE는 상기 RAP 자원 정보 응답 메시지내의 정보를 기반으로 구성된 모든 업링크 CC들을 통하여 RAP를 전송한다(894). 한편, 만일 eNB로부터 수신된 RAP 자원 정보 응답 메시지에 RAP 자원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RAP를 전송해야 할 시점에서 구성된 모든 업링크 CC들을 통하여 동시에 RAP를 전송할 수 있는 최대한 빠른 시간을 선택한다. 이 때, 모든 CC에서 동일한 RAP를 선택하여 동시에 RAP를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eNB로부터 PCC를 통해 업링크 타이밍 그룹 정보를 수신한다(880). 즉, eNB는 UE로부터 전송된 RAP들을 확인하여 상기 UE가 업링크 타이밍 그룹의 설정을 요청하는 것을 확인하고, 상기 RAP를 통해 수신된 프리엠블들을 이용하여 TA 값을 계산한 후, 상기 계산된 TA 값을 기반으로 상기 UE의 업링크 타이밍 그룹을 생성한다. 상기 생성한 업링크 타이밍 그룹 정보를 상기 UE로 전송한다.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 정보는 PCC를 통해 하향 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이하 'PDCCH'라 칭함), 매체 접근 제어(Media Access Control, 이하 'MAC'이라 칭함) 메시지의 제어 정보 형태, 또는 RRC 메시지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UE는 eNB로부터 구성된 모든 업링크 CC들과 연결 설정되어 있는 다운링크 CC들 중 일부 또는 모든 다운링크 CC들에서 RAR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882). 상기 연결 설정은 무선통신시스템 내에서 고정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으며, SI를 이용하여 eNB마다 설정될 수도 있으며, RRC 메시지를 통하여 UE 또는 UE그룹마다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RAR메시지는, 일 예로, eNB에 의해 수신된 UE 프리엠블의 식별정보, eNB의 식별자(ID), 임시 C-RNTI(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상기 UE 프리엠블을 수신한 타임 슬롯에 대한 정보, 업링크 그랜트 정보(UL grant), 그리고 업링크 동기화를 위한 타이밍 정보(T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UE는 상기 수신한 TA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된 스케쥴 시점에서, 업링크 그랜트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시간 주파수 자원 정보를 이용하여 물리 업링크 데이터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며,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을 수행할 수도 있다.
UE는 RAR을 수신한 CC들에 대하여 TA 유효성을 동시에 검증할 수 있다(884). 이 때, 상기 UE전용 RACH 파라미터 중, RAP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UE는 TA 유효성 검증을 생략할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UE는 eNB로부터 수신된 ACK 메시지에 포함된 C-RNTI, T_C-RNTI 또는 UE identity가 자신에 할당된 C-RNTI, T_C-RNTI 또는 UE identity와 동일한지를 확인하여, 상기 TA의 유효성을 동시에 검증할 수 있다. 여기서, UE는 C-RNTI, T_C-RNTI 또는 UE identity를 포함하는 L2/L3 메시지를 eNB로 전송하고, eNB로부터 L1/L2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는 ACK 메시지가 HARQ 동작에 기반한 것이기 때문이다.
UE는 RAR 수신을 통하여 eNB가 상기 RAR이 수신된 다운링크 CC와 연결 설정되어 있는 업링크 CC들을 그룹 내 대표 CC로 설정하였다는 것을 인지하고 상기 업링크 CC들을 그룹 내 대표 CC로 설정한다(886).
UE는 각 그룹 내 다른 CC들에 대하여 상기 872 단계에서 수신한 대표 CC의 TA값을 반영하여 업데이트 한다(888).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송신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송신장치(900)는 UE 의 RRC 모드를 확인하는 연결 모드 확인부(905), UE가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CC를 포함하여 CC 집합을 결정하는 CC집합 결정부(920), 업링크 타이밍 그룹을 생성하는 업링크 타이밍 그룹 생성부(930), 송수신부(95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RRC 모드 확인부(905)는 UE와 eNB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연결이 되지 않은 상태, 즉, UE RRC_IDLE이거나, 또는 업링크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UE의 연결 상태를 RRC_CONNECTED로 상태를 변경하거나 업링크 동기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UE와 PCC를 이용하여 무선 자원 제어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RRC 모드 확인부(905)는 송수신부(950)을 통해 UE로부터 전송된 RRC 연결 요청(RRC Conneciton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고, RRC 연결 설정 메시지를 UE로 전송하도록 동작한다. 또한, UE로부터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여 RRC 연결 설정을 완료한 후, UE RRC_CONNECTED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요소 반송파 집합 결정부(920)는 UE가 사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CC들을 확인하여 UE의 CC 집합을 설정한다. 이때, 상기 UE를 위한 CC 집합은 사용(구성)될 수 있는 CC들간의 업링크 동기 시간 차이, 각 CC의 타입 정보, 각 CC의 중심 주파수 위치, 각 CC의 서비스 지원 형태, 및 각 CC를 위한 네트워크 서비스 등을 고려하여 UE의 CC 집합을 설정할 수 있다.
업링크 타이밍 그룹 생성부(930)는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결정부(920)에서 결정된 CC 집합을 반영하여 UE의 업링크 타이밍 그룹을 생성한다. 여기서, 타이밍 그룹은, 요소 반송파들간의 중심 주파수 값의 차이와 임계치를 비교하거나, 동일/상이한 빔포밍 형태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들인지를 확인하거나, 업링크 동기 갱신 요청에 따라 갱신된 요소 반송파들인지, 또는 매크로(Macro) 셀에서 서비스 하지 않는 요소 반송파이나 매크로보다 작은 셀(femto cell, pico cell, micro cell, relay, repeater) 등에 의해 중첩된 공간에서 서비스 되는 요소 반송파인지 등을 확인하여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부(950)은 UE에게 CC 집합 정보와 업링크 타이밍 그룹 정보를 송신한다. 이 때, 송수신부(950)는 도 5와 같이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 정보를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와 함께 송신할 수 있고, 또는 도 6과 같이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 정보를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와 구분하여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950)는 CC 집합 정보를 송신한 후, 추가적으로 시스템 정보(SI)를 송신할 수도 있다. 따라서, UE로 하여금 상기 CC 집합 정보와, SI 정보를 기반으로 업링크 타이밍 그룹을 설정하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송수신부(950)는 UE로부터 동기화를 요청하는 동기화 요청 메시지,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프리엠블(Random Access Preamble)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에 대응하여 UE에 의해 결정된 대표 요소 반송파를 통해 전송되는 랜덤 액세스 프리엠블을 확인하여 각 업링크 타이밍 그룹에 대한 TA 값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동기화 요청 메시지의 수신은 하나 이상의 대표 대표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동시에 또는 이격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950)는 UE 로부터 전송되는 랜덤 액세스 프리엠블 메시지를 통해 업링크 타이밍 그룹 생성부(930)로 하여금 결정된 업링크 타이밍 그룹에 대하여 전체 또는 일부를 수정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910)는 상기 수신한 랜덤 액세스 프리엠블에 대하여 동기화와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업링크 할당, 동기화 관련된 TA정보 등을 포함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UE에 송신하도록 송수신부(950)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TA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는 앞서 살펴본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포함한다. 동기화와 관련된 정보는 앞서 업링크 전송 시간을 앞당기는데 필요한 정보인 TA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910)는 상기 송수신부(950)로 하여금 업링크 타이밍 그룹에 대하여 동기화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910)은 각 업링크 타이밍 그룹 별 TA 정보를, 그룹 인덱스에 대응하여 TA 값을 포함하는 테이블 형태로 생성할 수 있고, 각 타이밍 그룹 별 정해진 단위 오차를 포함하는 TA 값을 생성할 수 있고, 각 타이밍 그룹 별 오차는 정해진 단위 값에 대응하여 정수배의 크기를 가지도록 생성할 수 있고, 또는 타이밍 그룹 별 오차를 구체적으로 명시할 수도 있다. 또는 정해진 규칙에 따라 TA를 나타내는 지시자 형태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95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TA 값은 사용자 단말이 업링크 전송 시간을 조절하는데 필요한 업링크 동기화 정보의 일 실시예가 되며,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에 대한 동기화 정보는 하나 이상의 대표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동시에 또는 이격하여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10)는 모든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들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0의 구성요소들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모듈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고, 둘 이상의 모듈에서 하나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수신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수신장치(1000)는, 연결모드 확인부(1005), CC 집합 확인부(1007), 제어부(1010), 업링크 타이밍 조정부(1020), 업링크 타이밍 그룹 생성부(1030) 및 송수신부(1050)을 포함한다.
연결 모드 확인부(1005)는 eNB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 즉, UE RRC_IDLE이거나 eNB와 업링크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UE로 하여금 RRC_CONNECTED로 상태를 변경하거나 업링크 동기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UE와 PCC를 이용하여 무선 자원 제어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RRC 모드 확인부(905)는 송수신부(950)을 통해 eNB로 RRC 연결 요청(RRC Connecit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eNB로부터 RRC 연결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여,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를 통해 RRC 연결 설정을 완료하도록 한다.
송수신부(1050)는 eNB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일 예로, 송수신부(1050)는 eNB로부터 CC 집합 정보와 동기화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CC 집합 정보를 수신한 후, eNB로부터 CC 집합내의 CC들에 대한 SI도 수신할 수 있다. SI 정보는 CC의 주파수 대역 정보, 실제 가용한 주파수 크기 정보등을 포함한다.
요소 반송파 집합 확인부(1007)는 CC 집합 정보로부터 UE가 사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CC들을 확인한다. 상기 CC 집합은 UE가 사용할 수 있는 CC들간의 업링크 동기 시간 차이, 각 CC의 타입 정보, 각 CC의 중심 주파수 위치, 각 CC의 서비스 지원 형태, 및 각 CC를 위한 네트워크 서비스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 것이다.
업링크 타이밍 그룹 생성부(1030)는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결정부(920)에서 결정된 CC 집합을 반영하여 UE의 업링크 타이밍 그룹을 생성한다. 여기서, 업링크 타이밍 그룹은, 도 10에 설명한 조건 사항들을 반영하여 UE에 의해 설정 가능하다. 또한, 업링크 타이밍 그룹 생성부(1030)는 업링크 타이밍 그룹에 대한 대표 요소 반송파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업링크 타이밍 그룹 생성부(1030)가 송수신부(1050)를 통해 eNB로부터 CC 집합 정보와 함께 요소 반송파들에 대한 업링크 타이밍 그룹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수신한 업링크 타이밍 그룹에서 대표 요소 반송파를 선택한다. 물론 송수신부(1050)를 통해 CC집합 정보와 구분하여 별도의 시그널링르 통해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업링크 타이밍 그룹 생성부(1030)는 상기 송수신부(1050)에서 요소 반송파들에 대한 업링크 타이밍 그룹 정보를 수신하지 않았거나, 또는 eNB에서 생성한 업링크 타이밍 그룹 정보가 자신의 네트워크 상황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새로이 업링크 타이밍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10)는 상기 송수신부(1050)를 통해 동기화를 요청하는 동기화 요청 메시지를 상기 대표 요소 반송파를 통해 eNB로 송신하고, 상기 대표 요소 반송파를 통해 동기화와 관련된 정보를 eNB로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일 예로, 송수신부(1050)로 하여금 UE에 의해 선택된 랜덤 액세스 프리엠블(Random Access Preamble)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eNB로부터 전송되는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을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eNB와의 RRC 재구성 및 동기 획득을 위한 메시지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동기화 요청 메시지의 송신은 하나 이상의 대표 대표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동시에 또는 이격하여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10)는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통해 업링크 타이밍 그룹 생성부(930)로 하여금 결정된 업링크 타이밍 그룹에 대하여 전체 또는 일부를 수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1010)는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설정된 업링크 타이밍 그룹에 대응하여 각 업링크 타이밍 그룹에 대한 TA 값을 확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E의 업링크 전송을 위한 할당된 주파수 자원 정보를 확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업링크 타이밍 조정부(1020)는 제어부(1010)에 의해 확인된 TA 값을 확인하여 상기 대표 요소 반송파가 포함된 해당 업링크 타이밍 그룹의 모든 요소 반송파에 대하여 TA 값을 적용한다. 즉, eNB와의 동기화를 위하여 해당 업링크 타이밍 그룹에 TA값을 적용한다. 여기서, 각 업링크 타이밍 그룹 별 TA 정보는, 그룹 인덱스에 대응하여 TA 값을 포함하는 테이블 형태로 존재할 수 있고, 각 타이밍 그룹 별 정해진 단위 오차를 포함하는 TA 값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각 타이밍 그룹 별 오차가 정해진 단위 값에 대응하여 정수배의 크기를 가지도록 존재할 수도 있고, 또는 구체적으로 명시된 타이밍 그룹 별 오차로 존재할 수도 있고, 정해진 규칙에 따라 TA를 나타내는 지시자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업링크 타이밍 조정부(1020)는 각 업링크 타이밍 그룹에 확인된 TA를 적용하여 동기를 획득한다. 상기 TA 값은 사용자 단말이 업링크 전송 시간을 조절하는데 필요한 업링크 동기화 정보의 일 실시예가 되며,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에 대한 동기화 정보는 하나 이상의 대표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동시에 또는 이격하여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TA 정보가 동기화 정보에 포함된 경우, 업링크 타이밍 그룹의 모든 요소 반송파에 대하여 동일하게 TA 정보를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언급한, 제어부(1010)는 모든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들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1의 구성요소들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모듈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고, 둘 이상의 모듈에서 하나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이용하면,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사용 시 각 요소 반송파 또는 요소 반송파 그룹간의 서로 다른 업링크 동기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UE에서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동시에 사용하여 업링크로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동기 획득 오류로 인한 데이터 전송 오류 및 기지국에서의 정보 수신 지연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의 각 요소 반송파마다 업링크 동기 기준이 서로 상이한 경우, 이동통신단말기(user equipment: 이하 UE)에서 각 요소 반송파의 타입, 중심 주파수 위치 및 서비스 형태에 따라 업링크 동기를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6)

  1.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이 사용할 요소 반송파 집합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동기화를 요청하는 동기화 요청 메시지를 동시에 또는 이격하여 하나 이상의 대표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화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업링크 전송 시간을 조절하는데 필요한 업링크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표 요소 반송파는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생성한 업링크 타이밍 그룹의 대표 요소 반송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기지국에서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에 대한 정보는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와 함께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송신한 이후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기지국에서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에 대한 동기화 정보를 동시에 또는 이격하여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에 대한 동기화 정보는,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내의 요소 반송파들간의 중심 주파수 값 차이와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비교하거나, 또는 동일한 빔포밍 형태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들인지를 확인하거나, 또는 동기화 갱신 요청에 따라 갱신된 요소 반송파들인지를 확인하거나, 또는 매크로셀에서 서비스 하지 않는 요소 반송파이나 상기 매크로 셀보다 작은 커버리지 셀에 의해서 중첩된 공간에서 서비스 되는 요소 반송파인지 등을 확인하여, 상이한 전송 시간을 가지도록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기지국에서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요청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프리엠블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업링크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랜덤 액세스 프리엠블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대표 요소 반송파에 대한 그룹별 TA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TA 값을 업링크 할당 정보와 함께 랜덤 액세스 응답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기지국에서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을 설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과 주 서빙 셀을 이용하여 무선 자원 제어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기지국에서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방법.
  6. 사용자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생성한 업링크 타이밍 그룹에 대한 대표 요소 반송파를 설정하는 단계;
    동기화를 요청하는 동기화 요청 메시지를 상기 하나 이상의 대표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동시에 또는 이격하여 송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업링크 전송 시간을 조절하는데 필요한 업링크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업링크 동기화 정보를 상기 대표 요소반송파가 포함된 업링크 타이밍 그룹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 반송파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내의 요소 반송파들간의 중심 주파수 값 차이와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비교하거나, 또는 동일한 빔포밍 형태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들인지를 확인하거나, 또는 동기화 갱신 요청에 따라 갱신된 요소 반송파들인지를 확인하거나, 또는 매크로셀에서 서비스 하지 않는 요소 반송파이나 상기 매크로 셀보다 작은 커버리지 셀에 의해서 중첩된 공간에서 서비스 되는 요소 반송파인지 등을 확인하여, 업링크 타이밍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에 대한 정보는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와 함께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에 대한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에 대한 동기화 정보는,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내의 요소 반송파들간의 중심 주파수 값 차이와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비교하거나, 또는 동일한 빔포밍 형태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들인지를 확인하거나, 또는 동기화 갱신 요청에 따라 갱신된 요소 반송파들인지를 확인하거나, 또는 매크로셀에서 서비스 하지 않는 요소 반송파이나 상기 매크로 셀보다 작은 커버리지 셀에 의해서 중첩된 공간에서 서비스 되는 요소 반송파인지 등을 확인하여, 상이한 전송 시간을 가지도록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요청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프리엠블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업링크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엠블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대표 요소 반송파에 대하여 계산한 그룹별 TA 값이 업링크 할당 정보와 함께 랜덤 액세스 응답 정보에 포함된 것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방법.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기지국과 주 서빙 셀을 이용하여 무선 자원 제어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방법.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요소 반송파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기반으로 요소 반송파 집합 내의 요소 반송파들에 대한 시스템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시스템 관련 정보에서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내의 모든 업링크 요소 반송파를 통해 동시에 동기화를 요청하는 동기화 요청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업링크 타이밍 그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업링크 타이밍 그룹과 관련된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 중 전부 또는 일부의 요소 반송파를 통해 업링크 동기화 정보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화와 관련된 정보가 수신된 요소 반송파와 관련된 업링크 요소 반송파를 상기 수신한 업링크 타이밍 그룹 내의 대표 요소 반송파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 및 시스템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최초 업링크 타이밍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동시에 동기화를 요청하는 동기화 요청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시스템 관련 정보에서 상기 최초 업링크 타이밍 그룹 내의 모든 업링크 요소 반송파를 통해 동시에 상기 동기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수신한 동기화와 관련된 정보에서 타이밍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에 동기화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시스템 관련 정보에서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내의 모든 업링크 요소 반송파를 통해 동시에 동기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동시에 동기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는 경우
    동기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자원 정보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한 자원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방법.
  16.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이 사용할 요소 반송파 집합을 설정하는 요소 반송파 집합 결정부;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와 업링크 전송 시간을 조절하는데 필요한 업링크 동기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송신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동기화를 요청하는 동기화 요청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대표 요소 반송파를 통하여 동시에 또는 이격하여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동기화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업링크 동기화 정보를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대표 요소 반송파는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생성한 업링크 타이밍 그룹의 대표 요소 반송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에 포함되는 각 요소 반송파를 고려하여 업링크 타이밍 그룹을 생성하는 업링크 타이밍 그룹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 정보를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와 함께 RRC 메시지를 통해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와 구분하여 RRC 메시지를 통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에 대한 동기화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에 대한 동기화 정보는,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 생성부에 의해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내의 요소 반송파들간의 중심 주파수 값 차이와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비교하거나, 또는 동일한 빔포밍 형태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들인지를 확인하거나, 또는 동기화 갱신 요청에 따라 갱신된 요소 반송파들인지를 확인하거나, 또는 매크로셀에서 서비스 하지 않는 요소 반송파이나 상기 매크로 셀보다 작은 커버리지 셀에 의해서 중첩된 공간에서 서비스 되는 요소 반송파인지 등을 확인하여, 상이한 전송 시간을 가지도록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장치.
  19.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업링크 전송 시간을 조절하는데 필요한 업링크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며, 동기화를 요청하는 동기화 요청 메시지를 상기 대표 요소 반송파을 통해 동시에 또는 이격하여 송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수신한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생성한 업링크 타이밍 그룹에 대한 대표 요소 반송파를 설정하는 요소 반송파 집합 확인부;
    상기 수신한 업링크 동기화 정보를 상기 대표 요소반송파가 포함된 업링크 타이밍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 반송파에 적용하는 업링크 타이밍을 조정하는 업링크 타이밍 조정부를 포함하는,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와 상기 업링크 동기화 정보를 이용하여 업링크 타이밍 그룹을 설정하는 업링크 타이밍 그룹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 생성부는,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내의 요소 반송파들간의 중심 주파수 값 차이와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비교하거나, 또는 동일한 빔포밍 형태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들인지를 확인하거나, 또는 동기화 갱신 요청에 따라 갱신된 요소 반송파들인지를 확인하거나, 또는 매크로셀에서 서비스 하지 않는 요소 반송파이나 상기 매크로 셀보다 작은 커버리지 셀에 의해서 중첩된 공간에서 서비스 되는 요소 반송파인지 등을 확인하여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장치.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 정보를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와 함께 RRC 메시지를 통해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와 구분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장치.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에 대한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에 대한 동기화 정보는,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 생성부에 의해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내의 요소 반송파들간의 중심 주파수 값 차이와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비교하거나, 또는 동일한 빔포밍 형태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들인지를 확인하거나, 또는 동기화 갱신 요청에 따라 갱신된 요소 반송파들인지를 확인하거나, 또는 매크로셀에서 서비스 하지 않는 요소 반송파이나 상기 매크로 셀보다 작은 커버리지 셀에 의해서 중첩된 공간에서 서비스 되는 요소 반송파인지 등을 확인하여, 상이한 전송 시간을 가지도록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장치.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를 기반으로 요소 반송파 집합 내의 요소 반송파들에 대한 시스템 관련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시스템 관련 정보에 의하여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내의 모든 업링크 요소 반송파를 통해 동시에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업링크 타이밍 그룹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업링크 타이밍 그룹과 관련된 다운링크 요소 반송파 중 전부 또는 일부의 요소 반송파를 통해 동기화와 관련된 정보를 동시에 수신하며,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확인부는 업링크 동기화 정보가 수신된 요소 반송파와 관련된 업링크 요소 반송파를 상기 수신한 업링크 타이밍 그룹 내의 대표 요소 반송파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정보 및 시스템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최초 업링크 타이밍 그룹을 생성하는 업링크 타이밍 그룹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수신한 시스템 관련 정보에서 상기 최초 업링크 타이밍 그룹 내의 모든 업링크 요소 반송파를 통해 동시에 동기화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장치.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수신한 시스템 관련 정보에서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 내의 모든 업링크 요소 반송파를 통해 동시에 동기화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지 확인하여, 상기 확인 결과 동시에 동기화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는 경우 동기화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자원 정보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하고, 상기 송신한 자원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장치.
  26.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에 대한 동기화 정보를 동시에 수신하며,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에 대한 동기화 정보는, 상기 업링크 타이밍 그룹 생성부에 의해 상기 요소 반송파 집합내의 요소 반송파들간의 중심 주파수 값 차이와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비교하거나, 또는 동일한 빔포밍 형태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들인지를 확인하거나, 또는 동기화 갱신 요청에 따라 갱신된 요소 반송파들인지를 확인하거나, 또는 매크로셀에서 서비스 하지 않는 요소 반송파이나 상기 매크로 셀보다 작은 커버리지 셀에 의해서 중첩된 공간에서 서비스 되는 요소 반송파인지 등을 확인하여, 상이한 전송 시간을 가지도록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장치.
KR1020110008683A 2010-02-10 2011-01-28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03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742487.9A EP2536227B1 (en) 2010-02-10 2011-02-10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uplink synchroniz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1/000909 WO2011099795A2 (ko) 2010-02-10 2011-02-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장치 및 방법
JP2012552806A JP2013520065A (ja) 2010-02-10 2011-02-10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同期を設定する装置及び方法
CN201180014458.7A CN102812762B (zh) 2010-02-10 2011-02-10 在无线通信系统中建立上行链路同步的设备和方法
CN201610908740.4A CN107070615B (zh) 2010-02-10 2011-02-10 在无线通信系统中建立上行链路同步的设备和方法
US13/578,531 US9054835B2 (en) 2010-02-10 2011-02-10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uplink synchroniz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4/733,068 US9854545B2 (en) 2010-02-10 2015-06-08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uplink synchroniz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5154385A JP6175466B2 (ja) 2010-02-10 2015-08-04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同期を設定する装置及び方法
US15/820,980 US20180098294A1 (en) 2010-02-10 2017-11-22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uplink synchroniz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6/733,106 US11012954B2 (en) 2010-02-10 2020-01-02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uplink synchroniz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7/322,832 US11659503B2 (en) 2010-02-10 2021-05-17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uplink synchroniz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8/136,253 US20230254785A1 (en) 2010-02-10 2023-04-18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uplink synchroniz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12564 2010-02-10
KR1020100012564 2010-02-10
KR1020100027230 2010-03-26
KR20100027230 2010-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632A true KR20110093632A (ko) 2011-08-18
KR101803015B1 KR101803015B1 (ko) 2017-12-01

Family

ID=44930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683A KR101803015B1 (ko) 2010-02-10 2011-01-28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6) US9054835B2 (ko)
EP (1) EP2536227B1 (ko)
JP (2) JP2013520065A (ko)
KR (1) KR101803015B1 (ko)
CN (2) CN107070615B (ko)
WO (1) WO2011099795A2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892B1 (ko) * 2010-04-02 2013-02-27 에이서 인코포레이티드 요소 반송파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통신 장치
WO2013048170A2 (ko) * 2011-09-29 2013-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3048172A2 (ko) * 2011-09-29 2013-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기기
WO2013028018A3 (ko) * 2011-08-23 2013-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 송수신 방법 이를 위한 장치
WO2013095003A1 (ko) * 2011-12-20 2013-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동기 획득 방법 및 장치
WO2013125922A1 (ko) * 2012-02-23 2013-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접속 절차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3125890A1 (ko) * 2012-02-24 2013-08-29 주식회사 팬택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의 수행 장치 및 방법
KR101306377B1 (ko) * 2011-09-29 2013-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3169034A1 (ko) * 2012-05-09 201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전송 방법 및 무선기기
WO2014011004A2 (en) * 2012-07-13 2014-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of uplink sounding reference signals in a communication system with large number of antennas
KR101407094B1 (ko) * 2012-10-31 2014-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EP2785122A1 (en) * 2011-12-19 2014-10-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nfirming timing advance group of service cell
KR20160005007A (ko) * 2013-04-03 2016-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서빙 셀을 통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EP2749112B1 (en) * 2011-10-04 2018-09-26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for 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 on a secondary carrier
US10285176B1 (en) 2017-04-28 2019-05-07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Wireless access point optimization of carrier aggregation using beamforming
KR20200058436A (ko) * 2017-10-09 2020-05-2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통합된 액세스 백홀 (iab) 네트워크에서의 타이밍 및 프레임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2097A1 (fr) * 2009-02-06 2010-08-13 Thomson Licensing Procede d'emission dans un reseau sans fil et procede de reception correspondant
JP5789668B2 (ja) * 2010-09-30 2015-10-07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複数のアップリンク・コンポーネント・キャリアに関するタイミング・アドバンス構成
EP2676475B1 (en) 2011-02-15 2022-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headroom report
US9615338B2 (en) 2011-02-15 2017-04-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headroom report method and apparatus of UE
KR102073027B1 (ko) 2011-04-05 2020-02-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적 기술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타임 정렬 타이머 운용 방법 및 장치
EP2679046B1 (en) 2011-02-21 2018-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efficiently reporting user equipment transmission power and apparatus thereof
KR101995293B1 (ko) 2011-02-21 2019-07-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적 기술을 사용하는 시분할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부차반송파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방법 및 장치
CN102740494A (zh) * 2011-04-02 2012-10-17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一种进行随机接入的方法
EP2696517B1 (en) * 2011-04-05 2019-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fficient carrier activation in carrier aggregation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3249831B1 (en) 2011-04-11 2019-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transmitting information acquired by a terminal to a base station
EP2709292B1 (en) 2011-05-10 2021-09-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time alignment tim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carrier aggregation technique
US8395985B2 (en) * 2011-07-25 2013-03-12 Ofinno Technologies, Llc Time alignment in multicarrier OFDM network
US9642114B2 (en) * 2011-11-04 2017-05-02 Intel Corporation Path-loss estimation for uplink power control in a carrier aggregation environment
KR101612652B1 (ko) * 2011-11-21 2016-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기기
US8995405B2 (en) 2012-01-25 2015-03-31 Ofinno Technologies, Llc Pathloss reference configuration in a wireless device and base station
US9237537B2 (en) 2012-01-25 2016-01-12 Ofinno Technologies, Llc Random access process in a multicarrier base station and wireless device
US8964780B2 (en) 2012-01-25 2015-02-24 Ofinno Technologies, Llc Sounding in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s
CN104094548B (zh) * 2012-02-07 2018-01-26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传送定时调整的方法和装置
WO2013141544A1 (en) * 2012-03-18 2013-09-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943813B2 (en) 2012-04-01 2024-03-2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ell group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20130259008A1 (en) 2012-04-01 2013-10-03 Esmael Hejazi Dinan Random Access Response Proces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US9215678B2 (en) 2012-04-01 2015-12-15 Ofinno Technologies, Llc Timing advance timer configuration in a wireless device and a base station
EP2839705B1 (en) 2012-04-16 2017-09-0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ell group configuration for uplink transmission in a multicarrier wireless device and base station with timing advance groups
US11252679B2 (en) 2012-04-16 2022-02-1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ignal transmission power adjustment in a wireless device
US11582704B2 (en) 2012-04-16 2023-02-1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ignal transmission power adjustment in a wireless device
US8964593B2 (en) 2012-04-16 2015-02-24 Ofinno Technologies, Llc Wireless device transmission power
US11825419B2 (en) 2012-04-16 2023-11-2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ell timing in a wireless device and base station
US9210664B2 (en) 2012-04-17 2015-12-08 Ofinno Technologies. LLC Preamble transmission in a wireless device
US8971280B2 (en) 2012-04-20 2015-03-03 Ofinno Technologies, Llc Uplink transmissions in a wireless device
US9179425B2 (en) 2012-04-17 2015-11-03 Ofinno Technologies, Llc Transmit power control in multicarrier communications
CN104221453B (zh) * 2012-05-14 2018-03-20 富士通株式会社 一种时间提前量组重配的方法和装置
US11622372B2 (en) 2012-06-18 2023-04-0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ommunication device
US8971298B2 (en) 2012-06-18 2015-03-03 Ofinno Technologies, Llc Wireless device connection to an application server
US11882560B2 (en) 2012-06-18 2024-01-2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arrier grouping in multicarrier wireless networks
US9084228B2 (en) 2012-06-20 2015-07-14 Ofinno Technologies, Llc Auto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9107206B2 (en) 2012-06-18 2015-08-11 Ofinne Technologies, LLC Carrier grouping in multicarrier wireless networks
US9113387B2 (en) 2012-06-20 2015-08-18 Ofinno Technologies, Llc Handover signalling in wireless networks
US9210619B2 (en) 2012-06-20 2015-12-08 Ofinno Technologies, Llc Signalling mechanisms for wireless device handover
US9179457B2 (en) 2012-06-20 2015-11-03 Ofinno Technologies, Llc Carrier configuration in wireless networks
CN103905165B (zh) * 2012-12-28 2017-10-3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应答反馈信息的发送和接收方法及设备
WO2014109580A2 (ko) * 2013-01-10 2014-07-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형 셀 향상 방법
CN110086588B (zh) 2013-01-10 2021-11-02 韩国电子通信研究院 载波聚合方法
US9705658B2 (en) * 2013-02-04 2017-07-11 Mbit Wirel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inconsistent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5913255B2 (ja) * 2013-10-31 2016-04-27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局及び移動通信方法
KR101789639B1 (ko) 2013-11-12 2017-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동기를 획득하고 상향링크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EP2887561B1 (en) * 2013-12-18 2019-07-03 Alcatel Lucent Beamforming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a base station transceiver and a mobile transceiver
WO2015141637A1 (ja) * 2014-03-19 2015-09-24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WO2015170935A1 (en) * 2014-05-09 2015-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voiding interference in device-to-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220123B1 (en) 2014-07-10 2015-12-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eer-to-peer sharing of network resources
KR20160052982A (ko) * 2014-10-29 2016-05-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속 이동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신호 수신 방법 및 그 장치
US10673673B2 (en) 2015-02-03 2020-06-0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ynchronization for carrier without synchronization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8370516B (zh) * 2015-11-16 2021-01-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小区测量报告的方法及用户设备
CN107241780A (zh) * 2016-03-28 2017-10-10 北京信威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小区的上行同步方法及系统
EP3437390A2 (en) * 2016-04-01 2019-02-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ibs based synchronization service
US10187864B2 (en) 2016-04-01 2019-01-22 Qualcomm Incorporated Timing advance design for enhanced component carrier
US10904784B2 (en) 2016-06-15 2021-01-26 Qualcomm Incorporated Beam reporting and scheduling in multicarrier beamformed communications
EP3531784B1 (en) * 2016-12-26 2020-09-0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Random access method and apparatus
CN108617004B (zh) * 2017-01-25 2020-02-18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rrc连接态传输数据的方法及装置
CN108400949B (zh) * 2017-02-04 2021-08-20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设备
US10516434B2 (en) * 2017-03-17 2019-12-24 Corning Incorporated Communication circuit enabling optimal synchronization for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SIC)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CS)
US10708955B2 (en) 2017-06-23 2020-07-07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supplementary uplink random access configuration
EP3665977B1 (en) * 2017-08-09 2023-07-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and method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JP7085347B2 (ja) * 2017-12-27 2022-06-16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19153237A1 (zh) * 2018-02-09 2019-08-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配置同步载波的方法、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0731107B (zh) * 2018-02-09 2020-09-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链路监测方法及相关设备
JP6948460B2 (ja) * 2018-04-02 2021-10-13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Lg Electronics Inc.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信号の送受信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JP6885907B2 (ja) * 2018-09-20 2021-06-16 Kddi株式会社 待ち受け状態で端末装置が通信を行う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228405B2 (en) * 2019-01-02 2022-01-18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channel processing limits for asynchronous cells
US11265878B1 (en) 2019-12-09 2022-03-0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Primary component carrier control in a wireless access node that uses multiple radio frequency bands
US11115989B1 (en) 2019-12-09 2021-09-07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Primary component carrier selection in a wireless access node that uses multiple radio frequency bands
US11589343B2 (en) * 2019-12-16 2023-02-21 Qualcomm Incorporated Fast beam update in a group of component carriers via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WO2024090181A1 (ja) * 2022-10-28 2024-05-02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0895B2 (ja) * 2006-01-18 2010-03-2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PL1816883T3 (pl) * 2006-02-03 2017-08-3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Przydział zasobów na łączu uplink w systemie komunikacji mobilnej
KR101121071B1 (ko) * 2006-05-01 2012-03-15 노키아 코포레이션 전용 업링크 리소스 할당을 사용하는 것을 통해서 업링크 동기화를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US8031692B2 (en) * 2006-06-22 2011-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aintaining uplink timing synchroniz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user equipment apparatus for the same
WO2008023943A1 (en) * 2006-08-23 2008-02-2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transmitting response message of random access in cellular system and a method of random access using the same
EP2068571B1 (en) * 2006-09-28 2014-02-12 Fujitsu Limite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880885B1 (ko) 2006-12-31 2009-01-30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신호 전송 장치 및 방법
WO2008096959A1 (en) * 2007-02-06 2008-08-14 Lg Electronics Inc. Use of dedicated rach signatures
WO2008104098A1 (en) * 2007-02-28 2008-09-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transmit timing for sommunication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20080079961A (ko) 2007-02-28 2008-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레인징 수행 방법
RU2009137762A (ru) * 2007-03-13 2011-04-20 Интердиджитал Текнолоджи Корпорейшн (Us) Процесс повторного выбора соты для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US20080268850A1 (en) * 2007-04-30 2008-10-3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662828B (zh) * 2007-06-12 2013-12-04 夏普株式会社 基站装置及其处理方法、移动站装置及其处理方法
CN101589566B (zh) * 2007-06-18 2013-06-12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上行链路同步的方法
US20100142485A1 (en) * 2007-08-13 2010-06-10 Eun Jong Lee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09075231A1 (ja) * 2007-12-13 2009-06-18 Sharp Kabushiki Kaisha 移動局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KR100917209B1 (ko) * 2008-03-13 2009-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램블링 성능 개선을 위한 임의접속 방법
WO2009113815A2 (en) * 2008-03-13 2009-09-17 Lg Electronics Inc. Random access method for improving scrambling efficiency
US8606336B2 (en) * 2008-03-20 2013-12-10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timing synchronization in conjunction with discontinuous reception
JP5169442B2 (ja) * 2008-04-25 2013-03-27 富士通株式会社 無線基地局、移動局および通信方法
US8830982B2 (en) * 2008-05-05 2014-09-09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multicarrier uplink control
KR101468742B1 (ko) * 2008-05-06 2014-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US8514793B2 (en) * 2008-10-31 2013-08-2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processing component carriers
CN101466153A (zh) * 2009-01-07 2009-06-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系统中完成随机接入响应发送的方法及基站
CN102273309B (zh) * 2009-01-08 2015-02-11 Lg电子株式会社 在随机接入过程期间处理时间对准命令的方法
US8937901B2 (en) * 2009-03-17 2015-01-20 Qualcomm Incorporated Carrier tim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JP2010254386A (ja) 2009-04-21 2010-11-11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US9084206B2 (en) * 2009-06-23 2015-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L3139674T3 (pl) * 2009-06-26 2020-07-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posoby i układy w sieci telekomunikacyjnej
WO2011005011A2 (ko) * 2009-07-06 2011-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임의 접속 방법 및 장치
US8638815B2 (en) * 2010-01-08 2014-01-28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for uplink carrier aggregation
CN102812761B (zh) * 2010-01-08 2016-04-27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保持与多个上行链路载波的时间校准
KR20110093402A (ko) * 2010-02-12 2011-08-18 주식회사 팬택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63059B2 (en) 2010-04-02 2016-06-07 Acer Incorporated Method of handling component carrier activation and deactiv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KR101237892B1 (ko) * 2010-04-02 2013-02-27 에이서 인코포레이티드 요소 반송파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통신 장치
US9414337B2 (en) 2011-08-23 2016-08-0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nchronization signals in wireless access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WO2013028018A3 (ko) * 2011-08-23 2013-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 송수신 방법 이를 위한 장치
US9742539B2 (en) 2011-09-29 2017-08-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WO2013048172A3 (ko) * 2011-09-29 2013-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기기
US9344242B2 (en) 2011-09-29 2016-05-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US10972242B2 (en) 2011-09-29 2021-04-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and wireless device using same
WO2013048170A3 (ko) * 2011-09-29 2013-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306377B1 (ko) * 2011-09-29 2013-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306404B1 (ko) * 2011-09-29 2013-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기기
US10033499B2 (en) 2011-09-29 2018-07-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and wireless device using same
US9991999B2 (en) 2011-09-29 2018-06-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US9461797B2 (en) 2011-09-29 2016-10-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and wireless device using same
WO2013048170A2 (ko) * 2011-09-29 2013-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US9667398B2 (en) 2011-09-29 2017-05-3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and wireless device using same
US9137762B2 (en) 2011-09-29 2015-09-1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and wireless device using same
WO2013048172A2 (ko) * 2011-09-29 2013-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기기
US8948119B2 (en) 2011-09-29 2015-02-0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EP2749112B1 (en) * 2011-10-04 2018-09-26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for 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 on a secondary carrier
EP2785122A1 (en) * 2011-12-19 2014-10-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nfirming timing advance group of service cell
EP2785122A4 (en) * 2011-12-19 2014-10-01 Huawei Tech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NFIRMING TIMING ADVANCE GROUP OF SERVICE CELL
US10136367B2 (en) 2011-12-19 2018-11-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iming advance group of serving cell
US9768923B2 (en) 2011-12-20 2017-09-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uplink synchroniz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3095003A1 (ko) * 2011-12-20 2013-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동기 획득 방법 및 장치
KR20140111655A (ko) * 2011-12-20 2014-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동기 획득 방법 및 장치
WO2013125922A1 (ko) * 2012-02-23 2013-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접속 절차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674871B2 (en) 2012-02-23 2017-06-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executing random access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WO2013125890A1 (ko) * 2012-02-24 2013-08-29 주식회사 팬택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의 수행 장치 및 방법
WO2013169034A1 (ko) * 2012-05-09 201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전송 방법 및 무선기기
US9801209B2 (en) 2012-05-09 2017-10-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random access preamble, and wireless device
US9167597B2 (en) 2012-07-13 2015-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of uplink sounding reference signals in a communication system with large number of antennas
WO2014011004A3 (en) * 2012-07-13 2014-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of uplink sounding reference signals in a communication system with large number of antennas
WO2014011004A2 (en) * 2012-07-13 2014-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of uplink sounding reference signals in a communication system with large number of antennas
US9413503B2 (en) 2012-10-31 2016-08-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
US9887819B2 (en) 2012-10-31 2018-02-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
KR101407094B1 (ko) * 2012-10-31 2014-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US9742540B2 (en) 2012-10-31 2017-08-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
KR20160005007A (ko) * 2013-04-03 2016-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서빙 셀을 통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US9769822B2 (en) 2013-04-03 2017-09-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data using multiple serving cells
US10285176B1 (en) 2017-04-28 2019-05-07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Wireless access point optimization of carrier aggregation using beamforming
KR20200058436A (ko) * 2017-10-09 2020-05-2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통합된 액세스 백홀 (iab) 네트워크에서의 타이밍 및 프레임 구조
US11647472B2 (en) 2017-10-09 2023-05-09 Qualcomm Incorporated Timing and frame structure in an integrated access backhaul (IAB)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45949A1 (en) 2020-05-07
US20120307821A1 (en) 2012-12-06
US20230254785A1 (en) 2023-08-10
JP2015222988A (ja) 2015-12-10
CN102812762A (zh) 2012-12-05
CN107070615A (zh) 2017-08-18
US20150271770A1 (en) 2015-09-24
WO2011099795A2 (ko) 2011-08-18
US20180098294A1 (en) 2018-04-05
JP2013520065A (ja) 2013-05-30
EP2536227A2 (en) 2012-12-19
US11012954B2 (en) 2021-05-18
CN107070615B (zh) 2020-06-30
WO2011099795A3 (ko) 2012-02-02
JP6175466B2 (ja) 2017-08-02
US9854545B2 (en) 2017-12-26
EP2536227A4 (en) 2013-12-11
EP2536227B1 (en) 2019-05-08
CN102812762B (zh) 2016-11-16
US11659503B2 (en) 2023-05-23
KR101803015B1 (ko) 2017-12-01
US9054835B2 (en) 2015-06-09
US20210274455A1 (en)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3015B1 (ko)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동기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2563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타이밍을 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99537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2030781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uplink synchroniz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76687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同期の実行装置及び方法
US884868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ceiving information on an uplink timing group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020971B2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transreceiving TDD
US9313807B2 (en) Method and device for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carrier wave
KR2016013236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random access procedure) 내 단말에 임시 식별자를 할당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2011135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동기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EP2810499B1 (en) User equipment, radio base station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time alignment timer
KR20230105313A (ko) 셀 변경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86861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의 수행장치 및 방법
US99009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ier aggregation
KR2012013228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의 수행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