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3362A - 듀얼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듀얼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3362A
KR20110093362A KR1020100013368A KR20100013368A KR20110093362A KR 20110093362 A KR20110093362 A KR 20110093362A KR 1020100013368 A KR1020100013368 A KR 1020100013368A KR 20100013368 A KR20100013368 A KR 20100013368A KR 20110093362 A KR20110093362 A KR 20110093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data
video data
camera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희
안상준
최광철
이건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3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3362A/ko
Publication of KR20110093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3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수의 카메라 센서를 동시에 동작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수의 카메라 센서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 및 동영상 데이터를 하나의 복합된 멀티미디어 파일로 생성하고, 상기 복합된 멀티미디어 파일에서 동영상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를 동시에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동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는 제 1 카메라 센서, 이미지 데이터를 촬영하는 제 2 카메라 센서와, 상기 제 1 카메라 센서를 통해 촬영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포멧 및, 상기 1 카메라 센서를 통한 촬영 도중에 상기 제 2 카메라 센서를 통해 촬영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포멧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포멧과 상기 촬영된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복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합 영상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듀얼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AMERA FUNCTION IN PORTABLE TERMINAL HAVING A DUAL CAMERA}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수의 카메라 센서를 동시에 동작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수의 카메라 센서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 및 동영상 데이터를 하나의 복합된 멀티미디어 파일로 생성하고, 상기 복합된 멀티미디어 파일에서 동영상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를 동시에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의 급격한 발달에 따라 현대인에게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으로서 남녀 노소를 막론하고 사용하고 있으며, 무선 음성 통화 및 정보 교환이 가능한 매체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보급 초기에는 단순히 휴대할 수 있고, 무선 통화가 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그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 및 단말기 제조자는 다른 업체와의 차별화를 위해 제품(또는 서비스)을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폰북(phone book), 게임(game),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이메일(e-mail), 모닝콜(morning call), MP 3(MPEG Layer 3), 일정 관리 기능, 디지털 카메라 및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기기로 발전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는 수만 칼라 이상의 색 표현 특성을 가지는 대형 화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여 메가 픽셀 이상의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으며, 높은 해상도를 가지는 상기 화면을 통해 촬영한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으며, 상기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위한 다수개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여 입체 영상을 제공하거나 파노라마 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다수개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기 카메라 모듈들을 동시에 구동하지 않고 이미지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는 하나의 카메라 모듈만 구동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다수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생산 단가가 상승하였지만, 상기 카메라 모듈의 사용빈도가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카메라 모듈을 동시에 구동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사용빈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수의 카메라 센서를 동시에 동작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수의 카메라 센서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 및 동영상 데이터를 하나의 복합된 멀티미디어 파일로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하나의 복합된 멀티미디어 파일에서 동영상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를 동시에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듀얼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동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는 제 1 카메라 센서, 이미지 데이터를 촬영하는 제 2 카메라 센서와, 상기 제 1 카메라 센서를 통해 촬영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포멧 및, 상기 1 카메라 센서를 통한 촬영 도중에 상기 제 2 카메라 센서를 통해 촬영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포멧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포멧과 상기 촬영된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복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합 영상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듀얼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제 1 카메라 센서를 통해 동영상 데이터를 촬영할 경우,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포멧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1 카메라 센서를 통해 동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는 도중에 제 2 카메라 센서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포멧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한 포멧과 상기 촬영한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복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수의 카메라 센서를 통해 동시에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 및 동영상 데이터를 촬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는 도중에 다른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촬영하여 상기 다수의 카메라 센서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하나의 피사체에 대하여 동영상 데이터 및 고 화소의 이미지 데이터를 함께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영상 데이터를 처리를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복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복합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영상 데이터의 포멧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 포멧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복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복합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라 복합 영상 데이터가 재생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수의 카메라 센서를 통해 동시에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 및 동영상 데이터를 하나의 복합된 멀티미디어 파일로 생성하고, 상기 복합된 멀티미디어 파일에서 동영상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를 동시에 재생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복합 영상 데이터는 두개의 카메라 센서를 통해 동시에 획득된 동영상 데이터와 정지 영상 데이터(이미지 데이터)를 하나의 파일로 저장한 멀티미디어 파일로 상기 동영상 재생 중 고 화질의 정지 영상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파일을 말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영상 데이터를 처리를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100), 카메라부(102), 복합 영상 데이터 생성부(106), 메모리부(110), 입력부(112), 표시부(114) 및 통신부(116)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부(102)는 동영상 데이터와 정지 영상 데이터를 동시에 촬영할 수 있는 다수의 카메라 센서들(제 1 카메라 센서(103), 제 2 카메라 센서(10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합 영상 데이터 생성부(106)는 속성 정보 확인부(107), 포멧 생성부(108), 영상 데이터 재생부(109)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두 개의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동영상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를 동시에 촬영하도록 처리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와 같이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를 합친 하나의 멀티미디어 파일인 복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처리하며, 상기 복합 영상 데이터 재생시 상기 복합 영상 데이터의 포멧을 분석하여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면서 이미지 데이터의 출력 시점을 확인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상기 카메라부(102)는 두 개의 카메라 센서를 구비하여 하나의 피사체에 대하여 동시 촬영을 가능하게 하며 본 발명에 따라 입체 영상을 위하여 구동하지 않을 경우, 각각의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동영상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를 동시에 촬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카메라부(102)는 두 개의 카메라로 구성하거나 하나의 카메라에 두 개의 카메라 센서를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102)는 제 1 카메라 센서(103)를 통해 동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는 상태에서 이미지 데이터의 촬영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경우, 상기 제 2 카메라 센서(104)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촬영한다.
상기 복합 영상 데이터 생성부(106)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본 발명에 따라 두개의 카메라 센서를 통해 획득된 동영상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를 하나의 파일로 저장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파일 재생시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면서 고 화질의 정지 영상 데이터의 출력을 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복합 영상 데이터 생성부(106)는 상기 두개의 카메라 센서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들(동영상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을 각각 인코딩한 후, 그 결과를 상기 복합 영상 데이터 형식에 맞게 하나의 파일로 구성한다.
상기 복합 영상 데이터 생성부(106)의 속성 정보 확인부(107)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 파일에 포함되는 이미지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확인하는 것으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촬영된 시간 정보, 촬영된 이미지의 사이즈, 연속된 이미지 데이터의 간격(옵셋) 정보 등을 확인하는 것이다.
상기 복합 영상 데이터 생성부(106)의 포멧 생성부(108)는 상기 복합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동영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와 본 발명에 의해 추가되는 이미지 데이터에 관련된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복합 영상 데이터의 포멧을 생성한다.
상기 복합 영상 데이터 생성부(106)의 영상 데이터 재생부(109)는 상기 복합 영상 데이터 생성부(106)에 의해 생성된 복합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여 상기 동영상 데이터 재생 중 고 화질의 정지 영상의 출력을 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영상 데이터 재생부(109)는 상기 복합 영상 데이터의 포멧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동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재생한다. 이는 일반적인 동영상 데이터 재생기의 동작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재생부(109)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중 상기 복합 영상 데이터의 포멧을 분석하여 현재 재생중인 동영상 데이터를 획득한 시점에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존재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영상 데이터 재생부(109)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을 중지한 후,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고 화질로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확대하여 출력될 수 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10)는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롬(flash ROM)으로 구성된다. 상기 롬은 상기 제어부(100) 및, 상기 복합 영상 데이터 생성부(106)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램은 상기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플래쉬롬은 전화번호부(phone book), 발신메시지 및 수신메시지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입력부(112)는 0 ~ 9의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접속 버튼, 네비게이션 키(또는 방향키) 버튼들 및 문자 입력 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114)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상태 정보,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부(114)는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114)는 터치 입력 장치를 구비하여 터치 입력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할 경우 입력 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6)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신호를 송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한 후, RF처리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된 RF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기저대역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 복호(Channel decoding)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복합 영상 데이터 생성부(106)의 역할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100)에 의해 수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도시한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구성이지 결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자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이들 모두를 상기 제어부(10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수의 카메라 센서를 통해 동시에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 및 동영상 데이터를 하나의 복합된 멀티미디어 파일로 생성하고, 상기 복합된 멀티미디어 파일에서 동영상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를 동시에 재생시키기 위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카메라 센서를 통해 동시에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 및 동영상 데이터를 하나의 복합된 멀티미디어 파일로 생성하고, 상기 복합된 멀티미디어 파일에서 동영상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를 동시에 재생시키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복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두 개의 카메라 센서를 구비하고 있으며,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카메라 센서(201)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제 2 카메라 센서(205)를 통해 동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각각의 카메라 센서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들(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을 인코딩(203), (207)한 후, 인코딩 결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포멧을 생성(209)하고, 상기 생성한 포멧과 실제 이미지 데이터 및 실제 동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합 영상 데이터를 생성(211)한다.
상기와 같이 생성된 복합 영상 데이터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동영상 데이터가 동일한 파일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말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복합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도 2에서와 같이 생성된 복합 영상 데이터를 재생(301)할 경우, 상기 복합 영상 데이터의 포멧을 분석(303)하여 복합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복합 영상 데이터의 포멧 분석 결과, 상기 데이터에 이미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고, 동영상 데이터만 존재함을 확인할 경우, 일반적인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과정(305)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복합 영상 데이터의 포멧 분석 결과, 상기 데이터에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가 존재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도중에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하도록 처리(307)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도중에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 영상 데이터의 포멧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복합 영상 데이터의 포멧은 일반적인 ISO base media file format(400)의 구조를 확장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ISO base media file format(400)은 파일 타입과 호환 포맷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ftyp" 항목을 포함하여 호환 타입에 따라 해당 디코더에서 정상적인 재생이 가능하도록 한다. "moov" 항목(410)의 각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동영상 컨텐츠(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트랙(비디오 트랙)(412), 오디오 컨텐츠(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트랙(오디오 트랙)(414)으로 구성되나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영상 데이터의 포멧은 상기 트랙(비디오 트랙(412), 오디오 트랙(414))들 뿐만 아니라 이미지 컨텐츠(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트랙(이미지 트랙)(416)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moov" 항목(410)은 프레임 레이트, 비트 레이트, 이미지 사이즈 등의 컨텐츠 정보와 빨리 감기/빨리 되감기(FF/REW) 등의 재생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싱크 정보 및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모든 정보가 포함된다. "mdat" 항목(420)은 각 트랙에 따라 실제 스트림 데이터를 포함하며, 비디오와 오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가 각각의 프레임 단위로 저장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 포멧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두 개의 카메라 센서 가운데 하나의 카메라 센서(제 1 카메라 센서)를 통해 동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도중에 다른 카메라 센서(제 2 카메라 센서)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다고 가정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 획득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되기 전까지 상기 제 1 카메라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동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한 후, 인코딩 결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포멧을 생성하고,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안 상기 이미지 데이터 획득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 2 카메라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인코딩한 후, 인코딩 결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포멧을 생성한다.
상기 제 1 카메라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동영상 데이터의 포멧을 생성하는 과정은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과정과 동일하며, 상기 제 2 카메라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이미지 데이터의 포멧은 상기 도 5와 같이 이미지 데이터의 파일 타입과 호환 포맷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ftyp" 항목(500)과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트랙(이미지 트랙)(512)을 포함하는 "moov" 항목(510)과 상기 이미지 트랙(512)에 해당하는 실제 스트림 데이터를 포함하는 "mdat" 항목(526)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트랙(512)은 현재 트랙의 타입을 나타내는 "핸들러 타입(handler_type)"(516)과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정보(예; 인코딩 정보)를 포함하는 "stbl"(518)를 포함하는 "media" 항목(514)으로 구성된다.
상기 핸들러 타입(516)은 하기 <표 1>과 같이 기존의 비디오 트랙, 오디오 트랙(사운드 트랙), 힌트 트랙, 메타 트랙 외에 이미지 데이터의 트랙 타입을 나타내는 이미지 트랙을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stbl" 항목(518)은 각각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의 촬영 시간 정보(동영상 데이터가 촬영 시점을 기준으로 이미지 데이터가 촬영된 시점)를 포함하는 "stts" 항목(520), 상기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stsz" 항목(522)과 상기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 간의 간격을 나타내는 옵셋 정보를 포함하는 "stco" 항목(524)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시한 바와 같이 "mdat" 항목(526)에 n 번째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528)가 저장될 경우, 상기 "stts" 항목(520)에는 1~n번째 촬영된 각각의 이미지 데이터의 촬영 시간이 포함되고, 상기 "stsz" 항목(522)에는 1~n번째 촬영된 각각의 이미지 데이터의 사이즈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stco" 항목(524)에는 이미지 데이터 간의 옵셋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stts" 항목(520)을 분석하여 상기 동영상 데이터 재생 중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해야하는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복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두 개의 카메라 센서를 구비하고 있으며 하나의 카메라 센서를 통해 동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도중에 다른 카메라 센서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먼저 601단계에서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도중에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601단계에서 동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6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도중에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획득을 위한 사용자의 요청을 감지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603단계에서 이미지 데이터의 획득을 위한 사용자의 요청을 감지하지 않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6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동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인코딩한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복합 영상 데이터의 포멧을 생성한다.
한편, 상기 603단계에서 이미지 데이터의 획득을 위한 사용자의 요청을 감지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6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 센서 외의 다른 카메라 센서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 후, 상기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에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속성 정보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획득 시간, 이미지의 사이즈, 이전 이미지와의 옵셋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6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605단계에서 획득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포멧을 생성한 후, 6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카메라 센서를 통한 데이터 획득을 종료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609단계에서 카메라 센서를 통한 데이터 획득을 종료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60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카메라 센서를 통한 데이터 획득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정보를 포함하는 복합 영상 데이터 포멧을 생성한다.
한편, 상기 609단계에서 카메라 센서를 통한 데이터 획득을 종료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복합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복합 영상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가 동일한 파일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말하는 것으로, 상기 복합 영상 데이터의 재생 요청을 감지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먼저 701단계에서 복합 영상 데이터의 포멧을 분석한 후, 703단계로 진행하여 재생하고자 하는 동영상 데이터의 프렘임을 복호하여 재생한다. 여기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도중에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함을 가정하여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프레임을 먼저 복호하는 것이다. 만일, 상기 복합 영상 데이터에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된 후, 상기 동영상 데이터가 저장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포멧을 분석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먼저 복호할 것이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7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복합 영상 데이터의 포멧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 촬영 시간 다시 말해서, n번째 이미지를 재생하는 시간을 확인한 후, 707단계로 진행하여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 시간이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재생 시간과 동일한지를 확인한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도중에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출력 시간을 확인하는 것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복합 영상 데이터의 포멧의 "stts" 항목에 포함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촬영 시점을 확인하여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촬영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촬영된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상기 707단계에서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 시간이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재생 시간과 동일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701단게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707단계에서 동영상 프레임의 재생 시간이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재생 시간과 동일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7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재생을 중지시킨 후, 711단계로 진행하여 n번째 이미지 데이터를 복호화여 출력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7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입력은 상기 출력된 이미지를 확대하기 위한 사용자의 요청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다른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한 이미지로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 센서를 통한 이미지 데이터보다 높은 화질의 데이터로 상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확대하더라도 고 화질의 이미지 데이터 출력을 가능하게 한다.
만일, 상기 713단계에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72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감지한 사용자의 입력에 해당하는 동작(예; 출력 이미지 확대 등)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713단계에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지 않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의 출력을 종료한 후, 7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복합 영상 데이터의 재생을 종료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715단계에서 상기 복합 영상 데이터의 재생을 종료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경우, 본 알고리즘을 종료하고, 상기 복합 영상 데이터의 재생을 종료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지 않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717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재생할 이미지 데이터를 정의한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n 번째 이미지 데이터를 재생하였음으로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도중에 n+1 번째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촬영 시간을 확인하기 위하여 재생할 이미지 데이터를 n 번째 이미지 데이터에서 n+1번째 이미지 데이터로 저장하는 것이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719단계로 진행하여 K번째 동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재생이 종료되는지 확인한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719단계에서 현재 재생중인 프레임의 재생이 종료되고 다음 동영상 데이터의 프레임을 재생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만일, 상기 719단계에서 K번째 동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재생이 종료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701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719단계에서 K번째 동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재생이 종료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다음 동영상 데이터의 프레임을 재생해야할 동영상 데이터의 프레임으로 정의한 후, 상기 701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라 복합 영상 데이터가 재생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두 개의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동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는 도중에 이미지 데이터를 촬영하여 상기 동영상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를 하나의 파일인 복합 영상 데이터(800)로 생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도중에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는 카메라 센서가 아닌 다른 카메라 센서로 촬영된 고화질의 이미지 데이터로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에서 캡쳐하여 획득하는 이미지 데이터(예; VGA 화소급 이미지 데이터)보다 높은 화소의 데이터가 된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출력된 고화소의 이미지 데이터를 확대하더라도 화소가 깨지지 않는 이미지 확대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복합 영상 데이터의 포멧에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 도중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해야하는 시점(이미지 데이터가 촬영된 시점)에 대한 정보(822), (824)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면서 상기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복합 영상 데이터의 1번째 동영상 데이터(810)를 재생하는 도중에 상기 복합 영상 데이터의 포멧을 분석하여 1번째 이미지 데이터(812)가 촬영된 시점(822)을 확인한다.
상기 확인한 이미지 데이터 촬영 시점(822)에 상기 동영상 데이터(810)의 재생을 중지한 후, 상기 이미지 데이터(812)를 출력하게 되며, 상기 이미지 데이터(812)의 출력이 종료되면 상기 중지된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814)을 재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통해 2번째 이미지 데이터(816)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812), (814)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확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제어부 102; 카메라부
106; 복합 영상 데이터 생성부 107; 속성 정보 확인부
108; 포멧 생성부 109; 영상 데이터 재생부

Claims (18)

  1. 듀얼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동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는 제 1 카메라 센서,
    이미지 데이터를 촬영하는 제 2 카메라 센서와,
    상기 제 1 카메라 센서를 통해 촬영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포멧 및, 상기 1 카메라 센서를 통한 촬영 도중에 상기 제 2 카메라 센서를 통해 촬영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포멧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포멧과 상기 촬영된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복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합 영상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생성한 복합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영상 데이터 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영상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 촬영 후, 상기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포멧 생성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속성 정보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촬영 시점,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사이즈, 상기 이미지 데이터들 사이의 옵셋 정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재생부는,
    상기 복합 영상 데이터의 포멧을 분석하여 상기 동영상 데이터 재생중 이미지 데이터의 재생을 확인할 경우, 상기 재생중인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을 중지한 후,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상기 생성한 복합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재생부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이 종료되면, 상기 중지된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을 재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재생부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속성 정보를 확인하여 이미지 데이터가 촬영된 시점을 확인하고, 상기 이미지가 촬영된 시점이 상기 동영상 데이터가 재생되는 시점과 동일할 경우, 상기 동영상 데이터 재생중 이미지 데이터를 재생해야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이미지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촬영하지 않는 카메라 센서를 통해 고화질로 촬영된 이미지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제 1 카메라 센서와 상기 제 2 카메라 센서를 동시에 동작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동시에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듀얼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 1 카메라 센서를 통해 동영상 데이터를 촬영할 경우,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포멧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1 카메라 센서를 통해 동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는 도중에 제 2 카메라 센서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포멧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한 포멧과 상기 촬영한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복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생성한 복합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포멧을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 촬영 후, 상기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포멧 생성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속성 정보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촬영 시점,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사이즈, 상기 이미지 데이터들 사이의 옵셋 정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한 복합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은,
    상기 복합 영상 데이터의 포멧을 분석하여 동영상 데이터를 복호하여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복합 영상 데이터의 포멧을 분석하여 상기 동영상 데이터 재생중 이미지 데이터를 재생할 것인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재생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재생중인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을 중지한 후,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한 복합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이 종료되면, 상기 중지된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을 재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영상 데이터의 포멧을 분석하여 상기 동영상 데이터 재생중 이미지 데이터를 재생할 것인지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속성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가 촬영된 시점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이미지가 촬영된 시점이 상기 동영상 데이터가 재생되는 시점과 동일한지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된 이미지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촬영하지 않는 카메라 센서를 통해 고화질로 촬영된 이미지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제 1 카메라 센서와 상기 제 2 카메라 센서를 동시에 동작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동시에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00013368A 2010-02-12 2010-02-12 듀얼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100933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368A KR20110093362A (ko) 2010-02-12 2010-02-12 듀얼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368A KR20110093362A (ko) 2010-02-12 2010-02-12 듀얼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362A true KR20110093362A (ko) 2011-08-18

Family

ID=44930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368A KR20110093362A (ko) 2010-02-12 2010-02-12 듀얼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33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2013514U1 (de) 2011-09-16 2017-05-19 Seoul Semiconductor Co., Ltd. Beleuchtungsvorrichtung mit lichtemittierenden Halbleiterdioden
US10158805B2 (en) 2014-04-11 2018-1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cameras and electronic device adapted theret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2013514U1 (de) 2011-09-16 2017-05-19 Seoul Semiconductor Co., Ltd. Beleuchtungsvorrichtung mit lichtemittierenden Halbleiterdioden
US10158805B2 (en) 2014-04-11 2018-1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cameras and electronic device adapted theret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3730B2 (en)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data of a wireless terminal to an external device
CA2740119C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multi-source multimedia presentations
CN104202614B (zh) 一种基于网络环境调整视频画质的方法及装置
US20110032979A1 (en) Image display control device and imaging device provided with the image display control device,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ing device using the image processing device
JP2013258510A (ja) 撮像装置並びに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996122B (zh) 视频帧传输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20110052140A1 (en) Image editing device and imaging device provided with the image editing device, image reproduction device and imaging device provided with the image reproduction device
KR20100041108A (ko) Udta 정보를 이용한 MP4 동영상 연속 촬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10093362A (ko) 듀얼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616724B2 (en) Method,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upporting relay broadcasting using mobile device
JP2017143554A (ja) 撮像装置及び制御方法
US9538119B2 (en) Method of capturing moving picture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moving picture
JP2013131871A (ja) 編集装置、遠隔制御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特定音声信号、編集システム、編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808485B2 (ja) 移動端末の録画方法、関連装置及びシステム
KR20070094055A (ko) 썸네일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JP2007274556A (ja) コンテンツデータ送信装置
US20100129049A1 (en) Edi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the editing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KR20070006195A (ko) 동영상으로부터 정지 영상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JP6398694B2 (ja) 無線lan機能を備えた携帯機器及び記録システム
US20060007298A1 (en) Motion pictur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computer program of motion picture processing apparatus, videophone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JP6071358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CN113141480A (zh) 录屏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070008863A (ko) 별도의 칩을 사용하여 동영상 재생중에 정지영상 이미지캡춰가 가능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별도의 칩을사용하여 동영상 재생중에 정지영상 이미지를 캡춰하는방법
JP2014150382A (ja) カラオケ用の歌唱動画再生システム
KR20080064328A (ko) 위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