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3240A -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3240A
KR20110093240A KR1020100013153A KR20100013153A KR20110093240A KR 20110093240 A KR20110093240 A KR 20110093240A KR 1020100013153 A KR1020100013153 A KR 1020100013153A KR 20100013153 A KR20100013153 A KR 20100013153A KR 20110093240 A KR20110093240 A KR 20110093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plastic box
core
mold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9970B1 (ko
Inventor
박세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구프라스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구프라스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구프라스틱
Priority to KR1020100013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970B1/ko
Publication of KR20110093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6Knobs or handles, push-buttons, g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입된 소재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상자(1)의 손잡이(2)를 성형하는 장치에 관련되며, 상형플레이트(10), 하형플레이트(20), 외벽코어(30), 손잡이코어(4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상형플레이트(10)는 플라스틱 상자(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몰드(11)를 지닌다. 하형플레이트(20)는 상형플레이트(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호로 교합되고, 플라스틱 상자(1)의 내부를 형성하는 내부몰드(21)를 지닌다. 외벽코어(30)는 상형플레이트(10)상에 설치하여 실린더(31)에 의해 이송되고, 플라스틱 상자(1)의 외벽을 형성한다. 손잡이코어(40)는 외벽코어(30)의 관통공(32) 상에 매설되게 설치되고, 플라스틱 상자(1)의 손잡이(2) 상에 완곡면(41)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장치적 구성을 보완하여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를 성형하는 작동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향상하고, 안전성을 극대화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하면서 신뢰성 있는 작동으로 장치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 성형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plastic box handle protection}
본 발명은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 성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치적 구성을 보완하여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를 성형하는 작동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향상하고, 안전성을 극대화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하면서 신뢰성 있는 작동으로 장치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플라스틱 상자는 농, 어촌을 비롯하여 공판장 등에서 각종 과일이나 야채 등의 농산물이나 각종 수산물을 담아 운반, 보관, 진열 등을 할 수 있도록 사용하거나, 각종 상품 또는 부품, 주류 등을 담아 운반 및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되어지며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하여 제작되었다. 이러한 플라스틱 상자는 직육면체 형태로 구성으로 되고, 상면이 개방되면서 양측면에 관통된 손잡이부를 통해 운반하여 사용해 왔다.
그러나 종래의 플라스틱 상자는 사출성형으로 제작됨에 따라, 각각의 모서리는 대부분 날카롭게 형성되어 후속작업이 필요하기도 하다. 즉 후작업, 필렛(Fillet)작업을 통해 뾰족한 부분의 모서리를 라운딩시켜 안전성을 보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필렛작업은 대부분 수작업이나 장치를 사용해야 함에 따라, 생산성측면에서 전체적으로 비효율적이고, 작업자의 반복작업에 의한 피로도 증대로 인한 능률저하로 인해 인건비상승 및 원가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플라스틱 상자의 겉형태만 작업하여 판매하는 것이 대부분이였다. 따라서 여전히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부는 날카롭게 형성되어 있어 운반시 작업자가 손이나 손바닥에 상해를 입히는 등 안전성에 커다란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한국 특허출원 제2009-0134105호에 의하면, 하형플레이트의 중앙에 위치하여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부 상에 완곡면을 형성하는 횡측코어와, 상기 횡측코어를 지지하면서 양측으로 유도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손잡이코어를 채택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을 극대화와 함께 공정 소요시간의 단축에 의한 인건비와 원가절감의 효과를 기여하는 동시에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부에 안전성이 향상되어 작업자의 안전성을 극대화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 성형장치 및 그 제품을 제안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를 성형하는 장치에 있어, 어느 정도의 구조개선 노력을 반영하기는 하지만, 반면에 다양한 플라스틱 상자 중 주류를 담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플라스틱 상자에는 적용하기가 불가능하다. 즉 왜냐하면 주류 보관용 플라스틱 상자는 내부에 주류를 하나씩 담기 위해서 별도의 칸막이가 내설되게 성형됨에 따라, 금형의 중앙에 위치한 손잡이코어로 인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한 장치에 적용이 불가능하여 장치의 최적설계 측면에서 미흡한 실정으로 개선할 여지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치적 구성을 보완하여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를 성형하는 작동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향상하고, 안전성을 극대화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하면서 신뢰성 있는 작동으로 장치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 성형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투입된 소재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를 성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상자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몰드를 지닌 상형플레이트; 상기 상형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호로 교합되고, 플라스틱 상자의 내부를 형성하는 내부몰드를 지니는 하형플레이트; 상기 상형플레이트 상에 설치하여 실린더에 의해 이송되고, 플라스틱 상자의 외벽을 형성하는 외벽코어; 및 상기 외벽코어의 관통공 상에 매설되게 설치되고,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 상에 완곡면을 형성하는 손잡이코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손잡이코어는 외벽코어의 관통공에 매설되어 지지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로부터 착탈 가능하면서 스프링에 의해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성형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성형구는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 상에 완곡면이 형성되면서 손잡이의 외형을 직선형, 파형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성형장치는 장치적 구성을 보완하여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를 성형하는 작동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향상하고, 안전성을 극대화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하면서 신뢰성 있는 작동으로 장치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성형장치를 정면과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성형장치 중 손잡이코어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성형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성형장치를 정면과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성형장치 중 손잡이코어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성형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투입된 소재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상자(1)의 손잡이(2)를 성형하는 장치에 관련되는 바, 플라스틱 상자(1)를 성형할 때 손잡이(2)에 완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러한 성형장치는 상형플레이트(10), 하형플레이트(20), 외벽코어(30), 손잡이코어(4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 성형장치는 플라스틱 상자(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몰드(11)를 지닌 상형플레이트(10)와, 플라스틱 상자(1)의 내부를 형성하는 내부몰드(21)를 지니는 하형플레이트(20)와, 플라스틱 상자(1)의 외벽을 형성하는 외벽코어(30)가 사용된다.
즉, 본 발명의 플라스틱 상자(1)를 성형하는 성형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몰드(11)를 지닌 상형플레이트(10)와 내부몰드(21)를 지니는 하형플레이트(20) 및 외벽코어(30)를 상호로 교합시킨다.
그리고 상형플레이트(10)는 하측으로 고정측 원판과 고정측 설치판을 개재하여 바닥몰드(11)가 설치되어 플라스틱 상자(1)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하형플레이트(20)는 상측으로 가동측 설치판과 가동측 원판이 개재하여 내부몰드(21)가 설치되어 플라스틱 상자(1)의 내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형플레이트(10)와 하형플레이트(20)의 사이에 외벽코어(30)가 수용되는데, 외벽코어(30)는 실린더(31)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드 운동하여 플라스틱 상자(1)의 외벽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외벽코어(30)의 관통공(32) 상에 매설되게 설치되고, 플라스틱 상자(1)의 손잡이(2)상에 완곡면(41)을 형성하는 손잡이코어(40)가 설치된다. 손잡이코어(40)는 외벽코어(30)의 관통공(32) 상에 매설되게 설치되어 플라스틱 상자(1)의 손잡이(2)를 형성하는데, 특히 손잡이(2)에 완곡면(41)을 형성한다. 이러한 손잡이코어(40)는 외벽코어(30)와 상호 연동하여 작동하는데,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손잡이코어(40)는 외벽코어(30)의 관통공(32)에 매설되어 지지하는 고정볼트(45)와, 상기 고정볼트(45)로부터 착탈 가능하면서 스프링(46)에 의해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성형구(47)를 구비한다. 손잡이코어(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45)와 성형구(47)로 이루어지는데, 고정볼트(45)는 외벽코어(30)의 관통공(32)상에 매설되어 성형구(47)를 지지한다. 그리고 성형구(47)는 고정볼트(45)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2)의 외형을 형성하면서 손잡이(2)상에 완곡면(41)을 형성한다.
이러한 성형구(47)는 도 3처럼 스프링(46)에 의해 항시 탄지된 상태를 유지하는데, 성형장치, 즉 플라스틱 상자(1)를 성형하기 위해 상형플레이트(10)와 하형플레이트(20) 및 외벽코어(30)를 상호로 교합될 시 하형플레이트(20)의 내부몰드(21)에 의해 성형구(47)가 외벽코어(30)의 관통공(32)상으로 슬라이딩(후방)되면서 손잡이(2)의 외형과 함께 완곡면(41)을 성형한다. 이후 완성된 플라스틱 상자(1)를 탈거할 경우 재차 성형구(47)는 스프링(46)에 의해 외벽코어(30)의 관통공(32)으로부터 원상태를 유지하는 슬라이딩(전방)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완성된 플라스틱 상자(1)는 성형구(47)가 관통공(32)으로부터 슬라이딩(전방)되어 탈거가 용이하다.
그리고 도 4처럼 본 발명의 성형장치를 통하여 플라스틱 상자(1)를 형성할 때 손잡이코어(40)에 의해 손잡이(2)상에 완곡면(41)과 함께 손잡이(2)의 외형을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다. 이는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손잡이코어(40)가 외벽코어(30)와 상호 연동되어 플라스틱 상자(1)의 손잡이(2)를 형성하면서 성형구(47)에 의해 완곡면(4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성형장치는 손잡이코어(40)가 외벽코어(30)에 매설되게 설치됨과 함께 상호 연동하여 작동함에 따라, 통상 플라스틱 상자는 물론 특히 주류 보관용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2)상에 완곡면(41)을 형성 가능하기 때문에 작동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향상하고, 안전성을 극대화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하면서 신뢰성 있는 작동으로 장치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등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 성형장치가 구현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에 안전성이 향상되어 작업자의 안전성을 극대화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가 구현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성형구(47)는 플라스틱 상자(1)의 손잡이(2) 상에 완곡면(41)이 형성되면서 손잡이(2)의 외형을 직선형(2a), 파형(2b)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성형구(47)는 고정볼트(45)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손잡이(2)의 외형을 임의대로 변경 가능하다. 즉 도시된 것처럼 손잡이(2)의 외형을 직선형(2a), 파형(2b)으로 형성 가능할 뿐 아니라 곡선 등 다양한 형태를 지닌 손잡이(2)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함께 손잡이(2)의 외형을 형성됨과 함께 손잡이(2) 상에 완곡면(41)을 형성 가능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플라스틱 상자 2: 손잡이
2a: 직선형 2b: 파형
10: 상형플레이트 11: 바닥몰드
21: 하형플레이트 21: 내부몰더
30: 외벽코어 31: 실린더
32: 관통공 40: 손잡이코어
41: 완곡면 45: 고정볼트
46: 스프링 47: 성형구

Claims (3)

  1. 투입된 소재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상자(1)의 손잡이(2)를 성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상자(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몰드(11)를 지닌 상형플레이트(10);
    상기 상형플레이트(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호로 교합되고, 플라스틱 상자(1)의 내부를 형성하는 내부몰드(21)를 지니는 하형플레이트(20);
    상기 상형플레이트(10)상에 설치하여 실린더(31)에 의해 이송되고, 플라스틱 상자(1)의 외벽을 형성하는 외벽코어(30); 및
    상기 외벽코어(30)의 관통공(32) 상에 매설되게 설치되고, 플라스틱 상자(1)의 손잡이(2) 상에 완곡면(41)을 형성하는 손잡이코어(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 성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코어(40)는 외벽코어(30)의 관통공(32)에 매설되어 지지하는 고정볼트(45)와, 상기 고정볼트(45)로부터 착탈 가능하면서 스프링(46)에 의해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성형구(4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 성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구(47)는 플라스틱 상자(1)의 손잡이(2) 상에 완곡면(41)이 형성되면서 손잡이(2)의 외형을 직선형(2a), 파형(2b)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 성형장치.
KR1020100013153A 2010-02-12 2010-02-12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 성형장치 KR101309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153A KR101309970B1 (ko) 2010-02-12 2010-02-12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153A KR101309970B1 (ko) 2010-02-12 2010-02-12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240A true KR20110093240A (ko) 2011-08-18
KR101309970B1 KR101309970B1 (ko) 2013-09-17

Family

ID=44929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153A KR101309970B1 (ko) 2010-02-12 2010-02-12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9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3663A (ko) 2014-10-14 2016-04-22 주식회사 광명산업 운반용 상자의 손잡이 구조
CN107283760A (zh) * 2017-07-24 2017-10-24 广东工业大学 一种侧抽芯模具
KR20180121707A (ko) * 2017-04-28 2018-11-08 나산프라스틱 주식회사 상자 성형물의 손잡이 금형장치
CN110774426A (zh) * 2019-10-30 2020-02-11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玻璃钢模具表面处理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880B1 (ko) * 2017-09-01 2019-03-05 삼화플라스틱(주) 손잡이 라운드형 플라스틱 바스켓 사출금형 및 이를 이용한 손잡이 라운드형 플라스틱 바스켓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28510C2 (nl) * 2005-03-10 2006-09-12 Ecim Technologies Bv Kunststof product met verstijvingen en werkwijze voor vervaardiging daarvan.
KR100784829B1 (ko) * 2006-04-10 2007-12-14 주식회사 대구프라스틱 사출금형용 탈형장치
KR100969852B1 (ko) * 2007-08-20 2010-07-13 김숙경 사출물 내부에 홈을 형성하기 위해 수축되는 금형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3663A (ko) 2014-10-14 2016-04-22 주식회사 광명산업 운반용 상자의 손잡이 구조
KR20180121707A (ko) * 2017-04-28 2018-11-08 나산프라스틱 주식회사 상자 성형물의 손잡이 금형장치
CN107283760A (zh) * 2017-07-24 2017-10-24 广东工业大学 一种侧抽芯模具
CN107283760B (zh) * 2017-07-24 2019-09-13 广东工业大学 一种侧抽芯模具
CN110774426A (zh) * 2019-10-30 2020-02-11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玻璃钢模具表面处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9970B1 (ko) 2013-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9970B1 (ko) 플라스틱 상자의 손잡이 성형장치
WO2015006381A3 (en) Core structured components and containers
CN105883154A (zh) 一种机械配件装载运输箱
CN203094646U (zh) 一种吸塑托盘
CN205854855U (zh) 一种汽车配件用周转箱
CN204250542U (zh) 一种钢木周转箱
CN202201238U (zh) 一种大尺寸周转箱
CN202704053U (zh) 电磁阀塑料周转箱
CN205738628U (zh) 一种机械配件装载运输箱
CN202784019U (zh) 一种汽车零部件周转箱
CN203975599U (zh) 一种凸轮轴衬垫
CN202378030U (zh) 一种工具箱
CN203410842U (zh) 一种机油泵运输用包装箱
CN103359395B (zh) 音响设备的包材组
CN105346869A (zh) 整体式空调柜机顶包装结构及空调柜机顶包装组件
CN202138606U (zh) 一种400mm×300mm×220mm塑料周转箱
CN202686914U (zh) 一种985*590*173mm塑料周转箱
CN207917429U (zh) 一种吸塑盒和吸塑包装结构
CN204822725U (zh) 包装木箱改进结构
CA2736714C (en) Load carrier
CN202784020U (zh) 周转箱
CN204019908U (zh) 塑胶件倒扣脱模机构
CN203997348U (zh) 一种电能计量器具周转箱的箱盖
JP3184397U (ja) 梱包用トレイ及びそれを用いた梱包体
CN202848391U (zh) 一种发动机包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