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3202A - 추락방지용 안전벨트 - Google Patents

추락방지용 안전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3202A
KR20110093202A KR1020100013100A KR20100013100A KR20110093202A KR 20110093202 A KR20110093202 A KR 20110093202A KR 1020100013100 A KR1020100013100 A KR 1020100013100A KR 20100013100 A KR20100013100 A KR 20100013100A KR 20110093202 A KR20110093202 A KR 20110093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
belt
cover
pad
sea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9763B1 (ko
Inventor
정연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브 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브 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브 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100013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763B1/ko
Publication of KR20110093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락방지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으로, 허리벨트(20); 허리벨트(20)에 끼움 결합되며, 내부에 허리패드(32)가 구비되어 있는 허리보호대(30); 허리보호대(30)에 연결되며, 착용자의 등 전체를 커버하는 등받이커버(40); 등받이커버(40)에 연결되며, 허리벨트(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어깨벨트(50a,5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추락방지용 안전벨트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추락방지용 안전벨트 {A SAFETY BELT FOR PREVENTNG FALL}
본 발명은 추락방지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소 작업시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추락방지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 작업현장에서는 추락 등과 같은 안전사고로부터 인명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개인용 안전보호장구를 필수적으로 착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개인용 안전보호장구의 대표적인 것으로 안전벨트 및 안전모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안전벨트는 고소 작업시 작업자의 작업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끼침은 물론이고 추락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어 그 구조적인 안전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추락방지용 안전벨트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250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허리고정벨트의 후방으로 한 쌍의 어깨고정밴드가 연결되고 전방으로는 한 쌍의 결속밴드가 연결되어 상체와 허리를 동시에 고정시키고, 한 쌍의 어깨고정밴드를 후방에서 서로 교차시켜 작업자가 안전벨트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한 쌍의 어깨고정밴드 교차부분에 안전로프 등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 및 연결고리를 설치하여 작업자에게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충격력을 분산시키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안전벨트는 어깨고정밴드의 형상적·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착용자의 등 특정부위를 집중적으로 압박함으로써 착용감이 상대적으로 저하됨은 물론이고 허리고정벨트와의 연결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연결수단 및 연결고리로 인해 안전벨트의 구성이 복잡해질 뿐 아니라 그 중량이 증대되며, 부품비 및 제작비 등과 같은 경제적인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어깨고정밴드 및 요추보호대를 개별적으로 허리고정벨트에 끼워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경추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은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결국, 추락방지용 안전벨트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전체적인 구성이 단순함은 물론이고 경량이며, 착용감 및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추락방지용 안전벨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벨트는, 허리벨트; 상기 허리벨트에 끼움 결합되며, 내부에 허리패드가 구비되어 있는 허리보호대; 상기 허리보호대에 연결되며, 착용자의 등 전체를 커버하는 등받이커버; 상기 등받이커버에 연결되며, 상기 허리벨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어깨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등받이커버는 일측 단부가 상기 허리보호대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어깨벨트에 연결되는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의 상부에 부착되어, 착용자의 경추를 보호하는 경추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가 망사형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허리패드 및 상기 경추패드는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허리보호대, 상기 등받이커버 및 상기 한 쌍의 어깨벨트는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등받이커버가 착용자의 등 전체를 커버함과 아울러 망사형 구조를 가짐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등받이커버의 소재가 경량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안전벨트의 전체적 중량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허리보호대 및 경추보호대를 통해 착용자의 허리 및 경추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특히 허리패드 및 경추패드를 통해 그 안전성을 한층 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허리보호대와 등받이커버 및 경추보호대가 일체형 구조를 가짐으로써 기능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 연결상태를 장기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벨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벨트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벨트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벨트의 허리보호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벨트의 등받이커버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용 안전벨트는 허리벨트(20); 허리벨트(20)에 끼움 결합되는 허리보호대(30); 허리보호대(30)에 연결되는 등받이커버(40); 등받이커버(40)에 연결되며, 허리벨트(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어깨벨트(50a,5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허리벨트(20)는 밴드 형상을 가지며,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형태로 밀착 된다.
허리벨트(20)의 단부에는 체결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체결부(22)는 허리벨트(20)의 일단에 설치되는 버클(21a); 허리벨트(20)의 타단에 설치되어, 버클(21a)과 체결되는 래치(21b)로 이루어진다.
체결부(22)는 체결작업이 용이하면서 그 체결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체결수단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허리벨트(20)에는 안전로프(미도시) 등과의 연결을 위한 링형의 연결고리(24) 및 기타 부품을 안정적으로 걸어놓을 수 있는 걸림후크(26)가 결합되어 있다.
미설명 도면부호 28은 연결고리를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결편을 도시한 것이다.
허리보호대(30)는 착용자의 허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그 내부에는 허리 부위에 대한 보호를 한층 강화시키기 위한 쿠션 재질의 허리패드(32)가 구비되어 있다.
허리패드(32)는 착용감을 고려하여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허리패드(32)의 재질로는 쿠션력을 가짐과 아울러 물적 특성이 우수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허리보호대(30)는 박음질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내부시트(31a) 및 외부시트(31b)로 이루어지며, 허리패드(32)는 내부시트(31a) 및 외부시트(31b) 사이에 개재된다.
내부시트(31a)는 착용자의 허리 부위와 밀착되는 부분으로서,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탄력적인 재질로 이루어질 뿐 아니라 다수의 통기공(3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허리보호대(30)에는 각종 부품을 보관할 수 있는 개폐형의 보관주머니(34) 및 허리벨트(20)의 끼움 결합을 위한 복수의 밴드부(36)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등받이커버(40)는 착용자의 등 부위 전체를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등받이커버(40)는 그 형상적·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안전벨트의 착용시 발생될 수 있는 압박감을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착용에 따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등받이커버(40)는 허리보호대(30)와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그 연결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등받이커버(40)를 허리벨트(20) 또는 허리보호대(30)에 별도로 연결시키지 않아도 돼 안전벨트의 착용이 간편하고 효율적이다.
등받이커버(40)는 일측 단부가 허리보호대(30)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어깨벨트(50a,50b)에 연결되는 커버본체(42); 커버본체(42)의 상부에 부착되는 경추패드(44)로 이루어진다.
커버본체(42)는 망사형 구조를 가지며, 내구성 및 인장력 등과 같은 물적 특성이 우수한 경량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커버본체(42)의 형상적·재질적 특징으로 인해 안전벨트의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다.
경추패드(44)는 착용자의 경추를 보호함과 아울러 착용감을 고려하여 통풍성의 쿠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경추패드(44)를 고정시키기 위한 커버시트(46)는 착용자의 경추와 밀착되는 부분으로서 탄력 재질로 이루어지며, 착용감을 위하여 다수의 통기공(47)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어깨벨트(50a,50b)는 등받치커버(40)와 일체로 연결되어, 그 연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 쌍의 어깨벨트(50a,50b)는 착용자의 어깨에 밀착 지지되며, 그 외부에는 착용자의 어깨를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어깨보호대(52a,52b)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어깨보호대(52a,52b)의 사이에는 한 쌍의 어깨벨트(50a,50b)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결속밴드(54a,54b)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결속밴드(54a,54b)는 체결부재(55)에 의해 간편하게 체결되며, 그 길이는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다. 체결부재(55)로는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어깨보호대(52a,52b)의 전면에는 결속밴드(54a,54b)의 연결을 위한 보조벨트(56a,56b)가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어깨벨트(50a,50b) 단부는 허리벨트(20)에 각각 삽입 결합되며, 이러한 어깨벨트(50a,50b)는 길이조절부재(70a,70b)에 의해 그 길이를 각각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허리보호대(30)와 등받이커버(40) 및 한 쌍의 어깨벨트(50a,50b)는 박음질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며, 필요에 따라 박음질 외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연결수단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허리벨트(20), 허리보호대(30), 등받이커버(40) 및 한 쌍의 어깨벨트(50a,50b)에는 야간 식별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반사체를 부착하거나 형광물질을 도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20 : 허리벨트 30 : 허리보호대
32 : 허리패드 40 : 등받이커버
42 : 커버본체 44 : 경추패드
50a,50b : 어깨벨트

Claims (5)

  1. 허리벨트(20);
    상기 허리벨트(20)에 끼움 결합되며, 내부에 허리패드(32)가 구비되어 있는 허리보호대(30);
    상기 허리보호대(30)에 연결되며, 착용자의 등 전체를 커버하는 등받이커버(40);
    상기 등받이커버(40)에 연결되며, 상기 허리벨트(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어깨벨트(50a,5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벨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커버(40)는,
    일측 단부가 상기 허리보호대(30)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어깨벨트(50a,50b)에 연결되는 커버본체(42); 상기 커버본체(42)의 상부에 부착되어, 착용자의 경추를 보호하는 경추패드(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벨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42)가 망사형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벨트.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허리패드(32) 및 상기 경추패드(44)는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벨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리보호대(30), 상기 등받이커버(40) 및 상기 한 쌍의 어깨벨트(50a,50b)가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벨트.
KR1020100013100A 2010-02-12 2010-02-12 추락방지용 안전벨트 KR101149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100A KR101149763B1 (ko) 2010-02-12 2010-02-12 추락방지용 안전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100A KR101149763B1 (ko) 2010-02-12 2010-02-12 추락방지용 안전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202A true KR20110093202A (ko) 2011-08-18
KR101149763B1 KR101149763B1 (ko) 2012-06-01

Family

ID=44929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100A KR101149763B1 (ko) 2010-02-12 2010-02-12 추락방지용 안전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76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5234A (ko) * 2015-02-27 2016-09-06 서울특별시 다기능 안전벨트
CN109663242A (zh) * 2018-11-22 2019-04-23 沃迪克(北京)工业技术有限公司 一种带有收卷功能的高空用安全带
CN110075444A (zh) * 2019-05-24 2019-08-02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新型缓冲式防坠安全带
CN110960815A (zh) * 2019-11-13 2020-04-07 祝德利 一种便携式高空作业防护装置
KR20220166596A (ko) * 2021-06-10 2022-12-19 주식회사 헤세드코리아 스나이퍼 하네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774B1 (ko) * 2013-03-07 2013-07-22 김성탄 안전조끼가 착탈 가능한 추락방지용 안전벨트 구조
KR101515351B1 (ko) * 2014-08-29 2015-04-28 주식회사 우석 작업용 안전 밴드 어셈블리
KR102418516B1 (ko) 2020-02-11 2022-07-06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추락 방지 벨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163Y1 (ko) * 2000-05-09 2000-11-15 김안수 공사 작업인용 안전벨트
KR200417730Y1 (ko) * 2006-03-16 2006-06-02 권영팔 주상 안전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5234A (ko) * 2015-02-27 2016-09-06 서울특별시 다기능 안전벨트
CN109663242A (zh) * 2018-11-22 2019-04-23 沃迪克(北京)工业技术有限公司 一种带有收卷功能的高空用安全带
CN110075444A (zh) * 2019-05-24 2019-08-02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新型缓冲式防坠安全带
CN110960815A (zh) * 2019-11-13 2020-04-07 祝德利 一种便携式高空作业防护装置
KR20220166596A (ko) * 2021-06-10 2022-12-19 주식회사 헤세드코리아 스나이퍼 하네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9763B1 (ko) 201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9763B1 (ko) 추락방지용 안전벨트
AU2017245405B2 (en) Leg strap assembly and safety harness including the same
US7937769B2 (en) Knee pad
US9084906B2 (en) Harness webbing elevation system
US20100275349A1 (en) Athletic undergarment and protective cup assembly
JP2014506815A (ja) 落下阻止装置
KR101493031B1 (ko) 힙 시트 캐리어
CA2672244A1 (en) Fall arrest harness
KR101533069B1 (ko) 안전벨트 장착수단이 구비된 낙석대비용 안전조끼
US20020083512A1 (en) Wrestling ear guard
US20110283446A1 (en) Life Vest
EP2724752B1 (en) Fall arrest harness
EP2768332B1 (en) Neck collar
US7958574B1 (en) Upper trunk protector and related methods
KR101424597B1 (ko) 그네식 안전벨트
AU2018326392A1 (en) Hard hat accessory
KR102009002B1 (ko) 시설안전진단 점검용 안전모
US20110061155A1 (en) Shoulder protector pads
KR200466701Y1 (ko) 통풍과 체온조절이 용이한 등받이가 부착된 가방
KR101445301B1 (ko) 작업용 목 받침구
KR102551263B1 (ko) 근골격계 보호구를 일체화한 안전진단 점검용 안전모
KR200348060Y1 (ko) 고소작업용 안전그네
CN218278752U (zh) 一种耐磨型防护服
US20180064197A1 (en) Protective helmet with novel chin-strap system
KR101205695B1 (ko) 작업용 목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