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3117A - 바형 멀티미디어기기의 기능성 케이스 - Google Patents

바형 멀티미디어기기의 기능성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3117A
KR20110093117A KR1020100012963A KR20100012963A KR20110093117A KR 20110093117 A KR20110093117 A KR 20110093117A KR 1020100012963 A KR1020100012963 A KR 1020100012963A KR 20100012963 A KR20100012963 A KR 20100012963A KR 20110093117 A KR20110093117 A KR 20110093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device
cover plate
case
hinge bar
c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6973B1 (ko
Inventor
김교학
Original Assignee
김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교학 filed Critical 김교학
Priority to KR1020100012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973B1/ko
Publication of KR20110093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기기(1)를 보관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케이스본체(10), 멀티미디어기기(1)의 전면을 덮는 덮개판(20), 케이스본체(10)에 연결되어 덮개판(20)를 여닫도록 힌지기능을 하는 힌지바(30)로 이루어지며;
덮개판(20)에는 힌지바(30)를 중심으로 멀티미디어기기(1)의 뒷면으로 돌려 절곡하여 케이스본체(10)를 경사지게 세우도록 지지하도록 절곡홈(22)을 형성한 바형 멀티미디어기기의 기능성 케이스이다.

Description

바형 멀티미디어기기의 기능성 케이스{Case for bar typed multimedia terminals}
본 발명은 바형 멀티미디어기기의 가능성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바형 멀티미디어 기기를 보호하는 본연의 케이스 기능 외에 멀티미디어기기를 세워서 지지하는 받침대 기능을 수행 가능토록 하는 바형 멀티미디어기기의 가능성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형 멀티미디어기기는 핸드폰, 미디어플레이어,게임기, 및 이들의 기능적 조합으로 이루어져서, 사운드, 영상, 방송,인터넷영상 등을 조합 또는 복합 제공 가능토록 이루어지는 소형 전자기기나 소형 복합전자기기를 칭한다. 이러한 기기는 소형이어서 기기의 안전확보와, 보턴의 원하지 않는 누름 작용으로 인한 오동작을 막도록 하부케이스 단독, 또는 하부케이스와 상부덮개가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진 형태를 사용한다.
기기의 뒷면과 측면을 덮는 형태는 국내특허등록제 10-0848786호로 알려져 있으나, 전방을 보호하는 기능은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휴대폰케이스와 그 휴대폰 케이스에 힌지 결합되어 전면을 여닫는 덮개 구조가 국내공개특허10-2006-0014494호로 알려져 있으나, 이는 일반적인 핸드폰에 적합하도록 완성된 것이어서, 통화보다는 영상을 장시간 볼 수 있도록 기능하는 멀티미어 기능으로 사용하는 기기일 경우에는 세워서 볼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수단을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단순한 케이스 기능을 하는 구조가 국내 공개특허10-2009-0116662호나, 국내공개특허2003-9939988호로 알려져 있으나 이들 역시 단순한 케이스의 기능만을 제공하는 것이어서 역시 기기를 세워놓고 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은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형 핸드폰 등과 같은 바형 멀티미디어 기기를 보호하도록 케이스본체와 덮개판이 힌지로 결합된 기존의 케이스 기능에 멀티미디어기기를 경사지게 세워놓고 볼 수 있도록 하는 받침대 기능을 구현 가능한 덮개를 가진 바형 멀티미디어기기의 기능성 케이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덮개판에 절곡홈을 두어 케이스본체 뒤로 돌려 절곡홈 부분에서 덮개판을 절곡하여 덮개판의 일부가 지지판 기능을 하도록하고, 필요시 경사홈의 경사각도가 절곡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덮개판이 받침대 기능을 구현 가능토록 하는 바형 멀티미디어기기의 기능성 케이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덮개판을 지지하는 힌지바에 절곡홈을 두어 멀티미디어기기를 옆으로 세워도 비스듬하게 세워지도록 뒤에서 지지하는 덮개판과 경사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바형 멀티미디어기기의 기능성 케이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발명은 멀티미디어기기를 보관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케이스본체, 멀티미디어기기의 전면을 덮는 덮개판, 케이스본체에 연결되어 덮개판을 여닫도록 힌지기능을 하는 힌지바로 이루어지며;
덮개판에는 힌지바를 중심으로 멀티미디어기기의 뒷면으로 돌려 절곡하여 케이스본체를 경사지게 세우도록 지지하도록 절곡홈을 형성한다.
상기, 힌지바는 기기의 아래측에 오도록 구성하며, 절곡홈은 덮개판의 중심선과 힌지바 사이에 오도록 한다.
상기, 덮개판의 절곡홈 아래부분의 받침판에서 힌지바의 길이는 멀티미디어기기를 경사지게 세웠을 때 멀티미디어기기의 뒷면이나 바닥면 상에서 멀티미디어기기의 바닥에서 무게 중심 수직선까지의 길이보다 크도록 구성한 것이 좋다.
상기, 힌지바는 멀티미디어기기의 위 측에 오도록 구성하며, 절곡홈은 덮개판의 중심선과 힌지바 사이에 오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멀티미디어기기를 보관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케이스본체, 멀티미디어기기의 전면을 덮는 덮개판, 케이스본체에 연결되어 덮개판을 여닫도록 힌지기능을 하는 힌지바로 이루어지며;
힌지바에는 힌지바를 중심으로 멀티미디어기기의 뒷면으로 돌려 절곡하여 케이스본체의 길이방향이 바닥에 오도록 한 상태에서 경사지게 세우도록 절곡홈을 형성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은 바형 핸드폰 등과 같은 바형 멀티미디어 기기를 보호하도록 케이스본체와 덮개판이 힌지로 결합된 기존의 케이스 기능에 멀티미디어기기를 경사지게 세워놓고 볼 수 있도록 하는 받침대 기능을 구현 가능한 덮개를 가진 바형 멀티미디어기기의 기능성 케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킨다.
본 발명은 덮개판에 절곡홈을 두어 케이스본체 뒤로 돌려 절곡홈 부분에서 덮개판을 절곡하여 덮개판의 일부가 지지판 기능을 하고 절곡홈은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는 경사면을 갖도록 함으로써, 덮개판이 받침대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덮개판을 지지하는 힌지바에 절곡홈을 두어 멀티미디어기기를 옆으로 세워도 비스듬하게 세워지도록 뒤에서 지지하는 덮개판과 경사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바형 멀티미디어기기의 기능성 케이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덮개판의 폭을 줄여서 덮개판을 뒤로 돌려 멀티미디어기기를 눕힌 상태로 세웠을 때 자연스럽게 경사지게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결합 상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멀티미디어기기(1)를 보관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케이스본체(10), 멀티미디어기기(1)의 전면을 덮는 덮개판(20), 케이스본체(10)에 연결되어 덮개판(20)를 여닫도록 힌지 기능을 하는 힌지바(30)로 이루어지며;
덮개판(20)에는 힌지바(30)를 중심으로 멀티미디어기기(1)의 뒷면으로 돌려 절곡하여 케이스본체(10)를 경사지게 세우도록 지지하도록 절곡홈(22)을 형성한다.
상기, 힌지바(30)는 기기의 아래 측에 오도록 구성하며, 절곡홈(22)은 덮개판(20)의 중심선(P)과 힌지바(30) 사이에 오도록 한다.
상기, 덮개판(20)의 절곡홈(22) 아래 부분의 받침판(24)에서 힌지바(30)의 길이(G3)는 멀티미디어기기(1)를 경사지게 세웠을 때 멀티미디어기기(1)의 뒷면이나 바닥면 상에서 멀티미디어기기(1)의 바닥에서 무게중심(G) 수직선까지의 길이(G1)보다 크도록 도 3 과 같이 구성한다.
상기, 힌지바(30)는 멀티미디어기기(1)의 위 측에 오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절곡홈(22)은 덮개판의 중심선(P)과 힌지바(30) 사이에 오도록 하며 이의 사용 상태는 도 5 와 같이 사용 가능토록 구성한다.
상기, 절곡홈(22)은 절곡시 절곡면이 접힌 각도를 유지하는 공간 폭이나 경사면(21)을 갖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로는 멀티미디어기기(1)를 보관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케이스본체(10), 멀티미디어기기(1)의 전면을 덮는 덮개판(20), 케이스본체(10)에 연결되어 덮개판(20)을 여닫도록 힌지기능을 하는 힌지바(30)로 이루어지며;
힌지바(30)에는 힌지바(30)를 중심으로 멀티미디어기기(1)의 뒷면으로 돌려 절곡하여 케이스본체(10)의 길이방향 면이 바닥에 오도록 한 상태에서 경사지게 세우도록 절곡홈(32)을 도 6 과 같이 형성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덮개판(20)은 멀티미디어기기(1)의 폭 방향 양측 부분이 일정 폭으로 노출되도록 케이스본체(10)의 폭보다 작도록 도 2 에 보인 경사 제공홈(S1)만큼 작도록 구성한 것이 좋다.
상기, 덮개판(20)을 연결하는 힌지바(30)에 형성한 절곡홈(32)은 도 6 과 같이 폭 방향 양측에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덮개판(10)의 힌지바(30) 설치 반대 측 끝 부분에는 덮개판(20)을 케이스본체(10)에 고정하는 손잡이(26)를 설치하고, 손잡이(26)에는 필요시 케이스본체(10)에 결합력을 유지토록 하는 자석이나 후크나 매직테이프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케이스본체(10)는 합성수지 자체일 수도 있고, 합성수지케이스의 이면에 가죽이나 고급천을 붙인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힌지바(30)는 가죽이나 고급 천에 봉제 결합하여 붙일 수도 있고, 별도의 힌지 수단(핀이나 후크 등)을 통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원발명은 일반적인 케이스의 기능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스탠드 기능을 중점 설명한다.
길이방향을 바닥으로 눕혀 사용하는 경우
멀티미디어기기(1)를 보관하는 케이스본체(10) 전면을 덮는 덮개판(20)과 케이스본체(10)사이의 측면에는 도 2 와 같이 경사제공홈(S1)을 이루도록 구성하였기로 도 6 과 같이 덮개판(10)을 뒤로 케이스본체(10)와 나란하게 세워도 케이스본체(10)가 뒤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멀티미디어기기(1)를 시청하거나 통화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물론 별도의 이어폰이나 보조 수단은 통상적인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의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
아울러 이 경우 도 6 과 같이 힌지바(30)에 홈을 이룬 절곡홈(32)을 이룬다면 이 부분에서 지지력이 약화 되므로 절곡시의 덮개판(20)의 각도 변형유지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물론 절곡홈(32)은 일정 깊이로 절곡홈을 이룰 수도 있고 그 부분의 두께를 줄인 고랑형 절곡홈으로 구성하여 변형력을 제공 가능토록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기기의 눕힌 방향을 바꿀 경우에도 경사를 유지하도록 도 6 과 같이 상하로 절곡홈(32)을 만들어서 작용하도록 하면 편리하게 사용 가능하다.
세운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 상태에서 손잡이(26)를 잡고 당겨 덮개 판(20)이 케이스본체(10) 뒤로 가게 한 다음, 멀티미디어기기의 저면에서 멀티미디어기기(1)의 무게중심(G)의 수직선 하단까지의 거리(G1)보다 힌지바(30)에서 받침판(24)까지의 거리(G3)가 길도록 이루어져서 도 3 과 같이 멀티미디어기기(10가 눕지 않고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지지판(250의 상단에 대응하는 케이스본체(10)에는 마찰력을 제공하는 요철이나 별도의 장식판을 부가한다면 일정위치에서 안정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절곡홈(22)부분이 도 3 과 같이 경사면(21)을 이루도록 지지 된다면, 경사면(21)에서 받침판(24)과 지지판(25)이 상호 절곡된 상태를 유지 가능토록 하는 힘으로 작용하는데 기여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 와 같이 힌지바(30)와 받침판(24)을 케이스본체(10) 뒷면에 닿도록 하고, 절곡홈(22)에서 하향 절곡하여 도 4 와 같이 절곡하도록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역시 멀티미디어기기(1)의 무게중심(G)의 수직선과 멀티미디어기기(1)의 하단까지의 거리(G1)보다 절곡홈(22)부위의 수직선에서 멀티미디어기기(1)의 하단까지의 거리(G2)보다 작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멀티미디어기기(1)를 받침대로 사용 가능토록 작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 와 같이 힌지바(30)가 위에 오는 방식의 케이스일 경우에도 적용 가능한바, 이 경우는 역시 받침판(24)의 절곡홈(22)부분이 케이스본체(10)에 오도록 절곡하되, 이 경우도 절곡홈(22)부분에 대응하는 케이스본체 부분이 멀티미디어기기(1)의 무게중심(G)보다 뒤에 오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받침대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1;멀티미디어기기 10;케이스본체 20;덮개판 21;경사면 22,32;절곡홈 24;받침판 25;지지판 26;손잡이 30;힌지바

Claims (8)

  1. 멀티미디어기기(1)를 보관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케이스본체(10), 멀티미디어기기(1)의 전면을 덮는 덮개판(20), 케이스본체(10)에 연결되어 덮개판(20)를 여닫도록 힌지기능을 하는 힌지바(30)로 이루어지며;
    덮개판(20)에는 힌지바(30)를 중심으로 멀티미디어기기(1)의 뒷면으로 돌려 절곡하여 케이스본체(10)를 경사지게 세우도록 지지하도록 절곡홈(2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형 멀티미디어기기의 기능성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힌지바(30)는 기기의 아래측에 오도록 구성하며, 절곡홈(22)은 덮개판(20)의 중심선(P)과 힌지바(30) 사이에 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기기의 기능성 케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덮개판(20)의 절곡홈(22) 아래부분의 받침판(24)에서 힌지바(30)의 길이(G3)는 멀티미디어기기(1)를 경사지게 세웠을 때 멀티미디어기기(1)의 뒷면이나 바닥면 상에서 멀티미디어기기(1)의 바닥에서 무게 중심(G) 수직선까지의 길이(G1)보다 크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기기의 기능성 케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힌지바(30)는 멀티미디어기기(1)의 위 측에 오도록 구성하며, 절곡홈(22)은 덮개판의 중심선(P)과 힌지바(30) 사이에 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기기의 기능성 케이스.
  5. 제 2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절곡홈(22)은 절곡시 절곡면이 접힌 각도를 유지하는 공간 폭이나 경사면(21)을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기기의 기능성 케이스.
  6. 멀티미디어기기(1)를 보관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케이스본체(10), 멀티미디어기기(1)의 전면을 덮는 덮개판(20), 케이스본체(10)에 연결되어 덮개판(20)을 여닫도록 힌지기능을 하는 힌지바(30)로 이루어지며;
    힌지바(30)에는 힌지바(30)를 중심으로 멀티미디어기기(1)의 뒷면으로 돌려 절곡하여 케이스본체의 길이방향이 바닥에 오도록 한 상태에서 경사지게 세우도록 절곡홈(3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기기의 기능성 케이스.
  7. 제 6항에 있어서, 덮개판(20)은 멀티미디어기기(1)의 폭 방향 양측 부분이 일정 폭으로 노출되도록 케이스본체(10)의 폭보다 작도록 경사 제공홈(S1)만큼 작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기기의 기능성 케이스.
  8. 제 6항 또는 7항에 있어서, 덮개판(20)을 연결하는 힌지바(30)에 형성한 절곡홈(32)은 폭 방향 양측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기기의 기능성 케이스.



KR1020100012963A 2010-02-11 2010-02-11 바형 멀티미디어기기의 기능성 케이스 KR101126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963A KR101126973B1 (ko) 2010-02-11 2010-02-11 바형 멀티미디어기기의 기능성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963A KR101126973B1 (ko) 2010-02-11 2010-02-11 바형 멀티미디어기기의 기능성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117A true KR20110093117A (ko) 2011-08-18
KR101126973B1 KR101126973B1 (ko) 2012-03-22

Family

ID=44929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963A KR101126973B1 (ko) 2010-02-11 2010-02-11 바형 멀티미디어기기의 기능성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9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734B1 (ko) * 2022-06-14 2022-09-16 이청림 스마트폰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129Y1 (ko) 2005-07-04 2005-09-29 이호상 핸드폰 케이스용 거치대
KR200428487Y1 (ko) 2006-07-21 2006-10-16 영훈산업 주식회사 메모용지 수납케이스
KR200440583Y1 (ko) 2006-12-20 2008-06-19 대은전자 주식회사 세대단자함용 장치통합 거치대
KR20090112970A (ko) * 2008-04-25 2009-10-29 인성테크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734B1 (ko) * 2022-06-14 2022-09-16 이청림 스마트폰 케이스
WO2023243758A1 (ko) * 2022-06-14 2023-12-21 이청림 스마트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6973B1 (ko)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84315B (zh) 带有支架的电子装置夹持器
TW201234951A (en) Electronic device case with retractable stand
KR200457185Y1 (ko) 거치 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TW200950473A (en) Mobile terminal device
JP6427868B2 (ja) 携帯情報機器のサポート装置及びテーブル
CA2720145A1 (en) Shelf
KR101126973B1 (ko) 바형 멀티미디어기기의 기능성 케이스
KR200480613Y1 (ko)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용 지지대
KR20140002951U (ko) 거치대 일체형 휴대폰 케이스
KR200476235Y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72542Y1 (ko) 태블릿 컴퓨터 케이스 겸 거치대
KR100633553B1 (ko) 휴대기기 악세사리와 휴대기기 거치대 겸 휴대기기악세사리
KR20140001471U (ko) 모바일 단말용 파우치
KR200485571Y1 (ko) 사물 거치홈이 형성된 협탁
KR20130007162U (ko)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JP2008532822A (ja) ページ固定用クリップ
KR200467059Y1 (ko) 휴대기기 거치대
CN217978255U (zh) 一种平板电脑超薄隐形支架
KR20110131779A (ko) 모바일 단말기용 오토틸트형 스탠드
KR101599964B1 (ko) 물품 거치대
KR101169232B1 (ko) 휴대폰 거치대
KR101190666B1 (ko)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및 거치 방법
JP3159334U (ja) 揺れる卓上レンチキュラーカードフレーム
KR20130077421A (ko) 휴대폰 케이스
KR20130005525U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