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2970A -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2970A
KR20090112970A KR1020080038780A KR20080038780A KR20090112970A KR 20090112970 A KR20090112970 A KR 20090112970A KR 1020080038780 A KR1020080038780 A KR 1020080038780A KR 20080038780 A KR20080038780 A KR 20080038780A KR 20090112970 A KR20090112970 A KR 20090112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hinge
cradle
compartment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8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용
Original Assignee
인성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성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성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8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2970A/ko
Publication of KR20090112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9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거치대는 바닥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겹쳐지거나 뒤쪽으로 젖혀지는 거치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거치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힌지부재와; 상기 힌지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에서 상기 거치부재가 젖혀지는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수단 및 상부가 개방되는 격실과 상기 격실에 장착되는 덮개가 형성되어, 상기 격실에 SD 카드가 수납되고, 상기 격실의 일면에는 투시홀이 형성되어, 상기 SD 카드의 수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고, 상기 조절수단에 의하여 휴대 단말기의 거치 각도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격실에 SD 카드를 수납할 수 있고, 수납된 SD 카드를 투시홀을 통하여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거치대의 상품성이 증대된다.
단말기, 거치대, 휴대폰, 메모리, 투시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SUPPORTER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고, 시청각도에 의하여 단말기의 거치되는 각도를 세분하여 조절할 수 있으며, SD 카드를 수납할 수 있고, SD 카드의 수납 여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장치를 의미하는데,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소형화 슬림화되고 있고 기능면에서도 멀티미디어와 인터넷환경에 적응하고 있다.
최근에는 영상, 음악 등 각종 멀티미디어 신호를 각종 휴대 단말기에 디지털 방식으로 전송하는 방송 서비스인 디엠비(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가 시행되고 있어서 이동 중 언제 어디서나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나 차량용 단말기를 통해 고화질의 영상과 고음질의 음악을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영상을 감상하기 위해서는 휴대 단말기를 손에 파지하거나 책상에 거치하여 감상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는 거치대에 착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시청각도에 의하여 단말기의 거치각도를 세분하여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SD 카드를 수납할 수 있고, 수납된 SD 카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며,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는 바닥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겹쳐지거나 뒤쪽으로 젖혀지는 거치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거치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힌지부재; 및 상기 힌지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에서 상기 거치부재가 젖혀지는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부가 개방되는 격실과 상기 격실에 장착되는 덮개가 형성되어, 상기 격실에 SD 카드가 수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실의 일면에는 투시홀이 추가로 형성되어, 상기 투시홀에 의하여 상기 SD 카드의 수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는 힌지홈과 힌지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힌지홈의 내부 면에 'ㅡ "자형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와, 상기 힌지축의 단부에 형성되는 판재형상의 걸림편으로 구성되어, 상기 걸림편이 상기 돌기와 돌기 사이에 선택적으로 안착되어 상기 거치부재의 젖혀지는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재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고, 힌지홈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와 힌지축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편에 의하여 휴대 단말기의 거치 각도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격실에 SD 카드를 수납할 수 있고, 수납된 SD 카드를 투시홀을 통하여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거치대의 상품성이 증대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가 접힌 상태와 젖혀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으로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는 베이스부재(20)와 상기 베이스부재(20)와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는 거치부재(30) 등으로 구성된다.
성가 베이스부재(20)는 바닥면에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평편한 육면체 형상 을 이루고, 내부에는 격실(21)이 구비된다. 상기 격실(21)은 SD 카드(50)가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다.
상기 SD 카드(50)(Secure Digital Card) 우표 크기의 플래시 SD 카드(50)로서, 매우 안정적이고 높은 저장 능력을 갖고 있으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뮤직 플레이어, 휴대 전화,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 캠코더 등의 디지털 제품에 사용되는 메모리이다. 이와 같은 SD 카드(50)는 자주 휴대하게 된다.
또한 상기 SD 카드(50)가 수납되는 상기 격실(21)의 일측면에는 투시홀(25)이 형성되어서, 상기 격실(21)에 수납되는 상기 SD 카드(50)의 존재 유무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격실(21)에는 덮개(23)가 안착되게 된다.
상기 베이스부재(20)와 힌지 연결되는 상기 거치부재(30)는 평판형상을 이루고, 단부에는 단턱(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재(20)가 상기 거치부재(30)와 연결되는 부위에는 힌지홈(4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부재(30)에는 힌지축(45)이 형성되어서 상기 힌지홈(41)에 안착되게 된다.
또한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홈(41) 내부 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돌기(43)가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재(30)에 형성된 힌지축(45)에는 걸림편(47)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편(47)은 상기 돌기(43)와 돌기(43) 사이에 안착하게 되고, 상기 거치부재(3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걸림편(47)도 돌기(43)와 돌기(43) 사이 를 이동하게 되며, 상기 돌기(43)에 의하여 상기 걸림편(47)에 저항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생하는 저항력에 의하여 상기 거치부재(30)의 회전각도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거치부재(30)의 저항력은 상기 돌기(43)의 높이에 의하여 조절하고, 상기 거치부재(30)의 회전각은 상기 돌기(43)와 돌기(43) 사이의 간격에 의하여 조절되도록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거치부재(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재(20)에 대하여 300~350°회전하여 도 7과 같은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를 거치하게 된다.
그리고 도 1의 바닥면에 형성된 투시홀(25)을 통하여 거치대가 접힌 상태에서도 SD 카드(50)의 수납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가 거치된 상태에서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가 접힌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거치대가 젖혀진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베이스부재의 분해 사시도와 요부 확대도.
도 5는 거치부재의 사시도와 요부확대도.
도 6은 조절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거치대, 20: 베이스부재,
21: 격실, 23: 덮개,
25: 투시홀, 30: 거치부재,
31: 단턱, 41: 힌지홈,
43: 돌기, 45: 힌지축,
47: 걸림편, 50: SD 카드,
100: 단말기

Claims (6)

  1.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바닥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재(20);
    상기 베이스부재(20)에 겹쳐지거나 뒤쪽으로 젖혀지는 거치부재(30);
    상기 베이스부재(20)와 상기 거치부재(30)를 서로 연결하는 힌지부재; 및 상기 힌지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20)에서 상기 거치부재(30)가 젖혀지는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20)에는 상부가 개방되는 격실(21)과 상기 격실(21)에 장착되는 덮개(23)가 형성되어, 상기 격실(21)에 SD 카드(50)가 수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21)의 일면에는 투시홀(25)이 추가로 형성되어서, 상기 투시홀(25)에 의하여 상기 격실(21)에 SD 카드(50)의 수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는 힌지홈(41)과 힌지축(4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힌지홈(41)의 내부면에 'ㅡ"자형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43)와, 상기 힌지축(45)의 단부에 형성되는 판재형상의 걸림편(47)으로 구성되어, 상기 걸림편(47)이 상기 돌기(43)와 돌기(43) 사이에 선택적으로 안착되어 상기 거치부재(30)의 젖혀지는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30)에는 단턱(31)이 형성되어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1020080038780A 2008-04-25 2008-04-25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200901129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780A KR20090112970A (ko) 2008-04-25 2008-04-25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780A KR20090112970A (ko) 2008-04-25 2008-04-25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970A true KR20090112970A (ko) 2009-10-29

Family

ID=41554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8780A KR20090112970A (ko) 2008-04-25 2008-04-25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2970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378Y1 (ko) * 2010-02-04 2010-09-29 주식회사 광림 태블릿 컴퓨터용 케이스
KR101106452B1 (ko) * 2011-06-09 2012-01-18 이현탁 태블릿pc용 거치대
KR101126973B1 (ko) * 2010-02-11 2012-03-22 김교학 바형 멀티미디어기기의 기능성 케이스
WO2012070869A2 (ko) * 2010-11-23 2012-05-31 Won Hye Sook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101331993B1 (ko) * 2011-04-12 2013-11-25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기능성 힌지를 가진 모바일 전자기기 케이스
ES2594178A1 (es) * 2015-06-15 2016-12-16 Jorge MIJANGOS AGUIRREBURUALDE Soporte portátil para dispositivos electrónicos
WO2023243758A1 (ko) * 2022-06-14 2023-12-21 이청림 스마트폰 케이스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378Y1 (ko) * 2010-02-04 2010-09-29 주식회사 광림 태블릿 컴퓨터용 케이스
KR101126973B1 (ko) * 2010-02-11 2012-03-22 김교학 바형 멀티미디어기기의 기능성 케이스
WO2012070869A2 (ko) * 2010-11-23 2012-05-31 Won Hye Sook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WO2012070869A3 (ko) * 2010-11-23 2012-09-27 Won Hye Sook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101331993B1 (ko) * 2011-04-12 2013-11-25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기능성 힌지를 가진 모바일 전자기기 케이스
KR101106452B1 (ko) * 2011-06-09 2012-01-18 이현탁 태블릿pc용 거치대
ES2594178A1 (es) * 2015-06-15 2016-12-16 Jorge MIJANGOS AGUIRREBURUALDE Soporte portátil para dispositivos electrónicos
WO2023243758A1 (ko) * 2022-06-14 2023-12-21 이청림 스마트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12970A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101757477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US9573532B2 (en) Mobile device docking station
US8100376B2 (en) Supporting bracket
KR100713495B1 (ko) 휴대용 거치대
US7516933B2 (en) Portable folding type cradle
KR101927201B1 (ko) 지지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9891666B2 (en) Apparatus with twistable electronics dock and rotatable connecting port having a plurality of heads
KR100740847B1 (ko) 2축 회전 부품 및 전자 기기
US20080039156A1 (en) Mobile phone for multimedia with a self-cradling function
CN1953468A (zh) 便携式终端和滑动型支架
US9192067B2 (en) Docking station
US20100237222A1 (en) Accessory structur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2012227794A (ja) 携帯端末用指掛け及び携帯端末
KR20080025886A (ko) 스테레오 스피커 시스템을 구비한 푸쉬 업 타입 휴대 충전 거치대
US824878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slidable cover
KR10063013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CN114844964A (zh) 壳体组件及电子设备
KR100800711B1 (ko) 휴대 단말기의 프리 스톱 힌지 장치
JP2002295445A (ja) 携帯電話機
US8515504B2 (en) Portable terminal with rotating display
JP2007215157A (ja) 折り畳み式ヒンジ装置及び折り畳み式ヒンジ装置を用いた個人携帯端末
JP2007180854A (ja) 携帯端末装置の置台
JP2005142671A (ja) 携帯通信端末用スタンド
KR100967810B1 (ko) 단말기용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