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2942A - 습식 칼갈이 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칼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2942A
KR20110092942A KR1020100012659A KR20100012659A KR20110092942A KR 20110092942 A KR20110092942 A KR 20110092942A KR 1020100012659 A KR1020100012659 A KR 1020100012659A KR 20100012659 A KR20100012659 A KR 20100012659A KR 20110092942 A KR20110092942 A KR 20110092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blade
main body
couple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일
Original Assignee
최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일 filed Critical 최병일
Priority to KR1020100012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2942A/ko
Publication of KR20110092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9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36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 B24B3/54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cutting blades of hand or table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2Equipment for cooling the grinding surfaces, e.g. devices for feeding coo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4Protective covers for the grinding wheel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작동으로 칼날을 가는 연마석에 일정량의 수분을 함유시켜 칼을 갈 수 있도록 하는 습식 칼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새로운 구조에 의해 칼날을 연마석에 근접시키거나 칼날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여 초보자도 사용이 편리함은 물론이고 안정된 상태에서 칼날을 갈 수 있어 연마석의 편마모 혹은 불규칙적인 마모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칼날을 갈 수 있으며, 연마 작업시 각종 이물질이 외부로 분산되지 않도록 하여 편리성 또한 크게 향상되도록 한 습식 칼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거치수단의 거치대가 본체의 슬라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작동됨은 물론이고 밀착부재가 각도조절봉에 의해서 일정한 각도로 각도 조절되므로 칼날을 연마석에 근접시키거나 칼날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여 초보자도 사용이 편리하고, 특히 밀착판에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있어 안정된 상태에서 칼날을 갈 수 있어 연마석의 편마모 혹은 불규칙적인 마모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칼날을 갈 수 있으며, 본체에는 커버부재가 구비되어 연마 작업시 각종 이물질이 외부로 분산되지 않도록 하여 편리성 또한 크게 향상되도록 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습식 칼갈이 장치{Sharpening a blade device}
본 발명은 회전 작동으로 칼날을 가는 연마석에 일정량의 수분을 함유시켜 칼을 갈 수 있도록 하는 습식 칼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새로운 구조에 의해 칼날을 연마석에 근접시키거나 칼날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여 초보자도 사용이 편리함은 물론이고 안정된 상태에서 칼날을 갈 수 있어 연마석의 편마모 혹은 불규칙적인 마모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칼날을 갈 수 있으며, 연마 작업시 각종 이물질이 외부로 분산되지 않도록 하여 편리성 또한 크게 향상되도록 한 습식 칼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갈이 장치는 습식과 건식이 사용되고 있는데, 전자는 연마석에 일정량의 수분을 함유시켜 칼날을 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건식은 수분 공급 없이 칼날을 갈 수 있도록 한 것인데, 건식 같은 경우에는 칼날에 과도한 열이 발생하게 되어 칼날이 훼손될 수 있어 사용자들은 습식을 선호하게 된다.
통상, 습식 칼갈이 장치는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연마석을 구비해두고 연마석 회전과 함께 일정량의 물을 연마석으로 공급하여 연마석에 수분이 함유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칼날을 들고 절삭면을 회전되는 연마석에 근접시켜 갈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한편, 칼날은 그 쓰임새에 따라 칼날의 절삭부분의 각도가 상이하게 요구된다. 즉, 회칼은 주방용 칼에 비해 더 예리함이 요구되므로 절삭부분의 각도가 더 크게 요구되는 등이다. 이에 따라, 종래의 장치를 통해서 칼날을 갈게 되면 사용자의 경험과 경력을 토대로 칼마다 요구되는 각도에 맞춰 갈게 되는 것인데, 경험과 경력이 부족한 초보 사용자의 경우 그 각도를 맞추기가 쉽지 않아 고가의 칼을 훼손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된다.
따라서, 근래에는 경력자와 함께 초보자도 쉽게 칼날을 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안정성이 확보되어 사용이 더욱 편리한 새로운 구조의 칼갈이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칼날을 연마석에 근접시키거나 칼날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여 초보자도 사용이 편리함은 물론이고 안정된 상태에서 칼날을 갈 수 있어 연마석의 편마모 혹은 불규칙적인 마모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칼날을 갈 수 있으며, 연마 작업시 각종 이물질이 외부로 분산되지 않도록 하여 편리성 또한 크게 향상되도록 한 습식 칼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 전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볼트봉이 구비된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그 후측에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회동력을 발생하는 회동수단이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공간부 상측에 양단이 베어링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서 상기 회동수단과 연결되어 회동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에 결합되어 회동 작동되는 연마석으로 이루어지는 연마수단; 및 상기 본체의 볼트봉에 일측이 결합되어 볼트봉의 회동 작동에 의해 슬라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작동되되 타측에는 상하 및 후측으로 개방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일측에는 내부에 형성된 연통홀을 통해 상기 결합홈과 연통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거치대와, 상기 삽입홈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기어부가 형성된 각도조절봉과, 상기 거치대에 형성된 결합홈의 후측에서 삽입되어 축을 매개로 결합되되 상기 각도조절봉의 기어부와 치합되어 각도조절봉의 회동 작동에 의해 상하 각도 조절되어 조절된 각도에 칼날이 밀착되어 그 각도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날을 세울 수 있도록 하는 밀착부재로 이루어진 거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의 상면 후측에는 연마석의 회동시 공간부에 저장된 물 혹은 이물질이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연마석의 후방을 커버하는 커버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의 후측에는 상기 공간부에 저장된 물을 쉽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배출밸브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거치대의 결합홈 후측에서 결합되어 축을 통해서 결합되되 각도조절봉의 기어부와 연통홀을 통해서 치합되는 기어부가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각도조절봉의 회동 작동시 상하 방향으로 각도 조절되는 결합판; 및 상기 결합판의 끝단에 부착되어 거치대의 결합홈 후방을 가리는 자세로 구비되어 같이 각도 조절되면서 칼날이 밀착되어 각도를 유지하면서 날을 세울 수 있도록 하는 밀착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밀착판의 하측 양단부에는 하향 연장된 연장부가 각각 형성되고, 그 연장부에는 롤러가 구비되어 있는 탄성부재가 결합된 채 상기 밀착판의 상측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밀착판에 밀착되는 칼날을 탄성 지지토록 하여 연마 작업시 칼날의 흔들림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거치수단의 거치대가 본체의 슬라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작동됨은 물론이고 밀착부재가 각도조절봉에 의해서 일정한 각도로 각도 조절되므로 칼날을 연마석에 근접시키거나 칼날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여 초보자도 사용이 편리하고, 특히 밀착판에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있어 안정된 상태에서 칼날을 갈 수 있어 연마석의 편마모 혹은 불규칙적인 마모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칼날을 갈 수 있으며, 본체에는 커버부재가 구비되어 연마 작업시 각종 이물질이 외부로 분산되지 않도록 하여 청결성과 편리성 또한 크게 향상되도록 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 칼갈이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일부 분리 사시도.
도 3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나"는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수단의 사시도.
도 5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수단의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이며, "다"는 "나"의 c-c선 단면도.
도 6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수단의 결합관계를 보인 종단면도와 작동관계를 보인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 칼갈이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 1의 d-d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 칼갈이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습식 칼갈이 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 칼갈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일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나"는 b-b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5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수단의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이며, "다"는 "나"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6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수단의 결합관계를 보인 종단면도와 작동관계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습식 칼갈이 장치(100)는 크게 본체(200), 상기 본체(200)의 상면 가운데 부분에 베어링(B)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연마수단(300) 및 상기 본체(200)의 상면 전측에 형성된 슬라이드홈(210)에 구비된 볼트봉(212)에 결합되어 있는 거치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전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볼트봉(212)이 구비된 슬라이드홈(210)이 형성되고, 그 후측에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부(220)가 형성되며, 도 3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는 회동력을 발생하는 회동수단(23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200)의 상면 후측에는 커버부재(240)가 구비되는데, 이는 후술할 연마수단(300)의 연마석(320) 회전시 물이나 각종 이물질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토록 구비된다. 또한, 도 3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0)의 후측에는 상기 공간부(220)에 저장되는 물을 외부로 쉽게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로(224)가 형성되며 배출로(224)에 설치되어 배출 작용을 제어할 수 있는 배출밸브(222)가 추가로 구비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슬라이드홈(210)의 내벽에는 레일홈(214)이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봉(212)은 이 슬라이드홈(210) 내부에서 길이 방향대로 구비되어서 자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본체(200)의 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드홈(210) 내부로 돌출되어 후술할 거치수단(400)을 단단히 고정할 수 있는 고정볼트(250)가 추가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수단(230)은 상기 본체(200) 내부에 구비되는 모터(231), 상기 모터(231) 축과 연결된 제1기어(232), 상기 제1기어(232)와 제1타이밍벨트(233)를 통해 연결된 제2기어(234), 상기 제2기어(234)와 제2타이밍벨트(235)로 연결된 제3기어(23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제3기어(236)가 후술하겠지만 상기 연마수단(300)과 연결되어 모터(231)의 회동력을 전달하여 연마수단(300)을 회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240)는 상기 본체(200)의 공간부(220) 양 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브라켓(242)을 통해서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여 유지관리의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연마수단(300)은 상기 본체(200)의 공간부(220) 상측에 양단이 베어링(B)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서 상기 회동수단(230)과 연결되어 회동되는 회동축(310)과, 상기 회동축(310)에 결합되어 회동 작동되는 연마석(320)으로 이루어지며, 미부호 설명이지만 연마석(320)을 회동축(310)에 결합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너트를 더 포함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축(310)의 일측에는 기어(312)가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베어링(B)에 장착된 후 상기 회동수단(230)의 제3기어(236)와 치합 연결되어 회동수단(230)의 회동력으로 회동되기 위함이다. 이렇게, 회동수단(230)으로부터 발생되는 회동력을 회동축(310)으로 전달하는 방식은 이미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별도의 상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연마석(320)은 상기 본체(200)의 공간부(220)에 물이 저장되면 하측이 저장된 물에 담수되어 그 수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공간부(220) 내측에 위치되게끔 설치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거치수단(4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0)의 상면에 형성된 슬라이드홈(210)에 구비된 볼트봉(212)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도 5의 "가" 내지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거치대(410), 각도조절봉(420) 및 밀착부재(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상기 거치대(410)는 상기 본체(200)의 볼트봉(212)에 일측이 결합되어 볼트봉(212)의 회동 작동에 의해 슬라이드홈(210)을 따라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상기 볼트봉(212)에 결합되기 위한 볼트공(41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양 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드홈(210) 내벽에 형성된 레일홈(214)을 따라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하는 레일턱(4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410)의 타측에는 상하 및 후측으로 개방된 결합홈(414)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414)의 일측에는 내부에 형성된 연통홀(415)을 통해 상기 결합홈(414)과 연통되는 삽입홈(4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봉(420)은 상기 거치대(410)의 삽입홈(416)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운데 부분에는 기어부(422) 즉, 웜기어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밀착부재(430)는 상기 거치대(410)에 형성된 결합홈(414)의 후측에서 삽입되어 축(435)을 매개로 결합되되 상기 각도조절봉(420)의 기어부(422)와 치합되어 각도조절봉(420)의 회동 작동에 의해 상하 각도 조절되어 조절된 각도에 칼날이 밀착되어 그 각도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날을 세울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거치대(410)의 결합홈(414) 후측에서 결합되어 축(435)을 통해서 결합되되 각도조절봉(420)의 기어부(422)와 연통홀(415)을 통해서 치합되는 기어부(433)가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각도조절봉(420)의 회동 작동시 상하 방향으로 각도 조절되는 결합판(432) 및 상기 결합판(432)의 끝단에 부착되어 거치대(410)의 결합홈(414) 후방을 가리는 자세로 구비되어 같이 각도 조절되면서 칼날이 밀착되는 면을 제공하여 칼날이 밀착되어 각도를 유지하면서 날을 세울 수 있도록 하는 밀착판(43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결합판(432)과 거치대(410)를 결합하는 축(435)에는 손잡이(435a)가 구비되어 있어 각도 조절이 완료된 뒤 이 축(435)을 회동시켜 콱 쪼이게 되면 밀착판(434)이 단단히 고정되어 조절된 각도가 쉽게 달라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밀착판(434)의 하측 양단부에는 하향 연장된 연장부재(436)가 각각 추가로 형성되고, 그 연장부재(436)에는 롤러(438)가 구비되어 있는 탄성부재(437)가 각각 끼움 결합된 채 상기 밀착판(434)의 외면 상측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밀착판(434)에 밀착되는 칼날을 탄성 지지토록 하여 연마 작업시 칼날의 흔들림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탄성부재(437)는 일자 형상보다는 탄성력이 우수하도록 다수 절곡된 크랭크 형상으로 구성하고 밀착판(434)에 근접하는 절곡부분에 롤러(438)를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410)의 양 측면에는 상기 밀착판(434)의 연장부재(436)에 끼움 결합된 탄성부재(437)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결합되는 스토퍼(439)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된 거치수단(400)의 결합관계는 도 6의 "가"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거치대(410)의 결합홈(414) 내부로 삽입된 밀착부재(430)의 결합판(432)은 축(435)을 매개로 설치되고, 결합판(432)에 형성된 기어부(433)는 거치대(410)의 삽입홈(416)을 통해서 결합된 각도조절봉(420)의 기어부(422)와 연통홀(415) 내에서 치합된다. 그리고, 밀착판(434)의 하측에 형성된 연장부재(436)에는 탄성부재(437)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끼움 결합되어져 밀착판(434)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때, 전술하였듯이 상기 탄성부재(437)는 다수 절곡된 크랭크 형상을 가지며, 절곡부분 중 밀착판(434)에 근접하는 절곡부분에는 롤러(438)가 결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 6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절봉(420)을 어느 일측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그 기어부(422)와 치합되어 있는 밀착부재(430) 즉, 결합판(432) 그리고 결합판(432)에 부착 형성된 밀착판(434)은 축(435)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각도가 조절됨을 알 수 있다. 물론, 각도조절봉(420)을 반대로 회동시키게 되면 다시 각도 조절되면서 원위치로 복원될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이런식으로 밀착판(434)에 대한 각도를 조절하여 칼 종류마다 상이하게 요구되는 날의 각도에 맞게 숙련자는 물론이고 초보자도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됨은 당연하다. 즉, 상기 각도조절봉(420)의 회전수에 따라 밀착부재(430)는 그 각도를 달리하게 되는 것인바, 예컨대 최초 셋팅된 상태 즉, 밀착부재(430)의 밀착판(434)이 수직인 상태(도 6의 "가")에서 각도조절봉(420)을 1회전시키면 밀착부재(430)는 2도의 각도 변화를 보인다 가정하자. 그러면 작업자가 각도조절봉(420)을 3회전시켜 밀착부재(430)가 6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설정했는데, 외압에 의해 밀착부재(430)의 각도가 무단으로 변화되는 경우에도 최초 셋팅된 상태로 밀착부재(430)를 위치시킨 뒤 다시 각도조절봉(420)을 3회전시키면 쉽게 밀착부재(430)의 각도를 작업 중인 각도로 쉽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숙련자는 물론이고 초보자도 쉽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임을 인지해야 된다.
그리고, 여기서는 미도시 하였으나 각도 조절된 뒤 축(435)을 회동시켜 결합판(432)을 구속하게 되면 조절된 각도가 무단으로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거치대(410)는 도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볼트공(412)을 매개로 본체(200)의 슬라이드홈(210)에 구비된 볼트봉(212)에 볼트/너트 방식으로 결합되되 거치대(410)의 레일턱(413)과 슬라이드홈(210)의 내벽에 형성된 레일홈(214)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볼트봉(212)을 회동시키게 되면 거치대(410)는 전후 방향 즉, 연마석(320)에 근접하거나 혹은 원거리로 슬라이딩 될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그러므로, 연마석(320)이 마모에 따라 그 직경이 작아지면 더욱 근접시킬 수 있게 됨을 인지하여야 된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습식 칼갈이 장치(100)의 사용 상태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 칼갈이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 1의 d-d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 칼갈이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로 하면, 본체(200)의 상면에 형성된 공간부(220)에는 연마석(320)에 일정량의 수분을 공급하도록 물이 저장된다. 그리고, 칼날(500)의 종류에 따라 날이 세워지는 각도에 맞게 거치수단(400)의 각도조절봉(420)을 회동시켜 밀착부재(430)인 결합판(432)과 밀착판(434)의 각도를 조절하고, 본체(200)의 슬라이드홈(210)에 구비된 볼트봉(212)을 회동시켜서 거치대(410)를 슬라이딩시켜 밀착판(434)이 연마석(320)에 근접하도록 조절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회동수단(230)을 동작시켜서 그 회동력을 연마수단(300)인 회동축(310)으로 전달하여 연마석(320)을 회동시키게 되면 연마석(320)에는 일정량의 수분이 흡수되면서 회동 작동될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200)에는 연마석(320)의 후측을 가리는 자세로 구비된 커버부재(240)가 구비되므로 연마석(320)의 회동 작동시 물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막아 주변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 뒤 일부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선으로 도시된 칼날(500)을 밀착판(434)이 가지는 경사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하향시키게 되면 칼날(500)은 회동되는 연마석(320)에 닿으면서 갈아져 날이 세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칼날(500)은 밀착판(434)의 양 단부에 구비된 탄성부재(437)에 의해 탄성지지 되므로 외압 즉, 연마석(320)의 편마모나 불규칙적인 마모에 의해 쉽게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밀착판(434)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될 것이다.
계속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연마되는 칼날(500)의 손잡이를 파지한 채 화살표 방향으로 천천히 당기게 되면 칼날(500) 전체는 밀착판(434)이 가지는 각도로 갈아지게 되는데, 칼날(5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437)에는 롤러(438)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칼날(500)을 당기는 작용이 원활하여 쉽게 칼날을 갈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습식 칼갈이 장치(100)에 의하면, 거치수단(400)의 거치대(410)가 본체(200)의 슬라이드홈(210)을 따라 슬라이딩 작동됨은 물론이고 밀착부재(430)가 각도조절봉(420)에 의해서 일정한 각도로 각도 조절되므로 칼날(500)을 연마석(320)에 근접시키거나 칼날(500)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여 초보자도 사용이 편리하고, 특히 밀착판(434)에 탄성부재(437)가 구비되어 있어 안정된 상태에서 칼날(500)을 갈 수 있어 연마석(320)의 편마모 혹은 불규칙적인 마모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칼날을 갈 수 있으며, 본체(200)에는 커버부재(240)가 구비되어 연마 작업시 각종 이물질이 외부로 분산되지 않도록 하여 청결성과 편리성 또한 크게 향상되도록 한 장점이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 습식 칼갈이 장치 200 : 본체
210 : 슬라이드홈 212 : 볼트봉
214 : 레일홈 220 : 공간부
222 : 배출밸브 224 : 배출로
230 : 회동수단 231 : 모터
232 : 제1기어 233 : 제1타이밍벨트
234 : 제2기어 235 : 제2타이밍벨트
236 : 제3기어 240 : 커버부재
242 : 브라켓 B : 베어링
300 : 연마수단 310 : 회동축
320 : 연마석 400 : 거치수단
410 : 거치대 412 : 볼트공
413 : 레일턱 414 : 결합홈
415 : 연통홀 416 : 삽입홈
420 : 각도조절봉 422 : 기어부
430 : 밀착부재 432 : 결합판
433 : 기어부 434 : 밀착판
435 : 축 435a : 손잡이
436 : 연장부재 437 : 탄성부재
438 : 롤러 439 : 스토퍼

Claims (5)

  1. 상면 전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볼트봉이 구비된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그 후측에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회동력을 발생하는 회동수단이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공간부 상측에 양단이 베어링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서 상기 회동수단과 연결되어 회동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에 결합되어 회동 작동되는 연마석으로 이루어지는 연마수단; 및
    상기 본체의 볼트봉에 일측이 결합되어 볼트봉의 회동 작동에 의해 슬라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작동되되 타측에는 상하 및 후측으로 개방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일측에는 내부에 형성된 연통홀을 통해 상기 결합홈과 연통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거치대와, 상기 삽입홈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기어부가 형성된 각도조절봉과, 상기 거치대에 형성된 결합홈의 후측에서 삽입되어 축을 매개로 결합되되 상기 각도조절봉의 기어부와 치합되어 각도조절봉의 회동 작동에 의해 상하 각도 조절되어 조절된 각도에 칼날이 밀착되어 그 각도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날을 세울 수 있도록 하는 밀착부재로 이루어진 거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칼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 후측에는 연마석의 회동시 공간부에 저장된 물 혹은 이물질이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연마석의 후방을 커버하는 커버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칼갈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측에는 상기 공간부에 저장된 물을 쉽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배출밸브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칼갈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거치대의 결합홈 후측에서 결합되어 축을 통해서 결합되되 각도조절봉의 기어부와 연통홀을 통해서 치합되는 기어부가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각도조절봉의 회동 작동시 상하 방향으로 각도 조절되는 결합판; 및
    상기 결합판의 끝단에 부착되어 거치대의 결합홈 후방을 가리는 자세로 구비되어 같이 각도 조절되면서 칼날이 밀착되어 각도를 유지하면서 날을 세울 수 있도록 하는 밀착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칼갈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판의 하측 양단부에는 하향 연장된 연장부가 각각 형성되고, 그 연장부에는 롤러가 구비되어 있는 탄성부재가 결합된 채 상기 밀착판의 상측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밀착판에 밀착되는 칼날을 탄성 지지토록 하여 연마 작업시 칼날의 흔들림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칼갈이 장치.
KR1020100012659A 2010-02-11 2010-02-11 습식 칼갈이 장치 KR201100929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659A KR20110092942A (ko) 2010-02-11 2010-02-11 습식 칼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659A KR20110092942A (ko) 2010-02-11 2010-02-11 습식 칼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942A true KR20110092942A (ko) 2011-08-18

Family

ID=44929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659A KR20110092942A (ko) 2010-02-11 2010-02-11 습식 칼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294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478B1 (ko) * 2012-10-10 2014-04-01 이윤호 칼 연마기
WO2017030265A1 (ko) * 2015-08-19 2017-02-23 홍순민 휴대용 칼갈이 장치
KR102311680B1 (ko) 2021-03-17 2021-10-08 박민순 인장칼 갈이용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478B1 (ko) * 2012-10-10 2014-04-01 이윤호 칼 연마기
WO2017030265A1 (ko) * 2015-08-19 2017-02-23 홍순민 휴대용 칼갈이 장치
KR102311680B1 (ko) 2021-03-17 2021-10-08 박민순 인장칼 갈이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8010B1 (ko) 칼갈이 장치
CA2139600C (fr) Bloc de sablage a l'eau
KR20110092942A (ko) 습식 칼갈이 장치
KR101379478B1 (ko) 칼 연마기
CN102773778A (zh) 可调节角度的墙面打磨机
CN207824718U (zh) 一种磨刀器
CN205817473U (zh) 一种脚踏式磨刀器
US2259941A (en) Surface polisher
CN205870268U (zh) 一种抛光机自动上蜡装置
KR101438082B1 (ko) 상하 회동식 배토기
WO2017030265A1 (ko) 휴대용 칼갈이 장치
JP6883610B2 (ja) 刃物研ぎ器
CN206500939U (zh) 一种厨房用磨刀装置
KR200410944Y1 (ko) 칼 연마기
CN203766352U (zh) 一种立式手摇铅笔刨
FR3031924A1 (fr) Gilet de suspension d'un outil de surfacage
CN214980027U (zh) 一种角磨机支架
CN219353693U (zh) 手摇咖啡磨豆机
KR101496214B1 (ko) 칼 연마기
KR100818062B1 (ko) 연마구
CN208811902U (zh) 一种滑雪板修边器
CN215037667U (zh) 一种自带磨刀功能的折叠刀
CN219359005U (zh) 一种打磨机
CN216991167U (zh) 一种别墅装潢用可伸缩的墙面磨平工具
CN208551548U (zh) 多功能菜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