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2070A - 유도가열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유도가열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2070A
KR20110092070A KR1020100011513A KR20100011513A KR20110092070A KR 20110092070 A KR20110092070 A KR 20110092070A KR 1020100011513 A KR1020100011513 A KR 1020100011513A KR 20100011513 A KR20100011513 A KR 20100011513A KR 20110092070 A KR20110092070 A KR 20110092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heating
heating coil
inverter
power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1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3495B1 (ko
Inventor
오두용
박병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1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495B1/ko
Publication of KR20110092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05B6/065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using coordinated control of multiple induction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05B1/0258For cook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72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with more than one coil or coil segment per heating zo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44Coil arrangements having more than one coil or coil seg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가열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기기는, 직류 전원을 제1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제1 인버터와, 공급되는 교류전원에 의해 가열을 유도하며, 적어도 하나가 제1 인버터에 접속되는 제1 유도가열 코일 및 제2 유도 가열 코일과, 직류 전원을 제2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제2 인버터와, 제1 유도 가열 코일 및 제2 유도 가열 코일이 모두 동작되는 경우에, 제1 교류전원 및 제2 교류전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1 유도 가열 코일에 공급되도록 하고, 다른 하나는 제2 유도 가일 코일에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 선택부와, 제1 유도 가열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분배하도록 서로 병렬로 접속되는 제1 공진 커패시터 및 제2 공진 커패시터와, 제2 유도 가열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분배하도록 서로 병렬로 접속되는 제3 공진 커패시터 및 제4 공진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유도가열 조리기기 내의 유도 가열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분배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유도가열 조리기기{Cooking apparatus using induction heeating}
본 발명은 유도가열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유도가열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전자전자레인지(microwave oven), 히터를 이용한 오븐(microwave oven), 쿡탑(cooktop) 등 다양한 제품들이 보급되고 있다.
전자레인지는 마그네트론에 의해 생성된 마이크로파를 밀폐된 조리실 내에 조사하여 조리실 내에 수납된 음식물의 물분자를 진동시킴으로써 음식물을 가열하고, 오븐은 히터를 이용하여 밀폐된 조리실을 가열함으로써 조리실 내에 수납된 음식물을 가열한다.
한편, 쿡탑은 일반적으로 그 상면에 올려진 그릇을 가열함으로써 그릇에 담겨진 음식물을 가열하는 것으로, 가스를 열원으로 하는 가스 쿡탑이 대표적이다. 가스 쿡탑의 경우, 화염에 의한 열손실이 커서 열효율이 떨어지므로 최근에는 전기를 이용한 쿡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유도가열 조리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더룬 목적은, 파워 저감 없이 효율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유도가열 조리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효율 손실 없이 안정적으로 가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유도가열 조리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기기는,직류 전원을 제1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제1 인버터와, 공급되는 교류전원에 의해 가열을 유도하며, 적어도 하나가 제1 인버터에 접속되는 제1 유도가열 코일 및 제2 유도 가열 코일과, 직류 전원을 제2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제2 인버터와, 제1 유도 가열 코일 및 제2 유도 가열 코일이 경우에, 제1 교류전원 및 제2 교류전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1 유도 가열 코일에 공급되도록 하고, 다른 하나는 제2 유도 가일 코일에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 선택부와, 제1 유도 가열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분배하도록 서로 병렬로 접속되는 제1 공진 커패시터 및 제2 공진 커패시터와, 제2 유도 가열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분배하도록 서로 병렬로 접속되는 제3 공진 커패시터 및 제4 공진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기기는, 교류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되는 복수의 유도 가열 코일과, 복수의 유도 가열 코일 중 제1 유도 가열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분배하도록 서로 병렬 접속되는 제1 공진 커패시터 및 제2 공진 커패시터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도 가열 코일에 흐르는 고주파 전류를 분배함으로써, 회로 내의 소자들의 안정성이 향상되게 된다.
특히, 유도 가열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분배하여 서로 다른 인버터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각 인버터는 물론, 리액터 등의 회로 내의 다양한 소자들의 전류 스트레스 및 이에 따른 발열 형상 등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의 유도 가열 코일 중 병렬 접속되는 적어도 2개의 유도 가열 코일이 동시에 가열되는 경우, 각 유도 가열 코일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이 서로 다른 인버터로부터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파워 저감 없이, 효율적으로 또는 안정적으로 유도가열 조리기기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가열 플레이트 하의 가열부를 이용하므로, 불꽃이 없어, 안정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열부, 특히, 유도가열 코일이 직접 가열되지 않아, 지속적으로 고주파 전류를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높은 에너지 효율 및 가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기기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도가열 조리기기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3은 도 1의 유도가열 조리기기의 내부 블록도의 다른 예이다.
도 4는 도 3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유도가열 조리기기의 내부 블록도의 다른 예다.
도 6은 도 1의 가열부와 도 2의 유도 가열 코일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2의 유도가열 조리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기기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도가열 조리기기(100)는, 가열 플레이트(110), 제1 가열부(130), 제2 가열부(150), 제3 가열부(170), 조작부(180), 및 표시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플레이트(110)는 유도가열 조리기기(100)의 케이싱으로서, 각 가열부 상에 배치된다. 가열 플레이트(110)는, 세라믹, 강화 유리 등 다양한 재질로 구현가능하다.
가열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조리용기가 배치되며, 특히 조리용기(195)가 후술하는 각 가열부(130,150,170) 상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경우, 유도 가열 원리에 의해 가열되게 된다.
제1 가열부(130)는, 복수의 유도 가열 코일 및 공진용 커패시터(미도시)를 구비한다. 도면에서는, 제1 유도 가열 코일(Lr1) 및 제4 유도 가열 코일(Lr4)을 구비하는 것을 예시하며, 이 중 제4 유도 가열 코일(Lr4)이 제1 유도 가열 코일(Lr1)의 외주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이외에, 제1 유도 가열 코일 및 제2 유도 가열 코일이 병렬 등으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조리용기(195)가 제1 가열부(130), 특히 제1 유도 가열 코일(Lr1) 상에 높인 상태에서, 제1 유도 가열 코일(Lr1)에 교류 전류, 특히 고주파의 교류 전류가 흐르는 경우, 제1 유도 가열 코일(Lr1)과 공진용 커패시터(미도시)에 의한 공진에 의해, 제1 유도 가열 코일(Lr1)에 자기장이 발생하며, 자기장에 의한 전자기 유도 효과로 인하여, 조리용기(195)에 와전류(Eddy current)가 유도되게 된다. 이 와전류에 의해 조리 용기의 저항 성분에서 주울(Joul) 열이 발생하여 조리 용기가 가열되게 된다.
한편, 제1 유도 가열 코일(Lr1) 외에, 제4 유도 가열 코일(Lr4) 상에도 조리용기(195)가 높이게 되면, 제1 유도 가열 코일(Lr1) 및 제4 유도 가열 코일(Lr4) 모두에 고주파의 교류 전류가 흘러, 상술한 바와 같이 와전류에 의해, 조리 용기(195)가 가열되게 된다.
제2 가열부(150)는, 제2 유도 가열 코일(Lr2) 및 공진용 커패시터(미도시)를 구비한다. 조리용기(195)가 제2 가열부(150), 특히 제2 유도 가열 코일(Lr2) 상에 높인 상태에서, 고주파의 교류 전류가 흐르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와전류에 의해, 조리 용기(195)가 가열되게 된다.
제3 가열부(170)는, 제3 유도 가열 코일(Lr3) 및 공진용 커패시터(미도시)를 구비한다. 조리용기(195)가 제3 가열부(170), 특히 제3 유도 가열 코일(Lr3) 상에 높인 상태에서, 고주파의 교류 전류가 흐르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와전류에 의해, 조리 용기(195)가 가열되게 된다.
조작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에 따라, 유도가열 조리기기(100)를 동작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1 가열부(130), 제2 가열부(150), 제3 가열부(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열할지, 또는, 제1 가열부(130) 내의 제1 유도 가열 코일(Lr1) 및 제4 유도 가열 코일(Lr4) 중 어디에 전류가 공급되도록 할지, 또는 각 가열부의 동작 시간 선택 또는 온도 선택 등이 결정될 수 있다.
조작부(180)는 도면과 같이, 각 가열부(130,150,170) 별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부(190)는, 유도가열 조리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각 가열부(130,150,170)가 동작되는 중 인지 여부, 가열중인 조리 기기(195)의 온도 등이 표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기기(100) 외에, 복사열(radiant heat) 방식의 조리기기는, 유도가열 조리기기(100)와 마찬가지로, 가열 플레이트(110) 하의 가열부를 이용하므로, 불꽃이 없어, 안정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복사열 방식에 따라 가열부 자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므로, 가열부의 보호를 위해, 온/오프 제어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기기(100)는, 고주파에 의한 유도 가열 원리를 이용하므로, 가열부, 특히, 유도가열 코일이 직접 가열되지 않아, 지속적으로 고주파 전류를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높은 에너지 효율 및 가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유도가열 조리기기(100)는, 금속 성분을 포함한 자성체의 조리 용기인 경우에 유도 가열이 효율적으로 수행되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즉 비자성체의 조리 용기의 경우에도 가열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별도로 전열 가열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전열 가열부(미도시)는, 각 가열부(130,150,170)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 외, 유도가열 조리기기(100)는, 조리 용기의 종류를 검출하는 부하 검출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유도가열 조리기기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기(100)는, 제1 컨버터(210), 제2 컨버터(215), 제1 리액터(L1), 제2 리액터(L2), 제1 평활 커패시터(C1), 제2 평활 커패시터(C2), 제1 인버터(220), 제2 인버터(225), 전원 선택부(230), 전원 분배부(240), 제1 내지 제4 스위칭 소자(S1~S4), 제1 내지 제4 유도 가열 코일(Lr1~Lr4), 제1 내지 제8 공진 커패시터(Cr1~Cr8)를 포함한다. 한편, 제어부(미도시), 온도 감지부(미도시), 입력 전류 검출부(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버터(210)와 제2 컨버터(215)는, 상용 교류 전원(205)을 입력받아, 이를 각각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1 컨버터(210)와 제2 컨버터(215)는 다이오드 소자를 구비하고, 다이오드 소자에서 정류된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1 컨버터(210)와 제2 컨버터(215)는, 다이오드 소자 및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 및 다이오드 소자의 정류 특성에 따라 변환되는 직류 전원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컨버터(210)와 제2 컨버터(215)가 스위칭 소자가 아닌 다이오드 소자로 이루어진 것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한편, 상용 교류 전원(205)은 단상 교류 전원 또는 삼상 교류 전원일 수 있다. 단상 교류 전원인 경우, 제1 컨버터(210)와 제2 컨버터(215)는, 브릿지 형태로서 4개의 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삼상 교류 전원인 경우, 제1 컨버터(210)와 제2 컨버터(215))는, 6개의 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리액터(L1)와 제2 리액터(L2)는, 제1 컨버터(210)와 제2 컨버터(215)의 일단에 각각 접속되어, 교류 성분의 에너지를 축적하여, 고조파 전류 성분 또는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평활 커패시터(C1)와 제2 평활 커패시터(C2)는, 각각 제1 컨버터(210)와 제2 컨버터(215)의 출력단에 접속된다. 도면에서는 커패시터와 컨버터(210,215) 사이에 각각 리액터(L1,L2)가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제1 평활 커패시터(C1)와 제2 평활 커패시터(C2)는, 제1 컨버터(210)와 제2 컨버터(215)로부터 출력되는 정류된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평활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제1 컨버터(210)와 제2 컨버터(215)의 출력단을 각각 제1 dc 단, 제2 dc 단이라고 한다. 제1 dc 단, 제2 dc 단의 평활된 직류 전원은 각각 제1 인버터(220) 및 제2 인버터(225)에 인가된다.
제1 인버터(220)와 제2 인버터(225)는, 각각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평활된 직류 전원을 소정 주파수의 교류 전원으로 변환한다.
제1 인버터(220)는, 서로 직렬 연결되는 상암 스위칭 소자(Sa) 및 하암 스위칭 소자(S'a)를 구비한다. 각 스위칭 소자(Sa,S'a)에는 다이오드가 역병렬로 연결된다. 또한, 각 스위칭 소자(Sa,S'a)에는 스너버 커패시터가 각각 병렬로 연결된다.
제1 인버터(220) 내의 스위칭 소자들(Sa,S'a)은, 제어부(미도시)로부터의 제1 스위칭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턴 온/ 턴 오프 동작을 하게 된다. 이때, 스위칭 소자들(Sa,S'a)은, 서로 상보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제2 인버터(225)는, 제1 인버터(220)와 유사하게, 서로 직렬 연결되는 상암 스위칭 소자(Sb) 및 하암 스위칭 소자(S'b)를 구비한다. 각 스위칭 소자(Sb,S'b)에는 다이오드가 역병렬로 연결된다. 또한, 각 스위칭 소자(Sb,S'b)에는 스너버 커패시터가 각각 병렬로 연결된다.
제2 인버터(220) 내의 스위칭 소자들(Sb,S'b)은, 제어부(미도시)로부터의 제2 스위칭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턴 온/ 턴 오프 동작을 하게 된다. 이때, 스위칭 소자들(Sb,S'b)은, 서로 상보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제1 인버터(220)와 제2 인버터(225)의 동작은 별개로 수행될 수 있다. 즉, 각각 제1 고주파 교류 전원 및 제2 고주파 교류 전원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1 유도 가열 코일(Lr1)과 제2 유도 가열 코일(Lr2)은 서로 병렬 접속되어 한 쌍을 이룬다. 한편, 각 제1 유도 가열 코일(Lr1)과 제2 유도 가열 코일(Lr2)에는, 공진을 위해 각각 공진 커패시터가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유도 가열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분배하기 위해, 유도 가열 코일에는, 복수의 공진 커패시터가 서로 병렬로 접속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유도 가열 코일(Lr1)에 제1 공진 커패시터(Cr1)와 제2 공진 커패시터(Cr2)가 서로 병렬로 접속되며, 제2 유도 가열 코일(Lr2)에 제3 공진 커패시터(Cr3)와 제4 공진 커패시터(Cr4)가 서로 병렬로 접속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각 유도 가열 코일(Lr1,Lr2)에는 고주파 교류 전원이 공급되어, 상술한 유도 가열 원리에 따라, 가열이 유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각 유도 가열 코일(Lr1,Lr2)의 동작을 결정하는 스위칭 소자(S1,S2)가 각각 제1 유도 가열 코일(Lr1)과 제2 유도 가열 코일(Lr2)에 접속될 수 있다.
제3 유도 가열 코일(Lr3)과 제4 유도 가열 코일(Lr4)은 서로 병렬 접속되어 한 쌍을 이룬다. 한편, 각 제3 유도 가열 코일(Lr3)과 제4 유도 가열 코일(Lr4)에는, 공진을 위해 각각 공진 커패시터가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유도 가열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분배하기 위해, 유도 가열 코일에는, 복수의 공진 커패시터가 서로 병렬로 접속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3 유도 가열 코일(Lr3)에 제5 공진 커패시터(Cr5)와 제6 공진 커패시터(Cr6)가 서로 병렬로 접속되며, 제4 유도 가열 코일(Lr4)에 제7 공진 커패시터(Cr7)와 제8 공진 커패시터(Cr8)가 서로 병렬로 접속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각 유도 가열 코일(Lr3,Lr4)에는 고주파 교류 전원이 공급되어, 상술한 유도 가열 원리에 따라, 가열이 유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각 유도 가열 코일(Lr3,Lr4)의 동작을 결정하는 스위칭 소자(S3,S4)가 각각 제3 유도 가열 코일(Lr3)과 제4 유도 가열 코일(Lr4)에 접속될 수 있다.
전원 선택부(230)는, 제1 유도 가열 코일(Lr1) 및 제2 유도 가열 코일(Lr2)이 모두 동작되는 경우에 제1 인버터(220)로부터의 제1 교류전원 및 제2 인버터(225)로부터의 제2 교류전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1 유도 가열 코일(Lr1)에 공급되도록 하고, 다른 하나는 제2 유도 가열 코일(Lr2)에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1 유도 가열 코일(Lr1)에는 제1 교류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제2 유도 가열 코일(Lr2)에는 제2 교류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동일 인버터에 병렬로 접속되는 복수개의 유도 가열 코일 중 적어도 2개 이상이 턴 온되어야 하는 경우, 각 유도 가열 코일에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즉, 서로 다른 인버터로부터 해당 교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동일 인버터로부터 동일 교류 전원을 공급받지 않게 되어 파워 저감이 일어나지 않으며, 안정적으로 각각 교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원 선택부(230)는, 제3 유도 가열 코일(Lr3) 및 제4 유도 가열 코일(Lr4)이 모두 동작되는 경우에 제1 인버터(220)로부터의 제1 교류전원 및 제2 인버터(225)로부터의 제2 교류전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3 유도 가열 코일(Lr3)에 공급되도록 하고, 다른 하나는 제4 유도 가열 코일(Lr4)에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3 유도 가열 코일(Lr3)에는 제1 교류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제4 유도 가열 코일(Lr4)에는 제2 교류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선택부(230)는, 릴레이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릴레이 소자(R1)와 제2 릴레이 소자(R2)를 구비하는 것을 예시한다.
제1 릴레이 소자(R1)는, 인버터(220,225)와 제2 유도 가열 코일(Lr2) 사이에 배치되어, 제2 유도 가열 코일(Lr2)이 제1 인버터(220) 와 제2 인버터(225)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도록 릴레이 동작을 수행한다.
제2 릴레이 소자(R2)는, 인버터(220,225)와 제4 유도 가열 코일(Lr4) 사이에 배치되어, 제4 유도 가열 코일(Lr4)이 제1 인버터(220) 와 제2 인버터(225)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도록 릴레이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제1 릴레이 소자(R1)와 제2 릴레이 소자(R2)의 릴레이 동작의 제어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 신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원 분배부(240)는, 제1 유도 가열 코일(Lr1) 및 제2 유도 가열 코일(Lr2)이 모두 동작되는 경우에 제1 유도 가열 코일(Lr1) 및 제2 유도 가열 코일(Lr2) 중 어느 하나에 흐르는 전류의 일부는 제1 인버터(220)에 공급되도록 하고, 다른 일부는 제2 인버터(225)에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1 유도 가열 코일(Lr1) 및 제2 유도 가열 코일(Lr2)이 모두 동작되어, 전원 선택부(230)에 의해 제2 유도 가열 코일(Lr2)에 제2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제3 공진 커패시터(Cr3)에 흐르는 전류는 제1 인버터(220)에 공급되도록 하고, 제4 공진 커패시터(Cr4)에 흐르는 전류는 제2 인버터(225)에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전원 분배부(240)는, 제3 유도 가열 코일(Lr3) 및 제4 유도 가열 코일(Lr4)이 모두 동작되는 경우에 제3 유도 가열 코일(Lr3) 및 제4 유도 가열 코일(Lr4) 중 어느 하나에 흐르는 전류의 일부는 제1 인버터(220)에 공급되도록 하고, 다른 일부는 제2 인버터(225)에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3 유도 가열 코일(Lr3) 및 제4 유도 가열 코일(Lr4)이 모두 동작되어, 전원 선택부(230)에 의해, 제4 유도 가열 코일(Lr4)에 제1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제7 공진 커패시터(Cr7)에 흐르는 전류는 제2 인버터(225)에 공급되도록 하고, 제8 공진 커패시터(Cr8)에 흐르는 전류는 제1 인버터(220)에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유도 가열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분배할 수 있으며, 특히 각각 서로 다른 인버터(220,225)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각각 다른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유도 가열 코일에 흐르는 고주파 전류가 분배되므로, 각 인버터(220,225)는 물론, 제1 dc 단, 제2 dc 단 및 나아가 각 제1 리액터 및 제2 리액터 소자의 안정성도 향상되게 된다.
이를 위해 전원 분배부(240)는, 릴레이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3 릴레이 소자(R3)와 제4 릴레이 소자(R4)를 구비하는 것을 예시한다.
제3 릴레이 소자(R3)는, 제1 인버터(220)와 각 공진 커패시터(Cr2,Cr4) 사이, 및 각 공진 커패시터(Cr2,Cr4)와 제4 릴레이 소자(R4) 사이에 배치되어, 각 공진 커패시터(Cr2,Cr4) 중 어느 하나를 제1 인버터(220) 또는 제2 인버터(225)에 접속되도록 릴레이 동작을 수행한다.
제4 릴레이 소자(R4)는, 제2 인버터(225)와 각 공진 커패시터(Cr6,Cr8) 사이, 및 각 공진 커패시터(Cr6,Cr8)와 제3 릴레이 소자(R3) 사이에 배치되어, 각 공진 커패시터(Cr6,Cr8) 중 어느 하나를 제1 인버터(220) 또는 제2 인버터(225)에 접속되도록 릴레이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제3 릴레이 소자(R3)와 제4 릴레이 소자(R4)의 릴레이 동작의 제어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 신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제1 인버터(220) 내의 스위칭 소자(Sa.S'a), 제2 인버터 내의 스위칭 소자(Sb,S'b), 전원 선택부(230) 내의 릴레이 소자(R1,R2), 전원 분배부(240) 내의 릴레이 소자(R3,R4), 각 유도 가열 코일의 동작을 위한 제1 내지 제4 스위칭 소자(S1 ~S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1 인버터(220) 및 제2 인버터(225)의 제어를 위해, 펄스 폭 변조(PWm) 방식에 따른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인버터(220) 및 제2 인버터(225) 내의 스위칭 소자가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인 경우, 펄스 폭 변조(PWm) 방식에 따른 게이트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각 유도 가열 코일 부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미도시)와, 상용 교류 전원으로부터의 입력 전류를 검출하는 입력 전류 검출부(미도시)로 부터, 각각 해당 값을 입력받아, 이상시 유도가열 조리기기(100) 전체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유도가열 조리기기의 내부 블록도의 다른 예이며, 도 4는 도 3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3의 유도 가열 조리기기(300)는, 단일의 인버터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도 2의 유도 가열 조리기기(100)와 그 차이가 있다.
도 3의 유도 가열 조리기기(300)는, 컨버터(310), 리액터(L), 평활 커패시터(C), 인버터(320), 스위칭 소자(S), 유도 가열 코일(Lr), 제1 내지 제2 공진 커패시터(Cr1~Cr2)를 포함한다. 한편, 제어부(미도시), 온도 감지부(미도시), 입력 전류 검출부(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유도 가열 조리기기(300)의 동작은, 도 2의 유도 가열 조리기기(100)와 거의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간략히 기술한다.
컨버터(310)에서 정류된 직류 전원은 평활 커패시터(C)에서 평활된다. 한편, 인버터(320)는, 평활된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펄스폭 변조 등을 통해, 고주파의 교류 전원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고주파의 교류 전원은, 스위칭 소자(S)의 턴 온 동작에 의해 유도 가열 코일(Lr)에 공급된다.
본원의 실시예에서는, 유도 가열 코일(Lr)에 흐르는 고주파 전류를 분배하기 위해, 유도 가열 코일(Lr)에 제1 내지 제2 공진 커패시터(Cr1~Cr2)가 서로 병렬로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제1 공진 커패시터(Cr1)는 유도 가열 코일(Lr)과 인버터(320) 내의 상암 스위칭 소자(Sa) 사이에 배치되며, 제2 공진 커패시터(Cr2)는 유도 가열 코일(Lr)과 인버터(320) 내의 하암 스위칭 소자(S'a) 사이에 배치된다.
도 4는 유도 가열 코일(Lr)에 하나의 공진 커패시터가 접속되는 경우(Type 1)와, 유도 가열 코일(Lr)에 복수의 공진 커패시터가 서로 병렬 접속되는 경우(Type 2)를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해 참조된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Type 1에서, 상암 스위칭 소자(Sa)가 온 되는 경우와, 하암 스위칭 소자(S'a)가 온 되는 경우, 각각 유도 가열 코일(Lr)과 공진 커패시터(Cr)가 폐루프를 구성하여, 인버터는 물론, dc 단 등에서 전류 스트레스가 상당한 것이 예시된다.
Type 2의 경우, 상암 스위칭 소자(Sa)가 온 되는 경우와, 하암 스위칭 소자(S'a)가 온 되는 경우, 각각 유도 가열 코일(Lr)에 흐르는 전류가 제1 공진 커패시터(Cr1)와 제2 공진 커패시터(Cr2)로 분리되고, 각각 공진 커패시터 별로 폐루프를 구성하여, 인버터는 물론, dc 단 등에서 전류 스트레스가 Type 1에 비해 감소되는 것이 예시된다.
전류 스트레스의 감소는 도 4(b)에 상세히 예시된다. 리액터(L)에 흐르는 전류(iin)의 전류 리플(ripple)을 보면, Type 1이 상당하며, Type 2는 거의 없게 된다. 또한, 평활 커패시터(C)에 흐르는 전류(ic)에서도 전류 리플(ripple)이 Type 1에서 상당하며, Type 2는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도 가열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분배함으로써, 인버터는 물론 리액터에 흐르는 전류의 리플 성분이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각 소자들의 전류 스트레스가 현저히 감소하게 되며, 각 소자에서의 발열도 감소하게 되므로, 소자 안정성이 향상되게 된다.
도 5는 도 1의 유도가열 조리기기의 내부 블록도의 다른 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기(200)는, 도 2의 유도 가열 조리기기(100)와 거의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그 차이점만을 기술한다.
도 5의 유도 가열 조리기기(500)는, 도 2의 유도 가열 조리기기(100)와 달리, 하나의 dc 단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즉, 제1 인버터(520)와 제2 인버터(525)는, 하나의 컨버터(510), 리액터(L), 평활 커패시터(C)를 공유한다. 그 외, 전원 선택부(530), 전원 분배부(540), 제1 내지 제4 스위칭 소자(S1~S4), 제1 내지 제4 유도 가열 코일(Lr1~Lr4), 제1 내지 제8 공진 커패시터(Cr1~Cr8)를 포함한다. 한편, 제어부(미도시), 온도 감지부(미도시), 입력 전류 검출부(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일의 dc 단을 사용하나, 별개의 인버터(520,525)를 사용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 선택부(530)는, 제1 유도 가열 코일(Lr1) 및 제2 유도 가열 코일(Lr2)이 모두 동작되는 경우에 제1 인버터(520)로부터의 제1 교류전원 및 제2 인버터(530)로부터의 제2 교류전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1 유도 가열 코일(Lr1)에 공급되도록 하고, 다른 하나는 제2 유도 가열 코일(Lr2)에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도 가열 코일(Lr1)에는 제1 교류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제2 유도 가열 코일(Lr2)에는 제2 교류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선택부(530)는, 제3 유도 가열 코일(Lr3) 및 제4 유도 가열 코일(Lr4)이 모두 동작되는 경우에 제1 인버터(520)로부터의 제1 교류전원 및 제2 인버터(525)로부터의 제2 교류전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3 유도 가열 코일(Lr3)에 공급되도록 하고, 다른 하나는 제4 유도 가열 코일(Lr4)에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유도 가열 코일(Lr3)에는 제1 교류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제4 유도 가열 코일(Lr4)에는 제2 교류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유도 가열 코일이 동작되는 경우에도 파워 저감이 일어나지 않으며, 안정적으로 각각 교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유도 가열 코일(Lr1~Lr4)에 공진 커패시터(Cr1~Cr8)가 병렬로 접속되어, 유도 가열 코일의 동작시에 유도 가열 코일에 흐르는 고주파 전류를 분배하여, 인버터(520,525)로 흐르도록 한다.
또한, 전원 분배부(540)를 이용하여, 서로 병렬로 접속되는 공진 커패시터들에 흐르는 전류를 분배하여, 서로 다른 인버터(520,525)로 흐르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2 유도 가열 코일(Lr1)이 동작되는 경우, 전원 분배부(540)는, 제3 공진 커패시터(Cr3)에 흐르는 전류는 제1 인버터(520)에 공급되도록 하고, 제4 공진 커패시터(Cr4)에 흐르는 전류는 제2 인버터(525)에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예를 들어, 제4 유도 가열 코일(Lr4)이 동작되는 경우, 제7 공진 커패시터(Cr7)에 흐르는 전류는 제2 인버터(525)에 공급되도록 하고, 제8 공진 커패시터(Cr8)에 흐르는 전류는 제1 인버터(520)에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유도 가열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분배할 수 있으며, 특히 각각 서로 다른 인버터(520,225)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각각 다른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유도 가열 코일에 흐르는 고주파 전류가 분배되므로, 각 인버터(520,225)는 물론, 제1 dc 단, 제2 dc 단 및 나아가 각 제1 리액터 및 제2 리액터 소자의 안정성도 향상되게 된다.
도 6은 도 1의 가열부와 도 2의 유도 가열 코일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10은 도 2의 유도가열 조리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가열부(130)는, 제1 유도 가열 코일(Lr1) 및 제4 유도 가열 코일(Lr4)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2 가열부(150)는, 제2 유도 가열 코일(Lr2)을 구비하며, 제3 가열부(170)는, 제3 유도 가열 코일(Lr3)을 구비한다.
제1 가열부(130) 내의 제4 유도 가열 코일(Lr4)는, 제1 유도 가열 코일(Lr1)의 외주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가열부(130)는, 2개의 유도 가열 코일이 구비되므로, 다른 가열부(150,170) 보다 큰 전력으로써 조리 용기를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대략 2배의 전력으로써 조리 용기를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도 4와 같은 배치에서, 제1 가열부(130) 내의 제1 유도 가열 코일(Lr1)만 동작하는 경우, 제1 스위칭 소자(S1)만이 턴 온된다. 이에 의해, 고정형인 제1 유도 가열 코일(Lr1)에 제1 인버터(220)로부터의 제1 교류 전원(i1)이 공급된다.
한편, 도 7과 같이, 제4 유도 가열 코일(Lr4)도 동작하는 경우, 제4 스위칭 소자(S4)도 턴 온되며, 가변형인 제4 유도 가열 코일(Lr4)에는 제1 유도 가열 코일(Lr1)과 달리 제2 인버터(225)로부터의 제2 교류 전원(i2)이 공급되도록, 전원 선택부(230) 내의 제2 릴레이 소자(R2)는 제2 인버터(225)에 접속되도록 릴레이 동작이 수행된다.
또한, 제1 유도 가열 코일(Lr1)에 흐르는 전류가 분배되어 제1 인버터(220)으 흐르고, 제4 유도 가열 코일(Lr4)에 흐르는 전류가 분배되어 제2 인버터(225)로 흐르도록, 전원 분배부(240) 내의 제3 릴레이 소자(R3)와 제4 릴레이 소자(R4)는 도면과 같이 동작된다.
한편, 도 8과 같이, 제2 가열부 내의 제2 유도 가열 코일(Lr2)이 동작하며, 제1 가열부 내의 제1 유도 가열 코일(Lr1)이 동작하는 경우, 제1 스위칭 소자(S1)와 제2 스위칭 소자(S2)가 턴 온된다. 이에 따라, 고정형인 제1 유도 가열 코일(Lr1)에 제1 인버터(220)로부터의 제1 교류 전원(i1)이 공급된다. 한편, 가변형인 제2 유도 가열 코일(Lr2)에는 제2 인버터(225)로부터의 제2 교류 전원(i2)이 공급되도록, 전원 선택부(230) 내의 제1 릴레이 소자(R1)는 제2 인버터(225)에 접속되도록 릴레이 동작이 수행된다.
또한, 제1 유도 가열 코일(Lr1)에 흐르는 전류가 분배되어 제1 인버터(220)로 흐르고, 제2 유도 가열 코일(Lr2)에 흐르는 전류가 분배되어 일부는 제1 인버터(220)로, 다른 일부는 제2 인버터(225)로 흐르도록, 전원 분배부(240) 내의 제3 릴레이 소자(R3)와 제4 릴레이 소자(R4)는 도면과 같이 동작될 수 있다.
한편, 도 9와 같이, 제3 가열부 내의 제3 유도 가열 코일(Lr3)이 동작하며, 제1 가열부 내의 제1 유도 가열 코일(Lr1)이 동작하는 경우, 각 유도 가열 코일(lr1,Lr3)이 모두 고정형이므로, 전원 선택부(230)의 동작과 관계없이, 제1 스위칭 소자(S1)와 제3 스위칭 소자(S3)가 턴 온되면 된다. 이에 따라, 제1 유도 가열 코일(Lr1)에 제1 인버터(220)로부터의 제1 교류 전원(i1)이 공급되며, 제3 유도 가열 코일(Lr3)에 제2 인버터(220)로부터의 제2 교류 전원(i2)이 공급된다.
또한, 제1 유도 가열 코일(Lr1)에 흐르는 전류가 분배되어 제1 인버터(220)로 흐르고, 제3 유도 가열 코일(Lr3)에 흐르는 전류가 분배되어 제2 인버터(225)로 흐르도록, 전원 분배부(240) 내의 제3 릴레이 소자(R3)와 제4 릴레이 소자(R4)는 도면과 같이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제3 가열부 내의 제3 유도 가열 코일(Lr3)이 동작하며, 제1 가열부 내의 제4 유도 가열 코일(Lr1)이 동시에 동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3 스위칭 소자(S3)와 제4 스위칭 소자(S4)가 턴 온된다. 이에 따라, 고정형인 제3 유도 가열 코일(Lr3)에 제2 인버터(225)로부터의 제2 교류 전원(i2)이 공급된다. 한편, 가변형인 제4 유도 가열 코일(Lr4)에는 제1 인버터(220)로부터의 제1 교류 전원(i1)이 공급되도록, 전원 선택부(230) 내의 제2 릴레이 소자(R2)는 제1 인버터(220)에 접속되도록 릴레이 동작이 수행된다.
또한, 제3 유도 가열 코일(Lr3)에 흐르는 전류가 분배되어 제2 인버터(225)로 흐르고, 제4 유도 가열 코일(Lr4)에 흐르는 전류가 분배되어 일부는 제1 인버터(220)로, 다른 일부는 제2 인버터(225)로 흐르도록, 전원 분배부(240) 내의 제3 릴레이 소자(R3)와 제4 릴레이 소자(R4)가 동작될 수 있다.
한편, 도 10과 같이, 모든 유도 가열 코일(Lr1~Lr4)이 동작하는 경우, 모든 스위칭 소자(S1~S4)가 턴 온된다. 이러한 경우, 각 인버터(220.225)로부터의 각 교류 전원(i1,i2)은 각각 분배되어 유도 가열 코일(Lr1~Lr4)에 공급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전원 선택부(230) 내의 제1 릴레이 소자(R1)는 제1 인버터(220)에 접속되도록 릴레이 동작이 수행되고, 제2 릴레이 소자(R2)는 제2인버터(225)에 접속되도록 릴레이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1 유도 가열 코일(Lr1), 및 제2 유도 가열 코일(Lr2)에 흐르는 전류가 분배되어 제1 인버터(220)로 흐르고, 제3 유도 가열 코일(Lr3) 및 제4 유도 가열 코일(Lr4)에 흐르는 전류가 분배되어 제2 인버터(225)로 흐르도록, 전원 분배부(240) 내의 제3 릴레이 소자(R3)와 제4 릴레이 소자(R4)는 도면과 같이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기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유도가열 조리기기의 동작방법은 유도가열 조리기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1)

  1. 직류 전원을 제1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제1 인버터;
    공급되는 교류전원에 의해 가열을 유도하며,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 인버터에 접속되는 제1 유도가열 코일 및 제2 유도 가열 코일;
    직류 전원을 제2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제2 인버터;
    상기 제1 유도 가열 코일 및 상기 제2 유도 가열 코일이 모두 동작되는 경우에, 상기 제1 교류전원 및 상기 제2 교류전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1 유도 가열 코일에 공급되도록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유도 가일 코일에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 선택부;
    상기 제1 유도 가열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분배하도록 서로 병렬로 접속되는 제1 공진 커패시터 및 제2 공진 커패시터; 및
    상기 제2 유도 가열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분배하도록 서로 병렬로 접속되는 제3 공진 커패시터 및 제4 공진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도 가열 코일 및 상기 제2 유도 가열 코일이 모두 동작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유도 가열 코일 및 상기 제2 유도 가열 코일 중 어느 하나에 흐르는 전류의 일부는 상기 제1 인버터에 공급되도록 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2 인버터에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 분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조리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공급되는 교류전원에 의해 가열을 유도하며,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 인버터에 접속되는 제3 유도가열 코일 및 제4 유도 가열 코일;
    상기 제3 유도 가열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분배하도록 서로 병렬로 접속되는 제5 공진 커패시터 및 제6 공진 커패시터;
    상기 제4 유도 가열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분배하도록 서로 병렬로 접속되는 제7 공진 커패시터 및 제8 공진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선택부는,
    상기 제3 유도 가열 코일 및 상기 제4 유도 가열 코일이 모두 동작되는 경우에, 상기 제1 교류전원 및 상기 제2 교류전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3 유도 가열 코일에 공급되도록 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4 유도 가일 코일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조리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분배부는,
    상기 제3 유도 가열 코일 및 상기 제4 유도 가열 코일이 모두 동작되는 경우에, 상기 제3 유도 가열 코일 및 상기 제4 유도 가열 코일 중 어느 하나에 흐르는 전류의 일부는 상기 제1 인버터에 공급되도록 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2 인버터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조리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선택부는,
    상기 제1 유도 가열 코일 및 상기 제2 유도 가열 코일이 모두 동작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유도 가열 코일을 상기 제1 인버터 및 상기 제2 인버터 중 상기 제2 인버터와 접속하도록 스위칭하는 제1 릴레이 소자; 및
    상기 제3 유도 가열 코일 및 상기 제4 유도 가열 코일이 모두 동작되는 경우에, 상기 제4 유도 가열 코일을 상기 제1 인버터 및 상기 제2 인버터 중 상기 제1 인버터와 접속하도록 스위칭하는 제2 릴레이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조리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분배부는,
    상기 제1 유도 가열 코일 및 상기 제2 유도 가열 코일이 모두 동작되는 경우에, 상기 제4 공진 커패시터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 제2 인버터로 공급되도록 스위칭하는 제3 릴레이 소자; 및
    상기 제3 유도 가열 코일 및 상기 제4 유도 가열 코일이 모두 동작되는 경우에, 상기 제8 공진 커패시터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 제1 인버터로 공급되도록 스위칭하는 제4 릴레이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조리기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도 가열 코일 및 상기 제4 유도 가열 코일을 구비하며, 상기 제4 유도 가열 코일이 상기 제1 유도 가열 코일의 외주에 배치되는 제1 가열부;
    상기 제2 유도 가열 코일을 구비하는 제2 가열부; 및
    상기 제3 유도 가열 코일을 구비하는 제3 가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조리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열부 내의 제1 유도 가열 코일 및 상기 제4 유도 가열 코일이 모두 동작되는 경우에, 상기 제1 유도 가열 코일에는 상기 제1 교류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제4 유도 가일 코일에는 상기 제2 교류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조리기기.
  9. 교류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되는 복수의 유도 가열 코일; 및
    상기 복수의 유도 가열 코일 중 제1 유도 가열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분배하도록 서로 병렬 접속되는 제1 공진 커패시터 및 제2 공진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도 가열 코일 중 적어도 2개가 병렬 접속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유도 가열 코일이 동시에 가열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2개의 유도 가열 코일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은 서로 다른 인버터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도 가열 코일 중 적어도 2개가 병렬 접속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유도 가열 코일에 각각 복수의 공진 커패시터가 병렬로 접속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유도 가열 코일이 동시에 가열되는 경우, 상기 서로 병렬 접속되는 공진 커패시터에 흐르는 전류가 서로 다른 인버터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기.
KR1020100011513A 2010-02-08 2010-02-08 유도가열 조리기기 KR101743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513A KR101743495B1 (ko) 2010-02-08 2010-02-08 유도가열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513A KR101743495B1 (ko) 2010-02-08 2010-02-08 유도가열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070A true KR20110092070A (ko) 2011-08-17
KR101743495B1 KR101743495B1 (ko) 2017-06-05

Family

ID=44929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1513A KR101743495B1 (ko) 2010-02-08 2010-02-08 유도가열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495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230A (ko) * 2014-11-26 2016-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장치 및 조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80098118A (ko) * 2017-02-24 2018-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조리기
KR20200020239A (ko) * 2018-08-16 2020-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Emi 저감 성능이 개선된 유도 가열 방식의 전자 장치
KR20200020238A (ko) * 2018-08-16 2020-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Emi 저감 성능이 개선된 유도 가열 방식의 전자 장치
KR20200027277A (ko) * 2018-09-04 2020-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과열 방지 메커니즘을 갖춘 정수기
KR20200027279A (ko) * 2018-09-04 2020-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Emi 저감 성능이 개선된 유도 가열 방식의 전자 장치
KR20200027278A (ko) * 2018-09-04 2020-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Emi 저감 성능이 개선된 유도 가열 방식의 전자 장치
EP3026982B1 (en) 2014-11-26 2021-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7156620A (zh) * 2023-10-31 2023-12-01 上海盛迪瓦特电气有限公司 高可靠性电流源型感应加热电源系统及装置
WO2024039015A1 (ko) * 2022-08-17 2024-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 가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4487A (ja) 2002-06-12 2004-01-15 Denki Kogyo Co Ltd 複数の加熱コイルによる高周波加熱装置とその方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230A (ko) * 2014-11-26 2016-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장치 및 조리 장치의 제어 방법
EP3026982B1 (en) 2014-11-26 2021-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026982B2 (en) 2014-11-26 2024-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80098118A (ko) * 2017-02-24 2018-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조리기
KR20200020239A (ko) * 2018-08-16 2020-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Emi 저감 성능이 개선된 유도 가열 방식의 전자 장치
KR20200020238A (ko) * 2018-08-16 2020-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Emi 저감 성능이 개선된 유도 가열 방식의 전자 장치
KR20200027277A (ko) * 2018-09-04 2020-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과열 방지 메커니즘을 갖춘 정수기
KR20200027279A (ko) * 2018-09-04 2020-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Emi 저감 성능이 개선된 유도 가열 방식의 전자 장치
KR20200027278A (ko) * 2018-09-04 2020-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Emi 저감 성능이 개선된 유도 가열 방식의 전자 장치
WO2024039015A1 (ko) * 2022-08-17 2024-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 가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7156620A (zh) * 2023-10-31 2023-12-01 上海盛迪瓦特电气有限公司 高可靠性电流源型感应加热电源系统及装置
CN117156620B (zh) * 2023-10-31 2024-01-30 上海盛迪瓦特电气有限公司 高可靠性电流源型感应加热电源系统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3495B1 (ko) 2017-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3495B1 (ko) 유도가열 조리기기
KR101729020B1 (ko) 유도가열 조리기기
JP4864850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0661226B1 (ko) 전기조리기의 부하 감지장치 및 방법
CN107023861B (zh) 感应加热烹调设备
EP2753146B1 (en) 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level thereof
KR101535145B1 (ko) 조리기기 및 그에 대한 제어방법
CN102144885A (zh) 感应加热炊具
Sadakata et al. Latest practical developments of triplex series load resonant frequency-operated high frequency inverter for induction-heated low resistivity metallic appliances in consumer built-in cooktops
KR101343588B1 (ko) 조리 기기, 조리 기기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들을 포함한 전력 제어 시스템
US10477624B2 (en) Systems and methods of quasi-resonant induction heating
KR101676452B1 (ko) 유도가열 조리기기
KR101611277B1 (ko) 유도가열 조리기기
JP5058296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5674896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5734390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5289537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5404743B2 (ja) 誘導加熱調理器
US20240039387A1 (en) Power converting device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EP4106490A1 (en) Induction cooking appliance
EP4106491A1 (en) Induction cooking appliance
KR20090005142U (ko) 유도가열 조리기
JP5839979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14018606A (ja) 炊飯器
JP2013131350A (ja) 誘導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