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1947A - 목줄결속장치 - Google Patents

목줄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1947A
KR20110091947A KR1020100011318A KR20100011318A KR20110091947A KR 20110091947 A KR20110091947 A KR 20110091947A KR 1020100011318 A KR1020100011318 A KR 1020100011318A KR 20100011318 A KR20100011318 A KR 20100011318A KR 20110091947 A KR20110091947 A KR 20110091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opening
binding device
hook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1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
김선
Original Assignee
김윤
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 김선 filed Critical 김윤
Priority to KR1020100011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1947A/ko
Publication of KR20110091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9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7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줄을 교체하기 위해 사용되는 목줄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협하광의 형태의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결합고정홈을 구성하되, 전방 상측으로는 단부를 형성하여 상기 단부에 슬라이드홈을 구성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에 결합고정되는 결합고정부와, 상기 결합고정부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후크형상의 고리부로 구성된 결속구; 상기 손잡이부의 슬라이드홈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결속구를 개폐하는 개폐구;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줄결속장치를 이용하면, 후크형상의 고리부를 구성한 결속구와, 상기 결속구를 결합고정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고리부를 개폐하는 개폐구로 인해 목줄의 교체시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후크형상의 고리부에 목줄을 걸어 손쉽고 빠르게 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개폐구의 하부에 구성된 탄성체로 인해 고리부를 자동으로 폐쇄시킬 수 있어 목줄의 매듭을 더욱 쉽게 할 수 있고, 목줄결속장치에 구성된 걸이구에 의해 용이한 휴대가 가능함은 물론, 커팅수단에 의해 낚싯줄을 절단하기 위한 별도의 라인커터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삽입가이드에 의해 눈이 침침한 사람들도 낚싯줄을 도래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목줄결속장치{FISHING SNELL CONNECTOR}
본 발명은 목줄을 교체하기 위해 사용되는 목줄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크형상의 고리부를 구성한 결속구와, 상기 결속구를 결합고정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고리부를 개폐하는 개폐구로 인해 목줄의 교체시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후크형상의 고리부에 목줄을 걸어 손쉽고 빠르게 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개폐구의 하부에 구성된 탄성체로 인해 고리부를 자동으로 폐쇄시킬 수 있어 목줄의 매듭을 더욱 쉽게 할 수 있고, 목줄결속장치에 구성된 걸이구에 의해 용이한 휴대가 가능함은 물론, 커팅수단에 의해 낚싯줄을 절단하기 위한 별도의 라인커터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삽입가이드에 의해 눈이 침침한 사람들도 낚싯줄을 도래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는 목줄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경제의 발전에 따라 단순히 입고, 먹고, 자는 의식주에서 벗어나 레저활동을 하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레저활동의 하나로 낚시를 즐기려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그리고, 낚시는 민물낚시, 민물루어낚시, 바다낚시, 바다루어낚시, 선상낚시 등으로 장소와 장비에 따라서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모든 낚시에 있어서 낚시의 대나 릴을 제외한 구조를 살펴보면, 조사의 몸 가까운 곳부터 본줄, 원줄, 목줄, 바늘의 순으로 이루어지는데, 낚시 현장에서는 장갑의 착용이나, 주변여건에 의해서 바늘을 매기가 어렵기 때문에 바늘을 목줄에 매어 휴대하고 다니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바늘이 매어진 목줄을 '목줄'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줄은 낚싯대에 결합구성되는 낚시바늘연결부에 매어서 사용되는데, 이와 같은 목줄은 낚시 현지에서의 바닥 걸림에 의해 떨어져 나가거나, 인근 사람들과의 낚싯줄 걸림 등에 의해 꼬임 또는 바늘이나 목줄 길이의 변화가 필요할 시 절단하여 새로운 목줄로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낚시를 갈 때에는 낚시의 방법에 따라 바늘의 크기별, 목줄의 길이별 등으로 여러 가지의 목줄을 구분하여 각 종류별로 휴대를 하는 것이 통상적이며, 이와 같은 목줄의 교체는 낚시를 즐기는 낚시꾼이 손으로 직접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목줄을 낚시꾼이 교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목줄을 절단하여 제거한 후, 새로운 목줄을 낚시바늘연결부에 매어 사용해야 하는데, 목줄의 절단을 위해서 라인커터의 준비를 꼭 해야만 했을 뿐만 아니라, 손에 장갑을 낀 상태에서 목줄을 매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장갑을 벗은 다음, 목줄을 낚시바늘연결부에 매고, 이후, 다시 장갑을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아울러, 배 낚시와 같이 장소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낚시에 있어서는 목줄의 교체를 더욱 빠르게 해야 할 필요가 있는데, 바람이 강하게 불고 추운 날씨에서는 낚시꾼이 맨손으로 목줄을 맨다 하더라도 목줄을 낚시바늘연결부에 빠르게 매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빈번하였으며, 맨손으로 목줄을 맬 경우에도 목줄이 풀리지 않도록 단단히 매는 것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어렵기 때문에 물고기의 저항이 심할 경우 잡은 물고기를 놓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줄결속장치는 상협하광의 형태의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결합고정홈을 구성하되, 전방 상측으로는 단부를 형성하여 상기 단부에 슬라이드홈을 구성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에 결합고정되는 결합고정부와, 상기 결합고정부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후크형상의 고리부로 구성된 결속구; 상기 손잡이부의 슬라이드홈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결속구를 개폐하는 개폐구;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목줄결속장치는 후크형상의 고리부를 구성한 결속구와, 상기 결속구를 결합고정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고리부를 개폐하는 개폐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목줄의 교체시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후크형상의 고리부에 목줄을 걸어 손쉽고 빠르게 맬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개폐구의 하부에 구성된 탄성체로 인해 고리부를 자동으로 폐쇄시킬 수 있어 목줄의 매듭을 더욱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목줄결속장치에 구성된 걸이구에 의해 용이한 휴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커팅수단에 의해 낚싯줄을 절단하기 위한 별도의 라인커터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삽입가이드에 의해 눈이 침침한 사람들도 낚싯줄을 도래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목줄결속장치와 낚시바늘연결부와 목줄을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목줄결속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와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손잡이부에 단부가 형성된 목줄결속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손잡이부에 단이 형성된 목줄결속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커팅수단이 구성된 목줄결속장치의 제1실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커팅수단이 구성된 목줄결속장치의 제2실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커팅수단이 구성된 목줄결속장치의 제3실시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싯대(미도시)에 결합되는 낚시바늘연결부(3)에 구성된 도래(4)의 구멍에 바늘이 매어진 목줄(1)을 결속하기 위한 목줄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부(10)와, 결속구(20)와, 개폐구(30)로 구성된다.
먼저, 손잡이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협하광 형태의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에는 결합고정홈(11)을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10)의 전방 상측으로는 슬라이드홈(13)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홈(13)은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상측으로 단부(12)를 먼저 형성하고, 상기 단부(12)에 슬라이드홈(13)을 구성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개폐구(30)가 손잡이부(10)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결합고정홈(11)은 전방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3)을 구성한 단부(12)를 감안하여 손잡이부(10)의 후방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슬라이드홈(13)과 겹치지 않는 곳이라면, 정중앙 부근에도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10)의 상부에는 목줄(1)을 용이하게 끼우기 위한 삽입가이드(14)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때 상기 삽입가이드(14)는 상기 손잡이부(10)에 결합되는 결속구(20)에 걸리는 현상이 없도록 후방 상측으로 돌출형성되어야 하며, 낚시바늘연결부(3)에 구성된 도래(4)의 구멍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도록 형성해야만 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가이드(14)는 볼트결합 또는 상기 손잡이부(10)와 일체로 사출하는 방법 등을 포함한 통상의 결합방법으로 다양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부(10)의 하측으로는 본 발명의 용이한 휴대를 위한 걸이구(15)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걸이구(15)에는 통상의 줄을 묶어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탄성이 있는 줄을 묶어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로써 낚시꾼의 옷에 장착시 옷에서 탈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걸이구(15)는 손잡이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며, 다른 방법으로, 내측으로 홈을 형성하여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 있는 등과 같이 줄을 걸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0)의 하부에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싯줄을 절단하기 위한 커팅수단(4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커팅수단(4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 첫 번째 예로, 상기 커팅수단(40)은 반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10)의 하부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부(41a)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부(41a)의 일측 중앙으로는 V자 형상의 커팅날(42a)을 구성한 홈부(43a)가 형성된 것으로 간단히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홈부(43a)는 목줄(1)과 같은 낚싯줄을 절단하기 위한 용도로 아주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V자 형상의 커팅날(42a)이 사람의 손이 닿질 않으며, 이로써 사용자가 상처입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 두 번째 예로, 상기 커팅수단(40)은 상기 손잡이부(10)의 하부에 고정결합되는 제1날부(41b)와, 상기 제1날부(41b)에 탄성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제2날부(42b)로 구성되되, 상기 제1, 2날부(41b, 42b)의 마주보는 면에는 커팅날(43b)이 각각 구성되는 것 즉, 쪽가위 형태의 구성으로 할 수도 것이며, 이때에는 상기 손잡이부(10)의 하부에는 홈을 구성하여 제1, 2날부(41b, 42b)가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제1날부(41b)를 볼트와 같은 통상의 결합수단(미도시)을 통해 고정하는 방법을 통해 간단히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때 상기 제1, 2날부(41b, 42b)의 끝단은 뭉뚝하게 만듬으로써 사용자가 상처입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세 번째 예로, 상기 커팅수단(40)은 상기 손잡이부(10)의 하부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부(41c)와, 상기 고정부(41c)에서 곡선형상으로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1, 2탄성누름쇠(42c, 43c)로 구성되되, 상기 제1, 2탄성누름쇠(42c, 43c)의 끝단에는 각각의 커팅날(44c)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것 즉, 일종의 손톱깍기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결속구(2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10)의 상부에 구성된 결합고정홈(11)에 결합고정되는 결합고정부(21)와, 상기 결합고정부(21)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후크형상의 고리부(22)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결속구(20)에 구성된 후크형상의 고리부(22) 끝단으로는 개폐구(30)가 밀착되어 용이하게 안착되게 하는 안착홈(23)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부(10)와 결속구(20)는 따로 제작하여 볼트 또는 요철 및 접착방식과 같은 통상적인 결합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결합고정할 수도 있으나, 제작의 용이성은 물론 제품의 견고성을 위해 상기 손잡이부(10)와 결속구(20)를 일체로 사출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개폐구(30)는 상기 손잡이부(10)의 전방 상측에 구성된 단부(12)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홈(13)에 결합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홈(13)에서 상, 하로 이동되면서 결속구(20)에 구성된 고리부(22)를 개폐하는 작용을 한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부(10)의 슬라이드홈(13)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개폐구(30)의 하면에는 상기 개폐구(30)를 자동으로 상승시켜 결속구(20)의 고리부(22)를 폐쇄하도록 하는 용수철과 같은 탄성체(5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탄성체는 개폐구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아닌 분리형으로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손잡이부(10)를 왼손으로 잡고, 낚싯대에 결합되는 낚시바늘연결부(3)에 구성된 도래(4)의 구멍에 후크형상의 고리부(22)를 끼워 도래(4)가 회전되지 않게 고정한 후, 낚시바늘이 매어진 목줄(1)을 도래(4)의 구멍에 끼워 넣는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 손잡이부(10)의 후방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삽입가이드(14)를 도래(4)의 구멍에 끼운 후, 낚시바늘이 매어진 목줄(1)을 삽입가이드(14)를 따라 도래(4)의 구멍에 끼워 넣는 방법을 이용하여 노안 등으로 인해 목줄(1)을 끼우기 힘든 사람들로 하여금 목줄(1)을 손쉽게 끼우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목줄(1)을 도래(4)의 구멍에 끼운 후에는, 도래(4)에 끼워진 목줄(1) 중 바늘이 매어지지 않은 쪽의 목줄(1) 부분이 10㎝ 정도가 되도록 목줄(1)을 잡아당긴 후, 본 발명의 목줄결속장치(100)를 잡은 왼손으로 낚시바늘이 매진 쪽의 목줄(1)을 잡고, 오른손으로는 10㎝ 정도로 당겨진 목줄(1) 즉, 낚시바늘이 매이지 않은 쪽의 목줄(1)을 잡는다.
그리고, 이때에는 왼손에 잡은 목줄결속장치(100)의 고리부(22)가 개방된 부분이 위를 향하도록 잡음으로써, 추후 오른손에 잡은 목줄(1)을 고리부(22)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해야만 하며, 목줄결속장치(100)가 바늘이 매어진 쪽의 목줄(1) 위에 위치하도록 해야만 한다.
아울러, 추후 목줄(1)을 결속구(20)에 구성된 고리부(22)에 넣어 목줄(1)을 감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왼손 엄지 손가락으로 개폐구(30)를 하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눌러 고정시킴으로써 고리부(22)가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에는, 바늘이 매어지지 않은 쪽의 목줄(1)을 본 발명의 손잡이부(10)의 위로 돌려 상기 목줄(1)이 손잡이부(10)의 전방 상측에 슬라이드 결합된 개폐구(30)의 위로 돌려지도록 한 후, 상기 개폐구(30)의 위로 돌려진 목줄(1)을 왼손 엄지 손가락으로 누른다.
그리고, 이때에는, 개폐구(30)를 누르고 있던 엄지 손가락의 윗부분만 살짝 드는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목줄(1)을 손쉽게 돌려 감싼 후, 엄지 손가락으로 목줄(1)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도 있을 것이며, 다른 방법으로, 목줄(1)을 먼저 돌려서 감싼 후, 목줄(1)과 함께 개폐구(30)를 엄지 손가락으로 누름과 동시에 개폐구(30)를 하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고리부(22)를 개방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은 상기 개폐구(30)의 하측에 탄성체(50)가 구성되어 있을 때 이용하는 것으로, 탄성체(50)가 구성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개폐구(30)로 인한 고리부(22)의 폐쇄가 자동으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개폐구(30)를 왼손 엄지 손가락으로 하측으로 이동시켜 고리부(22)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단순히 목줄(1)만 돌려 감싼 후, 엄지손가락으로 목줄(1)과 함께 개폐구(30)를 동시에 누르는 것으로써 간단히 이룰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목줄(1)을 손잡이부(10)의 위로 돌려 고리부(22)가 개방된 상태로 목줄(1)과 함께 개폐구(30)를 고정시킨 후에는, 상기 손잡이부(10)의 위로 돌려진 목줄(1)을 본 발명의 목줄결속장치(100)와 도래(4) 사이에 2가닥으로 된 목줄(1) 부분에 감싼 후, 동일 부위에 한번 더 감아 총 2회 감는다. 이때에는 왼손 전체가 낚시바늘이 매인 목줄(1)과 손잡이부(10) 및 개폐구(20)를 잡고 있기 때문에 왼손 검지 손가락과 장지 손가락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왼손 검지 손가락과 장지 손가락의 사용으로 인해 목줄(1)을 감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 후에는, 2가닥으로 된 목줄(1) 부분에 2회 감겨진 목줄(1)을 고리부(22)의 개방된 부위를 지나도록 감은 다음, 왼손으로 잡은 목줄(1)과 개폐구(30)를 놓음과 동시에 본 발명의 목줄결속장치(100)의 손잡이부(10)만을 지긋이 당긴다.
그러면, 상기 손잡이부(10)가 당겨짐으로써 손잡이부(10)의 위로 돌려진 목줄(1)이 손잡이부(10)의 외경과 개폐구(30)의 외측면을 따라 빠지는 움직임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때 개방되어 있던 고리부(22)는 개폐구(30)의 하측에 구성된 탄성체(50)에 의해 상기 개폐부(30)가 상측으로 자동으로 이동되게 되어 폐쇄되기 때문에 손잡이부(10)의 위로 돌려진 목줄(1)이 고리부(22)에 걸리는 현상 없이 본 발명의 목줄결속장치(100)에서 빠지게 된다.
또한, 상기 개폐구(30)의 하측에 탄성체(50)가 구성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손잡이부(10)를 당기기 전에 엄지손가락을 사용하여 개폐구(30)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고리부(22)를 폐쇄한 상태에서 손잡이부(10)를 당김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작동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10)의 위로 돌려진 목줄(1)이 빠진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잡고 있던 낚시바늘이 매이진 않은 쪽의 목줄(1)을 놓은 다음, 손잡이부(10)를 계속 당기어 고리부(22)를 지나는 목줄(1)이 고리부에서 빠져나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 도래(4)에 매어진 목줄(1)은 8자 매듭이 지어지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낚시바늘이 매어진 쪽의 목줄(1)과, 낚시바늘이 매어지지 않은 쪽의 목줄(1)을 양손으로 각각 잡아서 서로 당겨 조임으로써 매듭을 완성짓고, 매듭이 완성되면 힘껏 당기어 도래(4)에 목줄(1)을 완전히 맨다.
그리고, 낚시바늘이 매어지지 않은 채로 길게 남은 목줄(1)을 본 발명의 하부에 설치된 커팅수단(40)을 이용하여 5mm정도 남기고 자름으로써 본 발명의 목줄결속장치(100)를 이용한 목줄(1)의 결속을 완료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줄결속장치(100)는 하측에 구성된 걸이구(15)에 탄성이 있는 줄을 걸어 사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상기 탄성이 있는 줄의 타단에 고리를 달아 사용자가 입고 있는 조끼에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분실방지는 물론 용이한 휴대로 인해 더욱 편리한 사용을 할 수도 있다.
1 : 목줄 3 : 낚시바늘연결부
4 : 도래 10 : 손잡이부
11 : 결합고정홈 12 : 단부
13 : 슬라이드홈 14 : 삽입가이드
15 : 걸이구 20 : 결속구
21 : 결합고정부 22 : 고리부
23 : 안착홈 30 : 개폐구
40 : 커팅수단 41a : 고정부
42a : 커팅날 43a : 홈부
41b, 42b : 제1, 2날부 43b : 커팅날
41c : 고정부 42c, 43c : 제1, 2탄성누름쇠
44c : 커팅날 50 : 탄성체
100 : 목줄결속장치

Claims (11)

  1. 상협하광의 형태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에는 결합고정홈(11)을 구성하고, 전방 상측으로는 슬라이드홈(13)을 구성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10)의 상부에 결합고정되는 결합고정부(21)와, 상기 결합고정부(21)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후크형상의 고리부(22)로 구성된 결속구(20);
    상기 손잡이부(10)의 슬라이드홈(13)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결속구(20)를 개폐하는 개폐구(3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목줄 결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0)에 구성된 슬라이드홈(13)은 개폐구(30)가 손잡이부(10)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전방 상측으로 단부(12)를 형성하여 상기 단부(12)에 슬라이드홈(13)을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는 목줄결속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0)의 상부에는 목줄(1)을 용이하게 끼우기 위한 삽입가이드(14)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목줄결속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0)의 하측으로는 용이한 휴대를 위한 걸이구(15)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목줄결속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0)의 하부에는 낚싯줄을 절단하기 위한 커팅수단(3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목줄결속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수단(40)은 반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10)의 하부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부(41a)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부(41a)의 일측 중앙으로는 V자 형상의 커팅날(42a)을 구성한 홈부(43a)가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목줄결속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수단(40)은 상기 손잡이부(10)의 하부에 고정결합되는 제1날부(41b)와, 상기 제1날부(41b)에 탄성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제2날부(42b)로 구성되되, 상기 제1, 2날부(41b, 42b)의 마주보는 면에는 커팅날(43b)이 각각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목줄결속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수단(40)은 상기 손잡이부(10)의 하부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부(41c)와, 상기 고정부(41c)에서 곡선형상으로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대칭되게 형성되는 제1, 2탄성누름쇠(42c, 43c)로 구성되되, 상기 제1, 2탄성누름쇠(42c, 43c)의 끝단에는 각각의 커팅날(44c)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목줄결속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20)의 고리부(22)에는 개폐구(30)가 밀착되어 안착되는 안착홈(23)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목줄결속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0)와 결속구(20)는 일체로 사출제작된 것에 특징이 있는 목줄결속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0)의 슬라이드홈(13)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개폐구(30)의 하면에는 상기 개폐구(30)를 자동으로 상승시켜 결속구(20)의 고리부(22)를 폐쇄하도록 하는 탄성체(5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목줄결속장치.
KR1020100011318A 2010-02-08 2010-02-08 목줄결속장치 KR201100919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318A KR20110091947A (ko) 2010-02-08 2010-02-08 목줄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318A KR20110091947A (ko) 2010-02-08 2010-02-08 목줄결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947A true KR20110091947A (ko) 2011-08-17

Family

ID=44928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1318A KR20110091947A (ko) 2010-02-08 2010-02-08 목줄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19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3438A (ko) 2021-04-16 2022-10-25 주식회사 모넥스코리아 낚시줄 매듭 형성용 협지기구
KR20220151505A (ko) 2021-05-06 2022-11-15 조영근 낚시줄 매듭 형성용 보조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3438A (ko) 2021-04-16 2022-10-25 주식회사 모넥스코리아 낚시줄 매듭 형성용 협지기구
KR20220151505A (ko) 2021-05-06 2022-11-15 조영근 낚시줄 매듭 형성용 보조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4185A (en) Arm mounted fly pack
US9446528B1 (en) Ring with cutting blade
KR101242178B1 (ko) 탈부착이 용이한 루어낚시용 바늘
US5197217A (en) Line to lure rigging system
US9210958B1 (en) Necktie
US20120117851A1 (en) Fishing Jig
US20110308135A1 (en) Spinner bait
KR20110091947A (ko) 목줄결속장치
CN201299053Y (zh) 一种钓钩及钓钩组合
US8359782B1 (en) Fishing lure device
US9974287B2 (en) Snapping fish stringer
US7273057B1 (en) Tethered styling instrument and method of use
US2507495A (en) Fishhook releasing device
GB2373700A (en) Bait stop
KR100751564B1 (ko) 삼본 낚시 편대 채비
KR20110091946A (ko) 목줄결속장치
US9986727B2 (en) Fish glove/mitt with integral netting
US2457428A (en) Fishing hook and fly
US5630231A (en) Gathering clip for gown train
JP3060030B2 (ja) 釣り用手袋
US2020010048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shing
US11540498B2 (en) Spinner lure
JP2011205996A (ja) 玉網の柄
KR200483992Y1 (ko) 루어 낚싯대용 손잡이
US5615509A (en) Line br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