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1753A -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 상의 자원 공유 - Google Patents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 상의 자원 공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1753A
KR20110091753A KR1020117012935A KR20117012935A KR20110091753A KR 20110091753 A KR20110091753 A KR 20110091753A KR 1020117012935 A KR1020117012935 A KR 1020117012935A KR 20117012935 A KR20117012935 A KR 20117012935A KR 20110091753 A KR20110091753 A KR 20110091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area
application
area network
unit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2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0558B1 (ko
Inventor
바루치 에루치모비치
길라드 본스타인
니르 스트라우스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91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where the power saving management affects multip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개인 영역 네트워크 상에서 자원들을 구축 및 공유하기 위한 장치들 및 방법들이 제공된다. 유사한 함수들 또는 어플리케이션들을 공유하는 유닛들 중 선택된 하나가 연결된 유닛들 각각을 위해 어플리케이션 또는 함수를 실행하도록 함수들 또는 어플리케이션들을 공유하는 유닛들이 지그비 네트워크와 같은 개인 영역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된다. 유산한 함수 또는 공통 어플리케이션들에는, 예를 들어, 위치 결정, 데이터 송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의 유닛의 선택은 배터리 충전량, 프로세서 용량 등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 상의 자원 공유 {RESOURCE SHARING OVE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본 발명의 기술은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 내에 공동으로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유사한 기능을 가진 디바이스들 사이의 자원 공유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에는 휴대폰, RFID 유닛, 랩탑 컴퓨터, 네비게이션 도구 등의 무선 디바이스들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모바일 무선 디바이스, 모바일 무선 단말기, 또는 기타 모바일 무선 장비 (이하 일반적으로 모바일 장비 또는 ME (mobile equipment) 라 지칭함) 를 식별하거나 그 위치를 결정하는 능력이 유비쿼터스 (ubiquitous) 해지고 있다. 모바일 장비의 위치는 산업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여러 가지 기법을 사용하여 결정 또는 추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개인 및 공용 네트워크들, WLAN, WWAN, WiFi, WiMax 등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들이 사용될 수 있다. 통신 프로토콜들은, 예를 들어 코드분할다중접속 (CDMA) 네트워크 프로토콜, 글로벌 시스템 이동통신 (GSM) 네트워크 프로토콜, 시분할다중접속 (TDMA) 네트워크 프로토콜,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SC-FDMA) 네트워크 프로토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위치 또는 포지션 정보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위성 기반 (satellite based) 포지셔닝 시스템 (positioning system), 지상 기반 (terrestrial based) 포지셔닝 시스템, 또는 하이브리드 포지셔닝 시스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성 기반 포지셔닝 시스템 (SPS) 은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GPS - 군대에서 개발되던 당시 NAVSTAR 로 명명됨) 을 이용할 수 있다. 물론, GPS 는 단지 SPS 의 한 예일 뿐이며, 다른 SPS 들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다른 위성항법시스템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GNSS), 갈릴레오 포지셔닝 시스템 (유럽), 글로나스 (Glonass) (러시아), 컴파스 / 북두 (Compass/Beidou) (중국), QZSS (일본) 등 또는 그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시스템에 따르면, 모바일 장비는 미국의 GPS 시스템과 같은 SPS 와 연관된 위성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 포지션 또는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모바일 장비는 무선 네트워크 및 연관 기지국의 업링크 (uplink) 부분을 통해 모바일 포지셔닝 센터 및/또는 위치 결정 장비와 통신하여 그 위치를 결정하는 것과 관련하여 도움을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요청에 대응하여, 모바일 포지셔닝 센터 및/또는 포지셔닝 결정 장비는 무선 네트워크 및 연관 기지국의 다운링크 부분을 통해 요청된 정보를 모바일 장비에 송신할 수 있다. 요청되는 정보에는, 예를 들어, 현재 시야 내에 있는 위성들로서 그로부터 모바일 장비가 이러한 시야 내 위성들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받을 수 있는 위성들의 식별, 보정 인자들, 기대되는 도플러 편이 (Doppler shift) 에 관한 정보 등 해당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정보의 송신, 수신, 및 처리, 위성 신호들의 취득, 위치의 결정 등은 상당한 양의 파워를 요구하며 이는 모바일 장비의 재충전, 배터리 교환 등의 사이에 작동할 수 있는 시간의 길이를 감소시킨다.
모바일 장비 여러 개가 합리적으로 공동 위치하여 장비 모두가, 예를 들어 화물선의 컨테이너들, 페덱스 배달 트럭 등과 같이 동일한 위치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경우가 점점 더 흔히 나타나고 있다. 이에 더해, 여러 종류의 모바일 장비가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공동 위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비의 사용자는 휴대폰과 랩탑 컴퓨터를 모두 휴대할 수 있다. 오늘날, 장비들 모두에는 전술한 것들과 같은 위치추적 디바이스 (location device) 가 내장 또는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모바일 장비 각각은 위치 결정과 관련된 공통의 어플리케이션을 개별적으로 수행한다. 따라서, 각각 RFID 유닛이 결합된 두 개의 화물 컨테이너들은 그들의 위치를 개별적으로 결정할 것이다.
그러므로 해당 기술분야에서는 모바일 장비가 개인 영역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하여 모바일 장비가 공통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자원들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요구가 있다.
여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에서는 자원들을 공유하기 위한 개인 영역 네트워크를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요구를 다룬다. 개인 영역 네트워크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연결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디바이스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공통 어플리케이션을 복수의 디바이스들 각각에서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한다. 제어기들 중에서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위한 마스터 제어기로 선택된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공통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해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공통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결과들을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 다른 디바이스들에게 송신함으로써, 프로세싱 전력 및 배터리 전력이 절약될 수 있도록 복수의 디바이스들 사이의 자원들이 공유된다.
여기에 기재된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된 유닛들을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요구를 다룬다. 유닛은 자원 공유를 위한 개인 영역 네트워크 내의 복수의 유닛들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유닛은 제어기, 제어기에 결합된 개인 영역 네트워크 코오디네이터 (coordinator), 및 제어기에 결합된 안테나를 포함한다. 제어기는 그 유닛을 위해 다른 유닛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개인 영역 네트워크 상에서 공유된 자원들에 관한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고, 제어기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다른 유닛에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어기는 다른 유닛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결과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 기재된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유닛들 사이에서 자원들을 공유하는 방법들을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요구를 다룬다. 그 방법들은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해 복수의 유닛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과 복수의 유닛들 중 선택된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을 개인 영역 네트워크 상에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된 유닛은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을 복수의 유닛들 중 선택된 유닛 상에서 실행하고, 어플리케이션의 결과들을 리턴한다.
도 1 본 출원의 기술에 따른 시스템의 한 가지 가능한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내는 기능성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출원의 기술에 따른 시스템의 한 가지 가능한 유닛 (1) 을 나타내는 기능성 블록도이다.
도 3a 는 본 출원의 기술에 따른 한 가지 가능한 개인 영역 네트워크 구성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3b 는 본 출원의 기술에 따른 다른 가능한 개인 영역 네트워크 구성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3c 은 본 출원의 기술에 따른 또 다른 가능한 개인 영역 네트워크 구성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3d 는 도 3c 의 개인 영역 네트워크에서 루트 노드가 이탈된 후 재구성된 개인 영역 네트워크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4 는 본 출원의 기술과 연관되는 동작 단계들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5 는 본 출원의 기술과 연관되는 동작 단계들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이하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기술이 설명된다. 그러나 본 출원의 기술이 도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특히, 본 출원의 기술은 모바일 장비가 특정 기능들, 예를 들면, 모바일 장비의 로케이팅 또는 추적, 모바일 장비에 대한 정보 송신 또는 수신 등을 수행할 필요성 및 요망을 인식한다. 본 출원의 기술은 또한 모바일 장비의 에너지 또는 배터리 수명 절약 등을 위해 이러한 기능들을 효율적으로 수행해야 할 필요성을 파악한다. 많은 경우, 어느 하나의 모바일 장비는 그러한 특정 기능들을 역시 수행하는 다른 모바일 장비와 공동 위치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개인 영역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가능한 복수의 모바일 장비가 자원들을 공유하여 그러한 특정 기능들을 수행하고 배터리 수명 등을 절약할 수 있다는 점이 파악되었다. 그러나 본 출원의 기술이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더라도,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기재를 읽으면서 다른 실시예들도 가능하다는 점을 파악할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모바일 장비 네트워크 (100) 의 예시적 블록도가 제공되어 있다. 모바일 장비 네트워크 (100) 는 안테나 (104) 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 (102) 을 포함하고 (편의상 하나만 도시됨), 적어도 하나의 제 1 복수의 모바일 장비 (106) 를 포함하는데, 도 1 에는 세 개의 예시적인 모바일 장비 (106) 가 제공되어 있으나, 더 많이 혹은 더 적게 제공될 수 있다. 본 기술이 모바일 자산들을 위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되므로 모바일 장비 네트워크 (100) 가 모바일 장비 (106) 에 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디바이스들 중 하나, 복수, 또는 전부가 모바일 장비 대신 위치가 고정된 장비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기지국 (102) 은 편의 및 간략화를 위해 도시되지 않은 시스템 (100) 의 다른 부품들을 통상적으로 포함할 것이며, 그러한 부품들에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기지국 타워 (BST), 기지국 제어기 (BSC), 모바일 스위칭 센터 (MSC) 등이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모바일 장비 (106) 가 안테나 (110) 에 연결된 추적기 (108) 를 포함한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바와 같이, 추적기 (108) 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112) 를 통해 기지국 (102) 중 하나와 연관되는 안테나 (104) 로 정보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무선 통신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적기 (108) 는 보통 추적기 (108) 를 모바일 장비 (106) 에 장착하거나, 추적기 (108) 를 모바일 장비 (106) 에 통합시키거나, 또는 추적기 (106) 를 모바일 장비에 내장함으로써 모바일 장비 (106) 에 결합시킨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비가 컨테이너 (container) 인 경우, 추적기 (108) 는 통상적인 RFID 기술과 유사한 방식으로 컨테이너의 외표면에 장착될 수 있다. 모바일 장비가 휴대폰 또는 RFID 유닛인 경우, 추적기 (108) 는 모바일 장비 (106)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추적기 (108) 를 그 연관되는 모바일 장비 (106) 에 결합시키는 단지 몇 가지 예에 불과하다.
본 예에서 알 수 있듯이, 각 모바일 장비 (106) 는 추적기 (108) 를 가지며, 각각은 위치 결정을 수행하는 공통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기능을 가진다. 모바일 장비 (106) 와 추적기 (108) 의 복합체는, 도시된 유닛 (1), 유닛 (2), 유닛 (3) 과 같이, 일반적으로 유닛으로 지칭될 수 있다. 추적기 (108) 는 연속적으로, 반복적으로, 임의적으로, 또는 요청에 따라 서버 (116) 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비 (106) 가 트럭에 실린 패키지 (package) 인 경우, 추적기 (108) 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패키지의 위치를 송신하여 서버 (116) 가 패키지를 추적할 수 있다.
각 추적기 (108) 는, 추적기 (108) 의 위치를 제공하고 따라서 연관되는 모바일 장비 (106) 의 위치도 제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포지션 센싱 수신기들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시적 모바일 장비 추적 네트워크 (100) 에서는, 추적기 (108) 의 포지션 센싱 수신기들에 복수의 위성들 (114) 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는, 전술한 GPS 수신기들 등의 위성 신호 수신기들이 포함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위성 수신기는 위성들 (114) 로부터의 신호들을 기초로 하여 잘 알려진 위치 결정 알고리즘들을 수행함으로써 비교적 높은 정확도로 위치 정보를 제공하도록 작동한다. 기타 모바일 장비 추적 네트워크들 (100) 은 지상 기반 추적 신호들 또는 지상 및 위성 신호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추적기 (108) 는 전술한 개인 및 공용 네트워크들과 같은 통상적인 개인 또는 공용 네트워크 (118) 를 통해 모바일 포지셔닝 센터 등의 서버 (116) 에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추적기 (108) 는 GPS 또는 전술한 어떠한 위성 포지셔닝 시스템과 연관되는 위성들 (114) 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모바일 장비 (106) 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추적기 (108) 는 모바일 장비 추적 네트워크 (100) 의 업링크 부분 및 그 연관되는 기지국 (102) 을 통하여 모바일 포지셔닝 센터, 포지션 결정 장비 등과 같은 서버 (116) 와 통신하여 그 위치와 관련하여 도움을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버 (116) 는 모바일 장비 추적 네트워크 (100) 의 다운링크 부분 및 그 연관되는 기지국 (102) 을 통하여 요청된 정보를 추적기 (108) 로 송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다운링크 부분은 초기 시스템 취득을 위한 비컨 (beacon) 기능을 제공하는 파일럿 채널들 (pilot channels), 시스템 취득시 요구되는 시스템 파라미터들을 운반하기 위한 동기 채널들 (synchronization channels), 오버헤드 메시지들, 페이지들, 설정 메시지들 및 명령을 운반하기 위한 페이징 채널들 (paging channels) 을 포함할 수 있다. 다운링크 부분에서 추적기 (108) 로 송신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추적기 (108) 를 제어 및/또는 구성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일 실시예에서는 다른 정보가, 현재 시야 내에 있는 위성들로서 그로부터 추적기 (108) 가 시야 내 위성들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받을 수 있는 위성들의 식별, 보정 계수들, 기대되는 도플러 편이에 관한 정보 등 해당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추적기 (108) 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기법들을 사용하여, 예를 들면 디바이스에서 얻어지는 위성들 (114) 로부터의 신호들에 기초한 의사거리 (pseudorange) 측정치들을 획득하는 능력이 있을 수 있다. 추적기 (108) 및 그 연관 모바일 장비 (106) 의 위치는 취득한 위성들 (114) 로부터 획득한 의사범위 측정치들에 기초하여 추정될 수 있다. 그 위치의 추정에 대한 대안으로서, 추적기 (108) 는 업링크를 통해 모바일 장비 추적 네트워크 (100) 및 기지국 (102) 을 거쳐 의사범위 측정치들을 서버 (116)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로 송신하여 외부 어플리케이션이 추적기 (108) 및 모바일 장비 (106) 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통상적 위치 결정에서는, 예를 들어 위성들을 취득 및 추적하는 데 프로세서 및 배터리의 사용이 요구된다. 따라서 위치 결정에 사용되는 배터리 전력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 (1), 유닛 (2), 및 유닛 (3) 은 후술되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 (PAN) (120) 을 통해 상호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 영역 네트워크는 저전력 라디오 주파수 연결에 의해 노드들을 연결하는 (유닛 (1), 유닛 (2), 및 유닛 (3) 은 각각 노드를 형성한다) 메시 네트워킹 시스템 (mesh networking system) 일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메시 네트워크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에 새로운 노드들에 진입하는 경우 이들에게 연결을 제공하고 네트워크에서 노드들이 제거되는 경우 리라우팅 (rerouting) 연결을 제공한다. 지그비 프로토콜들에서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저전력 라디오 주파수 연결이 도시되어 있으나, 예를 들어 블루투스 (Bluetooth), 초광대역 (ultra wide band), 적외선 통신 규격 (infrared data association) 등과 같은 기타 개인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들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저전력 라디오 주파수 네트워크들은 IEEE 802.15 와 연관되지만, 본 출원의 기술에서 개인 또는 사설 (proprietary) 저전력 라디오 주파수 네트워크들도 사용가능하다. 유닛 (1), 유닛 (2), 및 유닛 (3) 을 연결하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 (120) 는 또한 통상적인 근거리 네트워크 (local area network), 예를 들면, 이더넷 (Ethernet) 등에 의할 수도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유닛 (1) 의 일부에 대한 예시적 실시예가 제공되어 있다. 유닛 (1) 은 무선 송신기/수신기 (150), GPS 수신기 (154) 및 안테나 (158) 를 포함한다. 무선 송신기/수신기 (150) 는 안테나 (158) 에서 수신되는 무선 신호들을 수신하고 복조하며 이들을 제어기 (162) 로 제공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제어기 (162) 로는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칩셋,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서버, 컴퓨터 등 적합한 제어기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다. 무선 송수신기 (150) 는 또한 제어기 (162) 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고, 신호들을 RF 신호로 변조하고, 변조된 신호를 안테나 (158) 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GPS 수신기 (154) 는 적절한 수의 GPS 위성들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추적 유닛 (108) 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GPS 수신기 (154) 는 또한 안테나 (158) 에 연결된다. 안테나 (158) 는, 비록 단일의 안테나로 도시되었으나, 설계상의 선택 또는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개별 안테나들을, 예를 들면 GPS 수신기, 발신 안테나, 및/또는 수신 안테나, 및 개인 영역 네트워크 안테나에 대해 별도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 (162) 는 메모리 (166) 및 선택사항인 (optional) 사용자 인터페이스 (170) 에 결합되어 있다. 제어기 (162) 는 또한 개인 영역 네트워크 코오디네이터 (172) 에 결합되어 있다. 제어기 (162) 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어기 (162) 에 통합될 수 있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 코오디네이터 (172) 는 유닛 (1), 유닛 (2), 및 유닛 (3) 이 개인 영역 네트워크 (120) 를 형성할 수 있도록 작동한다. 때때로 개인 영역 네트워크의 호스트 또는 루트 노드 (root node) 로 지칭되기도 하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 코오디네이터 (172) 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들을 설립하기 위해 산업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유닛 (1) 이 개인 영역 네트워크를 구축, 코오디네이터 역할을 수락, 개인 영역 네트워크에 가입 등을 하는지 여부에 따라 엔드 디바이스 또는 라우터로 기능할 수 있다. 제어기 (162) 는 유닛 (1) 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여기에는 유닛 (1) 상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들의 작동이 포함된다. 메모리 (166) 는 이러한 디바이스들에 적합한 어떠한 종류의 메모리든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가 포함된다. 메모리 (166) 는 유닛 (1) 을 위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데, 여기에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 (120) 를 실행 및 관리하기 위한 코드가 포함된다. 선택사항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170) 로는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며, 여기에는 시각적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연관된 키패드 및/또는 기타 물리적 입력 디바이스가 포함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메모리 (166) 는 하나 이상의 공통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본 실시예에서는 유닛 (2) 및 유닛 (3) 과 같은) 다른 유닛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되고 설명되는 유닛 (1) 은 GPS 수신기 (154) 를 포함하지만,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유닛 (1) 이 전술한 SPS 중 어떠한 것이든 사용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더 나아가, 유닛 (1) 은 보조 GPS, 지상 기반 위치결정 시스템, 하이브리드 시스템 등 및 그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위치결정 서비스는 본 출원의 기술을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한 가지 방안이지만, 유닛들 (1, 2, 및 3) 은 반드시 위치결정 장비를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위치결정 서비스는 단지, 개인 영역 네트워크 (120) 에 의해 연결되는 디바이스들 또는 유닛들 사이에 공통으로 포함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종류 중 합리적인 정도로 복잡하면서도 일반적으로 알려진 어플리케이션 종류의 한 가지 예로서 제공된 것이다. 기타 공통 어플리케이션들도 개인 영역 네트워크 상에서 공유 자원들을 사용하여 작동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네트워크 (112) 상에서 기지국 (102) 으로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가 그러하다.
도 3a, 도 3b, 및 도 3c 를 참조하면, 개인 영역 네트워크 (120) 를 위한 구성의 몇 가지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 에서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 (120) 가 스타형 구성 (302) 으로 배열되어 있다. 스타형 구성 (302) 에서는, 예를 들어 유닛 (1) 이 루트 노드 (304) 로서 작동할 수 있다. 유닛 (2) 및 유닛 (3) 은 엔드 디바이스들 (306) 로서 작동할 것이다. 메시지들 (308) 은 화살표 (A) 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엔드 디바이스 (306) 로부터 루트 노드 (304) 를 통하여 대상 엔드 디바이스 (306) 로 송신되어 네트워크를 통과할 것이다. 스타형 구성 (302) 에서는, 모든 메시지들이 루트 노드 (304) 를 통해 라우팅된다. 개인 영역 네트워크 (120) 에 추가 유닛들이 더해지면서, 유닛 (N) 과 같은 새로운 유닛들은 루트 노드 (304) 에 연결할 것이다. 유닛 (1) 이 루트 노드 역할을 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유닛들 중 어떠한 것이든 루트 노드 또는 엔드 디바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루트 노드는 네트워크를 시작하는 디바이스에 의해 식별된다. 개인 영역 네트워크 (120) 를 위한 또 다른 구성이 트리형 구성 (310) 이다. 트리형 구성 역시 루트 노드 (312) 와 엔드 디바이스들 (314) 을 포함하지만, 또한 라우터들 (316) 도 포함한다. 트리형 구성에서는, 트리의 상부, 즉 루트 노드 (312) 가 근원적 부모 노드로 간주되고 라우터들이 자녀 노드들로 간주된다. 각 라우터는 트리 상류에 부모 노드를 가지며 트리 하류에는 자녀 노드를 가질 수 있다. 메시지들은 자녀들로부터 상류로 부모 노드들에게 그리고는 다시 하류로 전해진다. 그러므로 엔드 디바이스 (314A) 는 메시지를 라우터 유닛 (4), 라우터 유닛 (6), 그리고 마지막으로 엔드 디바이스 (314B) 에게 전송함으로써 엔드 디바이스 (314B) 와 통신할 수 있다. 개인 영역 네트워크 (120) 를 위한 또 다른 구성은 메시 네트워크 (320) 이다. 메시 네트워크 (320) 는 트리형 네트워크 (310) 와 유사하나, 유닛 (2) 및 유닛 (4) 의 라우터들 사이, 엔드 유닛 (5) 과 라우터 유닛 (6) 사이 등의 연결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노드들이 복수의 연결들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트리형 구성 하에서는, 유닛 (3) 이 유닛 (2), 유닛 (1), 및 유닛 (4) 를 통해 유닛 (5) 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것이나, 메시 네트워크는 본 예시적 구조에서는 유닛 (3) 에서 유닛 (5) 로, 유닛 (2) 및 유닛 (4) 를 통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것이고 유닛 (1) 을 지나지 않을 것이다. 메시 네트워크들은 개인 영역 네트워크의 지속적인 재구성을 허용하므로 통상적으로 스타형 또는 트리형 구성보다 더 로버스트 (robust) 하다. 루트 노드가 네트워크에서 이탈하면 비활성화되는 스타형 구성과는 달리, 메시 네트워크는 새로운 루트 노드를 구축하도록 자신을 재배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메시 네트워크에서 유닛 (1) 이 이탈하면, 도 3d 에 도시된 것처럼 유닛 (4) 가 루트 또는 상부 노드가 되도록 새로운 메시 네트워크 (320N) 가 구성될 수 있다.
유닛 (1), 유닛 (2) 등을 개인 영역 네트워크 (120) 로 연결하는 것은 개별 유닛들이 자원들을 공유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메시 네트워크 (320) 를 참조하면, 유닛 (11) 및 유닛 (9) 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 (112) 상으로 데이터를 송신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유닛 (11) 및 유닛 (9) 이 각각 디바이스들의 송신부들을 구동시키는 대신, 예를 들어 유닛 (11) 이 그 데이터를 유닛 (9) 로 전송하고, 유닛 (9) 이 유닛 (11) 및 유닛 (9) 모두를 위해 데이터를 송신할 것인데, 이는 유닛 (11) 과 연관되는 배터리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유닛 (11) 및 유닛 (9) 모두가 그들의 데이터를 유닛 (5) 으로 송신하고 유닛 (5) 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기술과 연관되는 동작 단계들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순서도 (400) 가 제공되어 있다. 순서도 (400) 는 공통 어플리케이션이 위치결정인 경우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 (112) 상에서의 데이터 송신과 같은 다른 공통 어플리케이션들이 이와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나아가, 연관되는 단계들이 특정 순서에 따른 별개의 단계들로 제공되어 있으나, 다양한 단계들이 반복적 또는 지속적인 방식 등으로 일어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제공된 단계들은 다른 단계들과 조합되거나 상이한 순서들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시적 순서도 (400) 에서는, 우선 복수의 유닛들 사이에 개인 영역 네트워크 (120) 가 구축된다 (단계 402). 다음으로, 개인 영역 네트워크 (120) 로 연결된 복수의 유닛들 중 하나 이상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라는 요청, 예를 들면 위치 결정 요청을 수신한다 (단계 404).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라는 요청은 위치 결정 요청을 수행하도록 지정된 복수의 유닛들 중 하나에게 송신된다 (단계 406). 개인 영역 네트워크를 위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지정된 복수의 유닛들 중 하나는 보통의 방식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결과를 획득할 것이며, 이 결과는 단순히 개인 영역 네트워크 (120) 에 의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유닛들을 위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다는 확인일 수 있다 (단계 408).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지정된 복수의 유닛들 중 하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라는 요청을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닛들에게 결과(들)을 전달할 것이나, 그 정보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유닛들 모두에게 송신될 수 있다 (단계 410).
개인 영역 네트워크들 (120) 의 다양한 종류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네트워크들은 개인 영역 네트워크를 시작하는 루트 노드를 가지고 설정된다. 이 노드는 연결된 디바이스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특정 공유 자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수행하도록 할 것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도 5 는 본 출원의 기술과 연관되는 동작 단계들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순서도 (500) 를 나타낸다. 특히,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유닛 (1) 과 같은 루트 노드는 자신과 적어도 하나의 다른 유닛, 예를 들면 유닛들 (2 및 3) 사이에 개인 영역 네트워크를 구축 또는 유지한다 (단계 502). 다음으로, 루트 노드는 노드들 중 하나, 예를 들면 유닛 (1), 유닛 (2), 또는 유닛 (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공유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게 한다 (단계 504). 전술한 바와 같이, 공유가능한 어플리케이션에는 위치 결정 요청 또는 데이터 요청의 송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노드의 선택은 설계상의 선택에 따라 여러 가지 프로토콜들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루트 노드는 라우터 노드 또는 루트 노드 자신을 선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노드들은 개인 영역 네트워크를 유지하기 위해 슬립 (sleep) 또는 수면 (hibernate) 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루트 노드는 가장 높은 배터리 충전량을 가진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루트 노드, 라우터 노드, 또는 엔드 디바이스 노드 중 어느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루트 노드는 가장 많이 이용가능한 (available) 프로세서를 가진 제어기 (162) 에 기초하여 루트 노드, 라우터 노드, 또는 엔드 디바이스 노드 중 어느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즉, 로드 밸런싱 절차). 루트 노드는 라운드 로빈 (round robin) 패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노드를 선택할 수 있다. 루트 노드는 임의의 패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노드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은 상기의 인자들, 상기 인자들의 조합, 또는 기타 열거되지 않은 인자들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노드의 선택은 시스템 설계 또는 구성에 따라 루트 노드, 라우터 노드들, 또는 엔드 디바이스 노드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과 부합하는 추적 작동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순서도 (600) 가 제공되어 있다. 순서도 (600) 는 모바일 장비로서 예를 들어 화물 (106) 에 부착되는 추적 유닛들 (108) 에 대한 실시예다. 우선, 복수의 유닛들 사이에 개인 영역 네트워크가 구축 또는 유지된다 (단계 602). 다음으로, 개인 영역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유닛들을 위하여 종래의 방법으로 위치기반 요청들에 대응하거나 위치기반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복수의 유닛들 중 제 1 유닛이 선택된다 (단계 604). 복수의 유닛들 중 선택된 유닛은 필요 또는 요청에 따라 종래의 방법으로 위치 결정을 수행한다 (단계 606). 선택사항으로서, 유닛들에 관한 정보 (즉, 유닛 (1), 유닛 (2), 유닛 (3) 과 연관되는 각각의 추적기 (108) 와 연관되는 독특한 ID 등) 가 수집될 수 있다 (단계 608). 개인 영역 네트워크 내에 연결된 유닛들에 대한 위치 정보는 유닛 (1), 유닛 (2), 유닛 (3) 등을 추적하기 위해 기지국 (102) 을 통해 서버 (116) 로 송신될 수 있다 (단계 610). 선택사항으로서, 유닛들에 관한 정보는 또한 단계 610에서 서버 (116) 로 송신된다. 루트 노드는, 선택사항으로서, 개인 영역 네트워크 (120) 를 구성 변경 (configuration change) 에 대해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단계 612). 이러한 구성 변경들에는 노드 추가, 노드 이탈, 루트 노드 재구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변경들은 복수의 유닛들 중 위치 결정을 수행하도록 선택된 유닛이 서버 (116) 로 위치 정보를 송신하게 할 수 있다 (단계 614). 이로써, 서버 (116) 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장비가 추가 또는 이탈됨에 따라 모바일 장비의 최후 알려진 위치 또는 모바일 장비의 초기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해당 분야의 기술자라면 서로 다른 다양한 기술 및 기법들을 사용하여 정보 및 신호들을 표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에 걸쳐 언급된 데이터, 지시, 명령, 정보, 신호, 비트, 심볼, 및 칩은 전압, 전류, 전자기파, 자기장 혹은 자기입자, 광학장 (optical field) 혹은 광입자, 또는 그 조합으로서 표현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또한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 논리 블록, 모듈, 회로,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교환가능성을 명확히 나타내기 위하여, 다양한 예시적 구성요소, 블록, 모듈, 회로, 및 단계들은 이상 그 기능의 측면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지 여부는 특정 어플리케이션과 전체 시스템에 부가된 설계 제약들에 의존한다. 기술자들은 설명된 기능을 특정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결정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 논리 블록, 모듈, 및 회로들은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특정용도 집적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디스크리트 (discrete) 게이트 혹은 트랜지스터 로직, 디스크리트 하드웨어 구성요소, 또는 그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으나, 대안적으로 프로세서가 보통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기계 (state machine) 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연산 디바이스들의 조합으로서,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동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기타 구성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에 직접적으로,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그 둘의 조합으로서 구체화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플래시 메모리, 리드 온리 메모리 (ROM), 전기적 프로그래머블 롬 (EPROM), 전기적 소거가능 프로그래머블 롬 (EEP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탈착가능 디스크, CD-ROM,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기타 형태의 저장 매체에 존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결합되어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읽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쓸 수 있도록 한다. 대안적으로는, 저장 매체가 프로세서와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존재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상기 설명은 해당 분야의 기술자로 하여금 본 발명을 제조 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해당 분야의 기술자에게는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수정예가 자명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예들로 한정될 것이 아니라, 개시된 원리들 및 새로운 특징들과 부합하는 최광의의 범위에 따를 것이다.

Claims (34)

  1. 자원을 공유하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로서,
    개인 영역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연결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공통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들 각각에서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들 중 하나는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위한 마스터 제어기로 선택되고, 상기 마스터 제어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통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 하나의 디바이스를 선택하며;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 상기 하나의 디바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통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결과들을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 다른 디바이스들에게 송신함으로써,
    프로세싱 전력 및 배터리 전력이 절약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들 사이의 자원들이 공유되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영역 네트워크는 지그비 (ZigBee), 블루투스 (Bluetooth), 초광대역 (ultra wide band), 이더넷 (Ethernet), 또는 적외선 통신 규격 (infrared data association) 으로 이루어진 개인 영역 네트워크들의 그룹에서 선택되는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영역 네트워크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통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통 어플리케이션은 위치 결정을 포함하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
  5. 제 4 항에 있어서,
    제 2 의 복수의 디바이스들의 다른 디바이스들에 송신되는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결과들은 상기 위치 결정의 결과들을 포함하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통 어플리케이션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의 송신을 포함하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
  7. 제 6 항에 있어서,
    제 2 의 복수의 디바이스들의 다른 디바이스들에 송신되는,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결과들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된 상기 정보의 확인을 포함하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제어기는 프로세서 가용성 (availability) 에 기초하여 제 2 의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통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되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제어기는 배터리 충전량에 기초하여 제 2 의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통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되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의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 하나가 상기 개인 영역 네트워크에서 떠나는 경우 상기 마스터 제어기는 떠나는 디바이스의 최후 알려진 위치를 송신하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제어기는 소정의 패턴으로 순환하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패턴은 라운드 로빈 (round robin) 패턴인, 개인 영역 네트워크.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제어기는 임의의 패턴으로 순환하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영역 네트워크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통 어플리케이션을 가지고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
  15. 자원을 공유하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 내의 복수의 유닛들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유닛으로서,
    제어기;
    상기 제어기에 결합된 개인 영역 네트워크 코오디네이터 (coordinator); 및
    상기 제어기에 결합된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유닛을 위해 다른 유닛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상기 개인 영역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된 자원들에 관한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상기 다른 유닛에 정보를 브로드캐스트 (broadcast) 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기는 다른 유닛에서 실행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결과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유닛.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영역 네트워크는 지그비 (ZigBee), 블루투스 (Bluetooth), 초광대역 (ultra wide band), 이더넷 (Ethernet), 또는 적외선 통신 규격 (infrared data association) 으로 이루어진 개인 영역 네트워크들의 그룹에서 선택되는, 유닛.
  17. 개인 영역 네트워크 상에서 연결된 복수의 유닛들에 공통적인 자원들을 공유하는 방법으로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해 상기 복수의 유닛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유닛들 중 상기 선택된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을 상기 개인 영역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유닛들 중 상기 선택된 하나에서 상기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결과들을 리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원 공유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복수의 유닛들 사이에서 상기 개인 영역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원 공유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영역 네트워크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원 공유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영역 네트워크를 재구성 (reconfiguring)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원 공유 방법.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해 상기 복수의 유닛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가장 많은 배터리 충전량을 가지는 유닛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원 공유 방법.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해 상기 복수의 유닛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배터리 충전량을 가지는 유닛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원 공유 방법.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해 상기 복수의 유닛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프로세서 용량을 가지는 유닛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원 공유 방법.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위치 결정을 포함하는, 자원 공유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들의 위치가 서버로 송신되는, 자원 공유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영역 네트워크에 구성 (configuration) 변경들이 있는지 모니터링하고, 상기 개인 영역 네트워크의 구성이 변경되는 경우 위치를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원 공유 방법.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들에 관한 정보를 수집 (compiling)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원 공유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유닛 식별인, 자원 공유 방법.
  2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기지국으로의 정보 송신을 포함하는, 자원 공유 방법.
  30.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개인 영역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유닛들 중 하나의 유닛을 선택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
    상기 복수의 유닛들 중 상기 선택된 하나의 유닛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이 송신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
    적어도 상기 하나의 유닛이 상기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결과들을 리턴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1. 제 30 항에 있어서,
    복수의 유닛들을 결합시키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를 구축 및 유지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2. 제 30 항에 있어서,
    위치 결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3. 제 30 항에 있어서,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4. 자원을 공유하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로서,
    복수의 유닛들을 연결하는 수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유닛들 중 하나의 유닛을 선택하는 수단;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들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해 상기 복수의 유닛들 중 상기 선택된 하나의 유닛에 송신하는 수단;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수단; 및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결과들을 리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
KR1020117012935A 2008-11-04 2009-11-02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 상의 자원 공유 KR1013105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264,458 US9026656B2 (en) 2008-11-04 2008-11-04 Resource sharing ove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US12/264,458 2008-11-04
PCT/US2009/062948 WO2010053860A2 (en) 2008-11-04 2009-11-02 Resource sharing ove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753A true KR20110091753A (ko) 2011-08-12
KR101310558B1 KR101310558B1 (ko) 2013-09-23

Family

ID=41727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2935A KR101310558B1 (ko) 2008-11-04 2009-11-02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 상의 자원 공유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26656B2 (ko)
EP (1) EP2356859B1 (ko)
JP (1) JP5497054B2 (ko)
KR (1) KR101310558B1 (ko)
CN (1) CN102217385B (ko)
TW (1) TW201106764A (ko)
WO (1) WO201005386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07107B2 (en) 2014-10-16 2019-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perative sensing method and terminal for performing cooperative sens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39257B2 (en) * 2009-07-30 2012-12-25 Cellco Partnership Firearm and system for notifying firearm discharge
US20110090833A1 (en) * 2009-10-21 2011-04-21 Nokia Corporation Group addressed frame delivery in wireless networks
US8803817B1 (en) 2010-03-02 2014-08-12 Amazon Technologies, Inc. Mixed use multi-device interoperability
US9158333B1 (en) 2010-03-02 2015-10-13 Amazon Technologies, Inc. Rendering on composite portable devices
US9397900B2 (en) * 2010-09-27 2016-07-19 Coriant Operation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haring counter resources between CoS/priority or/and between EVC/VLAN to support frame loss measurement
CN102571863A (zh) 2010-12-30 2012-07-11 国际商业机器公司 实现移动终端之间内容共享的方法和装置
CN103457643A (zh) * 2012-05-29 2013-12-18 宏碁股份有限公司 近场通信设备的文件分享系统及其方法
CN102984718B (zh) * 2012-11-23 2016-08-03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ZigBee技术实现组网中继的系统及方法
US9820221B2 (en) 2013-08-08 2017-11-14 Nant Holdings Ip, Llc Power management of a personal area fabric
CN104902568B (zh) * 2014-03-03 2019-02-0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无线网络资源的共享方法及电子设备
CN106105142B (zh) 2014-06-24 2017-12-15 谷歌公司 网状网络调试
US9819560B2 (en) 2014-12-24 2017-11-14 Mediatek Inc. Dynamic data distribution method in private network and associated electronic device
CN104572193A (zh) * 2014-12-29 2015-04-2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多个设备间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06161148B (zh) * 2015-04-01 2019-12-13 安富科技股份有限公司 多网域媒体装置的音频网络建置方法
EP3751875A1 (en) 2015-04-02 2020-12-16 Google LLC Efficient network stack for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s
US10521394B2 (en) * 2015-07-16 2019-12-31 Motorola Mobility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application performance within a group of communication devices
US10136290B2 (en) * 2017-04-14 2018-11-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ignal sharing between trusted groups of devices
FR3101221A1 (fr) * 2019-09-19 2021-03-26 Orange Procédé de gestion de la consommation électrique d’un terminal mobile lors de la transmission de données de localisation.
CN112218259B (zh) * 2020-10-10 2021-04-27 北京瑞拓电子技术发展有限公司 一种轨道交通综合监控系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20691B2 (en) 2002-03-15 2006-10-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cured and access controlled peer-to-peer resource sharing method and apparatus
US20030236890A1 (en) * 2002-06-25 2003-12-25 Intel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device resources
TW200300639A (en) 2002-11-13 2003-06-01 Global Sun Technology Inc Bluetooth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integrating network and voice phone
US20040116141A1 (en) * 2002-12-11 2004-06-17 Erick Loven Resource management on a personal area network
US20040128382A1 (en) * 2002-12-31 2004-07-01 Marion Shimoda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resource availability based on power availability
US8024487B2 (en) * 2003-12-01 2011-09-20 Microsoft Corporation Smart scan for wireless devices
CN101433052B (zh) 2006-04-26 2013-04-24 高通股份有限公司 设备功能和资源管理的动态分配
EP2266365A4 (en) * 2008-04-04 2011-12-28 Powerwave Cognition Inc METHOD AND SYSTEMS FOR MOBILE ROUTING-WIDE BROADBAND INTERNET
US8850052B2 (en) * 2008-09-30 2014-09-30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simplified resource shar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07107B2 (en) 2014-10-16 2019-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perative sensing method and terminal for performing cooperative sen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06764A (en) 2011-02-16
CN102217385B (zh) 2015-09-23
CN102217385A (zh) 2011-10-12
JP5497054B2 (ja) 2014-05-21
WO2010053860A3 (en) 2010-09-10
WO2010053860A2 (en) 2010-05-14
KR101310558B1 (ko) 2013-09-23
EP2356859A2 (en) 2011-08-17
EP2356859B1 (en) 2012-12-19
US9026656B2 (en) 2015-05-05
US20100115096A1 (en) 2010-05-06
JP2012507977A (ja) 201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558B1 (ko)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 상의 자원 공유
US9807557B2 (en) Location-aware multimodal communication system
US9213081B2 (en) Cooperative positioning
TWI421526B (zh) 一種通信方法和通信系統
US9405010B2 (en) Geospatial positioning using correction information provided over cellular control channels
US9549386B2 (en) Techniques for reducing scans for indoor position determination
US8509731B2 (en) Location determination for mobile devices in emergency situations
US8787184B2 (en) Collaborative sharing of location information among devices in a network
US8538418B2 (en) Efficient use of assistance data services in dual/multi-SIM terminals
US201100578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location using a hybrid solution
US9020522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uploading of location data for location based services
US20100039323A1 (en) Method and system for global position reference map (gprm) for agps
CN106716169A (zh) 无线通信环境中的用于提供位置信息的通信设备中的方法
EP2320685A1 (en) Location determination for mobile devices in emergency situations
US201401136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ectrum management
US8395548B2 (en) Mobile apparatus
US8805401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lligent switch between client based location and server based location for hybrid location client devices
CN114270954A (zh) 多功率等级操作
CN104704894A (zh) 用于自主连接以改善基于位置的信息的系统和方法
KR20240046722A (ko) 위성 포지셔닝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라디오 주파수 수신 체인 제어
CN116438821A (zh) 一种sl定位能力的传输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7917910A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JP2014096665A (ja) 自立構成型アレーアンテナシステム及びアレーアンテナ構成方法
OA18690A (en) Location Information in Communications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