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1205A - 배전반의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 - Google Patents

배전반의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1205A
KR20110091205A KR1020100010918A KR20100010918A KR20110091205A KR 20110091205 A KR20110091205 A KR 20110091205A KR 1020100010918 A KR1020100010918 A KR 1020100010918A KR 20100010918 A KR20100010918 A KR 20100010918A KR 20110091205 A KR20110091205 A KR 20110091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ker
door
interlock device
reset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6941B1 (ko
Inventor
마동환
박창용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0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941B1/ko
Publication of KR20110091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67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truck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반의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도어 인터록장치는 배전반의 차단기 베이스 상부에 설치되어 차단기 트럭의 위치에 따라 작동되는 리셋수단과, 상기 리셋수단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차단기 베이스 하부에 설치되어 리셋수단의 작동에 따라 밀리거나 당겨지도록 된 리셋바와, 상기 리셋바의 동작에 의해 상기 리셋수단과 연동됨과 동시에 상기 차단기 베이스를 중심으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도록 된 고정핀 및, 상기 배전반의 차단기 도어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핀의 상승시 고정핀과 체결됨으로써 차단기 도어를 록킹할 수 있도록 된 도어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차단기가 폐로되었을 때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전반의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INTERLOCK DEVICE OF BREAKER AND DOOR IN SWITCH BOARD}
본 발명은 배전반의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단기가 안전위치에 도달하여야만 차단기실 도어가 열릴 수 있도록 하는 배전반의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배전반은 산업용 전력을 사용자에게 안전하게 공급해주는 전기용 설비로서, 배전반 내에는 차단기를 포함한 각종 전기기가 안전하게 절연처리된 상태로 수납되어 있고, 전면에는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전반 내에 설치된 차단기는 동작위치인 인입위치와 비동작위치인 인출위치 사이에서 인,입출 구동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배전반에서 상기 차단기가 인입위치에 있을 때 도어가 열리면 고압의 전류에 의해 사용자 등에게 위험이 초래되므로 배전반에는 차단기가 인입위치에 있을 때 도어가 열리지 못하도록 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고압배전반의 구성은 모선실과 차단기실 및 케이블실로 이루어지고, 고압 전류의 통전은 상기 모선실가 부하측의 케이블 사이에 상기 차단실이 위치하여 부하측의 이상 전류발생시 차단기를 자동 또는 수동조작하여 부하측의 기기 및 인명을 보호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차단기내에는 높은 전압 및 전류가 통전되고 있기 때문에 조작자 및 사용자는 특별히 안전에 주의해야 하며, 상기 차단기의 이상 및 기타 다른 기기를 점검할 필요가 있을시에는 도어를 개방하여 유지보수 작업을 해야 하고, 이 때 조작자는 위험요소에 노출되기 때문에 반드시 상기 차단기를 개로(Open)시켜 안전한 위치(Isolated)로 이동시켜야 하는 것이다.
여기서,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압배전반의 차단기 투입위치 및 차단기 안전위치를 도 1과 도 2를 참조로 설명하면, 차단기(1)실 도어(10) 내측에 인터록 레버(20)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10)에는 상기 인터록 레버(20)와 체결되는 도어 록킹 바(30)가 고정설치되며, 상기 인터록 레버(20)는 상기 차단기(1)의 사이드측에 설치된다.
즉, 상기 차단기(1)의 투입위치에서는 차단기(1)가 통전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조작자는 차단기실의 도어(10)를 열지 못하도록 상기 인터록 레버(20)를 조작하여 도어(10)를 록킹시키며, 상기 차단기(1)의 안전위치에서는 차단기(1)가 개로된 상태로 안전위치까지 나온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인터록 레버(20)가 도어(10)의 록킹을 해제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인터록 레버(20)가 차단기실 내측에서 도어(10)와 차단기(1)의 안전위치 사이 공간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기 때문에 인터록 레버(20)의 동작시 자중에 의해 이탈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상기 도어(10)를 열었을 때 상기 인터록 레버(20)가 그대로 노출되어 안전사고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단기가 안전위치에 도달하여야만 차단기실 도어가 열릴 수 있게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배전반의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배전반의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는, 배전반의 차단기 베이스 상부에 설치되어 차단기 트럭의 위치에 따라 작동되는 리셋수단과, 상기 리셋수단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차단기 베이스 하부에 설치되어 리셋수단의 작동에 따라 밀리거나 당겨지도록 된 리셋바와, 상기 리셋바의 동작에 의해 상기 리셋수단과 연동됨과 동시에 상기 차단기 베이스를 중심으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도록 된 고정핀 및, 상기 배전반의 차단기 도어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핀의 상승시 고정핀과 체결됨으로써 차단기 도어를 록킹할 수 있도록 된 도어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리셋수단은 상기 차단기 베이스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이 고정 플레이트에 힌지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플레이트 및, 상기 리셋바의 일측 선단을 이루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접촉된 상태로 승하강되는 작동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리셋수단은 상기 차단기 트럭에 의해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눌리면서 상기 작동핀이 하강하고, 상기 차단기 트럭이 상기 리셋수단을 지나 인출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작동핀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승하도록 된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리셋바는 상기 리셋수단과 상기 고정핀이 연동되도록 와이어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차단기 베이스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 브라켓트에 지지되면서 상기 리벳바의 작동으로 승하강되는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도어 록킹수단은 상기 고정핀이 걸려져 고정되도록 그 선단부에 걸림홈이 형성된 록킹 플레이트와 이 록킹 플레이트의 후방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차단기 도어에 삽입고정되는 도어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도어 록킹수단은 상기 차단기 도어 외부에서 상기 도어록에 열쇠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고정핀에 상기 록킹 플레이트를 록킹 또는 록킹해제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의 배전반의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에 따르면, 차단기가 폐로되었을 때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도어 인터록장치가 와이어로 구성됨으로써 그 동작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인터록장치가 차단기실의 바닥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도어 오픈시 보이지 않아 배전반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압배전반 차단기의 투입위치에서의 구조를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압배전반 차단기의 안전위치에서의 구조를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에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의 차단기측 리셋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측 리셋수단이 록킹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의 도어측 고정핀 및 도어 록킹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의 록킹구조를 도시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의 록킹해제 구조를 도시한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의 도어 록킹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에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전반(100)의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200)는 배전반(100)의 차단기실(300)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배전반(100)에는 모선실(400), 차단기(310)가 설치된 차단기실(300), 상기 차단기실(300)에 설치되는 차단기 도어(320), 케이블실(500) 등이 설치되며, 상기 차단기실(300) 하측에 도어 인터록장치(200)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배전반(100)의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200)는 크게 리셋수단(210)과, 리셋바(220), 고정핀(230) 및, 도어 록킹수단(240)으로 구성되어 차단기(310)가 안전위치까지 인출되지 않으면 차단기실(300) 도어(320)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도어 인터록장치(200)의 리셋수단(210)은 상기 배전반(100)의 차단기 베이스 상부에 설치되어 차단기 트럭의 위치에 따라 작동되고, 상기 리셋바(220)는 상기 리셋수단(210)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차단기 베이스 하부에 설치되어 리셋수단(210)의 작동에 따라 밀리거나 당겨지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 인터록장치(200)의 고정핀(230)은 상기 리셋바(220)의 동작에 의해 상기 리셋수단(210)과 연동됨과 동시에 상기 차단기 베이스를 중심으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도록 된 것이고, 상기 도어 록킹수단(240)은 상기 배전반(100)의 차단기 도어(320)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핀(230)의 상승시 고정핀(230)과 체결됨으로써 차단기 도어(320)를 록킹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도어 인터록장치(200)는 상기 리셋바(220)를 중심으로 그 일측인 차단기(310)측은 상기 리셋수단(210)이 설치되어 상기 차단기 트럭의 위치에 따라 작동되고, 상기 리셋바(220)를 중심으로 그 타측인 상기 차단기 도어(320)측은 상기 고정핀(230) 및 도어 록킹수단(240)이 설치되어 고정핀(230)과 도어 록킹수단(240)의 체결을 통해 도어(320)의 열림을 방지하도록 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의 차단기측 리셋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측 리셋수단이 록킹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인터록장치(200)의 리셋수단(210)은 상기 차단기 베이스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211)와, 이 고정 플레이트(211)에 힌지핀(212)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플레이트(213) 및, 상기 리셋바(220)의 일측 선단을 이루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213)에 접촉된 상태로 승하강되는 작동핀(2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리셋수단(210)의 고정 플레이트(211)는 U자형의 판재로서 그 바닥부에 상기 작동핀(214)이 승하강가능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체결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211)의 상부에는 덮개형상을 갖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213)가 상기 힌지핀(21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 플레이트(213)는 상기 작동핀(214)의 상승 또는 하강을 통해 작동핀(214)과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즉, 상기 리셋수단(210)의 작동상태는 상기 차단기 트럭에 의해 상기 회전 플레이트(213)가 눌리면서 상기 작동핀(214)이 하강하고, 상기 차단기 트럭이 상기 리셋수단(210)을 지나 인출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작동핀(214)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승하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어 인터록장치(200)의 상기 리셋바(220)는 상기 리셋수단(210)과 상기 고정핀(230)이 연동되도록 와이어로 구성되는 바, 상기 리셋바(220)는 자전거의 브레이크 와이어 처럼 고무호스안에 철심이 내장되어 한쪽 끝에서 철심을 당기면 다른쪽 끝의 철심이 당겨오고, 한쪽 끝의 철심을 밀면 다른쪽 끝의 철심이 밀리는 구조를 이용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의 도어측 고정핀 및 도어 록킹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로 도어 인터록장치(200)의 도어(320)측 고정핀(230) 및 도어 록킹수단(240)을 설명하면, 상기 고정핀(230)은 상기 차단기 베이스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 브라켓트(231)에 지지되면서 상기 리셋바(220)의 작동으로 승하강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 브라켓트(231)는 U자형의 판재로서 그 바닥부에 상기 고정핀(230)이 승하강가능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체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어 인터록장치(200)의 도어 록킹수단(240)은 상기 고정핀(230)이 걸려져 고정되도록 그 선단부에 걸림홈(241a)이 형성된 록킹 플레이트(241)와, 상기 록킹 플레이트(241)의 후방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차단기 도어(320)에 삽입고정되는 도어록(2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록킹 플레이트(241)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230)이 상승하여 록킹 플레이트(241)의 걸림홈(241a)에 걸리게 되면 도어(320)가 록킹되어 그 열림을 방지하고, 반대로 상기 고정핀(230)이 하강하여 상기 록킹 플레이트(241)의 걸림홈(241a)을 벗어나면 도어(320)의 록킹이 해제되어 도어(320)를 열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의 록킹구조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의 록킹해제 구조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8과 도 9를 참조로 본 발명의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200)가 작동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상기 차단기 트럭(311)이 운전위치에 놓이게 되면 차단기(310)측의 상기 리셋수단(210)의 상기 회전 플레이트(213)가 눌리면서 상기 작동핀(214)이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어(320)측의 상기 고정핀(230)을 상승시켜 도어(320)에 설치된 상기 록킹 플레이트(241)에 결속되게 함으로써 차단기(310)실의 도어(320)를 록킹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차단기 트럭(311)이 인출상태에 놓이게 되면 차단기(310)측의 상기 작동핀(214)이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어(320)측의 상기 고정핀(230)이 하강하게 됨으로써 상기 록킹 플레이트(241)와 고정핀(230)의 결속이 해제되어 도어(320)의 열림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의 도어 록킹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로 상기 도어 록킹수단(240)을 설명하면, 상기 도어 록킹수단(240)은 상기 차단기 도어(320) 외부에서 상기 도어록(242)에 열쇠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고정핀(230)에 상기 록킹 플레이트(241)를 록킹 또는 록킹해제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차단기(310)가 운전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도어(320)의 열림이 불가능하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록킹 플레이트(241)를 도어(320) 외부에서 회전시켜 상기 고정핀(230)과 록킹 플레이트(241)의 결속을 임의로 해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어 록킹수단(240)은 상기 록킹 플레이트(241) 및 회전가능한 상기 도어록(242)으로 구성되어 차단기(310)실의 도어(320)에 설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록(242)에 열쇠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도어(320)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와이어 구조를 이용하여 도어 인터록장치(200)를 구성함으로써 차단기(310)의 작동시 도어(320) 열림으로 인한 안전사고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도어 인터록장치(200)의 기능이 향상되어 작동시 소음이나 고장을 최소화함으로써 배전반(100)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배전반 200...도어 인터록장치
210...리셋수단 211...고정 플레이트
212...힌지핀 213...회전 플레이트
214...작동핀 220...리셋바
230...고정핀 231...지지 브라켓트
240...도어 록킹수단 241...록킹 플레이트
241a...걸림홈 242...도어록
300...차단기실 310...차단기
311...차단기 트럭 320...도어
400...모선실 500...케이블실

Claims (7)

  1. 배전반의 차단기 베이스 상부에 설치되어 차단기 트럭의 위치에 따라 작동되는 리셋수단;
    상기 리셋수단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차단기 베이스 하부에 설치되어 리셋수단의 작동에 따라 밀리거나 당겨지도록 된 리셋바;
    상기 리셋바의 동작에 의해 상기 리셋수단과 연동됨과 동시에 상기 차단기 베이스를 중심으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도록 된 고정핀; 및
    상기 배전반의 차단기 도어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핀의 상승시 고정핀과 체결됨으로써 차단기 도어를 록킹할 수 있도록 된 도어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배전반의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수단은 상기 차단기 베이스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이 고정 플레이트에 힌지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플레이트 및, 상기 리셋바의 일측 선단을 이루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접촉된 상태로 승하강되는 작동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수단은 상기 차단기 트럭에 의해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눌리면서 상기 작동핀이 하강하고, 상기 차단기 트럭이 상기 리셋수단을 지나 인출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작동핀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승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바는 상기 리셋수단과 상기 고정핀이 연동되도록 와이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고정핀은 상기 차단기 베이스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 브라켓트에 지지되면서 상기 리벳바의 작동으로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록킹수단은 상기 고정핀이 걸려져 고정되도록 그 선단부에 걸림홈이 형성된 록킹 플레이트와, 이 록킹 플레이트의 후방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차단기 도어에 삽입고정되는 도어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록킹수단은 상기 차단기 도어 외부에서 상기 도어록에 열쇠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고정핀에 상기 록킹 플레이트를 록킹 또는 록킹해제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
KR1020100010918A 2010-02-05 2010-02-05 배전반의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 KR101126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918A KR101126941B1 (ko) 2010-02-05 2010-02-05 배전반의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918A KR101126941B1 (ko) 2010-02-05 2010-02-05 배전반의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205A true KR20110091205A (ko) 2011-08-11
KR101126941B1 KR101126941B1 (ko) 2012-03-20

Family

ID=44928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918A KR101126941B1 (ko) 2010-02-05 2010-02-05 배전반의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94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481B1 (ko) * 2013-07-08 2013-08-06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차단기와 단로기/접지개폐기 간의 인터록 연동장치
KR101503315B1 (ko) * 2013-11-11 2015-03-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케이스 외부 핸들조작장치
KR20160042337A (ko) 2014-10-08 2016-04-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KR20160043591A (ko) 2014-10-13 2016-04-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95816B (zh) * 2013-06-21 2015-02-04 无锡中科电气设备有限公司 防误操作柜体机械联锁装置
CN103474895B (zh) * 2013-08-31 2015-07-01 山东亿阳电工有限公司 开关柜防带接地开关操作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6410A (ja) 1997-07-28 1999-02-16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設備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481B1 (ko) * 2013-07-08 2013-08-06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차단기와 단로기/접지개폐기 간의 인터록 연동장치
KR101503315B1 (ko) * 2013-11-11 2015-03-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케이스 외부 핸들조작장치
US9548171B2 (en) 2013-11-11 2017-01-17 Lsis Co., Ltd. Switchboard
KR20160042337A (ko) 2014-10-08 2016-04-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KR20160043591A (ko) 2014-10-13 2016-04-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6941B1 (ko) 201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941B1 (ko) 배전반의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
US10292290B2 (en) Coordinating installation and connection of a motor control center subunit having moveable line contacts
US7688572B2 (en) Motor control center subunit having moveable line contacts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1068757B1 (ko)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KR101078955B1 (ko)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EP2498354B1 (en) Interlock device of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and power distribution board
KR100576952B1 (ko) 전기 기구 모듈용 로킹 장치를 구비한 저전압 스위치 기어
CN102543511B (zh) 互锁装置和包括该互锁装置的电气柜
CN108831779B (zh) 一种真空负荷开关柜联锁装置
CN108735543A (zh) 一种三工位隔离开关
CN205645604U (zh) 一种高压开关柜防误操作装置
KR101756726B1 (ko) 비상 인터록 해제장치가 구비된 배전반의 도어 잠금장치
JP5338961B2 (ja) 配電盤
KR20170036935A (ko)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장치
KR20170003662U (ko) 배전반의 핸들 인터록 장치
CN105932587A (zh) 一种直流快速断路器手车
EP2482399B1 (en) Interlocks for withdrawable circuit breakers
KR101650698B1 (ko)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CN105781265B (zh) 一种户内电磁锁
KR101305103B1 (ko) 배전반의 차단기, 변압기 또는 계기용 변압변류기와 도어 인터록장치
KR101650697B1 (ko)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CN210598512U (zh) 一种用于电气柜的联锁机构
CN202872239U (zh) 高压柜加装闭锁
CN205656981U (zh) 一种配置程序联锁装置的接地开关
JP5338122B2 (ja) 配電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