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0208A - 개폐문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폐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0208A
KR20110090208A KR1020100009862A KR20100009862A KR20110090208A KR 20110090208 A KR20110090208 A KR 20110090208A KR 1020100009862 A KR1020100009862 A KR 1020100009862A KR 20100009862 A KR20100009862 A KR 20100009862A KR 20110090208 A KR20110090208 A KR 20110090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opening
closing door
fixed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4528B1 (ko
Inventor
장혁수
Original Assignee
장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혁수 filed Critical 장혁수
Priority to KR1020100009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528B1/ko
Publication of KR20110090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0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7/215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with sealing strip being moved to a retracted position by elastic means, e.g.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2015/0695Magnetic suspension or suppor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6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2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문프레임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이 문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문틀을 개폐하도록 된 개폐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문틀의 수평부에 고정되며, 마그네틱과 자성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개폐문프레임의 수평부에 장착되어 문틀 수평부와 개폐문프레임 수평부사이의 틈새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도록 된 밀착부재와; 상기 개폐문프레임 일단이 폐쇄되어 문틀의 수직부에 접할 때, 고정부재의 상부선상 또는 하부선상에 대응배치되도록 밀착부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서로 이격되게 부착고정되며, 마그네틱과 자성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승하강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개폐문프레임의 내, 외측의 공기 및 소음 등이 가이드레일과 개폐문프레임의 하단 또는 상단 및 개폐문프레임과 개폐문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유통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게 하여 난방비 또는 냉방비의 손실을 예방할 수 있으며, 외부의 각종 소음이 차단될 수 있게 하는 개폐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폐문 시스템{Window system}
본 발명은 개폐문프레임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이 문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개폐문을 개폐하도록 된 개폐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폐문 외측의 공기 및 소음 등이 가이드레일과 개폐문프레임의 하단 또는 상단 및 개폐문프레임과 개폐문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유통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게 하여 난방비 또는 냉방비의 손실을 예방할 수 있으며, 외부의 각종 소음이 차단될 수 있게 하는 개폐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폐문 시스템(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10a)의 상단 하부면과 하단 상부면에 각각 가이드레일(1) 한 쌍이 하향 또는 상향으로 돌출성형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레일(1)을 따라 개폐문프레임(2)이 슬라이딩되어 개폐문 시스템(10)을 개폐할 수 있게 된 구성이다.
상기한 개폐문 시스템(10)은 미닫이식이라고 하며, 이러한 미닫이식에서는 개폐문프레임(2)의 원활한 슬라이딩을 위하여 개폐문프레임(2)의 하단 또는 상단에 각각 가이드홈(3)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홈(3)의 내측에는 바퀴(도시하지 않음)를 결합시켜 원활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아울러, 상기 바퀴가 외부로 돌출되어 미관을 해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개폐문프레임(2)을 기립보관 및 적재할 때, 바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개폐문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가이드홈(3)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홈(3) 내측에 바퀴를 설치하여 바퀴가 은폐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개폐문 시스템(10)에서는 가이드레일(1)에 바퀴가 굴러가는 구름접촉방식을 채택하였기 때문에 도 1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바퀴와 가이드레일(1)과 개폐문 프레임(2) 사이에 이격공간 또는 틈새가 형성될 수밖에 없었으며, 도 2에 도시된 개폐문프레임(2)과 개폐문프레임(2) 사이에 형성된 틈새(A)를 통하여 실내에서 냉, 난방기구를 가동하여 냉, 난방을 하여도 열손실이 크며, 이에 따라, 냉, 난방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개인 사생활이 중요 시 되고 있는 요즈음에는 이러한 틈새들을 통하여 외부의 소음이 실내에서도 들리거나, 실내의 소음이 외부에서도 들리게 되므로 사생활 보호에도 큰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개폐문 시스템(10)에서 존재할 수밖에 없는 이격공간 및 틈새를 최소화하고 완전 차단함으로써, 냉, 난방 시 열손실을 최소화하며, 소음을 차단하여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게 하는 개폐문 시스템이 요구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가이드홈 내측의 바퀴와 가이드레일의 구름접촉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폐쇄 시 개폐문프레임의 내외측이 완벽하게 차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음의 차단은 물론 개폐문의 내, 외기가 서로 유통하는 것을 방지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개폐문프레임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이 문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문틀을 개폐하도록 된 개폐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문틀의 수평부에 고정되며, 마그네틱과 자성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개폐문프레임의 수평부에 장착되어 문틀 수평부와 개폐문프레임 수평부사이의 틈새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도록 된 밀착부재와; 상기 개폐문프레임 일단이 폐쇄되어 문틀의 수직부에 접할 때, 고정부재의 상부선상 또는 하부선상에 대응배치되도록 밀착부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서로 이격되게 부착고정되며, 마그네틱과 자성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승하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개폐문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승하강부재가 내측 하단에 부착고정되고, '┌┐'또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측면에 주름부가 형성된 밀폐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승하강부재가 내측 하단에 부착고정되고, 중공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측면에 주름부가 형성된 밀폐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의 내측 하단에 비철금속의 승하강플레이트를 결합시키고, 이 승하강플레이트와 밀착부재의 내측 상단 또는 개폐문프레임의 수평부에 각각 결합고정되어 승하강부재와 고정부재가 서로 상부선상 또는 하부선상에서 위치에서 이탈할 때 승하강부재 및 승하강플레이트를 문틀의 수평부로부터 이격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승하강부재가 개폐문프레임 내부에 매립 또는 은폐되도록 고정되거나 문틀의 수평부와 맞닿는 노출부에 매립 또는 은폐되도록 부착고정되며, 노출부의 반대편 끝단인 은폐부의 연주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출몰부재와; 상기 출몰부재를 수용하며, 걸림턱이 내측의 받침턱에 걸려지게 하여 출몰부재와 개폐문프레임간에 밀폐와 탈리가 이루어지지 않게 하는 하부 개방형 케이싱과; 상기 출몰부재의 은폐부 끝단과 케이싱 내측 끝단에 각각 결합고정되어 노출부의 승하강부재와 고정부재간의 인력이 약해지면 출몰부재를 문틀의 수평부로부터 이격시키도록 된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문프레임이 폐쇄되었을 때 상부선상 또는 하부선상에 위치하는 승하강부재와 고정부재가 서로 마그네틱일 경우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을 설정하고, 개폐문프레임이 개방되면서 상부선상 또는 하부선상에 위치하게 될 승하강부재와 고정부재사이에는 서로 척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 양측 또는 일측에 배치되는 승하강부재와 고정부재가 마그네틱일 경우 서로 인접되지 않도록 이격시키되, 마그네틱으로 이루어진 승강부재와 고정부재가 가이드레일 양측에 배치될 경우 서로 척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은, 개폐문프레임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이 문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문틀을 개폐하도록 된 개폐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문틀의 수평부에 고정되며, 마그네틱과 자성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개폐문프레임의 수평부에 장착되어 문틀 수평부와 개폐문프레임 수평부사이의 틈새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도록 된 밀착부재 및 ; 상기 밀착부재는, 중공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측면에 주름부가 형성 밀폐부와; 상향 돌출된 다수 개의 고정간에 의해 밀폐부의 내측에서 문틀의 수평부와 평행되도록 고정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밀폐부의 하단에 마련되며,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승하강플레이트와; 상기 회전축에서 회전가능토록 일단이 끼워지며 타단은 승하강플레이트에 비스듬하게 걸쳐지는 마그네틱 또는 자성체로 구성되며, 개폐문프레임 일단이 폐쇄되어 문틀의 수직부에 접할 때, 고정부재와 상부선상 또는 하부선상에 배치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문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 양측 또는 일측에 배치되는 회전부재 또는 고정부재가 마그네틱일 경우 서로 인접되지 않도록 수평방향으로 이격시키되, 마그네틱으로 이루어진 회전부재와 고정부재가 가이드레일 양측에 배치될 경우 가이드레일 일측 회전부재와 가이드레일 타측 고정부재가 자력에 영향받지 않도록 어긋나게 배치하거나 척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에 감겨지며 일단은 회전축에 고정되고 타단은 회전부재에 고정되어 개폐문 폐쇄 시 자력에 의해 회전부재가 고정부재를 향하여 회전한 후, 개폐문프레임이 개방되면 승하강플레이트가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복원력을 승하강플레이트에 작용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은, 개폐문프레임의 수평부가 문틀의 수평부 또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직선형 또는 원호형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문틀을 개폐하도록 된 개폐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문틀의 수평부에 고정되며, 마그네틱과 자성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개폐문프레임의 수평부에 장착되어 개폐문프레임이 개폐될 때, 개폐문프레임의 수평부에서 각각 바닥면과 문틀의 수평부에서 분리되거나 밀착되면서 개폐문프레임의 수평부와 문틀의 수평부사이 및 개폐문프레임의 수평부와 바닥면의 틈새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도록 된 밀착부재와; 상기 개폐문프레임 일단이 폐쇄되어 문틀의 수직부에 접할 때, 고정부재의 상부선상 또는 하부선상에 대응배치되도록 밀착부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서로 이격되게 부착고정되며, 마그네틱과 자성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승하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개폐문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승하강부재가 내측 하단에 부착고정되고, '┌┐'또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측면에 주름부가 형성된 밀폐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승하강부재가 내측 하단에 부착고정되고, 중공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측면에 주름부가 형성된 밀폐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의 내측 하단에 비철금속의 승하강플레이트를 결합시키고, 이 승하강플레이트와 밀착부재의 내측 상단 또는 개폐문프레임의 수평부에 각각 결합고정되어 승하강부재와 고정부재가 서로 상부선상 또는 하부선상에서 위치에서 이탈할 때 승하강부재 및 승하강플레이트를 문틀의 수평부로부터 이격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승하강부재가 문틀의 수평부와 맞닿는 노출부에 매립 또는 은폐되도록 부착고정되며, 노출부의 반대편 끝단인 은폐부의 연주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출몰부재와; 상기 출몰부재를 수용하며, 걸림턱이 내측의 받침턱에 걸려지게 하여 출몰부재가 탈리되지 않게 하는 하부 개방형 케이싱과; 상기 출몰부재의 은폐부 끝단과 케이싱 내측 끝단에 각각 결합고정되어 노출부의 승하강부재와 고정부재간의 인력이 약해지면 출몰부재를 문틀의 수평부로부터 이격시키도록 된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폐문프레임이 폐쇄되었을 때 상부선상 또는 하부선상에 위치하는 승하강부재와 고정부재가 서로 마그네틱일 경우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을 설정하고, 개폐문프레임이 개방되면서 상부선상 또는 하부선상에 위치하게 될 승하강부재와 고정부재사이에는 서로 척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은, 개폐문프레임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이 문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문틀을 개폐하도록 된 개폐문 시스템에 있어서, 평행으로 서로 인접하는 개폐문프레임의 일단 측면과 타단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개폐문프레임이 개폐될 때, 서로 분리되거나 밀착되며, 신축성을 가지는 연질성의 중공된 밀착부재와; 상기 개폐문프레임이 개폐될 때, 밀착부재가 평행 인접한 개폐문프레임의 일단 측면과 타단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리되거나 탈착되게 하기 위한 밀착부재의 탈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문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밀착부재의 탈착수단은, 상기 밀착부재의 내측 일단 또는 타단에 마련되며,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탈착플레이트와; 상기 탈착플레이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고정되며 마그네틱과 철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탈착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선 상의 위치에 배치된 탈착부재가 서로 마그네틱일 경우, 서로 인력이 작용되도록 극성이 설정된다.
본 발명은 개폐문프레임의 상, 하단에 각각 신축성을 가지는 연질의 밀착부재가 부착되어 개폐문프레임의 폐쇄 시 밀착부재의 내측에 장착된 승하강부재와 문틀의 수평부에 설치된 고정부재가 서로 인력이 작용하게 함으로써, 밀착부재가 문틀의 수평부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개폐문프레임 내, 외측으로 공기 및 소음이 유통할 수 있는 경로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열손실 최소화에 따른 냉,난방비 절약효과와, 소음차단에 의한 개인생활의 보호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개폐문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절결 사시도.
도 2는 종래 개폐문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개폐문 시스템의 구조 및 개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개폐문 시스템의 구조 및 폐쇄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도 3의 요부 확대도면.
도 6은 도 4의 요부 확대도면.
도 7은 본 발명 제1, 제3실시예에 따른 개폐문 시스템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 작용도.
도 8은 본 발명 제1, 제3실시예에 따른 개폐문 시스템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 작용도.
도 9는 본 발명 제2, 제3실시예에 따른 개폐문 시스템의 구조 및 개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
도 10은 본 발명 제2, 제3실시예에 따른 개폐문 시스템의 구조 및 폐쇄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1은 도 9의 요부 확대도면.
도 12는 도 10의 요부 확대도면.
도 13은 본 발명 제2, 제3실시예에 따른 개폐문 시스템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 작용도.
도 14는 본 발명 제2, 제3실시예에 따른 개폐문 시스템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 작용도.
도 15는 본 발명 제4실시예에 따른 개폐문 시스템의 구조 및 개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 제4실시예에 따른 개폐문 시스템의 구조 및 폐쇄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 제4실시예에 따른 개폐문 시스템의 구조 및 개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 제4실시예에 따른 개폐문 시스템의 구조 및 폐쇄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개폐문프레임(101)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02)이 문틀(10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03)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문틀(100)을 폐쇄할 때는 개폐문프레임(101)의 수평부(즉, 개폐문프레임(101)의 상단과 하단)에 설치된 밀착부재(110)가 문틀(100)의 수평부(즉, 문틀(100)의 상부와 하부)에 밀착되게 하여 그 틈새가 이격되게 하거나 밀폐되게 한 것으로서, 그 구조 및 작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개폐문 시스템의 구조 및 개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개폐문 시스템의 구조 및 폐쇄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요부 확대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요부 확대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개폐문 시스템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 작용도이며, 도 8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개폐문 시스템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 작용도이다.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은 개폐문프레임(101)의 수평부 중 하단만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개폐문프레임(101) 하단구조의 설명으로 개폐문프레임(101) 상단 구조를 대체하기로 한다.
상기한 설명은 개폐문프레임(101) 하단구조와 개폐문프레임(101) 상단구조가 서로 대칭된 구조이며, 그 작용효과도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을 배제함으로써, 좀 더 간결한 설명과 이해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즉,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문프레임(101)의 수평부(하단)에는 밀착부재(110)가 조립 또는 설치되며, 이 밀착부재(110)는 마그네틱에 의한 자력에 의해 하강되었다가 승강되는 작용을 하며, 이하에서는, 좀 더 구체적인 구성과 구조 및 작용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문틀(100)의 수평부(100a)에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체 또는 마그네틱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고정부재(112)를 설치하되, 문틀(100)의 수평부(100a)가 비교적 얇기 때문에 그 하부에 도 3, 도 4,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12)를 부착하거나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들 고정부재(112)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하되, 가이드레일(103) 양측으로 배치되는 고정부재(112)사이에는 서로 척력이 작용되도록 극성을 설정하거나, 가이드레일(103)을 사이에 두고 자력에 영향받지 않도록 엇갈리게 이격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개폐문프레임(101)이 개폐될 때, 개폐문프레임(101) 하부에 고정된 밀착부재(110)가 문틀(100)의 수평부(100a)에서 분리되거나 밀착되도록 하는 바, 밀착부재(110)가 개폐문프레임(101)의 하단에 조립되는 구조는 단순 접착 또는 부착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며, 나사못을 체결시켜 결합시킬 수도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조립구조는 통상적으로 다양한 방법을 채택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상기한 밀착부재(110)를 개폐문프레임(101)에 조립하는 구조에 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밀착부재(110)의 하부에는 개폐문프레임(101)이 폐쇄되었을 때, 상기 고정부재(112)와 하부선상 또는 상부선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인력에 의하여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승하강부재(111)가 부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 밀착부재(110)에 대하여 각 실시예별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착부재(110)는, 상기 승하강부재(111)가 내측 하단에 부착고정되고, 중공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측면에 주름부(110a)가 형성된 밀폐부(120)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승하강부재(111)와 고정부재(112)가 상부선상 또는 하부선상에 위치하여 자력에 영향을 받게 되면, 인력에 의하여 승하강부재(111) 및 밀폐부(120)의 주름부(110a)가 펼쳐지면서 하부가 고정부재(112)에 밀착되며, 개폐문프레임(101)이 개방되면서 상기 승하강부재(111)와 고정부재(112)가 상부선상 또는 하부선상의 위치에서 이탈하게 되면 자력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주름부(110a)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밀폐부(120)의 하부는 문틀(100)의 수평부(100a)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밀착부재(110)의 제2실시예는, 상기 승하강부재(111)가 내측 하단에 부착고정되고, 상기 승하강부재(111)가 내측 하단에 부착고정되고, 단지, '┌┐'또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그 차이가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재(112)는, 상기 개폐문프레임(101)이 폐쇄되어 문틀(100)의 수직부(101a)에 개폐문프레임(101)의 수직부(101a)가 접할 때, 승하강부재(111)의 하부선상에 대응배치되도록 위치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문프레임(101)의 수직부(101a)가 문틀(100)의 수직부(101a)에 맞닿게 되면, 고정부재(112)가 승하강부재(111)의 하부에 위치되고, 이때, 고정부재(112)와 승하강부재(1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마그네틱이므로 서로 인력이 작용하게 되고, 여기서, 고정부재(112)는 문틀(100)의 수평부(100a)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승하강부재(111)가 밀폐부(120)의 주름(110a)이 펴지면서서 밀폐부(120)의 하단이 하강하여 고정부재(112)에 부착됨으로써, 밀폐부(120)의 하단이 문틀(100)의 수평부(100a)에 밀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승하강부재(111)와 고정부재(112)가 서로 똑같은 마그네틱으로 구성될 경우 서로 인력이 작용되도록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N극과 S극이 서로 마주볼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아울러, 상기 개폐문프레임(101)이 개방될 때에는 고정부재(112)에 승하강부재(111)가 자력으로 부착된 상태이므로 밀폐부(120)가 슬라이딩되면서 승하강부재(111)와 고정부재(112)는 서로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부재(111)와 고정부재(112)는 개폐문프레임 개폐 시 배치조건에 따라서 교차해서 겹쳐질 수 있다. 즉, 상기 개폐문프레임(101)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인접한 위치에 있는 고정부재(112)의 상부에 승하강부재(111)가 위치하면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개폐문프레임(101)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하부에 위치하는 승하강부재(111)와 고정부재(112)는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을 도 6, 도 8과 같이 배치하되, 이 위치에서 개폐문프레임(101)의 양측 최외곽에 위치한 승하강부재(111)와 고정부재(112)는 극성설정이 동일하게 하면서 내측에 배치되는 승하강부재(111)와 고정부재(112)는 극성이 서로 반대되도록 하면서 서로 인력이 작용되도록 극성을 설정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문프레임(101) 개방 시 상하부로 위치하는 승하강부재(111)와 고정부재(112)는 서로 척력이 작용하여 이격되므로, 개폐문프레임(101) 개방 시 승하강부재(111)와 고정부재(112)가 서로 인력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개폐문 시스템의 구조 및 개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개폐문 시스템의 구조 및 폐쇄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9의 요부 확대도면이고, 도 12는 도 10의 요부 확대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개폐문 시스템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 작용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개폐문 시스템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 작용도이다.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구성에서 승하강부재(111)와 고정부재(112)사이에 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즉, 개폐문프레임(101)이 개방될 때 밀폐부(120)이 좀 더 수월하게 문틀(100)의 수평부(100a)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기 위하여 탄성부재를 추가적으로 구성한 것이다.
즉, 도 9,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부재(110)의 내측 하부에는 승하강플레이트(114)를 고정시켜 밀폐부(120)의 하단이 승하강부재(111)와 고정부재(112)의 자력으로 부착될 때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문틀(100)의 수평부(100a)에 밀착되도록 하고, 오랜 사용에도 재질적 변형에 의한 들뜸 및 뒤틀림현상 등이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승하강플레이트(114)와 밀폐부(120)의 하단에는 탄성부재(115)를 설치하여 이 탄성부재(115)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도 10, 도 12, 도 14와 같이 하부 밀폐부(120)의 하단이 문틀(100)의 수평부(100a)에 밀착된 상태에서 개폐문프레임(101)이 개방될 때 더욱 신속하게 문틀(100)의 수평부(100a)로부터 분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여기서, 도 9,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도 14의 밀폐부(120) 내측 상부에는 고정플레이트(116)가 도시되었으나, 이 고정플레이트(116)는 탄성부재(115)를 개폐문프레임(101) 하단에 직접적으로 설치하기 불편할 경우, 고정플레이트(116)에 탄성부재(115)를 설치하여 고정플레이트(116)를 개폐문프레임(101) 또는 밀폐부(120)의 내측 상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제3실시예에서의 승하강부재(111)와 고정부재(112)의 극성배치 또는 설정은 상기한 제1,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는 도 15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제1, 제2, 제3실시예와 제4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상기 개폐문프레임(101) 하단에 장착되는 밀착부재(110)에 있는 바,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제4실시예에서의 밀착부재(110)의 구성은, 상기 개폐문프레임(101)의 하단에는 하부 개방형 케이싱(121)이 결합되며, 이 케이싱(121)의 내측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받침턱(121a)이 형성되며, 하술하게 될 출몰부재(122)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출몰부재(122)는, 문틀(100)의 수평부(100a)와 맞닿는 노출부(122a)에 상기 승하강부재(111)가 매립 또는 은폐되도록 부착고정되며, 노출부(122a)의 반대편 끝단인 은폐부(122b)의 연주부에 걸림턱(122c)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17,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은폐부(122b)는 케이싱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이때, 상기 걸림턱(122c)이 받침턱(121a)에 간섭되어 케이싱(121)의 하부로 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출몰부재(122)의 은폐부 끝단과 케이싱 내측 끝단에는 탄성부재(115)의 양단을 결합고정시켜 노출부(122a)의 승하강부재(111)와 고정부재(112)간의 인력이 약해지면 출몰부재(122)를 문틀(100)의 수평부(100a)로부터 탄성복원되게 한다.
즉, 개폐문프레임(101)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노출부(122a)의 승하강부재(111)와 고정부재(112) 사이에서 자력에 의한 인력이 미미하거나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탄성부재(115)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출몰부재(122)가 도 17과 같이 상부로 승강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때, 문틀(100)의 수평부(100a)와 출몰부재(122)의 노출부(122a) 사이는 이격된 상태를 갖게 된다.
반대로, 상기 개폐문프레임(101)이 폐쇄되면, 승하강부재(111)와 고정부재(112)가 서로 상하부선상에 위치하게 되고, 이때, 자기력에 의한 인력에 의하여 승하강부재(111)가 하강하면서 노출부(122a)가 문틀(100)의 수평부(100a)에 밀착되게 하는 것이며, 이와 동시에, 출몰부재(122)는 탄성부재(115)를 팽창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개폐문프레임(101)이 개방됨과 동시에 승하강부재(111)와 고정부재(112)의 인력이 감소하면 탄성부재(115)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출몰부재(122)가 승강하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는 도 15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제5실시예의 밀착부재(110)는, 밀폐부(120) 내측에 회전축(117)을 고정하되, 이 회전축(117)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고정간(117a)이 개폐문프레임(101)의 하단에 고정되게 하여 회전축(117)이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부(120) 상, 하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117)도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플레이트(116)에 고정설치한 후 고정플레이트(116)를 개폐문프레임(101)의 하단에 고정하는 방식을 채택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밀폐부(120)의 내측 하단에는 승하강플레이트(114)를 설치하여 하술하게 될 회전부재(118)의 회전 시 승하강플레이트(114a)가 밀폐부(120)의 하단 전체를 하강시키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118)는 마그네틱과 자성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이며, 회전축(117)에 일단을 도 15와 같이 끼우되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회전축(117)에는 다수 개의 회전부재(118)를 끼우되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배치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폐문프레임(101) 일단이 폐쇄되어 문틀(100)의 수직부(101a)에 접할 때, 고정부재(112)가 회전부재(118)와 상, 하부선상에 대응배치되도록 문틀(100)의 수평부(100a)에는 제1, 제2, 제3실시예와 같이 고정부재(112)를 문틀(100)의 수평부(100a)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상기 개폐문프레임(101)이 폐쇄되면, 회전부재(118)의 하부선상에 고정부재(112)가 위치되고, 이때, 회전부재(118)는 회전축(117)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향으로 회동하는 회전부재(118)는 승하강플레이트(114)를 하향가압하게 됨으로써, 승하강플레이트(114)가 하강하면서 밀폐부(130b)의 하단이 문틀(100)의 수평부(100a)에 밀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개폐문프레임(101)이 개방되면, 회전부재(118)와 고정부재(112)가 슬라이딩 이격되면서 밀폐부(120)의 자체적인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밀폐부(120)와 승하강플레이트(114)와 함께 승강하고, 이때, 회전부재(118)는 원위치로 회동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밀폐부(120)의 탄성복원력과 승하강플레이트(114)의 승강운동을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달팽이 모양으로 감겨진 판상의 탄성부재(도시하지 않음)의 일단은 회전축(117)에 고정시키고, 타단은 회전부재(118)에 고정시켜 자력에 의한 하향회동 시에는 달팽이 모양이 감겨지게 하여 탄성압축이 작용하게 하고, 자력의 영향이 미치지 않는 곳에서는 탄성부재가 복원되면서 회전부재(118)의 상향회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제5실시예에서의 승하강부재(111)와 고정부재(112)의 극성배치 또는 설정도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평행인접한 개폐문프레임(101)의 일단 측면과 타단 측면에 발생하는 틈새가 개폐문프레임(101) 폐쇄 시 차단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폐문 시스템을 제공한다.
즉, 평행으로 서로 인접하는 개폐문프레임(101)의 일단 측면과 타단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신축성을 가지는 연질성의 중공된 측면밀착부재(130)를 부착 또는 조립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측면밀착부재(130)는 상기한 밀착부재(110)와 구성이 동일하나 개폐문프레임(101)의 하단이 아닌 측면에 수직으로 기립고정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그 구조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개폐문프레(101)임이 개폐될 때, 측면밀착부재(130)가 평행 인접한 개폐문프레임(101)의 일단 측면과 타단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리되거나 탈착되게 하기 위한 측면밀착부재의 탈착수단을 제공하는 바, 상기한 측면밀착부재의 탈착수단은, 상기 측면밀착부재(130)의 내측 일단 또는 타단에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탈착플레이트(131)를 고정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탈착플레이트(131)에는 다수 개의 탈착부재(132)가 수직방향으로 이격되게 고정되며, 이 탈착부재(132)는 마그네틱과 자성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여기서, 수평선 상의 위치에 평행인접하게 배치된 탈착부재(132)가 서로 마그네틱일 경우, 서로 인력이 작용되도록 극성을 설정한다.
따라서, 상기 개폐문프레임(101)의 수직부(101b)가 문틀(100)의 수직부(100b)에 접하면 개폐문프레임(101)의 측면에 고정된 측면밀착부재(130)가 서로 맛닿거나 근접하게 되며, 이때, 측면밀착부재(130)의 내측에 설치된 탈착부재(132)에 서로 인력이 작용하게 되어 측면밀착부재(130)가 서로 완벽하게 밀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반면에, 상기 개폐문프레임(101)이 개방될 때에는 개폐문프레임(101)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기 때문에 개폐문프레임(101)이 슬라이딩되는 힘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분리되어지는 것이다.
100 : 문틀 101 : 개폐문프레임
102 : 가이드홈 103 : 가이드레일
110 : 밀착부재 111 : 승하강부재
112 : 고정부재 113 : 커버부재
114 : 승하강플레이트 115 : 탄성부재
116 : 고정플레이트 117 : 회전축
118 : 회전부재 120 : 밀폐부
121 : 케이싱 122 : 출몰부재

Claims (20)

  1. 개폐문프레임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이 문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문틀을 개폐하도록 된 개폐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문틀의 수평부에 고정되며, 마그네틱과 자성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개폐문프레임의 수평부에 장착되어 문틀 수평부와 개폐문프레임 수평부사이의 틈새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도록 된 밀착부재와;
    상기 개폐문프레임 일단이 폐쇄되어 문틀의 수직부에 접할 때, 고정부재의 상부선상 또는 하부선상에 대응배치되도록 밀착부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서로 이격되게 부착고정되며, 마그네틱과 자성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승하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개폐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승하강부재가 내측 하단에 부착고정되고, '┌┐'또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측면에 주름부가 형성된 밀폐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문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승하강부재가 내측 하단에 부착고정되고, 중공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측면에 주름부가 형성된 밀폐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문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의 내측 하단에 비철금속의 승하강플레이트를 결합시키고, 이 승하강플레이트와 밀착부재의 내측 상단 또는 개폐문프레임의 수평부에 각각 결합고정되어 승하강부재와 고정부재가 서로 상부선상 또는 하부선상에서 위치에서 이탈할 때 승하강부재 및 승하강플레이트를 문틀의 수평부로부터 이격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문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승하강부재가 개폐문프레임 내부에 매립 또는 은폐되도록 고정되거나 문틀의 수평부와 맞닿는 노출부에 매립 또는 은폐되도록 부착고정되며, 노출부의 반대편 끝단인 은폐부의 연주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출몰부재와;
    상기 출몰부재를 수용하며, 걸림턱이 내측의 받침턱에 걸려지게 하여 출몰부재와 개폐문프레임간에 밀폐와 탈리가 이루어지지 않게 하는 하부 개방형 케이싱과;
    상기 출몰부재의 은폐부 끝단과 케이싱 내측 끝단에 각각 결합고정되어 노출부의 승하강부재와 고정부재간의 인력이 약해지면 출몰부재를 문틀의 수평부로부터 이격시키도록 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문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프레임이 폐쇄되었을 때 상부선상 또는 하부선상에 위치하는 승하강부재와 고정부재가 서로 마그네틱일 경우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을 설정하고, 개폐문프레임이 개방되면서 상부선상 또는 하부선상에 위치하게 될 승하강부재와 고정부재사이에는 서로 척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문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 양측 또는 일측에 배치되는 승하강부재와 고정부재가 마그네틱일 경우 서로 인접되지 않도록 이격시키되, 마그네틱으로 이루어진 승강부재와 고정부재가 가이드레일 양측에 배치될 경우 서로 척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문 시스템.
  8. 개폐문프레임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이 문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문틀을 개폐하도록 된 개폐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문틀의 수평부에 고정되며, 마그네틱과 자성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개폐문프레임의 수평부에 장착되어 문틀 수평부와 개폐문프레임 수평부사이의 틈새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도록 된 밀착부재 및 ;
    상기 밀착부재는,
    중공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측면에 주름부가 형성 밀폐부와;
    상향 돌출된 다수 개의 고정간에 의해 밀폐부의 내측에서 문틀의 수평부와 평행되도록 고정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밀폐부의 하단에 마련되며,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승하강플레이트와;
    상기 회전축에서 회전가능토록 일단이 끼워지며 타단은 승하강플레이트에 비스듬하게 걸쳐지는 마그네틱 또는 자성체로 구성되며, 개폐문프레임 일단이 폐쇄되어 문틀의 수직부에 접할 때, 고정부재와 상부선상 또는 하부선상에 배치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문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프레임이 폐쇄되었을 때 상부선상 또는 하부선상에 위치하는 회전부재와 고정부재가 서로 마그네틱일 경우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을 설정하고, 개폐문프레임이 개방되면서 상부선상 또는 하부선상에 위치하게 될 회전부재와 고정부재사이에는 서로 척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문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 양측 또는 일측에 배치되는 회전부재 또는 고정부재가 마그네틱일 경우 서로 인접되지 않도록 수평방향으로 이격시키되, 마그네틱으로 이루어진 회전부재와 고정부재가 가이드레일 양측에 배치될 경우 가이드레일 일측 회전부재와 가이드레일 타측 고정부재가 자력에 영향받지 않도록 어긋나게 배치하거나 척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을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문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감겨지며 일단은 회전축에 고정되고 타단은 회전부재에 고정되어 개폐문 폐쇄 시 자력에 의해 회전부재가 고정부재를 향하여 회전한 후, 개폐문프레임이 개방되면 승하강플레이트가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복원력을 승하강플레이트에 작용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문 시스템.
  12. 개폐문프레임의 수평부가 문틀의 수평부 또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직선형 또는 원호형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문틀을 개폐하도록 된 개폐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문틀의 수평부에 고정되며, 마그네틱과 자성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개폐문프레임의 수평부에 장착되어 개폐문프레임이 개폐될 때, 개폐문프레임의 수평부에서 각각 바닥면과 문틀의 수평부에서 분리되거나 밀착되면서 개폐문프레임의 수평부와 문틀의 수평부사이 및 개폐문프레임의 수평부와 바닥면의 틈새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도록 된 밀착부재와;
    상기 개폐문프레임 일단이 폐쇄되어 문틀의 수직부에 접할 때, 고정부재의 상부선상 또는 하부선상에 대응배치되도록 밀착부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서로 이격되게 부착고정되며, 마그네틱과 자성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 승하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개폐문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승하강부재가 내측 하단에 부착고정되고, '┌┐'또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측면에 주름부가 형성된 밀폐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문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승하강부재가 내측 하단에 부착고정되고, 중공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측면에 주름부가 형성된 밀폐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문 시스템.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의 내측 하단에 비철금속의 승하강플레이트를 결합시키고, 이 승하강플레이트와 밀착부재의 내측 상단 또는 개폐문프레임의 수평부에 각각 결합고정되어 승하강부재와 고정부재가 서로 상부선상 또는 하부선상에서 위치에서 이탈할 때 승하강부재 및 승하강플레이트를 문틀의 수평부로부터 이격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문 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승하강부재가 문틀의 수평부와 맞닿는 노출부에 매립 또는 은폐되도록 부착고정되며, 노출부의 반대편 끝단인 은폐부의 연주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출몰부재와;
    상기 출몰부재를 수용하며, 걸림턱이 내측의 받침턱에 걸려지게 하여 출몰부재가 탈리되지 않게 하는 하부 개방형 케이싱과;
    상기 출몰부재의 은폐부 끝단과 케이싱 내측 끝단에 각각 결합고정되어 노출부의 승하강부재와 고정부재간의 인력이 약해지면 출몰부재를 문틀의 수평부로부터 이격시키도록 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문 시스템.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프레임이 폐쇄되었을 때 상부선상 또는 하부선상에 위치하는 승하강부재와 고정부재가 서로 마그네틱일 경우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을 설정하고, 개폐문프레임이 개방되면서 상부선상 또는 하부선상에 위치하게 될 승하강부재와 고정부재사이에는 서로 척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문 시스템.
  18. 개폐문프레임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이 문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문틀을 개폐하도록 된 개폐문 시스템에 있어서,
    평행으로 서로 인접하는 개폐문프레임의 일단 측면과 타단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개폐문프레임이 개폐될 때, 서로 분리되거나 밀착되며, 신축성을 가지는 연질성의 중공된 밀착부재와;
    상기 개폐문프레임이 개폐될 때, 밀착부재가 평행 인접한 개폐문프레임의 일단 측면과 타단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분리되거나 탈착되게 하기 위한 밀착부재의 탈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문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의 탈착수단은,
    상기 밀착부재의 내측 일단 또는 타단에 마련되며,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탈착플레이트와;
    상기 탈착플레이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고정되며 마그네틱과 철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탈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문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수평선 상의 위치에 배치된 탈착부재가 서로 마그네틱일 경우, 서로 인력이 작용되도록 극성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문 시스템.
KR1020100009862A 2010-02-03 2010-02-03 개폐문 시스템 KR101324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862A KR101324528B1 (ko) 2010-02-03 2010-02-03 개폐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862A KR101324528B1 (ko) 2010-02-03 2010-02-03 개폐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208A true KR20110090208A (ko) 2011-08-10
KR101324528B1 KR101324528B1 (ko) 2013-11-01

Family

ID=44928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862A KR101324528B1 (ko) 2010-02-03 2010-02-03 개폐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52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671B1 (ko) * 2012-06-18 2013-01-23 주식회사 진성 창호 시스템
KR101368220B1 (ko) * 2012-07-02 2014-03-13 금강창호기공 주식회사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단열 슬라이딩 창호
CN105822203A (zh) * 2014-10-23 2016-08-03 南安市丰州高捷摩托车节能实用科技产品销售中心 一种内层板内的加热装置的控制方法
KR20160112635A (ko) * 2015-03-20 2016-09-28 이상현 자력을 이용한 새시용 틈막이
DE112014002430B4 (de) * 2013-05-15 2018-12-27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Dichtung einer Schiebetür für ein elektrisches Schienenfahrzeug
CN109790733A (zh) * 2016-11-28 2019-05-21 T·林 磁悬浮门
KR102380656B1 (ko) * 2021-06-18 2022-03-29 안준석 이중 개폐가 가능한 시스템 창호
US12018522B2 (en) 2019-05-10 2024-06-25 Tony Lam Magnetic levitating do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904B1 (ko) * 2016-05-04 2021-12-27 정영호 슬라이딩도어 고정장치
KR102448141B1 (ko) * 2020-03-12 2022-09-27 장재연 2축 바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80521U (ko) * 1987-11-19 1989-05-30
JPH10299325A (ja) * 1997-04-22 1998-11-10 Kimimoto Yoshino 吊り戸下部のガイド装置
JP2004019325A (ja) 2002-06-18 2004-01-22 Shunei Tsuruta 両面押し開きドア
JP2004027779A (ja) 2002-06-28 2004-01-29 Isao Masuda スライド・スイング式ドア装置および双頭のロック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671B1 (ko) * 2012-06-18 2013-01-23 주식회사 진성 창호 시스템
KR101368220B1 (ko) * 2012-07-02 2014-03-13 금강창호기공 주식회사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단열 슬라이딩 창호
DE112014002430B4 (de) * 2013-05-15 2018-12-27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Dichtung einer Schiebetür für ein elektrisches Schienenfahrzeug
CN105822203A (zh) * 2014-10-23 2016-08-03 南安市丰州高捷摩托车节能实用科技产品销售中心 一种内层板内的加热装置的控制方法
CN105822203B (zh) * 2014-10-23 2017-06-16 南安市丰州高捷摩托车节能实用科技产品销售中心 一种内层板内的加热装置的控制方法
KR20160112635A (ko) * 2015-03-20 2016-09-28 이상현 자력을 이용한 새시용 틈막이
CN109790733A (zh) * 2016-11-28 2019-05-21 T·林 磁悬浮门
US12018522B2 (en) 2019-05-10 2024-06-25 Tony Lam Magnetic levitating door
KR102380656B1 (ko) * 2021-06-18 2022-03-29 안준석 이중 개폐가 가능한 시스템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4528B1 (ko) 201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4528B1 (ko) 개폐문 시스템
US9512656B2 (en) Sliding window installation structure including door guide frame having separable segment structure
CN103210167A (zh) 轨道隐蔽型门窗装置
KR101288044B1 (ko) 단열성이 향상된 미서기창
KR101506559B1 (ko) 창문의 밀폐장치
KR101779561B1 (ko) 폴딩도어
CN105507783A (zh) 一种模块化门底密封装置
KR101270318B1 (ko) 개폐문시스템
KR20160095890A (ko) 폴딩도어용 하부 가이드프레임
KR101582459B1 (ko) 여닫이식 출입문의 단열 및 기밀 유지장치
KR101459682B1 (ko) 미서기창이 구비된 커튼월
KR20100079432A (ko) 방충망이 내장된 창호
KR101079811B1 (ko) 롤러와 가압판을 이용한 여닫이문의 차음구조 및 차음조립체
KR20150137956A (ko) 스윙도어 및 스윙도어 측면 문틀의 구조
CN205445414U (zh) 一种高密封性门底密封装置
KR101206755B1 (ko) 창호용 이탈방지 모듈
KR102636070B1 (ko) 창호
KR100903944B1 (ko) 릴리프 기능을 갖는 기밀도어
KR20130118136A (ko) 문턱없는 도어의 차단구조
JP5270945B2 (ja) 網戸装置
CN210343138U (zh) 一种高性能铝塑复合保温窗
KR20100008133U (ko) 도어의 자동 방풍 장치
KR100928956B1 (ko) 시스템 창호의 여닫이 구조
KR100914725B1 (ko) 좌우 개폐 가능한 미닫이 문짝
CN215485757U (zh) 侧向磁吸且具有防水功能的内藏式双层降噪金属磁条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