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9648A -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9648A
KR20110089648A KR1020100009141A KR20100009141A KR20110089648A KR 20110089648 A KR20110089648 A KR 20110089648A KR 1020100009141 A KR1020100009141 A KR 1020100009141A KR 20100009141 A KR20100009141 A KR 20100009141A KR 20110089648 A KR20110089648 A KR 20110089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ing
load
capacitor
gen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4975B1 (ko
Inventor
여심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9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975B1/ko
Priority to US12/976,621 priority patent/US20110187196A1/en
Publication of KR20110089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9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2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DC/AC inverter means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itself, e.g. AC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Circuit 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and dc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H02J2300/26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involving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control for photovoltaic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빛을 이용하여 발전 전력을 출력하는 태양광 발전부, 상기 태양광 발전부로부터의 상기 발전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용 전원공급부나 부하로 공급하는 인버터부, 상기 발전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 동작을 실시하는 축전기,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 모드에 맞게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인버터부나 상기 축전기로 공급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고, 이로 인해, 동작 모드를 선택하여 발전 전력의 사용 용도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된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PHOTOVOLTAIC POW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석유나 석탄과 같은 기존 에너지 자원의 고갈이 예측되면서 이들을 대체할 대체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태양 에너지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 전지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기가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기는 출력되는 전력의 이용 방법에 따라 독립형 발진 시스템 또는 계통 연계형 발전 시스템에 적용되어 사용된다.
독립형 발전 시스템은 태양광 발전기에서 생성된 전력을 축전기에 저장한 후 필요할 때 사용하는 시스템인 반면, 계통 연계형 발전 시스템은 태양광 발전기에서 생성된 전력을 연결된 부하에 공급하고 잉여 전력을 상용 전원을 공급하는 계통에 매매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빛을 이용하여 발전 전력을 출력하는 태양광 발전부, 상기 태양광 발전부로부터의 상기 발전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용 전원공급부나 부하로 공급하는 인버터부, 상기 발전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 동작을 실시하는 축전기,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 모드에 맞게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인버터부나 상기 축전기로 공급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한다.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 모드 선택부, 상기 동작 모드 선택부로부터의 모드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 모드를 판정하고, 판정된 상기 동작 모드에 해당하는 상태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모니터링 제어부, 그리고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인버터부와 상기 축전기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급하는 경로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발전 전력으로 상기 부하를 구동하기 위한 부하 구동 모드, 상기 발전 전력으로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여 판매하기 위한 전력 판매 모드, 그리고 상기 발전 전력으로 상기 축전기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모드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판정된 동작 모드가 상기 부하 구동 모드일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의 현재 발전량과 상기 부하의 구동에 필요한 필요 전력량을 비교하고, 상기 현재 발전량이 상기 필요 전력량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발전 전력에 잉여 발전 전력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잉여 발전 전력이 존재할 경우, 상기 잉여 발전 전력을 상기 축전기나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축전기가 충전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축전기가 충전 가능한 상태일 경우 상기 잉여 발전 전력을 상기 축전기로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축전기가 충전 완료된 경우 상기 잉여 발전 전력을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현재 발전량이 상기 필요 전력량보다 작을 경우, 상기 발전 전력 이외에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상용 전원이나 상기 축전기의 충전 전력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축전기에 충전 전력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충전 전력이 존재할 경우 상기 발전 전력 이외에 상기 충전 전력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충전 전력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발전 전력 이외에 상기 상용 전원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모드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판정된 동작 모드가 상기 전력 판매 모드일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축전기에 충전 전력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충전 전력이 존재할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의 현재 발전량과 상기 부하의 구동에 필요한 필요 전력량을 비교하고, 상기 현재 발전량이 상기 필요 전력량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고 상기 충전 전력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현재 발전량이 상기 필요 전력량보다 적을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고 상기 충전 전력과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상용 전원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충전 전력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고 상기 상용 전원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모드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판정된 동작 모드가 상기 충전 모드일 경우, 상기 축전기가 충전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축전기가 충전 가능한 상태일 경우 상기 축전기로 상기 발전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상용 전원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축전기가 충전 완료 상태일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의 현재 발전량과 상기 부하의 구동에 필요한 필요 전력량을 비교하고, 상기 현재 발전량이 상기 필요 전력량보다 큰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의 일부를 상기 부하로 공급하고, 상기 발전 전력의 잉여 발전 전력을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현재 발전량이 상기 필요 전력량보다 작을 경우, 상기 부하로 상기 발전 전력과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상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현재 발전량이 상기 필요 전력량과 같을 경우, 상기 부하로 상기 발전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현재 발전량, 실시간 충전량, 판매 전력량, 판매 가격 및 전력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현재 전력 흐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 모드를 판정하는 단계, 판정된 상기 동작 모드가 부하 구동 모드일 경우, 태양광 발전부로부터의 발전 전력을 부하로 공급하는 단계, 판정된 상기 동작 모드가 전력 판매 구동 모드일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을 상용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는 단계, 그리고 판정된 상기 동작 모드가 충전 구동 모드일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을 축전기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발전 전력의 현재 발전량과 상기 부하의 구동에 필요한 필요 전력량을 비교하여, 상기 현재 발전량이 상기 필요 전력량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현재 발전량이 상기 필요 전력량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발전 전력에 잉여 발전 전력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잉여 발전 전력이 존재할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고, 상기 잉여 발전 전력을 상기 축전기나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잉여 발전 전력을 상기 축전기나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축전기가 충전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축전기가 충전 가능한 상태일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고 상기 잉여 발전 전력을 상기 축전기로 공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축전기가 충전 완료된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고 상기 잉여 발전 전력을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부하 구동 단계는, 상기 현재 발전량이 상기 필요 전력량보다 작을 경우, 상기 발전 전력 이외에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상용 전원이나 상기 축전기의 충전 전력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용 전원 또는 상기 충전 전력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축전기에 충전 전력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충전 전력이 존재할 경우 상기 발전 전력과 상기 충전 전력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고, 상기 충전 전력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발전 전력과 상기 상용 전원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축전기에 충전 전력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충전 전력이 존재할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의 현재 발전량과 상기 부하의 구동에 필요한 필요 전력량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현재 발전량이 상기 필요 전력량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고, 상기 충전 전력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현재 발전량이 상기 필요 전력량보다 적을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고, 상기 충전 전력과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상용 전원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전력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고 상기 상용 전원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축전기로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축전기가 충전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축전기가 충전 가능한 상태일 경우 상기 축전기로 상기 발전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축전기로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상용 전원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축전기로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축전기가 충전 완료 상태일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의 현재 발전량과 상기 부하의 구동에 필요한 필요 전력량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현재 발전량이 상기 필요 전력량보다 큰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의 일부를 상기 부하로 공급하고, 상기 발전 전력의 잉여 발전 전력을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현재 발전량이 상기 필요 전력량보다 작을 경우, 상기 부하로 상기 발전 전력과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상용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현재 발전량이 상기 필요 전력량과 같을 경우, 상기 부하로 상기 발전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현재 전력 흐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현재 발전량, 실시간 충전량, 판매 전력량, 판매 가격 및 전력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라, 사용자는 간단하게 태양광 발전부에서 생성된 발전 전력의 사용 용도를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고, 생성된 전력을 매도 시 사용자는 매도 정도를 신속하게 확인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순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i)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표시부에 표시되는 현재 전력 흐름 상태의 표시 예들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태양광 발전 시스템(1)은 태양광 발전부(10), 태양광 발전부(10)에 연결된 모니터링부(20), 모니터링부(20)에 연결된 인버터부(30)와 축전기(40), 인버터부(30)와 모니터링부(20)에 연결된 상용 전원 공급부(50), 그리고 모니터링부(20)와 인버터부(30)에 연결된 부하(60)를 구비한다.
태양광 발전부(10)는 입사되는 태양광과 같은 빛을 이용하여 직류 전력인 태양광 직류 전력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부(1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태양 전지 모듈(도시하지 않음)과 복수의 태양 전지 모듈과 연결된 전력 생성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태양 전지 모듈은 주로 행렬 형태로 배치되어 있고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태양 전지를 구비한다.
모니터링부(20)는 입력되는 태양광 직류 전력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 모드에 맞게 해당 구성요소로 출력하고,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동작 상태 등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이러한 모니터링부(20)는 동작 모드 선택부(201), 모니터링 제어부(202), 경로 선택부(203) 및 표시부(204)를 구비한다.
동작 모드 선택부(201)는 사용자에 동작되어, 선택된 동작 모드에 해당하는 모드 선택 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동작 모드는 태양광 발전부(10)에서 생성된 발전 전력을 부하(60)로 공급하여 부하(60)를 구동하기 위한 부하 구동 모드, 발전 전력을 상용 전원 공급부(50)로 출력하여 발전 전력을 판매하기 위한 전력 판매 모드, 그리고 발전 전력을 축전기(40)에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 모드를 구비한다.
동작 모드 선택부(201)는 부하 구동 모드, 전력 판매 모드 및 충전 모드에 각각 대응하는 별도의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스위치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에 대응하는 선택 신호를 모니터링 제어부(202)로 출력한다. 각 스위치는 푸시 버튼 스위치(push button switch)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동작 모드 선택부(201)는 하나의 스위치로 이루어져, 부하 구동 모드, 전력 판매 모드 및 충전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치는 동작 정도에 따라 출력 신호의 값이 달라지는 가변 저항을 이용하거나 접촉 횟수를 이용하여 모드 선택을 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할 수 있다.
동작 모드 선택부(201)는 표시부(204)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동작 모드 선택부(201)로부터의 모드 선택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 모드를 판정하고, 판정된 동작 모드에 맞게 태양광 발전 시스템(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제어 신호는 경로 선택부(203)의 동작을 제어하는 경로 제어 신호, 인버터부(30)와 축전기(4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 신호, 표시부(204)의 표시 상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신호 등을 포함한다.
경로 선택부(203)는 모니터링 제어부(202)로부터 인가되는 경로 제어 신호에 따라 태양광 발전부(10)로부터 전달되는 발전 전력의 전송 경로를 결정한다.
표시부(204)는 모니터링 제어부(202)로부터의 표시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1)의 동작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부(204)에 표시되는 정보는 전력 세기, 현재 발전량, 실시간(현재) 충전량, 판매 전력량, 판매 가격, 및 태양광 발전 시스템(1)의 현재 전력 흐름 상태이다. 또한, 표시부(204)는 누적 발전량, 현재 날짜와 현재 날씨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제어부(202)와 표시부(204)의 사이의 통신은 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다.
인버터부(30)는 모니터링 제어부(202)로부터 구동 제어 신호가 인가되며, 직류인 발전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변환된 교류 전력을 상용 전원 공급부(50)나 부하(60)로 전달한다.
축전기(40)는 모니터링 제어부(202)로부터 구동 제어 신호가 인가되며, 발전 전력을 충전하며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충전된 전력을 인버터부(30)로 출력한다.
상용 전원 공급부(50)는 외부 전원, 즉, 상용 전원을 공급하는 곳으로서, 경로 선택부(203)를 통해 부하(60)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인버터부(30)로부터 인가되는 교류의 발전 전력을 공급받는다, 즉 매수한다.
부하(60)는 태양광 발전부(10) 또는 상용 전원 공급부(5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되는 전자 기기 등이다.
도 2(a) 내지 도 2(c)와 도 3(a) 내지 도 3(i)를 참고로 하여, 이러한 구조를 갖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순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i)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표시부에 표시되는 현재 전력 흐름 상태의 표시 예들이다.
먼저, 태양광 발전부(10)에 구비된 태양 전지의 동작에 의해 태양광이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직류(DC) 전류가 생성된다. 그런 다음, 전력 생성부는 생성된 직류 전류에 기초하여 태양광 전력인 직류의 발전 전력을 생성한 후 모니터링부(20)의 경로 선택부(203)로 공급된다.
이때,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동작 모드 선택부(201)의 동작 상태에 따라 경로 선택부(203)로 인가되는 발전 전력을 인버터부(30), 축전기(40) 또는 부하(60)로의 공급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모니터링 제어부(202)의 동작은 도 2(a) 내지 도 2(c)를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동작 모드 선택부(201)로부터 인가되는 모드 선택 신호를 판독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 모드를 판정한다(S11).
선택된 동작 모드가 부하 구동 모드일 경우(S12),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태양광 발전부(10)로부터 인가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발전량과 부하(6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량인 필요 전력량을 비교한다(S13). 본 실시예에서, 필요 전력량은 메모리 등에 이미 저장되어 있거나 부하(60)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 받을 수 있다.
현재 발전량이 필요 전력량보다 같거나 클 경우,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태양광 발전부(10)에 의해 생성된 발전 전력으로 부하(6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동작을 실시한다.
따라서,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태양광 발전부(10)로부터의 발전 전력량이 부하 구동을 위한 필요한 필요량보다 큰지를 판단하여 잉여 발전 전력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14).
잉여 발전 전력이 존재할 경우,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축전기(40)의 현재 충전량을 판정하여 충전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5). 축전기(40)의 상태가 축전기(40)의 충전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충전 가능 상태로 판단되면,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부하(60)와 축전기(40)로 발전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해당 상태의 경로 제어 신호와 구동 제어 신호를 각각 경로 선택부(203)와 인버터부(30) 및 축전기(40)로 출력한다(S16).
따라서, 경로 선택부(203)는 공급되는 발전 전력의 일부를 인버터부(30)로 인가하고 나머지를 축전기(40)로 공급한다. 이때, 발전 전력의 용량에 따라 인버터부(30)와 축전기(40)로 공급되는 전력량은 변한다.
인버터부(30)는 공급되는 발전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한 후, 모니터링 제어부(202)로부터의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변환된 교류 전력을 부하(60)로 공급한다. 이로 인해, 사용 요금을 지불해야 하는 상용 전원 대신에 태양광 발전부(10)에 의해 생성된 발전 전력으로 부하(60)의 구동이 가능하므로, 전기 요금이 절감된다.
또한, 축전기(40)는 모니터링 제어부(202)로부터의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발전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 동작을 실시하여 충전량을 증가한다. 이때, 축전기(40)는 자신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 제어부(202)로 출력하다.
단계(S16)에서 부하(60)의 소비 전력이 거의 "0"이거나 부하(60)가 태양광 발전 시스템(1)에 연결되어 있지 않을 경우, 즉, 필요 전력량이 실질적으로 "0"일 경우,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부하(60)로 인가되는 발전 전력은 모두 축전기(40)쪽으로 인가되도록 경로 선택부(203)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런 다음,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축전기(40)로부터의 정보 등에 기초하여 태양광 발전 시스템(1)의 현재 동작 상태를 표시부(204)로 출력한다(S17).
따라서, 표시부(204)는 현재 축전기의 실시간 충전량과 충전 세기 등과 같은 축전기(4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고, 현재 발전량, 부하(60)의 소비 전력량(필요 전력량), 그리고 태양광 발전 시스템(1)의 현재 전력 흐름 상태 등을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204)에 표시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1)의 현재 전력 흐름 상태는 도 3(a)에 도시한 것과 같아 대양한 컨텐츠(contents)(101-105)를 이용하여 표시되며, 현재 전력의 흐름 상태에 맞게 컨텐츠(101-105)간의 사이를 화살표 등으로 표시한다. 도 3에서, 도면 부호 "101"은 태양광 발전부를 표시하는 컨텐츠이고, 도면 부호 "102"는 인버터부를 표시하는 컨텐츠이고, 도면 부호 "103"는 축전기를 표시하는 컨텐츠이며, 도면 부호 "104"는 상용 전원 공급부를 표시하는 컨텐츠이고, 도면 부호 "105"는 부하를 표시하는 컨텐츠이다.
도 3(a)에 표시된 화면을 통해, 사용자는 태양광 발전부(10)에서 생성된 발전 전력이 부하(60)와 축전기(40)로 공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단계(S15)에서, 축전기(40)로의 충전이 불가능한 상태, 즉, 축전기(40)가 최대 충전량까지 충전되어 있을 경우,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부하(60)와 상용 전원 공급부(50)로 발전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해당 상태의 경로 제어 신호와 구동 제어 신호를 각각 경로 선택부(203)와 인버터부(30)로 출력한다(S19).
따라서, 경로 선택부(203)는 공급되는 발전 전력을 모두 인버터부(30)로 인가한다.
인버터부(30)는 공급되는 발전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한 후, 모니터링 제어부(202)의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서 일부를 부하(60)로 공급하여 부하(60)를 동작시키고, 나머지를 상용 전원 공급부(50)로 출력한다. 즉,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부하(60)의 구동에 사용되고 남은 잉여 발전 전력을 상용 전원 공급부(50)에 판매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용 전원 공급부(50)는 매도한 전력량과 그에 대한 가격의 정보를 모니터링 제어부(202)로 출력한다.
이미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단계(S18)에서 부하(60)의 소비 전력이 실질적으로 "0"이거나 부하(60)가 태양광 발전 시스템(1)에 연결되어 있지 않을 경우,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부하(60)로 인가되는 발전 전력을 모두 상용 전원 공급부(50)쪽으로 인가하도록 경로 선택부(203)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런 다음,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상용 전원 공급부(50)로부터의 정보 등에 기초하여 태양광 발전 시스템(1)의 현재 동작 상태를 표시부(204)에 출력한다(S110).
따라서 표시부(204)는 부하(60)의 소비 전력량, 판매 전력량 및 판매 전력량에 대응하는 판매 가격, 그리고 태양광 발전 시스템(1)의 현재 전력 흐름 상태를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204)에는 도 3(b)에 도시한 것과 같은 현재 전력 흐름 상태가 표시되어, 사용자는 태양광 발전부(10)에서 생성된 발전 전력이 부하(60)와 상용 전원 공급부(50)로 공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단계(S14)에서, 잉여 발전 전력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즉, 발전 전력과 필요 전력량이 동일할 경우,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부하(60)로 발전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해당 상태의 경로 제어 신호와 구동 제어 신호를 인버터부(30)로 출력한다(S110).
이로 인해, 경로 선택부(203)를 통해 공급되는 발전 전력은 모두 인버터부(30)에 의해 교류 전력으로 변환된 후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부하(60)로 공급되어, 부하(60)의 동작을 위해 모두 소비된다.
그런 다음,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현재 동작 상태를 표시부(204)로 출력하여(S111), 현재 발전량, 부하(60)의 소비 전력량, 그리고 도 3(c)와 같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1)의 현재 전력 흐름 상태 등을 표시한다.
하지만, 단계(S13)에서 판단된 현재 발전량이 필요 전력량보다 적을 경우, 즉, 현재 발전량으로 부하(60)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킬 수 없을 경우,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축전기(40)에 충전 전력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112).
축전기(40)에 충전 전력이 존재할 경우, 모니터 제어부(202)는 경로 선택부(203)로 해당 상태의 경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축전기(40)와 인버터부(30)로 해당 상태의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S113).
따라서, 경로 선택부(203)는 발전 전력을 인버터부(30)로 공급하고 또한 축전기(40) 역시 충전 전력의 일부를 인버터부(30)로 공급한다. 따라서, 인버터부(30)는 경로 선택부(203)와 축전기(40)로부터 공급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한 후 부하(60)로 공급한다. 이때, 축전기(40)에서 인버터부(30)로 공급되는 충전 전력의 양은 현재 발전량과 필요 전력량간의 차에 기초하여 정해진다. 따라서, 발전 전력과 일부 충전 전력을 이용하여 부하(60)는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그런 다음,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현재 태양광 발전 시스템(1)의 동작 상태를 표시부(204)로 출력한다(S114). 이때, 표시부(204)는 현재 발전량, 축전기(40)의 실시간 충전량과 부하(60)의 소비 전력량 그리고 현재 전력 흐름 상태 등을 표시한다. 이때, 현재 전력 흐름 상태는 도 3(d)에 도시한 것과 같다.
하지만, 단계(S112)에서, 현재 축전기(40)에 충전 전력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모니터 제어부(202)는 경로 선택부(203)와 인버터부(30)로 각각 해당 상태의 경로 제어 신호와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S115).
따라서, 경로 선택부(203)를 통해 인버터부(30)로 인가되는 발전 전력은 교류 전력으로 변화된 후 부하(60)로 인가되고 또한 상용 전원 공급부(50)로부터의 상용 전원 또한 경로 선택부(203)를 통해 부하(60)로 인가된다. 이때, 부하(60)로 인가되는 상용 전원은 현재 발전량과 필요 발전량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정해진다. 이로 인해, 발전 전력과 상용 전원 공급부(50)로부터의 상용 전원에 의해 부하(60)는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그런 다음,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현재 태양광 발전 시스템(1)의 동작 상태를 표시부(204)로 출력하여(S116), 현재 발전량, 부하(60)의 소비 전력량 그리고 도 3(e)와 같은 현재 전력 흐름 상태 등을 표시한다.
단계(S12)에서 판단된 동작 모드가 전력 판매 모드일 경우,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도 2(b)에 도시한 동작에 따라 태양광 발전 시스템(1)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도 2(b)에 도시한 것처럼, 판단된 동작 모드가 전력 판매 모드이면,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축전기(40)에 충전 전력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22).
축전기(40)에 충전 전력이 존재할 경우,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축전기(40)의 현재 충전량과 필요 전력량을 비교한다(S23).
현재 충적량이 필요 전력량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경로 선택부(203), 인버터부(30) 및 축전기(40)에 각각 해당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S24).
이에 따라, 경로 선택부(203)는 인가되는 발전 전력을 인버터부(30)로 출력하고, 인버터부(30)는 입력된 발전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한 후 상용 전원 공급부(50)로 전송하여 판매한다. 또한, 모니터링 제어부(202)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축전기(40)는 충전된 전력을 인버터부(30)로 전송하고, 인버터부(30)는 축전기(40)로부터 인가되는 충전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한 후 부하(60)로 공급한다. 이와 같이, 축전기(40)에 충전 전력이 존재할 경우,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태양광 발전부(10)에서 생성된 발전 전력을 상용 전원 공급부(50)로 판매하고, 축전기(40)의 전력을 이용하여 부하(60)를 구동한다.
그런 다음,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현재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표시부(204)로 출력한다(S25). 이때, 표시부(204)는 축전기(40)의 현재 충전량과 부하(60)의 소비 전력량, 판매된 전력량 및 그에 가격, 그리고 도 3(f)와 같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1)의 현재 전력 흐름 상태를 표시한다.
하지만, 단계(S22)에서, 축전기(40)의 현재 충전량이 필요 전력량보다 적을 경우,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축전기(40)의 충전 전력만으로 부하(60)를 정상적으로 구동할 수 없는 상태로 판단한다.
따라서,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경로 선택부(203)와 인버터부(30) 및 축전기(40)로 해당하는 경로 제어 신호와 구동 제어 신호를 각각 출력하여(S26), 발전 전력은 인버터부(30)를 통해 상용 전원 공급부(50)로 판매되고, 부하(60)는 인버터부(30)를 통한 축전기(40)의 충전 전력과 경로 선택부(203)를 통한 상용 전원으로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부하(60)로 인가되는 상용 전원의 양은 현재 충전량과 필요 전력량의 차에 기초하여 정해질 수 있다.
다음,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현재 태양광 발전 시스템(1)의 동작 상태를 표시부(204)로 출력하여(S25), 현재 발전량, 축전기(40)의 실시간 충전량과 부하(60)의 소비 전력량, 판매 전력량 및 판매 가격, 그리고 도 3(g)와 같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1)의 현재 전력 상태를 표시한다.
하지만, 단계(S22)에서, 현재 축전기(40)에 충전 전력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경로 선택부(203)로 경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인버터부(30)로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S28).
따라서 경로 선택부(203)는 태양광 발전부(10)로부터의 발전 전력은 인버터부(30)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인버터부(30)는 입력된 발전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한 후 상용 전원 공급부(50)로 공급하여 판매한다. 또한, 경로 선택부(203)는 상용 전원 공급부(50)로부터의 상용 전원을 부하(60)로 공급하여 부하(60)를 동작시킨다.
그런 다음,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현재 태양광 발전 시스템(1)의 동작 상태를 표시부(204)로 출력하여(S29), 표시부(204)는 현재 발전량, 판매 전력량 및 판매 가격, 부하(60)의 소비 전력량, 그리고 도 3(h)와 같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1)의 현재 전력 흐름 상태를 표시한다.
도 2(b)의 단계(S24, S26 및 28)에서, 부하(60)의 소비 전력이 거의 "0"이거나 부하(60)가 태양광 발전 시스템(1)에 연결되어 있지 않을 경우,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부하(60)로 인가되는 충전 전력 및/또는 상용 전력을 차단하도록 경로 선택부(203)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2(b)의 단계(S21)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 모드가 전력 판매 모드가 아닐 경우,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 모드를 충전 모드로 판정한다(S31).
따라서,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축전기(40)의 상태가 충전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32).
현재 축전기(40)의 상태가 충전 가능한 상태일 경우,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경로 선택부(203)로 경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태양광 발전부(10)로부터의 발전 전력을 축전기(40)로 공급하여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부하(60)의 동작을 위해 상용 전원 공급부(50)로부터의 상용 전원을 부하(60)로 공급한다(S33).
그런 다음,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표시부(204)를 통해 태양광 발전 시스템(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S34). 따라서, 표시부(204)는 현재 발전량, 축전기(40)의 실시간 충전량, 충전 세기, 부하(60)의 소비 전력량 및 도 3(i)와 같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1)의 현재 전력 흐름 상태 등을 표시한다.
그런 다음,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축전기(40)의 충전 동작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5).
축전기(40)의 상태가 충전 완료 상태가 아닐 경우,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단계(S11)로 넘어가 계속해서 축전기(40)의 충전 동작을 제어한다.
하지만, 축전기(40)의 상태가 충전이 완료되어 축전기(40)에 충전된 양이 최대 충전량에 도달하면,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발전 전력을 이용한 부하(60) 구동 제어를 실시한다.
따라서,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태양광 발전부(10)의 현재 발전량과 부하(60)의 동작에 필요한 필요 전력량을 비교한다(S36).
현재 발전량이 필요 전력량보다 클 경우,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경로 선택부(203)와 인버터부(30)로 각각 경로 제어 신호와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S37).
이로 인해, 경로 선택부(203)는 인버터부(30)로 발전 전력을 모두 공급하고, 인버터부(30)는 입력된 발전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그런 다음, 인버터부(30)는 구동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부하(60)의 동작에 필요한 필요 전력량만큼의 발전 전력을 부하(60)로 공급하고 그 나머지는 상용 전원 공급부(50)로 출력하여 판매한다. 이때, 부하(60)에서 소비 전력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발전 전력은 모두 상용 전원 공급부(50)로 판매된다.
그런 다음,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표시부(204)로 표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현재 발전량, 부하(60)의 소비 전력량, 판매 전력량 및 판매 가격, 그리고 도 3(b)와 같은 현재 전력 흐름 상태 등을 표시한다(S38). 부하(60)에서 소비 전력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도 3(b)와는 달리 인버터부(102)를 통한 발전 전력은 모두 상용 전원 공급부(104)로 흐르게 된다.
하지만, 단계(S36)에서, 태양광 발전부(10)의 현재 발전량이 필요 전력량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발전 전력 및/또는 상용 전원을 이용하여 부하(6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해, 경로 선택부(203)와 인버터부(30)로 해당 상태의 제어 신호를 각각 출력한다(S39).
따라서, 경로 제어부(203)는 태양광 발전부(10)로부터의 발전 전력을 인버터부(30)로 출력하고, 인버터부(30)는 교류의 발전 전력을 부하(60)로 공급한다. 이때, 발전 전력으로 부하(60)를 구동할 때, 전력이 부족할 경우 경로 선택부(203)는 모니터링 제어부(202)의 제어에 의해 상용 전원 공급부(50)로부터의 상용 전력을 부하(60)에 추가로 공급하여 부하(60)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 다음,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1)의 동작 상태를 표시부(204)로 표시한다(S310). 따라서, 표시부(204)는 현재 발전량, 축전기(40)의 실시간 충전량과 부하(60)의 소비 전력량 그리고 도 3(c)나 도 3(e)와 같은 현재 전력의 흐름 상태 등을 표시한다.
하지만, 단계(S32)에서 판단된 현재 축전기(40)의 상태가 충전이 불가능한 상태일 경우,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이미 설명한 단계(S36)로 넘어가 태양광 발전 시스템(1)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2(C)의 단계(S37, S39)에서, 부하(60)의 소비 전력이 실질적으로 "0"이거나 부하(60)가 태양광 발전 시스템(1)에 연결되어 있지 않을 경우,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부하(60)로 인가되는 발전 전력 및/또는 상용 전력을 차단되고, 발전 전력을 축전기(40)나 상용 전원 공급부(50)쪽으로 인가하도록 경로 선택부(203)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3(a) 내지 도 3(i)에 도시한 현재 전력 흐름 상태에서, 비가 오는 날이나 밤 등과 같이, 태양광 발전부(10)에서 발전 전력이 생산되지 않을 경우, 태양광 발전부(10)의 컨텐츠(101)에서 인버터부(30)의 컨텐츠(102)나 축전기(40)의 컨텐츠(103)쪽으로 이동하는 화살표는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전력의 흐름 방향을 나타내는 컨텐츠의 형태나 색상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미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 부하(60)가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연결된 부하(60)가 동작하지 않아 부하(60)의 소비 전력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모니터링 제어부(202)는 경로 선택부(203)의 동작을 제어하여 부하(60)의 구동을 위해 부하(60)로 인가되는 발전 전력 및/또는 상용 전력의 공급을 차단한다. 대신, 부하(60) 구동을 위해 인가되는 발전 전력은 축전기(40)의 충전 동작이 사용되거나 상용 전원 공급부(50)로 판매된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1)에 의해, 사용자는 태양광 발전부(10)로부터 발전된 발전 전력을 해당 부하(60)의 구동을 위해 사용할 뿐만 판매도 가능하므로, 사용자에게 많은 경제적인 혜택을 안겨준다. 또한,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발전 전력의 손실이 줄어들기 때문에, 발전 전력의 사용 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더욱이, 동작 모드 선택부(201)에 의해, 태양광 발전 시스템(1)을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발전 전력이 이용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된다.
이에 더하여, 상용 전원 공급부(50)에 생산된 발전 전력을 판매할 때의 판매 전력량과 판매 가격, 축전기(40)의 충전 세기 그리고 현재 충전량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도는 더욱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태양광 발전 시스템 10: 태양광 발전부
20: 모니터링부 201: 동작모드 선택부
202: 모니터링 제어부 203: 경로 선택부
204: 표시부 30: 인버터부
40: 축전기 50: 상용 전원 공급부
60: 부하

Claims (30)

  1. 빛을 이용하여 발전 전력을 출력하는 태양광 발전부,
    상기 태양광 발전부로부터의 상기 발전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용 전원공급부나 부하로 공급하는 인버터부,
    상기 발전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 동작을 실시하는 축전기,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 모드에 맞게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인버터부나 상기 축전기로 공급하는 모니터링부
    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 모드 선택부,
    상기 동작 모드 선택부로부터의 모드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 모드를 판정하고, 판정된 상기 동작 모드에 해당하는 상태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모니터링 제어부, 그리고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인버터부와 상기 축전기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급하는 경로 선택부
    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발전 전력으로 상기 부하를 구동하기 위한 부하 구동 모드,
    상기 발전 전력으로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여 판매하기 위한 전력 판매 모드, 그리고
    상기 발전 전력으로 상기 축전기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 모드
    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4. 제3항에서,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모드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판정된 동작 모드가 상기 부하 구동 모드일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의 현재 발전량과 상기 부하의 구동에 필요한 필요 전력량을 비교하고, 상기 현재 발전량이 상기 필요 전력량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5. 제4항에서,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발전 전력에 잉여 발전 전력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잉여 발전 전력이 존재할 경우, 상기 잉여 발전 전력을 상기 축전기나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6. 제5항에서,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축전기가 충전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축전기가 충전 가능한 상태일 경우 상기 잉여 발전 전력을 상기 축전기로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축전기가 충전 완료된 경우 상기 잉여 발전 전력을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7. 제4항에서,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현재 발전량이 상기 필요 전력량보다 작을 경우, 상기 발전 전력 이외에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상용 전원이나 상기 축전기의 충전 전력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8. 제7항에서,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축전기에 충전 전력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충전 전력이 존재할 경우 상기 발전 전력 이외에 상기 충전 전력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충전 전력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발전 전력 이외에 상기 상용 전원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9. 제3항에서,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모드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판정된 동작 모드가 상기 전력 판매 모드일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10. 제9항에서,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축전기에 충전 전력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충전 전력이 존재할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의 현재 발전량과 상기 부하의 구동에 필요한 필요 전력량을 비교하고,
    상기 현재 발전량이 상기 필요 전력량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고 상기 충전 전력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현재 발전량이 상기 필요 전력량보다 적을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고 상기 충전 전력과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상용 전원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11. 제10항에서,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충전 전력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고 상기 상용 전원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12. 제3항에서,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모드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판정된 동작 모드가 상기 충전 모드일 경우, 상기 축전기가 충전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축전기가 충전 가능한 상태일 경우 상기 축전기로 상기 발전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13. 제12항에서,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상용 전원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14. 제12항에서,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축전기가 충전 완료 상태일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의 현재 발전량과 상기 부하의 구동에 필요한 필요 전력량을 비교하고, 상기 현재 발전량이 상기 필요 전력량보다 큰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의 일부를 상기 부하로 공급하고, 상기 발전 전력의 잉여 발전 전력을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현재 발전량이 상기 필요 전력량보다 작을 경우, 상기 부하로 상기 발전 전력과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상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현재 발전량이 상기 필요 전력량과 같을 경우, 상기 부하로 상기 발전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16. 제15항에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현재 발전량, 실시간 충전량, 판매 전력량, 판매 가격 및 전력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17. 제15항에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모니터링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현재 전력 흐름 상태를 표시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18.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 모드를 판정하는 단계,
    판정된 상기 동작 모드가 부하 구동 모드일 경우, 태양광 발전부로부터의 발전 전력을 부하로 공급하는 단계,
    판정된 상기 동작 모드가 전력 판매 구동 모드일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을 상용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는 단계, 그리고
    판정된 상기 동작 모드가 충전 구동 모드일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을 축전기로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19. 제18항에서,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발전 전력의 현재 발전량과 상기 부하의 구동에 필요한 필요 전력량을 비교하여, 상기 현재 발전량이 상기 필요 전력량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현재 발전량이 상기 필요 전력량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발전 전력에 잉여 발전 전력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잉여 발전 전력이 존재할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고, 상기 잉여 발전 전력을 상기 축전기나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20. 제19항에서,
    상기 잉여 발전 전력을 상기 축전기나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축전기가 충전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축전기가 충전 가능한 상태일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고 상기 잉여 발전 전력을 상기 축전기로 공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축전기가 충전 완료된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고 상기 잉여 발전 전력을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21. 제19항에서,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부하 구동 단계는 상기 현재 발전량이 상기 필요 전력량보다 작을 경우, 상기 발전 전력 이외에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상용 전원이나 상기 축전기의 충전 전력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22. 제21항에서,
    상기 상용 전원 또는 상기 충전 전력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축전기에 충전 전력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충전 전력이 존재할 경우 상기 발전 전력과 상기 충전 전력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고, 상기 충전 전력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발전 전력과 상기 상용 전원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23. 제18항에서,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축전기에 충전 전력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충전 전력이 존재할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의 현재 발전량과 상기 부하의 구동에 필요한 필요 전력량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현재 발전량이 상기 필요 전력량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고, 상기 충전 전력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현재 발전량이 상기 필요 전력량보다 적을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고, 상기 충전 전력과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상용 전원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24. 제23항에서,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전력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고 상기 상용 전원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25. 제18항에서,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축전기로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축전기가 충전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축전기가 충전 가능한 상태일 경우 상기 축전기로 상기 발전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26. 제25항에서,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축전기로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상용 전원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27. 제25항에서,
    상기 발전 전력을 상기 축전기로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축전기가 충전 완료 상태일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의 현재 발전량과 상기 부하의 구동에 필요한 필요 전력량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현재 발전량이 상기 필요 전력량보다 큰 경우, 상기 발전 전력의 일부를 상기 부하로 공급하고, 상기 발전 전력의 잉여 발전 전력을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현재 발전량이 상기 필요 전력량보다 작을 경우, 상기 부하로 상기 발전 전력과 상기 상용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상용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현재 발전량이 상기 필요 전력량과 같을 경우, 상기 부하로 상기 발전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28. 제18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29. 제28항에서,
    상기 표시부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현재 전력 흐름 상태를 표시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30. 제28항에서,
    상기 표시부는 현재 발전량, 실시간 충전량, 판매 전력량, 판매 가격 및 전력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00009141A 2010-02-01 2010-02-01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444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141A KR101444975B1 (ko) 2010-02-01 2010-02-01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2/976,621 US20110187196A1 (en) 2010-02-01 2010-12-22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s and metho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141A KR101444975B1 (ko) 2010-02-01 2010-02-01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648A true KR20110089648A (ko) 2011-08-09
KR101444975B1 KR101444975B1 (ko) 2014-09-26

Family

ID=44340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141A KR101444975B1 (ko) 2010-02-01 2010-02-01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187196A1 (ko)
KR (1) KR10144497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554B1 (ko) * 2010-12-17 2013-04-08 주식회사 케이티 실시간 요금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 태양광 발전 장치를 위한 전기 충전/방전 시스템,전기 충전/방전 시스템의 양방향 컨버터,및 전기 충전/방전 방법
KR101299960B1 (ko) * 2013-07-22 2013-08-26 쏠라이앤에스(주) 계통 연계형 태양광발전 시스템
KR102153722B1 (ko) * 2020-02-10 2020-09-09 주식회사 시너지 Pv 발전 전력 관리 장치 및 방법
CN115133636A (zh) * 2022-08-30 2022-09-30 长沙天仪空间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混合电源系统及其配置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07468B2 (ja) * 2011-09-15 2015-11-10 株式会社リコー ネットワーク装置、電力供給システム、及び電力供給方法
JP5891931B2 (ja) * 2012-04-27 2016-03-23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携帯端末
CN102957331A (zh) * 2012-11-23 2013-03-06 郑州计量节能检测中心 一种多功能逆变器
CN103078545B (zh) * 2013-01-15 2015-02-25 东华大学 一种独立或并网双模逆变器的控制电路及切换方法
KR102327608B1 (ko) * 2014-10-08 2021-11-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력전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106093690A (zh) * 2016-08-11 2016-11-09 国网天津市电力公司 利用温差发电供源的铁芯在线监测系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76667B (en) * 1985-06-11 1989-07-05 Toshiba Kk Electric motor running system employing a photovoltaic array
JP3299497B2 (ja) * 1998-02-05 2002-07-08 松下電工株式会社 太陽光発電システム
US6858953B2 (en) * 2002-12-20 2005-02-22 Hawaiian Electric Company, Inc. Power control interface between a wind farm and a power transmission system
US20080046387A1 (en) * 2006-07-23 2008-02-21 Rajeev Gopal System and method for policy based control of local electrical energy generation and use
JP5072378B2 (ja) * 2007-01-25 2012-11-14 中国電力株式会社 電力貯蔵装置及びシステム
WO2009039155A2 (en) * 2007-09-19 2009-03-26 Briggs And Stratton Corporation Power monitoring system
US8264195B2 (en) * 2008-10-01 2012-09-11 Paceco Corp. Network topology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a solar panel array
EP2473958A1 (en) * 2009-09-03 2012-07-11 Essence Security International Ltd.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electricity delivery and commer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554B1 (ko) * 2010-12-17 2013-04-08 주식회사 케이티 실시간 요금에 따른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 태양광 발전 장치를 위한 전기 충전/방전 시스템,전기 충전/방전 시스템의 양방향 컨버터,및 전기 충전/방전 방법
KR101299960B1 (ko) * 2013-07-22 2013-08-26 쏠라이앤에스(주) 계통 연계형 태양광발전 시스템
KR102153722B1 (ko) * 2020-02-10 2020-09-09 주식회사 시너지 Pv 발전 전력 관리 장치 및 방법
CN115133636A (zh) * 2022-08-30 2022-09-30 长沙天仪空间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混合电源系统及其配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4975B1 (ko) 2014-09-26
US20110187196A1 (en)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4975B1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8744641B2 (en)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KR102346944B1 (ko) 태양광 발전량 및 부하량 예측을 통한 전기 에너지 충/방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65645B1 (ko) 태양광 발전시스템
JP5782233B2 (ja) 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及び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方法
JP5513819B2 (ja) 配電システム
KR101210204B1 (ko) 충방전 시스템, 충방전 장치, 충방전 방법
KR20190018155A (ko) 하이브리드 전력 시스템에서 전력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3620903A (zh) 电力供给系统
US20160118846A1 (en) Isolated-Type Hybrid Solar Photovoltaic System and Switching Control Method
JP6229941B2 (ja) 情報処理装置、電力価格表の生成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
JP2012130126A (ja) 電力供給制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力供給システム
KR20130117566A (ko) 주택용 지능형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440197B1 (ko) 에너지 저장장치용 인버터 출력 제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 장치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인버터 출력 제어 방법
JP6037678B2 (ja) 蓄電池充放電制御装置及び蓄電池充放電制御システム
KR101191214B1 (ko) 태양광 발전시스템
US11211808B2 (en) Photovoltaic apparatus
JP2011135708A (ja) 電源システム
KR102590224B1 (ko) 전력 관리 시스템
Kirchsteiger et al. Cost-optimal Control of Photovoltaic Systems with Battery Storage under Variable Electricity Tariffs.
AU2019360880A1 (en) Smart balancing energy charging control system
JP2017028969A (ja) 電力管理装置
KR102281978B1 (ko) 계층적 ESS 기반 최적 SoC 제어를 통해 전기료를 최소화하는 전력 제어 시스템
WO2017163747A1 (ja) 蓄電システム、充放電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818566B2 (ja) 充放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