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9435A - 풍력 발전기 - Google Patents

풍력 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9435A
KR20110089435A KR1020117014535A KR20117014535A KR20110089435A KR 20110089435 A KR20110089435 A KR 20110089435A KR 1020117014535 A KR1020117014535 A KR 1020117014535A KR 20117014535 A KR20117014535 A KR 20117014535A KR 20110089435 A KR20110089435 A KR 20110089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light emitting
central axis
flui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4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0460B1 (ko
Inventor
김승조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10089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9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6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6Rotors
    • F03D3/062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 F03D3/066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the wind engaging parts being movable relative to the rotor
    • F03D3/067Cyclic movements
    • F03D3/068Cyclic movements mechanically controlled by the rotor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6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25Application as advertis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21Rotors for wind turbines
    • F05B2240/211Rotors for wind turbines with vertical axis
    • F05B2240/214Rotors for wind turbines with vertical axis of the Musgrove or "H"-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70/00Control
    • F05B2270/30Control parameters, e.g. input parameters
    • F05B2270/328Blade pitch ang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는, 유체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며, 발전기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중심축; 상기 중심축의 상부에 구비되며, 복수의 상부스포크가 방사형으로 연장된 형태로 결합된 상부허브; 상기 중심축의 하부에 구비되며, 복수의 하부스포크가 방사형으로 연장된 형태로 결합된 하부허브; 일단부가 상기 상부허브의 끝단부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부허브의 끝단부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복수의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조절하는 피치제어부; 상기 유체의 유동방향을 감지하는 유체방향 감지부와, 상기 유체의 유동속도를 감지하는 유체속도 감지부와, 상기 중심축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중심축속도 감지부 및, 상기 중심축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중심축위치 감지부를 포함하는 감지부; 상기 블레이드의 일측면에 구비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발광부 및; 상기 피치제어부 및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중심축의 회전속도 및 블레이드의 피치각의 변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를 개별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풍력 발전기{DISPLAYABLE WIND TURBINE}
본 발명은 풍력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기능이 구비되며, 유체의 유동 방향 및 속도에 대응하여 블레이드의 피치각이 자동적으로 변환되는 풍력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풍력 발전기는 바람의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꿔주는 발전 장치로서, 상기 바람에 의해 블레이드가 회전되도록 하여 이때 생긴 블레이드의 회전력으로 전기를 생산한다.
이러한 풍력 발전기는 블레이드, 변속장치 및 발전기로 크게 나누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바람에 의해 회전되어 풍력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이고, 상기 변속장치는 블레이드에서 발생한 회전력이 회전 중심축을 통해서 변속기어에 전달되어 발전기에서 요구되는 회전수로 높여서 발전기를 회전시키며, 상기 발전기는 블레이드에서 발생한 기계적인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종래의 풍력 발전기는 회전축이 설치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유체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회전 중심축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축 발전기와, 회전 중심축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축 발전기로 대별된다.
이중 상기 수평축 발전기는, 프로펠러 회전 방식으로서 발전 효율은 비교적 높으나 유체의 유동방향의 변화에 따라 로터(Rotor)의 방향을 바꾸어 주어야 하며, 유체의 유속에 따라 블레이드의 각도를 바꾸어 주어야 하는 장치가 필요하였다.
여기서, 상기 로터는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다수 개의 블레이드가 조합되어 구성된 회전체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수평축 발전기는, 상기 로터의 회전 중심축이 최소한 로터의 반지름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게 되므로, 높은 곳에 위치한 로터의 회전 중심축과 발전기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발전기를 상기 회전 중심축과 같은 높이에 설치하여 발전기의 회전축과 로터의 회전 중심축을 거의 동일한 위치에 설치하거나, 수평회전력을 수직회전력으로 전환하는 장치를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발전기와 연결하여야만 구동이 가능하였는데, 전자의 경우에는 유체의 강한 흐름에 의해 기구적인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과 유지, 보수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수평회전력을 수직회전력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에너지의 손실이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수직축 발전기를 개발하여 상용화하고 있으나, 제작 단가가 높으며, 풍향의 역행측의 블레이드 부분에서는 풍력에 반발하는 저항력이 발생하여 풍향의 순행측 블레이드 부분에서 얻은 회전력이 상쇄되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풍력 발전기를 대형화할 경우에는 회전부(유체에 의해 회전되는 전체적인 부분)의 자체 하중이 매우 커서 발전 실효율이 낮으며 유체가 저속으로 유동될 경우에는 회전부가 회전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수직축 발전기는, 유체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위치하고 발전기에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 중심축과, 상기 회전 중심축의 상부에 구비되되 다수의 상부스포크가 방사형으로 결합된 상부허브와, 상기 회전 중심축의 하부에 구비되되 다수의 하부스포크가 방사형으로 결합된 하부허브와, 일단이 상기 상부허브의 상부스포크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허브의 하부스포크에 고정되는 다수의 블레이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수직형 발전기는 상기 유체의 유동방향이 일정하지 않고 수시로 변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직형 발전기에서 발생되는 에너지 효율이 낮아지는 단점, 즉, 상기 블레이드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시로 변하는 유체의 유동방향에 대해 상기 블레이드가 최적화된 피치각도를 유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유체의 유동방향에 따라 자동적으로 블레이드의 피치각이 조절되는 풍력 발전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의 측면부를 통해 그림 및 동영상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풍력 발전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는, 유체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며, 발전기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중심축; 상기 중심축의 상부에 구비되며, 복수의 상부스포크가 방사형으로 연장된 형태로 결합된 상부허브; 상기 중심축의 하부에 구비되며, 복수의 하부스포크가 방사형으로 연장된 형태로 결합된 하부허브; 일단부가 상기 상부허브의 끝단부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부허브의 끝단부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복수의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조절하는 피치제어부; 상기 유체의 유동방향을 감지하는 유체방향 감지부와, 상기 유체의 유동속도를 감지하는 유체속도 감지부와, 상기 중심축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중심축속도 감지부 및, 상기 중심축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중심축위치 감지부를 포함하는 감지부; 상기 블레이드의 일측면에 구비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발광부 및; 상기 피치제어부 및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중심축의 회전속도 및 블레이드의 피치각의 변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를 개별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피치제어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블레이드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d)이 이격되어 설치된 고정부에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연결부재와,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의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중심축의 중심을 기준 위치로 하여 상기 상부허브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직선상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 및, 상기 회전체의 중심을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병진 이동 및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전체에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의 피치각의 크기가 정현적으로 변화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를 회전시키는 방향전환부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또한, 상기 피치제어부를 구동하되,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피치제어부에 작용력을 공급하는 작용부를 구비하는 구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의 각 발광소자는, R(Red)발광소자, G(Green)발광소자 및 B(Blue)발광소자가 하나의 픽셀(Pixel)을 구성하며, 상기 R,G,B 발광소자는 유입되는 전압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여 휘도가 조절되거나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블레이드의 측부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저장부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받으며, 상기 중심축의 회전속도 정보 및 블레이드의 피치각의 정보와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호 동기화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를 개별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블레이드의 양단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의 내부에는,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의 점등 및 소등의 반복으로 인하여 가열된 상기 발광부를 냉각시키는 냉각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는, 유체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며, 발전기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중심축; 상기 중심축의 상부에 구비되며, 복수의 상부스포크가 방사형으로 연장된 형태로 결합된 상부허브; 상기 중심축의 하부에 구비되며, 복수의 하부스포크가 방사형으로 연장된 형태로 결합된 하부허브; 일단부가 상기 상부허브의 끝단부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부허브의 끝단부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복수의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조절하는 피치제어부; 상기 블레이드의 최적 피치각이 저장된 데이터저장부; 상기 유체의 유동방향을 감지하는 유체방향 감지부와, 상기 유체의 유동속도를 감지하는 유체속도 감지부와, 상기 중심축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중심축속도 감지부 및, 상기 중심축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중심축위치 감지부를 포함하는 감지부; 상기 블레이드의 일측면에 구비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발광부 및;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블레이드의 최적피치각을 입력받아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최적피치각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피치제어부를 작동시키며, 상기 중심축의 회전속도 및 블레이드의 피치각의 변동에 따라 복수의 발광소자를 개별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치제어부는, 상기 상부허브의 끝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회전되는 서보모터와, 상기 서보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서보모터기어 및,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축에 연결되되, 상기 서보모터기어와 상호 치합되도록 구비된 블레이드기어를 포함하여 구비되어, 상기 서보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기어가 함께 회전하여 상기 블레이드의 피치각이 조절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저장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측부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저장부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받으며, 상기 중심축의 회전속도 정보 및 블레이드의 피치각의 정보와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호 동기화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를 개별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의 각 발광소자는, R(Red)발광소자, G(Green)발광소자 및 B(Blue)발광소자가 하나의 픽셀(Pixel)을 구성하며, 상기 R,G,B 발광소자는 유입되는 전압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여 휘도가 조절되거나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블레이드의 양단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블레이드의 내부에는,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의 점등 및 소등의 반복으로 인하여 가열된 상기 발광부를 냉각시키는 냉각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는 블레이드의 피치각(Pitch angle)이 유체의 유동방향 및 유동속도에 따라 자동적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유입되는 유체의 방향과 속도가 변화하더라도 최적의 에너지 변환효율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유체의 흐름에 따른 최적의 에너지 변환효율을 얻을 수 있는 블레이드 피치각을 용이하게 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의 측면부에 구비된 발광소자(LED)를 점등/소등하여, 사람의 잔상효과에 따라 그림 및 동영상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풍력 발전기로부터 발생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발광소자를 점등/소등하거나 그림 및 동영상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무게 대비 강성비가 뛰어난 복합재료로 이루어진 블레이드를 사용함으로써 구조적인 안정성을 제공한다.
또한, 유체의 이동이 없을 경우에는 축전지를 이용하여 블레이드를 회전시켜서 상기 그림 및 동영상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유체의 유무와는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광고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B'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블레이드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4의 블레이드의 발광부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의 측면부를 통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D'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의 흐름에 대한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나타낸 개략도,
도 11 내지 도 14는 블레이드 피치각이 수렴하는 과정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피치각 결정 방법에 따라 산출된 블레이드 피치각의 일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되는 풍력발전기(displayable wind turbine)은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풍력발전기(wind turbine)를 의미하며, 이하에서는 표현의 용이성을 위하여 풍력발전기(wind turbine)이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wind turbine)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B'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블레이드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블레이드의 발광부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의 측면부를 통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술하는 유체는 물 또는 공기에 해당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displayable wind turbine)는 상기 유체를 공기가 아닌 물(해수 포함)을 이용하여 수력발전으로도 이용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지식수준으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100)는 유체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며, 발전기(미도시)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중심축(110)과, 상기 중심축(110)의 상부에 구비되며 복수의 상부스포크(121)가 방사형으로 연장된 형태로 결합된 상부허브(120)와, 상기 중심축(110)의 하부에 구비되며, 복수의 하부스포크(131)가 방사형으로 연장된 형태로 결합된 하부허브(130)와, 일단부가 상기 상부허브(120)의 끝단부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부허브(130)의 끝단부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복수의 블레이드(140)와, 상기 블레이드(14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블레이드(140)의 피치각을 조절하는 피치제어부(150)와, 상기 유체의 유동방향을 감지하는 유체방향 감지부(172)와, 상기 유체의 유동속도를 감지하는 유체속도 감지부(173)와, 상기 중심축(110)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중심축속도 감지부(174) 및, 상기 중심축(110)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중심축위치 감지부(175)를 포함하는 감지부(180)와, 상기 블레이드(140)의 일측면에 구비된 회로기판(162)과, 상기 회로기판(162)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복수의 발광소자(161)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발광부(160) 및 상기 피치제어부(150) 및 발광부(160)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중심축(110)의 회전속도 및 블레이드(140)의 피치각의 변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160)를 개별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피치제어부(15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블레이드(140)의 회전축(141b)과 상기 블레이드(140)의 회전축(141b)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d)이 이격되어 설치된 고정부(141a)에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연결부재(151,151')와,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151,151')의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중심축(110)의 중심을 기준 위치로 하여 상기 상부허브(120)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체(153)와, 상기 회전체(153)를 직선상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155)와, 상기 회전체(153)의 중심을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병진 이동 및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전체(153)에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151,151')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140)의 피치각의 크기가 정현적으로 변화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155)를 회전시키는 방향전환부(157)를 포함한다.
상기 중심축(110)은 유체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며, 발전기(미도시)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발전기의 경우 통상의 발전기로 족하며, 상기 중심축(110)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별도의 방향전환 없이 제공하도록 배치하면 된다. 또한, 상기 발전기와 상기 중심축(110) 사이에는 기어나 벨트 등의 동력전달 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발전기에 걸리는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통상적인 동력 차단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심축(110)은 중공의 원통형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원통형으로 형성된 중심축(110)은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며, 유체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중심축(110)의 원통의 배후를 지나는 유체의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중심축(110)의 원통의 배후에 위치하는 블레이드(140)로부터 발생하는 회전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중심축(110)의 상부에는 복수의 상부스포크(121)가 방사형으로 연장된 형태로 상부허브(120)가 구비되며, 상기 중심축(110)의 하부에는 복수의 하부스포크(131)가 방사형으로 연장된 형태로 하부허브(130)가 구비된다.
상기 블레이드(140)는 주기적인 피치각의 변화를 갖도록 의도된 것이므로 그 단면 형상을 비행기의 날개에 주로 사용되는 대칭형의 익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140)의 길이 방향은 대략 유입하는 유체의 유동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그 길이 방향이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며, 유입되는 유체로부터 양력을 발생시켜 회전력을 얻게 된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1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140)의 폭방향이 상기 복수의 상부스포크(121) 또는 하부스포크(131) 끝단이 이루는 원주상의 접선방향과 일치할 경우 상기 블레이드(140)가 기준위치, 즉 피치각의 변화가 없는 위치에 해당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140)의 피치각()은 도 10에서 상기 원주상의 접선방향을 나타내는 실선과 상기 블레이드(140)의 측부면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140)의 폭은 상기 블레이드(140)의 단면의 익형의 코드(chord)의 길이에 해당하며, 상기 블레이드(140)는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한 하중에 영향을 받게 되므로 요구되는 강성을 가지면서도 무게가 가벼운 것이 구조적인 안전성 및 운용의 효율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140)는 무게대 강성비가 뛰어난 섬유 강화 복합재료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는 유리섬유나 탄소섬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료를 이용하여 상기 블레이드(140)를 형성하는 것은 통상적인 기술에 의해 가능하다.
상기 섬유 강화 복합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피치제어부(150)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켜 구조적인 파손을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140)는 공력중심과 무게중심이 인접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공력중심과 무게중심이 서로 멀리 떨어지면 상기 블레이드(140)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블레이드(140)와 회전체(153)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51,151')에 많은 하중이 가해지고 큰 구동력이 요구된다. 또한, 블레이드(140)의 개수는 상기 풍력 발전기(100)의 용도나 소요되는 전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40)의 회전축(141b)은, 상기 블레이드(140)의 피치각이 변할 수 있도록, 블레이드(140)가 상기 회전축(141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스포크(121) 및 하부스포크(131)에 결합된다.
이러한 회전축(141b)은 상기 블레이드(140)에 마련된 홀(미도시)에 장착됨으로써 연결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상기 회전축(141b)을 상기 블레이드(140)에 마련하고 상기 상부스포크(121) 및 하부스포크(131)에 홀(미도시)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회전축(141b) 또는 홀의 위치는 블레이드(140) 단면의 익형상의 공력중심에 놓이도록 하는 것이 블레이드(140)의 불필요한 진동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연결부재(151,151')는 상기 블레이드(140)에 의해 작용하는 인장력과 압축력에 견디는 재질의 형상을 가진 통상의 로드일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40)의 회전축(141b)와 상기 고정부(141a)가 이격된 간격인 상기 일정 간격(d)는, 블레이드(140)의 피치각 변화 범위와 상기 피치제어부(150)의 작동범위를 고려하여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51,151')의 연결을 위한 고정부(141a)를 상기 블레이드(140) 상에 마련할 수도 있지만, 제조상의 문제와 상기 블레이드(140)의 외부면을 흐르는 유체의 흐름의 난류화를 방지하기 위해 블레이드(140)를 상부스포크(121) 또는 하부스포크(131)와 연결하는 회전축상에 고정부(141a)를 마련하여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연통되도록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면은 스파(Spar)(143)에 의해 지지되어 블레이드(140)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140)의 회전축(141b)의 일단부에는 상기 양단의 홈(146)에 삽입되어 상기 블레이드(140)와 회전축(141b)을 상호 결합시키는 회전축지지대(14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140)의 양단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홈(146)을 통해 외부 공기가 상기 블레이드(140)의 내부로 소통되어, 후술되는 발광소자(161)의 점등 및 소등의 반복에 의해 가열된 발광부(160)를 냉각시키는 효과를 제공함과 동시에, 블레이드(140)의 내부는 비어진 상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블레이드(140)의 중량이 감소되므로 유체에 의한 회전효율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160)에서 발열되는 열이 상기 홈(146)을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에 의한 냉각가능 정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블레이드(140)의 내부에는 상기 발광소자(161)의 점등 및 소등의 반복으로 인하여 가열된 발광부(160)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 1의 'A'를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151,151')는 상기 회전체(153)와 베어링으로 연결되되,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151,151') 중 기준이 되는 고정 연결부재(151')는 기구학적인 작동을 위해 상기 회전체(153)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 연결부재(151')는 상기 블레이드(140)의 회전시 다른 연결부재(151)들에 비해 큰 하중이 걸리므로 더욱 강건하게 제작되어야 한다.
상기 감지부(18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의 유동방향을 감지하는 유체방향 감지부(172)와, 유체의 유동 속도를 감지하는 유체속도 감지부(173)와, 상기 중심축(110)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중심축속도 감지부(174) 및, 중심축(110)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중심축위치 감지부(17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중심축위치 감지부(175)가 감지하는 중심축(110)의 회전위치는, 상기 중심축(110)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하나의 임의의 점이 있을 경우, 상기 중심축(110)이 회전할 때 상기 임의의 점이 상기 중심축(110)의 외주면 상에서 위치하게 되는 일 위치를 의미한다. 즉, 상기 임의의 점이 상기 중심축(110)의 외주면이 형성하는 360도의 방위각 중 위치하게 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감지부(18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팬을 구비하는 감지센서를 장착하여 유체 즉, 바람 속도에 대한 회전속도와 방향을 감지하여 유체의 유동속도의 크기와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80)를 통해 감지된 각각의 정보는 작용부(미도시)에 작용신호로 전환되어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작용부는 상기 피치제어부(150)를 구동하되 상기 감지부(180)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피치제어부(150)에 작용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가이드부(155)에 연결되어서 상기 피치제어부(150)를 병진운동시키는 가이드작용부(미도시)와, 상기 방향전환부(157)에 연결되어 상기 방향전환부(157)를 회전시키는 방향전환 작용부(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향전환 작용부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압 내지는 전기적인 모터를 통해 동력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100)는, 상기 블레이드(140)의 측면부를 이용하여 사람의 잔상효과에 따라 그림 또는 동영상 등의 이미지(144)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풍력 발전기(100)는, 블레이드(140)의 일측면에 구비된 회로기판(162)과, 상기 회로기판(162)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복수의 발광소자(161)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발광부(160)를 더 포함하는데, 여기서, 상기 발광소자(161)로는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눈은 영화와 같이 일정 속도 이상으로 영상프레임이 반복되어 나타나면 연속적인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일정속도로 A의 위치에서 B의 위치로 이동하는 적색점이 온/오프되면, 사람의 눈에는 A의 위치에서 B의 위치까지 적색점이 계속 켜져 있는 것으로 보이게 되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유체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140)의 측면부에 위치한 상기 발광소자(161)를 일정한 7과 같이 일정 내용의 이미지(144)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발광소자(160)의 구비되는 수량은,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및 블레이드(14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또한, 도 4 및 도 5에는 상기 발광부(160)의 발광소자(161)는 1열로 설치되어 표현되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및 중심축(110)의 회전속도를 고려하여 2열 이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소자(16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140)의 일측면에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발광소자(161)의 하부 즉, 상기 발광소자(161)가 장착된 블레이드(140)의 일측면의 내부에는 상기 발광소자(161)에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공급선(미도시) 및 상기 발광소자(161)의 제어를 위한 신호전달선(미도시)이 복잡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발광소자(161)의 전압공급선 및 신호전달선은 상기 블레이드(140)의 일측에 장착되는 커넥터(145)를 거쳐 상기 제어부(170)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커넥터(145)의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블레이드(140)의 내부에서 상기 전압공급선 및 신호전달선이 정리되어 장착되므로, 상기 블레이드(140)의 내부를 소통하는 외부 공기의 유동에 제한을 주지 않으며, 상기 발광부(160)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중심축(110)의 회전속도 및 블레이드(140)의 피치각의 변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160)를 개별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하되, 상기 이미지(144)에 대한 데이터 정보는 상기 데이터저장부(171)에 미리 저장되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데이터저장부(171)에 저장된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발광소자(160)를 점등 또는 소등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70)는, 도 7과 같이 상기 블레이드(140)의 측면부를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인식하여, 상기 블레이드(140)의 측면부에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이미지(144)에 대응하도록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160)를 개별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한다.
이때, 상기 발광소자(161)는, 상기 이미지(144)의 다양한 표현을 위하여 여러가지 색상을 조명할 수 있는 LED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를 구현하기 위해 도 6와 같이 상기 발광소자(161)는 R(Red)발광소자(163), G(Green)발광소자(164) 및 B(Blue)발광소자(165)가 하나의 픽셀(Pixel)을 구성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R, G, B발광소자(163,164,165)는 상기 전압공급선을 통해 유입되는 전압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여 휘도가 조절되어 점등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R, G, B발광소자(163,164,165)는 각각의 저항(O)의 크기가 달리하여 구비되는데, 이로 인하여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유입되는 전압의 크기가 변화하게 되면, 상기 R, G, B발광소자(163,164,165)는 각기 다른 색상 및 휘도를 나타내어 점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140)가 유체에 의해 회전하여 각각의 블레이드(140)의 위치가 변동되거나, 상기 블레이드(140)가 피치제어부(150)에 의해 수평 회전되어 피치각이 변동되더라도, 상기 데이터저장부(171)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에 상기 감지부(180)에서 감지되는 중심축(110)의 회전속도 변동값, 블레이드(140)의 피치각 변동값 및 중심축(110)의 위치 변동값을 보상함으로써, 상기 이미지(144)를 블레이드(140)의 측면부 상의 원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데이터저장부(171)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받으며, 상기 중심축(110)의 회전속도 정보 및 블레이드(140)의 피치각의 정보와 상기 이미지데이터를 상호 동기화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161)를 개별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풍력 발전기(100)는, 상기 중심축(110)의 회전력이 발전기에 전달되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데, 이때, 발생하는 전기에너지의 일부를 상기 발광소자(161)를 점등 및 소등시키는 전력원으로 사용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풍력 발전기(100)는, 블레이드(140)의 측면부를 이미지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사용함으로써 광고효과를 창출함은 물론, 상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소요되는 전력원은 상기 풍력 발전기(100)에서 자체 발생된 전력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외부 전원 공급장치의 설치가 필요없게 되므로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풍력 발전기(100)는, 유체의 유동속도 및 유동방향에 따라 블레이드(140)의 피치각이 변동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유체의 유동속도가 낮은 상태에서도 상기 블레이드(140)가 회전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광고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140)의 측부면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도 7과 같이 상기 블레이드(140)가 회전하며 형성하는 원주의 전체 방향 즉, 360도 방향으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풍력발전기(100)에서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원주의 전체 방향을 3분할하여 상기 블레이드(140)의 측부면이 형성하는 이미지 화면을 3개의 화면으로 구분하여, 각 화면에 각각 상이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멀티스크린의 기능을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3개의 화면은 상기 원주의 전체 방향에서 각각 120도의 내각을 갖는 화면의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주의 전체 방향을 분할하는 개수는 디스플레이의 용도 및 풍력발전기의 설치 위치에 따라 2분할 및 4분할 등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나, 상기 유체의 유동이 전혀 없는 상태 즉, 무풍(無風) 또는 블레이드(140)가 회전가능한 최저 풍속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블레이드(140)의 피치각을 조절하더라도 블레이드(140)가 회전되지 않아 전기를 생산하거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풍력 발전기(100)는, 중심축(110)의 회전에 의해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미도시)가 더 구성되어 상기 축전지의 전압이 발전기(미도시)에 공급되도록 구비되거나, 외부의 전압이 상기 발전기에 공급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와 같이 유체의 유동에 의해 블레이드(140)가 회전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발전기를 제어하여 전압을 생산하는 발전기로서의 작동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상기 축전지의 전압 또는 외부의 전압을 가하여 상기 발전기가 상기 중심축(110)을 회전시키도록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블레이드(140)의 측부면에 이미지(144)가 디스플레이될 정도의 회전속도(RPM) 이상으로 상기 블레이드(14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4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D'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의 흐름에 대한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나타낸 개략도,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블레이드 피치각을 수렴하는 과정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블레이드 피치각 결정 방법에 따라 산출된 블레이드 피치각의 일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200)는, 유체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며, 발전기(미도시)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중심축(210); 상기 중심축(210)의 상부에 구비되며, 복수의 상부스포크(221)가 방사형으로 연장된 형태로 결합된 상부허브(220); 상기 중심축(210)의 하부에 구비되며, 복수의 하부스포크(231)가 방사형으로 연장된 형태로 결합된 하부허브(230); 일단부가 상기 상부허브(220)의 끝단부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부허브(230)의 끝단부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복수의 블레이드(240); 상기 블레이드(24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블레이드(240)의 피치각을 조절하는 피치제어부(250); 상기 블레이드(240)의 최적 피치각이 저장된 데이터저장부(271); 상기 유체의 유동방향을 감지하는 유체방향 감지부(272)와, 상기 유체의 유동속도를 감지하는 유체속도 감지부(273)와, 상기 중심축(210)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중심축속도 감지부(274) 및, 상기 중심축(210)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중심축위치 감지부(275)를 포함하는 감지부(280); 상기 블레이드(210)의 일측면에 구비된 회로기판(262)과, 상기 회로기판(262)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복수의 발광소자(261)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발광부(260) 및; 상기 데이터저장부(271)에 저장된 블레이드(240)의 최적피치각을 입력받아 상기 블레이드(240)가 상기 최적피치각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피치제어부(250)를 작동시키며, 상기 중심축(210)의 회전속도 및 블레이드(240)의 피치각의 변동에 따라 복수의 발광소자(261)를 개별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제어부(27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중심축(210)은 유체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며, 발전기(미도시)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발전기의 경우 통상의 발전기로 족하며, 상기 중심축(210)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별도의 방향전환 없이 제공하도록 배치하면 된다. 또한, 상기 발전기와 상기 중심축(210) 사이에는 기어나 벨트 등의 동력전달 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발전기에 걸리는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통상적인 동력 차단수단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중심축(210)은 중공의 원통형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원통형으로 형성된 중심축(210)은 구조적으로 안정하며, 유체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중심축(210)의 원통의 배후를 지나는 유체의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중심축(210)의 원통의 배후에 위치하는 블레이드(240)로부터 발생하는 회전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중심축(210)의 상부에는 복수의 상부스포크(221)가 방사형으로 연장된 형태로 상부허브(220)가 구비되며, 상기 중심축(210)의 하부에는 복수의 하부스포크(231)가 방사형으로 연장된 형태로 하부허브(2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허브(220)에는 복수의 상부스포크(221)가 일정한 간격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상부허브(220)와 상기 상부스포크(221)는 상부 힌지축(HH)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허브(220)에는 상기 풍력 발전기(200)의 작동시 상기 상부 힌지축(HH)의 회동을 제한하여 상기 상부스포크(221)를 상기 상부허브(220)에 고정시키는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허브(230)에는 복수의 하부스포크(231)가 일정한 간격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하부허브(230)와 상기 복수의 하부스포크(231)는 하부 힌지축(LH)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하부허브(230)에는 상기 풍력 발전기(200)의 작동시 상기 하부 힌지축(LH)의 회동을 제한하여 상기 하부스포크(231)를 상기 하부허브(230)에 고정시키는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허브(220) 및 하부허브(230)에는 상기 상부스포크(221) 및 하부스포크(231)의 회동을 위한 홈(G)이 형성된다.
상기 블레이드(240)는 회전축(24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241)의 상단이 상기 상부허브(220)의 상부스포크(221)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하부허브(230)의 하부스포크(231)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2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연통되도록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면은 스파(243)에 의해 지지되어 블레이드(240)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240)의 회전축(241)의 일단부에는 상기 양단의 홈(246)에 삽입되어 상기 블레이드(240)와 회전축(241)를 상호 결합시키는 회전축지지대(24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240)의 양단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홈(246)을 통해 외부 공기가 상기 블레이드(240)의 내부로 소통되어, 후술되는 발광소자(261)의 점등 및 소등의 반복에 의해 가열된 발광부(260)을 냉각시키는 효과를 제공함과 동시에, 블레이드(240)의 내부는 비어진 상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블레이드(240)의 중량이 감소되므로 유체에 의한 회전효율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260)에서 발열되는 열이 상기 홈(246)을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에 의한 냉각가능 정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블레이드(240)의 내부에는 상기 발광소자(261)의 점등 및 소등의 반복으로 인하여 가열된 발광부(260)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치제어부(2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스포크(221)의 끝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어부(270)의 제어에 의해 회전되는 서보모터(251)와, 상기 서보모터(251)의 회전축에 연결된 서보모터기어(252) 및, 상기 블레이드(240)의 회전축(241)에 연결되되 상기 서보모터기어(252)와 상호 치합되도록 구비된 블레이드기어(25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서보모터기어(252) 및 블레이드기어(253)은 베벨기어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피치제어부(250)는, 블레이드기어(253)와 서보모터기어(252)의 상호 치합된 연결로 인하여 서보모터(251)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241)에 전달하여 상기 블레이드(240)의 피치각을 변경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240)는, 상기 서보모터(251)의 회전력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241)의 동작에 의해 피치각이 조절된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240)의 피치각은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스포크(221) 및 하부스포크(231)의 말단이 회전하면서 그리는 원주상의 접선방향을 나타내는 실선과 블레이드(240)의 측부면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상기 피치제어부(250)는 제어부(270)에 의하여 작동되며, 최적의 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블레이드(240)의 피치각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70)는 펄스 형태의 제어신호를 피치제어부(250)에 보냄으로써 서보모터(251)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서보모터(251)는 매 입력 펄스마다 일정각도를 회전하게 되어 있고, 펄스의 주파수를 가변시킴으로써 서보모터(251)의 회전각 위치제어를 하는 것이다.
상기 블레이드(240)의 최적피치각은 데이터저장부(271)에 저장되어 있으며, 제어부(270)는 유체의 흐름방향, 흐름속도 및 중심축(210)의 회전속도에 따라 최적의 효율을 얻을 수 있는 블레이드 피치각을 선택하여 서보모터(251)를 구동시킨다.
상기 데이터저장부(271)에 저장된 블레이드(240)의 피치각은, 하기에서 기술할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피치각 결정 방법에 대한 부분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풍력 발전기(200)은 외부로 흐르는 유체의 변화에 따라 블레이드(240)의 피치각을 능동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항상 최상의 에너지 변환 효율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감지부(280)는, 도 8과 같이 유체의 유동방향을 감지하는 유체방향 감지부(272)와, 유체의 유동 속도를 감지하는 유체속도 감지부(273)와, 상기 중심축(210)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중심축속도 감지부(274) 및, 중심축(210)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중심축위치 감지부(27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중심축위치 감지부(175)가 감지하는 중심축(110)의 회전위치는, 상기 중심축(110)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하나의 임의의 점이 있을 경우, 상기 중심축(110)이 회전할 때 상기 임의의 점이 상기 중심축(110)의 외주면 상에서 위치하게 되는 일지점를 의미한다. 즉, 상기 임의의 점이 상기 중심축(110)의 외주면이 형성하는 360도의 방위각 중 위치하게 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감지부(28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팬을 구비하는 감지센서를 장착하여 유체 즉, 바람의 속도에 대한 회전속도와 방향을 감지하여 유체의 유동속도의 크기와 방향을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유체방향 감지부(272)로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향계를 사용하며, 상기 유체속도 감지부(273)로는 유속계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어부(270)는, 입력된 유체방향과 유체속도 및 회전축속도에 따른 최적의 블레이드 피치각을 데이터저장부(271)에서 선택하여 각 회전위치에서의 블레이드(240)가 최적의 피치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서보모터(251)를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풍력 발전기(200)는 유체의 흐름 변화 및 중심축(210)의 회전을 감지하여, 각 상황에서 최적의 효율을 얻을 수 있는 블레이드(240) 피치각을 유지함으로써, 에너지 변환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음, 상기 풍력 발전기(200)의 블레이드(240) 피치각을 결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a 단계로서, 상기 풍력 발전기(200)에서 중심축(210)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임의의 방위각을 복수개 선택하고, 상기 임의의 방위각에서 임의의 블레이드(240) 피치각을 선택한다.
즉, 풍력 발전기(200)이 회전하면서 블레이드(240)가 중심축(210)을 중심으로 360도의 방위각을 지나게 되는데, 이러한 360도의 방위각 중에서 임의의 방위각을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선택하고, 선택된 방위각에 위치한 블레이드(240)의 피치각을 임의로 선택하는 것이다.
다음 b 단계로서, 상기 a 단계에서 선택된 방위각에서의 각각의 블레이드(240) 피치각을 서로 선형으로 연결하여 선택된 임의의 방위각 이외의 방위각에서의 블레이드(240) 피치각을 결정한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임의로 선택된 방위각에서의 블레이드(240) 피치각을 임의로 선택하고, 서로 인접한 방위각에서의 블레이드(240)가 서로 비슷한 피치각을 갖도록 하여 각 방위각에서의 블레이드(240) 피치각을 선택하는 것이다.
그리고 c 단계로서, 소정의 유체속도와 소정의 중심회전속도에서 상기 풍력 발전기(100)의 출력을 계산한다. 상기 풍력 발전기(200)의 출력을 계산하는 방법으로는, 자동 격자 생성 기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 격자 생성 기법은, 설계 변수 등을 바꾸어가며 해석하는 경우 각각의 상황에 대하여 서로 다른 격자모델을 생성하여야 하는데 이 과정을 일종의 매크로로 작성하여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법이다.
또한, 격자생성과 해석을 위하여, 상용 소프트웨어인 MSC. PATRAN (MSC Software Corporation 제작, www.mscsoftware.com) 과 STAR-CD (CD-adapco 제작, www.cd-adapco.com)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 d 단계로서, 상기 a 단계 내지 c 단계를 반복하여 상기 풍력 발전기(200)의 출력이 가장 큰 블레이드(240) 피치각을 선택한다. d 단계에서는 상기 a 단계 내지 c 단계를 반복 수행하면서 상기 소정의 유체속도와 소정의 중심축속도는 변경시키지 않는다.
즉, 일정한 유체의 이동속도와 중심축회전속도에서 블레이드(240) 피치각을 임의로 변경하면서 풍력 발전기(200)의 출력을 반복 계산하고, 계산된 출력 중에서 가장 출력이 큰 경우의 블레이드(240) 피치각을 선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최적화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a 단계에서의 임의의 블레이드(240) 피치각이 결정되므로, 상기 a 단계 내지 c 단계를 반복할수록 임의의 블레이드 피치각(240)은 최적의 효율을 가지는 피치각에 근접하게 된다.
도 12는 다양한 블레이드(240) 피치각 중에서 가장 출력이 높은 블레이드(240) 피치각을 선택한 그래프이다.
그리고 e 단계로서, 상기 d 단계에서 선택된 블레이드(240) 피치각을 기준으로 상기 a 단계에서 임의로 선택했던 블레이드(240) 피치각의 범위보다 좁은 범위에서 다시 임의의 블레이드(240) 피치각을 선택한다.
다음으로 f 단계로서, 상기 b 단계 내지 e 단계를 반복하여, 소정의 유체속도와 소정의 회전축회전속도에서 풍력 발전기(200)이 최고의 출력을 얻을 수 있는 블레이드(240) 피치각으로 수렴하도록 한다.
도 13 및 도 14는 상기 b 단계 내지 e 단계를 반복하여 상기 블레이드(240) 피치각이 수렴하는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다음으로 g 단계로서, 상기 f 단계에서 수렴된 블레이드(240) 피치각을 데이터저장부(270)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h 단계로서, 상기 c 단계에서의 소정의 유체속도와 소정의 회전축회전속도를 임의의 값으로 변경한다.
마지막, i 단계로서, 상기 a 단계 내지 h 단계를 반복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유체속도 및 회전축회전속도에 따른 최적의 블레이드(240) 피치각을 데이터저장부(271)에 저장하여 데이터 베이스화한다.
도 15는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산출된 블레이드(240) 피치각의 일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에서 TSR(Tip Speed Ratio)은 블레이드(240)의 선속도를 유체속도로 나눈 값을 뜻한다.
즉, TSR이 낮은 경우는 유체의 속도에 비하여 블레이드(240)의 선속도가 낮은 경우를 뜻하고, TSR이 높은 경우는 유체의 속도에 비하여 블레이드(240)의 선속도가 높은 경우를 뜻한다.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블레이드(240)의 선속도가 낮은 경우에는 각 방위각에서의 블레이드(240) 피치각의 변화가 크고, 블레이드(240)의 선속도가 높은 경우에는 각 방위각에서의 블레이드(240) 피치각의 변화가 작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블레이드(240)의 선속도가 낮은 초기 구동시에는 풍력 발전기(200)이 항력기반으로 회전력을 얻고, 블레이드(240)의 선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풍력 발전기(200)이 양력기반으로 회전력을 얻는 것이 에너지 변환 효율이 높음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풍력 발전기(200)의 블레이드 피치각 결정 방법은 다양한 유체의 흐름에 따라 최적의 에너지 변환효율을 얻을 수 있는 블레이드(240) 피치각을 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기(200)는, 상기 블레이드(240)의 측면부를 이용하여 사람의 잔상효과에 따라 그림 또는 동영상 등의 이미지(244)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풍력 발전기(200)는, 블레이드(240)의 일측면에 구비된 회로기판(262)과, 상기 회로기판(262)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복수의 발광소자(261)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발광부(260)를 더 포함하는데, 여기서, 상기 발광소자(261)로는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발광 다이오드(LED)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눈은 영화와 같이 일정 속도 이상으로 영상프렘임이 반복되어 나타나면 연속적인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일정 속도로 A의 위치에서 B의 위치로 이동하는 적색점이 온/오프되면, 사람의 눈에는 A의 위치에서 B의 위치까지 적색점이 계속 켜져 있는 것으로 보이게 되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유체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240)의 일측면에 위치한 상기 발광소자(260)를 일정한 패턴으로 점등 및 소등시키면, 잔상효과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260)의 측면부는 도 7과 같이 일정 내용의 이미지(244)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발광소자(260)의 구비되는 수량은,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및 블레이드(24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또한, 도 4 및 도 5에는 상기 발광부(260)의 발광소자(261)는 1열로 설치되어 표현되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및 중심축(210)의 회전속도를 고려하여 2열이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소자(26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240)의 일측면에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발광소자(261)의 하부 즉, 상기 발광소자(261)가 장착된 블레이드(240)의 일측면의 내부에는 상기 발광소자(261)에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공급선(미도시) 및 상기 발광소자(261)의 제어를 위한 신호전달선(미도시)이 복잡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발광소자(261)의 전압공급선 및 신호전달선은 상기 블레이드(240)의 일측에 장착되는 커넥터(245)를 거쳐 상기 제어부(270)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커넥터(245)의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블레이드(240)의 내부에서 상기 전압공급선 및 신호전달선은 정리된 상태로 장착되므로 상기 블레이드(240)의 내부를 소통하는 외부 공기의 유동에 제한을 주지 않으며, 상기 발광부(260)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중심축(210)의 회전속도 및 블레이드(240)의 피치각의 변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261)를 개별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하되, 상기 이미지(244)에 대한 데이터 정보는 상기 데이터저장부(271)에 미리 저장되어,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데이터저장부(271)에 저장된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발광소자(261)를 점등 또는 소등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70)는, 도 7과 같이 상기 블레이드(240)의 측면부를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인식하여, 상기 블레이드의 측면부에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이미지(244)에 대응하도록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260)를 개별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발광소자(260)는 상기 이미지(244)의 다양한 표현을 위하여 여러가지 색상을 조명할 수 있는 LED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를 구현하기 위해 도 5와 같이 상기 발광소자(261)는 R(Red)발광소자(263), G(Green)발광소자(264), B(Blue)발광소자(265)가 하나의 픽셀을 구성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R, G, B발광소자(263,264,265)는 상기 전압공급선을 통해 유입되는 전압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여 휘도가 조절되어 점등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R, G, B(263,264,265)는 각각의 저항(O)의 크기가 달리하여 구비되는데, 이로 인하여 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유입되는 전압의 크기가 변화하게 되면, 상기 R, G, B(263,264,265)는 각기 다른 색상 및 휘도를 나타내어 점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240)가 유체에 의해 회전하여 각각의 블레이드(240)의 위치가 변동되거나, 상기 블레이드(240)가 서보모터(251)에 의해 수평 회전되어 피치각이 변동되더라도, 상기 데이터저장부(271)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 정보에 상기 감지부(280)에서 감지되는 중심축(210)의 회전속도 변동값, 블레이드(240)의 피치각 변동값 및 중심축(210)의 위치 변동값을 보상함으로써, 상기 이미지(244)를 원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데이터저장부(271)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받으며, 상기 중심축(210)의 회전속도 정보 및 블레이드(240)의 피치각의 정보와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호 동기화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261)를 개별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풍력 발전기(200)는 상기 중심축(210)의 회전력이 발전기에 전달되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데, 이때, 발생하는 전기에너지의 일부를 상기 발광소자(260)를 점등 및 소등시키는 전력원으로 사용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풍력 발전기(200)는, 블레이드(240)의 측면부를 이미지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사용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창출함은 물론, 상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소요되는 전력원은 상기 풍력 발전기(200)에서 자체 발생된 전력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외부 전원 공급장치의 설치가 필요없게 되므로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풍력 발전기(200)는, 유체의 유동속도 및 유동방향에 따라 블레이드(240)의 피치각이 변동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유체의 유동속도가 낮은 상태에서도 상기 블레이드(240)가 회전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광고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140)의 측부면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도 7과 같이 상기 블레이드(140)가 회전하며 형성하는 원주의 전체 방향 즉, 360도 방향으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풍력발전기(100)에서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원주의 전체 방향을 3분할하여 상기 블레이드(140)의 측부면이 형성하는 이미지 화면을 3개의 화면으로 구분하여, 각 화면에 각각 상이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멀티스크린의 기능을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3개의 화면은 상기 원주의 전체 방향에서 각각 120도의 내각을 갖는 화면의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주의 전체 방향을 분할하는 개수는 디스플레이의 용도 및 풍력발전기의 설치 위치에 따라 2분할 및 4분할 등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나, 상기 유체의 유동이 전혀 없는 상태 즉, 무풍(無風) 또는 블레이드(240)가 회전가능한 최저 풍속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블레이드(240)의 피치각을 조절하더라도 블레이드(240)가 회전되지 않아 전기를 생산하거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풍력 발전기(200)는, 생산된 전기가 저장되는 축전지(미도시)를 더 구비하거나, 외부의 전기를 유입되는 구조를 채택함과 동시에 상기 중심축(210)을 구동시킬 수 있는 별도의 모터를 장착하여, 상기와 같이 유체의 유동이 없는 경우에는 발전기의 작동을 차단하고, 상기 축전지를 이용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정도의 RPM까지 상기 블레이드(240)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풍력 발전기(200)는, 중심축(210)의 회전에 의해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미도시)가 더 구성되어 상기 축전지의 전압이 발전기(미도시)에 공급되도록 구비되거나, 외부의 전압이 상기 발전기에 공급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와 같이 유체의 유동에 의해 블레이드(240)가 회전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발전기를 제어하여 전압을 생산하는 발전기로서의 작동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상기 축전지의 전압 또는 외부의 전압을 가하여 상기 발전기가 상기 중심축(210)을 회전시키도록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블레이드(240)의 측부면에 이미지(244)가 디스플레이될 정도의 회전속도(RPM) 이상으로 상기 블레이드(24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는 블레이드의 피치각(Pitch angle)이 유체의 유동방향 및 유동속도에 따라 자동적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유입되는 유체의 방향과 속도가 변화하더라도 최적의 에너지 변환효율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3)

  1. 유체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며, 발전기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중심축;
    상기 중심축의 상부에 구비되며, 복수의 상부스포크가 방사형으로 연장된 형태로 결합된 상부허브;
    상기 중심축의 하부에 구비되며, 복수의 하부스포크가 방사형으로 연장된 형태로 결합된 하부허브;
    일단부가 상기 상부허브의 끝단부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부허브의 끝단부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복수의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조절하는 피치제어부;
    상기 유체의 유동방향을 감지하는 유체방향 감지부와, 상기 유체의 유동속도를 감지하는 유체속도 감지부와, 상기 중심축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중심축속도 감지부 및, 상기 중심축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중심축위치 감지부를 포함하는 감지부;
    상기 블레이드의 일측면에 구비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발광부 및;
    상기 피치제어부 및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중심축의 회전속도 및 블레이드의 피치각의 변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를 개별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제어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블레이드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d)이 이격되어 설치된 고정부에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연결부재와,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의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중심축의 중심을 기준 위치로 하여 상기 상부허브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직선상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 및,
    상기 회전체의 중심을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병진 이동 및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전체에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의 피치각의 크기가 정현적으로 변화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를 회전시키는 방향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제어부를 구동하되,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피치제어부에 작용력을 공급하는 작용부를 구비하는 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의 각 발광소자는,
    R(Red)발광소자, G(Green)발광소자 및 B(Blue)발광소자가 하나의 픽셀(Pixel)을 구성하며,
    상기 R,G,B 발광소자는 유입되는 전압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여 휘도가 조절되거나 점등 또는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측부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저장부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받으며,
    상기 중심축의 회전속도 정보 및 블레이드의 피치각의 정보와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호 동기화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를 개별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양단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내부에는,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의 점등 및 소등의 반복으로 인하여 가열된 상기 발광부를 냉각시키는 냉각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
  8. 유체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며, 발전기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중심축;
    상기 중심축의 상부에 구비되며, 복수의 상부스포크가 방사형으로 연장된 형태로 결합된 상부허브;
    상기 중심축의 하부에 구비되며, 복수의 하부스포크가 방사형으로 연장된 형태로 결합된 하부허브;
    일단부가 상기 상부허브의 끝단부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부허브의 끝단부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복수의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블레이드의 피치각을 조절하는 피치제어부;
    상기 블레이드의 최적 피치각이 저장된 데이터저장부;
    상기 유체의 유동방향을 감지하는 유체방향 감지부와, 상기 유체의 유동속도를 감지하는 유체속도 감지부와, 상기 중심축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중심축속도 감지부 및, 상기 중심축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중심축위치 감지부를 포함하는 감지부;
    상기 블레이드의 일측면에 구비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발광부 및;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블레이드의 최적피치각을 입력받아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최적피치각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피치제어부를 작동시키며, 상기 중심축의 회전속도 및 블레이드의 피치각의 변동에 따라 복수의 발광소자를 개별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제어부는,
    상기 상부허브의 끝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회전되는 서보모터와,
    상기 서보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서보모터기어 및,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축에 연결되되, 상기 서보모터기어와 상호 치합되도록 구비된 블레이드기어를 포함하여 구비되어,
    상기 서보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기어가 함께 회전하여 상기 블레이드의 피치각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저장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측부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저장부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받으며,
    상기 중심축의 회전속도 정보 및 블레이드의 피치각의 정보와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호 동기화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를 개별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의 각 발광소자는,
    R(Red)발광소자, G(Green)발광소자 및 B(Blue)발광소자가 하나의 픽셀(Pixel)을 구성하며,
    상기 R,G,B 발광소자는 유입되는 전압의 크기 변화에 대응하여 휘도가 조절되거나 점등 또는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양단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내부에는,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의 점등 및 소등의 반복으로 인하여 가열된 상기 발광부를 냉각시키는 냉각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발전기.
KR1020117014535A 2008-12-18 2009-02-20 풍력 발전기 KR1012304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112 2008-12-18
KR1020080129112A KR20100070532A (ko) 2008-12-18 2008-12-18 풍력 발전기
PCT/KR2009/000817 WO2010071261A1 (en) 2008-12-18 2009-02-20 Displayable wind turb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435A true KR20110089435A (ko) 2011-08-08
KR101230460B1 KR101230460B1 (ko) 2013-02-06

Family

ID=422689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112A KR20100070532A (ko) 2008-12-18 2008-12-18 풍력 발전기
KR1020117014535A KR101230460B1 (ko) 2008-12-18 2009-02-20 풍력 발전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112A KR20100070532A (ko) 2008-12-18 2008-12-18 풍력 발전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51838B2 (ko)
KR (2) KR20100070532A (ko)
WO (1) WO2010071261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036B1 (ko) * 2013-03-21 2013-10-18 (주)삼부에이티씨 트윈 에어포일형 풍력발전기
KR101418673B1 (ko) * 2013-03-20 2014-07-10 (주)삼부에이티씨 루버유도형 풍력발전기
KR101418675B1 (ko) * 2013-03-20 2014-07-10 (주)삼부에이티씨 루버유도형 풍력발전기
KR101418674B1 (ko) * 2013-03-20 2014-07-10 (주)삼부에이티씨 루버유도형 풍력발전기
KR20160004822A (ko) * 2014-07-04 2016-01-13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직 축 풍력 발전기
KR101602936B1 (ko) 2015-03-09 2016-03-14 이동한 풍력발전기
KR101698060B1 (ko) * 2015-11-19 2017-01-23 (주)지인테크 모듈형 풍력발전장치
WO2017155210A1 (ko) * 2016-03-07 2017-09-14 엘더블유피 주식회사 풍력발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09864B2 (en) * 2010-08-05 2016-04-12 Ronald Chun Yu LAM Transverse axis turbine with controllable display
CN101956653B (zh) * 2010-10-12 2012-03-28 孙世杰 叶片安装角随风向和风速而变化的垂直轴风力机
ES1073704Y (es) * 2010-12-15 2011-04-29 Ind Technoflex Sa Aerogenerador con proteccion para animales voladores
JP2014518355A (ja) * 2011-07-07 2014-07-28 7142871・カナダ・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水平多段風力タービン
CN102691617B (zh) * 2011-07-29 2014-07-09 梁北岳 动翼式升力型大功率垂直轴风力机
KR101235910B1 (ko) 2011-10-31 2013-02-2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싸이클로이달 터빈과 모터 겸용 발전기를 장착한 고공 풍력 발전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용 방법.
CA2871946C (en) * 2012-05-04 2015-10-20 Wind Energy Corporation Wind turbin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 wind turbine system
ITRM20120529A1 (it) * 2012-10-31 2014-05-01 Internat Innovation Technologi Es S R L Turbina eolica o idraulica con asse perpendicolare alla corrente dotata di pale mobili adattabili individualmente.
GB2510554B (en) 2012-11-26 2016-03-09 Supervawt Ltd Turbine with Two Part Blade having Pitch and Camber Control
KR101369198B1 (ko) 2013-03-05 2014-03-06 지유 주식회사 소형 풍력 발전장치의 블레이드 피치 제어장치
KR101418676B1 (ko) 2013-03-21 2014-07-10 (주)삼부에이티씨 트윈 에어포일형 풍력발전기
FR3016193A1 (fr) * 2014-01-08 2015-07-10 Gallo Sabrina Steinke Dispositif de gestion de vitesse aerodynamique et multi energies pour une eolienne
FR3018868A1 (fr) * 2014-03-18 2015-09-25 Patrick Claude Michel Bouquerel Dispositif d'eolienne vertical a geometrie variable
CN103883467B (zh) * 2014-03-27 2016-03-16 河海大学 升力型变桨距叶轮
US20150371575A1 (en) * 2014-06-18 2015-12-24 Anne-Julie Rosemarie Carl LED display for wind turbines
CN104533709A (zh) * 2014-11-21 2015-04-22 西北工业大学 一种具有活动叶片的垂直轴风力发电叶轮
CN104481811A (zh) * 2014-12-03 2015-04-01 秦春明 一种垂直轴升阻力综合型风力发电机
US20160230742A1 (en) * 2015-02-05 2016-08-11 Vijay Rao Wind Turbine
US20180030956A1 (en) * 2015-02-05 2018-02-01 Vijay Rao Fluid Turbine with Control System
RU2664639C2 (ru) * 2016-03-09 2018-08-21 Владислав Александрович Гуревич Способ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кинет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воздушного потока во вращательное движение плоской лопасти
CN105673321A (zh) * 2016-03-29 2016-06-15 范德义 多柱塔式多功能涡轮叶片
US20170306924A1 (en) * 2016-04-25 2017-10-26 Ricardo Morcillo Molina Wind turbine for the production of electric power with multiple-blade vanes and horizontal shaft supperted at the ends
TWI561730B (en) * 2016-05-18 2016-12-11 Inst Nuclear Energy Res Atomic Energy Council Vertical-axis wind turbine having device for changing blade angle
CN106448456A (zh) * 2016-07-06 2017-02-22 东莞理工学院 一种自适应型风力驱动的户外全方位信息展示方法、设备及控制系统
WO2019002922A1 (de) 2017-06-30 2019-01-03 Agile Wind Power Ag Vertikalwindkraftanlage mit geregeltem schnelllaufverhalten sowie bausatz für selbige und verfahren für ihren betrieb
WO2019074645A1 (en) * 2017-10-10 2019-04-18 Vijay Rao ENHANCED FLUID TURBINE WITH CONTROL SYSTEM
CN108374756B (zh) * 2018-03-12 2020-06-16 王伟民 实时变桨风轮及垂直轴风力发电机
US10920751B2 (en) * 2018-12-12 2021-02-16 Ziaur Rahman Orthogonal turbine having a speed adjusting member
US11112077B2 (en) 2019-02-22 2021-09-07 Jenesis International Inc. Illuminated ornament powered by vertical axis wind turbine
CN110440965B (zh) * 2019-06-19 2020-06-16 浙江大学 一种漂浮式海流能机组载荷的在线测量系统及方法
US11753941B2 (en) * 2020-05-11 2023-09-12 XFlow Energy Company Separable fluid turbine rotor
CN111997835A (zh) * 2020-08-21 2020-11-27 武汉科技大学 一种垂直轴风力机变桨距机构
CN112065655B (zh) * 2020-09-27 2022-06-14 王锦 叶片调节方法及模块、以及风轮和垂直轴风力发电机
DE102021118953A1 (de) * 2021-07-22 2023-01-26 Bahne Carstens Strömungskraftanlage mit Schwenkflügeln
CN114856911A (zh) * 2022-04-08 2022-08-05 阿润 一种用于轨道式风动装置叶片角度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4728A (ja) * 2001-12-11 2003-07-03 Junya Hori 風車を利用した電光表示装置
KR100490683B1 (ko) * 2002-09-30 2005-05-19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수직축 풍력발전 장치
JP4184847B2 (ja) * 2003-03-27 2008-11-19 株式会社東芝 風車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風力発電装置
EP1731758A1 (en) * 2004-03-31 2006-12-13 Intellectual Property Bank Corp. Vertical shaft type windmill and blade for windmill
JP2006307815A (ja) * 2005-04-26 2006-11-09 System Giken Kk 垂直軸型の低速時の低起動性、中高速時の高効率を有するエネルギー蓄積装置付き小型風車。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673B1 (ko) * 2013-03-20 2014-07-10 (주)삼부에이티씨 루버유도형 풍력발전기
KR101418675B1 (ko) * 2013-03-20 2014-07-10 (주)삼부에이티씨 루버유도형 풍력발전기
KR101418674B1 (ko) * 2013-03-20 2014-07-10 (주)삼부에이티씨 루버유도형 풍력발전기
KR101320036B1 (ko) * 2013-03-21 2013-10-18 (주)삼부에이티씨 트윈 에어포일형 풍력발전기
KR20160004822A (ko) * 2014-07-04 2016-01-13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직 축 풍력 발전기
KR101602936B1 (ko) 2015-03-09 2016-03-14 이동한 풍력발전기
KR101698060B1 (ko) * 2015-11-19 2017-01-23 (주)지인테크 모듈형 풍력발전장치
WO2017155210A1 (ko) * 2016-03-07 2017-09-14 엘더블유피 주식회사 풍력발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51838B2 (en) 2014-10-07
US20110305569A1 (en) 2011-12-15
KR101230460B1 (ko) 2013-02-06
KR20100070532A (ko) 2010-06-28
WO2010071261A1 (en)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0460B1 (ko) 풍력 발전기
US8872375B2 (en) Wind turbine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US8373294B2 (en) Vertical axis wind turbine
KR101181596B1 (ko) 수직축 풍력발전기
JP2010121518A (ja) 縦軸式マグナス型風力発電装置
KR101267853B1 (ko) 수직형 터빈
GB2466243A (en) A wind powered display creating images due to persistence of vision effect of LEDs provided on rotating wind turbine blades
CN104050874A (zh) 一种风能防风高炮广告牌
CN101644230A (zh) 风力发电装置桨叶变桨矩装置
KR101291356B1 (ko) 풍력발전기용 기류 상승장치
CN201531369U (zh) 整合led扫描显示装置的垂直轴风车
CN110770435B (zh) 帆装置
CN210563703U (zh) 一种隐蔽式智能伸缩旗杆
CN201050448Y (zh) 一种水平升力型叶片风力发电机
KR200316409Y1 (ko)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회전전광판
KR101165418B1 (ko) 풍력 발전 장치
JP3810723B2 (ja) 連環式翼通過面積調整装置を備えた風車
KR20140069458A (ko) 풍력발전기의 수직형 블레이드를 이용한 광고 조명장치
KR101919805B1 (ko) 발전량 조절이 가능한 풍력발전기
CN110725604A (zh) 一种自动补风的智能旗杆
KR101745920B1 (ko) 풍력발전기
KR20130058564A (ko) 풍력 발전 겸용 조형물
KR20130060769A (ko) 풍력발전기가 구비된 크레인
US20120294728A1 (en) Wind diode systems
CN110725603A (zh) 一种自动补风的智能伸缩旗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