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8351A -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8351A
KR20110088351A KR1020100098356A KR20100098356A KR20110088351A KR 20110088351 A KR20110088351 A KR 20110088351A KR 1020100098356 A KR1020100098356 A KR 1020100098356A KR 20100098356 A KR20100098356 A KR 20100098356A KR 20110088351 A KR20110088351 A KR 20110088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uide
cam
hol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8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태
강윤철
안성호
유중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0206280569U priority Critical patent/CN201893822U/zh
Priority to KR1020100131679A priority patent/KR101768719B1/ko
Priority to US13/007,001 priority patent/US8363391B2/en
Publication of KR20110088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3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3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the relative angle between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하우징들과, 상기 하우징들을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하우징들 중 제1의 하우징에 고정되는 힌지 브라켓; 상기 하우징들 중 제2의 하우징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힌지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 부재; 상기 회동 부재 상에 제공되며 상기 힌지축 주위를 따라 형성되고, 적어도 한 쌍의 홈부(recess portion)들을 포함하는 캠 표면; 및 상기 힌지 브라켓 상에서 상기 힌지축의 수직 방향으로 진퇴 운동 가능하게 수용된 캠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 부재가 회동하면 상기 캠 부재는 상기 캠 표면에 미끄럼 접촉하며, 상기 캠 부재가 상기 캠 표면의 홈부들 중 하나와 맞물려 적어도 상기 하우징들이 서로 접철되거나 서로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는 위치에서 정지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 쌍의 하우징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이동통신 기능 등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기기로서, 외형에 따라 바형(bar type)과 플립형(flip type)과 폴더형(folder type) 단말기로 분류될 수 있다.
바형 단말기는 하나의 본체 하우징(housing)에 데이터 입출력 수단과 송, 수화부가 장착되는 형태로서, 데이터 입력 수단이 되는 키패드(keypad)가 항시 노출되어 있어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고 송화부와 수화부 사이의 거리확보 문제로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다.
플립형 단말기는 본체와, 플립과, 상기 본체와 플립을 연결시키는 힌지 모듈(hinge module)로 구성된 형태로서, 상기 본체에 데이터 입출력 수단과 송수화부가 설치되며, 상기 플립이 상기 데이터 입력 수단인 키패드를 덮어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나, 플립형 단말기 역시 송화부와 수화부의 거리확보 문제로 인하여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폴더형 단말기는 본체와, 폴더와, 상기 본체와 폴더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 모듈로 구성되어 상기 폴더가 회동하여 개폐되는 형태로서, 상기 폴더가 본체에 밀착된 통화대기 모드에서는 키패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통화모드에서는 상기 폴더가 펼쳐져 송화부와 수화부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소형화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의 디자인이 다양화되면서 두 개의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하우징이 다른 하나의 하우징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개폐되는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들을 통한 이동통신 서비스가 초기에는 음성통화나 단문 메시지 전송 등에 한정되었으나, 게임, 대용량 파일 전송, 인터넷 접속 등 서비스 콘텐츠가 점차 증가하고, 동영상 파일 재생 등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화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들을 통해 구현되는 멀티미디어 기능은 음악 파일 재생, 방송 시청, 동영상 파일 재생 등이 있는데, 방송 시청이나 동영상 파일 재생 시에는, 대체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가로 방향으로 길게 위치시키는 것이 더 넓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바닥에 경사지게 위치시킬 수 있다면, 사용자는 단말기를 직접 손에 쥐고 있지 않고 편안하게 멀티미디어 기능을 즐길 수 있게 된다.
폴더형 단말기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폴더를 개방했을 때, 폴더가 본체에 대하여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바닥에 경사지게 위치시키는 것이 용이한 편이다. 그러나 바형 단말기 또는 슬라이딩형 단말기는 단지 하나의 하우징만을 구비하거나, 한 쌍의 하우징들로 이루어져 있다 하더라도 하우징들이 서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바닥에 경사지게 위치시키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기능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일이나 문서 작성 등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 쌍의 하우징들과, 상기 하우징들을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하우징들 중 제1의 하우징에 고정되는 힌지 브라켓;
상기 하우징들 중 제2의 하우징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힌지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 부재;
상기 회동 부재 상에 제공되며 상기 힌지축 주위를 따라 형성되고, 적어도 한 쌍의 홈부(recess portion)들을 포함하는 캠 표면; 및
상기 힌지 브라켓 상에서 상기 힌지축의 수직 방향으로 진퇴 운동 가능하게 수용된 캠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 부재가 회동하면 상기 캠 부재는 상기 캠 표면에 미끄럼 접촉하며, 상기 캠 부재가 상기 캠 표면의 홈부들 중 하나와 맞물려 적어도 상기 하우징들이 서로 접철되거나 서로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는 위치에서 정지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힌지 브라켓은 상기 힌지축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캠 홀을 구비하며, 상기 캠 부재는 상기 캠 홀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회동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하우징에 접철되거나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경사지게 위치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제2 하우징과 함께 상기 가이드 부재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부분이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힌지 브라켓의 일단부에서 상기 힌지축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된 제1 회동홀; 상기 회동 부재의 일단부에서 상기 힌지축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된 제2 회동홀; 및 상기 제1, 제2 회동홀을 관통하게 결합되는 회동 핀을 더 구비하고,
상기 회동 부재는 상기 회동 핀의 지지를 받아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하우징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 홈; 상기 가이드 홈 내에 제공되는 경사면;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형성된 간섭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안 상기 간섭 부재는 상기 가이드 홈 내에 수용되며,
상기 제1 하우징이 일부분이 개방된 때, 상기 간섭 부재가 상기 경사면에 간섭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을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경사지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면은 상기 가이드 홈의 일단부에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간섭 부재는 상기 제2 하우징에 의해 항상 은폐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에 돌출되며, 상기 제2 하우징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제2 하우징에 개폐되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부분에 근접할수록 돌출된 높이가 점차 낮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2 하우징에 의해 항상 은폐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되는 금속편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이 일부분이 개방된 때, 상기 금속편이 상기 자성체와 인접하게 위치되어 인력이 발생시켜 상기 제2 하우징을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경사지게 위치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는 한 하우징에 대하여 다른 하우징을 경사지게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한 하우징을 바닥에 놓았을 때 다른 하우징이 바닥에 경사지게 위치된다. 바닥에 경사지게 위치되는 하우징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한다면 사용자는 편리하게 멀티미디어 기능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단말기를 조작하는 동안에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표시 방향을 사용자의 시선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어 메일이나 문서 작성, 인터넷 접속 등에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슬라이딩 이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회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힌지 장치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힌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힌지 장치의 회동 부재가 회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힌지 장치의 회동 동작 전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힌지 장치의 회동 동작 후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5는 도 10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1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도 10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도 10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슬라이딩 이동한 후 회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제2 하우징의 후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을 투영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3과 도 4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2 하우징(102)이 슬라이딩 이동한 모습과, 슬라이딩 이동한 상태에서 회동한 모습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는 슬라이딩형 단말기에 힌지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제1 하우징(101)에 대하여 제2 하우징(102)이 회동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힌지 장치를 이용하여 바형 단말기에 평판 형태 또는 봉 형태의 지지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면, 바형 단말기 또한 바닥에 경사지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됨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은 그의 일면 중 제1의 영역에 설치된 키패드(111)와, 나머지 영역, 즉 제2의 영역 중 일부에 형성되는 수용홈(117)과 장착홀(119)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개폐되는 영역을 의미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슬라이딩 이동 여부와 관계없이 항상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키패드(111)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와 같이 숫자 키 배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의 자판과 같은 쿼티(qwerty) 배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키패드(111)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단말기(100)를 가로 방향으로 길게 위치시켜 조작하는 것이 편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키패드(111)는 쿼티 배열의 자판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홈(117)은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 부재(201)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에서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장착홀(119)은 상기 힌지 장치 중 아래에서 설명될 힌지 브라켓(103)을 장착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수용홈(117)은 상기 가이드 부재(201)에, 상기 장착홀(119)은 상기 힌지 브라켓(103)에 각각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장착홀(119)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수용홈(117)의 바닥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홈(117)과 장착홀(119)은 각각 상기 제2 영역 내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2 하우징(102)에 의해 항상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에는 그 일면에 디스플레이 장치(121)가 설치되어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를 제작할 경우,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키패드(111)를 폐쇄한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를 통해 구현되는 메뉴 등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의 양측에는 음성 통화 기능에 이용되는 송화부와 수화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슬라이드 부재(202), 상기 가이드 부재(201), 회동 부재(104) 및 상기 힌지 브라켓(103)을 통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 부재(202)와 가이드 부재(201)가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게 되며, 상기 회동 부재(104)와 힌지 브라켓(103)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하여 상기 제2 하우징(102)을 회동 가능하게 한다.
도 2를 더 참조하면, 상기 힌지 브라켓(103)은 상기 제1 하우징(101),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홀(119)에 장착되며, 상기 제1 하우징(10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힌지축(A)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캠 홀(139)을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힌지 브라켓(103)의 일단부에는 상기 힌지축(A)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회동홀(135)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힌지 브라켓(103)의 일단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지지 부재(133)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회동홀(135)은 상기 지지 부재(133)들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 홀(139)의 일단은 상기 지지 부재(133)들 사이에 위치되며, 타단은 상기 힌지 브라켓(103)의 타단에 위치된다. 상기 캠 홀(139)이 형성된 부분은 상기 제1 하우징(101)에 고정할 수 있는 체결 수단을 제공하기 위해 평판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회동 부재(104)는 그의 일단이 상기 지지 부재(133)들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지지 부재(133)들은 상기 회동 부재(104)의 일단부 양측면을 감싸게 결합되는 것이다. 참조번호를 부여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회동 부재(104)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 회동홀(135)과 일직선 상에,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힌지축(A) 상에 정렬되는 제2 회동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회동홀이 정렬된 상태에서, 일측의 상기 지지 부재(133)로부터 상기 회동 부재(104)와 타측의 상기 지지 부재(133)를 관통하여 회동 핀(131)이 상기 제1, 제2 회동홀에 결합된다. 상기 회동 핀(131)의 일단은 직경이 다른 부분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일측의 상기 지지 부재(133)에 지지되며, 타단에는 이-링(E-ring)(137)과 같은 체결 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회동 핀(131)을 상기 지지 부재(133)에 결속시킨다. 이로써, 상기 회동 부재(104)는 상기 힌지축(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힌지 브라켓(103)에 결합된다.
상기 캠 홀(139)에는 캠 부재(10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캠 부재(105)는 볼 플런저(ball plunger)(151), 탄성 부재(153), 스크루(screw)(155)와 같은 체결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탄성 부재(153)의 일단은 상기 볼 플런저(151)에 지지되며, 타단은 상기 스크루(155)에 지지된다. 이때, 상기 스크루(155)는 상기 힌지 브라켓(103),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캠 홀(139)의 타단에 체결되어 상기 탄성 부재(153) 등이 상기 캠 홀(139)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볼 플런저(151)는 상기 탄성 부재(153)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그의 일부분을 상기 캠 홀(139)의 일단으로 돌출시키게 된다.
상기 캠 부재(105)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상기 볼 플런저(151), 탄성 부재(153)를 순차적으로 상기 캠 홀(139)의 타단으로 삽입한 후 상기 스크루(155)를 체결하면 되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다.
도 5와 도 6을 더 참조하면, 상기 회동 부재(104)의 일단부에는 제1 홈부(recess portion)(141)와 제2 홈부(143)를 포함하는 캠 표면이 상기 힌지축(A)으로 이격되면서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회동 부재(104)가 상기 힌지 브라켓(103)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캠 표면은 상기 캠 홀(139)의 일단과 대면하게 된다. 상기 회동 부재(104)와 상기 캠 부재(105)가 모두 상기 힌지 브라켓(103)에 설치되면, 상기 캠 홀(139)의 일단으로 돌출된 상기 볼 플런저(151)의 일부분은 상기 캠 표면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 부재(104)가 회동하면, 상기 볼 플런저(151)는 상기 캠 표면에 미끄럼 접촉하게 되며, 때때로 회전할 수도 있다. 이러한 회전으로 인해 상기 볼 플런저(151)와 탄성 부재(153) 사이에 불필요한 마찰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볼 플런저(151)와 탄성 부재(153) 사이에 와셔(159)를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동 부재(104)가 회동하는 동안, 상기 제1, 제2 홈부(141, 143) 사이의 돌출된 부분과 접촉되면 상기 볼 플런저(151)는 상기 캠 홀(139)의 내측으로 후퇴하게 된다. 즉, 상기 볼 플런저(151)는 상기 캠 홀(139) 내에서 진퇴 운동하는 것이다.
도 5는 상기 회동 부재(104)가 상기 힌지 브라켓(103)에 완전히 접철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때, 상기 볼 플런저(151)는 상기 제2 홈부(143)와 맞물려 있어 상기 회동 부재(104)는 안정된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 플런저(151)은 상기 제2 홈부(143)과 완전히 맞물리지 않고 경사면 상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2 하우징을 상기 제2 영역에 더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과 평행한 상태를 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회동 부재(104)가 회동하여 상기 힌지 브라켓(103)에 대하여 경사지게 위치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때, 상기 볼 플런저(151)는 상기 제1 홈부(141)와 맞물려 상기 회동 부재(104)를 상기 힌지 브라켓(103)에 대하여 경사지게 위치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이 서로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슬라이딩 이동만 가능하게 된다. 이는 상기 힌지축(A)이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하면서 상기 제2 영역 상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양 측단은 각각 상기 힌지축(A)의 양측에서 각각 상기 제1 하우징(101)에 간섭되어 회동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이 서로 접철된 때에는 상기 힌지축(A)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양측이 모두 상기 제1 하우징(101)과 간섭되어 회동할 수 없으며, 상기 제2 하우징(102)이 회동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어느 일측은 상기 제1 하우징(101)과 간섭되지 않아야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면 상기 키패드(111)가 설치된 영역이 개방되며,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안 상기 키패드(111) 상에서 이동하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일 측단은 상기 힌지축(A)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일 측단이 상기 힌지축(A) 상에 위치되면,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힌지축(A)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영역 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키패드(111)가 완전히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힌지축(A) 상에 위치된 그의 일 측단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하여 경사지게 위치되면,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100)를 책상 등, 바닥에 놓더라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가 바닥에 경사지게 위치되어 방송 시청이나 동영상 파일을 편안하게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메일이나 문서 등을 작성할 때에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의 화면 표시 방향을 사용자의 시선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1 등에 도시된 힌지 장치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힌지 장치는 힌지 브라켓(204)과 회동 부재(205)에 각각 가이드 홀(243, 253)을 형성한 점에서 선행 실시 예의 힌지 장치와 차이가 있다. 또한, 도 7 내지 도 9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선행 실시 예의 캠 표면이나 캠 부재를 본 실시 예의 힌지 장치에도 설치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선행 실시 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에 부호를 기재하지 않았음에 유의한다.
상기 힌지 브라켓(204)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지지 부재들에 각각 형성된 제1 회동홀(241)과 제1 가이드 홀(243)을 구비한다. 상기 힌지 브라켓(204)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설치되면, 상기 제1 회동홀(241)은 상기 힌지축(A) 상에 위치된다. 상기 제1 가이드 홀(243)은 상기 제1 회동홀(24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힌지축(A)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곡선 형태로 연장된 장공이다.
상기 회동 부재(205)는 제2 회동홀(251)과 제2 가이드홀(253)을 구비한다. 상기 회동 부재(205)가 그의 양 측면이 상기 지지 부재들에 감싸지는 상태로 상기 힌지 브라켓(204)과 결합되면, 상기 제2 회동홀(251)은 상기 제1 회동홀(241)들과 일직선 상에 정렬되며, 회동 핀(261)이 상기 제1, 제2 회동홀(241, 251)을 관통하게 결합, 체결되어 상기 회동 부재(205)를 상기 힌지 브라켓(204)에 결속시키게 된다. 상기 제1, 제2 가이드 홀(243, 253)에는 가이드 핀(263)이 결합되는데, 상기 가이드 핀(263)은 상기 제2 가이드 홀(253)에 고정되면서, 적어도 그의 일단은 상기 제1 가이드 홀(243) 내에 위치된다. 상기 회동 부재(205)가 상기 힌지축(A)을 중심으로 회동하면, 상기 가이드 핀(263)은 상기 제1 가이드 홀(243) 내에서 상기 힌지축(A) 주위를 선회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핀(263)이 상기 제1 가이드 홀(243)의 양단 중 어느 한 쪽의 내벽에 간섭되면 상기 회동 부재(205)는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고 정지된다. 즉, 상기 회동 부재(205)는 상기 제1 가이드 홀(243)이 연장된 길이 범위에서만 회동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263)과 제1, 제2 가이드 홀(243, 253)들을 이용하여 상기 회동 부재(205)의 회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가이드 핀(263)이 상기 제1 가이드 홀(243)의 안내를 받게 되므로, 상기 회동 부재(205)의 회동을 더 안정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201)는, 통상의 슬라이딩형 단말기의 경우 제1 하우징에 고정되지만, 상기 회동 부재(104)에 고정되어 상기 회동 부재(104)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접철되거나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하여 경사지게 위치된다.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201)는 상기 수용홈(117) 내에 위치된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202)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타면에 고정되며, 그의 양 측단이 상기 가이드 부재(201)에 의해 감싸지게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202)가 상기 가이드 부재(201)의 안내를 받아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 하우징(102) 또한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부재(201)는 그의 양 측단이 각각 상기 슬라이드 부재(202)의 양 측단을 감싸게 절곡되어 형성된 가이드 리브(211)들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리브(211)의 내측면에 각각 윤활 부재(21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윤활 부재(213)는 상기 가이드 리브(211)와 슬라이드 부재(202) 사이에서 마찰력을 완화하고 슬라이딩 이동에 따른 소음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윤활 부재는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윤활성을 가지는 폼(polyoxymethylene; POM)이나 아세탈(acetal)과 같은 합성 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211)들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202)를 감싸게 되므로, 그 일부분이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타면에 직접 접촉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211)가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타면에 직접 접촉되어 마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타면에는 회피홈(129)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피홈(129)들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 리브(211)의 일부분을 수용하게 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지만, 상기 가이드 부재(201)와 슬라이드 부재(202) 사이에는 또 다른 탄성 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부재(202)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202)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양단으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자유단들을 구비하는 토션 스프링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토션 스프링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202)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안, 상기 자유단들이 서로 근접하거나 멀어지게 이동하며, 상기 코일은 상기 자유단들을 서로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토션 스프링의 동작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토션 스프링뿐만 아니라 지그재그 형상의 와이어 스프링 등 다양한 형태의 탄성 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키패드(111)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상기 힌지축(A)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하여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30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300)는 선행 실시 예와 유사한 구조이나, 제2 하우징(302)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키패드(311)가 설치된 제1 하우징(301)의 제1 영역을 개방하였을 때, 상기 제1 하우징(301)에 대하여 상기 제2 하우징(302)이 자동적으로 경사지게 위치되는 구성인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선행 실시 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15를 더 참조하면, 상기 제1 하우징(301)에는, 선행 실시 예와 유사하게, 상기 제2 하우징(302)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개폐되는 제1 영역에 키패드(31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하우징(302)의 슬라이딩 이동 여부와 관계없이 항상 폐쇄되는 제2 영역에 수용홈(317), 장착홀(319)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선행 실시 예와 다르게, 상기 제1 하우징(301)에는 상기 제2 영역에 간섭 부재(3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간섭 부재(315)는 상기 제2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하우징(301)의 일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 하우징(302)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제1 영역에 근접할수록 돌출된 높이는 더 낮게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영역에는 자성체(429a; 도 15, 도 19에 도시됨)들이 설치된다. 상기 자성체(429a)들을 설치하기 위해, 상기 제2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는 위치에 한 쌍의 홀(313)들이 형성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313)들 각각에 자성체(429a)들이 설치된다.
상기 장착홀(319)에는 도 12에 더 상세하게 도시된 힌지 장치(30)의 힌지 브라켓(303)이 고정되며, 상기 힌지 장치(30)의 회동 부재(304)는 상기 힌지 브라켓(30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힌지 브라켓(303)에 형성된 지지 부재(335)와 상기 회동 부재(304)에 형성된 회동홀(341)을 관통하여 회동 핀(331)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동 부재(304)는 상기 힌지 브라켓(303)에 결합되어 힌지축(H)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힌지축(H)은 상기 회동 핀(331)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회동 핀(331)의 일단은 일측 지지 부재의 외측면에 지지되며, 타측의 지지 부재 외측면으로 그 타단이 돌출되어 이-링과 같은 체결 부재(333)가 결속된다.
상기 힌지 브라켓(303)에는 상기 힌지축(H)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캠 홀(337)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 부재(304)에는 상기 캠 홀(337)과 대면하는 캠 표면(345; 도 13, 도 14에 도시됨)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동 부재(304)가 회동하면 상기 캠 표면(345)의 일부분이 상기 캠 홀(337)과 대면하게 된다. 상기 캠 홀(337)에는 플런저(351), 탄성 부재(353), 지지 스크루(355)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 부재(353)는 상기 플런저(351)와 지지 스크루(355)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플런저(351)를 상기 캠 표면(345)에 밀착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선행 실시 예에서는 볼 플런저가 이용된 반면에, 본 실시 예의 상기 플런저(351)는 상기 탄성 부재(353)에 지지되는 지지부(351b)와 상기 지지부(351b)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캠 부(351a)를 구비한다. 상기 회동 부재(304)에는 회피홀(343)이 형성되어 회동하기 전, 상기 힌지 브라켓(303)에 상기 회동 부재(304)가 밀착되어 있을 때, 상기 캠 홀(337)을 형성하기 위해 돌출된 부분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회동 부재(304)가 회동하면 상기 캠 표면(345)은 상기 플런저(351), 더 구체적으로 상기 캠 부(351a)와 미끄럼 접촉하게 되며, 상기 캠 표면(345)에는 일정 위치에 상기 캠 부(351a)와 맞물리는 홈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 부(351a)는 상기 캠 표면(345)에 형성된 홈들 중 하나와 맞물려, 상기 제2 하우징(302)을 상기 제1 하우징(301)에 평행한 상태로 유지하거나, 상기 제1 하우징(301)을 개방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하우징(301)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 회동 부재(304)에는 가이드 부재(401)가 고정되어 상기 제1 하우징(301)에 대하여 회동한다. 상기 힌지 장치(30)가 상기 제1 하우징(301)의 제2 영역에서 양측에 각각 장착되면, 상기 가이드 부재(401)는 상기 회동 부재(304)와 함께 상기 제1 하우징(301)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부재(401)에는 상기 회동 부재(304)가 결합될 수 있는 일정한 형상의 고정홈(419)을 형성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회동 부재(304)가 회동하기 전에 상기 가이드 부재(401)는 상기 수용홈(317) 상에 위치되며, 상기 회동 부재(304)가 회동하면 상기 가이드 부재(401)는 상기 제1 하우징(301)에 경사지게 위치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401)의 양 측단에는 각각 가이드 리브(411)가 서로 마주보게 절곡되어 있다.
상기 제2 하우징(302)에는 전면에 디스플레이 장치(321)가 설치되어 있으며, 후면에는 슬라이드 부재(402)가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402)는 상기 제2 하우징(302)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슬릿(421)들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슬릿(421)을 통해 상기 가이드 리브(411)들이 상기 슬라이드 부재(402)에 결속된다. 결국, 상기 제2 하우징(302)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402)와 함께 상기 가이드 리브(411)들의 안내를 받아 상기 가이드 부재(40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2 하우징(302)의 후면에 상기 슬라이드 부재(402)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401)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402)가 결합된 모습이 도 16에 도시되고 있다.
한편, 상기 제2 하우징(301)의 후면에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402)의 양측에 인접하게 가이드 홈(329a)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홈(329a)은 상기 제2 하우징(302)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하우징(302)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안, 상기 간섭 부재(315)를 수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홈(329a)의 일단부에는 경사면(329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하우징(302)에 의해 상기 제1 영역이 개방된 때, 상기 경사면(329b)이 상기 간섭 부재(315)에 간섭되어 상기 제2 하우징(302)을 상기 제1 하우징(301)에 대하여 경사지게 회동시킨다.
아울러, 상기 제2 하우징(302)의 일측면에서 후면 가장자리에 근접하게 금속편(429b)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금속편(429b)을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302)의 일측면에 설치되기는 하지만, 상기 단말기(300)의 외관으로 상기 금속편(429b)이 노출되지 않도록 도장 등으로 은폐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하우징(302)의 일측 내벽에 상기 금속편(429b)을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키패드(311), 다시 말해서, 상기 제1 하우징(301)의 제1 영역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금속편(429b)들은 상기 자성체(429a)들과 상응하게 위치되어, 상기 자성체(429a)들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301)의 일면으로 근접하려는 성향을 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자성체(429a)와 금속편(429b)들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302)은 상기 제1 하우징(301)의 제1 영역을 개방한 상태에서 자동적으로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하우징(302)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개시하지는 않지만, 토션 스프링과 같이 양단을 서로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상기 가이드 부재(401)와 슬라이드 부재(402)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401)와 슬라이드 부재(402) 사이에 이러한 탄성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2 하우징(302)의 슬라이딩 동작을 반자동으로 구현할 수 있다.
결국,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300)는 상기 제1 영역이 개방된 때, 상기 간섭 부재(315)와 가이드 홈(329a)의 경사면(329b)이 간섭됨에 따라 상기 제2 하우징(302)이 회동하여 자동적으로 상기 제1 하우징(301)에 대하여 경사지게 위치된다. 또한, 상기 자성체(429a)와 금속편(429b)의 인력은 상기 제2 하우징(302)을 상기 제1 하우징(301)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하며, 이 상태에서 상기 캠 부(351a)와 맞물리는 홈을 상기 캠 표면(345)에 형성한다면 상기 제1 하우징(301)에 대하여 경사지게 위치된 상기 제2 하우징(302)을 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 휴대용 단말기 101 : 제1 하우징
102 : 제2 하우징 103 : 힌지 브라켓
104 : 회동 부재 105 : 캠 부재
201 : 가이드 부재 202 : 슬라이드 부재

Claims (20)

  1. 한 쌍의 하우징들과, 상기 하우징들을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하우징들 중 제1의 하우징에 고정되는 힌지 브라켓;
    상기 하우징들 중 제2의 하우징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힌지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 부재;
    상기 회동 부재 상에 제공되며 상기 힌지축 주위를 따라 형성되고, 적어도 한 쌍의 홈부(recess portion)들을 포함하는 캠 표면; 및
    상기 힌지 브라켓 상에서 상기 힌지축의 수직 방향으로 진퇴 운동 가능하게 수용된 캠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 부재가 회동하면 상기 캠 부재는 상기 캠 표면에 미끄럼 접촉하며, 상기 캠 부재가 상기 캠 표면의 홈부들 중 하나와 맞물려 적어도 상기 하우징들이 서로 접철되거나 서로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는 위치에서 정지 상태로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브라켓은 상기 힌지축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캠 홀을 구비하며, 상기 캠 부재는 상기 캠 홀에 수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캠 홀의 일단은 상기 캠 표면과 대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는,
    상기 캠 홀 내에 진퇴 운동하면서 일부분을 상기 캠 홀의 일단으로 돌출시키는 볼 플런저(ball plunger);
    일단이 상기 볼 플런저에 지지되어 상기 볼 플런저를 일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캠 홀의 일단에 체결되어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을 지지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가 가압함에 따라 상기 볼 플런저의 일부분이 상기 캠 홀의 일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캠 표면에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는 상기 볼 플런저와 상기 탄성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와셔(washer)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하우징에 접철되거나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경사지게 위치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제2 하우징과 함께 상기 가이드 부재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부분이 개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부분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 부재가 회동하여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경사지게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일면의 제1의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하우징에 의해 개폐되는 키패드; 및
    일면의 제2의 영역에 형성되는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 부재가 상기 제1 하우징에 접철된 상태에서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이 슬라이딩 이동하더라도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하우징에 의해 항상 은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으로부터 함몰된 장착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힌지 브라켓이 상기 장착홀 내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그 양측단이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양측단을 감싸게 절곡된 가이드 리브들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그의 일면에 슬라이딩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된 회피홈들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리브들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회피홈 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가이드 리브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 리브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윤활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윤활 부재는 합성 수지 재질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브라켓의 일단부에서 상기 힌지축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된 제1 회동홀;
    상기 회동 부재의 일단부에서 상기 힌지축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된 제2 회동홀; 및
    상기 제1, 제2 회동홀을 관통하게 결합되는 회동 핀을 더 구비하고,
    상기 회동 부재는 상기 회동 핀의 지지를 받아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브라켓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회동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 홀;
    상기 회동 부재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 홀; 및
    상기 제2 가이드 홀에 고정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가이드 홀 내에 위치되는 가이드 핀을 더 구비하고,
    상기 회동 부재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제1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브라켓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기 회동 부재의 일단부 양측면을 감싸는 지지 부재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회동 홀과 제1 가이드 홀은 상기 지지 부재들 각각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하우징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 홈;
    상기 가이드 홈 내에 제공되는 경사면;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형성된 간섭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안 상기 간섭 부재는 상기 가이드 홈 내에 수용되며,
    상기 제1 하우징이 일부분이 개방된 때, 상기 간섭 부재가 상기 경사면에 간섭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을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경사지게 위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가이드 홈의 일단부에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부재는 상기 제2 하우징에 의해 항상 은폐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에 돌출되며, 상기 제2 하우징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제2 하우징에 개폐되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부분에 근접할수록 돌출된 높이가 점차 낮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0. 제6 항 또는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에 의해 항상 은폐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되는 금속편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이 일부분이 개방된 때, 상기 금속편이 상기 자성체와 인접하게 위치되어 인력이 발생시켜 상기 제2 하우징을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경사지게 위치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100098356A 2010-01-26 2010-10-08 휴대용 단말기 KR2011008835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206280569U CN201893822U (zh) 2010-01-26 2010-11-24 便携式终端
KR1020100131679A KR101768719B1 (ko) 2010-01-26 2010-12-21 휴대용 단말기
US13/007,001 US8363391B2 (en) 2010-01-26 2011-01-14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162 2010-01-26
KR20100007162 2010-01-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351A true KR20110088351A (ko) 2011-08-03

Family

ID=434639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356A KR20110088351A (ko) 2010-01-26 2010-10-08 휴대용 단말기
KR1020100131679A KR101768719B1 (ko) 2010-01-26 2010-12-21 휴대용 단말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679A KR101768719B1 (ko) 2010-01-26 2010-12-21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110088351A (ko)
CN (1) CN20171791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427B1 (ko) * 2011-09-07 2018-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틸트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65719B2 (en) * 2008-03-04 2012-09-11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Link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8719B1 (ko) 2017-08-17
CN201717911U (zh) 2011-01-19
KR20110088366A (ko)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3391B2 (en) Portable terminal
KR100856238B1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EP1988691B1 (en)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US8200299B2 (en) Portable terminal
US20080161075A1 (en) Slide-Up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Portable Terminal
US7953464B2 (en)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KR100790109B1 (ko) 푸쉬 로드 및 그를 구비하는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20050089257A (ko) 팝-업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066350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CN101001269A (zh) 带有滑动组件的便携式终端
US8505167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a hinge apparatus
KR100819284B1 (ko)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110088351A (ko) 휴대용 단말기
KR100899741B1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20060130359A (ko)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469969B1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100790106B1 (ko) 거치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80078187A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20100056862A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101409510B1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100860678B1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100697648B1 (ko) 개인휴대단말기
KR20120090411A (ko) 댐핑 부재를 구비하는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20120066867A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