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7782A - 자동판매기의 농축음료 희석토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의 농축음료 희석토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7782A
KR20110087782A KR1020100007371A KR20100007371A KR20110087782A KR 20110087782 A KR20110087782 A KR 20110087782A KR 1020100007371 A KR1020100007371 A KR 1020100007371A KR 20100007371 A KR20100007371 A KR 20100007371A KR 20110087782 A KR20110087782 A KR 20110087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entrated beverage
discharge
concentrated
beverage
di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채연
Original Assignee
황채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채연 filed Critical 황채연
Priority to KR1020100007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7782A/ko
Publication of KR20110087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7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G07F13/06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for drink prepa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의 농축음료 희석토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냉수나 온수를 저장하는 희석수 저장부와, 농축음료를 저장하는 농축음료 저장부와, 이 농축음료 저장부의 하류에 설치되어 농축음료의 공급관을 개폐하는 농축음료 조절부와, 희석수 저장부의 하류와 농축음료 조절부의 하류와의 합류부위 하류에 설치되어 희석된 농축음료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농축음료 배출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농축음료의 배출경로에 농축음료 조절부를 설치하여 농축음료의 배출량을 조절하고 희석수와의 합류부위에 농축음료 배출부를 설치하여 희석된 농축음료를 배출시킴으로써, 배출경로에 농축음료의 잔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배출경로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의 농축음료 희석토출장치{Apparatus for diluting and discharging concentrated beverage of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의 농축음료 희석토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온수에 용해성이 우수한 액상의 농축음료를 원료로 사용해서 냉온수와 함께 배출하는 자동판매기의 농축음료 희석토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는 상품을 무인으로 판매하는 기기로서, 이러한 자동판매기는 커피 등의 컵음료를 판매하는 자동판매기와, 캔음료를 판매하는 자동판매기와, 휴지 등의 일회용품을 판매하는 자동판매기 등과 같이 다양한 자동판매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판매기 중 커피 등의 컵음료를 판매하는 자동판매기는 컵용기를 외부로 투출한 상태에서 음료용 분말과 냉수나 온수를 컵용기에 함께 배출하여 판매하는 형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컵용기에 분말과 냉온수를 함께 배출하는 경우에 컵용기 내에서 혼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별도의 스틱 등과 같은 교반기구를 사용하여 교반시킨후 음용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음료용 분말 대신에 냉온수에 용해성이 우수한 액상의 농축음료를 원료로 사용해서 냉온수와 함께 배출하는 자동판매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판매기의 농축음료 희석토출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이 제작한 종래의 자동판매기의 농축음료 희석토출장치는 냉온수를 저장하는 냉온수 저장조(110)와, 농축음료를 저장하는 농축음료 저장조(120)와, 농축음료의 공급관(121)을 개재해서 농축음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농축음료 배출펌프(130), 냉온수 공급관(111)을 개폐하는 냉온수 배출밸브(140)로 이루어져, 냉온수 배출관(112)과 농축음료 배출관(122)을 각각 개재해서 냉온수와 농축음료를 외부의 컵용기(150)로 함께 배출하여 희석시키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판매기의 농축음료 희석토출장치는 농축음료 배출펌프(130)에 액상의 농축음료 원액이 공급되므로, 농축음료 배출펌프(130) 내에 농축음료가 잔류하여 응고되어 배출펌프가 오작동하는 문제가 있고, 여기에 잔류한 농축음료가 변질되거나 부패하므로 자동판매기의 위생상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농축음료 배출펌프(130) 대신에 배출밸브로서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더라도 농축음료 저장조의 저장량에 따라서 농축음료의 배출량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아 농축음료의 농도가 균일하게 유지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배출펌프가 오염된 경우, 배출펌프의 세척을 위해 자동판매기에서 배출펌프를 분리해서 별도로 세척해야 하므로, 자동판매기의 관리가 번거롭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냉온수와 농축음료가 각각의 배출관을 통해서 컵용기 내로 배출되어 혼합하게 되므로, 컵용기 내에서 냉온수와 농축음료와의 혼합을 위해 스틱 등과 같은 별도의 교반기구가 필요하게 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농축음료의 배출경로에 농축음료의 잔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배출경로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고, 희석된 농축음료의 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희석수와 농축음료의 배출량 조절을 용이하게 하고 배출통로의 세척이 가능하게 되며, 희석된 농축음료의 배출량을 농축음료의 저장량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의 농축음료 희석토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수나 온수를 저장하는 희석수 저장부; 농축음료를 저장하는 농축음료 저장부; 상기 농축음료 저장부의 하류에 설치되어 농축음료의 공급관을 개폐하는 농축음료 조절부; 및 상기 희석수 저장부의 하류와 상기 농축음료 조절부의 하류와의 합류부위 하류에 설치되어 희석된 농축음료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농축음료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희석수 저장부의 하류에 설치되어 희석수의 공급관을 개폐하는 희석수 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농축음료 조절부 및 상기 희석수 조절부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농축음료 배출부는 기어펌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농축음료 배출부의 하류에는 연결편을 개재해서 농축음료의 배출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은 측면 일방에 상기 농축음료 조절부의 세척시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배출통로와 연통되는 배수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농축음료의 배출경로에 농축음료 조절부를 설치하여 농축음료의 배출량을 조절하고 희석수와의 합류부위에 농축음료 배출부를 설치하여 희석된 농축음료를 배출시킴으로써, 배출경로에 농축음료의 잔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배출경로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희석수 저장부의 배출경로에 희석수 조절부를 설치하여, 희석된 농축음료의 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희석수 조절부와 농축음료 조절부를 솔레노이드 밸로로 구성하여, 희석수와 농축음료의 배출량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배출통로에 대한 개폐가 가능하여, 배출통로의 세척이 가능하게 된다.
희석된 농축음료의 배출통로에 농축음료 배출부로서 기어펌프를 구성하여, 희석된 농축음료의 배출량을 농축음료의 저장량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판매기의 농축음료 희석토출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판매기의 농축음료 희석토출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판매기의 농축음료 희석토출장치의 농축음료 조절부의 세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판매기의 농축음료 희석토출장치의 연결편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판매기의 농축음료 희석토출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자동판매기의 농축음료 희석토출장치는 희석수 저장부(10), 농축음료 저장부(20), 농축음료 조절부(30), 농축음료 배출부(40)로 이루어져, 농축음료를 희석수로 희석하여 컵용기(60)로 배출하게 된다.
희석수 저장부(10)는 희석수인 냉수나 온수를 저장하는 저장조로서, 원통이나 사각통 형상의 저장용기로 이루어지며, 그 하부에는 희석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11)이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희석수 저장부(10)는 급수설비에서 공급된 음용수를 냉각장치나 가열장치에 의해 냉각시키거나 가열시켜 냉수나 온수를 희석수로 제공할 수 있도록 저장하게 된다.
농축음료 저장부(20)는 농축음료를 저장하는 저장조로서, 액상의 농축음료를 저장하도록 원통이나 사각통 형상의 저장용기로 이루어지며, 그 하부에는 농축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농축음료의 공급관(21)이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액상의 농축음료로는 액상 농축커피, 액상 농축쥬스, 벌꿀, 여러 종류의 엑기스 등과 같이 다양한 액상 농축음료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러한 농축음료 저장부(20)로는 합성수지로 성형된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액상 농축음료의 운반, 보관 및 배출이 용이하도록 비닐로 제작된 통상 치어백이라고 하는 스파우트 파우치(spouted pouch)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농축음료 조절부(30)는 농축음료 저장부(20)의 하류에 설치되어 농축음료의 공급관(21)을 개폐하는 조절수단으로서, 그 하부에는 농축음료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배출하도록 농축음료 배출관(22)이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농축음료 조절부(30)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밸브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밸브를 슬라이딩하여 배관을 개폐하게 되므로, 밸브 내에 농축음료의 잔류물이 거의 남지 않아 자동판매기 내의 배관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농축음료 배출부(40)는 희석수 저장부(10)의 하류와 농축음료 조절부(20)의 하류와의 합류부위(41) 하류에 설치된 유입관(42)에 설치되어 희석된 농축음료의 배출량을 조절하게 된다. 농축음료 배출부(40)의 하부에는 희석된 농축음료를 외부의 컵용기(60) 내에 배출하도록 배출관(43)이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농축음료 배출부(40)는 전동모터에 의해 기어를 회전시켜 희석된 농축음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어펌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어펌프에 희석된 농축음료가 접촉되어 외부로 배출되므로, 기어펌프 내에 잔류 미물질의 농도가 낮아지므로, 자동판매기의 청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러한 기어펌프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경우 농축음료의 저장량에 따라 배출량이 변동되는 문제를 해소한 것으로서, 기어의 맞물림에 의해 일정한 내부압력으로 항상 일정량의 농축음료를 배출하게 되므로, 농축음료의 농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자동판매기의 농축음료 희석토출장치는 희석수 저장부(10)의 하류에 설치되어 희석수의 공급관(11)을 개폐하는 희석수 조절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희석수 조절부(50)는 희석수 저장부(10)의 하류에 설치되어 희석수의 공급관(11)을 개폐하는 조절수단으로서, 그 하부에는 희석수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배출하도록 희석수 배출관(12)이 접속되어 있다.
희석수 조절부(50)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밸브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져 농축음료를 희석시키는 희석수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외부의 컵용기(60)로 배출되는 희석된 농축음료의 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농축음료 조절부(30)와 희석수 조절부(50)에 의해 농축음료와 희석수의 배출을 제어하고, 희석된 농축음료를 농축음료 배출부(40)에 의해 외부로 토출하게 된다.
그러면, 농축음료 조절부(30) 및 희석수 조절부(50)와 농축음료를 농축음료 배출부(40) 사이에 설치된 배출관(12), 배출관(22), 합류부위(41) 및 유입관(42)의 내부공간이 농축음료 배출부(40)의 흡인력에 의해 잔류물 없이 빈공간으로 형성되므로, 이들의 내부공간을 청결하게 유지할 뿐만 아니라 농축음료 배출부(40)에도 잔류물 없이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어펌프의 상류에서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희석수 및 농축음료의 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기어펌프에 의해 희석된 농축음료를 토출하여 기어펌프의 상류배관 및 그 내부를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게 되므로, 기어펌프의 위생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의 자동판매기의 농축음료 희석토출장치의 동작상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희석수 저장부(10)에 희석수를 유입시켜 저장하고, 농축음료 저장부(20)에 농축음료를 유입시켜 저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자동판매기에 사용자가 동전이나 지폐를 투입하여 제품의 판매를 요구하게 되면, 농축음료 저장부(20)의 하류에 설치된 농축음료 조절부(30)에 의해 농축음료의 공급관(21)을 개방하여 소정량의 농축음료를 농축음료 배출관(22)을 개재해서 하류로 배출시키고 농축음료의 공급관(21)을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류로 배출된 농축음료는 희석수 저장부(10)에 저장된 희석수도 하류로 배출되므로, 희석수 배출관(12)과 농축음료 배출관(22)과의 합류부위(41)에서 농축음료와 희석수가 혼합되어 농축음료가 희석된다. 이때 희석수 저장부(10)에 접속된 희석수의 공급관(11)의 하류에 희석수 조절부(50)가 설치되어 희석수의 공급량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하류부위(41)에서 희석된 농축음료는 유입관(42)를 개재해서 농축음료 배출부(40)로 유입되고, 농축음료 배출부(40)에 의해 토출량이 제어되어 배출관(43)을 통해서 외부의 컵용기(60)로 희석된 농축음료가 소정량 토출된다.
또한, 농축음료 배출부(40)에 희석된 농축음료가 잔류하여 오작동이 발생하거나 이를 방지하지 위해, 농축음료 조절부(30)의 폐쇄에 의해 농축음료의 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희석수 조절부(50)를 개방하여 희석수만 농축음료 배출부(40)로 공급하여, 농축음료 배출부(40)의 내부를 희석수로 세척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농축음료 배출부(40)로서 기어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이를 세척하기 위해 자동판매기에 분리하여 별도로 세척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자동판매기에 기어모터를 장착한 상태로 그 내부의 세척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자동판매기의 농축음료 희석토출장치의 농축음료 조절부의 세척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판매기의 농축음료 희석토출장치의 농축음료 조절부의 세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판매기의 농축음료 희석토출장치의 연결편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자동판매기의 농축음료 희석토출장치의 농축음료 배출부(40)의 하류에는 연결편(44)을 개재해서 농축음료의 배출통로가 형성되어 있고,농축음료 조절부(30)의 세척시 농축음료 배출부(40)에 의해 순환되는 세척수의 일부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연결편(44)의 측면 일방에는 배출통로와 연통되는 배수홀(45)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농축음료 조절부(30)에 접속된 유입관(21)의 상류에는 접속편(47)을 개재해서 순환관(46)의 일단이 접속되어 연통되고, 순환관(46)의 타단은 연결편(44)을 개재해서 배출관(43)의 하류에 접속되어 연통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편(44)은 양단에 결합홀(44a, 44b)이 각각 형성되며, 일방의 결합홀(44a)에는 배출관(43)이 접속되고 타방의 결합홀(44b)에는 순환관(46)이 접속되어 연통되어 서로 연통되어 있다.
특히, 결합홀(44b)의 외주에는 배수홀(45)이 연통도되록 형성되어, 결합홀(44b) 내에 순환관(46)이 완전히 삽입되어 끼워맞춤되는 경우에는 배수홀(45)이 폐쇄되고, 결합홀(44b) 내에 순환관(46)이 일부만 삽입되어 끼워맞춤되는 경우에는 배수홀(45)이 개방된다.
따라서, 순환관(46) 내에 세척수를 유입시켜 농축음료 배출부(40)인 기어펌프에 의해 세척수를 순환시켜 농축음료 조절부(30)를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결합홀(44b)과 순환관(46)이 일부만 끼워맞춤하게 되므로, 세척수의 순환과 배수홀(45)을 개재한 세척수의 배수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세척이 완료된 후에는 유입관(21)의 상류에 농축음료 저장부(20)를 접속하고, 연결편(44)의 결합홀(44b)에 별도의 토출관(도시안함)을 완전히 끼워맞춤하게 되면 배수홀(45)이 폐쇄되므로, 희석된 농축음료가 농축음료 배출부(40)의 의해 별도의 토출관을 개재해서 외부로 토출된다.
특히, 농축음료 조절부(30)를 세척하는 경우에 배출관(43)의 직경은 순환관(46)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고, 순환관(46)의 직경은 배수홀(45)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어, 배출관(43)에서 배출된 세척수가 연결편(44)에 의해 순환 및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이때 배출관(43)과, 순환관(46)과, 배수홀(45)의 직경비는 10:7:3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편(44)의 일방 결합홀(44a)의 직경(d1)이 타방 결합홀(44b)의 직경(d2) 보다 크게 형성되고, 타방 결합홀(44b)의 직경(d2)이 배수홀(45)의 직경(d3) 보다 크게 형성되어, 연결편(44)에 배출관(43) 및 순환관(46)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이때 일방 결합홀(44a)과, 타방 결합홀(44b)과, 배수홀(45)의 직경비는 10:7:3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자동판매기의 농축음료 희석토출장치는 농축음료의 배출경로에 농축음료의 잔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배출경로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고, 희석된 농축음료의 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희석수와 농축음료의 배출량 조절을 용이하게 하고 배출통로의 세척이 가능하게 되며, 희석된 농축음료의 배출량을 농축음료의 저장량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자동판매기의 농축음료 희석토출장치는 종래의 자동판매기의 농축음료 희석토출장치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배출경로와 농축음료 조절부와 농축음료 배출부를 추가하여 개량이 가능하므로, 종래의 자동판매기의 농축음료 희석토출장치에 교체 적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개량비용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희석수 저장부
20: 농축음료 저장부
30: 농축음료 조절부
40: 농축음료 배출부
50: 희석수 조절부
60: 컵용기

Claims (5)

  1. 냉수나 온수를 저장하는 희석수 저장부;
    농축음료를 저장하는 농축음료 저장부;
    상기 농축음료 저장부의 하류에 설치되어 농축음료의 공급관을 개폐하는 농축음료 조절부; 및
    상기 희석수 저장부의 하류와 상기 농축음료 조절부의 하류와의 합류부위 하류에 설치되어 희석된 농축음료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농축음료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농축음료 희석토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수 저장부의 하류에 설치되어 희석수의 공급관을 개폐하는 희석수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농축음료 희석토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음료 조절부 및 상기 희석수 조절부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농축음료 희석토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음료 배출부는 기어펌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농축음료 희석토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음료 배출부의 하류에는 연결편을 개재해서 농축음료의 배출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은 측면 일방에 상기 농축음료 조절부의 세척시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배출통로와 연통되는 배수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자동판매기의 농축음료 희석토출장치.
KR1020100007371A 2010-01-27 2010-01-27 자동판매기의 농축음료 희석토출장치 KR201100877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371A KR20110087782A (ko) 2010-01-27 2010-01-27 자동판매기의 농축음료 희석토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371A KR20110087782A (ko) 2010-01-27 2010-01-27 자동판매기의 농축음료 희석토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782A true KR20110087782A (ko) 2011-08-03

Family

ID=44926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371A KR20110087782A (ko) 2010-01-27 2010-01-27 자동판매기의 농축음료 희석토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77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660B1 (ko) * 2019-10-30 2020-03-10 (주)에어리코리아 음료 판매용 자동 판매기의 시럽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료 판매용 자동 판매기
KR102376536B1 (ko) * 2021-10-08 2022-03-21 (주)마나에프앤비 희석물 제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660B1 (ko) * 2019-10-30 2020-03-10 (주)에어리코리아 음료 판매용 자동 판매기의 시럽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료 판매용 자동 판매기
KR102376536B1 (ko) * 2021-10-08 2022-03-21 (주)마나에프앤비 희석물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1141B2 (en) Assembly and method for frothing fluid
JP4922655B2 (ja) ミルクフォーマー
CN103679953B (zh) 饮料自动售货机中调整稀释率的设备和方法
KR100518800B1 (ko) 음료 공급장치
US20240041243A1 (en) Magnetically Driven Beverage Brewing System and Method
RU2586824C1 (ru) Модульный автомат для розлива сезонных напитков
US10132556B2 (en) Dispens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TW202116240A (zh) 泡製模組及具有泡製模組之咖啡機
WO2013124236A1 (en) Potable water dispenser
US20150060490A1 (en) Dispens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KR20110087782A (ko) 자동판매기의 농축음료 희석토출장치
US20070028653A1 (en) Fluid distribution system
JP2007282650A (ja) 飲料抽出装置
JP3886282B2 (ja) 飲料供給装置
CN109757989B (zh) 饮水机
JP5405100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102080126B1 (ko) 무인 카페 시스템용 과즙음료 제조 장치
US20210169266A1 (en) Automatic brewing system
KR20090075981A (ko) 커피와 차를 분리배출하는 디스펜서 일체형 냉온수기
JP2017081600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200396676Y1 (ko) 소형 자동판매기의 냉음료 생산 보조장치
KR101910497B1 (ko) 음료 분배 헤드의 세척 모듈 가스 개폐 장치
JP2015030512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20140004873A (ko) 스마트 살균시스템을 구비한 자동판매기
JP2017107334A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