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7172A - 발광장치 - Google Patents

발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7172A
KR20110087172A KR1020100006691A KR20100006691A KR20110087172A KR 20110087172 A KR20110087172 A KR 20110087172A KR 1020100006691 A KR1020100006691 A KR 1020100006691A KR 20100006691 A KR20100006691 A KR 20100006691A KR 20110087172 A KR20110087172 A KR 20110087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upper case
pcb
emitting devic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8851B1 (ko
Inventor
김상범
김홍래
추맹수
이동윤
Original Assignee
갤럭시아일렉트로닉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갤럭시아일렉트로닉스(주) filed Critical 갤럭시아일렉트로닉스(주)
Priority to KR1020100006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851B1/ko
Publication of KR20110087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발광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광장치는: 투명창이 구비된 상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 내측에 발광소자를 구비한 피씨비기판이 설치되어 투영창을 통하여 빛을 투영시키는 발광모듈과, 발광모듈이 상부케이스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부케이스 하측에 고정되는 하부케이스와, 발광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신호 및 전원을 인가하는 전선부 및 전선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또 다른 발광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광장치{LIGHTNING DEVICE}
본 발명은 발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독립된 공간에 발광모듈이 장착됨으로써, 제품 부식 및 파손을 방지하고, 다수개의 발광모듈을 연결하여 대형 전광판을 구현할 수 있는 발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매체를 사용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문자 및 화상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옥외 전광판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옥외 전광판의 사용은 점차 확대되어 운동장의 대형 안내판, 도로의 교통정보 안내판, 옥외용 광고판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옥외 전광판에 사용되는 발광용 픽셀 모듈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전광판용 픽셀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픽셀 모듈(1)의 전측에는 문자 및 화상을 구현하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Diode:6)를 고정하는 발광 다이오드 고정부재(3)가 설치되고, 발광 다이오드(6)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햇빛 등에 의하여 간섭받지 않도록 햇빛을 차단하는 차광판(4)이 발광 다이오드 고정부재(3)의 전면에 설치된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 고정부재(3)의 후측에는 발광 다이오드(6)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회로기판(5)과, 발광 다이오드(6)를 구동시키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회로(9)가 발광 다이오드 구동회로기판(5)의 후면에 설치되고, 발광 다이오드 고정부재(3)와 발광 다이오드 구동회로(9)를 포함한 발광 다이오드 구동회로기판(5)은 발광 다이오드 고정부재(3)의 전면에서 삽입되는 나사(8)를 통해 고정된다.
한편, 상기 발광 다이오드 구동회로기판(5)의 후면에는 각종 전자소자(7)들이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발광 다이오드(6)를 이용한 전광판용 픽셀 모듈(1)은 설치될 전광판의 크기에 따라 픽셀 모듈(1)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각각 연결하여 필요한 크기의 전광판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옥외 전광판에 사용되는 발광용 픽셀 모듈은 발광 다이오드(6)가 외측으로 노출된 것에 의하여 부식되거나 파손의 위험성이 높으며, 빗물 등에 의한 누전의 가능성도 높아짐으로 인해 동작신뢰성이 저하된다.
그리고, 전광판을 구성하는 발광 다이오드(6)가 일체로 연결 설치된 것에 의하여 전광판을 부분적으로 수리를 하거나 교체를 할 때, 전체를 분해하는 것에 의하여 작업공정 및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발광모듈이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에 의하여 제품이 부식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연이어 연결됨으로써, 대형 전광판을 구현할 수 있으며, 야외 사용이 적합한 발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는: 투명창이 구비된 상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 내측에 발광소자를 구비한 피씨비기판이 설치되어 투영창을 통하여 빛을 투영시키는 발광모듈과, 발광모듈이 상부케이스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부케이스 하측에 고정되는 하부케이스와, 발광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신호 및 전원을 인가하는 전선부 및 전선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또 다른 발광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케이스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위치고정돌기가 형성되고, 피씨비기판에는 위치고정돌기가 삽입되도록 위치고정홀이 형성되며, 하부케이스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피씨비기판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보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내부에는 몰드물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케이스의 내측면에는 피씨비기판의 상면과 접하여 발광소자측으로 몰드물이 진입되지 않도록 하는 차단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부케이스에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내부로 몰드물을 충진하기 위한 유입홀이 형성되고, 몰드물의 충진시 발생되는 기포가 유출되도록 유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양측에는 전선부를 상하에서 가압하여 고정하는 전선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선부는 다수의 전선이 나란하게 배열되어 피복에 의해 고정되고, 피씨비기판의 양측 하단면에는 다수의 전선 단부가 개별적으로 안착되도록 구획되어 함몰 형성된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커넥터부는 피씨비기판에 연결되어 일측으로 연장되는 전선부의 끝단에 형성되는 암커넥터와, 피씨비기판에 연결되어 타측으로 연장되는 전선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암커넥터와 결합되는 숫커넥터 및 암커넥터와 숫커넥터의 둘레를 감싸고, 상호 연결되는 방수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방수커버는 숫커넥터와 전선부 사이를 기밀하고, 둘레면에 걸림홈이 형성된 제1방수커버와, 암커넥터와 전선부 사이를 기밀하고, 암커넥터 전측으로 연장되며, 제1방수커버의 걸림홈에 장착되도록 내주면에 걸림턱을 형성하는 제2방수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방수커버는 UV안정제가 첨가된 PVC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는 종래 발명과 달리 상,하부케이스에 의해 보호되고, 몰드물에 의해 몰딩됨으로써, 외부의 물기가 내측으로 유입됨이 방지되어 발광모듈이 부식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누전의 발생 가능성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선부와 커넥터부에 의해 연이어 연결됨으로써, 대형 전광판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대형 전광판의 구현시 수리 및 교환작업이 필요한 발광장치만 분리하여 보수작업을 하게 됨으로써, 작업공정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전광판용 픽셀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의 피씨비기판과 전선부의 연결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의 하부케이스 저면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를 다수개 연결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도 3의 B-B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광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의 피씨비기판과 전선부의 연결을 보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의 하부케이스 저면을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를 다수개 연결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8은 도 3의 B-B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100)는 크게, 상부케이스(110), 발광모듈(120), 하부케이스(130), 전선부(140) 및 커넥터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부케이스(110)는 상측으로 투명창(112)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투명창(112)은 빛확산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디퓨져(diffuser)처리가 된 재질을 사용하거나 후가공으로 디퓨저 처리를 하게 된다.
그리고, 투명창(112)은 상부케이스(110)에 2중사출에 의해 고정된다.
발광모듈(120)은 상부케이스(110) 내측에 발광소자(125)를 구비한 피씨비기판(122)이 설치되어 투명창(112)을 통하여 빛을 투영시킨다.
발광소자(125)는 일반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발광체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일체형 3색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기로 한다.
상기 일체형 3색 발광 다이오드는 레드, 블루, 그린의 3가지 색상의 발광체가 하나의 몸체 내에 설치되어 동작신호에 의하여 소정의 색상을 발하게 되며, 각각의 발광체를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보다 부드러운 색상을 재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발광소자(125)는 인쇄회로가 인쇄된 피씨비기판(122)에 장착되며, 조명 정도에 따라 발광소자(125)의 개수는 증감될 수 있다.
그리고, 피씨비기판(122)에는 발광소자(125)를 포함하여 발광장치의 구동을 위한 각종 전장품이 장착된다.
하부케이스(130)는 발광모듈(120)이 상부케이스(110)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부케이스(110)의 하측에 고정된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10)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위치고정돌기(114)가 형성되고, 피씨비기판(122)에는 위치고정돌기(114)가 삽입되도록 위치고정홀(123)이 형성되며, 하부케이스(130)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피씨비기판(122)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보스(13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케이스(110)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체결홈부(116)가 형성되고, 하부케이스(130)의 가장자리에는 체결홈부(116)에 삽입되는 체결돌기부(134)가 형성된다.
체결홈부(116)와 체결돌기부(134)는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조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전선부(140)는 발광모듈(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신호 및 전원을 인가한다.
발광모듈(120)은 단일개로 사용이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 복수로 구비되어 전선부(14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전선부(140)는 전원전달 및 동작신호 전달 등 다양한 전송 작동을 하게 되며, 전선부(140)의 심선(142) 일단은 솔더링 공정에 의해 발광모듈(120)의 피씨비기판(122)에 전기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때, 전선부(140)는 다수의 전선이 나란하게 배열되어 피복에 의해 고정되고, 피씨비기판(122)의 양측 하단면에는 다수의 전선의 심선(142)이 개별적으로 안착되도록 구획되어 함몰 형성된 연결부(124)가 형성된다.
즉, 나란하게 배열되는 전선의 심선(142)은 연결부(124)에 안착된 후 솔더링 공정에 의해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이처럼 발광모듈(120)에 연결된 전선부(140)는 상부,하부케이스(110,130)의 양측으로 연장된다.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30)의 양측에는 전선부(140)를 상하에서 가압하여 고정하는 전선지지부(150)가 형성된다.
전선지지부(150)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상부,하부케이스(110,130) 결합시 전선부(15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내부에 발광모듈(120)이 수용된 상부,하부케이스(110,130)의 내부에는 몰드물(155)이 충진된다.
상기 몰드물(155)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케이스(130)에는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30) 내부로 몰드물(155)을 충진하기 위한 유입홀(136)이 형성되고, 몰드물(155)의 충진시 발생하는 기포가 유출되도록 유출홀(138)이 형성된다.
이때, 상부케이스(110)의 내측면에는 피씨비기판(122)의 상면에 접하여 발광소자(125)측으로 몰드물(155)이 진입되지 않도록 하는 차단편(118)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케이스(110)에 2중사출에 의해 고정되는 투명창(112)은 내측으로 연장되어 피씨비기판(122)의 상면에 접하므로 발광소자(125)측으로 진입되는 몰드물(155)은 차단편(118)과 함께 이중으로 차단된다.
커넥터부(160)는 전선부(140)의 단부에 형성되어 또 다른 발광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커넥터부(160)는 피씨비기판(122)에 연결되어 일측으로 연장되는 전선부(140)의 끝단에 형성되는 암커넥터(162)와, 피씨비기판(122)에 연결되어 타측으로 연장되는 전선부(140)의 끝단에 형성되어 암커넥터(162)와 결합되는 숫커넥터(164) 및 암커넥터(162)와 숫커넥터(164)의 둘레를 감싸고, 상호 연결되는 방수커버(1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방수커버(165)는 숫커넥터(164)와 전선부(140) 사이를 기밀하고, 둘레면에 걸림홈(166a)이 형성된 제1방수커버(166) 및 암커넥터(162)와 전선부(140) 사이를 기밀하고, 암커넥터(162)의 전측으로 연장되며, 제1방수커버(166)의 걸림홈(166a)에 장착되도록 내주면에 걸림턱(167a)을 형성하는 제2방수커버(16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암커넥터(162)와 숫커넥터(164)는 방수커버(165)의 내측에서 후크방식에 의해 결속된다.
방수커버(165)는 UV안정제가 첨가된 PVC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전선부(140)는 발광모듈(120)의 피씨비기판(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선부(140)는 전선이 나란하게 정렬되어 피복에 의해 고정되고, 전선의 심선(140a)은 피씨비기판(122)의 연결부(124)에 놓여 솔더링 공정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결부(124)는 개별적으로 함몰 형성되어 전선의 합선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전선부(140)가 연결된 발광모듈(120)은 투명창(112)이 2중사출에 의해 고정된 상부케이스(110)에 결합된다.
이는 상부케이스(110)의 내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위치고정돌기(114)가 피씨비기판(122)의 위치고정홀(123)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부케이스(110)에 고정된 투명창(112)의 단부는 피씨비기판(122)의 상면에 접하게 되고, 상부케이스(110)의 차단편(118) 또한 피씨비기판(122)의 상면에 접하게 되며, 발광소자(125)는 투명창(112)내에 위치된다.
이후, 상부케이스(110)는 하부케이스(130)와 결합된다.
상부케이스(110)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체결홈부(116)와 하부케이스(130)에 형성된 체결돌기부(134)가 결합되어 고정된다.
체결홈부(116)와 체결돌기부(134)는 일측 가장자리에만 형성되어 하부케이스(130)를 기울려 결합함으로써, 상호 위치를 확인하면서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이는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지닌다.
그리고, 하부케이스(130)에는 가장자리에 지지보스(132)가 형성되어 피씨비기판(122)의 하면은 지지된다.
또한,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30)의 결합에 의해 피씨비기판(122)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전선부(140)는 전선지지부(150)에 의해 상하부가 가압되어 흔들림이 방지된다.
이는 전선부(140)의 꺽임으로 인해 전선이 피씨비기판(12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지닌다.
이후, 하부케이스(130)에 형성된 유입홀(136)을 통해 상부,하부케이스(110,130) 내부에 몰드물(155)이 충진되어 몰딩된다.
이때, 하부케이스(130)에는 유출홀(138)이 형성되어 몰딩시 발생하는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몰딩시 충진되는 몰드물(155) 1차적으로 차단편(118)과 2차적으로 투명창(112)에 의해 발광소자(125)측으로 진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는 몰드물(155)에 의해 발광소자(125)에서 발산되는 빛의 산란을 방지하는 효과를 지닌다.
한편, 전선부(140)에는 커넥터부(160)가 형성되어 또 다른 발광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부(140)에 의해 또 다른 발광장치에 지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더 연장하고자 할 경우 커넥터부(16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광모듈에 동작신호 및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커넥터부(160)는 암커넥터(162)와 숫커넥터(164)가 후크방식에 의해 연결되며, 그 둘레에는 각각 제1,2방수커버(166,167)가 구비되어 제1,2방수커버(166,167)의 걸림홈(166a)과 걸림턱(167a)의 결속에 의해 내부가 밀폐된다.
또한, 방수커버(165)는 UV안정제가 첨가된 PVC재질로 이루어져 자외선으로부터 보호됨으로써, 야외사용시 햇빛이나 빗물로부터 보호되는 효과를 지닌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발광장치 110 : 상부케이스
112 : 투명창 114 : 위치고정돌기
116 : 체결홈부 118 : 차단편
120 : 발광모듈 122 : 피씨비기판
123 : 위치고정홀 124 : 연결부
125 : 발광소자 130 : 하부케이스
132 : 지지보스 134 : 체결돌기부
136 : 유입홀 138 : 유출홀
140 : 전선부 142 : 심선
150 : 전선지지부 155 : 몰드물
160 : 커넥터부 162 : 암커넥터
164 : 숫커넥터 165 : 방수커버
166 : 제1방수커버 167 : 제2방수커버

Claims (10)

  1. 투명창이 구비된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 내측에 발광소자를 구비한 피씨비기판이 설치되어 상기 투영창을 통하여 빛을 투영시키는 발광모듈;
    상기 발광모듈이 상기 상부케이스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케이스 하측에 고정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발광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신호 및 전원을 인가하는 전선부; 및
    상기 전선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또 다른 발광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위치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피씨비기판에는 상기 위치고정돌기가 삽입되도록 위치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피씨비기판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보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는 몰드물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피씨비기판의 상면과 접하여 상기 발광소자측으로 상기 몰드물이 진입되지 않도록 하는 차단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내부로 상기 몰드물을 충진하기 위한 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몰드물의 충진시 발생되는 기포가 유출되도록 유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양측에는 상기 전선부를 상하에서 가압하여 고정하는 전선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부는 다수의 전선이 나란하게 배열되어 피복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피씨비기판의 양측 하단면에는 다수의 전선 단부가 개별적으로 안착되도록 구획되어 함몰 형성된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피씨비기판에 연결되어 일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전선부의 끝단에 형성되는 암커넥터;
    상기 피씨비기판에 연결되어 타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전선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암커넥터와 결합되는 숫커넥터; 및
    상기 암커넥터와 상기 숫커넥터의 둘레를 감싸고, 상호 연결되는 방수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커버는 상기 숫커넥터와 상기 전선부 사이를 기밀하고, 둘레면에 걸림홈이 형성된 제1방수커버;
    상기 암커넥터와 상기 전선부 사이를 기밀하고, 상기 암커넥터 전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방수커버의 걸림홈에 장착되도록 내주면에 걸림턱을 형성하는 제2방수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커버는 UV안정제가 첨가된 PVC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KR1020100006691A 2010-01-25 2010-01-25 발광장치 KR101068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691A KR101068851B1 (ko) 2010-01-25 2010-01-25 발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691A KR101068851B1 (ko) 2010-01-25 2010-01-25 발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172A true KR20110087172A (ko) 2011-08-02
KR101068851B1 KR101068851B1 (ko) 2011-09-29

Family

ID=44926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691A KR101068851B1 (ko) 2010-01-25 2010-01-25 발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8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786B1 (ko) * 2012-07-09 2014-04-14 광명전기 주식회사 엘이디 모듈
KR101469123B1 (ko) * 2013-05-13 2014-12-04 치아 융 첸 전기 커넥터
WO2018021644A1 (ko) * 2016-07-25 2018-02-01 주식회사 체크올 고속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led 랜케이블 커넥터, 고속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led 랜케이블, 고속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led 랜케이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839B1 (ko) * 2005-12-26 2007-08-02 금호전기주식회사 Led 사인용 led 램프모듈
KR100786304B1 (ko) * 2006-11-15 2007-12-14 송군 발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광판과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786B1 (ko) * 2012-07-09 2014-04-14 광명전기 주식회사 엘이디 모듈
KR101469123B1 (ko) * 2013-05-13 2014-12-04 치아 융 첸 전기 커넥터
WO2018021644A1 (ko) * 2016-07-25 2018-02-01 주식회사 체크올 고속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led 랜케이블 커넥터, 고속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led 랜케이블, 고속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led 랜케이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8851B1 (ko) 201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50812U (ja) Led照明装置
US20080239716A1 (en) Light strip
JP2011090152A (ja) 表示装置
CN103874883A (zh) 光学半导体照明设备
CN102182939A (zh) 照明装置
CN105590929A (zh) 发光模块和用于制造发光模块的方法
US10429055B2 (en)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apparatus including same
KR101892289B1 (ko) Smps와 scu를 통합한 led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68851B1 (ko) 발광장치
KR100759439B1 (ko) 엘이디 모듈을 이용한 광고패널내 배선구조
KR101233273B1 (ko) 표면실장형 led를 활용한 옥외용 led모듈
KR100786304B1 (ko) 발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광판과 그 제조방법
EP3179152B1 (en) Lighting device
KR20080114220A (ko) 엘이디 모듈 및 엘이디 모듈의 조립 방법
KR100682073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led모듈 박스어셈블리
KR101042753B1 (ko) 박스 타입의 led 모듈을 갖는 led 전광판
KR20080108864A (ko) 방수기능이 구비된 조명장치
CN2926780Y (zh) Led光源模块
CN204756529U (zh) Led模组及led灯具
KR101384786B1 (ko) 엘이디 모듈
KR200416942Y1 (ko) 소켓 타입으로 장착되는 led를 구비한 pcb
KR100816812B1 (ko) 전광판용 프레임
CN210574826U (zh) 一种实现电源连接的led模组用防尘散热盖结构
JP2006324529A (ja) 発光ダイオードラインモジュール
KR200192570Y1 (ko) 전광판용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