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6494A - 지엽 수납 장치 - Google Patents

지엽 수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6494A
KR20110086494A KR1020100105826A KR20100105826A KR20110086494A KR 20110086494 A KR20110086494 A KR 20110086494A KR 1020100105826 A KR1020100105826 A KR 1020100105826A KR 20100105826 A KR20100105826 A KR 20100105826A KR 20110086494 A KR20110086494 A KR 20110086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adjustment guide
roller
adjustment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5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8000B1 (ko
Inventor
히사토 마츠이
히로시 미즈타니
신지 시바타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86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6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 B65H29/2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and introducing into a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0Pile receivers adjustable for different article siz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3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with internal means for handl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정 가이드와 가압판 사이에 지폐가 인입되지 않도록 하여, 신뢰성이 높은 지엽 수납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수납 공간 A의 폭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가이드(8)와, 수납 공간 A내를 상하 이동하고, 지엽을 적층 위에 집적해서 보관 유지하는 가압판(9)을 가지며, 가압판(9)은 조정 가이드(8) 방향으로 가압하는 신축가능한 신축 가이드(11)를 가지는 구성으로 했다.

Description

지엽 수납 장치{PAPER LEAF STORAGE APPARATUS}
본 발명은, 지엽(紙葉)을 정렬시키고 또한 적층시킨 상태에서 수납하는 지엽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엽 수납 장치의 일례로서, 자동 현금 거래 장치 등의 내부에 장전되어, 복수의 지폐를 내부에 정렬시키고, 또한 적층시킨 상태에서 수납함과 함께, 수납한 지폐를 1매씩 분리해서 인출하는 지폐 수납 인출용 카트리지가 있다.
카트리지는, 지폐를 정렬시키고 또한 적층시킨 상태에서 수납 공간에 수납하기 위해서, 수납 공간의 크기를 수납될 지폐의 사이즈에 따른 크기로 조정가능하게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수납 공간의 소정방향의 폭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가이드와, 카트리지의 내면에 장착되어, 조정 가이드를 수직으로 끼워맞춤시키는 끼워맞춤 홈이 복수 종류의 지폐의 사이즈에 대응시켜서 수납 공간의 폭 방향으로 형성된 커넥터를 설치하고, 조정 가이드를 커넥터의 어느 끼워맞춤 홈에 끼워맞춤시킴으로써, 수납 공간의 폭을 다단계로 조정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지폐를 집적하는 가압판은, 폭 방향으로 조정가능한 가이드가 장착되고, 조정 가이드의 요철 형상부와 가이드 사이에 간극을 가지게 한 깊은 상자 구조로 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5-255323호 공보
자동 현금 거래 장치 등에서는, 취급하는 지폐에 따라, 복수개의 카트리지를 장치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나열하여 장전하기 때문에, 카트리지의 크기는 제한되어 있다. 특히, 카트리지의 가로방향의 크기는 엄격하게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가 되어 있다.
한편, 가이드끼리의 간극으로부터 지폐를 낙하시키지 않는 것과 같은 구조로 하기 위해서는, 조정 가이드와 가압판측의 가이드로, 간극을 취하여 깊은 상자 구조가 필요하기 때문에, 조정 가이드의 요철 형상부를 위한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되어, 장치의 소형화가 어렵다는 과제가 있다.
지엽을 정렬시키고 또한 적층시킨 상태에서 수납가능한 수납 공간이 마련된 지엽 수납 장치에 있어서, 수납 공간의 폭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가이드와, 수납 공간 내를 상하 이동하고, 지엽을 적층 위에 집적해서 보관 유지하는 가압판을 가지며, 가압판은 조정 가이드 방향으로 가압하는 신축가능한 가이드를 갖는다.
본 발명의 지엽 수납 장치에서는, 조정 가이드 방향으로 가압하는 신축가능한 신축 가이드를 가짐으로써, 가압판으로부터의 지폐의 낙하를 억제하고, 신뢰성이 높은 지엽 수납 장치를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지엽 수납 장치의 일례인 카트리지의 측방 단면도이다.
도 1b는 지엽 수납 장치의 일례인 카트리지의 측방 단면도이다.
도 2는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커넥터의 상세도이다.
도 3b는 커넥터의 상세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의 가압판의 상세도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의 카트리지에 있어서 지폐의 낙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종래 기술의 가압판의 가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실시예의 롤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탄성 부재를 가지는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c는 도 7a의 롤러 구성을 가지는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d는 도 7a의 돌기 구조를 가지는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실시예의 조정 가이드가 요철구조를 가지는 형태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지엽 수납 장치의 일 실시예인 카트리지의 개략구조를 이하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1은 카트리지(1)의 개략구조를 나타내는 측방 단면도이다. 도 2는 사시도이다. 도 2에서는, 설명을 위하여, 도 1의 카트리지(1)의 커버(19)의 일부, 게이트 롤러(6)를 생략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1)는, 커버(19)에 의해, 외형을 박스 형상으로 형성하고, 내부에는 지폐(2)를 수평으로 해서 쌓아 포개는 수납 공간 A를 가지며, 수납 공간 A의 바닥부(底部)에 지폐크기(지폐정도의 크기)의 가압판(9)을 구비하고 있다. 가압판(9)은, 수평 상태에서 측벽을 따라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가압판(9)은, 모터의 정역전 제어에 의해 상하 이동이 제어된다. 또한 가압판(9)은, 지폐를 낙하시키지 않기 위해서 신축 가이드(22)를 갖는다.
카트리지(1)의 상부에는, 피드 롤러(4)가 가로방향으로 배치되고, 이 피드 롤러(4)는, 지폐(2)를 집적시에 내측(수납 공간 A측)으로, 인출시에 상방으로 반송한다.
피드 롤러(4)의 회전축인 피드 축의 일단에는, 도시하지 않은 기어를 삽입 장착하고 있어, 이 기어 및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고착한 기어를 통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구동력으로서 얻는다. 또한, 모터는, 적당한 제어 수단으로 정역전 제어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게이트 롤러(6)는, 피드 롤러(4)와 대향해서 구비되며, 둘레면에는 피드 롤러(4)에 형성된 홈에 조금 인입될 수 있도록 볼록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피드 롤러(4)와 게이트 롤러(6)를 서로 오버랩하고 있다. 여기서, 게이트 롤러(6)는 집적시에는 집적 방향으로 회전하고, 인출시에는 회전하지 않고 정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집적시에는, 지폐(2)가 자동 현금 거래 장치 등에 설치된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되어서, 카트리지(1)의 삽입 배출구(21)에 삽입되면, 도시하지 않은 모터를 구동해서 피드 롤러(4)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게이트 롤러(6)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삽입된 지폐는 피드 롤러(4)와 게이트 롤러(6) 사이를 통과하여, 수납 공간 A에 받아들인다. 받아들인 지폐는, 도 1에 나타내는 지폐와 같이, 가압판(9) 위에 정렬하고 또한 적층한 상태로 수납된다.
또한, 인출 시에는, 가압판(9)을 상승시켜, 수납하고 있는 지폐를 픽업 롤러(3)에 맞닿게 한 후에, 모터를 구동해서 픽업 롤러(3)와 피드 롤러(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지폐는 픽업 롤러(3)로 한 장씩 Y 방향으로 보내져, 피드 롤러(4)와 게이트 롤러(6) 사이를 통과하여, 삽입 배출구(21)로부터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게이트 롤러(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으므로, 지폐 간의 마찰에 의해 복수매의 지폐가 픽업 롤러(3)로 Y방향으로 보내져도, 복수매의 지폐는 피드 롤러(4)와 게이트 롤러(6)로 한 장씩 분리되어서, 외부로 인출된다.
또한, 카트리지(1)는, 지폐의 적층 방향으로 수납 공간 A의 면을 형성하는 판금인 조정 가이드(8)를 갖는다. 이 조정 가이드(8)는 수납 공간 A의 폭 W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수납 공간 A의 폭 W는, 수납하고 있는 지폐의 짧은 길이방향(짧은 변 방향) S와 평행하며, 또한 지폐의 인출 방향 Y와 대략 평행한 방향이다. 또한, 조정 가이드(8)는, 짧은 길이 방향 S와 적층 방향 H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 즉 지폐의 긴 길이 방향(긴 변 방향) L에 요철을 가지는 형상을 하고 있어도 좋다.
도 1a와 도 1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7a, 7b)에 대하여, 조정 가이드(8)의 위치를 변경했을 경우의 카트리지(1)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a와 도 1b와 같이, 조정 가이드(8)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지폐(2)의 사이즈에 따른 수납 공간 A를 형성하여, 안정한 지폐(2)의 집적이 가능해진다.
도 2의 커넥터(7a, 7b)는, 조정 가이드(8)의 단부와 끼워맞춤한다. 상측의 커넥터인 상부 커넥터(7a)는 2개로 분할되어 있다. 또한, 하측의 커넥터인 하부 커넥터(7b)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를 관통공을 관통시켜서, 커버(19)에 설치된 돌기의 도시하지 않은 나사 구멍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커버(19)의 내면에 밀착하도록 커버(19)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부 커넥터(7a)는, 각부(脚部)를 커버(19)에 마련된 홈에 삽입함으로써, 커버(19)의 내면에 밀착하도록 커버(19)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3a, 도 3b는 커넥터(7a, 7b)의 상세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3a는 상부 커넥터(7a)를 도 2에 있어서 하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도 3b는 하부 커넥터(7b)를 도 2에 있어서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각 커넥터에는 조정 가이드(8)를 수직으로 끼워맞춤시키는 복수의 끼워맞춤 홈이 짧은 길이 방향 S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어느 쪽의 끼워맞춤 홈에 조정 가이드(8)를 끼워맞춤한 후, 커넥터(7a, 7b)를 커버(19)에 장착함으로써 조정 가이드(8)의 짧은 길이 방향 S에 있어서의 위치가 변하여, 수납 공간 A의 폭 W의 크기가 다단계로 조정된다.
또한, 카트리지(1)에서는, 수납 공간 A의 짧은 길이 방향 S의 폭 W 뿐만 아니라, 수납 공간 A의 긴 길이 방향 L의 폭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커넥터(7a, 7b)를 채용함으로써, 크기의 조정을 가능하게 해도 좋다.
본 실시예와, 종래 기술은 조정 가이드(8), 가압판(9)이 가지는 가이드(11)의 구조가 다르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도 4, 도 5, 도 6을 이용하여, 최초에 종래 기술을 설명하고, 종래 기술과는 다른 점인 조정 가이드(8), 가이드(11)(본 실시예에서는 신축 가이드(22)에 상당)에 대해서, 도 7,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도 1 ∼ 도 3을 채용한 설명에 대해서는, 종래 기술도 거의 마찬가지이므로, 이하, 종래 기술의 설명에서도 도 1 ∼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 하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가압판(9)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점선은, 지폐(2)가 집적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가압판(9)은, 예를 들면 긴 길이 방향으로 약 180mm, 짧은 길이 방향으로 약90mm까지의 지폐 사이즈를 상정하고, 폭 방향에 대하여, 조정 가이드(8)와 서로 상자 구조를 형성한다.
그러나, 소사이즈의 지폐를 취급하면, 도 4와는 달리 가이드(11)를 갖지 않을 경우, 상술한 가압판(9)과 조정 가이드(8)의 상자 구조만으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정 가이드(8)와 가압판(9)의 간극 X로부터 지폐가 낙하할 가능성이 있다. 이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종래 기술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판(9)의 가이드(11)와 조정 가이드(8)로 상자 구조를 만들고 있다.
이 가압판(9)과 가이드(11)의 관계를 도 6에 나타낸다.
도 6은 도 2에 있어서 하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조정 가이드(8), 가압판(9)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가이드(11)와 조정 가이드(8)의 상자 구조를 가지는 종래 기술을 나타낸다. 도 6b는 도 6a의 A-A 단면도이다.
조정 가이드(8)는, 적층 방향 H로 뻗는 형상을 하고 있고, 짧은 길이 방향 S에 대하여 휘어짐 정밀도가 낮다. 이 때문에, 가이드(11)가 조정 가이드(8)에 의해 동작이 제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가이드(11)와 조정 가이드(8) 사이에 간극(16)을 둘 필요가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이 조정 가이드(8)와 가이드(11)의 간극(16)으로부터, 지폐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가압판(9)에 폭 방향으로 조정가능한 가이드(11)가 장착되어, 조정 가이드(8)의 요철 형상과 가이드(11)로 상자 구조(15a)로 하고 있다.
상기한 도 6에 나타낸 조정 방식에서는, 수납 공간 A의 폭을 변경가능하고 또한 지폐를 낙하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조정 가이드(8)와 가압판에 장착된 가이드(11)로 상자 구조(15a)를 유지하고, 또한 가이드끼리에서 간극(16)을 가지고 있어 조정 가이드(8)의 요철 형상(14a)이 두껍게 되어버린다. 이 때문에, 카트리지(1) 및 자동 현금 거래 장치의 소형화를 저해하게 된다.
계속해서, 본 실시예에 대해서, 도 7a와 그의 B-B 단면도인 도 7b ∼ 도 7d 및 도 8a와 그의 C-C 단면도인 도 8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 기술의 가이드(11)에 해당하는 신축 가이드(22)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a,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판(9)에 장착되는 신축 가이드(22)는, 화살표 P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 가이드 구조로 하고, 탄성 부재에 의해, 조정 가이드(8)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조정 가이드(8)와 밀착하는 구조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신축 가이드(22)는 내부에 압축 스프링(13)이 삽입되어 있어, 폭 P 방향에 대하여 신축하여, 조정 가이드(8)에 항상 밀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신축 가이드(22) 대신에 판 스프링 등의 탄성 구조로 해서 판 스프링이 직접 조정 가이드에 밀착시키는 구조로 해도 좋다
이상 서술한 실시예에서는, 신축 가이드(22)는, 조정 가이드(8)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짧은 길이 방향 S에 대하여 휘어짐 정밀도가 높지 않은 조정 가이드(8)와의 사이에서도 밀착 가능하게 되어, 상자 구조가 필요없어 조정 가이드(8)의 형상을 요철 형상으로 하지 않아도 된다. 이 때문에 종래의 수납 공간의 폭의 조정 범위를 유지하면서 지엽류 수납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 자체가 신축가능하기 때문에 조정 가이드가 변형 등을 해도 추종가능해서, 신뢰성이 높은 장치가 실현된다.
다음에 도 7a,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축 가이드(22)의 가이드 선단에 롤러(12)를 구비한 도면을 나타낸다. 이는 도 7b에 나타내는 형상에 비하여 가압판(9)의 상하 동작시의 부하를 저감시켜서 스무스하게 동작시키기 위해서 가이드 선단에 회전가능한 롤러(12)를 구비한 것이다.
이 경우, 롤러(12)는 신축 가이드(22)와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롤러(12)가 조정 가이드(8)와 접촉하여, 신축 가이드(22)와 조정 가이드(8)의 간극(18) 정밀도가 높아진다. 이 때문에, 간극(18)을 작게 하고, 또한 롤러(12) 외주면이 신축 가이드(11)보다 수납 공간 A 내로 돌출하지 않는 지름, 또는 롤러(12)의 회전축을 배치함으로써 지폐의 말림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롤러(12)를, 신축 가이드(11)의 하방에 배치하면, 지폐의 말림 방지에 유효하다.
또한, 도 7a, 도 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축 가이드의 선단을 형상(17)과 같이 지폐(2)의 적층방향과 같은 방향의 돌기 형상으로 함으로써 ,말림 및 끼우기를 방지하는 작용이 더욱 커진다.
또한, 도 8a,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4와 마찬가지로, 조정 가이드(8)의 형상을 요철 형상으로 했을 경우, 도 7에 비하여, 지폐의 낙하 방지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4에 나타내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조정 가이드(8)의 요철 형상을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이상 서술한 실시예에서는, 가압판(9)에 장착하는 신축가능한 신축 가이드(22)가 조정 가이드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항상 밀착하고 있기 때문에, 상자 구조가 필요없게 된다. 이 때문에, 조정 가이드(8)를 요철 형상으로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 저렴한 부품이 된다. 또한, 종래의 수납 공간 A의 폭의 조정 범위를 유지하면서 지엽류 수납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이드(22)의 형상이나, 개수(본 실시예에서는 2개)는, 상기 효과를 가지는 것이면 본 실시예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조정 가이드(8)가 변형 등을 해도 신축가능한 신축 가이드(22)가 신축하기 때문에, 당해 변형에 대하여 추종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지엽 수납 장치가 된다. 예를 들면, 조정 가이드(8)가 도 2의 L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었다고 해도, 신축 가이드(22)를 가짐으로써, 당해 기울기에 따라, 조정 가이드(8)와 신축 가이드(22)의 간극을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복수의 신축 가이드를 가지는 경우에는, 이 간극을 막는데 유효하다.
또한, 신축가능한 신축 가이드(22)에 롤러(12)를 구비했을 경우, 가압판 동작시의 조정 가이드(8)와의 접촉 부하의 저감에 의해 가압판(9)의 상하 동작은 스무즈해져 구동 동력은 작아도 된다.
또한, 조정 가이드(8)를 얇은 요철 형상으로 했을 경우에는, 지폐의 낙하 방지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도 신축가능한 신축 가이드(22)가 조정 가이드(8)와 밀착해서 추종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얕은 상자 구조가 가능해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1 : 카트리지 2 : 지폐
3 : 픽업 롤러 4 : 피드 롤러
5 : 핀치 롤러 6 : 게이트 롤러
7a, 7b : 커넥터 8 : 조정 가이드
9 : 가압판 11 : 가이드
12 : 롤러 13 : 압축 스프링
14a, 14c : 조정 가이드 두께 15a, 15c : 상자 구조
16 : 간극 17 : 말림, 끼우기 방지 형상
18 : 롤러와 조정 가이드의 간격 19 : 커버
21 : 삽입 배출구 22 : 신축 가이드

Claims (6)

  1. 지엽을 적층시킨 상태에서 수납가능한 수납 공간이 마련된 지엽(紙葉) 수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공간의 폭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가이드와,
    상기 수납 공간 내를 상하 이동하고, 지엽을 적층 위에 집적해서 보관 유지하는 가압판을 가지며,
    상기 가압판은, 상기 조정 가이드 방향으로 가압하는 신축가능한 신축 가이드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수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가이드의 선단에는 상기 조정 가이드에 밀착하는 회전가능한 롤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수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외주면이 상기 신축 가이드로부터 수납 공간 내로 튀어나오지 않는 지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수납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외주면이 상기 신축 가이드로부터 수납 공간 내로 튀어나오지 않는 위치에, 상기 롤러의 회전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수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가이드의 선단은, 지엽의 적층 방향에 돌기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수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가이드는, 상기 조정 가이드와 상자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수납 장치.
KR1020100105826A 2010-01-22 2010-10-28 지엽 수납 장치 KR1011580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11582 2010-01-22
JP2010011582A JP5286295B2 (ja) 2010-01-22 2010-01-22 紙葉収納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494A true KR20110086494A (ko) 2011-07-28
KR101158000B1 KR101158000B1 (ko) 2012-06-25

Family

ID=44293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5826A KR101158000B1 (ko) 2010-01-22 2010-10-28 지엽 수납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286295B2 (ko)
KR (1) KR101158000B1 (ko)
CN (1) CN1021340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72631B2 (ja) * 2013-07-08 2017-02-01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JP6265379B2 (ja) * 2013-11-15 2018-01-24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葉類処理装置
CN109035547B (zh) * 2017-06-12 2020-10-27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币箱及纸币处理装置
CN107507333A (zh) * 2017-08-25 2017-12-22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一种纸张类收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3329A (ja) * 1982-09-17 1984-03-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給紙カセツト
JPH01209227A (ja) * 1988-02-13 1989-08-23 Fujitsu Ltd 用紙カセットの用紙ガイド位置調整機構
JP2807416B2 (ja) * 1994-08-23 1998-10-08 東北リコー株式会社 大容量給紙装置
JP4166177B2 (ja) * 2004-03-11 2008-10-15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収納装置
KR20060127478A (ko) * 2005-06-07 2006-12-1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리싸이클박스의 푸쉬플레이트 유동방지장치
KR20060127471A (ko) * 2005-06-07 2006-12-1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리싸이클박스의 스택유니트
JP4713231B2 (ja) * 2005-06-15 2011-06-29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JP4454025B2 (ja) * 2005-06-17 2010-04-21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紙幣処理装置
KR101165101B1 (ko) * 2006-01-06 2012-07-12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카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48601A (ja) 2011-08-04
JP5286295B2 (ja) 2013-09-11
CN102134011A (zh) 2011-07-27
KR101158000B1 (ko) 2012-06-25
CN102134011B (zh) 201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1283B2 (en)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reading device
US10106358B2 (en) Paper money stacking apparatus and paper money processing device
US9342940B2 (en) Cashbox and money validator using the same
US8047428B2 (en) Cash transaction machine
KR101158000B1 (ko) 지엽 수납 장치
US8146804B2 (en) Cash transaction machine
US11008188B2 (en) Medium conveying apparatus
US20090159662A1 (en) Device of Supplying Paper Medium
KR20090061934A (ko) 매체 공급 장치
JP5887318B2 (ja) 紙葉類収納用スタッカ
JP5563523B2 (ja) 紙葉類収納カセット繰出負荷低減機構
KR101921421B1 (ko) 통장의 복수매 방출 방지기능을 갖는 카세트
EP1486442B1 (en) Sheet stacking apparatus
US7891553B2 (en) Device of supplying paper medium
JP2010052884A (ja) 紙葉類取扱装置
JPWO2018131117A1 (ja) 媒体搬送装置
JP5844724B2 (ja) 媒体繰り出し装置
KR101407379B1 (ko) 매체 공급 장치
JP4193736B2 (ja) 紙葉媒体排出構造
US10131511B2 (en) Sheet conveyance apparatus
KR20160061650A (ko) 이중 급지 방지기능이 있는 휴대용 인화기의 인화지 공급장치
KR20240002595A (ko) 매체 입출금 장치
JP3887619B2 (ja) カード送り出し装置
JP2534187B2 (ja) 紙葉類収納装置
JP2003276931A (ja) 媒体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