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5338A - 광중계 r-형 및 gr-형 수신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중계 r-형 및 gr-형 수신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5338A
KR20110085338A KR1020100005074A KR20100005074A KR20110085338A KR 20110085338 A KR20110085338 A KR 20110085338A KR 1020100005074 A KR1020100005074 A KR 1020100005074A KR 20100005074 A KR20100005074 A KR 20100005074A KR 20110085338 A KR20110085338 A KR 20110085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ptical
output
uplink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8504B1 (ko
Inventor
양종석
Original Assignee
현대글로벌콘트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글로벌콘트롤(주) filed Critical 현대글로벌콘트롤(주)
Priority to KR1020100005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504B1/ko
Priority to EP10831697.7A priority patent/EP2472749A4/en
Priority to JP2012531991A priority patent/JP5540422B2/ja
Priority to BR112012011900-1A priority patent/BR112012011900A2/pt
Priority to US13/258,752 priority patent/US8744264B2/en
Priority to CN201080014558.5A priority patent/CN102369680B/zh
Priority to PCT/KR2010/002172 priority patent/WO2011062330A1/ko
Publication of KR20110085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40Transceiv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89Bidirectional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R형/GR형 수신기 시스템은 경보 신호를 발하는 다수의 감지기/발신기들,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다수의 방재 설비들, 다수의 광중계기들 및 R형/GR형 수신기를 포함한다. 광중계기들은 감지기/발신기들 및 방재 설비들에 연결되며, 서로 광 케이블을 통해 데이지 체인 연결되어 경보 신호를 R형/GR형 수신기에 광학적으로 상향 전송하고, 또한 제어 신호를 R형/GR형 수신기로부터 광학적으로 하향 전송하며, 감지기/발신기들에 대해서 경보 신호를 그리고 방재 설비들에 대해서 제어 신호를 각각 전기적으로 입출력할 수 있다. R형/GR형 수신기는 광중계기들 중 하나로부터 경보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신호를 광중계기들 중 상기 하나에 송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중계 R-형 및 GR-형 수신기 시스템{TYPE-R AND TYPE-GR FIRE ALARM CONTROL PANEL SYSTEM WITH OPTICAL REPEATERS}
본 발명은 화재 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R형 및 GR형 수신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가 화재 안전 기준(NFSC)은 소방 시설에 관하여 여러 가지 규격을 정해놓은 규정집으로서, 이중 NFSC 203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은 건축물의 자동화재 탐지설비가 갖추어야 하는 조건들을 규정하고 있다.
NFSC 203에 따르면, 감지기는 화재 발생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경보를 수신기에 발신할 수 있는 장치이고, 발신기는 사람이 화재를 직접 발견할 경우에 이를 알리기 위한 장치이다. 여러 가지 발신기 중에 P형 1급 발신기는 사람이 발신한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응답 램프가 있고 수신기와 발신기 사이에 연락 가능하도록 전화 기능을 가지며, P형 2급 발신기는 누름단추 기능은 있지만 전화 기능은 없다. 수신기는 P형, R형, M형, GP형, GR형의 5 가지 형식이 있는데, 그 중 R형 및 GR형 수신기는 다수의(중계기 100 개분 이상) 감지기 또는 P형 발신기에서 발신된 고유 신호를 수신하고 경보를 관계자에게 통보가능하도록 구성된 수신기이다. R형 및 GR형 수신기는 해당 감지기나 발신기가 어디 있는 감지기 또는 발신기인지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어야 하고, 따라서 각 감지기 또는 발신기에 고유의 식별 부호를 부여할 수 있다. 대형 건물에 설치한 감지기들과 발신기들을 직접 수신기에 연결하는 것은 불합리하며, 중계기가 감지기들 및 발신기들의 경보 신호(고유 신호를 포함)를 받아 수신기 등에 발신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중계기는 감지기 또는 발신기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수신기에 전달하고, 또한 소화 설비나, 제연 설비 기타 방재 설비에 제어 신호를 발신하는 장비이다. 따라서, 중계기는 수신기와 사이에 입력 채널과 출력 채널을 별도로 가질 필요가 있다.
종래에 R형 및 GR형 수신기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중계기와 R형/GR형 수신기 사이는 RS485 또는 RS422에 의해 연결되었다. RS485/422 규격은 디퍼렌셜 방식으로서 통신 거리가 1km 안팎이고, 멀티드롭(multi-drop) 방식으로 연결 시에 약 127 대 또는 255 대의 중계기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통상적으로 하나의 R형/GR형 수신기가 하나의 건물을 커버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R형/GR형 수신기는 대단지의 아파트나 캠퍼스 건물들을 통합한 화재 감시 시스템을 구성한다거나, 초대형 건물에 화재 감시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
현실적인 측면에서, RS485/422 와이어로 구축된 화재 감시 시스템은 오경보와 오동작이 잦아, 건물 관리인들이 감시 시스템을 꺼버리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았다. 성능이 떨어지는 화재 감시 시스템을 구축해 오던 관행으로 말미암아 건물의 준공 승인을 받기 위한 형식적인 절차로 여겨지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R형/GR형 수신기 시스템의 통신 거리의 제한 및 연결할 수 있는 중계기의 개수 제한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R형/GR형 수신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나아가, 오동작이 잦은 종래의 R형/GR형 수신기 시스템의 단점을 극복하고 신뢰할 수 있는 R형/GR형 수신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변환기는,
다수의 감지기/발신기들 또는 방재 설비들과 R형/GR형 수신기 사이를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데이지 체인(daisy-chain) 연결하는 광변환기로서,
데이지 체인 연결된 다음 광변환기로부터 전달된 상향 광 신호를 수신하여 상향 전기 신호로 변환하며, 하향 전기 신호를 전달받아 하향 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다음 광변환기로 출력하는 제1 광 송수신 모듈;
데이지 체인 연결된 이전 광변환기로부터 전달된 하향 광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하향 전기 신호로 변환하며, 상향 결합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향 결합 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전 광변환기로 출력하는 제2 광 송수신 모듈;
상기 제1 광 송수신 모듈에서 출력된 상향 전기 신호와 감지기 또는 발신기에서 기인한 경보 신호를 전기적으로 결합한 상기 상향 결합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상향 브랜치;
상기 제2 광 송수신 모듈에서 출력된 하향 전기 신호를 입출력 포트와 상기 제1 광 송수신모듈로 제공하는 하향 브랜치; 및
상기 감지기 또는 발신기들로부터 수신된 상기 경보 신호를 상기 상향 브랜치에 제공하며, 상기 하향 전기 신호를 제공받아 외부로 출력하는 입출력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향 브랜치는 상기 제1 광 송수신 모듈의 출력 도선과 상기 경보 신호가 전달되는 도선을 연결한 탭(tap)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향 브랜치는 상기 제1 광 송수신 모듈에서 출력된 상기 상향 전기 신호와 상기 감지기 또는 발신기에서 기인한 경보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경우 어느 한 신호를 지연시킴으로써 두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조정 회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향 브랜치는 상기 제1 광 송수신 모듈에서 출력된 상기 상향 전기 신호와 상기 감지기 또는 발신기에서 기인한 경보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경우 하나의 패킷으로 인코딩하여 상기 상향 결합 전기 신호로 출력하는 패킷 인코더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출력 포트는,
상기 감지기 또는 발신기로부터 RS485 또는 RS422 규격의 차동 신호 또는 DC 24V의 직류 신호를 수신하고, 싱글엔디드 경보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상향 브랜치에 제공하는 입력 포트; 및
상기 하향 전기 신호를 RS485 또는 RS422 규격의 차동 신호 또는 DC 24V의 직류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향 브랜치는 상기 제2 광 송수신 모듈의 출력 도선과 상기 입출력 포트로 상기 하향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도선을 연결한 탭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향 브랜치는 상기 제2 광 송수신 모듈에서 출력된 상기 하향 전기 신호 중에서 상기 방재 설비들 중 하나로 전달될 제어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입출력 포트로 출력하는 검출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중계기는,
다수의 감지기/발신기들 또는 방재 설비들과 R형/GR형 수신기 사이를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데이지 체인(daisy-chain) 연결하는 광중계기로서,
데이지 체인 연결된 다음 광중계기로부터 전달된 상향 광 신호를 수신하여 상향 전기 신호로 변환하며, 하향 전기 신호를 전달받아 하향 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다음 광변환기로 출력하는 제1 광 송수신 모듈;
데이지 체인 연결된 이전 광중계기로부터 전달된 하향 광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하향 전기 신호로 변환하며, 상향 결합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향 결합 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전 광변환기로 출력하는 제2 광 송수신 모듈;
상기 제1 광 송수신 모듈에서 출력된 상향 전기 신호와 감지기 또는 발신기에서 기인한 경보 신호를 전기적으로 결합한 상기 상향 결합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상향 브랜치;
상기 제2 광 송수신 모듈에서 출력된 하향 전기 신호를 중계 제어부와 상기 제1 광 송수신모듈로 제공하는 하향 브랜치;
수신된 상기 경보 신호를 상기 상향 브랜치에 제공하며, 상기 하향 전기 신호 중에서 제어 신호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중계 제어부; 및
상기 감지기 또는 발신기들로부터 상기 경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중계 제어부에 제공하며, 상기 중계 제어부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외부로 출력하는 상기 입출력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향 브랜치는 상기 제1 광 송수신 모듈의 출력 도선과 상기 중계 제어부로부터 상기 경보 신호가 전달되는 도선을 연결한 탭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향 브랜치는 상기 제1 광 송수신 모듈에서 출력된 상기 상향 전기 신호를 상기 중계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중계 제어부로부터 상기 상향 결합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광 송수신 모듈에 전달하며,
상기 중계 제어부는 상기 경보 신호와 상기 상향 전기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상향 결합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향 브랜치는 상기 제1 광 송수신 모듈에서 출력된 상기 상향 전기 신호와 상기 감지기 또는 발신기에서 기인한 상기 경보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경우 어느 한 신호를 지연시킴으로써 두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조정 회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향 브랜치는 상기 제1 광수신 모듈에서 출력된 전기 신호와 감지기 또는 발신기에서 기인한 경보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경우 하나의 패킷으로 인코딩하여 출력하는 패킷 인코더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향 브랜치는 상기 제2 광 송수신 모듈의 출력 도선과 상기 중계 제어부로 연결되는 도선을 연결한 탭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출력 포트는,
상기 감지기 또는 발신기로부터 RS485 또는 RS422 규격의 차동 신호 또는 DC 24V의 직류 신호를 수신하고, 싱글엔디드 경보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중계 제어부에 제공하는 입력 포트; 및
상기 중계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어 신호를 RS485 또는 RS422 규격의 차동 신호 또는 DC 24V의 직류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형/GR형 수신기 시스템은,
경보 신호를 발하는 다수의 감지기/발신기들;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다수의 방재 설비들;
상기 감지기/발신기들 및 방재 설비들에 연결된 다수의 중계기들;
서로 광 케이블을 통해 데이지 체인 연결되어 상기 경보 신호를 광학적으로 R형/GR형 수신기에 상향 전송하고, 또한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R형/GR형 수신기로부터 광학적으로 하향 전송하며, 상기 중계기들에 대해 상기 경보 신호와 상기 제어 신호를 각각 전기적으로 입출력할 수 있는 다수의 광변환기들; 및
상기 광변환기들 중 하나로부터 상기 경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광변환기들 중 상기 하나에 송신하는 R형/GR형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변환기들 중 상기 하나와는 광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R형/GR형 수신기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일포트 광변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형/GR형 수신기 시스템은,
경보 신호를 발하는 다수의 감지기/발신기들;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다수의 방재 설비들;
상기 감지기/발신기들 및 방재 설비들에 연결되며, 서로 광 케이블을 통해 데이지 체인 연결되어 상기 경보 신호를 R형/GR형 수신기에 광학적으로 상향 전송하고, 또한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R형/GR형 수신기로부터 광학적으로 하향 전송하며, 상기 감지기/발신기들에 대해서 상기 경보 신호를 그리고 상기 방재 설비들에 대해서 상기 제어 신호를 각각 전기적으로 입출력할 수 있는 다수의 광중계기들; 및
상기 광중계기들 중 하나로부터 상기 경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광중계기들 중 상기 하나에 송신하는 R형/GR형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중계기들 중 상기 하나와는 광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R형/GR형 수신기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일포트 광변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R형/GR형 수신기 시스템에 비해 훨씬 긴 거리에서 통신을 할 수 있고, 최대 65535 대 정도까지의 중계기를 연결할 수 있어, 하나의 R형 수신기로 하나의 건물뿐 아니라, 대단지 전체 또는 초고층 건물 전체의 화재 감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중계기, 감지기, 발신기를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R형/GR형 수신기 시스템의 수용 용량을 크게 확장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오류율을 크게 줄이고 신뢰성있는 R형/GR형 수신기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중계 R형/GR형 수신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 도 2b, 도 2c는 도 1의 광중계 R형/GR형 수신기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2-웨이 광중계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들이다.
도 3은 도 1의 광중계 R형/GR형 수신기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광 입출력 포트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중계 R형/GR형 수신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a, 도 5b는 도 4의 광중계 R형/GR형 수신기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2-웨이 광변환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들이다.
도 6은 도 4의 광중계 R형/GR형 수신기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단일 포트 광변환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 부호에 관하여, 도면 부호의 가장 왼쪽 숫자는 그 도면 부호가 가리키는 대상이 최초로 등장하는 도면의 번호를 뜻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중계 R형/GR형 수신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광중계 R형/GR형 수신기 시스템(10)은 R형/GR형 수신기(11), 광케이블(12), 광중계기(13a, 13b, ..., 13n), 감지기 또는 발신기(14), 방재 설비(15)를 포함할 수 있다. 광중계기들(13a, 13b, ..., 13n)은 데이지 체인(daisy chain) 형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R형/GR형 수신기(11)는 제어부(111), 동작 점검부(112), 표시부(11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4), 광 입출력 포트(115)를 포함한다. 제어부(111)는 경보 신호의 수신 및 통제, 경보 신호를 발생시킨 중계기와 발신기 식별, 관제 센터(미도시)와 사이의 통신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동작 점검부(112)는 수신기에 연결된 각 중계기들과 회선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시험할 수 있다. 표시부(113)는 디스플레이, LED 램프, 스피커 등을 포함하며, 경보 상태, 동작 상태 등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4)는 관제 센터와 사이의 통신을 수행한다. 실시예에 따라, 스토리지가 부가되어 동작 정보를 누적 저장할 수 있다.
R형/GR형 수신기(11)의 광 입출력 포트(115)는 감지기 또는 발신기(14)에서 발생한 경보 신호를 광케이블(12)을 통해 상향 광 신호의 형태로 수신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1)로 전달하며, 또한 관제 센터로부터 각 방재 설비로 전달되도록 제공된 제어 신호를 제어부(111)로부터 전달받아 하향 광 신호로 변환한 후 광케이블(12)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R형/GR형 수신기(11)에서 기인한 제어 신호를 각 광중계기(13)를 거쳐 방재 설비(15)까지 전파하는 경로는 하향(downstream) 신호 경로이고, 감지기 또는 발신기(14)에서 기인한 경보 신호를 광중계기(13)를 거쳐 R형/GR형 수신기(11)로 전파하는 경로는 상향(upstream) 신호 경로라고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R형/GR형 수신기(11)는 종래의 경우와 같이 RS485 또는 RS422 입출력 포트를 가질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광 입출력 포트(115)가 별도의 장치로 예를 들어 단일 포트 광변환기로서 구성되어, R형/GR형 수신기(11)의 외부에서 RS485/422 입출력 포트에 연결되도록 장착될 수 있고, 상향 광 신호를 RS485/422 신호로 변환하여 R형/GR형 수신기(11)에 전달하거나, 또는 R형/GR형 수신기(11)로부터 출력된 RS485/422 차동 신호를 하향 광 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할 수 있다.
광케이블(12)은 R형/GR형 수신기(11)로 향하는 경보 신호를 포함하는 상향 광 신호와, R형/GR형 수신기(11)에서 출력된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하향 광 신호를 전달하는 매체이다. 상향 광 신호와 하향 광 신호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광 신호들이거나 다른 채널 코딩 방식으로 인코딩된 광 신호들일 수 있다.
광중계기(13a, 13b, ..., 13n)들은 서로 광케이블(12)을 통해 광학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각각 하나 이상의 감지기 또는 발신기(14)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감지기 또는 발신기(14)들은 예를 들어 건물 내의 하나의 업무 구획, 하나의 층 등으로 그룹화되어, 하나의 광중계기(13)에 대해 단순한 직류 신호선 또는 RS485/422 와이어로 연결될 수 있다. 광중계기(13a, 13b, ..., 13n)들은 예를 들어 소화전, 스프링클러, 할로겐 소화기 등의 소방 설비와 댐퍼, 방화문, 방화 셔터, 배연창과 같은 제연 설비, 그 밖에 피난 유도등과 같은 방재 설비(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광중계기(13a, 13b, ..., 13n)들은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다음 순번의 광중계기(13)로부터 전달된 경보 신호 또는 감지기 또는 발신기(14)들에서 발생한 경보 신호를 실시예에 따라 선택적으로 또는 수신된 경보 신호들을 결합하여 앞 순번의 광중계기(13)로 전달한다. 또한 광중계기(13a, 13b, ..., 13n)들은 R형/GR형 수신기(11)에서 전달된 제어 신호 또는 앞 순번의 광중계기(13)를 통해 전달된 제어 신호를 그 제어 신호가 목적하는 소방, 제연 기타 방재 설비(15)에 전달하거나, 또는 다음 순번의 광중계기(13)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광중계기(13a, 13b, ..., 13n)들은 다른 광중계기(13)들과는 광학적으로 연결되고, 감지기 또는 발신기(14)나 방재 설비와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중계기(13)는 수신한 광 신호를 일단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처리하고, 처리된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감지기 또는 발신기(14)는 통상적인 화재, 연기, 열, 가스 감지기이거나 또는 사람이 직접 버튼을 눌러서 경보를 발생시키는 버튼형 발신기일 수 있다. 감지기 또는 발신기(14)는 전기적인 경보 신호를 발생시켜 광중계기(13)에 송신할 수 있다. 상업적으로 쉽게 구매 가능한 감지기 또는 발신기(14)들은 통상적으로 RS485/422에서 규정된 차동 신호의 형태로 경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광중계기(13)들도 RS485/422 입출력 포트를 갖추고 이를 통해 경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형태의 상업적으로 쉽게 구매 가능한 감지기 또는 발신기(14)들은 DC 24V의 싱글엔디드 직류 신호의 형태로 경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광중계기(13)들도 직류 입출력 포트를 갖추고 이를 통해 경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감지기 또는 발신기(14)들도 경보 신호를 광 신호로 출력하며, 광중계기(13)와 광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2a, 도 2b, 도 2c는 도 1의 광중계 R형/GR형 수신기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2-웨이 광중계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 도 2b, 도 2c를 참조하면, 광중계기(13)는 제1 광 송수신 모듈(131), 제2 광 송수신 모듈(132), 상향 브랜치(133), 하향 브랜치(134), 중계 제어부(135), 입출력 포트(13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도 2b, 도 2c에서, 각각 상향 브랜치(133)와 하향 브랜치(134)의 구조가 다르고, 광중계기(13)의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제1 및 제2 광 송수신 모듈들(131, 132)은 하나의 광케이블(12)을 통해 양방향으로 광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양방향 광 송수신 모듈에서 송신되는 광 신호와 수신되는 광 신호의 주파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광 송수신 모듈은 Y-브랜치로 갈라져 있는 도파관과 유전체 반사판을 이용하여 송신될 광 신호와 수신될 광 신호를 분리한다. 송신의 경우, 레이저 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진 광송신 유닛에서 발생한 광 신호가 도파관을 통해 광케이블까지 인도된다. 수신의 경우, 광케이블에서 입사된 광 신호가 도파관을 통해 전파하다가 유전체 반사판에서 반사되어 광수신 유닛까지 인도된다.
제1 광 송수신 모듈(131)의 광수신 유닛, 상향 브랜치(132), 제2 광 송수신 모듈(132)의 광송신 유닛은 상향 신호 경로를 구성하며, 다른 광중계기로부터 전달된 경보 신호 및 해당 광중계기(13)에 연결되어 있는 감지기 또는 발신기(14)로부터 입력되는 경보 신호를 R형/GR형 수신기(11) 쪽으로 전달한다. 반면, 제2 광 송수신 모듈(132)의 광수신 유닛, 하향 브랜치(134), 제1 광 송수신 모듈(131)의 광송신 유닛은 하향 신호 경로를 구성하며, R형/GR형 수신기(11)에서 기인한 제어 신호를 다른 광중계기(13)와 중계 제어부(135)로 전달한다.
중계 제어부(135)는 감지기 또는 발신기(14)로부터 전달된 경보 신호가 적절한 신호인지 판단하고 상향 브랜치(133)로 전달한다. 또한 중계 제어부(135)는 하향 브랜치(134)로부터 전달된 제어 신호가 해당 광중계기(13)에 연결된 방재 설비에 관한 것인지 판단하고 만약 해당 제어 신호가 해당 광중계기(13)에 연결된 방재 설비에 대한 것이라면 그 방재 설비로 전달한다.
중계 제어부(135)와 감지기 또는 발신기(14)는 입출력 포트(136)를 통해 RS485/422 규격으로 또는 DC 24V 신호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입출력 포트(136)는 광 입출력 포트일 수 있고, 이 경우 감지기 또는 발신기(14)와 광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광 송수신 모듈(131)의 광수신 유닛은 다른 광 중계기로부터 광케이블을 통해 전달된 상향 광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향 광 신호를 전기적인 상향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상향 브랜치(133)는 감지기 또는 발신기(14)에서 발생하여 중계 제어부(135)를 통해 전달되는 경보 신호와 제1 광 송수신 모듈(131)의 광수신 유닛에서 변환된 상향 전기 신호를 결합한 후, 상향 결합 전기 신호를 제2 광 송수신 모듈(132)의 광송신 유닛으로 전달한다. 제2 광 송수신 모듈(132)은 전달받은 상향 결합 전기 신호를 상향 결합 광 신호로 변환한 후 광케이블로 출력한다.
상향 브랜치(133)는 여러 가지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는, 상향 브랜치(133)는 단순히 두 도선을 연결한 탭(tap)일 수 있다. 이 경우, 상향 브랜치(133)의 구조는 간단하지만, 만약 감지기 또는 발신기(14)에서 발생한 경보 신호와 다른 중계기(13)에서 오는 경보 신호들이 동시에 인가된다면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상향 브랜치(133)는 제1 광 송수신 모듈(131)의 광수신 유닛과 중계 제어부(13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또한 중계 제어부(135)와 제2 광 송수신 모듈(132)의 광송신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결선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광중계기(13)로부터 전달된 상향 신호는 상향 브랜치(133)의 결선을 통해 중계 제어부(135)로 전달되며, 중계 처리부(135)가 상향 전기 신호와 경보 신호를 결합 처리한 다음, 처리된 결합 전기 신호는 상향 브랜치(133)의 결선을 통해 제2 광 송수신 모듈(132)의 광송신 유닛으로 전달된다.
도 2c를 참조하면, 상향 브랜치(133)는 조정 회로로 구현되어 예를 들어 다른 중계기(13)와 감지기 또는 발신기(14)로부터 경보 신호들이 동시에 인가될 경우 어느 한 신호를 우선적으로 출력하고 다른 신호를 소정의 지연 시간 후에 출력시켜 충돌을 방지하거나, 또는 패킷 인코더로 구현되어 예를 들어 하나의 페이로드에 두 경보 신호들을 적재한 패킷으로 인코딩한 다음 출력할 수 있다. 하향 브랜치(134)는 해당 광중계기(13)에 연결된 방재 설비에 보내질 제어 신호를 추출하는 검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2 광 송수신 모듈(132)의 광수신 유닛은 R형/GR형 수신기(11)에서 기인한 제어 신호가 광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하향 광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하향 광 신호를 전기적인 하향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하향 전기 신호는 R형/GR형 수신기(11)에서 기인한 제어 신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신호이다. 하향 브랜치(134)는 상기 하향 전기 신호를 중계 제어부(135)와 제1 광 송수신 모듈(131)의 광송신 유닛으로 각각 전달한다. 제1 광 송수신 모듈(131)의 광송신 유닛은 전달받은 하향 전기 신호를 하향 광 신호로 변환한 후 광케이블(12)로 출력한다.
하향 브랜치(134)는 여러 가지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는, 하향 브랜치(1354는 단순히 탭일 수 있다. 이 경우, 하향 전기 신호인 제어 신호는 제1 광 송수신 모듈(131)의 광송신 유닛과 중계 제어부(135)에 전달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하향 브랜치(134)는 제2 광 송수신 모듈(132)의 광수신 유닛과 중계 제어부(13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또한 중계 제어부(135)와 제1 광 송수신 모듈(131)의 광송신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결선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광중계기(13)로부터 전달된 하향 전기 신호 내의 제어 신호는 하향 브랜치(134)의 결선을 통해 중계 제어부(135)로 전달된다. 중계 처리부(135)가 수신된 제어 신호를 적절히 처리하여 출력하면, 처리된 제어 신호는 하향 브랜치(134)의 결선을 통해 제1 광 송수신 모듈(131)의 광송신 유닛으로 전달된다. 이때, 중계 처리부(135)는 수신된 제어 신호를 그대로 다시 출력할 수도 있고, 해당 광중계기(13)에 관한 부분을 제거한 제어 신호를 다시 생성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하향 브랜치(134)는 검출 회로로 구현되어, 예를 들어 인가되는 제어 신호 중 해당 광중계기(13)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가 있을 때에만 제어 신호를 중계 제어부(135)에 전달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 신호를 제2 광 송수신 모듈(131)의 광송신 유닛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광중계 R형/GR형 수신기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광 입출력 포트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광 입출력 포트(115)는 광 송수신 모듈(1151)을 포함한다. 광 송수신 모듈(1151)의 광송신 유닛은 R형/GR형 수신기(11)의 전기적인 제어 신호를 하향 광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광 송수신 모듈(1151)의 광수신 유닛은 경보 신호를 포함하는 상향 광 신호를 입력받고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R형/GR형 수신기(11)에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중계 R형/GR형 수신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광중계 R형 수신기 시스템(40)은 R형/GR형 수신기(11), 단일포트 광변환기(41), 광케이블(12), 2-웨이 포트 광변환기(43a, 43b, ..., 43n), 중계기(44a, 44b, ..., 44n), 감지기 또는 발신기(14)를 포함할 수 있다. 광변환기들(43a, 43b, ..., 43n)은 데이지 체인 형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R형/GR형 수신기(11)는 제어부(111), 동작 점검부(112), 표시부(11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4), 입출력 포트(116)를 포함하며, 도 1의 R형/GR형 수신기(11)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입출력 포트(116)는 도 1에서 광 신호로 입출력하는 광입출력 포트(115)에 상응하는 요소로서, 도 4에서는 RS485/422 규격으로 전기 신호를 입력 및 출력할 수 있다.
단일포트 광변환기(41)는 R형/GR형 수신기(11)의 입출력 포트(116)와 광케이블(12) 사이에 연결되어, 광케이블(12)을 통해 수신된 상향 광 신호 형태의 경보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R형/GR형 수신기(11)의 입출력 포트(116)에 제공하고, R형/GR형 수신기(11)의 입출력 포트(116)에서 출력된 제어 신호를 하향 광 신호로 변환하여 광케이블(12)을 통해 출력한다.
2-웨이 포트 광변환기(43)는 광케이블(12)을 통하여 두 중계기(44) 사이의 신호 전송 또는 중계기(44)와 수신기(11) 사이의 신호 전송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중계기(44)와는 RS485/422 통신으로 연결되어 경보 신호의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중계기(44)는 RS485/422 통신 규격을 이용하는 종래의 중계기일 수 있고, 감지기 또는 발신기(14)도 종래의 감지기 또는 발신기일 수 있다.
도 5a, 도 5b는 도 4의 광중계 R형/GR형 수신기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2-웨이 포트 광중계기를 나타내는 블록도들이다.
도 5a, 도 5b를 참조하면, 2-웨이 광변환기(43)는 제1 광 송수신 모듈(431), 제2 광 송수신 모듈(432), 상향 브랜치(433), 하향 브랜치(434), 입출력 포트(4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도 5b에서, 상향 브랜치(433)와 하향 브랜치(434)의 구조를 제외하고, 2-웨이 광변환기(43)의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제1 광 송수신 모듈(431)의 광수신 유닛, 상향 브랜치(433), 제2 광 송수신 모듈(432)의 광송신 유닛은 상향 신호 경로를 구성한다. 제2 광 송수신 모듈(432)의 광수신 유닛, 하향 브랜치(434), 제1 광 송수신 모듈(431)의 광송신 유닛은 하향 신호 경로를 구성한다.
입출력 포트(435)는 중계기(44)를 통해 감지기 또는 발신기(14)로부터 입력된 RS485/422 규격의 경보 신호 또는 DC 24V의 직류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기에 적합한 싱글엔디드 신호로 변환하여 상향 브랜치(433)로 전달한다. 또한 입출력 포트(435)는 하향 브랜치(434)로부터 전달된 싱글엔디드 제어 신호를 RS485/422 규격의 제어 신호 또는 DC 24V의 직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광 송수신 모듈(431)의 광수신 유닛은 다른 광 중계기로부터 광케이블(12)을 통해 전달된 상향 광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향 광 신호를 전기적인 상향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상향 브랜치(433)는 감지기 또는 발신기(14)에서 발생하여 입출력 포트(435)를 통해 전달되는 경보 신호와 제1 광 송수신 모듈(431)의 광수신 유닛에서 변환된 상향 전기 신호를 결합한 후, 결합된 상향 결합 전기 신호를 제2 광 송수신 모듈(432)의 광송신 유닛으로 전달한다. 제2 광 송수신 모듈(432)의 광송신 유닛은 전달받은 상향 결합 전기 신호를 상향 광 신호로 변환한 후 광케이블(12)로 출력한다.
상향 브랜치(433)는 여러 가지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는, 상향 브랜치(433)는 단순히 탭(tap)일 수 있다. 이 경우, 상향 브랜치(433)의 구조는 간단하지만, 만약 감지기 또는 발신기(14)에서 발생하여 중계기(44)를 통해 전달된 경보 신호와 다른 광변환기(43)에서 전달된 경보 신호들이 동시에 인가된다면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향 브랜치(433)는 조정 회로로 구현되어 예를 들어 두 경보 신호들이 동시에 인가될 경우 어느 한 신호를 우선적으로 출력하고 다른 신호를 소정의 지연 시간 후에 출력시켜 충돌을 방지하거나, 또는 패킷 인코더로 구현되어 예를 들어 하나의 페이로드에 두 경보 신호들을 적재한 패킷으로 인코딩한 다음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2 광 송수신 모듈(432)의 광수신 모듈은 R형/GR형 수신기(11)에서 기인하여 다른 2-웨이 광변환기(43) 및 광케이블(12)을 통해 전달된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하향 광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하향 광 신호를 전기적인 하향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하향 브랜치(434)는 R형/GR형 수신기(11)에서 기인한 제어 신호를 입출력 포트(435)와 제1 광 송수신 모듈(431)의 광송신 유닛으로 각각 전달한다. 제1 광 송수신 모듈(431)의 광송신 유닛은 전달받은 하향 전기 신호를 하향 광 신호로 변환한 후 광케이블(12)로 출력한다.
하향 브랜치(434)는 여러 가지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는, 하향 브랜치(434)는 단순히 탭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신호는 제1 광 송수신 모듈(431)의 광송신 유닛과 입출력 포트(435)에 전달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하향 브랜치(434)는 검출 회로로 구현되어, 예를 들어 인가되는 제어 신호 중 해당 2-웨이 광변환기(43)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가 있을 때에만 제어 신호를 입출력 포트(435)에 전달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 신호를 제1 광 송수신 모듈(431)의 광송신 유닛으로만 전달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광중계 R형/GR형 수신기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단일 포트 광변환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일 포트 광변환기(41)는 광 송수신 모듈(411), 입출력 포트(412)를 포함한다. 입출력 포트(412)는 R형/GR형 수신기(11)로부터 제공된 RS485/422 규격의 차동 제어 신호를 싱글엔디드 제어 신호로 변환한다. 광 송수신 모듈(411)은 싱글엔디드 제어 신호를 하향 광 신호로 변환하고 상향 광 신호의 경보 신호를 전기적인 싱글엔디드 경보 신호로 변환하여 입출력 포트(412)에 제공한다. 입출력 포트(412)는 싱글엔디드 경보 신호를 RS485/422 규격의 차동 경보 신호로 변환하여 R형/GR형 수신기(11)에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와 균등하거나 또는 등가적인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11 R형/GR형 수신기
12 광케이블
13 광중계기
14 감지기 또는 발신기
15 방재설비
43 광변환기
131, 132, 431, 432 양방향 광 송수신 모듈
133, 433 상향 브랜치
134, 434 하향 브랜치
135, 435 중계 제어부
136, 436 입출력 포트

Claims (18)

  1. 다수의 감지기/발신기들 또는 방재 설비들과 R형/GR형 수신기 사이를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데이지 체인(daisy-chain) 연결하는 광변환기로서,
    데이지 체인 연결된 다음 광변환기로부터 전달된 상향 광 신호를 수신하여 상향 전기 신호로 변환하며, 하향 전기 신호를 전달받아 하향 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다음 광변환기로 출력하는 제1 광 송수신 모듈;
    데이지 체인 연결된 이전 광변환기로부터 전달된 하향 광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하향 전기 신호로 변환하며, 상향 결합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향 결합 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전 광변환기로 출력하는 제2 광 송수신 모듈;
    상기 제1 광 송수신 모듈에서 출력된 상향 전기 신호와 감지기 또는 발신기에서 기인한 경보 신호를 전기적으로 결합한 상기 상향 결합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상향 브랜치;
    상기 제2 광 송수신 모듈에서 출력된 하향 전기 신호를 입출력 포트와 상기 제1 광 송수신모듈로 제공하는 하향 브랜치; 및
    상기 감지기 또는 발신기들로부터 수신된 상기 경보 신호를 상기 상향 브랜치에 제공하며, 상기 하향 전기 신호를 제공받아 외부로 출력하는 입출력 포트를 포함하는 광변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향 브랜치는 상기 제1 광 송수신 모듈의 출력 도선과 상기 경보 신호가 전달되는 도선을 연결한 탭(ta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환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향 브랜치는 상기 제1 광 송수신 모듈에서 출력된 상기 상향 전기 신호와 상기 감지기 또는 발신기에서 기인한 경보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경우 어느 한 신호를 지연시킴으로써 두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조정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환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향 브랜치는 상기 제1 광 송수신 모듈에서 출력된 상기 상향 전기 신호와 상기 감지기 또는 발신기에서 기인한 경보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경우 하나의 패킷으로 인코딩하여 상기 상향 결합 전기 신호로 출력하는 패킷 인코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환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포트는,
    상기 감지기 또는 발신기로부터 RS485 또는 RS422 규격의 차동 신호 또는 DC 24V의 직류 신호를 수신하고, 싱글엔디드 경보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상향 브랜치에 제공하는 입력 포트; 및
    상기 하향 전기 신호를 RS485 또는 RS422 규격의 차동 신호 또는 DC 24V의 직류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환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향 브랜치는 상기 제2 광 송수신 모듈의 출력 도선과 상기 입출력 포트로 상기 하향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도선을 연결한 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환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향 브랜치는 상기 제2 광 송수신 모듈에서 출력된 상기 하향 전기 신호 중에서 상기 방재 설비들 중 하나로 전달될 제어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입출력 포트로 출력하는 검출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변환기.
  8. 다수의 감지기/발신기들 또는 방재 설비들과 R형/GR형 수신기 사이를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데이지 체인(daisy-chain) 연결하는 광중계기로서,
    데이지 체인 연결된 다음 광중계기로부터 전달된 상향 광 신호를 수신하여 상향 전기 신호로 변환하며, 하향 전기 신호를 전달받아 하향 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다음 광변환기로 출력하는 제1 광 송수신 모듈;
    데이지 체인 연결된 이전 광중계기로부터 전달된 하향 광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하향 전기 신호로 변환하며, 상향 결합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향 결합 광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전 광변환기로 출력하는 제2 광 송수신 모듈;
    상기 제1 광 송수신 모듈에서 출력된 상향 전기 신호와 감지기 또는 발신기에서 기인한 경보 신호를 전기적으로 결합한 상기 상향 결합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상향 브랜치;
    상기 제2 광 송수신 모듈에서 출력된 하향 전기 신호를 중계 제어부와 상기 제1 광 송수신모듈로 제공하는 하향 브랜치;
    수신된 상기 경보 신호를 상기 상향 브랜치에 제공하며, 상기 하향 전기 신호 중에서 제어 신호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중계 제어부; 및
    상기 감지기 또는 발신기들로부터 상기 경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중계 제어부에 제공하며, 상기 중계 제어부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외부로 출력하는 상기 입출력 포트를 포함하는 광중계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상향 브랜치는 상기 제1 광 송수신 모듈의 출력 도선과 상기 중계 제어부로부터 상기 경보 신호가 전달되는 도선을 연결한 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계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상향 브랜치는 상기 제1 광 송수신 모듈에서 출력된 상기 상향 전기 신호를 상기 중계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중계 제어부로부터 상기 상향 결합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광 송수신 모듈에 전달하며,
    상기 중계 제어부는 상기 경보 신호와 상기 상향 전기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상향 결합결합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계기.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상향 브랜치는 상기 제1 광 송수신 모듈에서 출력된 상기 상향 전기 신호와 상기 감지기 또는 발신기에서 기인한 상기 경보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경우 어느 한 신호를 지연시킴으로써 두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조정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계기.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상향 브랜치는 상기 제1 광수신 모듈에서 출력된 전기 신호와 감지기 또는 발신기에서 기인한 경보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경우 하나의 패킷으로 인코딩하여 출력하는 패킷 인코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계기.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향 브랜치는 상기 제2 광 송수신 모듈의 출력 도선과 상기 중계 제어부로 연결되는 도선을 연결한 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계기.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포트는,
    상기 감지기 또는 발신기로부터 RS485 또는 RS422 규격의 차동 신호 또는 DC 24V의 직류 신호를 수신하고, 싱글엔디드 경보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중계 제어부에 제공하는 입력 포트; 및
    상기 중계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어 신호를 RS485 또는 RS422 규격의 차동 신호 또는 DC 24V의 직류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계기.
  15. 경보 신호를 발하는 다수의 감지기/발신기들;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다수의 방재 설비들;
    상기 감지기/발신기들 및 방재 설비들에 연결된 다수의 중계기들;
    서로 광 케이블을 통해 데이지 체인 연결되어 상기 경보 신호를 광학적으로 R형/GR형 수신기에 상향 전송하고, 또한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R형/GR형 수신기로부터 광학적으로 하향 전송하며, 상기 중계기들에 대해 상기 경보 신호와 상기 제어 신호를 각각 전기적으로 입출력할 수 있는 다수의 광변환기들; 및
    상기 광변환기들 중 하나로부터 상기 경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광변환기들 중 상기 하나에 송신하는 R형/GR형 수신기를 포함하는 R형/GR형 수신기 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광변환기들 중 상기 하나와는 광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R형/GR형 수신기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일포트 광변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형/GR형 수신기 시스템.
  17. 경보 신호를 발하는 다수의 감지기/발신기들;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다수의 방재 설비들;
    상기 감지기/발신기들 및 방재 설비들에 연결되며, 서로 광 케이블을 통해 데이지 체인 연결되어 상기 경보 신호를 R형/GR형 수신기에 광학적으로 상향 전송하고, 또한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R형/GR형 수신기로부터 광학적으로 하향 전송하며, 상기 감지기/발신기들에 대해서 상기 경보 신호를 그리고 상기 방재 설비들에 대해서 상기 제어 신호를 각각 전기적으로 입출력할 수 있는 다수의 광중계기들; 및
    상기 광중계기들 중 하나로부터 상기 경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광중계기들 중 상기 하나에 송신하는 R형/GR형 수신기를 포함하는 R형/GR형 수신기 시스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광중계기들 중 상기 하나와는 광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R형/GR형 수신기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일포트 광변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형/GR형 수신기 시스템.
KR1020100005074A 2009-11-18 2010-01-20 광중계 r-형 및 gr-형 수신기 시스템 KR101068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074A KR101068504B1 (ko) 2010-01-20 2010-01-20 광중계 r-형 및 gr-형 수신기 시스템
EP10831697.7A EP2472749A4 (en) 2009-11-18 2010-04-08 R OR GR TYPE RECEIVER SYSTEM WITH OPTICAL RELAY FUNCTION
JP2012531991A JP5540422B2 (ja) 2009-11-18 2010-04-08 光中継r型及びgr型受信機システム
BR112012011900-1A BR112012011900A2 (pt) 2009-11-18 2010-04-08 Sistemas de controle de alarme de incêndio tipo-r e tipo-gr com repetidoras ópticas
US13/258,752 US8744264B2 (en) 2009-11-18 2010-04-08 Optical relaying R-type and GR-type receiver system
CN201080014558.5A CN102369680B (zh) 2009-11-18 2010-04-08 光学中继r型和gr型接收器系统
PCT/KR2010/002172 WO2011062330A1 (ko) 2009-11-18 2010-04-08 광중계 알-형 및 지알-형 수신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074A KR101068504B1 (ko) 2010-01-20 2010-01-20 광중계 r-형 및 gr-형 수신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338A true KR20110085338A (ko) 2011-07-27
KR101068504B1 KR101068504B1 (ko) 2011-10-17

Family

ID=44922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074A KR101068504B1 (ko) 2009-11-18 2010-01-20 광중계 r-형 및 gr-형 수신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5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607B1 (ko) * 2012-04-18 2013-01-02 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저오류 초고속 시리얼 통신이 가능한 산업용 컨트롤러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398161B1 (ko) * 2012-01-18 2014-05-27 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원격 제어를 위한 실내기 및 실외기를 가지는 멀티 에어컨 시스템
KR20230081826A (ko) * 2021-11-30 2023-06-08 송암시스콤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POF(Plastic Optical Fiber)를 이용한 AI(Artificial Intelligence) 스마트 유도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대피정보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26336B2 (en) 2006-03-31 2012-02-28 Furukawa Electric Co., Ltd.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nd optical repeater
JP4919393B2 (ja) 2006-05-29 2012-04-18 能美防災株式会社 火災報知設備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161B1 (ko) * 2012-01-18 2014-05-27 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원격 제어를 위한 실내기 및 실외기를 가지는 멀티 에어컨 시스템
KR101217607B1 (ko) * 2012-04-18 2013-01-02 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저오류 초고속 시리얼 통신이 가능한 산업용 컨트롤러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WO2013157757A1 (ko) * 2012-04-18 2013-10-24 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저오류 초고속 시리얼 통신이 가능한 산업용 컨트롤러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9066162B2 (en) 2012-04-18 2015-06-23 Hyundai Infracore, Inc. Industrial controller apparatus capable of low error, ultra high-speed serial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driving same
KR20230081826A (ko) * 2021-11-30 2023-06-08 송암시스콤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POF(Plastic Optical Fiber)를 이용한 AI(Artificial Intelligence) 스마트 유도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대피정보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8504B1 (ko) 2011-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0422B2 (ja) 光中継r型及びgr型受信機システム
US69007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fiber optic communication with safety-related alarm systems
KR101068504B1 (ko) 광중계 r-형 및 gr-형 수신기 시스템
US20160360555A1 (en) Bidirectional redundant mesh networks
KR100979173B1 (ko) 광중계 알-형 및 지알-형 수신기 시스템
KR102310052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자동 화재탐지 시스템
JP7010613B2 (ja) 警報システム
KR100997659B1 (ko) 광중계 r형 및 gr형 수신기 시스템
KR100979175B1 (ko) 광중계 알-형 및 지알-형 수신기 시스템
JP6836862B2 (ja) 警報システム
US10917733B2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t least one loudspeaker line
KR102237270B1 (ko) 무선 화재 감지기 시스템
KR101214042B1 (ko) 광통신 화재 감지기 및 화재 경보 수신기 시스템
JP7075522B2 (ja) 警報システム
CN101577593A (zh) 紧急广播系统
KR102310083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자동 화재진압 장치
JP7336891B2 (ja) 中継器及び火災報知システム
JP6609686B2 (ja) 防災設備
JP2022036250A (ja) 警報システム
KR100959948B1 (ko) 비상상황 무선통보 시스템
US20100013643A1 (en) System, Converter and Method for Wide Area Distribution of Supervised Emergency Audio
JP2015230653A (ja) 防災設備
KR20230066916A (ko) 하이브리드 통신 모듈을 가진 화재 감시용 신호 수신 장치
JP6208626B2 (ja) 防災設備
JP2022078342A (ja) 警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