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5015A - 앵커볼트용 펀치 - Google Patents

앵커볼트용 펀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5015A
KR20110085015A KR1020100004569A KR20100004569A KR20110085015A KR 20110085015 A KR20110085015 A KR 20110085015A KR 1020100004569 A KR1020100004569 A KR 1020100004569A KR 20100004569 A KR20100004569 A KR 20100004569A KR 20110085015 A KR20110085015 A KR 20110085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olt
fixing
anchor bolt
ancho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동기
Original Assignee
고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동기 filed Critical 고동기
Priority to KR1020100004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5015A/ko
Publication of KR20110085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0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25C1/06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operated by electr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3/00Portable devices for holding and guiding nails; Nail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7/00Accessories for nailing or stapling tools, e.g.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1/00Portable percussive tools with electromotor or other motor driv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앵커볼트를 고정하기 위한 펀치에 관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앵커볼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펀칭작업을 전동기구를 사용하도록 함으로 앵커볼트를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앵커볼트의 고정력이 균등하게 유지함으로 고정물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며, 작업도구를 간소화시켜 편리성을 가지도록 하는 목적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어느 한쪽에 앵커판의 단부 또는 앵커판의 내부에 삽입된 고정쇠를 타격하기 위한 펀칭부를 형성하고, 다른 쪽에는 전동공구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형성하여 앵커볼트의 앵커판을 타격할 때 망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전동공구를 사용하도록 함으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물을 결합하기 위하여 앵커볼트를 고정을 할 때 앵커볼트의 앵커판 또는 고정쇠를 햄머드릴과 같은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앵커판 또는 고정쇠를 타격하여 앵커판의 절개부를 확장시켜 앵커판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견고히 고정되게 함으로 사용이 편리하고, 적은 공구로서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휴대품을 간소화시키며, 작업의 속도 및 균등한 작업에 의한 고정물의 안정성을 가지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앵커볼트용 펀치{The punch for anchor bolt}
본 발명은 앵커볼트를 고정하기 위한 펀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앵커볼트를 콘크리트 벽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펀칭작업을 할 때 수작업으로 하지 않고 햄머드릴과 같은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펀칭작업을 하도록 하는 앵커볼트용 펀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앵커볼트는 철골구조 또는 목조 기둥의 밀부분이나, 교량의 철제 거더와 같은 구조물과 콘크리트 또는 철근콘크리트의 기초를 연결하는 볼트로서 드릴로 구조물에 구멍을 형성한 후 앵커볼트를 삽입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앵커볼트는 통상 알려진 바와 같이 볼트가 구조물에서 고정되어 돌출되는 것을 셋트앵커라 하고, 너트역활을 하는 앵커판이 구조물에 고정되어 외부에서 볼트를 체결하는 것을 스트롱 앵커라 하는바, 상기 셋트앵커는 앵커볼트와 앵커판을 한조로 하여 앵커볼트의 어느 한 쪽이 원뿔의 형상인 머리와, 다른 한 쪽은 볼트로 이루어지며, 외부에는 원뿔형상의 머리부분에 의하여 벌어지도록 절개부를 형성한 앵커판을 결합한 것이고, 상기 스트롱앵커는 일측에 절개부와 외주연에 걸림턱을 가지고 타측의 내부에는 나사산을 가지는 앵커판과, 상기 앵커판의 내부에 삽입되어 일측의 절개부를 확장시키는 고정쇠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셋트앵커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에 햄머드릴과 같은 전동도구로서 구멍을 형성한 후 상기 구멍에 앵커판을 결합한 앵커볼트를 삽입한 후 앵커볼트의 볼트부분이 삽입되고 앵커판의 단부와 맞닿는 펀치를 구멍에 삽입하여 망치나 햄머와 같은 타격공구로서 펀치를 타격하면 원뿔의 형상을 가지는 앵커볼트의 머리부분에 의하여 앵커판의 일측에 형성된 절개부분이 확장되면서 앵커볼트를 구조물에 고정시킨 후 고정물을 앵커볼트에 결합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기 스트롱앵커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전동기구로서 구멍을 뚫은 후 상기 구멍에 고정쇠와 스트롱앵커의 앵커판을 삽입한 후 앵커판의 선단부를 타격하면 고정쇠에 의하여 앵커판이 확장을 하면서 앵커판을 구조물에 고정시키고, 이러한 앵커판에 볼트를 결합하여 고정물을 고정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앵커볼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형성된 구멍에 앵커판이 고정되게 하기 위해서는 셋트앵커나 스트롱앵커 모두 펀치를 망치나 햄머로 타격을 하여야 하는바, 이와 같이 앵커판이 벌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펀치와 망치를 가지고 작업을 하게 됨으로서 대단히 번거롭고 힘이 드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작업도구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구멍을 뚫기 위한 함마드릴과 앵커볼트를 고정하기 위한 펀치 및 펀치를 가격하기 위한 망치 등과 같이 여러 종류의 도구를 이용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타격하는 힘을 사용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였다.
또한, 작업자가 펀치를 가격하는 힘의 세기를 일정하게 할 수 없어 구조물에 고정되는 앵커볼트의 고정력이 각기 다르게됨으로써 고정물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게 됨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 앵커볼트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앵커볼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펀칭작업을 전동기구를 사용하도록 함으로 앵커볼트를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앵커볼트의 고정력이 균등하게 유지함으로 고정물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며, 작업도구를 간소화시켜 편리성을 가지도록 하는 목적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수단을 실시 예를 통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어느 한쪽에 앵커판의 단부 또는 앵커판의 내부에 삽입된 고정쇠를 타격하기 위한 펀칭부를 형성하고, 다른 쪽에는 전동공구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형성하여 앵커볼트의 앵커판을 타격할 때 망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전동공구를 사용하도록 함으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동공구는 타격을 하는 기능을 가지는 햄머드릴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물을 결합하기 위하여 앵커볼트를 고정을 할 때 앵커볼트의 앵커판 또는 고정쇠를 햄머드릴과 같은 전동공구를 이용하여 앵커판 또는 고정쇠를 타격하여 앵커판의 절개부를 확장시켜 앵커판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견고히 고정되게 함으로 사용이 편리하고, 적은 공구로서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휴대품을 간소화시키며, 작업의 속도 및 균등한 작업에 의한 고정물의 안정성을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앵커볼트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인 펀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펀치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펀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콘크리트 구조물(1)에 앵커볼트(2)를 고정하는 펀치(3)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2)의 앵커판(23)에 형성된 절개부(24)를 확장시키도록 셋트앵커(20)의 앵커판(23)이나 스트롱앵커(21)를 타격하기 위한 펀칭부(30)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햄머드릴과 같은 전동공구(4)에 결합하는 고정부(31)로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펀칭부(30)는 사용되는 앵커볼트(2)의 종류에 따라 그 형상이 서로 다른바, 사용되는 앵커볼트(2)가 세트앵커(21)의 경우에는 펀칭부(30)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트앵커(21)의 볼트부(22)가 삽입하는 삽입홈(32)을 가지고 단부가 앵커판(23)의 단부와 맞닿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고, 사용되는 앵커가 스트롱앵커(21)의 경우에는 펀칭부(30)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커판(23)의 선단부를 일정하게 타격하기 위하여 단턱(34)에 의하여 돌출된 돌기(33)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콘크리트 구조물(1)에 앵커볼트(2)를 이용하여 고정물을 고정시키고자 할 때에는 콘크리트 구조물(1)에 햄머드릴과 같은 전동공구(4)로서 일정깊이의 구멍(10)을 뚫은 후 상기 구멍(10)에 앵커볼트(2)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에 고정되는 고정물이 비교적 중량의 경우에는 셋트앵커(20)를 사용하고, 고정물이 비교적 경량의 경우에는 스트롱앵커(21)를 사용하는바, 셋트앵커(20)나 스트롱앵커(21)의 경우 앵커볼트(2)를 콘크리트 구조물(1)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앵커판(23)의 절개부(24)를 확장시켜 앵커판(23)이 콘크리트 구조물(1)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고정물을 고정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앵커볼트(2)가 셋트앵커(20)의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펀치(3)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에 앵커볼트(2)를 고정시키는 바, 콘크리트 구조물(1)에 형성된 구멍(10)에 셋트앵커(20)를 삽입하고, 펀칭부(30)가 삽입홈(32)을 가지는 펀치(3)를 전동공구(4)에 결합시킨 후 펀칭부(30)의 삽입홈(32)에 셋트앵커(20)의 볼트부(22)가 삽입되도록 하여 펀칭부(30)의 단부와 앵커판(23)의 단부를 맞닿은 상태에서 전동공구(4)를 동작시키면 전동공구(4)가 타격하는 작용에 의하여 앵커판이 밀려 들어가면서 절개부(24)가 원뿔형으로 형성된 볼트머리(26)에 의하여 확장을 하여 셋트앵커(20)가 콘크리트 구조물(1)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앵커볼트(2)가 스트롱앵커(21)의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펀치(3)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에 앵커볼트(2)를 고정시키는 바, 콘크리트 구조물(1)에 형성된 구멍(10)에 고정쇠(25)와 스트롱앵커(21)를 삽입하고, 상기 스트롱앵커(21)의 선단부를 고르게 타격하도록 펀칭부(30)가 단턱(34)에 의하여 돌출된 돌기(33)를 스트롱앵커(21)의 앵커판(23) 내부에 삽입한 후 전동공구(4)를 동작시키면 전동공구(4)가 타격하는 작용에 의하여 고정쇠(25)에 절개부(24)가 형성된 앵커판(23)이 밀려 들어가면서 앵커판(23)의 단부를 확장되어 스트롱앵커(21)가 콘크리트 구조물(1)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앵커볼트(2)를 고정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망치나 햄머와 같은 도구로 펀치(3)를 타격하는 것이 아니라 햄머드릴과 같은 전동공구(4)를 사용함으로 간편하게 앵커볼트(2)를 콘크리트 구조물(1)에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 작업의 편리성과 휴대품의 간소화를 가질 수 있는 발명이다.
1 : 콘크리트 구조물 2 : 앵커볼트
3 : 펀치 4 : 전동공구
20 : 셋트앵커 21 : 스트롱앵커
22 : 볼트부 23 : 앵커판
24 : 절개부 25 : 고정쇠
30 : 펀칭부 31 : 고정부
32 : 삽입홈 33 : 돌기

Claims (3)

  1. 콘크리트 구조물(1)에 앵커볼트(2)를 고정하는 펀치(3)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2)의 앵커판(23)에 형성된 절개부(24)를 확장시키도록 셋트앵커(20)의 앵커판(23)이나 스트롱앵커(21)의 고정쇠(25)를 타격하기 위한 펀칭부(30)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햄머드릴과 같은 전동공구(4)에 결합하는 고정부(3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용 펀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2)의 펀칭부(30)가 세트앵커(21)의 볼트부(22)가 삽입하는 삽입홈(32)을 가지고 단부가 앵커판(23)의 단부와 맞닿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용 펀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2)의 펀칭부(30)가 앵커판(23)에 내부에 삽입된 고정쇠(25)를 타격하도록 돌기(33)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용 펀치.
KR1020100004569A 2010-01-19 2010-01-19 앵커볼트용 펀치 KR201100850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569A KR20110085015A (ko) 2010-01-19 2010-01-19 앵커볼트용 펀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569A KR20110085015A (ko) 2010-01-19 2010-01-19 앵커볼트용 펀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015A true KR20110085015A (ko) 2011-07-27

Family

ID=44921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569A KR20110085015A (ko) 2010-01-19 2010-01-19 앵커볼트용 펀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50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501A (ko) 2016-12-21 2018-06-29 안성민 전동공구용 앵커 펀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501A (ko) 2016-12-21 2018-06-29 안성민 전동공구용 앵커 펀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5936B2 (en) Tool for installing nail-pin anchors and anchor bolts
KR20090119331A (ko) 핀 조립 및 분해용 슬라이딩 해머
US20080173141A1 (en) Expansion anchor setting apparatus
KR20080098607A (ko) 블라인드 리벳 및 이를 위한 방법
KR20180072501A (ko) 전동공구용 앵커 펀치
KR20110085015A (ko) 앵커볼트용 펀치
KR20180003303U (ko) 해머드릴용 앵커펀치
KR20130064452A (ko) 휴대용 망치
US20100264191A1 (en) Nail pin anchor setting tool
KR20140047926A (ko) 세트 앵커볼트
KR20150073587A (ko) 앵커볼트
KR20130051360A (ko) 앵커 볼트 고정장치
CN208946081U (zh) 一种冲击钻射钉打钉器
JP2023001627A (ja) 引抜工具
CN109469352B (zh) 一种抢险应急工程车
CN203765586U (zh) 定位射钉枪
KR20070003474A (ko) 고정용 앵커
KR20120000727U (ko) 치핑해머
KR200247280Y1 (ko) 앵커볼트 고정구
KR200429850Y1 (ko) 해머드릴용 앵커펀치
CN218658890U (zh) 一种螺钉快速安装工具
JP2009050969A (ja) 動力工具用ドライバビット構造
CN220319482U (zh) 一种山地大断石方开采装置
TWM654505U (zh) 多功能手工具結構
DE202006016520U1 (de) Gerät zum Entfernen von Rohrschellen aus Mauerwe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