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4750A - Lng운반선 - Google Patents

Lng운반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4750A
KR20110084750A KR1020100004473A KR20100004473A KR20110084750A KR 20110084750 A KR20110084750 A KR 20110084750A KR 1020100004473 A KR1020100004473 A KR 1020100004473A KR 20100004473 A KR20100004473 A KR 20100004473A KR 20110084750 A KR20110084750 A KR 20110084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unit
lng
storage
pip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1261B1 (ko
Inventor
유승현
허재경
정근용
정희철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00004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261B1/ko
Publication of KR20110084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4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F17C13/025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having the pressure as the parame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F17C13/026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having the temperature as the parame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1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5/0146Two-phase
    • F17C2225/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5/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1Propulsion of the fluid
    • F17C2227/0128Propulsion of the fluid with pumps or compressors
    • F17C2227/0135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3Treating the boil-of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Abstract

LNG운반선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LNG운반선은: 증발가스를 냉각시켜 재액화하는 재액화장치와, 재액화장치와 연결되며 LNG를 저장하는 제1저장부 및 제1저장부와 연결관로로 연결되며 LNG가 저장되는 제2저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LNG운반선{LNG CARRIER}
본 발명은 LNG운반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재액화장치와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관로를 감소시켜 설비비를 절감할 수 있는 LNG운반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가스는 생산지에서 극저온으로 액하된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이하 LNG라 함)의 상태로 만들어진 후, LNG운반선에 의해 목적지까지 수송된다.
LNG는 -163도의 액체 상태로 저장탱크에 보관되며, -163도 보다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LNG가 기화되어 증발가스(Boil Off Gas;BOG)가 발생한다.
증발가스의 발생으로 저장탱크의 내측 압력이 높아져서 저장탱크가 폭발하거나 사고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증발가스는 재액화장치로 이송되어 액화된 후 저장탱크로 이송된다.
재액화장치는 증발가스와 열교환을 하는 액화용열교환기와, 액화용열교환기에 사용되는 냉매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를 포함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저장탱크 별로 재액화장치와 연결된 관로가 구비되므로, 관로의 생산과 설치에 들어가는 비용이 증가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저장탱크와 재액화장치를 연결하는 관로의 설치를 감소시켜 생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LNG운반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LNG운반선은: 증발가스를 냉각시켜 재액화하는 재액화장치와, 재액화장치와 연결되며 LNG를 저장하는 제1저장부 및 제1저장부와 연결관로로 연결되며 LNG가 저장되는 제2저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저장부에서 재액화장치로 증발가스가 이동되는 관로를 형성하는 제1파이프 및 재액화장치에서 제1저장부로 LNG가 이동되는 관로를 형성하는 제2파이프를 포함한다.
또한 제1저장부와 제2저장부는 연결관로로 연결되는 저장탱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관로를 따라 제2저장부에서 제1저장부 방향으로 증발가스가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관로에는 증발가스의 이송을 강제하는 펌프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저장부와 제2저장부에는 LNG의 저장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저장부와 제2저장부에는 LNG의 저장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저장부의 LNG가 제2저장부로 이동되는 관로를 형성하는 분배관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저장부는 LNG운반선의 선미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LNG운반선은 각 저장탱크마다 재액화장치와 연결되는 파이프를 설치하지 않고, 증발가스의 발생이 많은 제1저장부에만 재액화장치와 연결되는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를 설치하므로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NG운반선에서 연결관로를 따라 증발가스가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저장부에서 증발가스가 제1파이프를 따라 재액화장치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액화장치에서 LNG가 제2파이프를 따라 제1저장부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저장부에서 LNG가 분배관로부를 따라 제2저장부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LNG운반선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NG운반선에서 연결관로를 따라 증발가스가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저장부에서 증발가스가 제1파이프를 따라 재액화장치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액화장치에서 LNG가 제2파이프를 따라 제1저장부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저장부에서 LNG가 분배관로부를 따라 제2저장부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NG운반선(1)은, 증발가스를 냉각시켜 재액화하는 재액화장치(10)와, 재액화장치(10)와 연결되며 LNG를 저장하는 제1저장부(20) 및 제1저장부(20)와 연결관로(50)로 연결되며 LNG가 저장되는 제2저장부(30)를 포함한다.
제2저장부(30)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는 연결관로(50)를 따라 제1저장부(20) 방향으로 이동된다.
액화된 LNG를 보관하는 제1저장부(20)와 제2저장부(30)는 LNG운반선(1)에 설치되며, 제1저장부(20)와 제2저장부(30)에 구비되는 저장탱크는 연결관로(50)로 연결되어 증발가스가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제1저장부(20)는 엔진의 열을 많이 받는 LNG운반선(1)의 선미(3)에 설치되며, 본 실시예에서 제1저장부(20)를 구성하는 저장탱크의 개수는 2개로 예시되었으나, 사용상태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제2저장부(30)는 제1저장부(20)에 연이어 설치되며, 제2저장부(30)를 구성하는 저장탱크의 개수도 LNG운반선(1)의 크기 등에 따라 증감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저장부(20)를 구성하는 저장탱크는 제1저장탱크(22)와 제2저장탱크(24)로 이루어지며, 제2저장부(30)를 구성하는 저장탱크는 제3저장탱크(32)와 제4저장탱크(34) 및 제5저장탱크(36)로 이루어진다.
제1저장부(20)와 재액화장치(10)에는, 제1저장부(20)에서 재액화장치(10)로 증발가스가 이동되는 관로를 형성하는 제1파이프(40)와 재액화장치(10)에서 제1저장부(20)로 LNG가 이동되는 관로를 형성하는 제2파이프(42)가 설치된다.
제1파이프(40)와 제2파이프(42)의 일측은 제1저장탱크(22)와 제2저장탱크(24)에 각각 연결되며, 타측은 재액화장치(10)에 연결된다.
제1파이프(40)와 제2파이프(42)에는 제어밸브(80)가 설치되어 증발가스 및 LNG의 흐름을 제어한다.
재액화장치(10)는 증발가스를 냉각시켜 LNG로 액화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재액화장치(10)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저장부(20)와 제2저장부(30)를 구성하는 각 저장탱크는 연결관로(50)로 상호 연결되어 증발가스가 이동된다.
증발가스는 제2저장부(30)에서 제1저장부(20) 방향으로 이동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제2저장부(30)의 제5저장탱크(36)에서부터 증발가스의 이동이 시작되어 제4저장탱크(34)와 제3저장탱크(32)를 거쳐서 제1저장부(20)의 제1저장탱크(22)와 제2저장탱크(24)로 이동된다.
연결관로(50)는 증발가스의 이송을 강제하는 펌프부재(52)가 설치되거나, 별도의 펌프부재(52)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펌프부재(52)는 항시 작동될 수 있으며, 증발가스의 발생시에만 작동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작동상태를 갖는다.
연결관로(50)는 증발가스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승온된 LNG가 이동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연결관로(50)는 각 저장탱크의 상측에 설치된다.
제1저장부(20)의 LNG가 제2저장부(30)로 이동되는 관로를 형성하는 분배관로부(70)가 구비된다.
재액화장치(10)에서 제2파이프(42)를 통해 제1저장부(20)로 이송된 저온의 LNG는 분배관로부(70)를 통해 제2저장부(30)로 이송된다.
제2저장부(30)에 LNG가 충진된 경우에는, 제2저장부(30)에 저장된 LNG를 연결관로(50)를 통해 제1저장부(20)로 이송시키고, 저온의 LNG를 분배관로부(70)를 통해 제2저장부(30)로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관로부(70)는, 제1저장부(20)의 제1저장탱크(22)와 제2저장탱크(24)에서 나온 관로가 제2저장부(30)의 제3저장탱크(32)와 제4저장탱크(34)와 제5저장탱크(36)에 각각 연결된다.
분배관로부(70)를 통해 저온의 LNG가 이동되도록, 분배관로부(70)는 각 저장탱크의 하측과 연결된다.
각 저장탱크와 연결된 분배관로부(70)에도 제어밸브(80)가 설치되어, LNG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제1저장부(20)와 제2저장부(30)에는 LNG의 저장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62)와, LNG의 저장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60)가 구비되어 증발가스의 발생 유무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62)와 압력센서(60)의 측정값을 바탕으로 제1파이프(40)와 제2파이프(42) 및 분배관로부(70)에 설치된 제어밸브(80)를 동작시키거나, 연결관로(50)에 구비된 펌프부재(52)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NG운반선(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저장부(20)와 제2저장부(30)에 설치된 압력센서(60)와 온도센서(62)의 작동으로 증발가스의 발생이 감지되면 펌프부재(52)를 작동시킨다.
펌프부재(52)의 작동으로, 제2저장부(30)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는 연결관로(50)를 따라 제1저장부(20)로 이동된다.
제1저장부(20)는 선미(3) 방향에 위치하므로, LNG운반선(1)의 엔진에서 발생된 열 등으로 가열되어 제2저장부(30)보다 증발가스의 발생이 많아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저장부(20)에 모인 증발가스는 제1파이프(40)를 따라 재액화장치(10)로 이송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가스는 재액화장치(10)에서 냉각되어 다시 LNG로 되며, 이러한 LNG는 제2파이프(42)를 통해 제1저장부(20)로 이송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저장부(20)로 이송된 저온의 LNG는 분배관로부(70)를 통해 제2저장부(30)로 분배되므로, 제1저장부(20)와 제2저장부(30)의 온도는 균일 온도를 유지한다.
분배관로부(70)에도 펌프가 설치되어 LNG의 이동을 강제할 수 있으며, 분배관로부(70)를 따라 이동되는 LNG의 양에 따라서, 제2저장부(30)에 저장된 비교적 고온의 LNG가 연결관로(50)를 따라 제1저장부(20)로 이동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LNG운반선(1)은 각 저장탱크마다 재액화장치(10)와 연결되는 파이프를 설치하지 않고, 증발가스의 발생이 많은 제1저장부(20)에만 재액화장치(10)와 연결되는 제1파이프(40)와 제2파이프(42)를 설치하므로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제1저장부(20)와 제2저장부(30)를 연결하는 연결관로(50)와 분배관로부(70)를 설치하여 각 저장탱크의 온도가 균일한 저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LNG의 저장에 소비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LNG운반선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LNG운반선 외에도 LNG를 저장하는 다른 장치에도 본 발명의 배관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LNG운반선 10: 재액화장치
20: 제1저장부 22: 제1저장탱크
24: 제2저장탱크 30: 제2저장부
32: 제3저장탱크 34: 제4저장탱크
36: 제5저장탱크 40: 제1파이프
42: 제2파이프 50: 연결관로
52: 펌프부재 60: 압력센서
62: 온도센서 70: 분배관로부
80: 제어밸브

Claims (9)

  1. 증발가스를 냉각시켜 재액화하는 재액화장치;
    상기 재액화장치와 연결되며, LNG를 저장하는 제1저장부; 및
    상기 제1저장부와 연결관로로 연결되며, LNG가 저장되는 제2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운반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부에서 상기 재액화장치로 증발가스가 이동되는 관로를 형성하는 제1파이프; 및
    상기 재액화장치에서 상기 제1저장부로 LNG가 이동되는 관로를 형성하는 제2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운반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부와 상기 제2저장부는 상기 연결관로로 연결되는 저장탱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운반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로를 따라 상기 제2저장부에서 상기 제1저장부 방향으로 증발가스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운반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로에는 증발가스의 이송을 강제하는 펌프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운반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부와 상기 제2저장부에는 LNG의 저장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운반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부와 상기 제2저장부에는 LNG의 저장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운반선.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부의 LNG가 상기 제2저장부로 이동되는 관로를 형성하는 분배관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운반선.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부는 LNG운반선의 선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운반선.
KR20100004473A 2010-01-18 2010-01-18 Lng운반선 KR101171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4473A KR101171261B1 (ko) 2010-01-18 2010-01-18 Lng운반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4473A KR101171261B1 (ko) 2010-01-18 2010-01-18 Lng운반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750A true KR20110084750A (ko) 2011-07-26
KR101171261B1 KR101171261B1 (ko) 2012-08-06

Family

ID=44921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04473A KR101171261B1 (ko) 2010-01-18 2010-01-18 Lng운반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26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018B1 (ko) * 2011-09-30 2013-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물 저장탱크가 구비된 선박
KR101302028B1 (ko) * 2011-09-02 2013-09-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증발가스 재액화 시스템
KR101399999B1 (ko) * 2011-12-29 2014-05-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휘발성 유기화합물 응축 시스템
KR102226247B1 (ko) * 2019-12-20 2021-03-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액화연료 추진 어선의 어창 냉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343B1 (ko) * 2012-11-27 2019-09-03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다수의 액화천연가스 탱크를 가진 선박의 액화천연가스 이송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1685A (en) 1978-10-06 1980-04-1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Tanker
KR20070020162A (ko) 2006-10-04 2007-02-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증발가스 재액화 장치 및 방법과 이 장치가 장착된 lng운반선
JP5148319B2 (ja) * 2008-02-27 2013-02-2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液化ガス再液化装置、これを備えた液化ガス貯蔵設備および液化ガス運搬船、並びに液化ガス再液化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028B1 (ko) * 2011-09-02 2013-09-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증발가스 재액화 시스템
KR101302018B1 (ko) * 2011-09-30 2013-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물 저장탱크가 구비된 선박
KR101399999B1 (ko) * 2011-12-29 2014-05-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휘발성 유기화합물 응축 시스템
KR102226247B1 (ko) * 2019-12-20 2021-03-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액화연료 추진 어선의 어창 냉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1261B1 (ko) 2012-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1261B1 (ko) Lng운반선
CN101975335B (zh) 液化天然气汽车加气站蒸发气体的再液化装置
KR101335610B1 (ko) Lng 연료를 이용한 액화가스 재액화장치 및 이를 가지는 액화가스운반선
KR101075195B1 (ko) 열교환기가 포함된 저장탱크 및 그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천연가스연료공급시스템
WO2013175906A1 (ja) 液体水素貯槽から発生するボイルオフガスの再液化方法
KR20140075582A (ko) 증발가스 재액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50640A (ko) 선박용 엔진의 연료 공급장치 및 방법
CN104913593B (zh) 一种bog液化的工艺和装置
KR20120075941A (ko) 액화연료가스공급을 증발가스 재액화에 이용한 액화연료가스 급유선
EP2682666B1 (en) Liquefied gas regasificaio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gasified gas
Kim et al. Operation scenario-based design methodology for large-scale storage systems of liquid hydrogen import terminal
KR20130109559A (ko) 다단 기화방식을 갖는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시스템
KR100885796B1 (ko) 증발가스 재액화 장치
KR20140146802A (ko)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68179A (ko) 재액화시스템
KR20160128662A (ko) Flng의 lng 하역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30050A (ko) 친환경 재기화 장치 및 방법
KR101858508B1 (ko) 해상 부유식 발전 플랜트 및 해상 부유식 발전 플랜트에서 생산된 전력을 육상의 전력 수요처에 공급하는 방법
JP6646907B2 (ja) 船舶用の液化ガス燃料供給機構
KR101750890B1 (ko) 액화가스 운반선의 증발가스 재액화 장치
JP2015077825A (ja) 極低温推進薬貯蔵装置
KR20120010334A (ko) 냉열발전을 이용한 증발가스 재액화 방법 및 장치
KR20150097030A (ko) 보냉룸을 가지는 액화가스 저장 구조물
KR20200027184A (ko) 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KR20160074282A (ko) 선박용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