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6802A -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46802A KR20140146802A KR20130069546A KR20130069546A KR20140146802A KR 20140146802 A KR20140146802 A KR 20140146802A KR 20130069546 A KR20130069546 A KR 20130069546A KR 20130069546 A KR20130069546 A KR 20130069546A KR 20140146802 A KR20140146802 A KR 201401468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quefied natural
- natural gas
- gas
- refrigerant
- tan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9000003949 liquefied natural ga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0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3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8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6200 vaporiz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3345 natural ga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8016 vaporiz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4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15 liquefied petroleum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4 vap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215 Carbon black (E15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17C7/02—Discharging liquefied gases
- F17C7/04—Discharging liquefied gases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9/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1/00—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 F25J1/0002—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fluid to be liquefied
- F25J1/0022—Hydrocarbons, e.g. natural gas
- F25J1/0025—Boil-off gases "BOG" from stora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1—Propulsion of the fluid
- F17C2227/0128—Propulsion of the fluid with pumps or compressors
- F17C2227/0157—Compress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37—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cooling
- F17C2227/0341—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cooling using another flui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67—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 F17C2227/0388—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separate
- F17C2227/0393—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separate using a vapori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유식액화가스저장선(FSRU)에서 증발가스(BOG)를 가압하여 공급처로 보냄에 있어서 가압된 증발가스의 온도를 낮추어 주는 냉매를 다른 냉매가 아닌 액화천연가스(LNG)와 열교환시켜 냉각시킴으로써 복수의 냉매를 구비함에 따른 추가적 비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유식액화가스저장선(FSRU)에서 증발가스(BOG)를 가압하여 공급처로 보냄에 있어서 가압된 증발가스의 온도를 낮추어 주는 냉매를 다른 냉매가 아닌 액화천연가스(LNG)와 열교환시켜 냉각시킴으로써 복수의 냉매를 구비함에 따른 추가적 비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화천연가스(LNG: Liquified Natural Gas)는 가스전(田)에서 채취한 천연가스(NG: Natural Gas)를 액화시킨 것으로, 주성분이 메탄이라는 점에서 액화석유가스(LPG: Liquified Petroleum Gas)와 구별된다. 액화천연가스는 압력을 가해 액화시키면 부피가 1/600로 줄어들지만, 메탄의 비점(沸點)이 -162℃로 낮아 냉각 또는 압축하여 액화, 특수하게 단열된 전용 탱크로 반출된다. 액화천연가스는 무색, 투명한 액체로 공해물질이 거의 없고 열량이 높아 대단히 우수한 연료이며 주로 도시가스로 사용된다.
한편, 부유식액화가스저장선(FSRU: Floating Storage Regasification Unit)은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하고 액화천연가스를 천연가스로 기화하여 공급처로 보내주는 해상 부유체이다. 이러한 부유식액화가스저장선은 많은 량의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멤브레인 타입(Membrane Type)의 탱크를 사용하는데, 멤브레인 타입은 탱크의 압력에 민감하므로 압력 조절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액화천연가스는 -160℃ 내외로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탱크 내에서 지속적으로 증발하게 되며, 증발가스(BOG: Boil Off Gas)는 탱크 내의 압력을 상승시키므로 적절히 배출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액화천연가스운반선(LNGC: Liquified Natural Gas Carrier)의 경우 통상적으로 증발가스는 가스연소유닛(GCU: Gas Combustion Unit)에서 무의미하게 태워지거나 적절한 온도, 압력 조건을 맞춘 뒤 발전기(Generator)에서 발전용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부유식액화가스저장선은 운항하지 않고 연안에 정박시켜 놓기 때문에 일부의 전원을 육상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어서 액화천연가스운반선처럼 증발가스를 발전용으로 사용할 필요가 없다. 그래서 부유식액화가스저장선에서는 발생된 증발가스도 압축기(Compressor)로 가압하여 공급처로 보낸다. 즉, 증발가스를 공급처에서 도시가스 등의 연료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 통상적으로 공급처로 보내는 증발가스의 압력은 100bar 내외이므로 여러 단계의 가압범위를 가진 압축기를 단계별로 연결하여 가압하게 된다. 하지만, 증발가스를 가압하면 증발가스의 온도가 올라가는데 이것은 증발가스(기체)가 팽창한다는 의미이므로 압축기의 효율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여러 단의 압축기를 사용할 경우 각 압축기 후단에 냉각기(Cooler)를 설치하여 증발가스의 온도를 낮추어 준다. 하지만, 증발가스를 냉각시킨 후에 냉매는 다른 냉매에 의해 다시 냉각이 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복수의 냉매를 구비함에 따른 추가적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부유식액화가스저장선(FSRU)에서 증발가스(BOG)를 가압하여 공급처로 보냄에 있어서 가압된 증발가스의 온도를 낮추어 주는 냉매를 다른 냉매가 아닌 액화천연가스(LNG)와 열교환시켜 다시 냉각시킴으로써 복수의 냉매를 구비함에 따른 추가적 비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화천연가스탱크 내의 액화천연가스를 가압 후 기화하여 공급처로 보내는 액화천연가스 공급부;
상기 액화천연가스탱크 내의 증발가스를 가압 후 공급처로 보내는 증발가스 공급부; 및
상기 증발가스 공급부를 통과하면서 가압된 증발가스의 온도를 냉매를 이용하여 낮추어 주되 상기 냉매는 상기 액화천연가스 공급부를 통과하는 액화천연가스와 열교환시켜 다시 냉각시키는 냉각부;
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액화천연가스탱크 내에 설치되며 상기 액화천연가스탱크 내의 액화천연가스를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으로 공급하는 부스터펌프;
상기 액화천연가스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부스터펌프에 의하여 공급된 액화천연가스를 액화천연가스와 증발가스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
상기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과 연결되며 상기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 내의 액화천연가스를 가압하여 기화기로 공급하는 고압펌프;
상기 고압펌프와 연결되며 상기 고압펌프로부터 공급받은 액화천연가스를 기화하여 공급처로 보내는 기화기;
상기 액화천연가스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액화천연가스탱크 내에서 발생한 증발가스를 액화천연가스와 증발가스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증발가스녹아웃드럼;
상기 증발가스녹아웃드럼과 연결되며 상기 증발가스녹아웃드럼 내의 증발가스를 가압하여 공급처로 보내는 압축기;
냉매를 저장하는 냉매탱크;
상기 냉매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냉매탱크 내의 냉매를 가압하여 냉각기로 공급하는 냉매펌프;
상기 냉매펌프와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며 상기 압축기를 통과하면서 가압된 증발가스의 온도를 상기 냉매펌프에 의하여 공급된 냉매를 이용하여 낮추어 주는 냉각기; 및
상기 냉각기와 상기 냉매탱크를 연결하여 냉매가 상기 냉각기와 상기 냉매탱크 간을 순환하도록 하되 일부 구간이 상기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을 통과함으로써 냉매가 상기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 내의 액화천연가스와 열교환하여 다시 냉각되도록 하는 냉각라인;
을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유식액화가스저장선(FSRU)에서 증발가스(BOG)를 가압하여 공급처로 보냄에 있어서 가압된 증발가스의 온도를 낮추어 주는 냉매를 다른 냉매가 아닌 액화천연가스(LNG)와 열교환시켜 다시 냉각시킬 수 있으므로 복수의 냉매를 구비함에 따른 추가적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시스템.
도 2 내지 도 11은 선행기술문헌.
도 2 내지 도 11은 선행기술문헌.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1에서 녹색 라인은 증발가스(BOG) 및 천연가스(NG)의 이동배관을, 검은색 라인은 액화천연가스(LNG)의 이동배관을, 파란색 라인은 냉매(Glycol-Water)의 이동배관을 나타낸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부유식액화가스저장선(FSRU)에서 증발가스(BOG)를 가압하여 공급처로 보냄에 있어서 가압된 증발가스의 온도를 낮추어 주는 냉매를 다른 냉매가 아닌 액화천연가스(LNG)와 열교환시켜 다시 냉각시킴으로써 복수의 냉매를 구비함에 따른 추가적 비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액화천연가스탱크 내의 액화천연가스를 가압 후 기화하여 공급처로 보내는 액화천연가스 공급부, 액화천연가스탱크 내의 증발가스를 가압 후 공급처로 보내는 증발가스 공급부, 증발가스 공급부를 통과하면서 가압된 증발가스의 온도를 냉매를 이용하여 낮추어 주되 상기 냉매는 액화천연가스 공급부를 통과하는 액화천연가스와 열교환시켜 다시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액화천연가스 공급부는 부스터펌프(Booster Pump)(21),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LNG Knock Out Drum)(22), 고압펌프(High Pressure Pump)(23), 기화기(Vaporizer)(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증발가스 공급부는 증발가스녹아웃드럼(BOG Knock Out Drum)(31), 압축기(Compressor)(32a, 32b, 32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냉각부는 냉매탱크(41), 냉매펌프(42), 냉각기(Cooler)(43a, 43b, 43c), 냉각라인(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경우 액화천연가스탱크(10)에는 액화천연가스(LNG)가 저장되며, 액화천연가스는 액화천연가스탱크(10) 내에서 지속적으로 증발하여 증발가스(BOG)를 발생시킨다. 이 경우, 증발가스는 -130℃ 내외의 초저온 기체이므로 여기에 사용되는 냉매 역시 초저온에 적합한 냉매가 사용되어야 하는바, 본 발명에서는 글리콜-워터(Glycol-Water)를 냉매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최종적으로 공급처에 보내질 가스(천연가스(NG), 증발가스(BOG))의 압력은 100bar 내외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별 기능 및 작용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액화천연가스 공급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액화천연가스 공급부는 부스터펌프(21),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 고압펌프(23), 기화기(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부스터펌프(21)는 액화천연가스탱크(10) 내에 설치되며, 액화천연가스탱크(10) 내의 액화천연가스를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으로 공급한다.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은 액화천연가스탱크(10)와 연결되며, 부스터펌프(21)에 의하여 5~6bar 내외로 가압되어 공급된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한다. 이 때 액화천연가스는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 내에서 지속적으로 증발하여 증발가스를 발생시키고, 따라서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은 부스터펌프(21)에 의하여 공급된 액화천연가스를 액화천연가스와 증발가스로 분리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 내부 압력은 고압펌프(23)의 입력 조건에 맞는 5~6bar 내외로 유지된다. 한편,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에서 발생한 증발가스는 자체의 압력에 따라 압축기(32a, 32b, 32c)로 공급되어 가압 후 공급처로 보내진다.
고압펌프(23)는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과 연결되며,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 내의 액화천연가스를 가압(100bar 내외)하여 기화기(24)로 공급한다.
기화기(24)는 고압펌프(23)와 연결되며, 고압펌프(23)로부터 공급받은 액화천연가스를 천연가스로 기화하여 이를 공급처로 보낸다. 이 경우 최종적으로 공급처에 보내지는 천연가스의 압력은 100bar 내외이다.
다음으로, 증발가스 공급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증발가스 공급부는 증발가스녹아웃드럼(31), 압축기(32a, 32b, 32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증발가스녹아웃드럼(31)은 액화천연가스탱크(10)와 연결되며, 액화천연가스탱크(10) 내에서 발생한 증발가스를 저장한다. 증발가스는 자체의 압력에 따라 증발가스녹아웃드럼(31)으로 공급되는데, 증발가스녹아웃드럼(31) 내에서 증발가스는 일부가 액화되어 액화천연가스를 발생시키고, 따라서 증발가스녹아웃드럼(31)은 액화천연가스탱크(10)로부터 공급된 증발가스를 액화천연가스와 증발가스로 분리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증발가스녹아웃드럼(31) 내부 압력은 5~6bar 내외로 유지된다. 한편, 증발가스녹아웃드럼(31)에서 발생한 액화천연가스는 액화천연가스탱크(10)로 다시 돌아가고 증발가스만 압축기(32a, 32b, 32c)로 공급된다.
압축기(32a, 32b, 32c)는 증발가스녹아웃드럼(31)과 연결되며, 증발가스녹아웃드럼(31) 내의 증발가스를 가압하여 공급처로 보낸다. 이 경우 최종적으로 공급처에 보내지는 증발가스의 압력은 100bar 내외이다. 한편, 압축기(32a, 32b, 32c)는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과도 연결되는바,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에서 발생한 증발가스는 자체의 압력에 따라 압축기(32a, 32b, 32c)로 공급되어 가압 후 공급처로 보내진다.
다음으로, 냉각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냉각부는 냉매탱크(41), 냉매펌프(42), 냉각기(43a, 43b, 43c), 냉각라인(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냉매탱크(41)는 냉매를 저장한다. 그리고 냉매펌프(42)는 냉매탱크(41)와 연결되며, 냉매탱크(41) 내의 냉매를 가압하여 냉각기(43a, 43b, 43c)로 공급한다.
냉각기(43a, 43b, 43c)는 냉매펌프(42)와 연결됨과 동시에 압축기(32a, 32b, 32c)와도 연결되며, 압축기(32a, 32b, 32c)를 통과하면서 가압된 증발가스의 온도를 냉매펌프(42)에 의하여 공급된 냉매를 이용하여 낮추어 준다.
냉각라인(44)(도 1의 파란색 라인)은 냉각기(43a, 43b, 43c)와 냉매탱크(41)를 연결하여 냉매가 냉각기(43a, 43b, 43c)와 냉매탱크(41) 간을 순환하도록 한다. 이 때 냉각라인(44)은 일부 구간이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로써 냉각기(43a, 43b, 43c)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온도가 상승한 냉매가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 내의 액화천연가스와 열교환하여 다시 냉각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냉매를 다시 냉각시키기 위하여 또 다른 냉매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복수의 냉매를 구비함에 따른 추가적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압축기(32a, 32b, 32c)는 가압범위를 달리하여 둘 이상의 단으로 나뉘어져 상호 연결되며, 이에 따라 냉각기(43a, 43b, 43c)는 둘 이상의 단으로 나뉘어져 있는 압축기(32a, 32b, 32c) 후단에 각각 설치된다. 이는 초기압력(증발가스녹아웃드럼(31) 및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 내부 압력)이 5~6bar 내외에 불과한 증발가스를 한 번에 100bar 내외의 압력(공급처 압력)으로 가압하는 것이 힘들기 때문에, 여러 단계로 나누어 점진적으로 압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참고로, 도 1의 실시 예에서는 압축기(32a, 32b, 32c)가 3단으로 나뉘어져 있고 이에 따라 냉각기(43a, 43b, 43c)도 3단으로 나뉘어져 각각의 압축기(32a, 32b, 32c) 후단에 설치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액화천연가스탱크 21 : 부스터펌프
22 :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 23 : 고압펌프
24 : 기화기 31 : 증발가스녹아웃드럼
32a, 32b, 32c : 압축기 41 : 냉매탱크
42 : 냉매펌프 43a, 43b, 43c : 냉각기
44 : 냉각라인
22 :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 23 : 고압펌프
24 : 기화기 31 : 증발가스녹아웃드럼
32a, 32b, 32c : 압축기 41 : 냉매탱크
42 : 냉매펌프 43a, 43b, 43c : 냉각기
44 : 냉각라인
Claims (28)
- 액화천연가스탱크(10) 내의 액화천연가스를 가압 후 기화하여 공급처로 보내는 액화천연가스 공급부;
상기 액화천연가스탱크(10) 내의 증발가스를 가압 후 공급처로 보내는 증발가스 공급부; 및
상기 증발가스 공급부를 통과하면서 가압된 증발가스의 온도를 냉매를 이용하여 낮추어 주되 상기 냉매는 상기 액화천연가스 공급부를 통과하는 액화천연가스와 열교환시켜 다시 냉각시키는 냉각부;
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는 글리콜-워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천연가스 공급부는,
상기 액화천연가스탱크(10) 내에 설치되며 상기 액화천연가스탱크(10) 내의 액화천연가스를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으로 공급하는 부스터펌프(21);
상기 액화천연가스탱크(10)와 연결되며 상기 부스터펌프(21)에 의하여 공급된 액화천연가스를 액화천연가스와 증발가스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
상기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과 연결되며 상기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 내의 액화천연가스를 가압하여 기화기(24)로 공급하는 고압펌프(23); 및
상기 고압펌프(23)와 연결되며 상기 고압펌프(23)로부터 공급받은 액화천연가스를 기화하여 공급처로 보내는 기화기(2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가스 공급부는,
상기 액화천연가스탱크(10)와 연결되며 상기 액화천연가스탱크(10) 내에서 발생한 증발가스를 액화천연가스와 증발가스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증발가스녹아웃드럼(31); 및
상기 증발가스녹아웃드럼(31)과 연결되며 상기 증발가스녹아웃드럼(31) 내의 증발가스를 가압하여 공급처로 보내는 압축기(32a, 32b, 32c);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시스템. -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냉매를 저장하는 냉매탱크(41);
상기 냉매탱크(41)와 연결되며 상기 냉매탱크(41) 내의 냉매를 가압하여 냉각기(43a, 43b, 43c)로 공급하는 냉매펌프(42);
상기 냉매펌프(42)와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압축기(32a, 32b, 32c)와 연결되며 상기 압축기(32a, 32b, 32c)를 통과하면서 가압된 증발가스의 온도를 상기 냉매펌프(42)에 의하여 공급된 냉매를 이용하여 낮추어 주는 냉각기(43a, 43b, 43c); 및
상기 냉각기(43a, 43b, 43c)와 상기 냉매탱크(41)를 연결하여 냉매가 상기 냉각기(43a, 43b, 43c)와 상기 냉매탱크(41) 간을 순환하도록 하되 일부 구간이 상기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을 통과함으로써 냉매가 상기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 내의 액화천연가스와 열교환하여 다시 냉각되도록 하는 냉각라인(44);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시스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32a, 32b, 32c)는 가압범위를 달리하여 둘 이상의 단으로 나뉘어져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시스템.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43a, 43b, 43c)는 둘 이상의 단으로 나뉘어져 있는 상기 압축기(32a, 32b, 32c) 후단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시스템. -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은 상기 압축기(32a, 32b, 32c)와 연결되며 상기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에서 발생한 증발가스는 상기 압축기(32a, 32b, 32c)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시스템. - 액화천연가스 공급부가 액화천연가스탱크(10) 내의 액화천연가스를 가압 후 기화하여 공급처로 보내는 단계;
증발가스 공급부가 상기 액화천연가스탱크(10) 내의 증발가스를 가압 후 공급처로 보내는 단계; 및
냉각부가 상기 증발가스 공급부를 통과하면서 가압된 증발가스의 온도를 냉매를 이용하여 낮추어 주되 상기 냉매는 상기 액화천연가스 공급부를 통과하는 액화천연가스와 열교환시켜 다시 냉각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는 글리콜-워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액화천연가스 공급부가 액화천연가스탱크(10) 내의 액화천연가스를 가압 후 기화하여 공급처로 보내는 단계는,
부스터펌프(21)가 상기 액화천연가스탱크(10) 내의 액화천연가스를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으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이 상기 부스터펌프(21)에 의하여 공급된 액화천연가스를 액화천연가스와 증발가스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단계;
고압펌프(23)가 상기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 내의 액화천연가스를 가압하여 기화기(24)로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기화기(24)가 상기 고압펌프(23)로부터 공급받은 액화천연가스를 기화하여 공급처로 보내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증발가스 공급부가 상기 액화천연가스탱크(10) 내의 증발가스를 가압 후 공급처로 보내는 단계는,
증발가스녹아웃드럼(31)이 상기 액화천연가스탱크(10) 내에서 발생한 증발가스를 액화천연가스와 증발가스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압축기(32a, 32b, 32c)가 상기 증발가스녹아웃드럼(31) 내의 증발가스를 가압하여 공급처로 보내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방법. -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냉각부가 상기 증발가스 공급부를 통과하면서 가압된 증발가스의 온도를 냉매를 이용하여 낮추어 주되 상기 냉매는 상기 액화천연가스 공급부를 통과하는 액화천연가스와 열교환시켜 다시 냉각시키는 단계는,
냉매탱크(41)가 냉매를 저장하는 단계;
냉매펌프(42)가 상기 냉매탱크(41) 내의 냉매를 가압하여 냉각기(43a, 43b, 43c)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냉각기(43a, 43b, 43c)가 상기 압축기(32a, 32b, 32c)를 통과하면서 가압된 증발가스의 온도를 상기 냉매펌프(42)에 의하여 공급된 냉매를 이용하여 낮추어 주는 단계; 및
상기 냉각기(43a, 43b, 43c)와 상기 냉매탱크(41)를 연결하여 냉매가 상기 냉각기(43a, 43b, 43c)와 상기 냉매탱크(41) 간을 순환하도록 하는 냉각라인(44)의 일부 구간이 상기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을 통과함으로써 냉매가 상기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 내의 액화천연가스와 열교환하여 다시 냉각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32a, 32b, 32c)는 가압범위를 달리하여 둘 이상의 단으로 나뉘어져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43a, 43b, 43c)는 둘 이상의 단으로 나뉘어져 있는 상기 압축기(32a, 32b, 32c) 후단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방법. -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에서 발생한 증발가스는 상기 압축기(32a, 32b, 32c)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방법. - 액화천연가스탱크(10) 내에 설치되며 상기 액화천연가스탱크(10) 내의 액화천연가스를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으로 공급하는 부스터펌프(21);
상기 액화천연가스탱크(10)와 연결되며 상기 부스터펌프(21)에 의하여 공급된 액화천연가스를 액화천연가스와 증발가스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
상기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과 연결되며 상기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 내의 액화천연가스를 가압하여 기화기(24)로 공급하는 고압펌프(23);
상기 고압펌프(23)와 연결되며 상기 고압펌프(23)로부터 공급받은 액화천연가스를 기화하여 공급처로 보내는 기화기(24);
상기 액화천연가스탱크(10)와 연결되며 상기 액화천연가스탱크(10) 내에서 발생한 증발가스를 액화천연가스와 증발가스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증발가스녹아웃드럼(31);
상기 증발가스녹아웃드럼(31)과 연결되며 상기 증발가스녹아웃드럼(31) 내의 증발가스를 가압하여 공급처로 보내는 압축기(32a, 32b, 32c);
냉매를 저장하는 냉매탱크(41);
상기 냉매탱크(41)와 연결되며 상기 냉매탱크(41) 내의 냉매를 가압하여 냉각기(43a, 43b, 43c)로 공급하는 냉매펌프(42);
상기 냉매펌프(42)와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압축기(32a, 32b, 32c)와 연결되며 상기 압축기(32a, 32b, 32c)를 통과하면서 가압된 증발가스의 온도를 상기 냉매펌프(42)에 의하여 공급된 냉매를 이용하여 낮추어 주는 냉각기(43a, 43b, 43c); 및
상기 냉각기(43a, 43b, 43c)와 상기 냉매탱크(41)를 연결하여 냉매가 상기 냉각기(43a, 43b, 43c)와 상기 냉매탱크(41) 간을 순환하도록 하되 일부 구간이 상기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을 통과함으로써 냉매가 상기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 내의 액화천연가스와 열교환하여 다시 냉각되도록 하는 냉각라인(44);
을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시스템.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는 글리콜-워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시스템.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32a, 32b, 32c)는 가압범위를 달리하여 둘 이상의 단으로 나뉘어져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시스템.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43a, 43b, 43c)는 둘 이상의 단으로 나뉘어져 있는 상기 압축기(32a, 32b, 32c) 후단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시스템.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은 상기 압축기(32a, 32b, 32c)와 연결되며 상기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에서 발생한 증발가스는 상기 압축기(32a, 32b, 32c)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시스템. - 부스터펌프(21)가 액화천연가스탱크(10) 내의 액화천연가스를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으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이 상기 부스터펌프(21)에 의하여 공급된 액화천연가스를 액화천연가스와 증발가스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단계;
고압펌프(23)가 상기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 내의 액화천연가스를 가압하여 기화기(24)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기화기(24)가 상기 고압펌프(23)로부터 공급받은 액화천연가스를 기화하여 공급처로 보내는 단계;
증발가스녹아웃드럼(31)이 상기 액화천연가스탱크(10) 내에서 발생한 증발가스를 액화천연가스와 증발가스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단계;
압축기(32a, 32b, 32c)가 상기 증발가스녹아웃드럼(31) 내의 증발가스를 가압하여 공급처로 보내는 단계;
냉매탱크(41)가 냉매를 저장하는 단계;
냉매펌프(42)가 상기 냉매탱크(41) 내의 냉매를 가압하여 냉각기(43a, 43b, 43c)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냉각기(43a, 43b, 43c)가 상기 압축기(32a, 32b, 32c)를 통과하면서 가압된 증발가스의 온도를 상기 냉매펌프(42)에 의하여 공급된 냉매를 이용하여 낮추어 주는 단계; 및
상기 냉각기(43a, 43b, 43c)와 상기 냉매탱크(41)를 연결하여 냉매가 상기 냉각기(43a, 43b, 43c)와 상기 냉매탱크(41) 간을 순환하도록 하는 냉각라인(44)의 일부 구간이 상기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을 통과함으로써 냉매가 상기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 내의 액화천연가스와 열교환하여 다시 냉각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방법.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는 글리콜-워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방법.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32a, 32b, 32c)는 가압범위를 달리하여 둘 이상의 단으로 나뉘어져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방법. -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43a, 43b, 43c)는 둘 이상의 단으로 나뉘어져 있는 상기 압축기(32a, 32b, 32c) 후단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방법.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천연가스녹아웃드럼(22)에서 발생한 증발가스는 상기 압축기(32a, 32b, 32c)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방법. - 부유식액화가스저장선(FSRU)에서 증발가스를 가압하여 공급처로 보냄에 있어서 가압된 증발가스의 온도를 낮추어 주는 냉매를 다른 냉매가 아닌 액화천연가스와 열교환시켜 다시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방법.
-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는 글리콜-워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69546A KR20140146802A (ko) | 2013-06-18 | 2013-06-18 |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69546A KR20140146802A (ko) | 2013-06-18 | 2013-06-18 |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6802A true KR20140146802A (ko) | 2014-12-29 |
Family
ID=52675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69546A Withdrawn KR20140146802A (ko) | 2013-06-18 | 2013-06-18 |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146802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087720A (zh) * | 2017-11-17 | 2018-05-29 | 深圳市燃气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冷却气体生产系统及其方法 |
KR20180060214A (ko) * | 2016-11-28 | 2018-06-07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CN109538927A (zh) * | 2017-09-21 | 2019-03-29 | 株式会社瓦摩斯技术 | 液化天然气供应系统 |
CN110748439A (zh) * | 2019-10-16 | 2020-02-04 | 大连船舶重工集团有限公司 | 一种lng燃料冷能高效利用的低压供气系统 |
CN112856222A (zh) * | 2021-02-08 | 2021-05-28 | 南京扬子石油化工设计工程有限责任公司 | 天然气供气站 |
-
2013
- 2013-06-18 KR KR20130069546A patent/KR20140146802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0214A (ko) * | 2016-11-28 | 2018-06-07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CN109538927A (zh) * | 2017-09-21 | 2019-03-29 | 株式会社瓦摩斯技术 | 液化天然气供应系统 |
CN108087720A (zh) * | 2017-11-17 | 2018-05-29 | 深圳市燃气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冷却气体生产系统及其方法 |
CN110748439A (zh) * | 2019-10-16 | 2020-02-04 | 大连船舶重工集团有限公司 | 一种lng燃料冷能高效利用的低压供气系统 |
CN112856222A (zh) * | 2021-02-08 | 2021-05-28 | 南京扬子石油化工设计工程有限责任公司 | 天然气供气站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021430B2 (ja) | 液体水素貯槽から発生するボイルオフガスの再液化方法 | |
KR101644386B1 (ko) |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 |
KR101078645B1 (ko) | Lng/lpg 증발가스의 재액화 장치 및 재액화 방법 | |
KR101726668B1 (ko) |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 |
KR20150039427A (ko) |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 |
KR101524430B1 (ko) | 증발가스 재액화장치 | |
KR101525664B1 (ko) |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 |
CN108883816A (zh) | 船只 | |
KR101904416B1 (ko) |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 |
US20200393196A1 (en) |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boil-off gas in liquefied gas regasification system | |
KR20130062006A (ko) | Lng 증발가스의 재액화 장치 및 방법 | |
KR20200005270A (ko) | 수소 저장탱크가 구비된 해상 부유구조물 | |
KR20140146802A (ko) |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 | |
CN104913593B (zh) | 一种bog液化的工艺和装置 | |
KR20160128641A (ko) | 선박용 증발가스 재액화 장치 및 방법 | |
KR20190052904A (ko) |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액화가스 냉열을 이용한 냉동 컨테이너 냉각시스템, 냉각방법, 및 그 냉동 컨테이너 냉각시스템을 구비하는 부유식 발전플랜트 | |
KR20090008902A (ko) | 증발가스 재액화 장치 | |
KR101623092B1 (ko) | 냉열발전을 이용한 증발가스 재액화 방법 및 장치 | |
KR20150039442A (ko) |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 |
KR20150030938A (ko) | 증발가스 재액화장치 | |
KR20200011307A (ko) |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 |
KR102584509B1 (ko) | 연료가스 재액화 시스템 | |
KR102046600B1 (ko) |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 |
KR101602209B1 (ko) |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설비의 보그 압축용 냉각시스템 | |
KR20200069408A (ko) | 재기화 선박의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