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4734A - 식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식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4734A
KR20110084734A KR1020100004448A KR20100004448A KR20110084734A KR 20110084734 A KR20110084734 A KR 20110084734A KR 1020100004448 A KR1020100004448 A KR 1020100004448A KR 20100004448 A KR20100004448 A KR 20100004448A KR 20110084734 A KR20110084734 A KR 20110084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rinking water
production apparatus
transfer medium
condens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2977B1 (ko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김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현 filed Critical 김동현
Priority to KR1020100004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977B1/ko
Publication of KR20110084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4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28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humi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03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by using heat-exchange surfaces for indirect contact between gases or vapours and the cooling medium
    • B01D5/0006Coils or serpent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관로를 통해 일정온도의 열전달매체를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상기 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열전달매체와의 온도 차로 인해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하는 응축수단;과, 상기 응축수단의 외주연을 따라 응축된 수분을 집수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수단에 외장/이동되어 수분을 집수하는 수분집수수단; 및 상기 수분집수수단과 연결되어 수분이 저장되는 집수조를 통해 원수를 공급받아 식수로 사용될 수 있도록 원수를 정화하는 정수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응축수단은 열전달매체의 이동경로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응축파이프가 지그재그로 다수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수 제조장치{APPARATUS FOR PRODUCING DRINKING-WATER}
본 발명은 식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에너지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수 또는 지하수 또는 지하의 차가운 공기로 이루어지는 열전달매체를 응축수로 활용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습기를 응축시켜 집수하고 이를 정수 처리하여 식수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의 식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이 부족한 중동국가에서는 담수화 설비를 이용하여 바닷물을 비롯한 원수로부터 염분을 포함한 용해물질을 분리하여 순도 높은 일반 공업용수 또는 식수등을 만들어 사용해오고 있다.
해수담수화 설비(Desalination Plant)는 기본적으로 염분을 제거하는 기술, 즉 바닷물을 끓여 수증기를 뽑아다시 식히는 기술로서, 설비 중에 증발기와 같은 한 뭉치의 경우 약 5000 톤에 달하는 대형 파이프 구조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화물선으로는 선적이 불가능하고 특수한 선적방법으로 대양을 다니는 바지선에 의해 수송하고 있을 정도로 그 규모가 대단하다.
또한, 식수라 하더라도 어차피 바닷물을 끓여서 나온 수증기를 식혀서 만든 것이므로 음용수로 적합하지 않으나 물이 부족한 국가에서는 어쩔수 없이 음용할 수 밖에 없는 실정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물이 부족한 중동국가에서 막대한 설비투자 및 운전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감수하면서 담수화 설비를 이용한 용수의 사용이 불가피하고 식수로 적합하지 않으나 어쩔 수 없이 음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바다를 운항하는 선박이나 함정 등에서는 운항시 필요한 식수를 선박이나 함정에 저장한 상태로 출항하거나 또는 조수기를 이용하여 필요한 식수를 확보하게 된다.
상기 조수기는 역삼투압현상을 이용하여 해수를 담수로 제조하는 장치로서, 해수를 고압펌프로 이송시켜 삼투압 이상의 높은 압력을 가하여 분리막을 통과시키면 해수 속의 담수만 분리막을 통과하고 염분은 분리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서, 강
우량이 적은 지역이나 외부로부터 급수를 받아야 생활이 가능한 도서지역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선박이나 함정에 필요한 식수를 저장한 상태로 출항할 경우, 식수를 구입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식수를 선박에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을 행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또 조수기를 이용하여 선박운항시 필요한 식수를 마련할 경우, 조수기의 설치 및 운용에 많은 비용이 소요됨은 물론, 필연적으로 염분의 완벽한 제거는 어렵기 때문에 물맛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에너지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수 또는 지하수 또는 지하의 차가운 공기로 이루어지는 열전달매체를 응축수로 활용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습기를 응축시켜 집수하고 이를 정수 처리하여 식수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의 식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열전달매체가 이동하는 응축파이프와, 응축파이프에 응결된 수분을 수거할 수 있는 수분제거수단으로 구성하여 쉽게 운용가능하고, 더불어 간단한 구성으로 설비비가 저렴한 구조의 식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식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관로를 통해 일정온도의 열전달매체를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상기 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열전달매체와의 온도 차로 인해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하는 응축수단;과, 상기 응축수단의 외주연을 따라 응축된 수분을 집수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수단에 외장/이동되어 수분을 집수하는 수분집수수단; 및 상기 수분집수수단과 연결되어 수분이 저장되는 집수조를 통해 원수를 공급받아 식수로 사용될 수 있도록 원수를 정화하는 정수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응축수단은 열전달매체의 이동경로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응축파이프가 지그재그로 다수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수분집수수단은 집수되는 수분을 실시간으로 집수조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밑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함체로 구성되고, 상기 함체에는 응축파이프가 관통 결합할 수 있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수분집수수단은 상기 응축수단의 외주면에서 이동하는 판체와, 상기 응축수단의 하부에 배치되어 낙하되는 수분을 집수하는 집수용기로 구성되고, 상기 판체에는 응축파이프가 관통 결합할 수 있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발명은, 제 2발명 또는 제 3발명에서, 상기 수분집수수단은 서보모터와, 상기 서보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볼스크류와, 상기 함체 또는 판체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볼스크류를 따라 이동하는 볼소켓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발명은, 제 2발명 또는 제 3발명에서, 상기 관통공의 내주연에는 응축파이프에 응축된 수분을 수거할 수 있도록 각각의 응축파이프에 밀착되는 탄성막이 더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발명은, 제 5발명에서, 상기 함체 또는 판체의 관통공의 사이에는 수거되는 수분을 집수할 수 있도록 함몰된 배수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공급수단과 응축수단의 사이 관로에는 열교환기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발명은, 제 7발명에서, 상기 펌프와 열교환기 사이 관로에는 3방향전환밸브가 더 장착되며, 상기 3방향전환밸브를 따라 분기되는 2개의 관로는 각각 열교환기와 응축수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9발명은, 제 7발명 또는 제 8발명에서, 상기 관로의 유입구측과 배출측에는 바이패스관로가 더 연결되고, 열교환기를 통해 냉각된 해수를 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바이패스관로는 3방향전환밸브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0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열전달매체는 해수 또는 지하수 또는 차가운공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1발명은, 제 10발명에서, 상기 공급수단은 펌프 또는 흡입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수 제조장치는 해수 또는 지하수 또는 지하의 차가운 공기로 이루어지는 열전달매체를 응축수로 활용하여 에너지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전달매체가 이동하는 응축파이프와, 응축파이프에 응결된 수분을 수거할 수 있는 수분제거수단으로 구성하여 쉽게 운용가능하고, 더불어 간단한 구성으로 설비비가 저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수 제조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된 수분집수수단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수 제조장치의 블럭도,
도 4 및 도 5는 수분집수수단의 작동도,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수 제조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2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수분집수수단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식수 제조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수 제조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된 수분집수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수 제조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온의 열전달매체를 응축수로 활용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응축시켜 집수하고 이를 정수 처리하여 식수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의 식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식수 제조장치는 크게 4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열전달매체를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응축수단(30)과, 수분집수수단(40) 및 정수기(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열전달매체는 해수 또는 지하수 또는 지하 내부의 차가운 공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해수를 선택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수단은 펌프(20) 또는 흡입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며, 열전달매체가 해수로 이루어지는 바, 펌프(20)를 선택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펌프(20)는 관로(10)를 해수에 수장시켜 일정온도의 해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해수를 펌핑하는 기능을 한다.
이 때 상기 관로(10)를 통해 펌핑되는 해수의 온도가 평균 0 ~ 5℃ 이하인 수심 10M 이상의 해수 또는 심해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응축수단(30)은 상기 펌프(20)를 통해 공급되는 해수와의 온도차로 인해 외부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응축수단(30)은 펌핑되는 해수의 이동경로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응축파이프(30)가 지그재그로 배치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분집수수단(40)은 응축파이프(30)의 외주연을 따라 응축된 수분을 집수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파이프(30)에 외장/이동되어 수분을 집수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수분집수수단(40)은 이동하는 함체(41)로 구성되고, 상기 함체(41)에는 응축파이프(30)가 관통 결합할 수 있는 다수의 관통공(411)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함체(41)는 서보모터(43)에 결합된 볼스크류(42)의 회전에 의해 이동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분집수수단(40)은 서보모터(43)와, 상기 서보모터(43)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볼스크류(42)와, 상기 함체(41)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볼스크류(42)를 따라 이동하는 볼소켓(414)을 더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은 서보모터(43)의 정/역 회전에 의해 볼스크류(42)를 따라 볼소켓(414)이 승강되도록 구성하여, 결과적으로 볼소켓(414)과 결합된 함체(41)가 승강되도록 하여 응축파이프(30)의 표면에 응결된 수분을 집수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한편 상기 수분집수수단(40)의 함체(41)는 응축파이프(30)에 밀착되는 탄성막(411a)이 더 결합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탄성막(411a)은 관통공(411)의 내주연 마련되는 것으로, 중앙을 기점으로 방사상으로 다수 절개되는 스플리팅(splitting)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다양한 직경의 응축파이프(30)에 대응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탄성막(411a)이 응축파이프(30)에 표면에 밀착되어 수분을 수거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탄성막(411a)은 함체(41)가 상승하면 응축수를 함체(41)의 상부면으로 유도하고, 함체(41)가 하강하면 함체(41)의 내부로 수분이 집수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함체(41)의 상부면으로 유도되는 수분은 함체(41)의 상부면에 형성된 배수공(412)을 통해 내부로 집수되는데, 배수공(412)은 수거되는 수분을 집수할 수 있도록 함몰된 형태로 관통공(411)의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함체(41)는 집수되는 수분을 실시간으로 집수조(50)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밑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함체(41)의 밑면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집수되는 물이 자중에 의해 원활히 집수조(50)로 저장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정수기(60)는 집수조(50)를 통해 원수를 공급받아 식수로 사용될 수 있도록 원수를 정화하는 일련의 기능을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타이머(84)와, 외부온도와 습기를 측정하는 제 1온도센서(81) 및 습도센서(83)가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응축파이프(30)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제 2온도센서(82)가 더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 1온도센서(81)와, 제 2온도센서(82) 및 습도센서(83)에 따라 펌프(20)와, 서보모터(43)를 제어하는 자동제어부(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식수 제조장치의 수분 수거동작에 관하여 도 3과, 도 4 및 도 5의 수분집수수단의 작동도를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자동제어부(80)를 통해 펌프(20)를 가동시켜 해수를 펌핑시킨다.
펌핑된 해수는 관로(10)를 통해 응축파이프(30)로 유입시켜 응축파이프(30)의 표면온도를 하강시킨다.
이 때 상기 응축파이프(30)의 표면온도를 측정하는 제 2온도센서(82)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자동제어부(80)는 펌프(20)의 가동을 멈추어 응축파이프(30) 내의 해수를 머무는 시간을 증대시켜 에너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더불어 외부온도를 측정하는 제 1온도센서(81) 및 습도센서(83)에 따라 해수가 머무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해수의 의해 표면온도가 내려간 응축파이프(30)는 외부 온도차에 의해 대기중의 습기가 표면에 응결되어 수분이 생성된다.
그리고 타이머(84)에 의해 대기중의 습기가 충분히 응축될 수 있도록 시간 간격을 두고 자동제어부(80)에 의해 서보모터(43)를 가동시킨다.
이 때 상기 서보모터(43)를 정회전시키면 상기 수분집수수단(40)의 함체(41)는 서보모터(43)와 연결된 볼스크류(42)의 회전에 의해 볼소켓(414)이 상승함에 따라 상승 된다.
상기 함체(41)가 상승하게 되면 함체(41)의 관통공(411)에 형성된 탄성막(411a)이 응축파이프(30)의 표면에 형성된 수분을 수거하여 상부면으로 유도한다.
함체(41)의 상부면에 있는 수분은 함몰된 배수공(412)을 통해 내부로 집수 된다.
이 후 다시 대기중의 습기가 충분히 응축될 수 있도록 타이머(84)를 통해 시간 간격을 두고 서보모터(43)를 역회전시키면 함체(41)는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함체(41)의 내부로 수분을 집수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함체(41)의 상승과 더불어 하강은 매우 느린 속도로 이동하기 때문에 응축파이프(30)에 응결된 수분은 표면장력에 의해 상기 탄성막(411a)을 따라 이동되어 탄성막(411a)의 끝단부(관통공)에서 낙하되기 때문에 응축파이프(30)를 따라 수분이 흘러내리지 않게 되어 결과적으로 후술되는 함체(41)의 밑면에 형성된 관통공(411)으로 누수 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상기 함체(41)의 밑면에 형성된 관통공(411) 내경은 상기 응축파이프(30)의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고, 내부에는 관통공에 대응되는 내부파이프(413)를 구비하여 함체(41)의 밑면에 형성된 관통공(411)으로 수분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편 응축파이프(30)의 표면에 응결된 수분이 탄성막(411a)에 의해서만 수거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함체(41)의 내부에 집수된 수분은 함체(41)의 밑면 경사면을 따라 집수조(50)로 저장되고, 집수조(50)에 저장된 수분(원수)는 정수기(60)를 통해 정수되어 식수로 활용된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수 제조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 1온도센서(81)를 통해 센싱되는 외부온도에 따라 해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열교환기(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펌프(20)와 열교환기(70) 사이 관로에 3방향전환밸브(11)가 더 장착되며, 상기 3방향전환밸브(11)를 따라 분기되는 2개의 관로(10)는 각각 열교환기(70)와 응축수단(30)에 연결된다.
즉, 이러한 구조는 습도센서(83)를 통해 외부 습도가 작을 경우나, 계절에 따라 외부온도와 해수의 온도 차가 낮을 경우, 응축되는 수분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제 1온도센서(81)를 통해 측정되는 외부온도가 7℃일 경우, 펌핑되는 해수의 온도와 비교하여 온도차가 매우 작기 때문에 응축파이프(30)의 표면에는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지 않게 된다.
그러면 3방향전환밸브(11)를 통해 해수를 열교환기(70)로 유도하여 이슬점 이하로 냉각시키고, 이를 응축파이프(30)로 송출하여 응축파이프(30)의 표면에 수분이 응축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 관로(10)의 유입구측과 배출측에는 바이패스관로(12)가 더 연결되고, 열교환기(70)를 통해 냉각된 해수를 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바이패스관로(12)는 3방향전환밸브(11)를 통해 연결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성은 열교환기(70)를 통해 냉각된 해수를 바다로 배출시키지 않고 제 3방향전환밸브(11)를 통해 바이패스관로(12)로 유도하여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킨 구조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수 제조장치에 따르면, 함체를 승강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로 서보모터와 볼스크류를 사용하였지만, 이외에 리니어모터 또는 렉크와 피니언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3방향전환밸브를 통해 분기되어 열교환기로 유도되는 관로 역시 2개로 분기시키고, 각각의 관로른 열교환기의 증발기와, 응축기를 경유하도록 하여 겨울철에는 해수를 증발잠열로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수분집수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분집수수단(40)은 상기 응축수단(30)의 외주면에서 이동하는 판체(41a)와, 상기 응축수단(30)의 하부에 배치되어 낙하되는 수분을 집수하는 집수용기(44)로 구성된다.
이러한 응축파이프(30)에 외장되는 판체(41a)를 승강시켜 응축파이프(30)의 표면에 응결된 수분을 낙하시키고, 낙하 되는 수분은 집수조(50)와 연결된 집수용기(44)에 집수시킬 수 있도록 된 구성이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10: 관로 11: 3방향전환밸브
12: 바이패스관로
20: 펌프
30: 응축수단, 응축파이프
40: 수분집수수단 41: 함체 41a: 판체
411: 관통공 411a: 탄성막
412: 배수공 413: 내부파이프
414: 볼소켓 42: 볼스크류
43: 서보모터 44: 집수용기
50: 집수조
60: 정수기
70: 열교환기
80: 자동제어부 81: 제 1온도센서 82: 제 2온도센서 83: 습도센서 84: 타이머

Claims (11)

  1. 관로(10)를 통해 일정온도의 열전달매체를 공급하는 공급수단;
    상기 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열전달매체와의 온도 차로 인해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하는 응축수단(30);
    상기 응축수단(30)의 외주연을 따라 응축된 수분을 집수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수단에 외장/이동되어 수분을 집수하는 수분집수수단(40); 및
    상기 수분집수수단(40)과 연결되어 수분이 저장되는 집수조(50)를 통해 원수를 공급받아 식수로 사용될 수 있도록 원수를 정화하는 정수기(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응축수단(30)은 열전달매체의 이동경로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응축파이프(30)가 지그재그로 다수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집수수단(40)은 집수되는 수분을 실시간으로 집수조(50)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밑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함체(41)로 구성되고, 상기 함체(41)에는 응축파이프(30)가 관통 결합할 수 있는 다수의 관통공(411)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집수수단(40)은 상기 응축수단(30)의 외주면에서 이동하는 판체(41a)와, 상기 응축수단(30)의 하부에 배치되어 낙하되는 수분을 집수하는 집수용기(44)로 구성되고, 상기 판체(41a)에는 응축파이프(30)가 관통 결합할 수 있는 다수의 관통공(4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 제조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집수수단(40)은 서보모터(43)와, 상기 서보모터(43)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볼스크류(42)와, 상기 함체(41) 또는 판체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볼스크류(42)를 따라 이동하는 볼소켓(41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 제조장치.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411)의 내주연에는 응축파이프(30)에 응축된 수분을 수거할 수 있도록 각각의 응축파이프(30)에 밀착되는 탄성막(411a)이 더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 제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41) 또는 판체의 관통공(411)의 사이에는 수거되는 수분을 집수할 수 있도록 함몰된 배수공(412)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 제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과 응축수단(30)의 사이 관로(10)에는 열교환기(7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 제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20)와 열교환기(70) 사이 관로(10)에는 3방향전환밸브(11)가 더 장착되며, 상기 3방향전환밸브(11)를 따라 분기되는 2개의 관로(10)는 각각 열교환기(70)와 응축수단(3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 제조장치.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10)의 유입구측과 배출측에는 바이패스관로(12)가 더 연결되고, 열교환기(70)를 통해 냉각된 열전달매체를 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바이패스관로(12)는 3방향전환밸브(11)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 제조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매체는 해수 또는 지하수 또는 차가운공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 제조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은 펌프(20) 또는 흡입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수 제조장치.
KR1020100004448A 2010-01-18 2010-01-18 식수 제조장치 KR101162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448A KR101162977B1 (ko) 2010-01-18 2010-01-18 식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448A KR101162977B1 (ko) 2010-01-18 2010-01-18 식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734A true KR20110084734A (ko) 2011-07-26
KR101162977B1 KR101162977B1 (ko) 2012-07-12

Family

ID=44921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448A KR101162977B1 (ko) 2010-01-18 2010-01-18 식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29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31873A (zh) * 2013-01-09 2013-04-10 刘启宸 利用深冷海水和波浪能生产淡水和冷空气的装置
CN103362175A (zh) * 2012-04-04 2013-10-23 赵雪冰 一种利用地下水冷源制取淡水的方法和装置
CN105133697A (zh) * 2015-09-17 2015-12-09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冷凝制水装置的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37253B (zh) * 2016-05-14 2019-10-15 医者道(北京)科贸有限公司 一种智能型空气制水机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174Y1 (ko) 2004-11-08 2005-01-24 주식회사 동양일렉트로닉스 순환식 식수생성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62175A (zh) * 2012-04-04 2013-10-23 赵雪冰 一种利用地下水冷源制取淡水的方法和装置
CN103031873A (zh) * 2013-01-09 2013-04-10 刘启宸 利用深冷海水和波浪能生产淡水和冷空气的装置
CN105133697A (zh) * 2015-09-17 2015-12-09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冷凝制水装置的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05133697B (zh) * 2015-09-17 2017-12-29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冷凝制水装置的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2977B1 (ko)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1918B2 (en) Water harvester and purification system
CN101481154B (zh) 综合利用太阳能进行海水淡化的方法及其装置
Saidur et al. An overview of different distillation methods for small scale applications
US10532935B2 (en) Water harvester and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KR101611632B1 (ko) 정수 및 수증기 생성 시스템
US7901580B2 (en) Method, apparatus, and processe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utilizing reverse osmosis at ocean depth in combination with shipboard moisture dehumidification
EP2804682B1 (en) Desalination station using a heat pump and photovoltaic energy
KR101162977B1 (ko) 식수 제조장치
KR101811394B1 (ko) 해수담수화장치
US8282830B2 (en) Method, apparatus, and processe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utilizing reverse osmosis at ocean depth in combination with shipboard moisture dehumidification
KR101402482B1 (ko) 소형선박 부착용 해수 담수화장치
CN201338952Y (zh) 综合利用太阳能进行海水淡化的装置
CN101767841A (zh) 一种利用太阳能的真空膜蒸馏水处理装置
RU230912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снения морской воды
KR100929223B1 (ko) 식수의 제조방법 및 장치
WO2006075930A1 (fr) Procede pour obtenir de l'eau distillee et dispositif de sa mise en oeuvre
CN204569467U (zh) 一种真空蒸馏海水淡化装置
KR101194585B1 (ko) 해수의 담수생산용 배관구조
WO2022243989A1 (en) Tds control device and method in hybrid floating water purifier
Al-Mutaz Thermal processes
US202302868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urification of Water by Membrane Distillation
CN104973640B (zh) 海水淡化收盐装置
CN114538550B (zh) 一种抽真空装置的太阳能海水淡化装置
RU74380U1 (ru) Опреснитель
CN114538551B (zh) 一种薄膜蒸发单元以及太阳能海水淡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