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482B1 - 소형선박 부착용 해수 담수화장치 - Google Patents

소형선박 부착용 해수 담수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482B1
KR101402482B1 KR1020120093099A KR20120093099A KR101402482B1 KR 101402482 B1 KR101402482 B1 KR 101402482B1 KR 1020120093099 A KR1020120093099 A KR 1020120093099A KR 20120093099 A KR20120093099 A KR 20120093099A KR 101402482 B1 KR101402482 B1 KR 101402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hamber
fresh water
seawater
heat exchanger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6111A (ko
Inventor
이봉길
Original Assignee
이봉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길 filed Critical 이봉길
Priority to KR1020120093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482B1/ko
Publication of KR20140026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xtraction
    • C02F1/265Desal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1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using waste heat from other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5Conductivity or salin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Abstract

본 발명의 소형선박 부착용 해수 담수화장치는 선박엔진과; 제1순환펌프와; 제1열교환기와; 제1진공챔버와; 제1진공펌프와; 제2진공챔버와; 제2열교환기와; 제2순환펌프와; 콘덴서와; 제2진공펌프와; 담수펌프와; 담수 저장탱크와; 염분측정 센서와; 제어수단으로 구성되어 선박엔진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해수를 증발시켜 담수를 발생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박의 배기가스 등의 형태로 버려지는 폐열을 이용하여 식수 및 담수를 용이하게 확보하고, 고기잡이나 원양어선의 선원들에게 장기간의 항해에도 식수 확보의 염려로부터 벗어나게 하여 조업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소형선박 부착용 해수 담수화장치{A Seawater Desalination System for Small Craft}
본 발명은 폐열을 이용한 담수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담수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선박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 폐열을 이용하여 해수를 담수화할 수 있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담수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수 및 오염수로부터 담수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해수 및 오염수에 용존되어 있거나 부유하는 성분들을 용수 및 음용수 기준에 적합하도록 제거해야 하며, 해수담수화 방법에는 특수한 막을 이용하는 역 삼투법 및 전기투석법, 해수 및 오염수를 증기로 변화시켜서 담수화하는 증발법, 그 외에 냉동법, 태양열 이용법 등이 있다. 그러나 해수담수화에는 주로 증발법과 역 삼투법이 사용되고, 농담수 담수화에는 역삼투법과 전기투석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증발법은 담수화 기술 중 가장 역사가 오래된 기술이며 현재 전 세계 담수화 생산용량 중 약 70%를 차지하고 있다. 이 방법은 증발기의 형상과 열원의 이용방법에 따라 크게 다중 효용방식, 다단 플래쉬방식, 증기압축식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1) 다중 효용방식
(MED: Multi-Effect Distillation)이 방식은 단순 증류기를 시리즈로 배열한 형태로 첫 번째의 증발기에 보일러에서 발생된 증기로 열을가하여 해수를 증발시키면, 발생된 증기는 다음 증발기에서 응축되어 담수가 되고 동시에 가열 원으로 작용하여 증발기 내부의 해수를 증발시킨다. 또한 이때발생된 증기는 다시 다음 증발기에서 가열 원으로 작용한다. 이 때 각 효용 증발기 내의 압력을 차례로 낮게 유지하여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더 낮은 온도에서 비등이 일어나도록 해 주어야 한다. 또, 각 효용에서 생산된 담수의 온도가 상온보다 높기 때문에 유입되는 해수와 상호 열교환을 시켜 생산 담수의 현열을회수하는 방법도 널리 채택되고 있다.
(2) 다단 플래쉬 방식
(MSF: Multiple-Stage Flash Distillation)다단 플래쉬 방식은 현재 대용량 담수화장치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담수화 기술로 현재 전세계 담수화용량의 약 2/3 가량을 담당하고 있으며, 다중 효용방식과 가장 큰 차이점은 증발관 내에서 증발이 일어나는데 비해 다단 플래쉬 방식에서는 상대적으로 고압의 열교환기 내에서 가열된 해수가 오리피스를 통해 저압의 격실로 분출되면서 열공급이 없으므로 원수의 잉여 에너지에 해당하는 부분만의 잠열로 변환되기 때문에 각 격실에서 증발량은 수 % 이내이다.
다단 플래쉬방식의 일반적인 계통은 점차 진공도가높은 격실이 직렬로 이어진 형태를 가진다.
(3) 증기 압축식
(VCD: Mechanical Vapor CompressionDistillation)
증발기에서 발생한 증기를 압축기로 압축시키면 온도와 압력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를 다시 증발기의 고열원으로 사용한다. 해수가 열교환기를 거치면서 배출되는 브라인과 생산된 담수의 현열을 회수하여 약 97℃로 증발기에 들어가서 압축된 증기가 응축하면서 방출하는 열에 의하여 증발하고 증기는 다시 압축기로 고온의 증기로 압축되어 증발기에서 응축되고 이후에 열 회수기를 통과하면서 증발기로 들어가는 해수에 그 현열을 전달하여 담수화에 이용하는 공정이다.
또한, 상기 역 삼투법은 (Reverse Osmosis: RO)은 반투막(Semi-permeable Membrane)과 삼투압을 이용하여 해수에 용해되어 있는 용질을 제거하여 순도가 높은 담수를 얻는 프로세스를 말하며, 현재 상용화된 해수담수화 설비에서 MSF 및 MED와 함께 가장 많이 적용되는 담수화 기술이다.
그리고, 상기 역 삼투법은 동일한 양의 저농도 용액과 고농도 용액을 반투막(Semi-permeable Membrane)을 사이에 두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농도 용액의 양이 점점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더 이상 고농도 용액의 양이 증가하지 않고 평형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를 삼투현상(Osmosis) 이라고 하며, 평형상태에서의 고농도 용액과 저농도 용액의 수두 차를 삼투압(Osmotic Pressure)이라고 한다. 평형상태에서 고농도 용액측에 삼투압 이상의 압력을 가하게 되면 고농도의 용액의 용매인 물은 막을 통과하여 저농도 용액 쪽으로 이동하고, 용질은 막을 통과하지 못하게 되는데, 이를 역삼투현상(Reverse Osmosis)라고 한다. 이와 같이 반투막 (Semi-permeable membrane)을 이용하여 가압된 염수에서 용매인 물을 용질과 분리하는 프로세스를 말한다.
그런데, 상기 증발법은 해수를 가열하기 위해 별도의 열원이 따로 필요하고, 상기 역 삼투법은 가압에 필요한 압축일을 받기 위한 역삼투막의 비용이 고가이고,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어 주로 대규모 담수화설비에 채택되는데, 그렇게 되면, 소형 담수화장치를 필요로 하는 도서지방 또는 개발도상국 등의 나라에서는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10-1084305에는 해수 담수화장치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상기 장치는 발전기와 동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발전기의 배기가스 폐열로 내부에 충진된 물이 가열 증발되는 열교환 챔버와; 상기 열교환 챔버의 전면에 다단으로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 챔버로부터 응축,전도,증발의 열전달 메커니즘에 의해 해수 및 오염수를 연속적으로 증발시켜 담수화시키는 다수개의 응축판과; 기 다수개의 응축판 전면에 각각 접촉 설치되어 해수 및 오염수를 표면장력에 의해 이송시키는 윅과; 외부에서 관으로 연결되어 해수 및 오염수를 관을 통해 유입시켜 저장하는 헤드 탱크와; 상기 헤드 탱크에 연결된 관을 통해 해수 및 오염수가 내부에 유입되어 임시 저장된 뒤, 상기 윅에 해수 및 오염수가 공급되는 분배탱크;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인해 발전기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폐열을 상기 발전기와 연결된 동관을 통해 이송시켜 열교환 챔버내에 충진된 물을 가열하여 증발시키고, 상기 물의 수증기에 의해 열교환 챔버의 전면에 부착된 윅을 따라 흐르는 해수 및 오염수를 가열하여 증발시켜 수증기를 발생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해수 및 오염수가 증발된 수증기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로 형성된 응축판중 제 1단의 응축판 일측면에 접촉되면서 응축되고, 이때의 응축열은 응축판을 통해 타 측면(반대 측면)으로 전도되어 타 측면에 부착된 윅을 따라 흐르는 해수 및 오염수를 가열하여 다시 수증기로 증발시킨다.
그리고, 다시 증발된 수증기는 제 2단의 응축판 일측면에 접촉되어 응축되고, 이때의 응축열은 응축판을 통해 타 측면으로 전도되어 타 측면에 부착된 또 다른 윅을 따라 흐르는 해수 및 오염수를 가열하여 증발시킨다.
이런 과정을 상기 다수개의 응축판에 맞춰 복수 단으로 행하여 다수개의 응축판에 많은 양의 응축수를 발생시켜 해수 및 오염수를 담수화한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구성이 너무 복잡하여 해변이나 해안가의 육지에 고착된 상태로 부착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동중인 선박에는 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선박에 사용되는 폐열회수시스템에 관한 기술로는 등록특허 10-1025050를 들 수 있는데, 상기 문헌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엔진과 제 1 응축수 공급라인에 의해 연결되는 저압 스팀 드럼; 상기 저압 스팀 드럼과 저압 응축수 공급 라인 및 저압 응축수 회수라인에 의해 연결되는 배가스 폐열 회수기; 상기 제 1 응축수 공급라인에는 제 2 응축수 공급라인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배가스 폐열 회수기와는 제 1 고압 스팀 공급라인과 고압 응축수 공급라인 및 고압 응축수 회수라인에 의해 연결되는 고압 스팀 드럼; 상기 선박엔진과 제 3 응축수 공급라인에 의해 연결되고, 저압 스팀 드럼과는 제 1 저압 스팀 공급라인에 의해 연결되며, 배가스 폐열 회수기와는 제 2 고압 스팀 공급라인에 의해 연결되는 스팀터빈 발전기 세트; 상기 저압 응축수 공급라인 상에 설치되는 저압 응축수 순환 펌프; 상기 고압 응축수 공급라인 상에 설치되는 고압 응축수 순환 펌프; 상기 제 1 응축수 공급라인과는 제 1 고압 고온 냉각수 공급라인과 연결되며, 저압 스팀 드럼과는 제 2 저압 스팀 공급라인에 의해 연결되는 고온수 증기 발생기; 및 상기 제 1 고압 고온 냉각수 공급라인과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고온수 증기 발생기와 연결되는 감압 밸브가 설치된 저압 고온 냉각수 공급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을 통해
상기한 구성으로 인해 응축수의 일부를 배가스 폐열 회수기와 열교환시켜 스팀을 발생하도록 하여 스팀 발전기 세트를 작동시켜 전기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선박 엔진으로 공급되어 선박 엔진과 열교환된 고온의 냉각수 또한 고온수 증기 발생기 및 플래쉬 증기 발생기를 통해 그 일부분을 스팀이 되도록 하여 저압 스팀 드럼으로 공급한 후 스팀 발전기 세트에 스팀을 더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저압 스팀 드럼으로부터 스팀 발전기 세트로 공급되는 스팀을 저압 증기 과열기를 통해 고압고온의 냉각수와 열교환시켜 과열시킨 후 스팀 발전기 세트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스팀 터빈 발전기 세트의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전기 발생량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의 설비를 해수 담수화에 사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아직까지 선박 특히 소형선박에 부착될 수 있는 해수 담수화장치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등록특허 10-1025050
없음
본 발명은 소형선박 부착용 해수담수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삼는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온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선박엔진과; 상기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제1열교환기로 이송시키는 제1순환펌프와; 상기 순환펌프에서 이송된 배기가스로부터 해수를 증발시키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제1열교환기와; 상기 제1열교환기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해수를 증발시켜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제1진공챔버와; 상기 1진공챔버와 연결되어 상기 1진공챔버 내부의 진공상태를 유지시키는 제1진공펌프와; 상기 제1진공챔버와 직접 연결되어 밸브를 통해 개폐되며 상기 제1진공챔버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유입되는 제2진공챔버와; 상기 제2진공챔버내에 위치하여 상기 유입된 수증기를 해수를 사용하여 냉각시키는 제2열교환기와; 상기 제2열교환기에 파이프를 통해 해수를 공급하는 제2순환펌프와; 상기 제2진공챔버내에 위치하여 상기 냉각된 수증기를 응축시켜 담수를 생성하는 콘덴서와; 상기 제2진공챔버와 연결되어 내부의 진공상태를 유지시키는 제2진공펌프와; 상기 제2진공챔버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생성된 담수를 담수 저장탱크로 이송시키는 담수펌프와; 상기 담수펌프에서 이송된 담수가 저장되는 담수 저장탱크와; 상기 담수 저장탱크내부에 부착되어 담수의 염분을 측정하는 염분측정 센서와; 상기 염분측정 센서와 연동되어 상기 선박엔진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소형선박 부착용 해수 담수화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진공챔버에 바닷물을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소형선박 부착용 해수 담수화장치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선박 특히 소형선박에 설치가 가능하여 해수를 담수화하여 소규모의 다중 효용 담수화 설비의 구축이 가능하여 선박의 배기가스 등의 형태로 버려지는 폐열을 이용하여 식수 및 담수를 용이하게 확보하고, 고기잡이나 원양어선의 선원들에게 장기간의 항해에도 식수 확보의 염려로부터 벗어나게 하여 조업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등록특허 10-1025050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소형선박 부착용 해수 담수화장치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은 등록특허 10-1025050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선박 폐열을 이용한 발전장치는, 저압 스팀 드럼(1), 배가스 폐열 회수기(2), 고압 스팀 드럼(3), 스팀터빈 발전기 세트(4), 저압 응축수 순환펌프(5), 고압 응축수 순환펌프(6), 고온수 증기 발생기(7) 및, 저압 고온 냉각수 공급라인(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저압 스팀 드럼(1)은, 선박엔진(9)과 제1 응축수 공급라인(10)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배가스 폐열 회수기(2)는, 상기 저압 스팀드럼(1)과 저압 응축수 공급라인(11) 및 저압 응축수 회수라인(12)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고압 스팀 드럼(3)은, 상기 제 1 응축수 공급라인(10)에는 제 2 응축수 공급라인(13)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배가스 폐열 회수기(2)와는 제 1 고압 스팀 공급라인(14)과 고압 응축수 공급 라인(15) 및 고압 응축수 회수라인(16)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스팀터빈 발전기 세트(4)는, 상기 선박엔진(9)과 제 3 응축수 공급라인([0021] 17)에 의해 연결되고, 저압 스팀드럼(1)과는 제 1 저압 스팀 공급라인(18)에 의해 연결되며, 배가스 폐열 회수기(2)와는 제 2 고압 스팀 공급라인(19)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저압 응축수 순환 펌프(5)는, 상기 저압 응축수 공급라인(11) 상에 설치되며, 상기 고압 응축수 순환펌프(6)는, 고압 응축수 공급라인(15) 상에 설치된다.
상기 고온수 증기 발생기(7)는, 상기 제 1 응축수 공급라인(10)과는 제 1 고압 고온 냉각수 공급라인(20)과 연결되며, 저압 스팀 드럼(1)과는 제 2 저압 스팀 공급라인(31)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저압 고온 냉각수 공급라인(8)은, 상기 제 1 고압 고온 냉각수 공급라인(20)과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은상기 고온수 증기 발생기(7)와 연결되며, 상기 저압 고온 냉각수 공급라인(8) 상에는 감압 밸브(2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고압 고온 냉각수 공급라인(20) 상에는, 저압 스팀 순환라인(28)에 의해 제 1 저압 스팀 공급라인(18)과 연결되는 저압 증기 과열기(22)가 더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온수 증기 발생기(7)에는, 제 2 저압 스팀 공급라인(31)과는 제 3 저압 스팀 공급라인(23)에 의해 연결되며, 스팀 발전기 세트(4)와는 제 3 고압 고온 냉각수 공급라인(24)에 의해 연결되는 플래쉬 증기 발생기(25)가 제 2 고압 고온 냉각수 공급라인(26)에 의해 더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으로 인해 등록특허 10-1025050은 응축수의 일부를 배가스 폐열 회수기와 열교환시켜 스팀을 발생하도록 하여 스팀 발전기 세트를 작동시켜 전기를 발생시는 효과가 있으나 해수 담수화 특히 소형선박 부착용 해수 담수화장치와는 거리가 멀다.
본 발명의 해수 담수화장치가 부착되는 소형선박은 10톤 가량의 선박으로 선원 6~7명이 승선하여 출항하면 6~7톤의 물을 싣고 보통 15일 가량 조업한다. 더 많은 시간을 조업하고자 하여도 적재할 수 있는 물의 양이 한정되어 있어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소형선박 부착용 해수 담수화장치는 필수적이라 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소형선박 부착용 해수 담수화장치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수 담수화장치는 선박엔진과; 제1순환펌프와; 제1열교환기와; 제1진공챔버와; 제1진공펌프와; 제2진공챔버와; 제2열교환기와; 제2순환펌프와; 콘덴서와; 제2진공펌프와; 담수펌프와; 담수 저장탱크와; 염분측정 센서와; 제어수단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진공챔버의 측면에는 바닷물을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소형선박 부착용 해수 담수화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박엔진으로부터 고온의 배기가스가 배출된다. 소형 선박의 경우 통상 200~300℃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는데 본 발명은 이를 열교환을 통해 해수를 증발하는 시스템이다.
상기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제1순환펌프를 통해 제1열교환기로 이송되어 해수를 증발시키는 열원으로 사용된다. 제1순환펌프로부터 이송된 배기가스는 제1열교환기를 통해 열이 발생된다. 상기 제1열교환기는 제1진공챔버의 하단 일측면에 부착되어 있고 해수와 직접 접촉되어 있는데, 여기서 열교환이 일어나면서 해수를 증발시킨다. 이 때 증발은 진공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진공상태에서의 증발을 통해 통상의 증발보다 낮은 온도에서 증발이 일어난다. 이는 소형선박에 부착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강구된 기술구성의 특징에 해당되는 것으로 전체적인 시스템의 크기를 축소시키는 데 크게 기여한다. 다시 말하면 진공상태에서는 통상적인 온도보다 낮은 상태에서 증발이 가능하므로 동일한 해수를 증발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열량을 줄일 수 있고 증발에 필요한 열량은 배기가스로부터 생성되므로 배기가스의 양이 적은 소형선박에 적용가능한 것이다.
상기 제1열교환기는 열교환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해수와 직접 접촉되어야 하기 때문에 염분에 강한 재질로 코팅되는 것이 좋다. 또한 대류열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표면적이 넓게 디자인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재질 및 디자인을 적절히 설계,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진공챔버에는 담수화시키고자 하는 바닷물을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진공챔버에는 제1진공펌프가 부착되어 내부의 진공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제1열교환기에서 증발된 해수는 제1진공챔버를 거쳐 제2진공챔버로 이송된다. 상기 제1, 제2진공챔버는 밸브로 연결되어 있는데, 담수의 발생정도에 따라 적절히 밸브를 개, 폐할 수 있다.
상기 제2진공챔버로 상기 제1진공챔버에서 발생된 증기가 유입된다. 상기 유입된 증기는 제2열교환기를 통해 냉각된다. 상기 제2열교환기는 제2진공챔버의 상단 일측면에 부착되어 있고 해수를 사용하여 상기 제2진공챔버 내부로 유입된 증기를 냉각시킨다.
상기 해수는 제2순환펌프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제2열교환기에서 증기를 냉각시킨후 외부로 유출된다.
상기 냉각된 증기는 상기 제2진공챔버내에 위치한 콘덴서에서 응축되어 담수가 생성된다. 상기 생성된 담수는 담수펌프를 통해 담수 저장탱크로 이송된다.
상기 제2진공챔버에는 제2진공펌프가 부착되어 내부의 진공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담수 저장탱크는 상기 담수펌프를 통해 이송된 담수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상기 담수 저장탱크의 내부에는 염분측정 센서가 부착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상기 생성된 담수의 염분을 측정한다.
염분이란 해수 1kg 중에 함유되는 고형물질의 함량을 g으로 나타낸 것인데, 직접 측정하는 것은 곤란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질산은에 의한 적정법으로 염소량 Cl(%)를 측정하여, 쿠눗센(Knudsen)의 실험식에 의해 염분 S(%)를 구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S = 0.030 + 1.805Cl
상기 사용되는 센서로는 PH센서, ORP센서, 유산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라면 본원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절히 설계,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도2에는 미도시)는 상기 염분측정 센서와 연동되어 있다. 제어수단을 통해 상기 선박엔진의 동작을 조절한다. 상기 염분측정 센서를 통해 미리 세팅된 염분의 수치를 초과할 경우 해수의 증발을 더욱 가속화시키기 위하여 선박엔진의 작동을 강화시켜 배기가스의 출력양을 증가시킨다. 그러면 증가된 배기가스양만큼 열교환기를 통해 많은 열이 발생되어 그만큼 많은 양의 해수가 담수화되는 것이다.
10:선박엔진, 20:제1순환펌프와 30:제1열교환기 40:제1진공챔버, 50:제1진공펌프, 60:제2진공챔버, 70:제2열교환기, 80:제2순환펌프, 90:콘덴서 100:제2진공펌프, 110: 담수펌프 120:염분측정 센서, 130:담수 저장탱크

Claims (2)

  1. 고온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선박엔진과;
    상기 선박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제1열교환기로 이송시키는 제1순환펌프와;
    상기 제1순환펌프에서 이송된 배기가스로부터 해수를 증발시키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제1열교환기와;
    상기 제1열교환기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해수를 증발시켜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제1진공챔버와;
    상기 제1진공챔버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진공챔버 내부의 진공상태를 유지시키는 제1진공펌프와;
    상기 제1진공챔버와 직접 연결되어 밸브를 통해 개폐되며 상기 제1진공챔버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유입되는 제2진공챔버와;
    상기 제2진공챔버내에 위치하여 상기 유입된 수증기를 해수를 사용하여 냉각시키는 제2열교환기와;
    상기 제2열교환기에 파이프를 통해 해수를 공급하는 제2순환펌프와;
    상기 제2진공챔버내에 위치하여 상기 냉각된 수증기를 응축시켜 담수를 생성하는 콘덴서와;
    상기 제2진공챔버와 연결되어 내부의 진공상태를 유지시키는 제2진공펌프와;
    상기 제2진공챔버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생성된 담수를 담수 저장탱크로 이송시키는 담수펌프와;
    상기 담수펌프에서 이송된 담수가 저장되는 담수 저장탱크와;
    상기 담수 저장탱크내부에 부착되어 담수의 염분을 측정하는 염분측정 센서와;
    상기 염분측정 센서와 연동되어 상기 선박엔진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소형선박 부착용 해수 담수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진공챔버에 바닷물을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소형선박 부착용 해수 담수화장치

KR1020120093099A 2012-08-24 2012-08-24 소형선박 부착용 해수 담수화장치 KR101402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099A KR101402482B1 (ko) 2012-08-24 2012-08-24 소형선박 부착용 해수 담수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099A KR101402482B1 (ko) 2012-08-24 2012-08-24 소형선박 부착용 해수 담수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111A KR20140026111A (ko) 2014-03-05
KR101402482B1 true KR101402482B1 (ko) 2014-06-03

Family

ID=50640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099A KR101402482B1 (ko) 2012-08-24 2012-08-24 소형선박 부착용 해수 담수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48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417B1 (ko) 2015-05-12 2016-11-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해양선박용 담수 생산을 위한 다단형 진공막증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29928A (ko) 2017-09-13 2019-03-21 홍재의 해수 담수화 시스템
KR20210045132A (ko) 2019-10-16 2021-04-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해수담수화 선박을 이용한 담수공급시스템
KR20220014702A (ko) 2020-07-29 2022-02-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해수담수화 선박 및 자율운항선박을 이용한 담수공급시스템
KR102598324B1 (ko) * 2023-04-21 2023-11-02 김길원 잠수함 해수 담수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702B1 (ko) * 2014-05-21 2014-11-20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
CN114956222A (zh) * 2022-01-17 2022-08-30 江苏海事职业技术学院 一种航海用海水淡化处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2802B2 (ja) * 1978-10-26 1985-07-30 株式会社不二越 ころがり軸受の回転精度およびすきま測定装置
KR100588969B1 (ko) * 2001-12-28 2006-06-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감압 증발법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의 추기 장치
KR101109536B1 (ko) * 2009-07-06 2012-01-3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상변화 매체를 이용한 증발식 해수 담수화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2802B2 (ja) * 1978-10-26 1985-07-30 株式会社不二越 ころがり軸受の回転精度およびすきま測定装置
KR100588969B1 (ko) * 2001-12-28 2006-06-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감압 증발법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장치의 추기 장치
KR101109536B1 (ko) * 2009-07-06 2012-01-3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상변화 매체를 이용한 증발식 해수 담수화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417B1 (ko) 2015-05-12 2016-11-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해양선박용 담수 생산을 위한 다단형 진공막증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29928A (ko) 2017-09-13 2019-03-21 홍재의 해수 담수화 시스템
KR20210045132A (ko) 2019-10-16 2021-04-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해수담수화 선박을 이용한 담수공급시스템
KR20220014702A (ko) 2020-07-29 2022-02-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해수담수화 선박 및 자율운항선박을 이용한 담수공급시스템
US11780545B2 (en) 2020-07-29 2023-10-10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ystem for fresh water supply using desalination vessel and autonomous navigation vessel
KR102598324B1 (ko) * 2023-04-21 2023-11-02 김길원 잠수함 해수 담수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111A (ko) 201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2482B1 (ko) 소형선박 부착용 해수 담수화장치
Yadav et al. Membrane distillation using low-grade energy for desalination: A review
US8246786B2 (en) Solar desalinization plant
US70374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salination of brackish water from an underground water supply
US20150175443A1 (en) Leverage of waste product to provide clean water
EP2246531A1 (en) Power plant with CO2 capture and water treatment plant
US20160002073A1 (en) Renewable desalination of brines
CN201587871U (zh) 多级真空蒸馏海水淡化装置
KR101683602B1 (ko) 증발식 해수담수화 시스템을 이용한 해양발전장치
KR20130122828A (ko) 해상 설비용 해수 태양열 발전 및 담수화 시스템
US20080017498A1 (en) Seawater Desalination Plant
Bahar et al. Desalination: conversion of seawater to freshwater
KR20120130403A (ko) 외부 스팀을 이용한 기계적 증기 재압축식 해수 담수화 시스템 및 해수 담수화 방법
Ahmed et al. Assessment of pilot scale forward osmosis system for Arabian Gulf seawater desalination using polyelectrolyte draw solution
KR20200036416A (ko) 화력발전소 폐가스 에너지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포집 및 담수 생산 방법
KR101672852B1 (ko) 2중 열원을 이용한 해수담수화 시스템
KR101084305B1 (ko) 폐열을 이용한 담수화장치 및 이에 따른 담수화방법
Sahith et al. Technologies in desalination
WO2012066579A2 (en) Process for utilization of low pressure, low temperature steam from steam turbine for desalination of sea water
KR101620099B1 (ko) 태양열과 폐열 에너지를 혼용한 분산형 해수담수화 시스템
Saad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a vacuum desalination system
WO2011148649A1 (ja) 流体膜分離発電方法および流体膜分離発電システム
Georgiou et al. Evaluation of a multiple-effect distillation unit under partial load operating conditions
KR20200049634A (ko) 고염도 해수를 농축하는 저온 진공 농축방법
KR20160051022A (ko) 진공막증발법을 이용한 선택적 개방형 해수온도차 발전 및 담수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