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3831A - 오프라인 쇼핑 과정에서 구매자에 따라 개인화된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랙티브 비주얼 인터페이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프라인 쇼핑 과정에서 구매자에 따라 개인화된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랙티브 비주얼 인터페이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3831A
KR20110083831A KR1020100003771A KR20100003771A KR20110083831A KR 20110083831 A KR20110083831 A KR 20110083831A KR 1020100003771 A KR1020100003771 A KR 1020100003771A KR 20100003771 A KR20100003771 A KR 20100003771A KR 20110083831 A KR20110083831 A KR 20110083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yer
shopping
product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수호
황동범
박호성
Original Assignee
조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수호 filed Critical 조수호
Priority to KR1020100003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3831A/ko
Publication of KR20110083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8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06K17/00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the arrangement consisting of a wireless interrogation device in combination with a device for optically marking the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쇼핑 과정에서 구매자에 따라 개인화된 비주얼 인터페이스 시스템은 1개 이상의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이 디지털 디스플레이에는 구매자들에 따라 맞춤화/개인화되어, 구매자들마다 다른 상품 및 개인 정보가 표시된다. 여기서, 구매자들에 따라 개인화된 상품 및 개인 정보는 구매자에 따라 달리 추천되는 상품을 디스플레이에 전시하는 것, 구매자의 구매 활동에 관련된 상품 정보 및 구매 이력 등의 정보를 전자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주얼 인터페이스 시스템은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RFID 기술 등의 사용자 인식장치를 포함하며, 구매자 정보와 상품 정보 등의 쇼핑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쇼핑정보 관리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주얼 인터페이스 시스템은 구매자가 구매를 계획하고 있는 상품을 미리 등록하게 함으로써 보다 세분화된 추천상품 제시를 가능하도록 하는 희망상품 등록장치와 상품의 시험착용 모습을 촬영할 수 있는 피팅룸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프라인 쇼핑 과정에서 구매자에 따라 개인화된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랙티브 비주얼 인터페이스 시스템 {INTERACTIVE VISUAL INTERFACE SYSTEM DISPLAYING PERSONALIZED PRODUCTS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OFF-LINE SHOPPING}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서비스 디자인 분야에 속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인터랙티브 비주얼 인터페이스 시스템은 백화점과 같은 오프라인 쇼핑몰에서 사용되는 주된 상품 전시방법인 쇼윈도 혹은 상품진열대를 대치하는 대형 전자 디스플레이 및 지원 시스템을 설치하여 구매자마다 다른 상품을 전시 및 추천하고, 구매자의 구매 정보를 관리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기존 온라인 쇼핑몰의 개인화 추천 기술, 구매자 개인 정보 관리 기술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분야와 유사한 측면이 있다. 기존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회원으로 가입된 구매자의 프로파일 및 기존 구매 이력 등을 고려하여 개인에게 맞는 상품을 추천함으로써 구매자의 쇼핑몰 및 상품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내고 구매율을 제고하고자 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또한, 구매자 개인의 과거 구매 이력 혹은 현재 구매 의사나 관심을 갖고 있는 상품 등 개인의 구매 활동에 관한 개인적인 상품 정보 등을 관리하고 표시해 줌으로써 구매자가 보다 편리하게 쇼핑을 하고 쇼핑몰에 대한 충성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개인화 쇼핑 기능은 대부분의 온라인 쇼핑몰들이 지원하는 기능이지만,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오프라인 쇼핑에서는 온라인과 연계하여 지원하는 제한적인 방법이나 우편 등 고전적인 방법으로만 지원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핸드폰이나 PDA 등의 정보 단말기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온라인과 연계하여 개인화된 정보 서비스를 받는 방법이 존재하나, 특히 쇼윈도와 같은 기존의 오프라인 쇼핑몰 인프라와 밀접히 결합되는 방식으로 오프라인 쇼핑몰 내에 설치되어 보다 편리하고 자연스럽게 개인화 쇼핑 정보를 다룰 수 있는 방법은 제시되고 있지 않다.
온라인 쇼핑몰은 컴퓨터 및 네트워크 기술을 통해 사용자에게 유용한 기술들을 다양하게 제공하고 있다. 반면, 오프라인 쇼핑몰에서는 운영/관리를 위한 기술 사용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구매자와의 접점에서 제시되는 기술 요소는 별로 없는 상태이다. 오프라인 쇼핑 과정에서 구매자가 추구하는 사용자 경험은 온라인 쇼핑의 경우와 매우 다르기 때문에, 오프라인 쇼핑몰에서 사용되는 구매자 지원 시스템은 온라인의 경우와 다른 특성을 가져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구매자의 기존 오프라인 쇼핑 활동 특성이 방해 받지 않도록 시스템의 사용방법이 복잡하거나 강압적이지 않고, 시스템 사용의 결과가 기존 오프라인 쇼핑의 사용자 경험을 더욱 증진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한편, 온라인 쇼핑에서는 지원되고 있으나 오프라인 쇼핑에서는 지원되지 않고 있는 구매고객을 위한 편리 기능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는 고객의 개인정보를 판별하여 고객에 따라 최적화된 상품을 제시/추천해 주는 기능, 고객의 과거 구매 이력 및 고객의 관심 상품 등의 목록을 관리하고 보여줌으로써 향후의 구매과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능 등 고객 개개인에 대한 맞춤화 기능을 들 수 있다. 오프라인 쇼핑몰에서는 개별 고객에 대한 이러한 맞춤화 기능을 실현하고 있지 않으며, 사용자가 쇼핑에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고 싶은 경우, 쇼핑몰에서 이를 목적으로 하는 시스템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개인의 핸드폰, PDA 등의 개인 정보 단말기를 사용하여야만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상의 사항들을 고려하여 오프라인 구매 과정에서 구매자가 별도의 정보화 기기를 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쇼핑몰에 설치되는 형태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개인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비주얼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제안된 시스템을 통해 구매 고객이 자신에게 필요한 쇼핑 정보를 쉽게 기록, 확인할 수 있게 하여 구매 시간 동안 보다 상품 자체를 느끼며, 조사하는 데에 몰두하면서 합리적이고 감성적인 구매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오프라인 쇼핑 상황 하에서 구매자들이 최대한 기존의 오프라인 쇼핑 경험을 침해 받지 않도록 하면서, 구매자 별로 다르게 개인화된 디스플레이를 보여줌으로써 구매자들이 보다 편리하고 즐겁게 쇼핑 과정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는 비주얼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제시한다.
제안된 비주얼 인터페이스 시스템은 매장에 대형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기본적인 쇼윈도 및 상품진열대의 전시 기능에 더하여 구매고객과 상호작용하여 개인화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대형 디스플레이를 터치 인터페이스로 조작하는 기술, RFID 등의 사용자 인식기술, 쇼핑을 도와주는 개인화 정보를 관리하는 기술, 대형디스플레이에 구매 관련 개인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는 인터페이스 기술 및 실물 상품을 관심 물품으로 등록하는 인터페이스 기술 등의 기존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기존 기술을 통합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정보화 기기 없이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개인화 기능을 갖는 비주얼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제안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안된 비주얼 인터페이스 시스템은 터치 인터페이스 등의 사용자 입력 장치와 연계된 1개 이상의 디지털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이 디스플레이는 쇼핑몰 매장에 전시되어 고객에게 상품 및 상품에 관련된 정보, 구매 고객 개인정보를 표시하는 디지털 쇼윈도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개별 구매자들에 따라 다르게 맞춤화/개인화되어 시스템을 사용중인 사용자에 따라 다른 상품 및 개인 정보가 표시된다. 여기서, 구매자들에 따라 개인화된 상품 및 개인 정보는 구매자에 따라 달리 추천되는 상품을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통해 전시하는 것과 구매자의 구매 활동에 관련된 상품 정보를 포함한다. 구매 활동에 관련된 상품 정보는 구매자가 쇼핑 과정 동안 구매를 고려하고 있는 구매 후보 상품 목록, 향후 구매를 다시 고려하기 위한 관심 상품 목록 및 과거 구매했던 상품 이력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또한 상기한 개인화된 상품 및 개인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쇼핑 정보 관리시스템과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원을 인식할 수 있는 사용자 인식장치와 사용자가 자신이 쇼핑을 하러 온 주된 목적이 되는 구매희망상품을 등록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제안된 시스템은 만약 쇼핑의 대상 상품이 의류인 경우 사용자가 옷을 시험 착용해 본 모습을 사진으로 찍어두었다가 이후 조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피팅룸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인터랙티브 비주얼 인터페이스 시스템은 기존의 오프라인 쇼핑 상황에서 개별적인 구매자에 따라 다르게 상품을 전시하고 제시/추천할 수 없었던 한계를 깨고, 제품 전시 및 정보 단말기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디지털 미디어 쇼윈도 시스템이다.
오프라인 쇼핑은 온라인 쇼핑과 같은 편리함과 효율성은 떨어지지만 상품을 직접 눈으로 보고 만지며 느껴볼 수 있는 감각, 감성적인 면에서 큰 강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정보화 기능이 추가된다면 구매 과정의 실용적인 면을 보완하면서 더욱 풍부한 쇼핑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기존의 오프라인 쇼핑몰의 상품 전시 방법은 구매자 별로 다른 상품을 보여줄 수 없기 때문에 전체 구매자를 대상으로 상품을 전시할 수밖에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디지털 미디어 쇼윈도 시스템은 구매자 별로 다른 상품을 전시/제시함으로써 쇼핑몰의 제한된 전시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효과가 있다. 구매자의 프로파일, 구매성향 또는 과거 구매이력 분석을 통해 맞춤화된 상품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구매자가 구입할 가능성이 높은 상품 위주로 전시함으로써 더 높은 구매 성사율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의 입장에서는, 기존의 쇼핑몰의 전시 상품의 경우 구매당사자의 관심과 일치할 가능성이 낮아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찾기 위해서는 상점을 일일이 방문하여 상품을 찾거나 직원에게 문의를 하는 등 필요 이상의 노력이 필요하였던 단점을 보완해 주는 효과를 가져온다. 제안된 시스템은 구매자의 쇼핑활동에 관련된 정보, 예를 들면 구매자의 과거 구매상품이나 구매 고려 중인 상품 향후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 등을 표시하여 주는 기능을 갖는다. 이는 구매 과정에서의 구매자가 상품에 대한 정보를 처리해야 하는 인지적 부담을 줄여줌으로써, 상품 자체를 오감으로 느끼면서 검토하는 오프라인 쇼핑몰만의 감성적인 쇼핑 경험에 보다 더 몰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1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인터랙티브 비주얼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설치 개념도이고,
도2는 제안된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3은 구매자가 희망상품 등록 후 쇼핑을 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상세한 설명이다.
도1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구매자에 따라 개인화된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랙티브 비주얼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설치 개념도이다. 이 시스템은 쇼핑몰에서 쇼윈도 혹은 상품진열대를 통해 상품 전시를 하는 방법을 대신하여 대형 디스플레이를 상점에 설치함으로써 이를 통해 상품을 전시하는 동시에 구매자에게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1에서는 의류 상점의 예를 들어 마네킹이 전시된 기존의 쇼윈도 공간에 대형 디스플레이를 설치하고 동영상으로 제작된 디지털 영상이 마네킹을 대신하여 상품을 전시하는 방법을 표시하였다. 본 발명은 상품을 전시하는 쇼윈도 공간에 배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매장 내의 공간에 어떤 형태로든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장 내의 상품진열대 공간의 일부로 설치되거나, 매장 벽, 천장, 바닥 등 상품진열과 상관 없는 인테리어 요소로써 설치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쇼핑몰에 설치되어 고객 개개인의 개인정보와 쇼핑에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고, 고객에 따라 개인화되어 제시되는 상품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제시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주얼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은 대표적으로 디지털쇼윈도라고 칭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200)을 포함한다. 디지털쇼윈도는 다시 1개 이상의 디지털 디스플레이(210)과 사용자 입력장치(220)를 포함한다. 1개 이상의 디지털 디스플레이(210)는 PDP, LCD 등의 평판 패널 디스플레이, 혹은 스크린과 프로젝터를 함께 사용하는 방식의 디스플레이이거나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디지털 디스플레이(210)는 쇼핑정보 관리시스템(300)와 연결되어 관리시스템에서 송출하는 상품 및 고객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사용자 입력장치(220)는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100)가 스크린 앞에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 장치이다. 여기에는 스크린을 터치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는 터치 인식 장치, 스크린 내에서 커서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마우스 혹은 그와 유사한 좌표 입력 장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장치(220)는 사용자(100)의 입력값을 쇼핑정보 관리시스템(300)에 전달하고, 쇼핑정보 관리시스템(300)은 그에 대한 적절한 처리를 수행한 후, 그 결과를 디지털 디스플레이(210)에 송출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쇼핑 정보 관리시스템(300)은 일반적인 PC 기반의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으며, 또한 이 시스템은 복수의 PC로 이루어진 분산형 시스템인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인식장치(400)은 사용자의 신원을 파악할 수 있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 신원을 파악하는 것은 다양한 방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100)가 소지한 RFID 태그(120)을 인식할 수 있는 RFID 리더기이거나 사용자 자신(110)의 생체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지문인식 장치, 홍채인식장치, 혈관인식 장치 등의 생체정보 인식 장치이거나, 사용자 자신(110)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는 비디오카메라 및 얼굴인식 S/W를 포함하는 얼굴인식 시스템이거나,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멤버쉽 카드를 인식하는 카드 리더기일 수 있다. 기타 여기에서 열거되지 않았으나 사용자(100)를 다른 사용자와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어떠한 기술적 장치도 사용자 인식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
사용자 인식장치(400)가 디지털 쇼윈도 앞에 있는 사용자(100)의 신원을 인식하게 되면 그 결과를 쇼핑정보 관리시스템(300)으로 전송하여 해당 고객에 대한 특정한 정보를 디지털 디스플레이(210)에 송출하여 표시하게 된다. 여기에서 고객에 대한 특정 정보에는 해당 쇼핑몰이 해당 고객에게 구매를 유도하기 위해 제시하고자 하는 추천 상품 목록이 포함된다. 이러한 추천 상품은 쇼핑몰이 가지고 있는 고객에 대한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결정되어 보여지게 된다. 이러한 개인정보에는 나이, 성별, 수입규모, 사는 곳, 인종 등 인구통계학적인 정보와 고객의 과거 구매이력, 구매고려 상품 목록 등 구매행동으로부터 추출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고객에 대한 특정한 정보에는, 고객이 해당 쇼핑몰로부터 과거에 상품을 구매했던 구매상품 이력, 향후 구매를 고려 중인 관심상품 목록, 해당일에 조회해 본 상품인 오늘 본 상품목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특정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쇼핑몰에 방문하여 구매 후보가 될 수 있는 여러 개의 상품을 여러 상점에서 조사한 후, 제안된 시스템을 사용하여 한 자리에서 구매 후보가 되는 상품을 비교해 볼 수 있다. 만약 당일에 구매를 결정하지 못한다면 구매를 고려 중인 상품을 관심상품 목록에 넣어둔 후, 향후 쇼핑몰에 다시 오게 될 때 조회해 볼 수 있다. 상품의 구매가 이루어지면 구매상품 이력이 갱신되어 향후의 쇼핑과정에서 참조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신원이 인식되지 않은 상태에서 보여지는 정보는 인기상품 정보, 추천상품 정보, 일반적인 광고 등 불특정다수의 일반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쇼핑몰에서의 판매자(600)는 쇼핑정보 관리시스템(300)을 직접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판매자(600)할 수 있는 조작에는 특정한 고객에게 판매를 권유하기 위해 제시하고자 하는 추천상품 등록과 관리, 고객의 쇼핑관련 정보에 특정 상품을 추가/삭제하는 등의 고객 관련 정보 관리가 포함된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판매자(600)은 사용자(100)에게 표시되는 정보들을 조율하고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시스템은 사용자(100)가 쇼핑과정에서 구매 목표임과 동시에 쇼핑몰로부터 추천을 받고 싶은 상품을 등록하기 위한 희망상품 등록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장치가 희망상품 등록장치(500)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휴대전화가 희망상품 등록장치(500)가 되는 경우, 단문 메시지로 구매희망 상품을 기록하여 쇼핑몰에 등록된 전화번호로 보내어 시스템이 고객의 희망구매 상품을 인식하도록 하거나, 모바일인터넷을 통해 쇼핑몰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희망구매 상품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쇼핑몰에 설치된 단말기 혹은 키오스크가 희망상품 등록장치(500)가 되는 경우 이를 통해 직접 희망상품을 시스템에 등록하거나 쇼핑몰의 직원에게 희망상품을 통지함으로써 직원이 대리로 희망상품을 시스템에 등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100)가 특별히 희망상품 등록장치(500)을 통해 쇼핑의 주요 목적이 되는 상품 종류를 입력하면, 쇼핑정보 관리시스템(300)이 그에 알맞은 상품을 자동으로 찾아 디스플레이(210)을 통해 사용자(100)에게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개인맞춤 상품 추천 과정은 판매자(600)가 직접 개입함으로써 자동으로 추천하는 경우보다 더 세밀하게 추천상품을 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100)가 희망상품 등록장치(500)을 통해 구매 희망상품을 등록하면 쇼핑정보 관리시스템(300)이 이 정보를 쇼핑몰 판매자(600)에게 전송하고, 판매자(600)는 희망상품을 감안하여 적절한 추천상품을 쇼핑정보 관리시스템(300)에 직접 등록하여 그 내용이 디지털 디스플레이(210)을 통해 사용자(100)에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매자가 희망상품 등록 후 쇼핑을 하는 과정에서 개인화 추천 상품을 표시하는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구매자가 희망상품을 등록하며 쇼핑을 하는 과정은 희망 상품을 입력하는 단계(S11)에서 시작한다. 이 과정은 구매자가 희망상품 등록장치(500)을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단계(S12)에서 구매자의 희망상품은 제안된 시스템에 입력된다. 단계(S13)에서는 등록된 희망상품에 기반하여 개인화 추천상품이 선택된다. 이 과정은 쇼핑정보 관리시스템(300)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판매자(600)가 확인하고 수동으로 추천상품을 선택할 수도 있다. 단계(S14)에서 구매자의 쇼핑이 시작되며, 단계(S15)에서 시스템의 사용자 인식장치(400)가 구매자를 인식하였는지 판단한다. 사용자가 인식되지 않았으면 단계(S16)에서 불특정 다수에게 보여지는 일반상품이 디지털 디스플레이(210)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인식된 경우에는 단계(S17)에서 해당 사용자에게 맞는 개인화 추천상품이 표시된다. 이상의 과정은 단계(S18)에서 구매자의 쇼핑이 종료되는 것을 판단할 때까지 반복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시스템이 적용되는 판매 분야가 의류나 잡화 등의 착용이 가능한 제품 분야인 경우 피팅룸 카메라(700)가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피팅룸 카메라(700)는 피팅룸 혹은 그에 상응하는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100)가 제품을 시험착용해 본 모습을 영상으로 촬영한다. 촬영된 영상 정보는 쇼핑정보 관리시스템(300)으로 전송되어 저장되고, 이후 사용자(100)가 사용자 입력장치(220)을 통해 요청하는 경우 디지털 디스플레이(210)을 통해 조회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조회 과정에서 사용자는 쇼핑몰 내의 여러 상점에서 시험착용해 본 상품의 목록과 상세정보를 한자리에서 조회해 봄으로써 구매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Claims (6)

  1. 오프라인 쇼핑몰에서 구매자의 신원을 식별하는 사용자 인식장치 및 구매자 정보와 상품정보 등의 쇼핑관련 정보를 관리하는 쇼핑정보 관리시스템 및 이러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1개 이상의 디지털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입력장치를 포함하며, 구매자가 인식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일반적인 상품 및 쇼핑 정보를 보여주다가 구매자의 신원이 인식되면 구매자에 따라 다르게 맞춤화/개인화된 상품 및 쇼핑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비주얼 인터페이스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구매자에 따라 다르게 맞춤화/개인화된 상품 및 쇼핑 정보는 그날의 쇼핑 활동 중에 검토한 상품 목록인 오늘 본 상품 목록, 미리 구매를 계획으로 하는 구매희망 상품정보, 구매자의 과거 구매이력, 향후 구매를 고려 중인 상품목록인 관심상품 목록을 포함하며, 또한 구매자의 프로필, 구매 이력 혹은 구매 희망상품 등 구매자의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되는 추천상품 목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비주얼 인터페이스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 인식장치는 구매자가 지닌 RFID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RFID 리더이거나, 구매자의 홍채, 지문, 혈관 등 생체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이거나, 구매자가 지닌 멤버쉽 카드를 인식할 수 있는 카드 리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비주얼 인터페이스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희망상품 등록장치를 더 포함하며, 구매자가 이 장치를 통해 쇼핑 전에 미리 구매를 희망하는 상품을 등록하면, 그 내용에 따라 쇼핑정보 관리시스템이 적절한 상품을 선별하여 복수의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비주얼 인터페이스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피팅룸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구매의 대상이 되는 상품이 의류, 잡화 등 시험착용이 가능한 상품인 경우 구매자가 해당 상품을 시험착용한 모습을 카메라로 촬영하고, 이 정보를 쇼핑정보 관리시스템에 저장한 후, 구매자가 복수의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통해 그 내용을 열람해 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비주얼 인터페이스 시스템
  6. 오프라인 쇼핑몰에서, 구매자가 희망 상품을 입력하는 단계, 이 내용을 쇼핑정보 관리시스템에 등록하는 단계, 개인화 추천상품을 선택하는 단계, 사용자가 인식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가 인식되지 않았으면 일반상품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인식되면 개인화 추천상품을 디지털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화 추천상품 표시방법
KR1020100003771A 2010-01-15 2010-01-15 오프라인 쇼핑 과정에서 구매자에 따라 개인화된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랙티브 비주얼 인터페이스 시스템 KR201100838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771A KR20110083831A (ko) 2010-01-15 2010-01-15 오프라인 쇼핑 과정에서 구매자에 따라 개인화된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랙티브 비주얼 인터페이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771A KR20110083831A (ko) 2010-01-15 2010-01-15 오프라인 쇼핑 과정에서 구매자에 따라 개인화된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랙티브 비주얼 인터페이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831A true KR20110083831A (ko) 2011-07-21

Family

ID=44921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771A KR20110083831A (ko) 2010-01-15 2010-01-15 오프라인 쇼핑 과정에서 구매자에 따라 개인화된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랙티브 비주얼 인터페이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3831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6216A (ko) * 2012-08-22 2015-04-29 이베이 인크. 로컬 숍 내에서 관심 아이템의 탐지
KR20160008254A (ko) 2014-07-07 2016-01-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서버와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WO2017030255A1 (en) * 2015-08-18 2017-0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Large format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805131B2 (en) 2014-03-13 2017-10-31 Ebay Inc. Wear time as metric of buying intent
KR20210002245A (ko) * 2019-06-28 2021-01-07 김병순 타겟 정보 제공기능을 갖는 스마트 클리닝 부스 및 출입자 청결관리방법
CN112347807A (zh) * 2019-08-06 2021-02-09 汉朔科技股份有限公司 物品信息展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10099330A (ko) * 2020-02-04 2021-08-12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ai기반 사용자 몰입형 스트리밍 플랫폼
US11978105B2 (en) 2018-04-04 2024-05-07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lothing item information for try-on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6216A (ko) * 2012-08-22 2015-04-29 이베이 인크. 로컬 숍 내에서 관심 아이템의 탐지
US11151629B2 (en) 2012-08-22 2021-10-19 Ebay Inc. Detecting items of interest within local shops
US10664543B2 (en) 2014-03-13 2020-05-26 Ebay Inc. System, method, and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for providing a customized fitting room environment
US10706117B2 (en) 2014-03-13 2020-07-07 Ebay Inc. System, method, and medium for utilizing wear time to recommend items
US9910927B2 (en) 2014-03-13 2018-03-06 Ebay Inc. Interactive mirror displays for presenting product recommendations
US9990438B2 (en) 2014-03-13 2018-06-05 Ebay Inc. Customized fitting room environment
US10083243B2 (en) 2014-03-13 2018-09-25 Ebay Inc. Interactive mirror displays for presenting product information
KR20180107300A (ko) * 2014-03-13 2018-10-01 이베이 인크. 사용자 관심에 기초한 대화형 디스플레이
US10311161B2 (en) 2014-03-13 2019-06-04 Ebay Inc. Interactive displays based on user interest
US10366174B2 (en) 2014-03-13 2019-07-30 Ebay Inc. Social fitting room experience utilizing interactive mirror and polling of target users experienced with garment type
US11544341B2 (en) 2014-03-13 2023-01-03 Ebay Inc. Social shopping experience utilizing interactive mirror and polling of target audience members identified by a relationship with product information about an item being worn by a user
US9805131B2 (en) 2014-03-13 2017-10-31 Ebay Inc. Wear time as metric of buying intent
KR20200104941A (ko) * 2014-03-13 2020-09-04 이베이 인크. 사용자 관심에 기초한 대화형 디스플레이
US11188606B2 (en) 2014-03-13 2021-11-30 Ebay Inc. Interactive displays based on user interest
KR20160008254A (ko) 2014-07-07 2016-01-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서버와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11061533B2 (en) 2015-08-18 2021-07-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Large format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7030255A1 (en) * 2015-08-18 2017-0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Large format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978105B2 (en) 2018-04-04 2024-05-07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lothing item information for try-on
KR20210002245A (ko) * 2019-06-28 2021-01-07 김병순 타겟 정보 제공기능을 갖는 스마트 클리닝 부스 및 출입자 청결관리방법
CN112347807A (zh) * 2019-08-06 2021-02-09 汉朔科技股份有限公司 物品信息展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10099330A (ko) * 2020-02-04 2021-08-12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술작품 빅데이터를 활용한 ai기반 사용자 몰입형 스트리밍 플랫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33157A1 (en) Techniques for providing retail customers a seamless, individualized discovery and shopping experience between online and physical retail locations
US11847689B2 (en) Dynamic customer checkout experience within an automated shopping environment
US10977701B2 (en) Techniques for providing retail customers a seamless, individualized discovery and shopping experience between online and brick and mortar retail locations
US20140363059A1 (en) Retail customer service interaction system and method
US9811840B2 (en) Consumer interface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in-store navigation
KR20110083831A (ko) 오프라인 쇼핑 과정에서 구매자에 따라 개인화된 상품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랙티브 비주얼 인터페이스 시스템
US20100265311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a smart fixture
US20130117153A1 (en) Fully interactive, wireless, retail video display tag, integrated with content distribution, data management, feedback data collection, inventory and product price search capabilities
US202000199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ynamic product offerings
US20150307279A1 (en) Retail automation platform
US20150134429A1 (en) Wireless identifier device enabled interactive consumer experience
JP2005115843A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サーバ、端末装置及びサービス提供方法
JP2018005692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18005691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CA2935031A1 (en) Techniques for providing retail customers a seamless, individualized discovery and shopping experience
JP2006293576A (ja) 営業店システム
JP6399986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
JP2020077342A (ja) 自動物品提供システム及び自動物品提供方法
KR20120057668A (ko) 오프라인 쇼핑몰에서 고객들 간의 커뮤니케이션 지원시스템 및 방법
US9978073B2 (en) System and method of advertising and marketing
Pratas et al. Smart retailing technologies impact in brand leadership and market performance: A conceptual model
JP2019101578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50310692A1 (en) Retail automation platform
JP4325427B2 (ja) 営業店システム
JP2006048517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端末、および情報管理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