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3782A - 보행보조형 클랜작식 카본 단하지 보조기 - Google Patents

보행보조형 클랜작식 카본 단하지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3782A
KR20110083782A KR1020100003688A KR20100003688A KR20110083782A KR 20110083782 A KR20110083782 A KR 20110083782A KR 1020100003688 A KR1020100003688 A KR 1020100003688A KR 20100003688 A KR20100003688 A KR 20100003688A KR 20110083782 A KR20110083782 A KR 20110083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carbon
support
brace
an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웅범
Original Assignee
김웅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웅범 filed Critical 김웅범
Priority to KR1020100003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3782A/ko
Publication of KR20110083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7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feet or ank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5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with knee, leg or stump re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지마비 환자들의 족하수 및 발끌림 현상을 막아주고 능동적인 발목관절의 움직임을 형성시켜주는 단하지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단하지 보조기 후방지지부와 발지지부에 카본섬유로 구성된 카본지지대와 카본보강재로 보강해 줌으로써 강한 내구성으로 부피를 최소화하고 강한 탄성력으로 보행 시 족관절의 굴곡과 신전을 자연스럽게 형성시켜 주어 정상보행을 가능하게 하는 보행보조형 카본 단하지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천적 장애 및 후천적 사고로 인한 신경손상으로 슬관절 이하의 근육이 마비되거나 손상된 장애인들은 족관절의 배굴과 저굴이 자유롭지 못하여 보행 시 발목이 떨어지고 발이 끌리는 현상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하지마비 장애인은, 발끌림을 방지해 주고 발목의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는 발목 관절 보조기를 장착하고 보행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보조기들은 단지 발끌림 방지만을 목적으로 하며, 플라스틱(polypropylene)만으로 제작되어 지기 때문에 내구성 문제로 인해 부피가 커지고, 발목관절의 움직임을 위해서 측면에 관절이 들어가는 경우, 각도가 제한된 단순한 움직임만을 허용하기 때문에 보행시 발목의 배굴과 저굴의 근육의 기능을 제공하지 못한다.
즉, 상기와 같은 보조기들은 발목이 떨어지는 환자의 특성상 측면에 관절이 들어갔다 하더라도 90도 이상으로 발목이 저굴되는 것을 제한하기 때문에 초기 입각기시 발바닥으로 접지를 하거나 발뒤꿈치접지부터 발바닥 접지까지의 시간이 매우 짧아져 보행 속도 및 보폭 등이 줄어들고, 말기 입각기시 발을 지면에서 차주는 추진력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보조기들은 플라스틱(polypropylene)의 내구성 및 탄성력의 한계로 인해 부피가 크게 제작되어지기 때문에 환자가 보조기에 의존하게 되는 의존율이 높아지고, 보조기에 대한 거부감 또한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행 시 족하수 및 발끌림을 방지하며, 보조기의 의존율을 낮추고, 입각기시 족관절의 자연스러운 배굴과 저굴의 움직임을 만들어주는 근육의 기능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보행보조형 클랜작식 카본 단하지 보조기 {Klenjak Type Carbon Ankle Foot Orthosis}
본 발명은 하지마비 환자들의 족하수 및 발끌림 현상을 막아주고 발의 변형을 교정해주는 보행 보조형 카본 단하지 보조기의 관한 것으로, 보행 시 보조기의 후방과 바닥에 카본지지대와 카본보강재의 영향으로 강한 내구성 및 탄성력을 제공하여 불필요한 부피를 최소화 하고, 보행시 저굴과 배굴의 단순한 움직임이 아닌 근육의 기능을 형성시켜주며, 발 안창이 교정 안창의 형태로 되어있어 발의 변형을 잡아주는 보행보조형 카본 단하지 보조기의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아마비, 희귀 근육병, 선천적 뇌변병 장애등과 같은 선천적 장애와 후천척 사고로 인한 하지마비 환자들은 발목이 발아래로 힘없이 떨어지는 족하수의 보행을 하게 되기 때문에 보행 시 발이 지면에 끌리는 발끌림의 현상이 일어날 뿐 아니라, 보행 시 필요한 저굴과 배굴의 기능을 돕는 근육이 일부 또는 완전히 소실되어 추진력 있는 보행을 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하지마비 장애인은, 발끌림을 방지해 주고 발목의 일정한 각도를 유지 제한하는 발목 관절 보조기를 장착하고 보행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보조기들은 단지 발끌림 방지만을 목적으로 하며, 플라스틱(polypropylene)으로 제작되어 지기 때문에 내구성 문제로 인해 부피가 커지고 측면에 관절이 들어가는 보조기도 있지만 이러한 보조기에 경우 각도가 제한된 단순한 움직임만을 주기 때문에 보행 시 발목의 배굴과 저굴의 근육의 기능을 제공하지 못한다.
즉, 정상보행은 초기 입각기시 발뒤꿈치 접지를 할 때, 족관절의 배굴근이 서서히 발목을 저굴시키며 발바닥 접지로 진행을 하여, 초기 입각기시 충격을 흡수하고, 발바닥 접지 후 배굴근의 수축작용으로 앞으로 하지가 진행할 수 있도록 해주며, 말기 입각기시에 족관절의 저굴근의 수축작용으로 발을 앞으로 차주는 추진력 등의 작용이 필요하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보조기들은 환자의 특성상 90도로 발목을 고정하거나 90도 이상 발목이 저굴되는 것을 제한하는 관절을 사용하기 때문에 초기 입각기시 충격을 흡수 하지 못해 발바닥으로 접지를 하거나, 발뒤꿈치접지를 하더라도 이후에 진행되어지는 발바닥 접지까지의 시간이 매우 짧아져 보행 속도 및 보폭 등이 줄어들고, 말기 입각기시 발을 지면에서 차주는 추진력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보조기들은 플라스틱(polypropylene)의 내구성 및 탄성력의 한계로 인해 부피가 크게 제작되어지기 때문에 환자가 보조기에 의존하게 되는 의존율이 높아지고, 보조기에 대한 거부감 또한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하지 마비 환자들의 발끌림을 방지하며 초기 입각기시 충격흡수 및 족관절 배굴근에 의한 부드러운 저굴의 움직임과 말기 입각기시 배굴된 발목을 저굴시키며 앞으로 나아가는 추진력을 제공하여 부드러운 족관절의 움직임 및 근육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보조기의 내구성에 의한 문제와 측면 관절로 인해 부피가 크게 제작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보조기의 변형의 방지와 부피를 줄여 보조기에 대한 거부감과 의존율을 줄여주는 보행보조형 클랜작식 카본 단하지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해결수단으로서,
보조기의 전방부의 개방 및 족관절의 복숭아뼈부터 장단지지지부의 하면까지의 측면부를 개방하였으며, 하퇴부의 장단지지지부와 하퇴부 후방으로 길게 내려오는 후방지지부, 발을 감싸주고 보호하며 바닥이 교정안창의 형태로 성형되어 발을 지지하는 발지지부로 이루어진 보조기에 카본지지대가 보조기의 후방지지부와 결합하며, 카본보강재 역시 보조기의 발지지부에 결합됨과 동시에 카본 지지대와 함께 후방지지부에 같이 결합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후방지지부(20)에 결합대는 카본지지대(21)의 탄성에너지에 의해 보행 시 족관절에서 일어나는 자연스러운 굴곡의 움직임을 제공하며 그 탄성에너지의 복원력으로 추진력을 제공함으로써 하퇴부 근육의 움직임을 도와주는 특징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카본지지대(21)와 함께 발지지부(30)에 카본보강재(31)가 결합되어 강한 내구성으로 변형을 막아주어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서 보조기의 거부감과 의존율을 낮추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행보조형 클랜작식 카본 단하지 보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행보조형 클랜작식 카본 단하지 보조기의 결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행보조형 클랜작식 카본 단하지 보조기의 사용상태도
도 4는 종래의 시중에 나와 있는 단하지 보조기의 모습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행보조형 클랜작식 카본 단하지 보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행보조형 클랜작식 카본 단하지 보조기의 분해 및 결합상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행보조형 클랜작식 카본 단하지 보조기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종래의 단하지 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행보조형 클랜작식 카본 단하지 보조기는 전방부의 개방 및 족관절의 복숭아뼈부터 장딴지지지부의 하면까지의 측면부를 개방하였으며 하퇴부의 장단지 지지부와 하퇴부 후방으로 길게 내려오는 후방지지부(20), 발을 감싸주고 보호하며 바닥이 교정안창의 형태로 성형되어 발을 지지하는 발지지부(30)로 이루어진 보조기에 카본지지대(21)가 보조기의 후방지지부(20)에 결합되고, 카본보강재(31)는 발지지부(30)에 결합됨과 동시에 후방지지부(20) 아래 부분에 카본지지대(21)와 함께 결합되어 짐을 구성으로 하고 있는 보행보조형 클랜작식 카본 단하지 보조기인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후방지지부(20)에 결합되어져 있는 카본지지대(21)는 강한 내구성 및 뛰어난 탄성력을 제공하며 하중에 의해 굴곡되어 지고, 초기 입각기시 발뒤꿈치부터 서서히 발이 족저 굴곡 하며 발바닥 접지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배굴근의 역할을 하며, 하중에 의해 구부러진 카본지지대(21)의 탄성에너지 복원력으로 장단지를 밀어 주는 추진력을 제공해주며, 중간 입각기 즉 발목의 각도가 90도를 이루는 시점을 지나 하중에 의해 발목이 서서히 굴곡되는 시점에서 배굴을 허용함과 동시에 카본지지대(21)의 탄성에너지 복원력으로 발을 지면에서 차주어 보행의 추진력을 제공하는 저굴근의 역할을 제공함으로 자연스러운 보행의 움직임을 제공한다.
그리고 여기서 발지지부(30)와 카본지지대(21)에 같이 결합되어지는 카본보강재(31)는 레진 액 작업을 통하여 단단하게 경화되어 결합되어지며, 보행 시 보조기의 굴곡이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발지지부(30)에서의 변형을 막아주어 후방지지대(20)에 결합되어져 있는 카본지지대(21)에서 온전히 굴곡 될 수 있도록 한다.
10: 장단지지지부 20: 하퇴지지부
21: 카본지지대 30: 발지지부
31: 카본보강재

Claims (2)

  1. 보행보조형 클랜작식 카본 단하지 보조기에 있어서 전방부의 개방 및 족관절의 복숭아뼈부터 장단지 지지부의 하면 까지의 측면부를 개방하였으며 하퇴부의 장단지지지부와 하퇴부 후방으로 길게 내려오는 후방지지부, 발을 감싸주고 보호하며 바닥이 교정안창의 형태로 성형되어 발을 지지하는 발지지부로 이루어진 보조기에 카본지지대가 보조기의 후방지지부와 결합하며, 카본보강재 역시 보조기의 발지지부에 결합됨과 동시에 카본 지지대와 함께 후방지지부에 같이 결합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형 클랜작식 카본 단하지 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후방 지지대 부분에 카본지지대를 결합하고 발지지부 부분에 카본보강재가 결합 되는 특징을 갖는 보행보조형 클랜작식 카본 단하지 보조기.
KR1020100003688A 2010-01-15 2010-01-15 보행보조형 클랜작식 카본 단하지 보조기 KR201100837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688A KR20110083782A (ko) 2010-01-15 2010-01-15 보행보조형 클랜작식 카본 단하지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688A KR20110083782A (ko) 2010-01-15 2010-01-15 보행보조형 클랜작식 카본 단하지 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782A true KR20110083782A (ko) 2011-07-21

Family

ID=44921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688A KR20110083782A (ko) 2010-01-15 2010-01-15 보행보조형 클랜작식 카본 단하지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3782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374B1 (ko) * 2013-02-18 2014-11-07 박인식 발목관절보조기
KR101682450B1 (ko) 2015-07-14 2016-12-05 (주)세아메카닉스 발목관절 보조기
CN110179634A (zh) * 2018-02-22 2019-08-30 Lg电子株式会社 包括自由踝移动的足支撑件的可穿戴辅助装置
KR20190106182A (ko) 2018-03-08 2019-09-18 황보숙 능동형 발목관절 보조기
KR20190141501A (ko) 2018-06-14 2019-12-24 오르텍주식회사 단하지 보조기
US10675161B2 (en) 2015-12-15 2020-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Joint assembly and motion assistanc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10068716A (ko) 2019-12-02 2021-06-10 오르텍주식회사 하지 보조기의 관절 조절장치
KR20210068718A (ko) 2019-12-02 2021-06-10 오르텍주식회사 하지 보조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374B1 (ko) * 2013-02-18 2014-11-07 박인식 발목관절보조기
KR101682450B1 (ko) 2015-07-14 2016-12-05 (주)세아메카닉스 발목관절 보조기
US10675161B2 (en) 2015-12-15 2020-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Joint assembly and motion assistanc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10179634A (zh) * 2018-02-22 2019-08-30 Lg电子株式会社 包括自由踝移动的足支撑件的可穿戴辅助装置
KR20190106182A (ko) 2018-03-08 2019-09-18 황보숙 능동형 발목관절 보조기
KR20190141501A (ko) 2018-06-14 2019-12-24 오르텍주식회사 단하지 보조기
KR20210068716A (ko) 2019-12-02 2021-06-10 오르텍주식회사 하지 보조기의 관절 조절장치
KR20210068718A (ko) 2019-12-02 2021-06-10 오르텍주식회사 하지 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3782A (ko) 보행보조형 클랜작식 카본 단하지 보조기
US8323224B2 (en) Ankle foot orthosis
US11850177B2 (en) Ankle/foot orthosis
US9839568B2 (en) Swing walker
RU2653687C2 (ru) Ортопед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ижней конечности человека и обувь и протез, снабженные таким устройством
US8529484B2 (en) Orthotic foot brace
US20110009982A1 (en) Spring orthotic device
US7819832B2 (en) Ankle foot orthotic
US8221341B1 (en) Adjustable response ankle foot orthotic
JP2008125534A (ja) 装具
CN108720975B (zh) 一种用于矫正足内翻的行走外骨骼
CN104905900A (zh) 一种矫正康复鞋
CN110215011B (zh) 矫正功能性扁平足的仿赤足鞋
EP2896389A1 (en) Support orthose system
JP6595965B2 (ja) 歩行支援装具
US11045381B2 (en) Augmenting human motion
US4674201A (en) Foot support
GB2458741A (en) Curved sole having three pivot points
KR200202448Y1 (ko) 저굴 내반족 보조기
CN204734585U (zh) 一种矫正康复鞋
CN211187685U (zh) 一种后连接式轻便型踝足矫形器
CN110300643A (zh) 外骨骼子组件和包括这种子组件的外骨骼结构
CN216019414U (zh) 一种跟腱助力保护鞋
JP2015136378A (ja) 歩行補助具およびそれを備えた靴
KR100984270B1 (ko) 전방이나 내측 또는 외측이 무거운 셀프워킹형 다이어트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