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448Y1 - 저굴 내반족 보조기 - Google Patents

저굴 내반족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448Y1
KR200202448Y1 KR2019980007840U KR19980007840U KR200202448Y1 KR 200202448 Y1 KR200202448 Y1 KR 200202448Y1 KR 2019980007840 U KR2019980007840 U KR 2019980007840U KR 19980007840 U KR19980007840 U KR 19980007840U KR 200202448 Y1 KR200202448 Y1 KR 2002024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and
band portion
foot
ring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78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1097U (ko
Inventor
치 도 성
Original Assignee
치 도 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 도 성 filed Critical 치 도 성
Priority to KR20199800078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448Y1/ko
Publication of KR199900410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0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4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448Y1/ko

Link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굴 내반족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하퇴부의 슬관절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일단에 체결고리와 결합고리가 리베팅 또는 봉착되게 설치되는 제 1고정밴드부와; 발의 중족골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일단에 체결고리와 걸고리가 리베팅 또는 봉착되게 설치되는 제 2고정밴드부와; 상기 제 1고정밴드부와 제 2고정밴드부는 상측이 상기 제 1고정밴드부의 결합고리에 결합되어 지고, 하측은 상기 제 2고정밴드부의 걸고리에 체결될 수 있도록 고정고리와 조절고리가 설치된 탄력밴드부로 연결되는 저골 내반족 보조기를 제공하므로서, 뇌성마비 또는 슬내번증(일명 O다리) 및 뇌졸중 환자들에서 발목의 밑 부분이 굽어 발바닥이 내측으로 휘어지는 저굴 내반족 현상을 경량의 재질로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착용이 용이하도록 구성하여 보행시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교정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정상보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저굴 내반족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굴 내반족 보조기(An assistant of equinus drop foot).
본 고안은 저굴 내반족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뇌성마비 또는 슬내번증(일명 O다리) 및 뇌졸중 환자들에서 발목의 밑 부분이 굽어 발바닥이 내측으로 휘어지는 저굴 내반족(Equinus Drop Foot) 현상을 경량의 재질로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착용이 용이하도록 구성하여 보행시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교정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정상보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저굴 내반족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뇌성마비나 슬내번증 또는 뇌졸중 환자들에게는 무릎 이하의 슬관절(knee joint) 하퇴부에서 발생되는 저굴 내반족(Equinus Drop Foot)이라는 다시말해서, 발목 밑부분이 굽어 발바닥이 내측으로 휘어지는 현상으로 인하여 발뒤꿈치에서 발바닥으로 발바닥에서 발끝으로 이어지는 정상적인 보행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말절골(distal phalanx) 부분인 발끝 부분이 지면으로 먼저 닿거나 끌리면서 보행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저굴 내반족 현상은 하퇴부의 뒷부분과 발바닥의 후퇴삼두근(triceps surae), 후경골근(tibialis posterior), 장비골근(peroneus longus) 및 상지골근(flexor digitorum longus) 등으로 이루어지는 저골(plantarflexion)근군에 비해서 하퇴부의 앞부분과 발등의 전경골근(tibialis anterior), 장지신근(extensor digitorum longus) 및 장모지신근(extensor) 등으로 이루어지는 배굴(dorsiflexion)근군이 약할 경우와, 또는 하퇴부의 내측 부분인 후경골근(tibialis posterior), 하퇴삼두근(triceps surae) 등으로 이루어지는 내반(inversion)근군에 비해서 하퇴부의 외측 부분인 장비골근(peroneus longus), 단비골근(fibularis longus) 및 장지신근(extensor digitorum longus) 등으로 이루어지는 외반(eversion)근군이 약할 경우에 발생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발생되는 저굴 내반족 환자들에게 사용되는 종래의 보조기에는 주로 단하지 보조기(short leg brace)가 사용되었는 데,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두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면 첫째, 특수한 단하지 보조기인 구두 주걱식 보조기(shoc hom brace)(50)는 많은 보행이 필요하지 않을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 10에서와 같이 프라스틱재질의 합성수지재를 슬관절 하퇴부의 뒷부분인 저굴근군부와 같은 형상의 발바닥이 재치될 수 있도록 몸체(52)를 성형시킨 후, 상기 몸체(52) 내부에 하수족(foot drop)을 삽입시킨 다음, 슬관절 부분와 중족골 부분에 밴드(54) 등을 사용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두 주걱식 보조기(50)에서는 성형되는 몸체(52)를 얇게 성형시켜 발바닥 부분을 재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보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었으나, 대퇴부에서 부터 연관된 저굴근군부의 대퇴사 두근(quadriceps femoris)이 약할 경우에 무릎이 잘 굽혀지며, 발목 부분에 힘이 가해져서 부러지기가 쉬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둘째, 가정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단하지 보조기로서, 도 11에서와 같이 슬관절에 고정되는 고정밴드(62)와, 이 고정밴드(62)에 발이 삽입되는 가죽구두(64)와 같이 철과 알루미늄을 합금한 듀랄루민으로 제작된 지주(66)를 내측과 외측에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90°에서 완전고정 하던가, 아니면 90°전, 후로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저굴 내반족 환자들에게는 효과적으로 걸을 수 있는 정상보행의 조건이 갖추어 지지 않아, 다시말해서 고정밴드(62)와 가죽구두(64)를 지주(66)를 사용하여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므로 보행에 많은 불편함이 발생하였고, 고정된 부위의 근육이 약화되는 등의 부작용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듀랄루민으로 제작되는 지주(66)의 제작공정과 가죽구두(64)에 설치하는 작업공정이 상당히 번거러울 뿐만 아니라, 무게 또한 상당히 무거운 관계로 저굴 내반족 환자들에게는 사용상의 많은 불편함은 물론 기능상에 많은 장애를 일으키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에 사용되는 저굴 내반족 보조기는 그 대분분이 고정식으로 성형되거나 제작되는 관계로 저굴 내반족 환자들에는 상기 상술한 사용상의 많은 문제점을 갖고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뇌성마비 또는 슬내번증 및 뇌졸중 환자들에게서 발목의 밑 부분이 굽어 발바닥이 내측으로 휘어지는 저굴 내반족 현상을 경량의 재질로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착용이 용이하도록 구성하여 보행시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교정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정상보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개략적인 요부 분해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이 하퇴부에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요부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2고정밴드부에 쿠션재를 부착시킨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제 1고정밴드부와 탄력밴드부가 결합되는 상태의 다른 실시예이며,
도 7은 본 고안 제 1, 2고정밴드부에 탄력보호밴드가 봉착되어 있는 다른 실시예이고,
도 8은 본 고안 사용 상태의 다른 실시예이며,
도 9는 본 고안 사용 상태의 또 다른 실시예이고,
도 10은 종래 단하지 보조기의 실시예이며,
도 11은 종래 또 다른 단하지 보조기의 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보조기 10 : 제 1고정밴드부
10a : 결합공 12, 12a : 체결고리
14 : 결합고리 20 : 제 2고정밴드부
22 : 걸고리 30 : 탄력밴드부
32 : 고정고리 34 : 조절고리
100 : 쿠션재 110 : 탄력보호밴드
120 : 매직 테이프 130 : 걸림고리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저굴 내반족 보족기에 있어서, 하퇴부의 슬관절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일단에 체결고리와 결합고리가 리베팅 또는 봉착되게 설치되는 제 1고정밴드부와; 발의 중족골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일단에 체결고리와 걸고리가 리베팅 또는 봉착되게 설치되는 제 2고정밴드부와; 상기 제 1고정밴드부와 제 2고정밴드부는 상측이 상기 제 1고정밴드부의 결합고리에 결합되어 지고, 하측은 상기 제 2고정밴드부의 걸고리에 체결될 수 있도록 고정고리와 조절고리가 설치된 탄력밴드부로 연결되는 저골 내반족 보조기를 제공하므로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1고정밴드부에는 다수의 결합공을 형성하고, 상기 탄력밴드부의 일단에는 상기 결합공에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고리를 설치하여 상호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고정밴드부와 제 2고정밴드부에는 각각의 탄력보호밴드가 봉착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2고정밴드부의 걸고리는 발의 외측으로 위치하고, 탄력밴드부는 하퇴부의 외반근군부 측으로 위치하여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개략적인 요부 분해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하퇴부의 슬관절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일단에 체결고리(12)와 결합고리(14)가 리베팅 또는 봉착되게 설치되는 제 1고정밴드부(10)와;
발의 중족골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일단에 체결고리(12a)와 걸고리(22)가 리베팅 또는 봉착되게 설치되는 제 2고정밴드부(20)와;
상기 제 1고정밴드부(10)와 제 2고정밴드부(20)는 상측이 상기 제 1고정밴드부(10)의 결합고리(14)에 결합되어 지고, 하측은 상기 제 2고정밴드부(20)의 걸고리(22)에 체결될 수 있도록 고정고리(32)와 조절가능한 조절고리(34)가 설치된 탄력밴드부(30)로 연결되는 저골 내반족 보조기(1)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이 하퇴부에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를, 도 4는 도 3에 따른 요부 측면도로서, 제 1고정밴드부(10)는 하퇴부의 슬관절부에 체결하고, 제 2고정밴드부(20)는 발의 중족골부에 체결하되, 걸고리(22)가 발의 외측으로 위치하도록 체결하며, 상측이 상기 제 1고정밴드부(10)의 결합고리(14)에 결합되어 있는 탄력밴드부(30)는 하측으로 설치되어 있는 고정고리(32)을 사용하여 하퇴부의 외반근군부 측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제 2고정밴드부(10)의 걸고리(22)에 체결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2고정밴드부에 쿠션재를 부착시킨 상태의 사시도로서, 제 1, 2고정밴드부(10)(20)의 내면에 슬관절부와 발의 중족골부에 체결시 제 1, 2고정밴드부(10)(20)가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쿠션재(100)를 부착시킨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 제 1고정밴드부와 탄력밴드부가 결합되는 상태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 1고정밴드부(10)에는 다수의 결합공(10a)을 형성하고, 상기 탄력밴드부(30)의 일단에는 상기 결합공(10a)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설치된 고정고리(32)와 같은 고정고리(32)를 설치하여 상호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 제 1, 2고정밴드부에 탄력보호밴드가 봉착되어 있는 다른 실시예로서, 슬관절부와 발의 중족골부에 체결되는 제 1, 2고정밴드부(10)(20)의 내주면에 미끄럼으로 인해 제 1, 2고정밴드부(10)(20)가 하측으로 내려가거나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체결시나 체결후에도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탄력보호밴드(110)를 봉착시킨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 사용 상태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 1, 2고정밴드부(10)(20)의 외주면에 제 1, 2고정밴드부(10)(20)를 각각의 체결고리(12)(12a)에 체결시킨 상태에서 제 1, 2고정밴드부(10)(20)의 끝단이 깔끔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매직 테이프(120) 등을 봉착 또는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 사용 상태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공식석상이나 특별한 경우에 상기 저굴 내반족 보조기(1)가 바지속으로 감추어질 수 있도록 일반 신발의 외측에 상기 탄력밴드부(30)에 설치된 고정고리(32)가 체결될 수 있도록 걸림고리부(130)를 설치하여 중족골부에 체결되는 제 2고정밴드부(20) 대신에 상기 신발에 설치된 걸림고리부(130)에 탄력밴드부(30)의 고정고리(32)를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저굴 내반족 환자의 슬관절부에 일단으로 체결고리(12)가 설치된 제 1고정밴드부(10)를 체결한 후, 제 2고정밴드부(20)를 상기 제 1고정밴드부(10)와 같이 일단으로 설치된 체결고리(12a)를 사용하여 발의 중족골부에 체결한 다음에 상기 제 1고정밴드부(10)의 결합고리(14)에 탄력밴드부(30)의 상측을 체결시킨 후, 하측으로 설치된 고정고리(32)을 사용하여 상기 중족골부에 체결되어 있는 제 2고정밴드부(20)의 걸고리(22)에 체결 고정시킨다.
이때, 제 2고정밴드부(20)는 걸고리(22)가 도 4에서와 같이 발의 외측으로 위치하게 체결하고, 이 걸고리(22)에 체결되는 탄력밴드부(30)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외반근군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결합시킨다. 또한, 제 1고정밴드부(10)의 결합고리(14)에 결합되는 탄력밴드부(30)의 상측은 슬관절부의 외측으로 위치하게 한다.
상기에서, 탄력밴드부(30)는 조절고리(34)를 사용하여 환자의 증상에 따라 알맞게 조절시키면서, 다시말해서, 발목의 밑 부분이 굽어 발바닥이 내측으로 휘어지는 저굴 내반족 환자들의 증상이 심할 경우에는 탄력밴드부(30)의 조절고리(34)를 사용하여 외반근군부에 위치한 탄력밴드부(30)를 강하게 조여주고, 증상이 약할 경우에는 탄력밴드부(30)를 약하게 조여주면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제 2고정밴드부(20)의 걸고리(22)를 발의 외측으로 위치하게 하는 것은 저굴근군부의 천비골신경(deep superficial peroneal nerve)(장비골근)의 손상으로 인해 약화된 외반근군부의 장비골근과 단비골근의 탄력을 보강하기 위함이고, 제 1고정밴드부(10)의 결합고리(14)에 결합되는 탄력밴드부(30)의 상측을 슬관절부의 외측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배굴근부의 심비골신경(deep peroneal nerve)(전경골근, 장지신근, 장모지신근)의 탄력을 보강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하퇴부에 본 고안인 저굴 내반족 보조기(1)의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보행하게 되면 환자의 발뒤꿈치를 압으로 내 딛게 되므로서, 약해진 저굴근군부의 하퇴삼두근, 후경골근, 장비골근 및 삼지굴근이 탄력밴드부(30)의 탄력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지면과 맞닿게 되고, 지면과 맞닿을 시에는 배굴근군부, 즉, 전경골근, 장지신근 및 장모지신근이 작용하여 지면과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다시 지면과 발뒤꿈치가 떨어질 때에는 배굴근군부와 저굴근군부에 다시 탄력밴드부(30)의 탄력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정상보행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보조기(1)에서는 종래 고정식의 보조기에 갖지 못하였던 신경에 의하여 상실된 근육의 기능을 탄력밴드부(30)의 탄력으로 인하여 조절되면서 최대한의 정상보행에 가깝도록 자유로이 윰직이면서 교정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2고정밴드부(10)(20)의 내주면에 쿠션재(100)를 부착시키므로서, 슬관절부와 발의 중족골부에 체결되는 제 1, 2고정밴드부(10)(20)가 슬관절부와 중족골부에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도시한 다른 실시예이다.
또한, 도 6은 본 고안 제 1고정밴드부(10)와 탄력밴드부(30)가 체결되는 상태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 1고정밴드부(10)에는 다수의 결합공(10a)을 형성하고, 상기 탄력밴드부(30)의 일단에는 상기 결합공(10a)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설치된 고정고리(32)와 같은 고정고리(32)를 설치하여 상호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도 7은 본 고안 제 1, 2고정밴드부(10)(20)에 관절염 환자 등에게 사용되는 탄력보호밴드(110)를 내주면에 봉착시켜 사용하는 다른 실시예로서, 관절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고, 슬관절부와 발의 중족골부에 체결되는 제 1, 2고정밴드부(10)(20)가 슬관절부와 중족골부에서 미끄러짐과 동시에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체결시나 체결후에도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봉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도 8은 본 고안 사용 상태의 다른 실시예로서, 슬관절부와 중족골부에 체결되는 상기 제 1, 2고정밴드부(10)(20)의 외주면에 이 제 1, 2고정밴드부(10)(20)를 각각의 체결고리(12)(12a)에 체결시킨 상태에서 제 1, 2고정밴드부(10)(20)의 끝단이 깔끔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매직 테이프(120) 등을 봉착 또는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또, 도 9는 본 고안 사용 상태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공식석상이나 특별한 경우에 다른 사람들의 눈에 보이지 않도록 하퇴부에 설치된 저굴 내반족 보조기(1)가 바지속으로 감추어질 수 있게, 다시말해서 일반 신발의 외측에 상기 탄력밴드부(30)에 설치된 고정고리(32)가 체결될 수 있도록 걸림고리부(130)를 설치하여 중족골부에 체결되는 제 2고정밴드부(20) 대신에 상기 신발에 설치된 걸림고리부(130)에 탄력밴드부(30)의 고정고리(32)를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본 고안의 저굴 내반족 보조기(1)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다른 사람들의 눈에는 확연하게 보여지지 않으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저굴 내반족 보조기는 종래 고정식 보조기에서 탈피하여 저굴 내반족 환자들이 자유로이 움직이면서 신경에 의해 상실된 근육의 기능을 탄력밴드부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정상적인 보행을 원활하게 수행 할 수 있는 바람직한 고안인 것이다.
또한, 보조기를 경량의 재질인 제 1, 2고정밴드부와 탄력밴드부로 간단하게 구성하여 환자들이나 그 가족들이 원활하게 착용할 수 있게 함은 물론 환자들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4)

  1. 저굴 내반족 보족기에 있어서, 하퇴부의 슬관절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일단에 체결고리(12)와 결합고리(14)가 리베팅 또는 봉착되게 설치되는 제 1고정밴드부(10)와; 발의 중족골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일단에 체결고리(12a)와 걸고리(22)가 리베팅 또는 봉착되게 설치되는 제 2고정밴드부(20)와; 상기 제 1고정밴드부(10)와 제 2고정밴드부(20)는 상측이 상기 제 1고정밴드부(10)의 결합고리(14)에 결합되어 지고, 하측은 상기 제 2고정밴드부(20)의 걸고리(22)에 체결될 수 있도록 고정고리(32)와 조절고리(34)가 설치된 탄력밴드부(30)로 연결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굴 내반족 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밴드부(10)에는 다수의 결합공(10a)을 형성하고, 상기 탄력밴드부(30)의 일단에는 상기 결합공(10a)에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고리(32)를 설치하여 상호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굴 내반족 보조기.
  3.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밴드부(10)와 제 2고정밴드부(20)에는 각각의 탄력보호밴드(110)가 봉착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굴 내반족 보조기.
  4. 상기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고정밴드부(20)의 걸고리(22)는 발의 외측으로 위치하고, 탄력밴드부(30)는 하퇴부의 외반근군부 측으로 위치하여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굴 내반족 보조기.
KR2019980007840U 1998-05-13 1998-05-13 저굴 내반족 보조기 KR2002024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7840U KR200202448Y1 (ko) 1998-05-13 1998-05-13 저굴 내반족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7840U KR200202448Y1 (ko) 1998-05-13 1998-05-13 저굴 내반족 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097U KR19990041097U (ko) 1999-12-15
KR200202448Y1 true KR200202448Y1 (ko) 2001-09-29

Family

ID=69511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7840U KR200202448Y1 (ko) 1998-05-13 1998-05-13 저굴 내반족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44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243B1 (ko) 2012-06-22 2014-01-03 백점석 조명등용 쉐이드
KR20190141918A (ko) * 2018-06-15 2019-12-2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탄력중립발목보조기
KR20240146327A (ko) 2023-03-29 2024-10-08 (주)에이엠씨 탄력중립발목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136B1 (ko) * 2001-04-10 2003-06-19 박인식 인체공학적 단하지 보조기
KR100767192B1 (ko) * 2006-12-14 2007-10-17 윤상근 편마비환자를 위한 보행보조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243B1 (ko) 2012-06-22 2014-01-03 백점석 조명등용 쉐이드
KR20190141918A (ko) * 2018-06-15 2019-12-2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탄력중립발목보조기
KR102132988B1 (ko) 2018-06-15 2020-07-10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탄력중립발목보조기
KR20240146327A (ko) 2023-03-29 2024-10-08 (주)에이엠씨 탄력중립발목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097U (ko) 199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2733A (en) S T S (sub-talar stabilizer) ankle brace
US12053406B2 (en) Foot ankle orthosis
EP2442763B1 (en) Orthotic lift apparatus
US8529484B2 (en) Orthotic foot brace
US8048014B2 (en) Neuromusculoskeletal knee support device
US6083184A (en) Ankle orthotic
US20240108490A1 (en) Ankle/foot orthosis
EP3102161B1 (en) Support brace
EP2750637B1 (en) An ankle-foot orthosis element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WO2002039934A1 (fr) Prothese corporelle
JP2020519414A (ja) 足関節による足運動を制動するための足運動制動装置及び靴
KR20090065734A (ko) 발목 고정 보조기
US20170252197A1 (en) Ankle-Foot Orthosis
WO2011097723A1 (en) Orthotic foot brace for remediation of foot drop symptoms
KR200202448Y1 (ko) 저굴 내반족 보조기
KR101649335B1 (ko) 발목관절 보조기
JP3783027B2 (ja) ゴムチューブとパッドを利用した歩行促進膝バンド
CN211187685U (zh) 一种后连接式轻便型踝足矫形器
CN221672176U (zh) 一种足下垂脚托
CN219720978U (zh) 一种踝足矫形器
KR102160635B1 (ko) 운동용 타이츠
JP3221099U (ja) 下肢用サポーター
CA2692534C (en) Orthotic foot brace
JP6622763B2 (ja) サポーター
KR20210055282A (ko) 족부 재활 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