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2958A - 소파 겸용 침대 - Google Patents

소파 겸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2958A
KR20110082958A KR1020100002915A KR20100002915A KR20110082958A KR 20110082958 A KR20110082958 A KR 20110082958A KR 1020100002915 A KR1020100002915 A KR 1020100002915A KR 20100002915 A KR20100002915 A KR 20100002915A KR 20110082958 A KR20110082958 A KR 20110082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inge
main frame
sofa
hi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2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3364B1 (ko
Inventor
장호준
Original Assignee
장호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호준 filed Critical 장호준
Priority to KR1020100002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3364B1/ko
Publication of KR20110082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2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13Seating furniture having non-movable backrest changeable to beds by increasing the available seat part, e.g. by drawing seat cushion forward
    • A47C17/132Seating furniture having non-movable backrest changeable to beds by increasing the available seat part, e.g. by drawing seat cushion forward with multiple seat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2Head or foot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12Folding bedsteads
    • A47C19/122Folding bedsteads foldable head to foot on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파 겸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프레임의 후단에 구비되는 헤드부재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1힌지부재로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는 상부접철부재와, 상기 상부접철부재의 전단부는 상기 하부접철부재의 후단부와 제2힌지부재로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는 하부접철부재와, 상기 하부접철부재의 전방에 제3힌지부재로 힌지결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 방향으로 전후진되는 이동부재로 이루어지는 소파 겸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재는 핸들볼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힌지부재는 경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힌지부재는 상기 하부접철부재의 측면과 이동부재의 측면에 2개의 2단 링크부재로 연결되되, 상기 2단 링크부재의 링크 일단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측면에 직접 힌지되어 회동가능하며, 상기 2단 링크부재의 링크 타단부는 브라켓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브라켓은 핸들볼트로 상기 하부접철부재의 측면에 결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동으로 소파 또는 침대로의 사용전환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구성부속들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소파 겸용 침대 { bed with sofa }
본 발명은 소파 겸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구조가 단순하면서 소파 및 침대로의 기능 변경을 위한 조작이 간편한 소파 겸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침실에 비치되어 수면을 취하는데 사용하는 가구이다. 이와 같은 침대는 침실내에서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침대는 수면을 취하는 경우에만 사용할 뿐 다른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고, 좁은 공간에 설치하는 경우 생활에 많은 불편을 끼치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수면을 취하는 경우에는 침대로 사용하고 평상시에는 의자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접이식의 소파 겸용 침대가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소파 겸용 침대의 일예가 공개실용신안 제94-7032호에 개시된 바 있다. 이는 침대로 사용할 경우 사람의 머리를 위치시킬 수 있는 머리부(1)와, 상기 머리부(1)에 일측이 고정되어 회동하는 상부 절첩부(2)와, 상기 상부 절첩부(2)에 일측이 고정되어 회동하고 소파의 등받이가 되는 하부 절첩부(3)와, 상기 하부 절첩부(3)의 타측에 일측이 고정되어 회동하고 좌우로 이동되며 소파의 착석부가 되는 이동부(4)와, 상기 머리부(1)와 상부 절첩부(2)가 연결되는 힌지점에 설치되는 구동축(9)과, 상기 구동축(9) 설치되는 감속모터(5)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축(9)에는 종동기어(8)를 설치하고,감속모터(5)의 축에는 구동기어(6)를 설치한 후 그 중간에 아이들기어(7)를 설치하여 동력이 전달되도록 한 구성이다.
그런데 상기 공개실용신안은 모터구동방식에 의해 소파와 침대기능을 선택할 수 있어 그 사용이 편리하나 그와 같은 모터 구동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이 복잡하고, 분해 및 조립이 복잡한 단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콘센트 등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어야 하므로 그 설치장소에 제약이 많은 단점이 있다.
그리고, 소파로 사용하는 경우 이동부(4)가 머리부(1)쪽으로 당겨지면서 접히게 되는데, 소파로 사용하던 중에 사용자의 체중 및 이동부(4)의 자중에 으해 모터가 역회전하여 이동부가 펼쳐지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또한, 소파상태에서 침대로 펼치는 경우 완충장치가 없어 급격히 이동부가 이동하면서 펼쳐지게 되어 사용자가 다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동으로 조작이 가능하여 설치장소에 제약이 없고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소파 겸용 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파에서 침대로 기능을 변경하는 경우 서서히 펼쳐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용이하게 분해 및 조랍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소파 겸용 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에 지지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단에 구비되는 헤드부재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1힌지부재로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는 상부접철부재와, 상기 상부접철부재의 전단부는 상기 하부접철부재의 후단부와 제2힌지부재로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는 하부접철부재와, 상기 하부접철부재의 전방에 제3힌지부재로 힌지결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 방향으로 전후진되는 이동부재로 이루어지는 소파 겸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재는 핸들볼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힌지부재는 경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힌지부재는 상기 하부접철부재의 측면과 이동부재의 측면에 2개의 2단 링크부재로 연결되되, 상기 2단 링크부재의 링크 일단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측면에 직접 힌지되어 회동가능하며, 상기 2단 링크부재의 링크 타단부는 브라켓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브라켓은 핸들볼트로 상기 하부접철부재의 측면에 결합고정되고,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부접철부재 사이에는 완충수단인 에어실린더가 연결 구비되는 소파 겸용 침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동으로 소파 또는 침대로의 사용전환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구성부속들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파 겸용 침대를 펼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측면도.
도 3은 도 1의 저면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소파 겸용 침대를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일측면도.
도 6은 도 4의 후면도.
도 7은 각도조절수단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상기 각도조절수단의 작동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파 겸용 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소파 겸용 침대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파 겸용 침대를 펼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소파 겸용 침대를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측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후면도이고, 도 7은 각도조절수단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상기 각도조절수단의 작동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파 겸용 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파 겸용 침대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파 겸용 침대는 바닥에 지지되는 메인프레임(10)과, 그 메인프레임(10)의 후단에 구비되는 헤드부재(20)와,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부에 구비되어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는 상부접철부재(30)와, 상기 상부접철부재(30)의 전방에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는 하부접철부재(40)와, 상기 하부접철부재(40)의 전방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 방향으로 전후진되는 이동부재(50)로 구성된다.
이하, 좀더 상세하게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설명한다.
상기 메인프레임(10)은 실내의 바닥에 고정되는 금속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그 하단에 다수의 고정식 다리(12)가 구비된다.
이때, 메인프레임(10)의 후측에는 상향하는 헤드부재(20)가 구비되는데, 상기 헤드부재(20)는 사용자가 침대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머리부분을 보호해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헤드부재(20)는 일정한 틀을 형성하는 제1프레임(22)의 전방으로 제1패드(24)가 일체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부에는 제1힌지부재(14)로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한 상부접철부재(30)가 구비되는데, 이는 일정한 틀을 형성하는 제2프레임(32)과 그 제2프레임(32)의 상부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2패드(3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프레임(32)의 후측 양단에는 상기 제1힌지부재(14)에 상기 메인프레임(10)에 힌지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1힌지부재(14)는 핸들볼트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2프레임(32)과 메인프레임(10)의 사이에는 완충수단인 에어실린더(62)가 연결 구비된다.
즉, 상기 에어실린더(62)의 몸체(62a)의 후단부는 상기 메인프레임(10)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몸체(62a)의 전방에 구비되는 로드(62b)의 단부는 상기 제2프레임(32)의 일측에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2프레임(32)이 그 후단 제1힌지부재(14)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하강하여 수평방향으로 펼쳐지는 경우 에어실린더(62)의 몸체(62a) 내부의 압축에어에 의해 서서히 펼쳐지게 되어 사용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접철부재(30)을 구성하는 제2프레임(32)의 전단부는 상기 하부접철부재(40)의 후단부와 제2힌지부재(16)인 경첩으로 연결되어, 상기 상부접철부재(30)와 하부접철부재(40)가 제2힌지부재(16)를 중심으로 접힐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하부접철부재(40)는 일정한 틀을 형성하는 제3프레임(42)과 그 제3프레임(42)의 상부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3패드(44)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프레임(42)의 후단부가 상기 제2프레임(32)의 전단부와 경첩(16)으로 체결되어 회동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하부접철부재(40)는 소파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의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접철부재(40)의 전방에는 일정한 틀을 형성하는 제4프레임(52)과 그 제4프레임(52)의 상부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4패드(54)로 이루어지는 이동부재(5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50)는 소파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의 기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동부재(50)의 제4프레임(52)과 상기 하부접철부재(40)의 제3프레임(42)은 제3힌지부재(70)로 연결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제3힌지부재(70)는 상기 하부접철부재(40)의 제3프레임(42)의 측면과 이동부재(50)의 제4프레임(52)의 측면에 2개의 2단 링크부재(71,72)(73,74)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2단 링크부재(71,72)(73,74)의 링크(71,73) 일단부는 상기 이동부재(50)의 제4프레임(52)의 측면에 직접 힌지되어 회동가능하며, 상기 2단 링크부재(71,72)(73,74)의 링크(72,74) 타단부는 브라켓(75)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브라켓(75)은 핸들볼트(76)로 제3프레임(42)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사용자가 핸들볼트(76)를 조이거나 푸는 단순한 작업에 의해 상기 하부접철부재(40)와, 이동부재(50)를 분리 및 조립하는 것이 용이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부재(50)는 그 제4프레임(52)의 하단에 다수의 방향성 캐스터(56)가 구비되어 전후방향으로만 이동부재(50)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4프레임(52)의 하부에는 스프링(59)에 의해 가압된 상태의 걸쇠(58)가 ㅎ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이와 같은 걸쇠(58)는 전단부에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하부 걸림부(10a)에 걸려지는 걸림턱(58a)이 형성되고, 후단부에 누름부(58b)가 돌출형성되고 그 중앙부가 제4프레임(52)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이동부재(50)가 메인프레임(1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걸쇠(52)가 메인프레임(10)의 걸림부(10a)를 타고넘으면서 걸려지게 되면서 이동부재(50)가 전방으로 원위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부재(5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펼쳐 침대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걸쇠(58)의 누름부(58b)를 눌러 메인프레임(10)의 걸림부(10a)에서 걸림턱(58a)을 해제시켜 줌으로서 펼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이동부재(50)는 그 제4프레임(52)의 전방과 양측부에 일정한 문양부(55)를 형성하게 되는데, 내부의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마감재로 처리함도 가능하며, 그 내부 공간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별도의 서랍을 구비함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패드(24,34,44,54)는 목재, 합성수지재, 및 다양한 쿠션기능을 가지는 패드 등으로 이루어지며, 다수개를 일정간격으로 배치하여 구성함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재(20)는 그 하단에 각도조절수단(100)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10)상에서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수단(100)은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후단에 끼움공(11a)을 가지며 상향 돌출구비되는 제1접속부(11)와, 상기 헤드부재(20)의 하단에 끼움공(21a)을 가지며 하향돌출되는 제2접속부(21)의 사이에 양단부가 고정되어 각도를 조정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각도조절수단(100)은 상기 제1접속부(11)와 접속되는 포크형 고정구(110)와, 상기 제2접속부(21)와 접속되어 상기 포크형 고정구(110)의 양쪽 포크(111) 사이에 형성된 삽입구(112)내로 삽입되어 회전하는 것으로 그 양측 포크(121)의 일측에 각각 다수의 톱니(122)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포크(121) 사이에는 삽입구(123)가 형성되어 있는 포크형 회전구(120)와, 상기 포크형 회전구(120)의 삽입구(123)내로 삽입되는 것으로 서로 대향하는 양쪽에 각각 돌기(131,132)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131)의 일측에는 걸림홈(133)을 형성한 스톱퍼(130)와, 상기 포크형 고정구(110)에 형성된 핀홀(114)에 핀(115)에 의해 삽입되어서 탄지스프링(116)에 의해 탄지되는 걸림구(117)와, 상기 포크형 고정구(110)와 상기 포크형 회전구(120) 및 스톱퍼(130)의 각각의 핀홀(118)을 통해 삽입되는 체결핀(109)으로 구성되어 상기 포크형 회전구(102)가 상기 포크형 고정구(101)에 지지되어 그 회전각도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헤드부재(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크형 고정구(110)내의 걸림구(117)가 스톱퍼(130)의 걸림홈(133)과 포크형 회전구(120)의 톱니(122)중 제1톱니의 골에 탄지스프링(116)의 탄지력에 의해 동시에 걸려서 고정된다.
한편, 헤드부재(20)를 당겨 각을 세우기 위해 앞으로 서서히 당기게 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재(20)가 접속되어 있는 포크형 회전구(120)가 한단계씩 상승하며 상기 포크형 고정구(110) 내부의 걸림구(117)가 스톱퍼(130)의 걸림홈(133)과 포크형 회전구(120)의 톱니(122)중 제1톱니의 골에 동시에 걸려있던 상태에서 당겨지면서 상기 스톱퍼(130)의 걸림홈(133)은 상기 걸림구(117)에 걸린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포크형 회전구(120)의 톱니(122)중 제1톱니만이 아랫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걸림구(117)가 상기 톱니(122)중 제1톱니의 구배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톱니(122)중 제2톱니의 골로 빠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포크형 회전구(120)가 한단계 상승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일단 한단계 상승했던 상기 포크형 회전구(120)의 톱니(122)중 제2톱니의 골의 한쪽(기울기가 큰쪽)에 상기 걸림구(117)가 완전히 걸리는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결코 역회전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상기 포크형 회전구(120)를 계속해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포크형 회전구(120)는 그 각도가 단계별로 한단계씩 변환되면서 상승하여,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포크형 회전구(120)의 톱니(122)중 최종톱니의 골과 상기 스톱퍼(130)의 걸림홈(133)에 상기 포크형 고정구(110)의 걸림구(117)가 동시에 걸려있게 되는 상태가 된다. 그러면, 이 상태에서는 헤드부재(20)가 수직으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헤드부재(20)를 후측으르 눕히고자 하는 경우에는 헤드부재(20)를 더욱더 잡아당겨 상기 포크형 고정구(110)의 걸림구(117)가 상기 포크형 회전구(120)의 톱니(122)중 최종톱니의 골과 상기 스톱퍼(130)의 걸림홈(133)에 동시에 걸려있던 상태에서 동시에 벗어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포크형 회전구(120)는 그 양단의 포크(121)가 서로 접속된 부분인 포크접속부(C)로 하여금 상기 스톱퍼(130)의 돌기(132)를 밀어 주도록 하면서 회전됨에 따라서, 상기 스톱퍼(130)의 걸림홈(133)과 상기 포크형 회전구(120)의 톱니(122)중 최종톱니의 골이 상기 걸림구(117)로부터 동시에 슬라이드되면서 밀려나게 되기 때문이다. 이때는 상기 걸림구(117)가 스톱퍼(130)의 걸림홈(133)으로부터 벗어난 상태에 있기 때문에, 다시 상기 헤드부재(20)를 역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면, 스톱퍼(130)는 정지된 상태에서 포크형 회전구(120)만이 역회전되면서 상기 포크형 회전구(120)의 접속부(C)가 상기 스톱퍼(130)의 돌기(131)를 밀면서 역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포크형 회전구(120)와 스톱퍼(130)가 동시에 역회전할때는 포크형 고정구(110)의 걸림구(117)에 아무런 홈도 걸리지 않은 상태에 있기 때문에, 그 역회전이동이 부드럽게 진행된다.
상기 포크형 회전구(120)가 포크형 고정구(110)와 거의 수평상태에 다다를 때까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포크형 회전구(120)의 톱니(122)중 제1톱니의 홈과 상기 스톱퍼(130)의 걸림홈(133)이 동시에 걸림구(117)로 위치되면서 상기 걸림구(117)가 상기 제1톱니의 홈과 걸림홈(133)에 동시에 빠지게 되면서, 수평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헤드부재(20)가 최대한 뒤로 젖혀진 상태이므로 다시 당기면서 원하는 각도로 헤드부재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소파 겸용 침대의 사용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침대로 펼쳐진 상태에서 소파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부접철부재(30) 또는 하부접철부재(40)를 살짝 들어 올리면 상부접철부재(30)가 제1힌지부재(14)를 중심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제2힌지부재(16)인 경첩을 중심으로 하부접철부재(40)를 회동시키면서 이동부재(50)를 방향성 캐스터(56)에 의해 자연스럽게 당기게 되어 메인프레임(10)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계속해서 상/하부접철부재(30,40)가 완전히 접히게 되면 이동부재(50)의 제4프레임(52)에 설치되는 걸쇠(58)의 걸림턱(58a)이 메인프레임(10)의 걸림부(10a)를 타고넘으면서 걸리게 된다.
그리고 놓게 되면, 이동부재(50)에 힌지결합되는 걸쇠(58)가 메인프레임(10)의 걸림부(10a)에 걸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소파의 형상을 유지하게 되어 사용자는 소파 또는 의자와 같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침대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걸쇠(58)의 누름부(58b)를 눌러 메인프레임(10)의 걸림부(10a)에서 걸림턱(58a)을 해제시켜 주면, 상/하부접철부재(30,40)가 자중(自重)에 의해 펼쳐지면서 이동부재(50)는 전진하게 되어 펼쳐지게 된다.
이때, 헤드부재(20)는 각도조절수단(100)의 조정을 통해 적당한 각도로 조정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파 겸용 침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2 내지 제4패드(34,44,54)는 내부에 히터선(34a,44a,54a)이 구비되고 일측에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잭(34b,44b,54b)이 구비되는 온열패드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온열패드는 그 표면재질을 대리석과 같은 석재(石材)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합성수지재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사용함도 가능하며 모두 동일한 기술적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0: 메인프레임 20: 헤드부재
30: 상부접철부재 40: 하부접철부재
50: 이동부재 58: 걸쇠
62: 에어실린더 76: 핸들볼트
100: 각도조절수단

Claims (8)

  1. 바닥에 지지되는 메인프레임(10)의 후단에 구비되는 헤드부재(20)와,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1힌지부재(14)로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는 상부접철부재(30)와, 상기 상부접철부재(30)의 전단부는 상기 하부접철부재(40)의 후단부와 제2힌지부재(16)로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는 하부접철부재(40)와, 상기 하부접철부재(40)의 전방에 제3힌지부재(70)로 힌지결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 방향으로 전후진되는 이동부재(50)로 이루어지는 소파 겸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재(14)는 핸들볼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힌지부재(16)는 경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힌지부재(70)는 상기 하부접철부재(40)의 측면과 이동부재(50)의 측면에 2개의 2단 링크부재(71,72)(73,74)로 연결되되, 상기 2단 링크부재(71,72)(73,74)의 링크(71,73) 일단부는 상기 이동부재(50)의 측면에 직접 힌지되어 회동가능하며, 상기 2단 링크부재(71,72)(73,74)의 링크(72,74) 타단부는 브라켓(75)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브라켓(75)은 상기 하부접철부재(40)의 측면에 핸들볼트(76)로 결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겸용 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은 그 하단에 다수의 고정식 다리(12)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재(50)의 하단에는 전후방향으로 안내하는 방향상 캐스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겸용 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과 상부접철부재(30) 사이에는 완충수단인 에어실린더(62)가 연결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파 겸용 침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50)의 하부에는 스프링(59)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걸림부에 걸리는 걸쇠(58)가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파 겸용 침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58)는 전단부에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하부 걸림부(10a)에 걸려지는 걸림턱(58a)이 형성되고, 후단부에 누름부(58b)가 돌출형성되고 그 중앙부가 제4프레임(52)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파 겸용 침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재(20)는 상기 메인프레임(10)상에서 일정각도 회동가능하게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1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겸용 침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재(20)는 제1프레임(22)과 그 제1프레임의 전방에 고정되는 제1패드(24)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접철부재(30)는 제2프레임(32)과 그 제2프레임(32)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2패드(34)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접철부재(40)는 제3프레임(42)과 그 제3프레임(42)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3패드(44)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부재(50)는 제4프레임(52)과 그 제4프레임(52)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4패드(5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겸용 침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지 제4패드(34,44,54)는 내부에 히터선(34a,44a,54a)이 구비되고 일측에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잭(34b,44b,54b)이 구비되는 온열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겸용 침대.
KR1020100002915A 2010-01-13 2010-01-13 소파 겸용 침대 KR101143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915A KR101143364B1 (ko) 2010-01-13 2010-01-13 소파 겸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915A KR101143364B1 (ko) 2010-01-13 2010-01-13 소파 겸용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958A true KR20110082958A (ko) 2011-07-20
KR101143364B1 KR101143364B1 (ko) 2012-05-11

Family

ID=44920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915A KR101143364B1 (ko) 2010-01-13 2010-01-13 소파 겸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33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R20160100119A (el) * 2016-03-23 2017-11-22 Ανδρεας Κωνσταντινου Κουκουτσης Πτυσσομενο κεφαλαρι για εφεδρικα κρεβατια
KR102006603B1 (ko) 2019-01-04 2019-08-01 김명선 침대 겸용 소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942U (ko) 2015-11-25 2017-06-02 송길택 절첩식 시트구조를 갖는 침대 겸용 소파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551U (ja) * 1991-09-30 1994-07-12 日本発条株式会社 ソファベッド
JP2006034607A (ja) 2004-07-27 2006-02-09 Sankei Giken:Kk ソファーベッド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R20160100119A (el) * 2016-03-23 2017-11-22 Ανδρεας Κωνσταντινου Κουκουτσης Πτυσσομενο κεφαλαρι για εφεδρικα κρεβατια
GR1009259B (el) * 2016-03-23 2018-03-30 Ανδρεας Κωνσταντινου Κουκουτσης Πτυσσομενο κεφαλαρι για εφεδρικα κρεβατια
KR102006603B1 (ko) 2019-01-04 2019-08-01 김명선 침대 겸용 소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3364B1 (ko) 201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8304B2 (en) Sleeper sofa
CN106724220B (zh) 一种多功能折叠座椅
US20090152927A1 (en) Footrest Mounting Arrangement For An Article Of Furniture
US10376073B2 (en) Rolling foldout cabinet bed
US8091159B2 (en) Mechanism and mattress for sofabed
WO2012024315A1 (en) Gliding rocking chair and ottoman
WO2014086082A1 (zh) 一种兼作躺椅和床使用的沙发
KR101143364B1 (ko) 소파 겸용 침대
WO2021119041A1 (en) Sofa bed with glide system
TR201815359T4 (tr) Geliştirilmiş farklı şekilde yapılandırılabilir araç koltuğu.
CN104013241A (zh) 一种两用沙发床
CN2912369Y (zh) 可滑移的座椅底座
CN202714512U (zh) 办公用休闲椅
US20090193579A1 (en) Piece of furniture
JP3213825U (ja) 木製枠体のベッド兼用ソファー
ITTO20100992A1 (it) Poltrona trasformabile in chaise longue
AU2011214894B2 (en) Weight activated device
CN208640147U (zh) 一种改进型婴幼儿餐椅
CN207323123U (zh) 一种智能健康椅折叠式脚靠机构
KR20100018206A (ko) 접이식 의자
KR100909936B1 (ko) 공간 절약형 다기능 가구
CN211862323U (zh) 组合式多功能椅子
CN219594118U (zh) 一种可快速同时操控座板靠背联动的午休椅
KR200416726Y1 (ko) 의자겸용 간이침대
CN208640148U (zh) 一种座椅角度可调的婴幼儿餐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