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2851A - 채널 튜닝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 Google Patents

채널 튜닝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2851A
KR20110082851A KR1020100002760A KR20100002760A KR20110082851A KR 20110082851 A KR20110082851 A KR 20110082851A KR 1020100002760 A KR1020100002760 A KR 1020100002760A KR 20100002760 A KR20100002760 A KR 20100002760A KR 20110082851 A KR20110082851 A KR 20110082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ing
frequency interval
tuning frequency
broadcast receiver
chan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2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금정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2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2851A/ko
Publication of KR20110082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28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널 튜닝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선택한 주파수 간격으로 채널을 튜닝하는 채널 튜닝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채널 튜닝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METHOD FOR TUNING CHANNEL AND BROADCASTING RECEIVER ENABLING OF THE METHOD}
본 발명은 채널 튜닝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선택한 주파수 간격으로 채널을 튜닝하는 채널 튜닝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방송 수신기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면, 방송 신호에서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채널을 탐색한다.
이 때, 종래 기술의 방송 수신기는 채널 검색 순서를 미리 설정한 테이블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으며, 방송 수신기는 방송국 정보를 이용하여 테이블에 저장된 채널 검색 순서대로 채널을 검색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검색 순서대로 채널을 검색하는 오토 튜닝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방송 수신기는 미리 지정된 채널 검색 순서대로 자동적으로 채널을 검색하게 되며, 순차적으로 채널을 검색하여 찾은 채널의 개수를 표시해 주고, 채널 검색 결과를 채널맵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의 방송 수신기는 채널을 테이블에 저장된 주파수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검색하고, 전체 채널 검색 정도를 알려주는 진행 바 및 검색된 채널 개수 '6'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 후, 채널 검색 결과를 채널맵에 저장하였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방송 수신기는 초기 셋팅 시 도 1과 같은 오토 튜닝을 수행하고, 그 수행 결과를 이용하여 채널맵에 저장된 채널에서 제공되는 방송신호를 튜닝하여 제공하게 되는데, 이러한 오토 튜닝 과정은 최소 1분에서 최대 3-4분 정도 소요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의 방송 수신기에서는 오토 튜닝을 재차 수행하게 경우, 사용자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채널맵에 저장된 기존 채널들을 모두 삭제하고, 테이블에서 미리 지정된 채널 검색순서대로 모든 채널을 다시 검색하여 채널 맵에 저장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방송 환경의 다양화로 인해 방송 신호의 타입 또한 다양화되고 있으며,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채널 수 또한 증가되고 있어, 상기 오토 튜닝 과정에 걸리는 시간이 상당하게 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종래 기술의 방송 수신기에서는 오토 튜닝 수행시마다 사용자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모든 채널에 대해서 다시 검색하게 되어 튜닝 시간이 오래걸리고, 사용자의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오토 튜닝시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여 사용자 편의를 증진시키는 방송 수신기의 채널 튜닝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오토 튜닝시 사용자가 원하는 주파수 간격으로 채널을 검색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하고, 채널 검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켜 사용자 편의를 증진시키기 위한 채널 튜닝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채널 튜닝 방법은 튜닝 주파수 간격을 입력받는 단계; 튜너에서 상기 입력된 튜닝 주파수 간격으로 채널들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를 이용하여 저장 수단에 저장된 채널 맵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는 튜닝 주파수 간격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튜너에서 상기 입력된 튜닝 주파수 간격으로 채널들을 검색하는 튜너; 및 상기 검색 결과를 채널맵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방송 수신기의 오토 튜닝시 사용자가 원하는 주파수 간격으로 채널 검색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하고, 채널 검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켜 사용자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방송 신호의 스펙이 명확하지 않은 국가에서의 채널 검색시, 사용자가 입력한 튜닝 주파수 간격으로 채널을 검색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하고, 채널 검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DVB-C 케이블 신호를 제공에 있어서, 주파수 테이블에 주파수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국가에서 오토 튜닝시, 사용자가 원하는 튜닝 범위(시작 주파수~종료 주파수) 및 튜닝 주파수 간격 대로 튜닝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맞는 오토 튜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검색 순서대로 채널을 검색하는 오토 튜닝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을 튜닝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사용자가 오토 튜닝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튜닝 주파수 간격을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채널 튜닝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되고 도면에 의해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러한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구성과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및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의해 달라질 수도 있다. 특정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갖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 이해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을 튜닝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방송 수신기는 채널 탐색 순서를 미리 설정한 테이블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으며, 방송국 정보를 이용하여 테이블에 저장된 채널 검색 순서대로 채널을 검색하는 오토 튜닝을 수행하고, 오토 튜닝 수행 결과를 채널맵에 저장한다.
이 때, 단계(S201)에서 사용자는 오토 튜닝 메뉴를 선택한다. 사용자는 초기 셋팅 단계나, 또는 추가적으로 오토 튜닝을 원할 때, 오토 튜닝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도 3은 사용자가 오토 튜닝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방송 수신기에서 소정의 메뉴로 진입하여 오토 튜닝을 선택할 수 있고, 방송 수신기는 도면부호(301)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한 후, 사용자가 '예'를 선택하는 경우, 소정의 오토 튜닝 설정 메뉴를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기는 도 3의 도면부호(301)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예"를 선택함으로써, 오토 튜닝 정보를 상세하게 설정할 수 있는 오토 튜닝 설정 메뉴를 출력한다. 이 때, 오토 튜닝 메뉴는 사용자의 튜닝 정보 설정을 위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정의될 수 있다.
단계(S202)에서 방송 수신기는 튜닝 주파수 간격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튜닝 주파수 간격을 선택받는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오토 튜닝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데, 이 때, 방송 수신기는 사용자로부터 시작 주파수, 종료 주파수 외에 튜닝 주파수 간격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 때, 실시예에 따라 방송 수신기는 복수의 채널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카테고리별로 튜닝 주파수 간격을 선택받을 수 있다.
이 때, 방송 수신기는 단계(S202)에서 복수의 채널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카테고리별로 오토 튜닝 여부를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튜닝 주파수 간격을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는 튜닝 범위(시작 주파수~종료 주파수) 및 튜닝 주파수 간격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01)를 출력한다.
이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401)는 방송 신호의 카테고리별(402)로 튜닝 범위 즉, 튜닝 시작 주파수(403) 및 종료 주파수(404)와 튜닝 주파수 간격(405)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카테고리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는데, 일례로, 방송 신호의 종류 및 전송 방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다양한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카테고리별로 시작 주파수, 종료 주파수, 튜닝 주파수 간격이 설정되는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방송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인지, 디지털 신호인지에 따라 튜닝 시작 주파수, 종료 주파수, 튜닝 주파수 간격을 선택받을 수 있다.
또한, 방송 신호가 디지털 신호인 경우, 전송 방식이 지상파인지, 케이블인지, 위성 방송인지에 따라 튜닝 시작 주파수, 종료 주파수, 튜닝 주파수 간격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오토 튜닝을 원하는 카테고리의 방송 신호에 대해 자신이 원하는 튜닝 범위 및 튜닝 주파수 간격으로 오토 튜닝되도록 셋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 및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의 튜닝 설정을 변경하고 싶은 경우, 도면부호(40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시작 주파수 "10Mhz", 종료 주파수 "100000Mhz", 튜닝 주파수 간격 "8Mhz"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단계(S203)에서 방송 수신기는 튜너에서 상기 입력된 튜닝 주파수 간격으로 채널들을 검색한다.
이 때, 단계(S202)에서 카테고리별로 튜닝 주파수 간격을 선택받은 경우, 방송 수신기는 선택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채널들을 상기 입력된 튜닝 주파수 간격으로 검색한다.
이 때, 방송 수신기는 채널 검색 순서를 미리 설정한 테이블을 참조하여, 테이블에 저장된 채널 검색 순서대로 채널을 검색할 수 있으며, 채널 검색의 대상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것으로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기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 및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의 튜닝을 시작 주파수 "10Mhz", 종료 주파수 "100000Mhz", 튜닝 주파수 간격 "8Mhz"로 수행한다.
단계(S204)에서 방송 수신기는 검색 결과를 채널 맵에 저장한다. 이 때, 채널맵은 방송 수신기에 포함된 저장 수단에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방송 수신기는 튜너에 시작 주파수부터 튜닝 주파수 간격으로 채널 주파수를 설정한 후, 방송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고, 방송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채널 정보를 채널맵에 저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송 수신기의 오토 튜닝시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가 설정한 튜닝 주파수 간격으로 오토 튜닝을 수행함으로써, 오토 튜닝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효율성을 높이고, 사용자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방송 신호의 스펙이 명확하지 않은 국가에서의 채널 검색시, 사용자가 입력한 튜닝 주파수 간격으로 채널을 검색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하고, 채널 검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DVB-C 케이블 신호를 제공에 있어서, 주파수 테이블에 주파수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국가에서 오토 튜닝시, 사용자가 원하는 튜닝 범위(시작 주파수~종료 주파수) 및 튜닝 주파수 간격 대로 튜닝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맞는 오토 튜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는 튜너(501), 복조부(502), 역다중화부(503), 오디오/비디오 디코더(504), 디스플레이부(A/V and OSD, 505), 제어부(506), 채널맵(507), 사용자 입력부(50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508)는 사용자로부터의 방송 수신기의 기능 수행과 관련된 명령을 수신하여 제어부(506)로 전달한다. 사용자 입력부(508)는 튜닝 주파수 간격을 입력받는다.
이 때, 사용자 입력부(508)는 복수의 채널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카테고리별로 튜닝 주파수 간격을 선택받을 수 있다. 상기 카테고리는 방송 신호의 종류 및 전송 방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튜너(501)는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채널별 방송 신호를 수신한 후, 사용자 입력부(508)에서 입력된 튜닝 주파수 간격으로 채널들을 검색한다.
이 때, 튜너(501)는,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채널들을 상기 입력된 튜닝 주파수 간격으로 검색한다.
제어부(506)는 검색 결과를 채널맵에 저장한다. 이 때, 제어부(506)는 상기 튜닝 주파수 간격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튜닝 주파수 간격을 선택받을 수 있다. 이 때,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4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바 있다.
복조부(502)는 튜너(501)로 수신된 방송 신호를 복조한다.
역다중화부(503)는 복조부(502)에 의해 복조된 방송 신호로부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로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한다.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의 디멀티플렉싱은 제어부(506)에 의해 제어되될 수 있다. 디멀티플렉싱된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는, 오디오/비디오 디코더(504)로 전송된다.
오디오/비디오 디코더(504)는 전송받은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제어부(506)는 방송 수신기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며, 디코딩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505)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에 대해서 설명하였고, 앞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이 도 5의 방송 수신기에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내용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501: 튜너
502: 복조부
503: 역다중화부
504: 오디오/비디오 디코더
505: 디스플레이부
506: 제어부
507: 채널맵
508: 사용자 입력부

Claims (10)

  1. 방송 수신기의 채널 튜닝 방법에 있어서,
    튜닝 주파수 간격을 입력받는 단계;
    튜너에서 상기 입력된 튜닝 주파수 간격으로 채널들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를 이용하여 저장 수단에 저장된 채널 맵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채널 튜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 주파수 간격을 입력받는 단계는
    복수의 채널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카테고리별로 튜닝 주파수 간격을 선택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튜너에서 상기 입력된 튜닝 주파수 간격으로 채널들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튜너에서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채널들을 상기 입력된 튜닝 주파수 간격으로 검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채널 튜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는 방송 신호의 종류 및 전송 방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채널 튜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 주파수 간격을 선택받는 단계는,
    상기 튜닝 주파수 간격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튜닝 주파수 간격을 선택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채널 튜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튜닝 범위를 입력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튜너에서 상기 입력된 튜닝 주파수 간격으로 채널들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튜닝 범위에서 상기 튜닝 주파수 간격으로 채널들을 검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채널 튜닝 방법.
  6.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튜닝 주파수 간격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튜너에서 상기 입력된 튜닝 주파수 간격으로 채널들을 검색하는 튜너; 및
    상기 검색 결과를 채널맵에 저장하는 제어부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복수의 채널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카테고리별로 튜닝 주파수 간격을 선택받고,
    상기 튜너는,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채널들을 상기 입력된 튜닝 주파수 간격으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는 방송 신호의 종류 및 전송 방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튜닝 주파수 간격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튜닝 주파수 간격을 선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튜닝 범위를 입력받고,
    상기 튜너는 상기 튜닝 범위에서 상기 튜닝 주파수 간격으로 채널들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KR1020100002760A 2010-01-12 2010-01-12 채널 튜닝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KR201100828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760A KR20110082851A (ko) 2010-01-12 2010-01-12 채널 튜닝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760A KR20110082851A (ko) 2010-01-12 2010-01-12 채널 튜닝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851A true KR20110082851A (ko) 2011-07-20

Family

ID=44920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760A KR20110082851A (ko) 2010-01-12 2010-01-12 채널 튜닝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28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016933A (ja)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方法
US20070263124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EP0984626A2 (en) Method of acquiring program guide information, program guide method appropriate for the same, and program guide apparatus
KR100744186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50128183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uning channel thereof
US20090013371A1 (en)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US20120146777A1 (en) Electronic equipment providing electronic manu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29537B1 (ko) 프로그램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80064595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그 채널맵 갱신방법
KR20110082851A (ko) 채널 튜닝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JP5432570B2 (ja) 番組情報検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US8887198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searching channel
KR20080058719A (ko)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선호 방송 프로그램 알림 방법
JP2007116223A (ja) 放送受信方法および放送受信装置
KR20110023035A (ko) 채널 튜닝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JP4850681B2 (ja) 通信端末及びチャンネル決定方法。
JP2008301419A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KR100736611B1 (ko) 디지털 방송의 채널 튜닝 장치와, 그 제어방법, 그리고 그시스템
JP2008060718A (ja) テレビ受信機
JP2005286711A (ja) 放送受信機
JP4067515B2 (ja) 放送受信装置
KR20110018044A (ko) 방송 수신기 및 채널 편집 방법
KR101507838B1 (ko)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채널 맵 구성 방법
KR100782228B1 (ko) 방송 채널 로고 자동 설정방법
JP4293627B2 (ja) 移動通信端末および番組選局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