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838B1 -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채널 맵 구성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채널 맵 구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838B1
KR101507838B1 KR20080092794A KR20080092794A KR101507838B1 KR 101507838 B1 KR101507838 B1 KR 101507838B1 KR 20080092794 A KR20080092794 A KR 20080092794A KR 20080092794 A KR20080092794 A KR 20080092794A KR 101507838 B1 KR101507838 B1 KR 101507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serviceable
service
channels
h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92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3769A (ko
Inventor
서현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92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838B1/ko
Publication of KR20100033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4Deco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video decoders which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3Extrac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기술에 있어서, 특히 시청 가능한 채널을 우선적으로 정렬한 새로운 채널 맵을 구성하는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채널 맵 구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청 가능한 채널을 채널 맵의 우선 검색 영역에 정렬시키거나 시청 불가능한 채널들 채널 맵의 우선 검색 영역에서 제외시켜 정렬하여 새로운 채널 맵을 주기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채널 검색 시 서비스 가능한 채널들만을 우선적으로 확인하여 채널을 선택하도록 해주는 발명이다.
방송 수신기, 채널 맵, 채널 검색 범위, PSI/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Service Information), SDT(Service Description Table), 서비스 타입, PMT(Program Map Table)

Description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채널 맵 구성 방법{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of composing channel map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청 가능한 채널을 우선적으로 정렬한 새로운 채널 맵을 구성하는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채널 맵 구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송 기술은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발전하면서 고화질화 및 다기능화를 실현하였다.
디지털 방송은 하나의 물리적인 채널에 수 개의 방송 프로그램을 동시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에서는 많은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수신된 방송신호로부터 오디오, 비디오 및 부가 데이터를 구분한 다음 그들에 대한 디코딩을 진행한다.
상기 디코딩 시에는 먼저 방송신호의 헤더를 디코딩하는데, 그 헤더는 보통 PSI/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Service Information)를 포함한다. PSI/SI는 방송신호의 오디오와 비디오를 디코딩하여 복원할 시의 제어에 사용된다. 즉, PSI/SI는 오디오와 비디오가 디코딩되어 출력될 때, 언제 어떻게 출력되는가를 제 어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PSI/SI는 주기적으로 반복 전송되며, 그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PSI/SI를 새로운 버전으로 주기적으로 갱신한다.
한편,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을 검색하는 과정을 거친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채널 검색 명령에 따라 여러 주파수 대역을 차례로 튜닝해 가면서 각 주파수 대역으로 전송된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PMT(Program Map Table), SDT(Service Description Table) 등을 포함하는 SI(Service Information)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해당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저장한다.
이후에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사용자가 특정 방송 채널을 선택했을 때, 미리 저장된 방송 관련 정보를 읽어들임으로써 그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오디오 및 비디오의 PID를 설정하고, 그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을 출력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 사용자의 채널 검색을 위해 제공되는 채널 맵에는 현재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지원하지 않는 스펙(Spec)의 채널이 포함될 수도 있고, 방송 서비스가 현재 불가능한 상태(non-running state)인 채널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채널 검색을 위해 업/다운 키를 조작하여 채널 맵에 포함되는 모든 채널을 차례로 확인해 가면서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게 되는데, 종래 기술에서는 서비스 불가(invalid service)한 채널들이 서비스 가능한 채널들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어서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는 검색 과정에서 서비스 불가한 채널들까지도 확인해 야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로 인해, 사용자에게 상당한 불편함을 끼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시청 가능한 채널을 채널 맵의 우선 검색 영역에 정렬시키거나 시청 불가능한 채널들 채널 맵의 우선 검색 영역에서 제외시켜 정렬하여 새로운 채널 맵을 주기적으로 구성하는데 적당한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채널 맵 구성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사용자에 의한 채널 검색 시 서비스 불가한 채널들을 채널 검색 범위에서 제외시킨 새로운 채널 맵을 주기적으로 구성하는데 적당한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채널 맵 구성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일 특징은, 수신 방송신호의 헤더를 디코딩하는 디코더와, 상기 디코딩된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전체 방송 채널 중 서비스 가능 채널과 서비스 불가 채널을 분류하고, 채널 선택을 위한 채널 검색 범위에서 상기 서비스 가능 채널을 우선 정렬한 채널 맵을 구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코딩된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 중 SDT(Service Description Table)을 분석하여, 방송 서비스가 현재 불가능한 상태(non-running state)인 채널을 상기 서비스 불가 채널로 분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코딩된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 중 서비스 타입을 분석하여,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채널을 상기 서비스 가능 채널로 분류하고 라디오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채널을 상기 서비스 불가 채널로 분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코딩된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 중 PMT(Program Map Table)을 분석하여, 상기 디코더에서 디코딩된 오디오 및 비디오 패킷의 PID(Packet Identification)가 존재하는 채널을 상기 서비스 가능 채널로 분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헤더에 포함되는 PSI/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Service Information)의 버전을 분석하여, 상기 PSI/SI의 버전이 갱신될 시마다 상기 채널 맵을 재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류된 서비스 불가 채널을 그룹핑하여 상기 채널 검색 범위에서 최하위로 정렬시킬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분류된 서비스 불가 채널을 상기 채널 검색 범위에서 제외시켜 정렬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채널 맵 구성 방법의 일 특징은, 수신 방송신호에서 헤더를 디코딩하는 단계와, 상기 디코딩된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전체 방송 채널 중 서비스 가능 채널과 서비스 불가 채널을 분류하는 단계와, 상기 분류된 서비스 가능 채널을 채널 선택을 위한 채널 검색 범위에서 우선 정렬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가능 채널이 우선 정렬된 채널 맵을 구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청 가능한 채널을 채널 맵의 우선 검색 영역에 정렬시키거나 시청 불가능한 채널들 채널 맵의 우선 검색 영역에서 제외시켜 정렬하여 새로운 채널 맵을 주기적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한 채널 검색 시 서비스 불가한 채널들을 채널 검색 범위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채널 검색 시 서비스 가능한 채널들만을 우선적으로 확인하여 채널을 선택하도록 해준다. 결국, 채널 검색 과정에서 서비스 불가한 채널들까지도 확인해야되는 불편함을 해소해 준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는 디코더(10), 디스플레이부(20), 제어부(30) 및 메모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방송 수신기는 그 밖에도 방송신호의 재생에 관련된 다른 여러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그들에 대한 상세는 생략한다.
디코더(10)는 수신된 방송신호를 디코딩한다. 일 예로써, 디코더(10)는 방송신호에 포함된 비디오 및 오디오에 대한 디코딩을 실시한다. 디스플레이부(20)는 디코더(10)에서 출력된 비디오를 출력한다.
방송 수신기는 수신된 방송신호로부터 오디오, 비디오 및 부가 데이터를 구분하며, 그에 따라 디코더(10)는 그 구분된 오디오, 비디오 및 부가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진행한다.
한편, 오디오, 비디오 및 부가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에 앞서서, 디코더(10)는 수신된 방송신호의 헤더를 디코딩한다. 그 헤더는 PSI/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Service Information)를 포함한다.
제어부(30)는 디코딩된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를 분석한다. 제어부(30)는 그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전체 방송 채널에서 서비스 가능한 채널을 우선적으로 정렬한 채널 맵(channel map)을 구성한다. 채널 맵에서 우선적으로 정렬된 서비스 가능 채널은 사용자 입장에서 보면 시청 가능한 채널이다.
일 예로, 제어부(30)가 채널 맵에서 서비스 가능 채널을 우선적으로 정렬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업/다운 키를 조작하여 차례로 다수 채널을 검색할 수 있는 범위(이하, 채널 검색 범위)에서 서비스 가능 채널을 우선적으로 확인하게 되며, 서비스 불가 채널은 그 채널 검색 범위에서 서비스 가능 채널보다 하위 순위로 검색되거나 그 채널 검색 범위에서 제외되어 확인 불가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는 채널 맵을 구성할 때, 채널 선택을 위한 채널 검색 범위에서 서비스 가능 채널을 우선적으로 정렬하되, 서비스 불가 채널을 채널 검색 범위 에서 최하위로 정렬시켜 서비스 가능 채널보다 나중에 검색되도록 하거나 채널 검색 범위에서 제외시켜 전혀 검색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든 방송 채널 중에서 서비스 가능 채널을 우선적으로 검색하여 원하는 하나의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30)는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기 위해 다수 채널을 검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그에 따른 채널 검색 및 채널 선택 과정을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한다.
한편, 제어부(30)는 방송신호의 헤더를 디코딩할 시마다 그 헤더에 포함되는 PIS/SI의 버전(version)을 분석하고, 그 PSI/SI의 버전이 갱신될 시마다 채널 맵을 재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PSI/SI의 버전이 갱신되었다는 것은 서비스 가능한 채널이 변경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제어부(30)가 채널 맵을 재구성하는 주기는 PSI/SI 버전의 갱신 주기를 따른다.
제어부(30)는 구성한 채널 맵을 메모리(40)에 저장하며, PSI/SI 버전의 갱신 주기마다 채널 맵을 재구성하여 그 메모리(40)에 저장된 이전 채널 맵을 갱신한다.
상세하게, 제어부(30)는 디코딩된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전체 방송 채널 중 서비스 가능 채널과 서비스 불가 채널을 분류한다. 여기서, 서비스 가능 채널과 서비스 불가 채널로 분류하는데 기준이 되는 조건은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 중 SDT(Service Description Table), 서비스 타입 또는 PMT(Program Map Table) 일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30)는 디코딩된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 중 SDT(Service Description Table)을 분석한다. 그 분석 결과로부터 제어부(30)는 방송 서비스가 현재 불가능한 상태(non-running state)인 채널을 확인하며, 그에 따라 방송 서비스가 현재 불가능한 상태(non-running state)인 채널을 서비스 불가 채널로 분류한다.
다른 예로써, 제어부(30)는 디코딩된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 중 서비스 타입을 분석한다. 그 분석 결과로부터 제어부(30)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채널과 라디오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채널을 확인하며, 그에 따라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채널을 서비스 가능 채널로 분류하고 라디오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채널을 서비스 불가 채널로 분류한다.
또다른 예로써, 제어부(30)는 디코딩된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 중 PMT(Program Map Table)을 분석한다. 그 분석 결과로부터 제어부(30)는 디코더에서 디코딩된 오디오 및 비디오 패킷의 PID(Packet Identification)가 존재하는 채널을 확인하며, 그에 따라, 그 PID가 존재하는 채널을 서비스 가능 채널로 분류하며 그렇지 않은 채널을 서비스 불가 채널로 분류한다.
상기 언급된 여러 조건들에 기반하여 서비스 가능 채널과 서비스 불가 채널로 분류한 후에, 제어부(30)는 서비스 가능 채널을 서비스 불가 채널과 분류하여 정렬한 채널 맵을 구성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어부(30)는 서비스 가능 채널을 우선적으로 정렬한 채널 맵을 구성한다. 그리하여, 채널 선택을 위한 채널 검색 범위에서 그 서비스 가능 채널이 우선적으로 검색되도록 한다.
다른 예로써, 제어부(30)는 분류된 서비스 불가 채널을 그룹핑한다. 그리고, 그 그룹핑된 서비스 불가 채널을 채널 맵의 최하위로 정렬시킨다. 그리하여 채널 선택을 위한 채널 검색 범위에서 그 그룹핑된 채널이 최하위로 검색되도록 한다.
또다른 예로써, 제어부(30)는 분류된 서비스 불가 채널을 채널 맵에서 최하위로 정렬시킨다. 그리고, 채널 선택을 위한 채널 검색 범위에서 서비스 불가 채널을 제외시켜, 그 채널 불가 채널이 전체 검색되지 않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방송 수신기의 구성에 기반하여 채널 맵을 구성하는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채널 맵 구성 절차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코더(10)는 수신 방송신호에서 헤더를 디코딩한다(S10).
제어부(30)는 디코더(10)의 결과로부터 헤더 정보를 분석한다(S20). 여기서, 제어부(30)는 헤더 정보 중 PSI/SI를 분석하되, 그 PSI/SI 중에서 SDT(Service Description Table), 서비스 타입 및 PMT(Program Map Table)을 분석한다.
제어부(30)는 상기한 헤더 정보 분석을 통해 전체 채널 각각에 대한 조건을 확인한다. 상기 조건들은 SDT에 기반한 서비스 가능 상태 여부, 서비스 타입에 기반한 디지털 방송 서비스 가능 여부, PMT에 기반한 오디오 및 비디오 패킷의 PID 존재 여부를 포함한다.
도 2에서는 상기한 3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채널들을 서비스 가능 채널로써 분류하는 예를 나타내었으나, 다른 예로써 상기한 3가지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는 채널들을 서비스 가능 채널로 분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어부(30)는 상기한 헤더 정보 중 SDT를 분석한 결과를 통해 각 채널이 방송 서비스가 현재 가능한 상태(running state)의 채널인지 불가능한 상태(non-running state)의 채널인지를 확인한다(S30). 그에 따라, 현재 서비스 가능한 상태의 채널을 서비스 가능 채널로 정하고, 현재 서비스 불가능한 상태의 채널을 서비스 불가 채널로 분류한다.
이어, 제어부(30)는 서비스 가능 채널로 정해진 채널에 대해, 헤더 정보 중 서비스 타입을 분석한 결과를 통해 해당 채널이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채널인지 아니면 라디오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채널인지를 확인한다(S40). 그에 따라,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채널이면 서비스 가능 채널로 정하고, 라디오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채널이면 서비스 불가 채널로 분류한다.
이어, 제어부(30)는 다시 서비스 가능 채널로 정해진 채널에 대해, 헤더 정보 중 PMT를 분석한 결과를 통해 해당 채널이 수신 방송신호에 포함되는 오디오 및 비디오 패킷의 PID가 존재하는 채널인지 아닌지를 확인한다(S50). 그에 따라, 오디오 및 비디오 패킷의 PID가 존재하는 채널이면 서비스 가능 채널로 최종 분류하고, 그렇지 않으면 서비스 불가 채널로 분류한다.
상기 예와 같이 3가지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제어부(30)는 전체 채널을 서비스 가능 채널과 서비스 불가 채널을 분류한다(S60).
이어, 제어부(30)는 전체 채널 중 분류된 서비스 가능 채널을 우선하여 정렬한다(S70). 예로써, 제어부(30)는 분류된 서비스 가능 채널이 채널 선택을 위한 채널 검색 범위에서 우선 정렬하여, 그 채널 검색 범위에서 그 서비스 가능 채널이 우선적으로 검색되도록 채널 맵을 구성한다.
다른 예로써, 제어부(30)는 일단 분류된 서비스 불가 채널을 그룹핑한다. 그리고 채널 검색 범위에서 우선 정렬된 서비스 가능 채널 보다 하위에 그 그룹핑된 서비스 불가 채널을 정렬할 수 있다.
또다른 예로써, 제어부(30)는 일단 분류된 서비스 불가 채널을 그룹핑한다. 그리고 채널 검색 범위에서 그 그룹핑된 서비스 불가 채널을 제외시킴으로써 채널 선택을 위한 채널 검색 범위에서 채널 불가 채널이 검색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30)는 방송신호의 헤더를 디코딩할 시마다 그 헤더에 포함되는 PIS/SI의 버전(version)을 분석하고, 그 PSI/SI의 버전이 갱신될 시마다 전술된 채널 맵 구성 절차(S10~S70)을 통해 채널 맵을 재구성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채널 맵 구성 절차를 나타낸 플로우챠트.

Claims (14)

  1. 수신 방송신호의 헤더를 디코딩하는 디코더;
    상기 디코딩된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전체 방송 채널 중 서비스 가능 채널과 서비스 불가 채널을 분류하고, 채널 선택을 위한 채널 검색 범위에서 상기 서비스 가능 채널을 우선 정렬한 채널 맵을 구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 중에서, PSI/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Service Information)를 분석하고,
    상기 PSI/SI 중에서, SDT(Service Description Table), 서비스 타입, 그리고, PMT(Program Map Table)을 분석하며,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SDT에 기반한 서비스 가능 상태 여부에 대한 제 1 조건, 상기 서비스 타입에 기반한 디지털 방송 서비스 가능 여부에 대한 제 2 조건, 상기 PMT에 기반한 오디오 및 비디오 패킷의 PID 존재 여부에 대한 제 3 조건을 확인하고,
    상기 제 1, 제 2, 제 3 조건들 중 적어도 어느 한 조건에 따라, 상기 전체 방송 채널 중 서비스 가능 채널과 서비스 불가 채널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코딩된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 중 SDT(Service Description Table)을 분석하여, 방송 서비스가 현재 불가능한 상태(non-running state)인 채널을 상기 서비스 불가 채널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코딩된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 중 서비스 타입을 분석하여,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채널을 상기 서비스 가능 채널로 분류하고 라디오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채널을 상기 서비스 불가 채널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코딩된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 중 PMT(Program Map Table)을 분석하여, 상기 디코더에서 디코딩된 오디오 및 비디오 패킷의 PID(Packet Identification)가 존재하는 채널을 상기 서비스 가능 채널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헤더에 포함되는 PSI/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Service Information)의 버전을 분석하여, 상기 PSI/SI의 버전이 갱신될 시마다 상기 채널 맵을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류된 서비스 불가 채널을 그룹핑하여 상기 채널 검색 범위에서 최하위로 정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류된 서비스 불가 채널을 상기 채널 검색 범위에서 제외시켜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
  8. 수신 방송신호에서 헤더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디코딩된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전체 방송 채널 중 서비스 가능 채널과 서비스 불가 채널을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서비스 가능 채널을 채널 선택을 위한 채널 검색 범위에서 우선 정렬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가능 채널이 우선 정렬된 채널 맵을 구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코딩된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전체 방송 채널 중 서비스 가능 채널과 서비스 불가 채널을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 중에서, PSI/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Service Information)를 분석하고,
    상기 PSI/SI 중에서, SDT(Service Description Table), 서비스 타입, 그리고, PMT(Program Map Table)을 분석하며,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SDT에 기반한 서비스 가능 상태 여부에 대한 제 1 조건, 상기 서비스 타입에 기반한 디지털 방송 서비스 가능 여부에 대한 제 2 조건, 상기 PMT에 기반한 오디오 및 비디오 패킷의 PID 존재 여부에 대한 제 3 조건을 확인하고,
    상기 제 1, 제 2, 제 3 조건들 중 적어도 어느 한 조건에 따라, 상기 전체 방송 채널 중 서비스 가능 채널과 서비스 불가 채널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채널 맵 구성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가능 채널과 상기 서비스 불가 채널을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디코딩된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 중 SDT(Service Description Table)을 분석하여 방송 서비스가 현재 불가능한 상태(non-running state)인 채널을 상기 서비스 불가 채널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채널 맵 구성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가능 채널과 상기 서비스 불가 채널을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디코딩된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 중 서비스 타입을 분석하여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채널을 상기 서비스 가능 채널로 분류하고 라디오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채널을 상기 서비스 불가 채널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채널 맵 구성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가능 채널과 상기 서비스 불가 채널을 분류 하는 단계는,
    상기 디코딩된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 중 PMT(Program Map Table)을 분석하여 상기 수신 방송신호에 포함되는 오디오 및 비디오 패킷의 PID(Packet Identification)가 존재하는 채널을 상기 서비스 가능 채널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채널 맵 구성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 중 PSI/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Service Information)의 버전을 분석하여 상기 PSI/SI의 버전이 갱신될 시마다 상기 채널 맵을 재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채널 맵 구성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가능 채널을 상기 채널 검색 범위에서 우선 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분류된 서비스 불가 채널을 그룹핑하고, 상기 채널 검색 범위에서 상기 우선 정렬된 상기 서비스 가능 채널 보다 하위에 상기 그룹핑된 서비스 불가 채널을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채널 맵 구성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가능 채널을 상기 채널 검색 범위에서 우선 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분류된 서비스 불가 채널을 그룹핑하고, 상기 채널 검색 범위에서 상기 그룹핑된 서비스 불가 채널을 제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기의 채널 맵 구성 방법.
KR20080092794A 2008-09-22 2008-09-22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채널 맵 구성 방법 KR101507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92794A KR101507838B1 (ko) 2008-09-22 2008-09-22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채널 맵 구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92794A KR101507838B1 (ko) 2008-09-22 2008-09-22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채널 맵 구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769A KR20100033769A (ko) 2010-03-31
KR101507838B1 true KR101507838B1 (ko) 2015-04-03

Family

ID=42182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92794A KR101507838B1 (ko) 2008-09-22 2008-09-22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채널 맵 구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8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549A (ko) * 2004-01-15 2005-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 전환을 위한 다중 채널맵을 생성하는 채널맵생성장치및 그 방법
KR100747052B1 (ko) 1999-07-13 2007-08-07 톰슨 라이센싱 패킷화된 프로그램 정보를 처리하고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052B1 (ko) 1999-07-13 2007-08-07 톰슨 라이센싱 패킷화된 프로그램 정보를 처리하고 디코딩하기 위한 방법
KR20050075549A (ko) * 2004-01-15 2005-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 전환을 위한 다중 채널맵을 생성하는 채널맵생성장치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769A (ko) 201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32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channel between duplicate service channels at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US8094241B2 (en) Digital broadcast reception device and related method to determine programs included in receivable programs
CN102118591B (zh) 数字广播接收装置以及数字广播接收方法
JP4176519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1042850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특정 프로그램의방송 채널을 검색하는 방법
US200902657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hannel selection in a digital broadcast reception terminal
US8533769B2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digital broadcast receiving method
KR100520929B1 (ko)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그 수신방법
US10869097B2 (en) Television board card, television system and television system configuration method
CN1956521B (zh) 用于改变/管理频道的方法和广播接收器
US20090013371A1 (en)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KR101507838B1 (ko)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채널 맵 구성 방법
JP2007288603A (ja) 放送受信装置
US20080115165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broadcast channel list for each region
KR101435829B1 (ko)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US8826323B2 (en)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minor channels for digital televisions
JP2011035629A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放送受信方法
EP2227007A2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mproved in information updating method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266782B1 (ko) 모바일 tv 시스템 및 그 채널 변경 속도 개선 방법
KR100930561B1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채널 선국 방법
KR101482790B1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히든 채널 전환 방법
JP2002374474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KR101084094B1 (ko) 디지털 tⅴ의 시간 변경 서비스를 이용한 채널 변경 방법
KR20110082851A (ko) 채널 튜닝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KR100615693B1 (ko)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이피지(epg) 채널 추가 및삭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