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2803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2803A
KR20110082803A KR1020100002696A KR20100002696A KR20110082803A KR 20110082803 A KR20110082803 A KR 20110082803A KR 1020100002696 A KR1020100002696 A KR 1020100002696A KR 20100002696 A KR20100002696 A KR 20100002696A KR 20110082803 A KR20110082803 A KR 20110082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wind guide
condenser fixing
fixing part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2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윤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00002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2803A/ko
Publication of KR20110082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28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8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전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내부상자와, 내부상자를 둘러싸고, 내부에 전장실이 형성되는 외부상자와, 내부상자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와, 외부상자에 결합되며, 냉각팬에 의한 공기 흐름을 가이드하는 윈드가이드부 및 윈드가이드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콘덴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덴서 고정부를 윈드가이드부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콘덴서의 고정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DEVI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덴서 고정부를 윈드가이드부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콘덴서의 고정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식품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장치로서 현재까지 여러 종류의 장치가 제안되어 왔다. 가장 원초적인 가열기구는 열원과 직접 접촉하는 용기가 있으며, 이러한 용기 내에 조리하고자 하는 내용물을 넣고 열을 가함으로 조리물을 요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기에너지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이용하는 많은 종류의 조리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일례로서 마이크로웨이브를 가열원으로 이용하는 전자레인지를 들 수 있다. 전자레인지는 전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시켜서 조리 대상물에 침투시고, 내부에서 분자운동을 일으키는 것에 의하여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는 조리장치이다.
전자레인지는 마그네트론의 고주파를 조리물에 조사시켜 그 내부 및 외부를 동시에 가열하는 주방용 기구로서, 높은 열효율에 따른 조리물의 조리시간을 대폭 단축하고, 조리물의 조리나 해동 및 데우기 과정에서 영양가의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조리물을 용기에 저장한 채로 직접 조리하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널리 사용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에는 콘덴서를 콘덴서 고정부에 안착시킨 후 스크류를 통해 콘덴서 고정부를 전장실의 하측면에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콘덴서의 고정을 이루었으나, 이러한 방식의 경우 콘덴서의 교체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콘덴서 고정부를 윈드가이드부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콘덴서의 고정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전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내부상자; 상기 내부상자를 둘러싸고, 내부에 전장실이 형성되는 외부상자; 상기 내부상자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외부상자에 결합되며, 냉각팬에 의한 공기 흐름을 가이드하는 윈드가이드부; 및 콘덴서를 둘러싸고, 상기 윈드가이드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콘덴서 고정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덴서 고정부는 일단부가 상기 윈드가이드부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덴서 고정부와 상기 윈드가이드부의 결합 부위에는 외측면에 노치부가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덴서 고정부는 타단부에 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윈드가이드부는 상기 후크부에 대응되는 후크홀부가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덴서 고정부에는 상기 콘덴서의 테두리돌출부가 안착되는 안착홀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윈드가이드부와 상기 콘덴서 고정부는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 의하면, 콘덴서 고정부를 윈드가이드부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콘덴서의 고정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 의하면, 콘덴서 고정부를 윈드가이드부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윈드가이드 및 콘덴서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콘덴서 고정부에 콘덴서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윈드가이드 및 콘덴서 고정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콘덴서 고정부에 콘덴서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윈드가이드부 및 콘덴서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콘덴서 고정부에 콘덴서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윈드가이드부 및 콘덴서 고정부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콘덴서 고정부에 콘덴서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과 도 5를 참조하면, 조리기기(M)는 크게 캐비넷(1), 도어(2), 조작패널(미도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캐비넷(1)은 전면이 개구되는 직육면체 상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상자(10)와 외부상자(20)를 조합시킴으로써 구성된다. 내부상자(10)의 내부는 전면이 개구되어 음식물이 입출되는 조리실(10a)을 이루고, 외부상자(20)는 내부상자(10)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캐비넷(1)에는 전면 하단부에 위치되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도어(2)가 장착된다. 조리실(10a)의 전면은 도어(2)가 수직 위치로 회전될 때 폐쇄되고, 도어(2)가 수평 위치에 놓일 때 개방된다.
조작패널은 전원스위치를 포함하여 조리기기(M)의 각종 조리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조작버튼이 배열된다. 이러한 조작버튼을 가압하게 되면 선택 신호가 제어부(미도시)에 전달되어 선택된 조리 기능이 수행된다.
내부상자(10)는 전면이 개구되는 직육면체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상자(10)의 일측에는 격벽판(3)으로 구획되는 전장실(20a)이 배치된다.
전장실(20a)에는 고주파를 발진시키는 마그네트론(4)과, 외부 전원을 고압으로 변환하는 고압트랜스(미도시)와, 고압트랜스에서 변환된 전원을 충전한 후 마그네트론(4)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콘덴서(C)와, 마그네트론(4)과 고압트랜스 등을 냉각하는 냉각팬(5)과 같은 각종 전장부품이 구비된다. 또한, 전장실(20a)의 전방에는 조리기기(M)의 작동을 조작하는 제어부가 구비된다.
냉각팬(5)은 외부상자(20)의 후측판에 장착되는 윈드가이드부(40) 내부에 배치된다. 윈드가이드부(40)의 내부에는 냉각팬(5) 외에도 냉각팬(5)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냉각모터(미도시)가 배치되며, 냉각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냉각팬(5)에 의해 유발되는 공기 흐름은 윈드가이드부(40)에 의해 전장실(20a) 곳곳으로 안내된다.
콘덴서 고정부(50)는 콘덴서(C)의 외측면 둘레를 감싸서 전장실(20a)의 일측에 콘덴서(C)를 고정한다. 이러한 콘덴서 고정부(50)는 윈드가이드부(40)와 일체로 형성된다. 콘덴서 고정부(50)는 윈드가이드부(40)와 동일한 수지 재질인 경우 사출 성형에 의해 윈드가이드부(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콘덴서 고정부(50)를 윈드가이드부(40)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콘덴서 고정부(50)의 일단부는 윈드가이드부(40)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콘덴서 고정부(50)는 윈드가이드부(40)의 하측에 배치된다.
콘덴서 고정부(50)의 일단부 즉, 콘덴서 고정부(50)와 윈드가이드부(40)의 결합 부위에는 노치부(51)가 형성된다. 이러한 노치부(51)에 의해 콘덴서 고정부(50)는 외측 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콘덴서 고정부(50)의 타단부에는 후크부(52)가 형성된다. 후크부(52)가 윈드가이드부(40)의 일측에 형성되는 후크홀부(41)에 안착되면, 콘덴서 고정부(50)는 윈드가이드부(40)에 가결합된다.
즉, 콘덴서 고정부(50)는 일단부가 윈드가이드부(4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부에 후크부(52)가 형성되므로, 콘덴서(C)를 콘덴서 고정부(50)에 안착시킨 후 콘덴서 고정부(50)를 회동시키면 후크부(52)가 후크홀부(41)에 걸림 결합됨으로써, 콘덴서 고정부(50)를 윈드가이드부(4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콘덴서(C)를 안착한 콘덴서 고정부(50)가 윈드가이드부(40)에 가결합된 상태에서, 체결부재(S)를 외부상자(20)의 후측판과 윈드가이드부(40)의 체결홀부(42)를 관통시켜 콘덴서 고정부(50)의 결합홀부(54)에 체결하면, 콘덴서 고정부(50)와 윈드가이드부(40)의 결합은 완료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부재(S)를 해체한 후 후크부(52)를 후크홀부(41)로부터 탈거시키기만 하면 콘덴서(C)를 콘덴서 고정부(50)로부터 빼낼 수 있으므로, 콘덴서(C)의 교체 작업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콘덴서 고정부(50)에는 콘덴서(C)의 테두리돌출부(d)가 안착되는 안착홀부(53)가 형성된다. 콘덴서(C)의 일단부에는 타 테두리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테두리돌출부(d)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테두리돌출부(d)가 안착될 수 있도록 테두리돌출부(d)의 위치와 대응되는 부위에 안착홀부(53)가 형성된다. 이로써, 콘덴서(C)는 콘덴서 고정부(50)에 안착될 때 테두리돌출부(d) 또한 안착홀부(53)에 삽입되므로, 콘덴서 고정부(50) 내부에서 콘덴서(C)의 유동은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마그네트론(4)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콘덴서(C)는 윈드가이드부(40)와 일체로 형성되는 콘덴서 고정부(50)에 장착된다. 콘덴서 고정부(50)는 일단부가 윈드가이드부(4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콘덴서 고정부(50)를 전방으로 회동시킨 후 콘덴서(C)를 콘덴서 고정부(50)에 장착한다. 콘덴서 고정부(50)의 일단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노치부(51)가 형성되므로, 파손 부위 없이 콘덴서 고정부(50)의 전방 회동은 이루어지게 된다.
콘덴서(C)를 콘덴서 고정부(50)에 장착한 후 콘덴서 고정부(50)를 후방으로 회동시키면 콘덴서 고정부(50)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후크부(52)가 윈드가이드부(40)의 후크홀부(41)에 걸림 결합된다. 이에 의해 콘덴서 고정부(50)는 윈드가이드부(40)에 가결합되고, 이후 체결부재(S)를 외부상자(20) 및 체결홀부(42)를 관통시켜 콘덴서 고정부(50)의 결합홀부(54)에 체결한다. 이로써, 콘덴서 고정부(50)와 윈드가이드부(40)의 결합은 완료된다.
반대로, 콘덴서(C)의 콘덴서 고정부(50)로부터의 탈거는 체결부재(S)를 해체하고, 후크부(52)의 걸림 결합을 해제한 후, 콘덴서 고정부(50)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콘덴서 고정부(50)의 회동과 체결부재(S)의 체결만으로 콘덴서(C)의 고정 및 교체는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40 : 윈드가이드 41 : 후크홀부
50 : 콘덴서 고정부 51 : 노치부
52 : 후크부 53 : 안착홀부

Claims (6)

  1. 전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내부상자;
    상기 내부상자를 둘러싸고, 내부에 전장실이 형성되는 외부상자;
    상기 내부상자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외부상자에 결합되며, 냉각팬에 의한 공기 흐름을 가이드하는 윈드가이드부; 및
    콘덴서를 둘러싸고, 상기 윈드가이드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콘덴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 고정부는 일단부가 상기 윈드가이드부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 고정부와 상기 윈드가이드부의 결합 부위에는 외측면에 노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 고정부는 타단부에 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윈드가이드부는 상기 후크부에 대응되는 후크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 고정부에는 상기 콘덴서의 테두리돌출부가 안착되는 안착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드가이드부와 상기 콘덴서 고정부는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KR1020100002696A 2010-01-12 2010-01-12 조리기기 KR201100828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696A KR20110082803A (ko) 2010-01-12 2010-01-12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696A KR20110082803A (ko) 2010-01-12 2010-01-12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803A true KR20110082803A (ko) 2011-07-20

Family

ID=44920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696A KR20110082803A (ko) 2010-01-12 2010-01-12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280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9838B2 (en) Convection part for electric oven range
EP2879465B1 (en) Microwave oven
CN101464014A (zh) 一种具有烧烤功能的微波炉
KR20110082803A (ko) 조리기기
KR20130017202A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CN213721539U (zh) 烹饪电器
KR20080057738A (ko) 내부 조리실을 갖는 전자레인지
KR20080057733A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잠금장치
CN218763550U (zh) 一种集成灶上置微波结构
CN209569792U (zh) 一种具有保温功能的吸油烟机
KR101732160B1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CN220859922U (zh) 烹饪设备、集成灶
KR200386106Y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100692579B1 (ko) 조리실 가변형 전자렌지
CN206113049U (zh) 转盘电机支架及微波炉
KR101328417B1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KR20130123552A (ko) 전자레인지
KR20100081242A (ko) 다기능 전자레인지의 히터결합체
KR20160123673A (ko) 조리기기
KR200340873Y1 (ko) 전자렌지의 트레이 모터 고정구조
JPH1172233A (ja) 電子レンジ
KR100697456B1 (ko) 오븐도어 구조
KR20110020595A (ko) 이중 회전축을 갖는 전자레인지
KR20060013872A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20120044575A (ko) 전자레인지용 스팀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