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1887A - 안테나 빔-지터 및 cqi 보정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범위를 향상시키는 기지국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안테나 빔-지터 및 cqi 보정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범위를 향상시키는 기지국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1887A
KR20110081887A KR1020117012325A KR20117012325A KR20110081887A KR 20110081887 A KR20110081887 A KR 20110081887A KR 1020117012325 A KR1020117012325 A KR 1020117012325A KR 20117012325 A KR20117012325 A KR 20117012325A KR 20110081887 A KR20110081887 A KR 20110081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tter
cqi
estimated
user terminal
sin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2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알 제이. 몰나르
보 하게르만
Original Assignee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filed Critical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ublication of KR20110081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18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9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different transmission schemes, at least one of them being a diversity transmission sche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2Channel quality parameters, e.g.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Abstract

안테나 빔 지터 및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 보정을 사용하여 고정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범위를 향상시키는 기지국 및 방법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a) 빔 형성 패턴에 빔 지터를 도입시킴으로써 빔을 수정하는 단계; (b)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추정된 채널 품질 정보(CQI)를 수신하는 단계; (c) 지터 조정된 CQI 추정치를 획득하기 위해 추정된 CQI에 대한 빔 지터의 효과를 고려하는 단계; 및 (d) 사용자 단말기로의 장래의 전송에 대한 사용자 스케줄링 동안 지터 조정된 CQI 추정치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테나 빔-지터 및 CQI 보정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범위를 향상시키는 기지국 및 방법{BASE STATION AND METHOD FOR IMPROVING COVERAG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NTENNA BEAM-JITTER AND CQI CORREC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안테나 빔 지터 및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 보정을 사용하여 고정 빔(fixed-beam)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범위를 향상시키는 기지국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기의 약어가 여기에 정의되어 있으며, 이들 중 적어도 일부가 종래 기술 및 본 발명에 대한 이하의 설명 내에서 참조된다.
BLER Block Error Rate
CPICH Common Pilot Channel
CQI Channel Quality Information
CRC Cyclic Redundancy Check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HS-DSCH High-Speed Downlink Shared Channel
HSDPA 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IS Interim Standard
LTE Long Term Evolution
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I Mutual Information
SINR 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SNR Signal to Noise Ratio
TDRF Transmit Diversity with Rich Feedback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무선 통신 분야에서, 코히런트 결합(coherent combining)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캘리브레이션된 다이버시티 안테나(calibrated diversity antenna)로부터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빔 형성을 갖는 고정 빔 구성에 대해 적응적 방향 조정(adaptive directional steering)을 위해 동위상화(co-phase)될 수 있는 안테나에 이르는, 현재 및 장래의 기지국 설치에 고려될 수 있는 다수의 고급 안테나 기술/구성이 있다. 현재 기지국에 존재하는 한 측면은 이동 기기의 링크 적응 및 스케줄링을 수행할 때 이동 기기로부터의 채널 품질 피드백을 사용함으로써 이동 기기의 서비스 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채널 품질 피드백의 유형이 상이한 안테나 구성에 대해 다를 수 있지만, 각각의 안테나 구성이 서비스 범위를 향상시키기 위해 채널 품질 피드백의 사용에 상보적이어야만 한다. 그러나, 각각의 유형의 안테나 구성은 링크 적응 프로세스 또는 사용자 스케줄링에 대한 부정합을 야기하지 않고 최소화될 필요가 있는 단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캘리브레이션된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설치하는 기지국은 이동 기기로부터 피드백되는 채널 상태 정보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기지국은 차후의 전송이 채널에 정합되도록 각각의 송신 안테나에 대한 전송 가중치를 계산할 수 있다. 이 시나리오는 폐루프 송신 다이버시티 또는 TDRF(transmit diversity with rich feedback)라고 하며, 요소들(예를 들어, 큰 공간 분리 또는 상이한 편파를 가지는 안테나들) 간에 높은 상관을 나타내지 않는 송신 안테나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WCDMA 통신 시스템의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data access) 모드에 대해 상기한 것과 유사한 방식을 생각해보자. WCDMA 통신 시스템에서 많은 이동 기기가 있을 때 일어나는 이 특정의 방식을 사용할 때의 한가지 문제점에 대해서는 다음에 기술한다. 기지국은 기지국에 피드백된 스케줄링된(즉, 원하는) 이동 기기의 채널 상태 정보(예를 들어, 채널의 추정치)에 따라 전송 가중치를 설정한다. 스케줄링된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 전송 동안에, 스케줄링되지 않은 이동 기기는 차례로 상향링크 피드백 전송 후에 자신의 채널 상태 피드백(예를 들어, 채널의 추정치)을 계산한다. 그러나, 발생하는 어려움은 공통 파일럿 채널(common pilot channel, CPICH) 상에서 스케줄링되지 않은 이동 기기에 의해 측정되는 SINR이 HS-DSCH(high-speed downlink shared channel) 상에서 달성되는 SINR과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어려움이 발생하는 이유는 각각의 채널마다 전송 가중치가 다를 수 있고, 이로 인해 상이한 간섭 영역(interference footprint)이 존재하게 되어 SINR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그 결과, CPICH 및 HS-DSCH 채널 상에서 달성가능한 SINR과 측정된 SINR 간에 부정합이 있다. 결과적으로, 기지국은 스케줄링되지 않은 이동 기기에 대해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변조 및 코딩 방식)를 선택할 때 이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 주제는 2005년 6월 23일자로 공개된, 발명의 명칭이 "SIR Estimates for Non-Scheduled Mobile Terminals(스케줄링되지 않은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SIR 추정치)"인 공동 양도된 미국 특허 출원 제2005/0136840 A1호(그 전체 내용이 참조 문헌으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됨)에 기술되어 있다.
대안으로서, 가까운 간격으로 있는 어레이 요소를 가지는 동위상화된 안테나를 설치하는 기지국은 원하는 이동 기기 쪽으로의 에너지를 적응적으로 조정하고 다른 방향으로는 아무것도 두지 않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방식과 유사하며, 단지 이제는 어레이의 동위상화가 들어오는 신호 및 나가는 신호의 방향성을 설정한다. 이 종래의 빔 형성 방식은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조정 가중치를 생성하기 위해 상향링크로부터 방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채널 상태 정보가 이동 기기로부터 피드백될 필요가 없지만, SINR 또는 MCS 정보와 같은 소정의 채널 품질 척도가 전송되어야만 한다. 이것은 흔히 채널 품질 정보(channel quality information, CQI)라고 하며, CQI가 SINR에 기초하기 때문에, 빔 형성의 적응적 성질로 인해 상기한 것과 유사한 부정합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상기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5/0136840 A1호는 또한 이 주제에도 적용되는데, 그 이유는 주된 문제가 CQI 예상치 않게 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다른 대안에서, 고정빔 안테나 구성을 설치하는 기지국은 고정 조정 방향을 가지는 셀 또는 섹터 내에 배치된 다수의 빔을 가질 수 있다. 이들 빔 중 하나가 이동 기기 또는 기지국에 의해 측정되는 소정의 기준에 기초하여 특정의 이동 기기로의 전송을 위해 선택된다. 예를 들어, 이동 기기는 각각의 빔에서 파일럿 채널을 따라 전송되는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기지국이 차후의 전송을 위해 사용해야 하는 가장 강한 빔을 선택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최상의 상향링크 빔에서의 신호 세기와 같은 상향링크 전송 동안에 행해진 측정 또는 이동 기기의 방향이 전송을 위한 하향링크 빔을 선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안테나 시스템 측면에서 볼 때 더 간단하지만, 캘리브레이션된 다이버시티 안테나 및 동위상화된 안테나에 대해 상기한 것과 유사한 CQI 보고와 관련되어 있는 고정 빔에 관한 다수의 문제가 여전히 있다. 게다가, 빔 패턴의 고정 특성과 관련하여 존재하는 서비스 범위와 관련되어 있는 고정 빔에 관한 다수의 문제가 있다. 이들 문제에 대해 이하에서 도 1 및 도 2(종래 기술)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도 1(종래 기술)을 참조하면, 이동 기기(102)(단지 3개만 도시됨) 및 고정 빔 안테나 회로망(106), 스케줄러 유닛(108), 및 사용자 데이터 큐(110)를 포함하는 종래의 기지국(104)을 가지는 고정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기본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록도가 있다(유의할 점: 당업자라면 본 설명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공지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이 생략되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기본적으로, 스케줄러 유닛(108)은 [그 자체가 사용자 데이터(114)를 수신하는 사용자 데이터 큐(110)로부터의] 사용자 정보(112) 및 [이동 기기(102)로부터의] CQI(116)를 수신하고, 이어서 이 정보(112, 116)를 처리하여 사용자 데이터(114)를 전송할 특정 이동 기기(예를 들어, 102a) 및 사용자 데이터(114)를 특정 이동 기기(102a)로 전송할 고정 빔을 선택한다. 상세하게는, 스케줄러 유닛(108)운 정보(112, 116)를 처리하여 특정 이동 기기(102a)를 선택하고[사용자 선택(118)] 이어서 사용자 데이터(114)를 이동 기기(102a)로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전송 속도(120) 및 빔 선택(122)을 결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줄러 유닛(108)은 사용자 선택(118) 및 전송 속도(120)를 사용자 데이터 큐(110)에 전달하고 빔 선택(122)을 고정 빔 안테나 회로망(106)에 전달한다. 고정 빔 안테나 회로망(106)은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빔 형성을 사용하여 고정 빔을 생성한다.
도 2(종래 기술)을 참조하면, 종래의 기지국(104)으로부터 방출되는 고정 빔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있으며, 여기서 빔 패턴은 180도에 걸쳐 있는 4개의 직교 빔(200a, 200b, 200c, 200d)을 가지지만, 서비스 범위 영역은 실제로 180도의 일부(예를 들어, 중앙의 120도)를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빔 각각에 대해 특정의 고정빔 패턴에 대한 빔 이득이 방향에 대해 나타내어져 있다. 이 이상적인 고정 빔 패턴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특성이 관찰될 수 있다:
ㆍ 2개의 중앙 빔 사이의 교차점에서 대략 2 dB의 손실이 있다.
ㆍ 빔이 각도 빔(즉, 이동 기기) 방향의 함수로서 같지 않은 주 빔 폭(main-beam width)을 가진다.
ㆍ 하나의 빔의 높은 측엽(side-lobe) 레벨은 다른 빔에 있는 이동 기기에 간섭을 야기할 수 있고, 이것은 빔 교차점에서 가장 두드러진다.
ㆍ 요소 패턴이 어레이 패턴과 승법적(multiplicative)이고, 각도 빔 방향의 함수로서 빔 형성 이득의 손실을 야기한다.
과거에는, 이 문제가 다른 방식으로 해결되었다. 예를 들어, 교차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보다 좁은 빔이 추가될 수 있고, 빔 형상이 방향의 함수로서 변경될 수 있다. 게다가, 교차점에서 서비스 범위를 향상시키고 측엽 레벨을 향상시키기 위해 비직교(즉, 테이퍼형) 빔이 추가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피크 이득의 손실을 가져온다. 다른 방법은 임의의 이동 기기 방향에 대해 동일한 평균 이득을 갖도록 특정의 빔에 대한 빔 형상을 시간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 방법은 2001년 11월 16일자로 출원된, 공동 양도된 스웨덴 특허 출원 제010381703호(그 전체 내용이 참조 문헌으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됨)에서 고려되고 논의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문제에 대한 제안된 해결책은, 하향링크 서비스 범위를 향상시키기 위해 빔 선택이 사용될 때, 상기한 CQI 측정 문제를 해소하지 못한다. 상세하게는, CQI를 측정하는 것과 연관된 문제로 인해 빔이 원하는(즉, 스케줄링된) 이동 기기로 향하게 될 수 있지만, 잠재적으로 스케줄링되지 않은 이동 기기에 대한 간섭이 야기된다. 이러한 이유는 스케줄링되지 않은 이동 기기가 주 빔 방향 내에 또는 측엽 방향에 위치될 수 있고, 각각의 경우에 간섭이 다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CQI가 SINR 레벨에 기초할 때, CQI는 또한 고정 빔 중앙에 대한 이동 기기의 위치에 따라 변할 것이다. 따라서, 균일한 서비스 범위를 획득하는 목표는 또한 고정 빔 안테나 구성과 연관된 상기한 문제를 해소할 때 보다 정확하고/예측가능한 CQI 값을 획득하는 것을 고려해야만 한다. 이들 문제 및 기타 문제가 본 발명에 의해 만족된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고정 빔 형성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범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a) 빔 형성 패턴에 빔 지터를 도입시킴으로써 빔을 수정하는 단계; (b)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추정된 채널 품질 정보(CQI)를 수신하는 단계; (c) 지터 조정된 CQI 추정치를 획득하기 위해 추정된 CQI에 대한 빔 지터의 효과를 고려하는 단계; (d) 사용자 단말기로의 장래의 전송에 대한 사용자 스케줄링 동안 지터 조정된 CQI 추정치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이 바람직한 이유는, 서비스 범위를 향상시키고 또한 고정 빔 형성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더 나은 안정성을 가져다 주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사용자 데이터 큐, 빔 형성 안테나 회로망, 스케줄러 유닛, 및 지터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기지국을 제공한다. 스케줄러 유닛은 사용자 데이터 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추정된 채널 품질 정보(CQI)를 수신하며, 지터 제어 유닛으로부터 빔 지터 정보를 수신하고, 이어서 추정된 CQI에 대한 빔 지터의 효과를 고려하고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할 사용자 단말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사용자 단말기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할 빔 형성 안테나 회로망에서 어느 빔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터 조정된 CQI 추정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 정보 모두를 처리한다. 빔 형성 안테나 회로망은 스케줄러 유닛으로부터 빔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지터 제어 유닛으로부터 빔 지터 정보를 수신하며, 이어서 빔 형성 패턴에 빔 지터를 도입시키기 위해 선택된 빔을 수정한다. 이 기지국은 서비스 범위를 향상시키고 또한 고정 빔 형성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더 나은 안정성을 가져다 주는 데 도움을 준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 실행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제공하며, 여기서 프로세서는 메모리와 인터페이스하고, (a) 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빔 형성 패턴에 빔 지터를 도입시킴으로써 빔을 수정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고; (b) 수신된 신호와 연관된 채널 품질 정보(CQI)를 추정하며; (c) 지터 조정된 CQI 추정치를 획득하기 위해 추정된 CQI에 대한 빔 지터의 효과를 고려하고 - 고려하는 동작은 빔 지터로 인한 추정된 CQI의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변화의 양을 추정하는 것을 포함함 -; (d) 추정된 CQI 및 지터 조정된 CQI 추정치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프로세서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서비스 범위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주고 또한 고정 빔 형성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더 나은 안정성을 가져다 주는 데 도움을 준다.
본 발명의 부가의 양태가 부분적으로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 도면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술될 것이며, 부분적으로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도출될 것이거나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알 수 있다. 이상의 개괄적인 설명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 둘다가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적이며 개시된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종래 기술)는 각각 종래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 및 본 발명에 의해 해소되는 문제점을 설명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사용되는 고정 빔 패턴의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빔 지터 및 CQI 보정을 사용하여 고정 빔 형성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범위를 향상시키는 방법의 기본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빔 지터 방법에 의해 수정된 빔 패턴의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빔 지터 방법에 의해 수정된 다른 빔 패턴의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빔 또는 일련의 빔에 대한 빔 형성 패턴에 지터를 사전 결정적으로 적용함으로써 평균적으로 방향에 걸쳐 똑같은 빔 형성 이득을 제공함으로써 고정 빔 형성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범위를 향상시키는 기지국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기지국 및 방법은 특정의 서비스 범위 영역이 어떤 원하는 타임프레임에 걸쳐 똑같은 빔 형성 이득을 획득하도록 고정 빔 안테나 구성으로 빔 지터를 사용함으로써 똑같은 서비스 범위를 획득한다. 빔 지터(즉, 빔 변동)가 원래의 고정 빔 패턴의 상대 방향으로 한정되며, 따라서 이는 고정 빔 형성 시스템에서 여전히 고려된다(이 특정의 특징이 상기한 링크 적응 문제를 해소한다). 각각의 빔이 원래의 고정 빔 방향과 동일한 상대 방향으로 한정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예를 들어, 이동 기기, 고정 위치 단말기)는 한번에 SINR을 계산하고 CQI 보고서를 기지국으로 다시 전송할 수 있다. CQI 보고서는 다음과 같은 항목들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ㆍ SINR(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ㆍ SNR(Signal to noise ratio);
ㆍ MI(Mutual information);
ㆍ SINR 또는 SNR 값의 함수;
ㆍ BLER(block error rate) 또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 등의 포스트 수신기 품질(post receiver quality)을 나타내는 양.
기지국은 이어서, 장래에 사용자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때 MCS 값이 적절히 선택되도록, 소정의 빔 지터를 고려하고 CQI 보고서를 조정할 수 있다(이 특정의 특징이 상기한 사용자 선택 문제를 해소한다). 본 발명의 기지국 및 방법에 관한 상세한 설명이 그 다음에 도 3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제공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빔-지터 및 CQI 보정을 사용하여 고정 빔 형성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범위를 향상시키는 방법(300)의 기본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가 있다. 이 방법(300)은, 예를 들어, IS-136, GSM 및 WCDMA 표준에 기초한 시스템에 대해 디지털 빔 형성 또는 아날로그 빔 형성을 이용하는 기지국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 방법(300)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ㆍ 단계(302):
ㆍ 빔이 공칭 고정 빔 형성 구성(nominal fixed beam-forming configuration)에서 빔들 중 하나와 동일한 상대 방향을 가리키고;
ㆍ 원래의 고정 빔 형성 구성으로부터의 공칭 고정 빔 내에 위치해 있는 임의의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서비스 범위 이득이 대략 동일하도록 일정한 기간에 걸쳐 지터가 변화되도록
빔 형성 패턴에 지터를 도입시킴으로써 빔을 수정하는 단계.
ㆍ 단계(304 및 306):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추정된 CQI를 수신하고 이어서 추정된 CQI에 대한 빔 지터의 효과를 고려하여 지터 조정된 CQI 추정치를 획득하는 단계.
ㆍ 단계(308): 빔 지터를 고려하기 위해 사용자 스케줄링 동안 지터 조정된 CQI 추정치를 사용하는 단계.
유의할 점: 한 순간에서 지터를 알고 있는 경우, 장래의 순간에 대한 지터가 결정될 수 있도록 빔의 지터 변동에 대한 소정의 스케줄이 사용될 수 있다.
이 특정의 지터 패턴은 또한 어떤 시간 간격에 걸쳐 주기적일 수 있다. 게다가, 지터 패턴이 상이한 셀에 대해 상이할 수 있다. 예로서, 2개의 상이한 셀을 생각해보자. 2개의 셀에서의 패턴의 주기성이 상이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각각의 셀에서의 지터 패턴이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주기성 및 패턴의 조합이 2개의 상이한 셀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방법(300)의 예에 대해 기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300)을 구현할 때 이제 각각의 빔(200a, 200b, 200c, 200d)의 지향 방향(pointing direction)이 변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종래 기술)에 도시된 4개의 고정빔 구성을 생각해보자. 먼저,
Figure pct00001
를 방위각이라고 하자. 이어서, 도 2(종래 기술)에 도시된 4개의 빔(200a, 200b, 200c, 200d)의 공칭 지향 방향이 각각
Figure pct00002
의 값을 취한다. 사인 공간에서 빔 i의 공칭 지향 방향으로서
Figure pct00003
부터 시작하여, 일련의 지향 방향이 생성된다. 이 빔에 대해, 이들 새로운 방향을
Figure pct00004
으로 나타내기로 하고, 여기서
Figure pct00005
은 시간의 인덱스이며,
Figure pct00006
의 값은
Figure pct00007
에 의해 주어지고, 여기서
Figure pct00008
이다. 따라서, 시퀀스
Figure pct00009
은 시간에서의 지터를 빔 i의 공칭 지향 각도에 관한 방향의 변화로서 정의한다. 유의할 점은, 빔 지터 패턴이 각각의 빔에 대해 개별적으로 정의될 수 있고 주기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값
Figure pct00010
을 작게 제한함으로써, 지터된 빔은 공칭 빔 방향과 대략 동일한 방향을 지향하고 있다. 이 빔 지터 방식의 예시적인 결과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동 도면에서, 빔 패턴(400a, 400b, 400c, 400d)의 스냅샷이 시각 l에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 모든 지터된 빔의 지터 값은
Figure pct00011
과 같다. 이어서, 이 방식을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기지국(500)에 대해 도 5와 관련하여 기술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502)(단지 3개만 도시됨)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기지국(504)을 포함하는 고정빔 무선 통신 시스템(500)의 기본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가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504)은 빔 형성 안테나 회로망(506), 스케줄러 유닛(508), 지터 제어 유닛(510), 및 사용자 데이터 큐(512)를 포함한다(유의할 점: 당업자라면 공지된 구성요소의 설명이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되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기본적으로, 스케줄러 유닛(508)은 [그 자체가 사용자 데이터(516)를 수신하는 사용자 데이터 큐(512)로부터의] 사용자 정보(514), [사용자 단말기(502)로부터의] CQI(518) 및 [지터 제어 유닛(510)로부터의] 빔 지터 정보(520)를 수신하고, 이어서 이 정보(514, 518, 520)를 처리하여 사용자 데이터(516)를 전송할 사용자 단말기(예를 들어, 502a) 및 사용자 데이터(516)를 선택된 사용자 단말기(502a)로 전송할 빔을 선택한다. 상세하게는, 스케줄러 유닛(508)은 정보(514, 518, 520)를 처리하여, 추정된 CQI에 대한 빔 지터의 효과를 고려하고 사용자 데이터(514)가 선택된 사용자 단말기(502a)로 전송될 수 있게 하도록 전송 속도(522)를 결정하고 빔 선택(524)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지터 조정된 CQI 추정치를 획득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줄러 유닛(508)은, 사용자 단말기(502a)를 선택할 시에, 사용자 선택(526)[사용자 단말기(502a)를 지시함] 및 전송 속도(522)를 사용자 데이터 큐(512)에 전달하고 빔 선택(524)을 빔 형성 안테나 회로망(506)에 전달한다. 또한, 지터 제어 유닛(510)은 빔 지터 정보(520)를 빔 형성 안테나 회로망(506)에 전달한다. 이 경우에, 빔 형성은 이제 지터가 빔 패턴을 수정한다는 점에서 적응적이다. 일 실시예에서, 빔 지터 정보(520)는, 예를 들어, 적응적 빔 형성 매트릭스에 적용되는 가중치 수정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502)는 통상적으로 CQI(518)를 추정하고 이를 다시 기지국(504)에 보고하며, 따라서 사용자 스케줄링이 수행될 수 있다. 추정된 CQI 보고서(518)는 통상 SINR의 함수이고, 여기서 잡음은 열 잡음 및 가능하게는 간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502)는 SINR 값을 추정하고 기지국(504)에 보고하며, 차례로 기지국(504)은 지터 값을 추정하고 SINR을 조정하며, 따라서 조정된 CQI가 장래의 지터 값에 기초하여 장래의 전송 시각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단계 304-308 참조). 이것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어떻게 달성될 수 있는지의 예에 대해 이어서 기술한다.
사용자 단말기(502)에 의해 추정된 SINR 값이
Figure pct00012
(단, m은 다시 말하지만 시간 인덱스임)으로 표현되는 것으로 하자. 추정된 SINR은
Figure pct00013
이고, 공칭 빔 지향 각도
Figure pct00014
에 기초한 SINR, 및 지터 값으로 인한 SINR 차
Figure pct00015
으로 이루어져 있다(이 예에서의 추정된 SINR이 추정된 CQI(518)와 동일하다는 것을 상기할 것). 그 다음에, 기지국(504)은 사용자 스케줄링 프로세스에서 빔 지터를 고려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504)은, 사용자 단말기(502)를 스케줄링할 때, 추정된 SINR을 사용하여, 어떤 시각 m + k에서 사용자 단말기(502)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시각에 적절한 MCS를 선택하기 위해
Figure pct00016
이 결정되어야 한다.
Figure pct00017
을 결정하는 데 2가지 경우가 있다. 첫번째 경우는 공칭 SINR
Figure pct00018
일 때이고, 두번째 경우는
Figure pct00019
일 때이다. 첫번째 경우는 SINR 변화가 주로 빔 지터로 인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 경우는 서서히 페이딩하는 전파 조건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두번째 경우는 SINR 변동이 빔 지터로 인한 SINR 차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 경우는 빠른 차량 속도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빔 지터로 인한 SINR 차가 첫번째 경우에서 결정될 수 있을 때, 기지국(504)은 조정된 SINR 추정치(단위: 데시벨)에 기초한 MCS 값을
Figure pct00020
으로서 선택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두번째 경우에, SINR 변동이 빔 지터로 인한 SINR 차를 무색케할 때, 기지국(504)은 현재 추정된 SINR(즉,
Figure pct00021
)에 기초하여 MCS 값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504)은 단계(306)를 구현하고 이하의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빔 지터로 인한 SINR 차를 결정함으로써 지터 조정된 SINR(지터 조정된 CQI)을 계산할 수 있다. 먼저, 고려 중인 빔에 대해 빔 지터 패턴이 주기적이고 주기가 L인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각각의 상향링크 전송 동안에 CQI 보고서(518)가 작성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일련의 보고된 CQI(518) 측정으로부터, L개의 평균 SINR 값
Figure pct00022
을 계산하고, 여기서 이 평균은 동일한 빔 지터 값을 가지는 SINR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이것은
Figure pct00023
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Figure pct00024
항은 샘플 평균 또는 어떤 다른 필터링 동작을 나타낸다. 항 mod{m - 1, L) + 1은 빔 지터 위치들 중 하나를 인덱싱하는 1 내지 L의 값을 취한다. 각각의 평균의 결정은 동일한 빔 지터 위치를 가지는 SINR만을 이용한다. 이들 L개의 평균 SINR 추정치를 사용하여, 각각의
Figure pct00025
추정치로부터 공통의 평균
Figure pct00026
을 제거함으로써 SINR 차가 추정될 수 있다. 이들
Figure pct00027
값으로부터,
Figure pct00028
항을 계산하기 위해 항
Figure pct00029
이 결정될 수 있다. 이 예에서, SINR 값은 dB로 표현되어 있으며, 이는 연산이 덧셈 및 뺄셈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대안으로서, SINR이 선형 표현식으로 표현될 수 있고, 이어서 이 경우에 수행되는 연산이 스케일링 연산일 것이다.
상기 예에서, SINR 차 항
Figure pct00030
이 신뢰성있게 추정될 수 없을 때, 기지국(504)은 현재 추정된 SINR(즉,
Figure pct00031
)에 기초하여 MCS 값을 선택할 것이다. 추정된 SINR 값의 통계, 예를 들어, 표준 편차에 기초하여, 언제 지터 조정을 비활성화시킬지의 결정이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SINR 변동이 빔 지터로 인한 SINR 차보다 클 때, 지터를 보상하는 것이 생산적이지 않을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는 아닌데, 그 이유는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빔 지터 패턴이 여전히 똑같은 빔 이득 분포를 생성할 것이고, 심지어 빔 지터를 보상하지 않는 경우에도, 계속하여 빔 교차 위치 등의 바람직하지 않은 빔 방향에 있게 될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가 없어야 하기 때문이다.
기지국(504)은 또한 상기한 예시적인 방식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것을 고려할 수 있다:
ㆍ 빔 중앙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502)의 위치 또는 방향에 관한 정보가 이용가능하고 SINR 차 값을 추정하는 데 또는 어떤 장래의 전송 시각에 특정의 사용자 단말기(502)에 대한 MCS 값을 설정/조정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ㆍ 빔 중앙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502)의 위치 또는 방향에 관한 정보가 이용가능하고 어떤 장래의 전송 시각에 특정의 사용자 단말기(502)로의/로부터의 전력 레벨을 설정/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ㆍ 기지국(504)은 고정 MCS 값을 사용하지만, 지터 조정된 CQI 추정치(SINR)에 기초하여 이동 기기에 대한 전송 전력을 조정할 수 있다.
ㆍ 사용자 단말기(502)에 대한 빔 지터의 효과를 알고 있는 기지국(504) 또는 스케줄링 유닛(508)은 단일 전송에 대해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기(502)로의 다수의 전송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이 효과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504)은 특정의 사용자 단말기(502) 쪽으로의 유리한 빔 위치에 다수의 데이터 전송 또는 부정 확인 응답된 데이터의 있을 수 있는 재전송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기지국(504)은 빔 패턴에 대해 직교 빔을 사용하고, 그 결과 종래의 고정 빔 패턴과 비교할 때(도 2와 도 4를 비교할 것) 사인 공간에서 대략 동일한 빔 패턴이 얻어진다. 대안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빔의 패턴이 시간에 따라 수정되기 때문에, 시간에 따라 똑같은 방향 이득을 유지하기 위해 빔이 더 넓거나 더 좁거나 상이한 패턴 형상을 취하도록, 기지국(504)이 빔 형상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6은, 빔 지터 패턴이 도 4에 도시된 원래의 빔(예를 들어, 200a) 중 하나에 걸쳐 있는 3개의 지터 위치를 갖는 하나의 빔(600)을 가지는 경우, 이것의 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3개의 상이한 지터 위치를 갖는 빔(600)은 원래의 빔(200a)와 비교할 때 더 좁고, 더 큰 빔 형성 이득 및 더 낮은 측엽 레벨을 가진다. 그러나, 3개의 상이한 지터 위치를 갖는 빔(600)은 본질적으로 원래의 빔(200a)과 동일한 방향에 걸쳐 있다. 그래프에서 모든 3개의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방향 천이(directional shift)를 나타내기 위해 빔 지터 위치에 번호가 매겨져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지국(504)에서 이것을 수행하기 보다는, 사용자 단말기(502)가 빔 지터 SINR 조정(단계 306)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504)에서 수행되는 상기한 방식과 유사하게, 사용자 단말기(502)도 맹목적 방식으로 SINR 오프셋을 결정하는 동작을 할 수 있다. 한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502)는 프로세서(530) 및 프로세서 실행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532)를 가질 것이며, 여기서 프로세서(530)는 메모리(532)와 인터페이스하고 다음과 같은 것들을 가능하게 하도록 프로세서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한다: (a) 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빔 형성 패턴에 빔 지터를 도입시킴으로써 빔을 수정한 기지국(504)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고; (b) 수신된 신호와 연관된 채널 품질 정보(CQI)를 추정하며; (c) 지터 조정된 추정된 CQI를 획득하기 위해 추정된 CQI에 대한 빔 지터의 효과를 고려하고 - 고려하는 동작은 빔 지터로 인한 추정된 CQI 내의 SINR(signal-to-noise ratio) 변화의 양을 추정하는 것을 포함함(상기 설명을 참조할 것) -; 및 (d) 추정된 CQI 및 지터 조정된 추정된 CQI를 전송한다. [유의할 점: 프로세서(530) 및 메모리(53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하드-코딩된 논리의 소정의 조합으로서 구현된다.] 사용자 단말기(502)는 또한 지터 패턴의 기간을 결정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빔 지터 반복 스케줄에 관한 정보가 기지국(504)으로부터 사용자 단말기(502)로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 전달될 수 있다. 간접적인 방식은 지터 스케줄을 어떤 알려진 시그널링 채널(예를 들어, 동기화 채널)에 맞춰 정렬하는 것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지터 정보가 기지국(504)과 사용자 단말기(502) 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하향링크 시그널링 채널(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트 또는 공유 제어 채널) 중 하나를 통해 명시적으로 신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몇가지 장점이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ㆍ 기지국(504)은, 고정빔이 공칭 방향을 중심으로 약간 변동할 수 있게 할 때, 시간에 따라 특정 방향에 대한 교차 손실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게다가, 특정의 서비스 범위 영역에 대해 빔 패턴이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영역을 정적으로 커버하는 하나의 빔 패턴을 설계하는 대신에, 공간 및 시간 둘다에 걸쳐 더 나은 서비스 범위를 위해 일련의 빔 패턴이 설계될 수 있다.
ㆍ 기지국(504)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500)에 더 나은 안정성을 가져다 주는데 도움을 주는 보다 균일한 서비스 범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적절히 설계된 빔 지터 패턴을 사용하여 방향 및 시간 둘다에 걸쳐 똑같은 유효 빔 형성 이득을 제공함으로써 이 결과가 얻어진다. 또한, 지터를 갖는 빔 패턴이 조정 손실(steering loss) 또는 똑같지 않은 빔 폭을 고려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ㆍ 기지국(504)은 주 빔 패턴(main-beam pattern)을 보다 좁도록 설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예를 들어, 더 높은 교차 손실을 갖는 빔 형상이 이제 허용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504)은 자체 셀 사용자 단말기(502) 및 다른 셀 사용자 단말기(502)에 더 낮은 간섭을 제공할 수 있는 더 좁은 빔을 사용함으로써 더 높은 피크 이득을 달성할 수 있다.
ㆍ 이 방식을 사용하여 추정 효과에 대한 향상된 레벨의 안정성이 달성된다. 예를 들어, 부정합이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이 이제 감소되도록 CQI 추정치가 이 방식을 사용하여 적절히 조정된다. 또한, 기지국(504)은 사용자 단말기(502)에서 사용되는 파라미터의 추정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가장 유리한 빔 형성 이득을 수신하도록 사용자 단말기(502)를 스케줄링할 수 있다.
ㆍ 이 방식은 셀-경계 환경에서 유리하다. 예를 들어, 기지국(504)은, 사용자 단말기(502)를 스케줄링할 때, 이제 빔 위치를 이용하여 셀 경계에서의 서비스 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지국(504)은 셀 경계 간섭을 최소화시키는 데 도움을 주도록 특별히 설계된 빔 패턴 및 지터 시퀀스를 사용할 기회를 가진다.
ㆍ 이 방식을 구현하는 기지국(504)은 기회주의적 빔 형성(opportunistic beam-forming)이라고 알려진 것을 설치하는 종래의 기지국과 다르다. 기회주의적 빔 형성을 설치하는 예시적인 종래의 기지국은 이하의 논문에 기술되어 있다: Vishwanath, P. 등의 "Opportunistic beamforming using dumb antennas," 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heory, 48(6): 1277-94, June 2002. 이 종래의 기지국은 서비스 범위 영역에 걸쳐 빔을 스위프하고, 빔이 특정의 사용자 단말기에 보일 때 사용자 단말기가 스케줄링되어 있고, 빔이 사용자 단말기에 보이지 않을 때,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는 전송을 수신하지 않는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기지국(504)은 빔이 사용자 단말기에 보이도록 하지만, 지터가 보다 균일한 서비스 범위 분포를 보장하는 더 큰 서비스 범위 영역 내의 동일한 상대 방향으로 빔을 한정한다.
본 발명의 다수의 실시예가 첨부 도면에 도시되고 이상의 상세한 설명에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개시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고 그 대신에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술되고 정의되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수많은 재배열, 수정 및 치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Claims (25)

  1. 고정 빔 형성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범위(coverage)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빔 형성 패턴에 빔 지터를 도입시킴으로써 빔을 수정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추정된 채널 품질 정보(CQI)를 수신하는 단계;
    지터 조정된 CQI 추정치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추정된 CQI에 대한 상기 빔 지터의 효과를 고려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의 장래의 전송에 대한 사용자 스케줄링 동안 상기 지터 조정된 CQI 추정치를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사전 결정된 방식으로 상기 빔의 상기 빔 지터를 변화시키는 스케줄을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시간 간격에 걸쳐 주기적인 방식으로 상기 빔의 상기 빔 지터를 변화시키는 스케줄을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려하는 단계는 상기 수정된 빔의 중앙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방향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빔 지터로 인한 상기 추정된 CQI에서의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변화의 양을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려하는 단계는 상기 빔에 대한 상기 빔 지터가 주기 L로 주기적일 때 및 사용자 단말기가 각각의 상향링크 전송 동안 CQI 보고서를 작성할 때,
    상기 CQI 보고서를 사용하여 L개의 평균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값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평균은 동일한 빔 지터를 가지는 상기 SINR로부터 구성됨 -; 및
    상기 SINR 변화를 추정하기 위해 상기 L개의 평균 SINR 값 각각으로부터 공통의 평균을 제거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빔 지터로 인한 상기 추정된 CQI에서의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변화의 양을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하는 단계는, 상기 추정된 CQI와 상기 지터 조정된 CQI 추정치 간의 차가 주로 상기 빔 지터로 인한 것일 때, 조정된 추정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에 기초하여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하는 단계는, 상기 추정된 CQI와 상기 지터 조정된 CQI 추정치 간의 차가 주로 SINR 변동으로 인한 것일 때, 추정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에 기초하여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하는 단계는 고정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를 사용하지만 상기 지터 조정된 CQI 추정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하는 단계는, 상기 추정된 CQI와 상기 지터 조정된 CQI 추정치 간의 차가 신뢰성있게 추정될 수 없을 때, 추정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에 기초하여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의 다수의 전송 또는 재전송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상기 지터 조정된 CQI 추정치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빔이 더 넓거나 더 좁게 되거나 다른 패턴 형상을 취하여 시간에 따라 똑같은 방향 이득을 유지하도록 상기 빔의 형상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된 빔은 공칭 고정 빔 형성 구성에서의 빔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을 가리키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공칭 고정 빔 형성 구성에서의 빔 내에 위치해 있는 임의의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서비스 범위 이득이 대략 동일하도록 일정한 기간에 걸쳐 빔 지터가 변화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 지터는 상기 빔 형성 패턴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적응적 빔 형성 매트릭스에 적용되는 가중치 수정을 포함하는 방법.
  15. 기지국으로서,
    사용자 데이터 큐;
    빔 형성 안테나 회로망;
    스케줄러 유닛; 및
    지터 제어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스케줄러 유닛은 상기 사용자 데이터 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추정된 채널 품질 정보(CQI)를 수신하며, 상기 지터 제어 유닛으로부터 빔 지터 정보를 수신하고, 이어서 이 정보 모두를 처리하여 상기 추정된 CQI에 대한 상기 빔 지터의 효과를 고려하고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할 사용자 단말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할 빔 형성 안테나 회로망에서 어느 빔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터 조정된 CQI 추정치를 획득하며;
    상기 빔 형성 안테나 회로망은 상기 스케줄러 유닛으로부터 빔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터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빔 지터 정보를 수신하며, 이어서 빔 형성 패턴에 빔 지터를 도입시킴으로써 상기 선택된 빔을 수정하는 기지국.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터 제어 유닛은 사전 결정된 방식으로 상기 선택된 빔의 상기 빔 지터를 변화시키는 스케줄을 포함하는 기지국.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터 제어 유닛은 시간 간격에 걸쳐 주기적인 방식으로 상기 선택된 빔의 상기 빔 지터를 변화시키는 스케줄을 포함하는 기지국.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터 제어 유닛은 상이한 셀에서 상이한 주기 및 상이한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빔의 빔 지터를 변화시키는 기지국.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러 유닛은 상기 추정된 CQI 각각에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변화의 양을 추정하며, 변경된 SINR이 상기 빔 지터로 인한 것인 기지국.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러 유닛은, 대응하는 추정된 CQI와 대응하는 지터 조정된 CQI 추정치 간의 차가 주로 상기 빔 지터로 인한 것일 때, 조정된 추정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를 선택하는 기지국.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러 유닛은, 대응하는 추정된 CQI와 대응하는 지터 조정된 CQI 추정치 간의 차가 주로 SINR 변동으로 인한 것일 때, 추정된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를 선택하는 기지국.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러 유닛은 고정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를 사용하지만 상기 지터 조정된 CQI 추정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기지국.
  23. 사용자 단말기로서,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 실행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와 인터페이스하여,
    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빔 형성 패턴에 빔 지터를 도입시킴으로써 빔을 수정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와 연관된 채널 품질 정보(CQI)를 추정하며;
    지터 조정된 추정된 CQI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추정된 CQI에 대한 상기 빔 지터의 효과를 고려하고 - 고려하는 동작은 빔 지터로 인한 추정된 CQI의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변화의 양을 추정하는 것을 포함함 -;
    상기 추정된 CQI 및 상기 지터 조정된 추정된 CQI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서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수신된 신호와 연관되어 있는 상기 빔 지터의 주기의 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사용자 단말기.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빔 지터의 반복 스케줄에 관한 정보의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사용자 단말기.
KR1020117012325A 2008-10-31 2009-10-26 안테나 빔-지터 및 cqi 보정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범위를 향상시키는 기지국 및 방법 KR201100818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262,724 2008-10-31
US12/262,724 US8200286B2 (en) 2008-10-31 2008-10-31 Base station and method for improving coverag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ntenna beam-jitter and CQI corre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1887A true KR20110081887A (ko) 2011-07-14

Family

ID=41510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2325A KR20110081887A (ko) 2008-10-31 2009-10-26 안테나 빔-지터 및 cqi 보정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범위를 향상시키는 기지국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200286B2 (ko)
EP (1) EP2351243B1 (ko)
KR (1) KR20110081887A (ko)
CN (1) CN102204114B (ko)
WO (1) WO201004978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4191A (ko) * 2011-10-21 2013-05-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랜덤 지터 빔포밍 방법, 이를 이용한 송신기 및 수신기
WO2014109538A1 (ko) * 2013-01-08 2014-07-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간 간섭 제거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0636B2 (ja) * 2005-03-24 2008-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CN104092488B (zh) 2008-05-09 2018-01-19 苹果公司 用于支持蜂窝网络中天线波束形成的系统和方法
US8200286B2 (en) 2008-10-31 2012-06-1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Base station and method for improving coverag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ntenna beam-jitter and CQI correction
JP2010147620A (ja) * 2008-12-17 2010-07-01 Hitachi Ltd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装置
US8682326B2 (en) * 2008-12-23 2014-03-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ase station and method for vertical tilt antenna beam sweeping
KR101639240B1 (ko) * 2009-03-03 2016-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랜덤 빔포밍 기술을 이용하여 간섭 제어를 수행하는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US8633851B2 (en) * 2010-02-19 2014-01-2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Low power, space combined, phased array radar
CN102196582B (zh) * 2010-03-17 2014-04-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输入多输出波束赋形系统的下行资源调度方法及发送端
US20130265960A1 (en) * 2011-02-28 2013-10-10 Nec (China)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ying channel quality indication
KR101607179B1 (ko) * 2011-06-10 2016-03-29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채널 품질 표시를 정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9270023B2 (en) * 2011-10-21 2016-02-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andom jitter beamforming method and transmitter and receiver using the same
EP2645592A1 (en) * 2012-03-29 2013-10-02 Alcatel Lucent Method for performing retransmissions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first transceiver apparatus, and second transceiver apparatus thereof
US20130303145A1 (en) * 2012-05-10 2013-11-14 Eden Rock Communications, Llc Method and system for auditing and correcting cellular antenna coverage patterns
US9918268B2 (en) * 2013-06-05 2018-03-13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radio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terminal device
KR102047803B1 (ko) * 2013-06-13 2019-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빔 분할 다중 접속시스템에서 아날로그 빔 운용장치 및 방법
CN103401595B (zh) * 2013-08-02 2016-09-28 内蒙古大学 一种具有记忆功能的基于角度的机会波束成形方法
KR102299326B1 (ko) * 2013-09-27 2021-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EP3122096A4 (en) * 2014-04-18 2017-03-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Adaptive multi-antenna data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system
US10547418B2 (en) * 2014-06-10 2020-01-28 Qualcomm Incorporated Coordinated operations of millimeter wavelength wireless access networks
US9451536B2 (en) * 2014-06-18 2016-09-20 Qualcomm Incorporated UE initiated discovery in assisted millimeter wavelength wireless access networks
US9571249B2 (en) * 2014-07-29 2017-02-14 Aruba Networks, Inc. Dynamic control of channel sounding for transmit beamforming
KR102179044B1 (ko) 2014-08-08 2020-11-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빔 이득 조정 장치 및 방법
KR102346981B1 (ko) * 2014-11-28 2022-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추정 방법 및 장치
US9960825B2 (en) * 2015-03-06 2018-05-0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control system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adapting beam patterns
US10462705B1 (en) * 2015-05-13 2019-10-29 Sprint Spectrum L.P. Systems and methods for preventing premature processing during beam forming
CN107735956B (zh) * 2015-06-26 2020-10-23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提高无线通信系统容量的方法、相关设备和存储介质
US11158940B2 (en) 2017-03-13 2021-10-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lf-calibration of antenna array system
US10454811B2 (en) * 2017-04-07 2019-10-22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de-jitter buffer delay adjustment
US10674520B1 (en) * 2017-05-31 2020-06-02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Wireless user device communications over optimal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s
WO2020064128A1 (en) * 2018-09-28 2020-04-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s and methods for correction of beam direction due to self-coupling
US20220278714A1 (en) * 2021-03-01 2022-09-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multiple-input-multiple-output (mimo) modes
CN115842582B (zh) * 2022-11-24 2023-09-15 南通大学 一种对抗无人机随机抖动的无线传输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17786B (en) * 1996-09-25 2001-05-30 Motorola Ltd Communication system with a deamformed control channel and method of system control
CN1333491C (zh) * 2002-05-17 2007-08-22 远传电信股份有限公司 区域多点微波系统阵列天线波束指向误差修正方法和装置
AU2003303791A1 (en) * 2003-01-21 2004-08-13 Fujitsu Limited Adaptive control apparatus
DE10340397A1 (de) * 2003-09-02 2005-04-07 Siemens Ag §erfahren zum Übertragen von Signalen in einem Funkkommunikationssystem sowie entsprechende Sendestation und Empfangsstation
WO2005034406A2 (en) * 2003-09-25 2005-04-1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ing recep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s
CN100488091C (zh) * 2003-10-29 2009-05-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应用于cdma系统中的固定波束成形装置及其方法
US7599702B2 (en) 2003-12-23 2009-10-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IR estimates for non-scheduled mobile terminals
US20060153283A1 (en) * 2005-01-13 2006-07-13 Scharf Louis L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adjoint operators for communication receivers
KR100996023B1 (ko) * 2005-10-31 2010-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4898786B2 (ja) * 2006-03-24 2012-03-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基地局装置
JP4845640B2 (ja) * 2006-08-23 2011-12-28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20080026010A (ko) * 2006-09-19 2008-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상천이 기반의 프리코딩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이를 구현하는 송수신 장치
US8073069B2 (en) 2007-01-05 2011-12-06 Apple Inc. Multi-user MIMO-SDMA for finite rate feedback systems
US8200286B2 (en) 2008-10-31 2012-06-1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Base station and method for improving coverag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ntenna beam-jitter and CQI correc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4191A (ko) * 2011-10-21 2013-05-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랜덤 지터 빔포밍 방법, 이를 이용한 송신기 및 수신기
WO2014109538A1 (ko) * 2013-01-08 2014-07-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간 간섭 제거 방법 및 장치
US9807769B2 (en) 2013-01-08 2017-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between cel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14530A1 (en) 2012-08-23
CN102204114B (zh) 2015-06-17
US8634874B2 (en) 2014-01-21
US20100112952A1 (en) 2010-05-06
CN102204114A (zh) 2011-09-28
US8200286B2 (en) 2012-06-12
WO2010049784A1 (en) 2010-05-06
EP2351243B1 (en) 2016-08-17
EP2351243A1 (en)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1887A (ko) 안테나 빔-지터 및 cqi 보정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범위를 향상시키는 기지국 및 방법
US8670719B2 (en) Multi-point opportunistic beamforming with selective beam attenuation
US9154210B2 (en) Downlink transmission method fo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system, and base station
EP292345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eamforming gain difference compensation according to chang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beam pattern in beamforming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209485B1 (ko) Mimo 시스템들에서 이동국들의 세트들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대응하는 이동국, 기지국, 운영 및 유지관리 센터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
US8085721B2 (en) Adaptive transmission method and a base station using the method
US20220264318A1 (en) Reporting for mu-mimo using beam management
CN110249561A (zh) 在无线通信系统中确定调制和编码方案的方法及其装置
WO2014142514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US8744427B2 (en) Radio base station, user equipment and methods therein
KR20060048586A (ko) 복수 안테나를 사용하는 송수신기 및 송수신 방법
US9136932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uning polarizations for orthogonally polarized antennas
US8886254B2 (en) Radio base station and antenna weight setting method
CN103918193B (zh) 用于无线通信系统中的发射方法
US8995282B2 (en) Fast channel probing
CN112805931A (zh) 用于选择mimo传输格式的技术
US911275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5478094B2 (ja) 無線基地局
US11811484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ulti-user transmissions
US20230081552A1 (en) Uplink multi-antenna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387832B1 (en) Transmitting a first and a second channel quality information between two network el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