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485B1 - Mimo 시스템들에서 이동국들의 세트들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대응하는 이동국, 기지국, 운영 및 유지관리 센터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 - Google Patents

Mimo 시스템들에서 이동국들의 세트들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대응하는 이동국, 기지국, 운영 및 유지관리 센터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9485B1
KR101209485B1 KR1020107029491A KR20107029491A KR101209485B1 KR 101209485 B1 KR101209485 B1 KR 101209485B1 KR 1020107029491 A KR1020107029491 A KR 1020107029491A KR 20107029491 A KR20107029491 A KR 20107029491A KR 101209485 B1 KR101209485 B1 KR 101209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wnlink
mobile stations
base station
feedback information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9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5668A (ko
Inventor
코르넬리스 후크
토르슈텐 빌트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10025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5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groups of terminals or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2Channel quality parameters, e.g.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58Feedback reduction
    • H04B7/066Combined feedback for a number of channels, e.g. over several subcarriers like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RCS1) 내에 이동국들의 세트들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방법은 기지국(BS1)과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MS1, MS2, MS3) 사이의 다운링크 채널(DL1)의 채널 속성들을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기지국(BS1)으로부터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MS1, MS2, MS3)로 기준 신호들을 송신하는 단계(M1/1), 채널 품질을 표시하는 제 1 성분을 각각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MS1, MS2, MS3) 중 제 1 이동국에서의 제 1 피드백 정보 및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MS1, MS2, MS3) 중 제 2 이동국에서의 제 2 피드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M1/3, M1/4, M1/5, M1/6),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MS1, MS2, MS3) 중 제 1 이동국 및 제 2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BS1)으로 제 1 및 제 2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M1/7), 기지국(BS1)에서 제 1 및 제 2 피드백 정보에 따라 이동국 세트를 구축하는 단계(M1/9)를 포함하고, 채널 품질은 상기 다운링크 채널(DL1)의 적어도 3개의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의 최대 수신된 캐리어 전력을 갖는 다운링크 빔의 파라미터이다.

Description

MIMO 시스템들에서 이동국들의 세트들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대응하는 이동국, 기지국, 운영 및 유지관리 센터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METHOD FOR BUILDING SETS OF MOBILE STATIONS IN MIMO SYSTEMS, CORRESPONDING MOBILE STATION, BASE STATION, OPERATION AND MAINTENANCE CENTRE AND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제 1 항의 프리엠블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 이동국들의 세트들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제 11 항의 프리엠블에 따른 기지국, 제 12 항의 프리엠블에 따른 이동국 및 제 14 항의 프리엠블에 따른 운영 및 유지관리 센터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이동국들을 스케줄링(scheduling)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데이터 처리량의 견지에서의 성능이 최적화되는 방식으로 실행된다.
SDMA 무선 통신 시스템(SDMA = 공간 분할 다중 접속)에서, 다수의 이동국들은 이동국들의 공간 분리에 의한 동일 주파수/시간 리소스들 또는 동일한 주파수/시간/코드 리소스에서 MIMO 기술(MIMO = 다중 입력 다중 출력)을 이용하여 기지국에 의해 스케줄링될 수 있다.
동일 주파수/시간 리소스는 2개 이상의 이동국들이 동일 주파수 및 동일 시간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 공간은 누화 회피 및 최소화된 간섭 효과들을 위한 다운링크 데이터 내의 직교 성분을 갖도록 시간 및 주파수 대신에 추가의 다중 접속 차원으로서 이용된다.
동일 주파수/시간/코드 리소스는 2개 이상의 이동국들이 다운링크 채널 내의 CDMA 성분의 경우에 동일한 주파수, 동일한 시간 및 동일한 확산 코드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 공간은 누화 회피 및 최소화된 간섭 효과들을 위한 다운링크 데이터 내의 직교 성분을 갖도록 시간, 주파수 및 코드 대신에 추가의 다중 접속 차원으로서 이용된다.
EP 1 784 032 A1호에는, 기지국 내의 동일한 기본 리소스 유닛에 대한 이동국들의 세트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결정은 송신 공분산 행렬에 관련된 업링크 피드백 채널 정보 및 채널 품질에 관련된 정보[예를 들면, 이동국 수신기의 추정된 SINR(SINR = 신호-대-간섭-플러스-잡음 비)]에 기초한다.
피드백 리포팅 정보는 무선 통신 시스템 유형에 따라 상이한 방식들로 이용된다.
예를 들면, GSM 또는 UMTS 무선 통신 시스템(GSM = 모바일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 UMTS = 범용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리포팅은 다운링크 채널에 관련된 다운링크 경로의 다수의 특성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 다운링크 채널을 적응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이러한 특성은 예를 들면,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거리,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영역 구축(예를 들면, 도시, 교외), 다른 송신기들에 의한 다운링크 경로의 스펙트럼 이용, 이동국의 모바일 속도 및 방향 등이다. 피드백 리포팅의 범위 내에서, 이동국은 다운링크 채널의 비콘들(beacons) 또는 파일럿들(pilots)을 측정하고, 업링크 채널을 경유하여 기지국에 측정 정보(예를 들면, 채널 품질 표시자, 수신된 신호 강도 표시자)를 리포팅(reporting)한다. 기지국은 다운링크 채널의 파라미터(예를 들면, 송신 전력, 송신 채널)를 적응시키고 특징(예를 들면, 전력 소비, 송신 에러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측정 정보를 이용한다.
하나의 송신 안테나를 이용하는 SISO 및 SIMO 무선 통신 시스템들(SISO = 단일 입력 단일 출력, SIMO = 단일 입력 다중 출력)에서, 단위 시간당 하나의 데이터 신호가 송신 안테나로부터 송신되어 다운링크 채널의 단일의 다운링크 빔을 생성한다. 이러한 경우에, 채널 품질 표시자 또는 수신된 신호 강도를 리포팅하는 것이 충분하고, 다운링크 빔을 식별하고 측정 정보 내의 다운링크 빔에 대한 빔 표시자를 리포팅할 필요가 없다.
MISO 또는 MIMO 무선 통신 시스템들(MISO = 다중 입력 단일 출력)에서, 적어도 2개의 송신 안테나들 및 하나(MISO) 또는 그 이상(MIMO)의 수신 안테나들이 이용된다. 개별적으로 인코딩된 데이터 신호들이 동일 시간/주파수/코드 - 다중 접속 리소스 상의 다운링크 채널의 2개 이상의 다운링크 빔을 경유하여 송신 데이터마다 송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스펙트럼 잡음에 추가하여, 다운링크 빔들 사이의 간섭이 생성한다.
LTE 릴리즈 8(3GPP TS 36.213 V8.2.0)의 SU-MIMO(SU = 단일 이용자)에 대해, 단일 스트림 코드북 기반 프리코딩/빔형성이 이용될 것이고, 단일 이용자 MIMO 피드백 정보는 3개의 파라미터들, 즉 CQI(CQI = 채널 품질 표시), PMI(PMI = 프리코딩 행렬 표시자) 및 RI(RI = 랭크 표시자)를 포함한다. CQI는 최대 평균 수신된 변조된 캐리어 전력을 갖는 다운링크 빔의 채널 품질을 표시하는 파라미터이다. LTE 릴리즈 8에서, CQI 파라미터는 다운링크 채널의 송신 포맷을 위한 인덱스이다. PMI는 채널 품질이 리포팅되는 다운링크 빔의 프리코딩 벡터에 대응하는 빔 인덱스를 표시하는 파라미터이다. 빔 인덱스는 모든 허용된 Tx 안테나 중량 조합을 갖는 프리코팅 벡터를 포함하는 코드북의 엔트리에 속한다. RI는 가장 양호한 데이터 처리량이 예측될 수 있는 다수의 스트림들을 표시하는 이동국에 의해 추정된 파라미터이다.
EP 1 784 032 A1호에 설명된 MIMO 기술은 다수의 이동국들로 지향되는 다수의 다운링크 빔들을 이용한다. 특정 이동국에 지향된 다운링크 빔이 다른 이동국들에 지향된 다운링크 빔들에 대해 가능한 한 적은 간섭을 생성하면, 무선 셀 내의 또는 무선 셀의 섹터 내의 성능 및 전체 데이터 처리량에 대해 유리하다. 따라서, 기지국은 동일 주파수 시간 리소스에 대해 적당한 이동국들의 세트를 구축한다. 이는 이러한 세트의 이동국들이 동일한 주파수를 갖지만 다운링크 빔들의 공간 분리를 갖고 동일 시간에 스케줄링되어, 다운링크 빔들이 서로간에 최소의 간섭을 생성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적당한 이동국들의 세트를 구축하기 위해, 적절한 피드백 정보가 이동국들로부터 기지국으로 리포팅되어야 하는데, 이는 너무 많은 업링크 채널의 리소스들을 소비하지 않아야 한다.
이 목적은 기지국과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 사이의 다운링크 채널의 채널 특성들을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기지국으로부터 기준 신호들을 송신하는 단계;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에 의해 기준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채널 품질을 표시하는 제 1 성분을 각각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 중 제 1 이동국에서의 제 1 피드백 정보 및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 중 제 2 이동국에서의 제 2 피드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 중 제 1 이동국 및 제 2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 제 1 피드백 정보 및 제 2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기지국에서 제 1 피드백 정보 및 제 2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기지국에서 제 1 피드백 정보 및 제 2 피드백 정보에 따라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 중 적어도 2개의 이동국 세트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채널 품질은 다운링크 채널의 적어도 3개의 다운링크 빔들의 최대 수신된 캐리어 전력을 갖는 다운링크 빔의 파라미터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 내에 이동국들의 세트들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성취된다.
제 1 피드백 정보 및 제 2 피드백 정보는 단지 다운링크 빔들 중 하나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단지 이 정보만을 리포팅하는 것은 모든 다운링크 빔들을 위한 채널 품질 표시들이 리포팅되고 그와 함께 무선 셀의 상당한 양의 최대 업링크 용량이 소비되는 경우에 비교하여 리포팅 비용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예를 들면, 8개의 허용된 프리코딩된 벡터들을 갖는 3 비트 코드북을 이용하여, 단지 최대 수신된 캐리어 전력을 갖는 다운링크 빔의 채널 품질만을 리포팅하는 것은 모든 다운링크 빔들을 위한 채널 품질 정보가 리포팅되는 경우에 비교하여 8의 팩터만큼 비용을 감소시킨다.
다운링크 채널의 다운링크 빔들의 각 확산에 적응된 추가의 특징들은 방법에 대한 종속 청구항들에 의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독립 청구항 제 12 항에 의해, 기지국에 대한 독립 청구항 제 13 항에 의해, 이동국에 대한 독립 청구항 제 14 항에 의해, 및 운영과 유지관리 중심에 대한 독립 청구항 제 15 항에 의해 표시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성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명백해질 것이고, 비한정적인 예시들로서 제공된 첨부 도면들에 의해 도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지국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이동국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고 있는 무선 셀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고 있는 무선 셀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고 있는 무선 셀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1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지국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1을 참조하면, 제 1 무선 통신 네트워크(RCS1)는 제 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1)를 포함한다. 제 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1)는 제 1 무선 셀(C1)을 포함한다. 또한, 제 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1)의 무선 셀들은 간략화를 위해 도시되지 않는다.
제 1 무선 셀(C1)은 제 1 기지국(BS1), 제 1 이동국(MS1), 제 2 이동국(MS2), 및 제 3 이동국(MS3)을 포함한다. 또한, 제 1 무선 셀(C1)의 이동국들은 간략화를 위해 도시되지 않는다.
제 1 이동국(MS1), 제 2 이동국(MS2), 및 제 3 이동국(MS3)은 제 1 다운링크 채널(DL1)을 통해 제 1 기지국(BS1)에 접속된다.
또한, 제 1 이동국(MS1), 제 2 이동국(MS2), 및 제 3 이동국(MS3)은 제 1 업링크 채널(UL1)을 통해 제 1 기지국(BS1)에 접속된다.
제 1 다운링크 채널(DL1) 및 제 1 업링크 채널(UL1) 대신에, 업링크 및 다운링크 시간 슬롯들을 갖춘 조합된 채널이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옵션에서, 제 1 이동국(MS1), 제 2 이동국(MS2), 및 제 3 이동국(MS3)은 상이한 업링크 채널들을 통해 제 1 기지국(BS1)에 접속될 수 있다.
제 1 기준 신호들(first reference signals)은 제 1 다운링크 채널(DL1)을 통해, 제 1 기지국(BS1)에서 제 1 이동국(MS1), 제 2 이동국(MS1), 및 제 3 이동국(MS3)으로 송신된다. 제 1 피드백 정보는 제 1 업링크 채널(UL1)을 통해, 제 1 이동국(MS1)에서 제 1 기지국(BS1)으로 송신된다. 동일하게, 제 2 이동국(MS2)은 제 2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고, 제 3 이동국(MS3)은 제 1 업링크 채널(UL1)을 통해 제 1 기지국(BS1)에 제 3 피드백 정보를 송신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제 1 기지국(BS1)은 제 1 안테나 시스템(AS1), 제 1 트랜시버(TR1), 제 1 CPU(CPU = 중앙 처리 유닛)(CPU1), 및 제 1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MEM1)를 포함한다.
제 1 안테나 시스템(AS1)은 제 1 안테나 소자(AE1) 및 제 2 안테나 소자(AE2)를 포함한다. 제 1 안테나 시스템(AS1)은 또한, 제 3 안테나 소자(AE3)로써 나타내지는 2개 이상의 안테나 소자들을 포함한다.
제 1 안테나 소자(AE1) 및 제 2 안테나 소자(AE2)는 제 1 다운링크 채널(DL1) 및 제 1 업링크 채널(UL1)용으로 이용된다. 선택적으로, 제 1 안테나 소자(AE1) 및 제 2 안테나 소자(AE2)는 제 1 다운링크 채널(DL1)용으로만 이용될 수 있고, 부가적인 수신기 안테나는 제 1 업링크 채널(UL1)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제 1 업링크 채널(UL1)에 대한 제 1 안테나 소자(AE1) 또는 제 2 안테나 소자(AE2) 사이의 다른 매핑들이 가능하다.
제 1 트랜시버(TR1)는 제 1 기준 신호들을 송신하고, 제 1 피드백 정보, 제 2 피드백 정보, 및 제 3 피드백 정보를 제 1 안테나 시스템(AS1)을 통해 수신한다.
제 1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PROG1)을 시작하기 위한 제 1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MEM1)가 예견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방법의 단계들을 실행하기 위한 제 1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PROG1)이 예견된다. 제 1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PROG1)을 실행하기 위한 제 1 CPU(CPU1)가 예견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제 1 이동국(MS1)은 제 2 안테나 시스템(AS2), 제 2 트랜시버(TR2), 제 2 CPU(CPU2), 및 제 2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MEM2)를 포함한다.
제 2 안테나 시스템(AS2)은 제 4 안테나 소자(AE4) 및 제 5 안테나 소자(AE5)를 포함한다. 제 2 안테나 시스템(AS2)은 또한 수신 및/또는 송신을 위해 2이상의 안테나 소자들을 포함한다. 하지만, 이것은 간략화를 위해 도시되지 않는다.
제 4 안테나 소자(AE4) 및 제 5 안테나 소자(AE5)는 제 1 다운링크 채널(DL1) 및 제 1 업링크 채널(UL1)용으로 이용된다. 대안으로, 추가적인 안테나 소자는 상이한 안테나 소자들 상에서 다운링크 및 업링크 송신을 스플리트(split)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제 2 트랜시버(TR2)는 제 1 기준 신호들을 수신하고, 제 2 안테나 시스템(AS2)을 통해 제 1 피드백 정보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개별 수신기는 제 1 기준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이용되고, 개별 송신기는 제 1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이용된다.
제 2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PROG2)을 저장하기 위한 제 2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MEM2)가 예견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을 실행하기 위한 제 2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PROG2)이 예견된다. 제 2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PROG2)을 실행하기 위한 제 2 CPU(CPU2)가 예견된다.
아래의 설명을 위해, 제 2 이동국(MS2) 및 제 3 이동국(MS3)은 유사한 기능들을 갖춘 제 1 이동국(MS1)과 유사한 성분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들을 갖지 않는 제 1 무선 통신 시스템(RCS1) 내의 이동국들의 제 1 그룹 및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갖는 이동국들의 제 2 그룹이 존재하면, 제 1 그룹의 이동국들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국들의 세트들의 개선된 구축을 위해 이용될 수 없고, 제 2 그룹의 이동국들만이 이동국 세트들의 개선된 구축을 위해 이용된다. 제 1 그룹의 이동국들에 대해, 잘 알려진 메커니즘들은 이동국 세트들을 구축하거나 이동국 세트를 이용하지 않고 그것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이용된다.
제 1 무선 셀(C1)을 도시하는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다운링크 채널(DL1)은 예시적으로 4개의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을 포함한다. 제 1 다운링크 채널(DL1)은 또한, 추가적인 다운링크 빔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간략화를 위해 도시되지 않는다. 제 1 다운링크 빔(DB1), 제 2 다운링크 빔(DB2), 제 3 다운링크 빔(DB3) 및 제 4 다운링크 빔(DB4)은 제 1 안테나 시스템(AS1)에서 이용될 모든 허용된 안테나 가중치 조합들(antenna weight combinations)을 나타낸다. 각각의 다운링크 빔(DB1, DB2, DB3, DB4)은 공간적으로 약간 상이한 방향쪽으로 지향된다. 예에서, 제 1 이동국(MS1)은 제 2 다운링크 빔(DB2) 및 제 3 다운링크 빔(DB3)의 제 2 및 제 3 커버리지 영역들 내에 위치되고, 제 2 이동국(MS2)은 제 1 다운링크 빔(DB1)의 제 1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되고, 제 3 이동국(MS3)은 제 3 다운링크 빔(DB3)의 제 3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된다.
제 1 다운링크 빔(DB1)은 제 1 빔 인덱스(first beam index)(BI1)로 할당되고, 제 2 다운링크 빔(DB2)은 제 2 빔 인덱스(BI2)로 할당되고, 제 3 다운링크 빔(DB3)은 제 3 빔 인덱스(BI3)로 할당되고, 제 4 다운링크 빔(DB4)은 제 4 빔 인덱스(BI4)로 할당된다.
표 1에 도시된 소위 코드북(codebook)에서, 각각의 빔 인덱스(BI1, BI2, BI3, BI4)는 허용된 안테나 가중치 조합에 대응하고, 제 1 안테나 소자(AE1)에 대한 제 1 가중치 파라미터들로서 제 1 Tx 안테나 가중치들(Tx = 송신) w1_i(i=1,2,3,4) 및 제 2 안테나 소자(AE2)에 대한 제 2 가중치 파라미터들로서 제 2 Tx 안테나 가중치들 w2_i(i=1,2,3,4)를 갖는 소위 허용된 프리코딩 벡터(precoding vector)에 등가이다.
예시적으로, 제 1 안테나 가중치 파라미터 조합(w1_1, w2_1)은 제 1 다운링크 빔(DB1)에 대응하는 제 1 프리코딩 벡터(wBI1=(w1_1,w2_1))로서 이용된다. 유사한 매핑들이 다른 다운링크 빔들(DB2, DB3, DB4)에 대해 존재한다.
코드북은 제 1 기지국(BS1)에 의해 및 제 1 무선 셀(C1)에 현재 위치된 모든 이동국들에 의해 알려져야 한다.

빔 인덱스
Tx 안테나 가중치들
제 1 안테나 소자(AE1)에 대한
제 1 가중치 파라미터들 w1_i
제 2 안테나 소자(AE2)에 대한
제 2 가중치 파라미터들 w2_i
BI1 w1_1 w2_1
BI2 w1_2 w2_2
BI3 w1_3 w2_3
BI4 w1_4 w2_4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무선 통신 시스템(RCS1)에서 이용하기 위한 방법(M1)을 도시한다.
단계 M1/1에서, 제 1 기지국(BS1)은 제 1 안테나 소자(AE1) 및 제 2 안테나 소자(AE2)를 통해 제 1 기준 신호들을 주기적으로 송신하고, 반면에, 제 1 기준 신호들은 송신되고, 예를 들면, 동일한 진폭으로 가중치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일정한 진폭으로 변하지 않고, 안테나 소자들(AE1, AE2) 양쪽 모두에 대해 직교한다. 제 1 기준 신호들의 직교성(orthogonality)은 예를 들면, 안테나 소자들(AE1, AE2) 양쪽 모두 상에서 상이한 코드들 또는 상이한 주파수들 또는 상이한 송신 시간들을 이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기준 신호들에 대한 후보들은 예를 들면, WiMAX 시스템들(WiMAX =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에 대한 OFDM 기술(OFDM =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에서 이용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파일럿들(pilots)이다. 제 1 기지국(BS1)의 제 1 무선 셀(C1)에 속하는 모든 이동국들은 제 1 기준 신호들의 송신 파라미터들을 안다.
제 1 이동국(MS1)은 제 1 기준 신호들을 수신하고, 추가적인 단계 M1/2에서 수신된 제 1 기준 신호들의 수신 벡터 g = (g1, g2)를 결정한다. OFDM 무선 통신 시스템의 경우에서, 수신 벡터(g)는 임의의 서브-캐리어에 대해 결정되는 것이다. 제 1 안테나 소자(AE1) 및 제 2 안테나 소자(AE2)를 통해 제 1 기지국(BS1)에 의해 송신되고, 제 4 안테나 소자(AE4)를 통해 제 1 이동국(MS1)에 의해 측정되는 수신 전력들(P_g1_s1 및 P_g1_s2)은 |g1|2(s1) 및 |g1|2(s2)의 기대 값들과 같고, 제 1 안테나 소자(AE1) 및 제 2 안테나 소자(AE2)에 의해 제 1 기지국(BS1)에 의해 송신되고, 제 5 안테나 소자(AE5)를 통해 제 1 이동국(MS1)에 의해 측정되는 제 1 기준 신호들에 대한 수신 전력들(P_g2_s1 및 P_g2_s2)은 |g2|2(s1) 및 |g2|2(s2)의 기대 값들과 같다.
다음 단계 M1/3에서, 제 1 이동국(MS1)은 MIMO 채널 행렬(H)을 계산한다. MIMO 채널 행렬(H)은 시간 종속적이고, 주파수 종속적이다. 제 1 기지국(BS1)에서의 두 개의 안테나 소자들(AE1, AE2) 및 제 1 이동국(MS1)에서의 두 개의 안테나 소자들(AE4, AE5)의 경우에, 송신된 제 1 기준 신호들에 대한 공지된 송신 벡터(s), 수신 벡터(g) 및 MIMO 채널 행렬(H) 사이의 관계는 아래 수식에 의해 주어진다:
Figure 112010087034063-pct00001
안테나 소자들(AE1, AE2)로부터 제 1 기준 신호들의 직교 송신으로 인해, MIMO 채널 행렬(H)의 요소들(h11, h12, h21, h22)에 대해 4개의 수식들이 존재한다:
g1=h11*s1, g2=h21*s1 (제 1 안테나 소자(AE1)를 통해 전달된 제 1 기준 신호들)
g1'=h12*s2, g2'=h22*s2 (제 2 안테나 소자(AE2)를 통해 전달된 제 1 기준 신호들)
제 1 이동국(MS1)은 단계 M1/2에서 미리 결정된 수신 벡터(g)에 기초하여 및 공지된 송신 벡터(s)에 기초하여, MIMO 채널 벡터(H)의 요소들(h11, h12, h21, h22)을 계산할 수 있다.
다음 단계 M1/4에서, 제 1 이동국(MS1)은 각각의 허용된 프리코딩 벡터에 대해 수신된 캐리어 전력들(P_S_i)을 계산한다. 이러한 수신된 캐리어 전력들(P_S_i)은 예를 들면, 평균 수신된 변조 캐리어 전력들일 수 있다. 제 1 이동국(MS1)은 표 1의 각각의 프리코딩 벡터(wBI_i(i=1,2,3,4))로 계산된 MIMO 채널 벡터(H)를 승산함으로써 각각의 프리코딩 벡터(wBI_i(i=1,2,3,4))에 대해 등가 채널들(효과적인 채널들로서 알려짐)의 벡터들(h_i')을 계산한다:
Figure 112010087034063-pct00002
N은 허용된 프리코딩 벡터들의 수이고, 표 1의 예시적인 프리코딩 벡터 선택에 따라 4와 같다.
평균 수신된 변조 캐리어 전력들(P_S_i)은 각각의 벡터(h_i')의 제곱된 절대값들(squared absolute values)을 계산함으로써 및 임의 양의 제 1 기준 신호들에 대해 임의 시간 동안 제곱된 절대 값들을 평균화함으로써 얻어진다.
Figure 112010087034063-pct00003
추가적인 단계 M1/5에서, 제 1 이동국(MS1)은 이어지는 최상의 다운링크 빔에서, 가장 큰 수신된 캐리어 전력을 갖는 다운링크 빔을 결정한다.
도 4에 따라, 제 3 다운링크 빔(DB3)은 예시적으로, 제 1 이동국(MS1)에 대한 최상의 다운링크 빔이어야 한다.
추가적인 단계 M1/6에서, 제 1 이동국(MS1)은 최상의 다운링크 빔에 대한 채널 품질을 결정한다. 채널 품질에 대한 예는 CQI 값이다.
CQI 값을 결정하기 위해, 제 1 이동국은 예를 들면, 아래 수식을 이용함으로써 최상의 다운링크 빔에 대한 SIR(SIR = 신호-대-간섭 비)를 계산한다:
Figure 112010087034063-pct00004
합산은 최상의 다운링크 빔의 추정된 평균 수신된 공통-채널 간섭 전력(estimated average received co-channel interference power)에 대해 가산하지 않음으로써 행해진다.
P_S는 최상의 다운링크 빔의 평균 수신된 변조 캐리어 전력이다. P_I는 제 1 기지국(BS1) 및 다른 기지국들로부터 송신된 최상의 다운링크 빔 외에, 모든 다운링크 빔들의 추정된 평균 수신된 코-채널 간섭 전력이고, P_I_i는 단일 다운링크 빔의 추정된 평균 수신된 코-채널 간섭 전력이다. 이러한 추정치들은 각각의 이동국 제조자의 구현 특성이다.
대안으로서, 제 1 이동국(MS1)은 아래 수식을 이용하여 SINR(SINR = 신호-대-간섭-플러스-잡음 비)를 계산한다:
Figure 112010087034063-pct00005
P_N은 다른 무선 소스들로부터의 잡음의 추정된 평균 잡음 전력이다. 이 잡음는 통상적으로 부가 화이트 가우시안 잡음(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AWGN)이다.
또한, P_N의 추정치는 각각의 이동국 제조자의 구현 특성이다.
CQI 값은 예를 들면, 아래 표 2를 이용하여 제 1 이동국(MS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CQI 값
SIR 구간 SINR 구간
보다낮은 제한,
보다높은 제한,
<
보다낮은 제한,
보다높은 제한,
<
1 SIR1 SIR2 SINR1 SINR2
2 SIR2 SIR3 SINR2 SINR3
3 SIR3 SIR4 SINR3 SINR4
4 SIR4 SIR5 SINR4 SINR5
5 SIR5 SIR6 SINR5 SINR6
6 SIR6 SIR7 SINR6 SINR7
7 SIR7 SIR8 SINR7 SINR8
표 2에 대해, 아래 관계들이 이용된다:
SIR1 < SIR2 < SIR3 < SIR4 < SIR5 < SIR6 < SIR7 < SIR8
SINR1 < SINR2 < SINR3 < SINR4 < SINR5 < SINR6 < SINR7 < SINR8
예를 들면, SIR가 구간 SIR2 ≤ SIR < SRI3 내에 있고, 또는 SINR이 구간 SINR2 ≤ SINR < SINR3 내에 있으면, 최상의 다운링크 빔의 CQI 값은 2이다.
최상의 다운링크 빔의 CQI 값은 제 1 피드백 정보에서 제 1 성분으로서 이용된다. 최상의 다운링크 빔의 빔 인덱스는 제 1 피드백 정보에서 제 2 성분으로서 이용된다.
추가적인 단계 M1/7에서, 제 1 이동국(MS1)은 제 1 업링크 채널(UL1)을 통해 제 1 피드백 정보를 제 1 기지국(BS1)에 송신한다.
다음 단계 M1/8에서, 제 1 기지국(BS1)은 제 1 이동국(MS1)으로부터 제 1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다.
제 2 이동국(MS2) 및 제 3 이동국(MS3)은 동시에 단계들 M1/2, M1/3, M1/4, M1/5, M1/6, M1/7을 실행하고, 또는 이미 그것들을 실행했거나 나중에 그것들을 실행할 것이다.
도 4에 따라, 제 1 다운링크 빔(DB1)은 예시적으로, 제 2 이동국(MS2)에 대한 최상의 다운링크 빔이어야 하고, 제 3 다운링크 빔(DB3)은 예시적으로 제 3 이동국(MS3)에 대한 최상의 다운링크 빔이어야 한다.
추가적인 단계 M1/9에서, 제 1 기지국(BS1)은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로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 세트를 구축하기 위해 제 1 피드백 정보, 제 2 피드백 정보, 및 제 3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며, 그것은 동일한 주파수/시간 리소스 내에서 또는 동일한 주파수/시간/코드 리소스 내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로 스케줄링될 수 있다. 단계 M1/9만이,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이 바람직하게는 특정한 시간 프레임에서 피드백 정보를 리포팅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 1 피드백 정보, 제 2 피드백 정보, 제 3 피드백 정보에서 최상의 다운링크에 대한 채널 품질 및 최상의 다운링크 빔에 대한 표시들(indications)만을 이용하여, 이동국들(MS1, MS2, MS3)이 각각의 다운링크 빔(DB1, DB2, DB3, DB4)에 대한 채널 품질들 및 빔 인덱스들을 리포팅하는 경우에 비해서 리포팅 오버헤드(reporting overhead)를 상당히 감소시킨다.
각각의 다운링크 빔에 대한 빔 인덱스들 및 채널 품질들을 리포팅하는 메커니즘에 비하여, 감소된 피드백 정보를 갖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다른 이동국 세트들의 구축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부가적인 개선들에 의해 추가로 개선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의 작은 각도 빔 확산(small angular beam spread)을 갖는 제 1 무선 셀(C1)을 도시한다. 도 4의 요소들에 대응하는 도 6에 도시된 요소들은 동일한 도면 번호들로써 나타내진다.
각도 빔 확산은 인접한 다운링크 빔들의 커버리지 영역들 간의 중첩의 수준에 대한 표시이다. 중첩의 수준은 제 1 기지국(BS1) 주변의 경치(landscape)에 의존한다. 제 1 기지국(BS1) 주변에 많은 장애물들이 존재하면, 각도 빔 확산은 소수의 장애물들을 갖는 경우에 비해 보다 커진다(큰 각도 빔 확산).
도 7은 제 1 무선 통신 시스템(RCS1)에서 이용하기 위한 방법(M2)을 도시한다. 방법(M2)은 각도 빔 확산을 설명하는 파라미터가 값들의 제 1 범위 내에서 제 1 임계값 아래에 있으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개선으로서 이용된다. 각도 빔 확산은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의 인터-빔 간섭(inter-beam interference)에 의존한다. 파라미터는 예를 들면, 이동국들(MS1, MS2, MS3)에 의해 리포팅되는 CQI 값들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도 5의 단계들에 대응하는 도 7에 도시된 단계들은 동일한 도면번호들로써 나타내진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실행되는 단계들(M1/1, M1/2, M1/3, M1/4, M1/5, M1/6, M1/7, M1/8, M1/9)에 부가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아래의 단계(M2/1)은 단계 M1/8 후에 실행되고, 단계 M1/9 또는 단계 M2/2는 단계 M2/1 후에 실행된 후에 실행된다.
추가적인 단계 M2/1에서, 제 1 기지국(BS1)은 각도 빔 확산의 파라미터를 제 1 임계값과 비교한다. 파라미터가 제 1 임계값보다 위이면, 단계 M1/9는 다음 단계이다. 파라미터가 제 1 임계값과 같거나 적으면, 단계 M2/2는 다음 단계이다.
단계 M2/2에서, 제 1 기지국(BS1)은 이동국 세트를 구축하기 위해 최소 빔 거리 방법(minimum beam distance method)을 적용한다. 최소 빔 거리 방법은 이동국을 구축하기 위해, 이동국 세트의 이동국들(MS1, MS2, MS3) 중 제 1 이동국에 대해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로부터 선택된 다운링크 빔인 제 1 이동국 세트 다운링크 빔과, 이동국 세트의 이동국들(MS1, MS2, MS3) 중 제 2 이동국에 대해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로부터 선택된 추가적인 다운링크 빔인 제 2 이동국 세트 다운링크 빔 사이에 위치된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다운링크 빔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다운링크 빔은 이동국 세트의 주파수, 시간 리소스 또는 주파수/시간/코드 리소스 동안 스케줄링을 위해 이용되지 않는다.
최소 빔 거리 방법의 최소 빔 거리 파라미터는 이동국 세트의 다운링크 빔들 사이에 공간적으로 위치된 인접한 다운링크 빔들의 수를 규정하고, 이동국 세트의 주파수/시간 리소스 또는 주파수/시간/코드 리소스 동안 스케줄링을 위해 이용되지 않는다.
최소 빔 거리 파라미터가 예를 들면, 값 2를 가지면, 기지국(BS1)은 제 1 다운링크 빔(DB1)의 제 1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된 제 2 이동국(MS2) 및 동일한 주파수/시간 리소스 또는 동일한 주파수/시간/코드 리소스의 이동국 세트에 대해 제 3 다운링크 빔(DB3)의 제 3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된 다른 이동국들(MS1, MS3)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스케줄러는 버퍼 상태, 채널 품질, 서비스의 시간 요구사항들 등과 같은 추가적인 기준에 기초하여 이동국 세트에 이동국들을 할당하도록 결정한다.
이동국 세트에서 이용되는 다운링크 빔들을 가로지르는 인트라-셀(intra-cell) 또는 인트라-섹터 간섭(intra-sector interference)은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 사이에서 작은 중첩 및 작은 크로스토크(crosstalk)를 갖는 환경에서 기지국(BS1)에서 최소 빔 거리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회피될 수 있다.
최소 빔 거리 방법의 이용에 따른 이동국 세트의 이동국들에 대한 송신 포맷들의 선택을 채택하는 것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추가적인 개선이다. 이러한 채택은 다수의 다운링크 빔들에 송신 전력 스플리트(transmit power split)를 고려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1 무선 통신 시스템(RCS1)에서 이용하기 위한 방법(M3)을 도시한다. 도 7의 요소들에 대응하는 도 8에 도시된 요소들은 동일한 도면 번호로써 나타내진다.
방법(M2)의 단계들(M1/1, M1/2, M1/3, M1/4, M1/5, M1/6, M1/7, M1/8, M1/9, M2/1, M2/2)에 부가하여, 이어지는 단계(M3/1)은 단계(M2/2) 후에 실행된다.
추가적인 단계(M3/1)에서, 제 1 기지국(BS1)은 리포팅된 CQI 값들에 따르고 및 PSF(PSF = power split factor)에 따르는 이동국 세트의 각각의 이동국에 대해 송신 포맷을 선택한다. 각각의 시간에 하나의 이동국에 대해 단지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만을 이용하는 SU-MIMO 스케줄링 방법에 비하여,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이 다수의 다운링크 빔들을 통해 다수의 이동국들에 송신되기 때문에, PSF 파라미터가 이용된다.
적절한 송신 포맷의 선택은 아래 표 3에서 보여지는 룩업 테이블에 기초할 수 있다:

송신 포맷/MCS
CQI 구간
보다낮은 제한, ≥ 보다높은 제한, <
QPSK, 코딩 레이트 1/3 CQI1+PSF CQI2+PSF
QPSK, 코딩 레이트 2/3 CQI2+PSF CQI3+PSF
16-QAM CQI3+PSF CQI4+PSF
64-QAM CQI4+PSF CQI5+PSF
표 3의 제 1 열에서, 상이한 코딩 레이트들을 갖는 상이한 송신 포맷들 각각 MCS들(MCS = modulation & coding scheme)이 열거되고, 여기에서 송신 포맷 또는 MCS에 대한 최대 데이터 처리량은 증가하는 CQI 값 구간에 대해 증가한다.
예를 들어, CQI가 구간 (CQI3 + PSF) ≤ CQI < (CQI4 + PSF) 내에 있으면, 송신 포맷/MCS 16-QAM이 선택된다.
PSF 파라미터가 이용되지 않는, SU-MIMO에 비하여, MU-MIMO에서 송신 포맷 선택을 위한 PSF 파라미터의 부가적인 이용은 SU-MIMO와 유사한 CQI 리포팅 방법이 MU-MIMO를 위해 이용되면, 적절한 송신 포맷의 보다 최적화된 선택을 허용한다.
제 1 기지국(BS1)은 또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IMF 파라미터(IMF = interference margin factor)를 추가로 고려함으로써 적절한 송신 포맷을 선택할 수 있다.
적절한 송신 포맷의 선택은 아래 표 4에서 보여지는 룩업 테이블에 기초할 수 있다:

송신 포맷/MCS
CQI 구간
보다낮은 제한, ≥ 보다높은 제한, <
QPSK, 코딩 레이트 1/3 CQI1+PSF+IMF CQI2+PSF+IMF
QPSK, 코딩 레이트 2/3 CQI2+PSF+IMF CQI3+PSF+IMF
16-QAM CQI3+PSF+IMF CQI4+PSF+IMF
64-QAM CQI4+PSF+IMF CQI5+PSF+IMF
예를 들면, CQI가 구간 (CQI4 + PSF + IMF) ≤ CQI < (CQI5 + PSF + IMF) 내에 있으면, 송신 포맷/MCS 64-QAM이 선택된다.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이 최소 빔 거리로 선택되는 경우에도, SU-MIMO를 위해 이용되는 것과 동일한 송신 포맷으로 MU-MIMO에서 모바일을 스케줄링할 수 있는 보다 큰 리포팅된 CQI 값을 필요로 하는 약간의 인터-빔 간섭이 여전히 존재하므로, IMF가 이용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 세트들은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 사이의 임의 간섭에 대한 특별한 인식 없이 구축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작은 각도 빔 확산을 갖는 환경에서 이용되는 경우에도,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의 빔 사이드 로브들(beam side lobes)은 이웃한 다운링크 빔들에 대해 간섭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 1 기지국(BS1)에서 제 1 안테나 시스템(AS1)의 적어도 3개의 안테나 소자들(AE1, AE2, AE3)을 이용하여 테이퍼링(tapering)을 적용함으로써 빔 사이드 로브들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퍼링은 적절한 진폭들 및 위상들이 인접한 다운링크 빔들 사이에 감소된 간섭을 위해 작은 빔 사이드 로브들을 갖도록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을 채택하기 위한 안테나 소자들(AE1, AE2, AE3)에서 이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 2, 제 3 또는 제 4 실시예에 관련된 추가적인 개선은 이동국 세트에서 이동국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이용되는 다운링크 빔들 간의 간섭이 최소 빔 거리, PSF 또는 제 1 기지국(BS1)에서 AIMF와 함께 PSF를 이용함으로써 이미 최소화되기 때문에, 이동국들(MS1, MS2, MS3)에서 복잡하지 않은 MRC 수신기(MRC = maximal-ratio combining)를 이용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의 큰 각도 빔 확산을 갖는 제 1 무선 셀(C1)을 도시한다. 도 4의 요소들에 대응하는 도 9에 도시된 요소들은 동일한 도면 번호들로써 나타내진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RCS1)에서 이용하기 위한 방법(M5)을 도시한다. 도 5의 요소들에 대응하는 도 10에 도시된 요소들은 동일한 도면 번호들로써 나타내진다.
방법(M1)의 단계들(M1/1, M1/2, M1/3, M1/4, M1/5, M1/6, M1/7, M1/8, M1/9)에 부가하여, 이어지는 단계(M5/1)은 단계 M1/5 후에 실행되고, 단계 M5/2는 단계 M1/6의 대안으로서 실행되고, 단계 M5/3은 단계 M1/8 후에 실행되고, 단계 M5/4는 단계 M1/9의 대안으로서 실행된다.
추가적인 단계 M5/1에서, 제 1 이동국(MS1)은 그것이 고정된 컴패니온 방법(fixed companion method)을 미리 이용하도록 명령을 수신하였는지를 검증한다. 명령이 수신되지 않았으면, 단계 M1/6이 다음 단계이다. 명령이 수신되었다면, 단계 M5/2가 다음 단계이다.
고정된 컴패니온 방법은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 각각에 대해,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 중 또 다른 전용된 하나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 중 다른 전용된 하나는 고정된 컴패니온 다운링크 빔이다. 이 관계는 제 1 기지국(BS1) 및 이동국들(MS1, MS2, MS3)에 의해 알려지는 것이다.
각도 빔 확산에 대한 파라미터가 도달하거나, 제 2 임계값보다 위이거나 또는 파라미터가 값들의 제 2 범위 내에 있으면, 고정된 컴패니온 방법이 이용된다.
단계 M5/2에서, 제 1 이동국(MS1)은 최상의 다운링크 빔의 채널 품질을 결정하기 위한 고정된 컴패니온 방법을 적용한다.
고정된 컴패니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예를 들면, 제 1 다운링크 빔(DB1)의 고정된 컴패니온 다운링크 빔은 제 3 다운링크 빔(DB3)이고, 제 2 다운링크 빔(DB2)의 고정된 다운링크 빔은 제 4 다운링크 빔(DB4)이다.
제 1 이동국(MS1)은 예를 들면, 제 1 이동국(MS1)의 제 2 트랜시버(TR2)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출력되는 추정된 신호 대 간섭 비 또는 신호 대 간섭 펄스 잡음 비에 기초하여 CQI를 결정한다.
CQI 값은 예를 들면, 아래 수식들 중 하나를 이용하여 계산된다:
Figure 112010087034063-pct00006
Figure 112010087034063-pct00007
P_S_bestbeam은 예를 들면, 최상의 다운링크 빔(예에서 제 3 다운링크 빔(DB3))의 평균 수신된 변조 캐리어 전력이다. P_I_fixedcompanionbeam는 예를 들면, 고정된 컴패니온 다운링크 빔(예에서, 제 1 다운링크 빔(DB1))의 평균 수신된 변조 캐리어 전력이다.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에 대한 다수의 고정된 컴패니온 다운링크 빔들은 이동국들(MS1, MS2, MS3) 빼기 1의 다수의 Rx 안테나들(Rx = 수신)과 같다. 이것은 이동국들(MS1, MS2, MS3)에서 이용되는 2 Rx 안테나들에 대해, 하나의 고정된 컴패니온 다운링크 빔이 이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동국들에서 이용되는 4 Rx 안테나들의 경우에, 3개의 고정된 컴패니온 다운링크 빔들이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이동국들에서 이용될 Rx 안테나들의 수에 의존하는 이동국들의 트랜시버들에서 다수의 공간 자유도들을 고려한다.
제 2 트랜시버(TR2)에서, 공간 스트림 분리를 위한 MMSE 트랜시버(MMSE = minimum mean square error)가 이용될 수 있다. 제 2 트랜시버(TR2) 대신에, 마찬가지로, MMSE 수신기의 형태로 수신기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로 강제 수신기(zero forcing receiver) 또는 제로 강제 트랜시버(zero forcing transceiver)가 이용될 수 있다.
단계 M5/3에서, 제 1 기지국(BS1)은 고정된 컴패니온 방법이 이용되고 있는지를 검증한다. 고정된 컴패니온 방법이 이용되고 있지 않으면, 단계 M1/9는 다음 단계이다. 고정된 컴패니온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면, 단계 M5/4는 다음 단계이다.
단계 M5/4에서, 제 1 기지국(BS1)은 리포팅된 CQI 값들에 대해 이용된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 사이의 고정된 관계들을 고려하여, 수신된 제 1, 제 2 및 제 3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국 세트를 구축한다.
고정된 컴패니온 메커니즘의 이점은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 및 간섭이 크면, 최상의 다운링크 빔보다 추가적인 다운링크 빔들에 대한 부가적인 피드백 정보의 회피이다.
본 발명의 상이한 실시예들의 이용이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의 현재 각도 빔 확산에 의존하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이한 실시예들의 이용은 제 1 기지국(BS1)에 의해 제어된다. 이용된 실시예의 변경이 예를 들면, 각도 빔 확산이 특정 양만큼 변경되었거나, 적어도 특정한 임계값에 도달하기 때문에, 바람직한 경우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스위치하도록 명령이 제 1 기지국(BS1)에서 이동국들(MS1, MS2, MS3)로 전달된다.
제 1 기지국(BS1)에서 각도 빔 확산의 양호한 평가를 위해, 제 1 기지국(BS1)이 최상의 다운링크 빔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뿐만 아니라, 적어도 제 1 피드백 정보, 제 2 피드백 정보, 및 제 3 피드백 정보를 통해 또 다른 다운링크 빔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라 제 1 무선 통신 시스템(RCS1)에서 이용하기 위한 방법(M6)을 도시한다. 도 5, 도 7, 도 10의 요소들에 대응하는 도 15에 도시된 요소들은 동일한 도면번호들로써 나타내진다.
단계들(M1/1, M1/2, M1/3, M1/4, M1/5, M1/6, M1/7, M1/8, M1/9, M2/1, M2/2, M5/1, M5/2, M5/3, M5/4에 부가하여, 이어지는 단계 M6/1은 단계 M1/6 후에 또는 단계 M5/2 후에 실행되고, 단계 M6/2 및 M6/3은 대안으로서 단계 M6/1 후에 실행되고, 단계 M6/4는 대안으로서 단계 M2/1 후에 실행되고, M6/5는 단계 M1/9에 대한 대안으로서 실행된다. 도 11에 도시된 점들은 도 11에 도시되지 않은 단계들 M1/2, M1/3, M1/4를 나타낸다.
단계 M6/1에서, 제 1 이동국(MS1)은 확장된 피드백 리포팅을 위한 명령이 수신되었는지를 검증한다. 명령이 수신되지 않았으면, 단계 M1/7은 다음 단계이다. 확장된 피드백 리포팅을 위한 명령이 수신되었으면, 단계 M6/2는 다음 단계이다.
단계 M6/2에서, 제 1 이동국(MS1)은 수신된 가장 작은 캐리어 전력을 갖는 다운링크 빔, 이어지는 것에서 최상의 컴패니온 다운링크 빔을 결정한다.
단계 M6/3에서, 제 1 이동국(MS1)은 최상의 컴패니온 다운링크 빔을 참조하여 최상의 다운링크 빔의 SIR 거리 값(SIR_dist) 또는 SINR 거리 값(SINR_dist)을 결정한다.
제 1 이동국(MS1)은 SIR 거리 값(SIR_dist)의 계산을 위해 예를 들면, 아래 수식을 이용한다:
Figure 112010087034063-pct00008
P_S_bestbeam은 예를 들면, 최상의 다운링크 빔의 평균 수신된 변조 캐리어 전력이고, P_S_bestcompanionbeam은 예를 들면, 최상의 컴패니온 다운링크 빔의 평균 수신된 변조 캐리어 전력이다.
SINR 거리 값(SINR_dist)에 대해, 제 1 이동국(MS1)은 예를 들면, 아래 수식을 이용한다:
Figure 112010087034063-pct00009
단계들 M6/2 및 M6/3은 또한, 주기적인 타이머 만료(periodic timer expiry), 랜덤 프로세스, 또는 또 다른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기간에서 때때로 제 1 이동국(MS1)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단계 M1/7에서, 제 1 이동국(MS1)은 제 1 피드백 정보를 제 1 기지국(BS1)에 송신한다.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에 부가하여, 최상의 컴패니온 다운링크 빔의 빔 인덱스는 제 3 성분으로서 이용되고, SIR 거리 값(SIR_dist) 또는 SINR 거리 값(SINR_dist)은 제 1 피드백 정보의 제 4 성분으로서 이용된다.
단계 M1/8에서, 제 1 기지국(BS1)은 부가적인 제 3 성분 및 부가적인 제 4 성분을 갖는 제 1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다.
제 2 이동국(MS2) 및 제 3 이동국(MS3)은 따라서 제 2 피드백 정보 및 제 3 피드백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 M6/4에서, 기지국(BS1)은 부가적인 성분들을 갖는 피드백 정보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증한다. 부가적인 성분들을 갖지 않는 피드백 정보가 수신되면, 단계 M2/1은 다음 단계이다. 부가적인 상분들을 갖는 피드백 정보가 수신되면, 단계 M6/5는 다음 단계이다.
단계 M6/5에서, 제 1 기지국(BS1)은 제 1, 제 2, 및/또는 제 3 피드백 정보의 제 3 성분 및 제 4 성분을 고려하여, 제 1, 제 2, 및 제 3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국 세트를 구축한다.
제 1, 제 2, 및/또는 제 3 피드백 정보에서 리포팅될 SIR 거리 값들 또는 SINR 거리 값들의 이점은 상기 값들이 예를 들면,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의 각도 빔 확산의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각도 빔 확산의 수준은 본 발명의 상이한 실시예들에 적용될 상이한 임계값들과 비교된다. 각도 빔 확산이 임계치 아래 부분을 자르거나, 초과하면, 제 1 기지국(BS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현재 이용되는 실시예를 교환하도록 결정한다.
각도 빔 확산의 파라미터가 제 1 임계값과 제 2 임계값 사이에 있으면, 확장된 피드백 리포팅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 1 무선 통신 네트워크(RCS1)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르는 제 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1) 및 OMC(OMC = 운영 및 유지관리 센터)(OMC1)를 포함한다. 도 1의 실시예의 요소들에 대응하는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요소들은 동일한 도면 번호들로써 나타내진다.
OMC(OMC1)는 접속 라인(BS1-OMC1)을 통해 제 1 기지국(BS1)에 접속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12의 OMC(OMC1)는 접속 라인(BS1-OMC1)에 대한 인터페이스(I-OMC1), 제 3 트랜시버(TR3), 제 3 CPU(CPU3), 및 제 3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MEM3)를 포함한다.
제 3 트랜시버(TR3)는 접속 라인(BS1-OMS1)을 통해 구축 명령들을 제 1 기지국(BS1)에 송신하고, 접속 라인(BS1-OMC1)을 통해, 제 1 기지국(BS1)으로부터 구축 메시지들을 수신한다.
제 3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PROG3)을 저장하기 위해 제 3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MEM3)가 예견된다. 제 3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PROG3)은 제 1 기지국(BS1)의 피드백 동작 모드들 및 피드백 구축 파라미터들을 채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라 단계들 및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제 3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PROG3)이 예견된다. 제 3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PROG3)을 실행하기 위한 제 3 CPU(CPU3)가 예견된다.
OMC(OMC1)는 제 1 기지국(BS1)의 피드백 구축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한다. 이러한 피드백 구축 파라미터들은 예를 들면, 제 1 임계치, 제 2 임계치, 값들의 제 1 범위, 값들의 제 2 범위, 전력 스플리트 팩터 파라미터(power split factor parameter), 및 간섭 마진 팩터 파라미터(interference margin factor parameter)이다. 또한, OMC(OMC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동작 모드가 제 1 기지국(BS1) 및 제 1 기지국(BS1)에 접속된 이동국들(MS1, MS2, MS3)에서 이용되어야 하는지를 열거할 수 있다.
OMC(OMC1)는 피드백 리포팅 구축 파라미터들 및/또는 피드백 동작 모드를 제 1 기지국(BS1)에 송신한다. 추가적인 동작에 대해, 제 1 기지국(BS1)은 예를 들면, 제 1 무선 셀(C1)의 피드백 리포팅 모드 또는 제 1 무선 셀(C1)의 섹터를 설정하기 위해 OMC(OMC1)에 의해 결정될 피드백 동작 모드 및/또는 피드백 리포팅 구축 파라미터들을 이용한다.
무선 셀 또는 무선 셀의 섹터의 환경(예를 들면, 시골, 도시), 셀 사이즈, 옥상 위/아래에 안테나 배치에 의존하여, 또는 평균 장기 채널 속성들(average long-term channel properties)의 측정치들에 의존하여, 영구적인 방식으로 상이한 기지국들에 의해 상이한 피드백 리포팅 모드들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최적의 목적들을 위해, OMC(OMC1)의 이용에 의해 원격 제어 당 기지국들의 피드백 리포팅 구축 파라미터들을 구축할 수 있는 것이 이롭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네트워크(RCS1) 내에 이동국들의 세트들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기지국(BS1)과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MS1, MS2, MS3) 사이의 다운링크 채널(DL1)의 채널 특성들을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기지국(BS1)으로부터 기준 신호들을 송신하는 단계(M1/1):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MS1, MS2, MS3)에 의해 상기 기준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M1/2):
    상기 다운링크 채널(DL1)의 적어도 3개의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의 최대 수신된 캐리어 전력을 갖는 다운링크 빔의 채널 품질을 표시하는 제 1 성분 및 상기 최대 수신된 캐리어 전력을 갖는 상기 다운링크 빔을 표시하는 제 2 성분을 각각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MS1, MS2, MS3) 중 제 1 이동국에서의 제 1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MS1, MS2, MS3) 중 제 2 이동국에서의 제 2 피드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M1/3, M1/4, M1/5, M1/6);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MS1, MS2, MS3) 중 상기 제 1 이동국 및 상기 제 2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BS1)으로 상기 제 1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제 2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M1/7);
    상기 기지국(BS1)에서 상기 제 1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제 2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M1/8); 및
    상기 기지국(BS1)에서 상기 제 1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제 2 피드백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MS1, MS2, MS3) 중 적어도 2개의 이동국 세트를 구축하는 단계(M1/9)를 포함하는, 상기 이동국들의 세트 구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MS1, MS2, MS3)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3개의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 중 제 1 다운링크 빔 및 제 2 다운링크 빔을 선택하는 것과 상기 적어도 3개의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 중 상기 제 1 다운링크 빔과 상기 제 2 다운링크 빔 사이에 공간적으로 위치된 상기 적어도 3개의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 중 적어도 제 3 다운링크 빔을 선택하는 것을 갖는 최소 빔 거리 모드로서, 상기 적어도 3개의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 중 상기 제 3 다운링크 빔은 스케줄링을 위해 이용되지 않는, 상기 최소 빔 거리 모드,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MS1, MS2, MS3) 중 상기 제 1 이동국 및 상기 제 2 이동국이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MS1, MS2, MS3) 중 상기 제 1 이동국 및 상기 제 2 이동국의 송수신기(TR2)의 출력에 의해 추정된 신호-대-간섭 비 또는 신호-대-간섭-플러스-잡음 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3개의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 사이의 고정 관계들을 갖는 채널 품질을 결정하는 고정 관계 모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최소 빔 거리 모드 또는 상기 고정 관계 모드의 이용은 상기 적어도 3개의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의 현재의 각도 빔 확산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들의 세트 구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분은 제 1 CQI 값이고 상기 제 2 성분은 제 2 CQI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들의 세트 구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MS1, MS2, MS3)이 특정 시간 프레임 이내의 피드백 정보를 리포팅받으면, 상기 기지국(BS1)에서 상기 제 1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제 2 피드백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MS1, MS2, MS3) 중 적어도 2개의 이동국 세트를 구축하는 단계(M1/9)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들의 세트 구축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빔 거리 모드는 전력 분할 팩터 파라미터 또는 전력 분할 팩터 및 간섭 마진 팩터 파라미터를 고려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MS1, MS2, MS3) 중 상기 제 1 이동국 및 상기 제 2 이동국에 대한 송신 포맷을 선택하는 단계(M3/1)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들의 세트 구축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BS1)은 상기 최소 빔 거리 모드가 적용되면, 상기 기지국(BS1)의 안테나 시스템(AS1)의 적어도 3개의 안테나 소자들(AE1, AE2, AE3)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3개의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의 빔 사이드 로브들을 낮추기 위한 테이퍼링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들의 세트 구축 방법.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3개의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의 각도 빔 확산이 제 1 임계값 미만이거나 제 1 값들의 범위 이내에 있으면, 상기 최소 빔 거리 모드가 적용되고,
    상기 적어도 3개의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의 각도 빔 확산이 제 2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제 2 값들의 범위 이내에 있으면, 상기 고정 관계 모드가 적용되고,
    확장된 피드백 리포팅을 위한 명령이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MS1, MS2, MS3) 중 상기 제 1 이동국 및 상기 제 2 이동국에서 수신되어 있으면, 상기 방법은:
    최소 수신된 캐리어 전력을 갖는 다른 다운링크 빔을 결정하는 단계(M6/2), 및
    상기 최대 수신된 캐리어 전력을 갖는 다운링크 빔과 상기 최소 수신된 캐리어 전력을 갖는 다른 다운링크 빔에 따라 신호-대-간섭 비 정보 또는 신호-대-잡음-플러스-간섭 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M6/3)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1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제 2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적어도 3개의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의 최대 수신된 캐리어 전력을 갖는 다른 다운링크 빔을 표시하는 제 3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최대 수신된 캐리어 전력을 갖는 다운링크 빔과 상기 최소 수신된 캐리어 전력을 갖는 다른 다운링크 빔에 따라 신호-대-간섭 비 정보 또는 신호-대-잡음-플러스-간섭 비 정보를 표시하는 제 4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BS1)은 상기 기지국(BS1)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적어도 3개의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의 상기 현재의 각도 빔 확산에 의존하여, 상기 최소 빔 거리 모드, 상기 고정 관계 모드 및 상기 제 3 성분 및 상기 제 4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갖는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들의 세트 구축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빔 확산의 파라미터가 상기 제 1 임계값과 상기 제 2 임계값 사이에 있으면, 상기 확장된 피드백 리포팅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들의 세트 구축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운영 및 유지관리 센터(OMC1)는 상기 기지국(BS1)에 상기 최소 빔 거리 모드, 상기 고정 관계 모드, 또는 상기 제 3 성분 및 상기 제 4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갖는 모드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들의 세트 구축 방법.
  11.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MS1, MS2, MS3)의 서빙 기지국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RCS1)에서 이용하기 위한 기지국(BS1)으로서:
    상기 기지국(BS1)과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MS1, MS2, MS3) 사이의 다운링크 채널(DL1)의 채널 특성들을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기준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AS1, TR1); 상기 다운링크 채널(DL1)의 적어도 3개의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의 최대 수신된 캐리어 전력을 갖는 다운링크 빔의 채널 품질을 표시하는 제 1 성분 및 상기 최대 수신된 캐리어 전력을 갖는 다운링크 빔을 표시하는 제 2 성분을 각각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MS1, MS2, MS3) 중 제 1 이동국의 제 1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MS1, MS2, MS3) 중 제 2 이동국의 제 2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AS1, TR1); 및
    상기 기지국(BS1)에서 상기 제 1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제 2 피드백 정보에 따라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MS1, MS2, MS3) 중 적어도 2개의 이동국 세트를 구축하기 위한 수단(CPU1, PROG1)을 추가로 포함하는,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RCS1)에서 이용하기 위한 기지국(BS1)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BS1)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MS1, MS2, MS3)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3개의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 중 제 1 다운링크 빔 및 제 2 다운링크 빔을 선택하는 것과 상기 적어도 3개의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 중 상기 제 1 다운링크 빔과 상기 제 2 다운링크 빔 사이에 공간적으로 위치된 상기 적어도 3개의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 중 적어도 제 3 다운링크 빔을 선택하는 것을 갖는 최소 빔 거리 모드를 적용하기 위한 수단(CPU1, PROG1)으로서, 상기 적어도 3개의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 중 상기 제 3 다운링크 빔은 스케줄링을 위해 이용되지 않는, 상기 최소 빔 거리 모드 적용 수단(CPU1, PROG1)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이동국 세트를 구축하기 위한 수단(CPU1, PROG1)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MS1, MS2, MS3) 중 상기 제 1 이동국 및 상기 제 2 이동국이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MS1, MS2, MS3) 중 상기 제 1 이동국 및 상기 제 2 이동국의 송수신기(TR2)의 출력에 의해 추정된 신호-대-간섭 비 또는 신호-대-간섭-플러스-잡음 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3개의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 사이의 고정 관계들을 갖는 고정 관계 모드를 이용하여 채널 품질을 결정하는 고정 관계 모드를 고려하고, 상기 최소 빔 거리 모드 또는 상기 고정 관계 모드의 이용은 상기 적어도 3개의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의 현재의 각도 빔 확산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RCS1)에서 이용하기 위한 기지국(BS1).
  12. 기지국(BS1)에 의해 서빙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RCS1)에서 이용하기 위한 이동국(MS1, MS2, MS3)으로서:
    상기 기지국(BS1)과 상기 이동국(MS1, MS2, MS3) 사이의 다운링크 채널(DL1)의 채널 특성들을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기지국(BS1)으로부터 기준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M1/2);
    상기 다운링크 채널(DL1)의 적어도 3개의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의 최대 수신된 캐리어 전력을 갖는 다운링크 빔의 채널 품질을 표시하는 제 1 성분 및 상기 최대 수신된 캐리어 전력을 갖는 다운링크 빔을 표시하는 제 2 성분을 포함하는 제 1 피드백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M1/3, M1/4, M1/5, M1/6); 및
    상기 기지국(BS1)에 상기 제 1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M1/7)을 포함하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RCS1)에서 이용하기 위한 이동국(MS1, MS2, MS3)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MS1, MS2, MS3)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MS1, MS2, MS3)의 상기 제 1 이동국 및 상기 제 2 이동국의 송수신기(TR2)의 출력에 의해 추정된 신호-대-간섭 비 또는 신호-대-간섭-플러스-잡음 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3개의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 사이의 고정 관계들을 갖는 고정 관계 모드를 이용하여 채널 품질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고정 관계 모드의 이용은 상기 적어도 3개의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의 현재의 각도 빔 확산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RCS1)에서 이용하기 위한 이동국(MS1, MS2, MS3).
  13. 제 11 항에 따른 기지국(BS1) 및 제 12 항에 따른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MS1, MS2, MS3)을 갖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1)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RCS1).
  14. 무선 통신 시스템(RCS1)에서 이용하기 위한 운영 및 유지관리 센터(OMC1)에 있어서,
    상기 운영 및 유지관리 센터(OMC1)는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MS1, MS2, MS3)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적어도 3개의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 중 제 1 다운링크 빔 및 제 2 다운링크 빔을 선택하는 것과 상기 적어도 3개의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 중 상기 제 1 다운링크 빔과 상기 제 2 다운링크 빔 사이에 공간적으로 위치된 상기 적어도 3개의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 중 적어도 제 3 다운링크 빔을 선택하는 것을 갖는 최소 빔 거리 모드로서, 상기 적어도 3개의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 중 상기 제 3 다운링크 빔은 스케줄링을 위해 이용되지 않는, 상기 최소 빔 거리 모드, 또는 이동국들(MS1, MS2, MS3)의 세트들을 구축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동국들(MS1, MS2, MS3) 중 하나의 송수신기(TR2)의 출력에 의해 추정된 신호-대-간섭 비 또는 신호-대-간섭-플러스-잡음 비에 기초하여 채널 품질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3개의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 사이의 고정 관계들을 갖는 고정 관계 모드를 기지국(BS1)에서 구축하고/구축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축 및/또는 선택 수단은 상기 기지국(BS1)으로부터 송신된 다운링크 빔들(DB1, DB2, DB3, DB4)의 현재의 각도 빔 확산을 고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RCS1)에서 이용하기 위한 운영 및 유지관리 센터(OMC1).
  15. 삭제
KR1020107029491A 2008-09-19 2009-07-23 Mimo 시스템들에서 이동국들의 세트들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대응하는 이동국, 기지국, 운영 및 유지관리 센터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 KR1012094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305575A EP2166808B1 (en) 2008-09-19 2008-09-19 Method for building sets of mobile stations in MIMO systems, corresponding mobile station, base station, operation and maintenance centre and radio communication network
EP08305575.6 2008-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5668A KR20110025668A (ko) 2011-03-10
KR101209485B1 true KR101209485B1 (ko) 2012-12-07

Family

ID=40451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491A KR101209485B1 (ko) 2008-09-19 2009-07-23 Mimo 시스템들에서 이동국들의 세트들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대응하는 이동국, 기지국, 운영 및 유지관리 센터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611279B2 (ko)
EP (1) EP2166808B1 (ko)
JP (1) JP5199473B2 (ko)
KR (1) KR101209485B1 (ko)
CN (1) CN102084708B (ko)
AT (1) ATE511737T1 (ko)
BR (1) BRPI0914915A2 (ko)
WO (1) WO20100316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66808B1 (en) * 2008-09-19 2011-06-01 Alcatel Lucent Method for building sets of mobile stations in MIMO systems, corresponding mobile station, base station, operation and maintenance centre and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O2011150549A1 (en) * 2010-06-01 2011-12-08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on of beam groups and subset of beams in communication system
US8625560B2 (en) * 2010-12-02 2014-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back channel quality information in multi-user multi-input multi-output communication system
KR101787760B1 (ko) * 2010-12-02 2017-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사용자를 지원하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를 피드백하는 방법 및 장치
JP5706528B2 (ja) * 2011-08-15 2015-04-22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3091148A1 (en) * 2011-12-23 2013-06-2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Uplink power control for mu-mimo
KR102109655B1 (ko) * 2012-02-23 2020-05-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다중 입력 다중 출력 통신 방법
KR102140298B1 (ko) * 2012-03-27 2020-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정보 송신 방법 및 장치
US20130286960A1 (en) * 2012-04-30 2013-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channel beam management in a wireless system with a large number of antennas
KR20130127347A (ko) * 2012-05-10 2013-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아날로그 및 디지털 하이브리드 빔포밍을 통한 통신 방법 및 장치
US9439096B2 (en) * 2012-08-13 2016-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to support channel refinement and multi-stream transmission in millimeter wave systems
KR101971079B1 (ko) * 2012-09-20 2019-08-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04158634B (zh) * 2013-05-13 2017-10-27 华为技术有限公司 异构网协作多点传输的预编码方法及装置
TWI540848B (zh) * 2013-05-16 2016-07-01 晨星半導體股份有限公司 無線通信裝置與方法
US9794870B2 (en) 2013-06-28 2017-10-17 Intel Corporation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user equipment feedback of flow-to-rat mapping preferences
US9814037B2 (en) 2013-06-28 2017-11-07 Intel Corporation Method for efficient channel estimation and beamforming in FDD system by exploiting uplink-downlink correspondence
KR102177804B1 (ko) * 2014-03-25 2020-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102177553B1 (ko) * 2014-03-27 2020-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사용자 지원을 위한 빔포밍 방법 및 장치
CN104320850B (zh) * 2014-10-14 2018-06-05 东南大学 大规模miso多小区协同功率分配方法
KR102306800B1 (ko) * 2015-05-27 2021-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시스템의 피드백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2188747B1 (ko) * 2015-10-12 2020-12-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빔포밍을 이용한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2461619B1 (ko) * 2016-02-12 2022-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빔 포밍 장치 및 방법
WO2018030851A1 (ko) * 2016-08-12 2018-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80027305A (ko) * 2016-09-06 2018-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을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7888265B (zh) * 2016-09-30 2019-08-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道信息的反馈方法及装置、终端、基站
CN109964520B (zh) * 2016-11-17 2023-12-22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无线设备的共同调度
EP3579603B1 (en) * 2017-02-28 2021-02-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Scheduling method, base station and terminal
US11343124B2 (en) * 2017-08-15 2022-05-2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Base station wireless channel sounding
CN109495152A (zh) 2017-09-13 2019-03-19 索尼公司 电子设备和通信方法
WO2020079475A1 (en) * 2018-10-18 2020-04-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ulti-user pairing and sinr calculation based on relative beam power for codebook-based dl mu-mimo
WO2023206056A1 (en) * 2022-04-26 2023-11-02 Huawei Technologies Co.,Ltd.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equipment initiated link manage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49402A1 (en) 2006-04-20 2007-10-25 Qualcomm Incorporated Orthogonal resource reuse with sdma beam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6988A (en) 1996-10-23 1999-03-23 Arraycomm, Inc. Channel assignment and call admission control for 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s
MXPA04003496A (es) * 2001-10-15 2004-07-30 Qualcomm Inc Metodo y aparato para administrar el desequilibrio en un sistema de comunicaciones.
US7050405B2 (en) * 2002-08-23 2006-05-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a data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139274B2 (en) * 2002-08-23 2006-11-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a data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092717B2 (en) * 2002-12-20 2006-08-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a dynamic adjustment of a data request channel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746816B2 (en) * 2003-03-13 2010-06-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a power control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040179469A1 (en) * 2003-03-13 2004-09-16 Attar Rashid Ahmed Method and system for a data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206598B2 (en) * 2003-07-25 2007-04-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 control channel power alloc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DE60335305D1 (de) * 2003-12-22 2011-01-20 Ericsson Telefon Ab L M Verfahren zur bestimmung von sendegewichten
US7366464B2 (en) * 2004-06-04 2008-04-2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Access point operating with a smart antenna in a WLAN and associated methods
EP1784032A1 (en) 2005-11-04 2007-05-09 Alcatel Lucent Method for performing user allocation in SDMA systems, and corresponding base station
US7680518B2 (en) * 2006-03-31 2010-03-1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Deviation based antenna control algorithm for an access point
CA2547648A1 (en) * 2006-04-04 2007-10-04 Tenxc Wireless Inc. A method and apparatus for wi-fi capacity enhancement
TWI429218B (zh) * 2006-08-21 2014-03-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信號發信通道品質資訊的方法及電腦程式產品
JP2009212560A (ja) * 2008-02-29 2009-09-17 Toshiba Corp 基地局、通信プログラム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8358631B2 (en) * 2008-09-04 2013-01-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Beamforming systems and method
EP2166808B1 (en) * 2008-09-19 2011-06-01 Alcatel Lucent Method for building sets of mobile stations in MIMO systems, corresponding mobile station, base station, operation and maintenance centre and radio communication networ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49402A1 (en) 2006-04-20 2007-10-25 Qualcomm Incorporated Orthogonal resource reuse with sdma bea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99473B2 (ja) 2013-05-15
CN102084708B (zh) 2015-04-15
EP2166808A1 (en) 2010-03-24
US20110164668A1 (en) 2011-07-07
JP2012503386A (ja) 2012-02-02
CN102084708A (zh) 2011-06-01
ATE511737T1 (de) 2011-06-15
WO2010031621A1 (en) 2010-03-25
EP2166808B1 (en) 2011-06-01
KR20110025668A (ko) 2011-03-10
US8611279B2 (en) 2013-12-17
BRPI0914915A2 (pt) 201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9485B1 (ko) Mimo 시스템들에서 이동국들의 세트들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대응하는 이동국, 기지국, 운영 및 유지관리 센터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
US8320926B2 (en) Methods and arrangeme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944906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U-MIMO)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8478190B2 (en) Multi-cell coordinated transmiss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106589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및 통신 제어 방법
US88621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operating parameters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20210274578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based on channel state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KR20060123374A (ko) 공간적인 스케줄링에 대한 측정 방법
KR101490141B1 (ko) Mimo 컨텍스트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EP2467965B1 (en) A method for operating a radio station in a mobile network
US9312930B2 (en) Tele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EP2166807B1 (en) Method for building sets of mobile stations in SDMA systems, corresponding mobile station, base stations and radio communication network
US20110235606A1 (en)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thereof
KR101522423B1 (ko) 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 하향 링크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장치
EP2387832B1 (en) Transmitting a first and a second channel quality information between two network elements
US10171221B2 (en)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of multi-antenn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back channel quality indicator
KR102382912B1 (ko) 다중 안테나 통신 시스템의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그리고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피드백 방법 및 장치
US20230387996A1 (en) Considering radio channel diversity capabil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