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6743A - 졸음운전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졸음운전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6743A
KR20110076743A KR1020100082321A KR20100082321A KR20110076743A KR 20110076743 A KR20110076743 A KR 20110076743A KR 1020100082321 A KR1020100082321 A KR 1020100082321A KR 20100082321 A KR20100082321 A KR 20100082321A KR 20110076743 A KR20110076743 A KR 20110076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pulse signal
driver
light receiving
drowsy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8428B1 (ko
Inventor
한민수
이태화
오승원
박한빛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ublication of KR20110076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6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60K28/06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60W2040/0827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due to sleepi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졸음운전을 감지하는 기법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의 손 부분에 대해 적외선 LED를 발광하여 그 반사 신호를 수광하고, 그 수광 센서 값에서 노이즈를 제거하여 맥박 신호를 추출하며, 추출된 맥박 신호의 값을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졸음운전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운전자 손 부분에 대한 센싱을 통해 획득된 맥박 신호를 이용하여 졸음운전 여부를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졸음운전 감지 장치 및 그 방법{DROWSY DRIVING DETECTION APPARATUS AND ITS METHOD}
본 발명은 졸음운전 방지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맥박을 검출하여 그 맥박 신호에 따라 졸음운전 여부를 판단하는데 적합한 졸음운전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졸음운전은 이미 그 비중이 점차 늘어 차량 사고 원인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기존의 졸음운전을 방지하기 위한 연구들은 대부분 카메라를 통해 운전자의 행태(예를 들면, 눈 깜빡임 등)를 분석하여 그 상태에 따라 졸음운전 여부를 판단하고, 졸음운전 중이라고 판단되면 경보를 출력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며, 졸음운전을 감지하는 연구 중에는 사람의 생체 신호를 이용한 연구들도 제안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를 이용한 졸음운전 감지는 운전자가 신체의 일부를 가리는 도구를 사용하거나 주의의 환경이 급격하게 변하는 경우 졸음운전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생체 신호에 대한 연구들의 대부분은 뇌파도, 신체의 온도, 피부의 임피던스 등을 이용하는 것으로, 이를 위한 고가의 장비가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운전자의 맥박 신호를 감지하여 졸음운전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졸음운전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졸음운전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 조향 장치에 설치되며, 적외선 LED를 운전자 손 부분으로 발광시키고, 상기 발광시킨 적외선 LED에 대응하여 반사된 신호를 수광한 후에, 그 수광 센서 값을 전송하는 센싱 블록과, 상기 전송된 수광 센서 값을 수신한 후, 노이즈를 제거하여 맥박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맥박 신호의 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졸음운전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 블록을 포함하는 졸음운전 감지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운전자 손 부분으로 발광시킨 적외선 LED에 대응하여 반사된 신호를 수광한 후에, 그 수광 센서 값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수광 센서 값을 수신한 후, 노이즈를 제거하여 맥박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맥박 신호의 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졸음운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졸음운전 감지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운전자의 손 부분에 대해 적외선 LED를 발광하여 그 반사 신호를 수광하고, 그 수광 센서 값에서 노이즈를 제거하여 맥박 신호를 추출하며, 추출된 맥박 신호의 값을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졸음운전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운전자 손 부분에 대한 센싱을 통해 획득된 맥박 신호를 이용하여 졸음운전 여부를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의 특별한 조작이나 운전자 신체에 특정 장비를 부착하지 않고, 차량 운전 중에 운전자의 졸음운전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함으로써, 졸음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맥박 신호를 이용하여 졸음운전 여부를 감지하는데 적합한 졸음운전 감지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운전자의 손 부분을 센싱하는데 적합한 센싱 블록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맥박 신호를 추출하여 졸음운전 여부를 판단하는데 적합한 제어 블록의 구성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차량 조향 장치에 설치되는 센싱 기기를 예시한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운전석 옆 좌석에 설치된 랩탑 컴퓨터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 기기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맥박 신호의 파형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맥박 신호를 이용하여 졸음운전을 감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본 발명은, 졸음운전 감지 장치에서 운전자의 손 부분에 대해 적외선 LED를 발광하여 그 반사 신호를 수광하고, 그 수광 센서 값에서 노이즈를 제거하여 맥박 신호를 추출하며, 추출된 맥박 신호의 값을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졸음운전 여부를 판단한다는 것이며,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맥박 신호를 이용하여 졸음운전 여부를 감지하는데 적합한 졸음운전 감지 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센싱 블록(100), 제어 블록(2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센싱 블록(100)은 예를 들면, 적외선 LED(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라 함) 등을 포함하여 운전자 맥박을 센싱하는 것으로, 운전자 손가락의 센싱을 위해 예를 들면, 차량 조향 장치 등에 설치되어 예를 들면, 적외선 LED를 운전자의 손 부분으로 발광시키고, 손 부분으로부터 운전자 맥박을 센싱하기 위해 반사된 신호를 수광한 후에, 해당 수광 센서 값을 근거리 무선 통신(예를 들면, 블루투스 등)을 통해 제어 블록(200)으로 전송한다.
일 예로서,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차량 조향 장치에 설치되는 센싱 기기를 예시한 도면으로, 차량 조향 장치에 센싱 블록(100)의 기능을 갖는 센싱 기기가 설치되어 운전자 손 부분에 대한 센싱을 쉽게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블록(200)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이 탑재된 랩탑 컴퓨터, 네비게이션 장치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센싱 블록(100)으로부터 수광 센서 값이 수신되면, 수신된 수광 센서 값의 노이즈를 제거하여 맥박 신호만을 추출하고, 추출된 맥박 신호를 그래프화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한 후에, 해당 맥박 신호의 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졸음운전 여부를 판단하며, 졸음운전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예를 들면, 알람, 벨 등을 이용한 경보를 출력한다.
일 예로서,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운전석 옆 좌석에 설치된 랩탑 컴퓨터를 예시한 도면으로, 운전석 옆 좌석에 제어 블록(200)의 기능을 갖는 랩탑 컴퓨터가 설치되어 센싱 블록(100)으로부터 전송되는 수광 센서 값을 통해 맥박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맥박 신호를 이용하여 졸음운전 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의 손 부분에 대해 적외선 LED를 발광하여 그 반사 신호를 수광하고, 그 수광 센서 값에서 노이즈를 제거하여 맥박 신호를 추출하며, 추출된 맥박 신호의 값을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졸음운전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운전자 손 부분에 대한 센싱을 통해 획득된 맥박 신호를 이용하여 졸음운전 여부를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특별한 조작이나 운전자 신체에 특정 장비를 부착하지 않고, 차량 운전 중에 운전자의 졸음운전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함으로써, 졸음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졸음운전 감지 장치에서 적외선 LED를 운전자의 손 부분으로 발광시키고, 손 부분으로부터 운전자 맥박을 센싱하기 위해 반사된 신호를 수광한 후에, 해당 수광 센서 값을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제어 블록으로 전송하는 센싱 블록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운전자의 손 부분을 센싱하는데 적합한 센싱 블록의 구성도로서, 센싱 블록(100)은 발광부(102), 수광부(104), 제 1 무선 통신부(10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발광부(102)는 예를 들면, 적외선 LED 등을 발광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적외선 LED 등을 광원으로 하여 운전자 손 부분(예를 들면, 운전자 손가락 등)에 대략 990nm의 적외선 광을 발광시킨다.
또한, 수광부(104)는 발광시킨 적외선 광에 대한 반사 신호를 수광하는 것으로, 발광부(102)를 통해 발광시킨 적외선 광이 운전자 손 부분에서 반사된 그 반사 신호를 수광 센서를 통해 수광하고, 수광된 수광 센서 값을 제 1 무선 통신부(106)에 전달한다.
한편, 제 1 무선 통신부(106)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센싱 블록(100)과 제어 블록(200) 간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것으로, 수광부(104)로부터 전달된 수광 센서 값을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제어 블록(200)으로 전송한다.
일 예로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 기기를 예시한 도면으로, 예를 들면, PIC16F73 등을 사용하여 센싱 기능을 수행하는 센서 기기는 내부에 연산 기능과 롬(ROM)과 램(RAM)을 내장한 칩(RISC CPU)으로 클럭은 최대20㎒ 이며, 아날로 그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10비트(bit) 컨버터(analog-digital converter)를 3개 내장하고 있고, 일반 디지털 포트가 22개가 있는데, 마이컴 PIC16F73은 연속적으로 2번 포트(RA0)로 HIGH 신호를 보내어 990nm 적외선 LED가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도한, 발광된 빛은 운전자의 손 부분(예를 들면, 운전자 손가락 등)으로부터 반사되는데, 이 반사되는 신호를 수광 센서가 받아들여 3번 포트(AN1)로 연속해서 전송할 수 있고, 마이컴 PIC16F73은 수광 센서로부터 받아들인 값을 17번 포트(TX)를 이용하여 MAX232로 전송하는데, MAX232는 마이컴 PIC16F73과 블루투스 모듈 사이의 데이터 전달 역할을 할 수 있으며, MAX232로부터 수광 센서의 값을 받은 블루투스 모듈은 80samples/sec의 속도로 중앙처리부에 값을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조향 장치에 설치되어 운전자 손 부분에 적외선 LED를 발광시키고, 그 반사 신호를 수광하여 그에 대응하는 수광 센서 값을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제어 블록에 효과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졸음운전 감지 장치에서 센싱 블록으로부터 수신된 수광 센서 값에 대한 노이즈를 제거하여 맥박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맥박 신호를 그래프화하여 표시함과 동시에 해당 맥박 신호의 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졸음운전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 블록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맥박 신호를 추출하여 졸음운전 여부를 판단하는데 적합한 제어 블록의 구성도로서, 제어 블록(200)은 제 2 무선 통신부(202), 중앙 처리부(20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2 무선 통신부(202)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센싱 블록(100)과 제어 블록(200) 간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것으로, 센싱 블록(100)으로부터 전송되는 수광 센서 값을 수신하여 이를 중앙 처리부(204)로 전달한다.
그리고, 중앙 처리부(204)는 수광 센서 값을 노이즈 제거한 맥박 신호를 이용하여 졸음운전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제 2 무선 통신부(202)를 통해 전달되는 수광 센서 값에서 노이즈를 제거하여 맥박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맥박 신호를 그래프화하여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추출된 맥박 신호의 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한 후에,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졸음운전 여부를 판단하고, 졸음운전으로 판단된 경우 예를 들면, 알람, 벨 등을 통해 경보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맥박 신호의 값이 기 설정된 기준값을 벗어나는 값인 경우 졸음운전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특히 맥박 신호의 파형에서 파형의 높이값을 비교해서 기 설정된 기준값과 같거나 높으면 정상 상태로 분류하고, 낮으면 그 정도를 계산해 졸음운전의 여부를 판단하고, 졸음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맥박 신호의 파형을 예시한 도면으로, 정상적인 맥박 신호의 파형이 예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맥박 신호에서 기 설정된 기준값(예를 들면, 기 설정된 파형의 높이값 등)보다 맥박 신호의 파형이 낮은 값을 가질 경우 졸음운전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센싱 블록으로부터 전송되는 수광 센서 값에서 노이즈를 제거하여 맥박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맥박 신호를 그래프화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함과 동시에 맥박 신호의 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졸음운전 여부를 판단함으로서, 운전자 맥박을 이용하여 졸음운전 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졸음운전 감지 장치에서 운전자의 손 부분에 대해 적외선 LED를 발광하여 그 반사 신호를 수광하고, 그 수광 센서 값에서 노이즈를 제거하여 맥박 신호를 추출하며, 추출된 맥박 신호의 값을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졸음운전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맥박 신호를 이용하여 졸음운전을 감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졸음운전 감지 장치의 졸음운전 감지 모드에서(단계702), 센서 블록(100)의 발광부(102)에서는 예를 들면, 적외선 LED 등을 광원으로 하여 운전자 손 부분(예를 들면, 운전자 손가락 등)에 대략 990nm의 적외선 광을 발광시킨다(단계704).
또한, 센서 블록(100)의 수광부(104)에서는 발광부(102)를 통해 발광시킨 적외선 광이 운전자 손 부분에서 반사된 그 반사 신호를 수광 센서를 통해 수광한다(단계706). 여기에서 수광된 수광 센서 값은 제 1 무선 통신부(106)로 전달된다.
다음에, 센서 블록(100)의 제 1 무선 통신부(106)에서는 수광부(104)로부터 전달된 수광 센서 값을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예를 들면, 블루투스 모듈 등)을 통해 제어 블록(200)으로 전송한다(단계708).
한편, 제어 블록(200)의 제 2 무선 통신부(202)에서는 센싱 블록(100)의 제 1 무선 통신부(106)로부터 전송되는 수광 센서 값을 수신하여 이를 중앙 처리부(204)로 전달한다(단계710).
그리고, 제어 블록(200)의 중앙 처리부(204)에서는 제 2 무선 통신부(202)를 통해 전달되는 수광 센서 값에서 노이즈를 제거하여 맥박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맥박 신호를 그래프화하여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표시)한다(단계712).
이와 함께, 중앙 처리부(204)에서는 추출된 맥박 신호의 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한 후에,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운전자가 졸음운전 중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714). 여기에서, 맥박 신호의 값이 기 설정된 기준값을 벗어나는 값인 경우 졸음운전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맥박 신호의 파형에서 파형의 높이값이 졸음운전으로 판단하기 위해 기 설정된 기준값(예를 들면, 기 설정된 파형의 높이값 등)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가질 경우 졸음운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계(714)에서의 체크 결과, 졸음운전 중인 것으로 판단될 경우 중앙 처리부(204)에서는 예를 들면, 알람, 벨 등을 통해 경보를 출력한다(단계716). 여기에서, 졸음운전 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될 경우 졸음운전 감지 장치의 졸음운전 감지 모드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의 손 부분에 대해 적외선 LED를 발광하여 그 반사 신호를 수광하고, 그 수광 센서 값에서 노이즈를 제거하여 맥박 신호를 추출하며, 추출된 맥박 신호의 값을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졸음운전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운전자 손 부분에 대한 센싱을 통해 획득된 맥박 신호를 이용하여 졸음운전 여부를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특별한 조작이나 운전자 신체에 특정 장비를 부착하지 않고, 차량 운전 중에 운전자의 졸음운전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함으로써, 졸음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매체에 기록될 수 있는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이러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고,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센싱 블록 102 : 발광부
104 : 수광부 106 : 제 1 무선 통신부
200 : 제어 블록 202 : 제 2 무선 통신부
204 : 중앙 처리부

Claims (10)

  1. 차량 조향 장치에 설치되며, 적외선 LED를 운전자 손 부분으로 발광시키고, 상기 발광시킨 적외선 LED에 대응하여 반사된 신호를 수광한 후에, 그 수광 센서 값을 전송하는 센싱 블록과,
    상기 전송된 수광 센서 값을 수신한 후, 노이즈를 제거하여 맥박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맥박 신호의 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졸음운전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 블록을 포함하는
    졸음운전 감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블록은,
    상기 적외선 LED를 광원으로 하여 상기 운전자 손 부분으로 발광시키는 발광부와,
    상기 적외선 LED가 상기 운전자 손 부분에서 반사된 신호를 수광하는 수광부와,
    상기 수광된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수광 센서 값을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제 1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졸음운전 감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블록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수광 센서 값을 수신하는 제 2 무선 통신부와,
    상기 수광 센서 값에서 상기 노이즈를 제거하여 상기 맥박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맥박 신호를 그래프화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며, 상기 맥박 신호의 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졸음운전 여부를 판단하는 중앙 처리부를 포함하는
    졸음운전 감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맥박 신호의 파형에서 파형의 높이값이 상기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가질 경우 졸음운전 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졸음운전 감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기준값은, 기 설정된 파형의 높이값을 포함하는
    졸음운전 감지 장치.
  6. 운전자 손 부분으로 발광시킨 적외선 LED에 대응하여 반사된 신호를 수광한 후에, 그 수광 센서 값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수광 센서 값을 수신한 후, 노이즈를 제거하여 맥박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맥박 신호의 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졸음운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졸음운전 감지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 센서 값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적외선 LED를 광원으로 하여 상기 운전자 손 부분으로 발광시키는 단계와,
    상기 적외선 LED가 상기 운전자 손 부분에서 반사된 신호를 수광하는 단계와,
    상기 수광된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수광 센서 값을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졸음운전 감지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맥박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수광 센서 값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광 센서 값에서 상기 노이즈를 제거하여 상기 맥박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맥박 신호를 그래프화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졸음운전 감지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졸음운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맥박 신호의 파형에서 파형의 높이값이 상기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가질 경우 졸음운전 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졸음운전 감지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기준값은, 기 설정된 파형의 높이값을 포함하는
    졸음운전 감지 방법.
KR1020100082321A 2009-12-28 2010-08-25 졸음운전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12084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31850 2009-12-28
KR1020090131850 2009-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743A true KR20110076743A (ko) 2011-07-06
KR101208428B1 KR101208428B1 (ko) 2012-12-05

Family

ID=44916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321A KR101208428B1 (ko) 2009-12-28 2010-08-25 졸음운전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4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886A (ko) 2020-12-11 2022-06-21 박민기 스마트워치와 얼굴인식을 이용한 졸음운전 감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3980A (ko) 2015-06-05 2016-12-15 황토코리아협동조합 스마트 흙침대/돌침대
KR102096617B1 (ko) 2018-12-12 2020-04-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이미지와 ppg 데이터를 이용한 멀티모달 딥러닝 기반의 운전자 졸음감지 시스템
KR20220065914A (ko) 2020-11-13 2022-05-23 윤태민 졸음운전자를 위한 자동비상주차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444A (ja) * 1996-07-16 1998-02-03 Nippon Soken Inc 居眠り運転検出装置
JPH11197127A (ja) 1998-01-16 1999-07-27 Nippon Soken Inc 生体信号検出センサ
JP2008036354A (ja) 2006-08-10 2008-02-21 Tokai Rika Co Ltd 車両の生体情報通信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886A (ko) 2020-12-11 2022-06-21 박민기 스마트워치와 얼굴인식을 이용한 졸음운전 감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8428B1 (ko)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9080B1 (en) Radar-based object detection for vehicles
US9827811B1 (en) Vehicular haptic feedback system and method
KR101208428B1 (ko) 졸음운전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1603553B1 (ko) 차량에서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제스쳐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차량
US20180253094A1 (en) Safety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human-driven vehicle
US9457709B2 (en) Bicycle helmet with an adaptive light notification system that varies brightness
US20140293053A1 (en) Safety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human-driven vehicle
TWI565611B (zh) 行車安全檢測方法、系統、行車電腦及智慧型穿戴裝置
US9489817B2 (en) Infrared sensing of eye and eyelid movements to detect drowsiness
JP2019516080A5 (ko)
CN103622682B (zh) 一种检测驾驶员健康状况的系统及方法
US8723691B2 (en) Pedestrian safety system
KR101692004B1 (ko) 웨어러블 바이오 장치
KR101839089B1 (ko) 운전자의 졸음 인식 방법 및 졸음 인식 장치
US20190292838A1 (en) Vehicle door opening/closing device
CN104354698A (zh) 基于心电信号及地理信息的驾驶员应激判别系统和方法
US20220111792A1 (en) Techniques for generating vehicle-to-pedestrian (v2p) communications based on driver monitoring
JP2018117726A (ja) 生体センサ制御装置および生体センサ制御方法
CN106741337A (zh) 自行车防盗智能检测报警系统及其设计方法
US8872641B2 (en) Premises-based wireless alert system for automotive tall cargo
US10272838B1 (en) Reducing lane departure warning false alarms
CN209518857U (zh) 一种驾驶员生命体征及酒态监测报警方向盘
KR101154277B1 (ko) 차량용 방향지시 감지장치와 감지방법
CN111434528A (zh) 基于车载终端的危险行为预警方法及系统、车载终端
CN209312234U (zh) 具有驾驶辅助及报警功能的路况监测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