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4216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4216A
KR20110074216A KR1020090131122A KR20090131122A KR20110074216A KR 20110074216 A KR20110074216 A KR 20110074216A KR 1020090131122 A KR1020090131122 A KR 1020090131122A KR 20090131122 A KR20090131122 A KR 20090131122A KR 20110074216 A KR20110074216 A KR 20110074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ing unit
image reading
support member
movable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1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욱
박진호
설광조
이병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1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4216A/ko
Priority to US12/969,886 priority patent/US8737046B2/en
Priority to EP10195808.0A priority patent/EP2343602B1/en
Publication of KR20110074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42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9Mounting or support of components or el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03G15/605Holders for originals or exposure plat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19Fram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7Connection or assembly of components or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1Digital copier; digital 'photocopier'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 프레임과,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는 화상독취유닛을 포함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 프레임에는 화상독취유닛이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 지지부가 마련되며, 화상독취유닛의 일측을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 지지부재와, 이동 지지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화상독취유닛을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상독취유닛의 평탄도 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원고로부터 화상을 독취하는 화상독취유닛을 갖춘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화상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을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용지 공급을 위한 급지유닛과, 급지유닛으로부터 용지를 공급받아 화상정보를 용지에 인쇄하는 화상형성유닛를 포함하며, 근래 화상형성장치에는 원고의 화상정보를 읽어들이는 화상독취유닛와, 화상독취유닛을 통한 원고의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원고 자동급지유닛 등을 갖춘 화상형성장치가 있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 내에는 구성요소들을 설치하기 위한 본체 프레임이 구비되어, 본체 프레임 내에 급지유닛과 화상형성유닛이 상하로 구성되고, 본체 프레임의 상측에 화상독취유닛과, 원고 자동급지유닛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화상독취유닛을 본체 프레임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화상독취유닛의 평탄도가 낮아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 프레임과,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는 화상독취유닛을 포함하며, 화상독취유닛이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 지지부와, 본체 프레임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화상독취유닛의 일측을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 지지부재와, 이동 지지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고정 지지부는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며 그 중앙에 나사 설치를 위한 체결공이 마련된 제 1 고정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화상독취유닛의 일측을 설치하기 위해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된 제 1 설치부를 더 포함하며, 제 1 고정 지지부는 제 1 설치부의 상면에 마련된다.
또한 제 1 고정 지지부는 한 쌍이 제 1 설치부의 상면에 서로 이격되게 마련된다.
또한 화상독취유닛의 타측을 설치하기 위해 본체 프레임의 타측에 마련된 제 2 설치부와, 제 2 설치부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고정 지지부는 고정 지지부재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화상독취유닛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 2 고정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이동 지지부재는 그 측방으로 연장되어 화상독취유닛의 하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이동 지지부는 한 쌍이 이동 지지부재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화상독취유닛의 하면 두 곳을 지지한다.
또한 본체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마련된 가이드홀과, 이동 지지부재로부터 돌출되어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체 프레임에 마련된 걸림홀과, 이동 지지부재로부터 연장되며 걸림홈을 관통하여 걸림홈 인접부에 걸리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며, 걸림부는 걸림홈의 상하 길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긴 상하 길이를 갖는다.
또한 탄성부재는 그 상단이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고 그 하단이 이동 지지부재에 설치되어 이동 지지부재를 상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 프레임과,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는 화상독취유닛을 포함하며, 본체 프레임에 마련되며 화상독취유닛의 세 곳이 고정 설치되는 세 개의 고정 지지부와, 본체 프레임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화상독취유닛의 일측을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 지지부재와, 이동 지지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독취유닛이 복수의 고정 지지부와 적어도 하나의 이동 지지부를 통해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므로, 화상독취유닛을 본체 프레임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화상독취유닛의 평탄도가 낮아지는 것은 예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 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00)는 원고의 화상정보를 읽어들이는 화상독취유닛(10)과, 화상독취유닛(10)에서 독취된 화상 정보나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외부 기기에서 전달된 화상정보를 종이와 같은 인쇄매체에 인쇄하는 화상형성유닛(20)과, 화상독취유닛(10)에서 원고의 독취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원고를 자동으로 급지하는 원고 자동급지유닛(40)과 화상형성유닛(20)에서 사용될 용지를 공급하는 급지유닛(30) 등을 포함한다.
화상독취유닛(10)은 사용 편이성을 고려하여 화상형성유닛(20)의 상부에 설치되며, 원고 자동급지유닛(40)은 화상독취유닛(10)의 상측에 설치되어 화상독취유닛(10)에 의한 원고의 독취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화상형성장치(100) 내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구성요소들을 설치하기 위한 본체 프레임(110)이 포함되어, 본체 프레임(110) 내에 급지유닛(30)과 화상형성유닛(20)이 상하로 차례로 설치되고, 본체 프레임(110)의 상측에 화상독취유닛(10)과 원고 자동급지유닛(40)이 상하로 차례로 설치된다.
화상독취유닛(10)은 대략 직육면체 형태를 갖도록 독립적으로 제조된 후 본체 프레임(110)에 설치되며, 본체 프레임(110)의 상부 양측에는 화상독취유닛(10)의 양측이 각각 설치되는 제 1 설치부(111)와 제 2 설치부(112)가 마련된다. 이때, 화상독취유닛(10)을 통해 원고가 정확하게 독취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화상독취유닛(10)의 평탄도가 일정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므로, 화상독취유닛(1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화상독취유닛(10)의 평탄도는 일정 수준 이상이 되도 록 정밀하게 제조된다.
그러나 화상독취유닛(10)의 평탄도가 일정 이상이 되도록 정밀하게 제조하더라도, 화상독취유닛(10)을 본체 프레임(110)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본체 프레임(110)의 공차에 의해 화상독취유닛(10)의 평탄도가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화상독취유닛(10)을 본체 프레임(110)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평탄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화상독취유닛(10)의 네 모서리부 중 세 모서리부와 인접한 세 곳이 본체 프레임(110)의 세 곳에 각각 고정 지지되고 나머지 한 모서리부와 인접 한 곳이 본체 프레임(11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체 프레임(110)에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독취유닛(10)이 고정 지지되는 세 개의 고정 지지부(111b, 113a)이 마련되며, 본체 프레임(110)에는 본체 프레임(11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화상독취유닛(10)의 일측이 지지되는 이동 지지부(114b, 114c)가 일측에 형성된 이동 지지부재(114)와, 상단은 본체 프레임(110)에 설치되고 하단은 이동 지지부재(114)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이동 지지부재(114)를 상측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115)가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세 개의 고정 지지부(111b, 113a)를 통해 화상독취유닛(10)의 세 곳이 고정 지지되도록 하면, 화상독취유닛(10)는 그 세 모서리부의 인접부가 고정 지지부(111b, 113a)를 통해 각각 본체 프레임(110)에 고정 지지되어 3점 지지가 이루어지면서도 화상독취유닛(10)의 나머지 하나의 모서리부 인접부는 이동 지지부(114b, 114c)를 통해 탄성부재(115)에 탄성 복원력을 전달받아 상측으 로 탄성 지지된다. 따라서, 탄성부재(11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화상독취유닛(10)은 세 고정 지지부(111b, 113a)에 각각 탄성 지지된 상태가 되며, 그에 따라 화상독취유닛(10)은 본체 프레임(110)의 평탄도에 관계 없이 자체적인 평탄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고정 지지부(111b, 113a)는 제 1 설치부(111)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며 그 중앙에 나사 체결을 위한 체결공(111a)이 마련된 제 1 고정 지지부(111b)와, 제 2 설치부(112)의 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화상독취유닛(10)의 하면이 지지되는 제 2 고정 지지부(113a)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고정 지지부(113a)는 제 2 설치부(112)의 측면에 고정된 고정 지지부재(113)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동 지지부재(114)는 본체 프레임(110)의 제 2 설치부(112)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 지지부(114b, 114c)는 이동 지지부재(114)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그 상면에 화상독취유닛(10)의 하면이 지지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이동 지지부재(114)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115)를 통해 본체 프레임(110)에 탄성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 지지부(114b, 114c)는 한 쌍이 구비되어 이동 지지부재(114)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다.
이동 지지부재(114)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본체 프레임(110)의 제 2 설치부(112)에는 상하로 연장된 복수의 가이드홀(112a)이 마련되며, 이동 지지부재(114)에는 이동 지지부재(114)로부터 돌출되어 복수의 가이드홀(112a)에 각각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돌기(114a)가 마련된다. 따라서 이동 지지부 재(114)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탄성부재(115)의 탄성복원력을 통해 화상독취유닛(10)을 상측으로 탄성지지한다.
또한 이동 지지부재(114)가 본체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제 2 설치부(112)에는 걸림홀(112c)이 마련되며, 이동 지지부재(114)에는 이동 지지부재(114)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며 걸림홀(112c)을 관통하여 걸림홀(112c) 인접부에 걸리는 걸림부(114d)가 마련된다. 이때, 걸림부(114d)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상하 길이가 걸림홀(112c)의 상하 길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걸림부(114d)를 형성하면, 이동 지지부재(114)의 측면이 탄성부재(11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 2 설치부(112)의 측면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걸림부(114d)가 걸림홀(112c) 인접부에 걸려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이동 지지부재(114)가 제 2 설치부(112)로부터 이탈하는 것은 방지된다.
또한 이동 지지부재(114)에는 화상독취유닛(10)과 나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체결공(114e)이 마련되며, 제 2 설치부(112)에는 나사가 제 2 설치부(112)를 관통하여 이동 지지부재(114)에 마련된 체결공(114e)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112b)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화상독취유닛(10)은 세 곳이 고정 지지부(111b, 113a)를 통해 본체 프레임(110)에 고정 지지되고 한 곳이 이동 지지부(114b, 114c)를 통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화상독취유닛(10)의 복수의 곳이 복수의 고정 지지부(111b, 113a)를 통해 본체 프레임(110)에 고정 지지되 고 화상독취유닛(10)의 하나 이상의 곳이 이동 지지부(114b, 114c)를 통해 본체 프레임(110)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할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 화상독취유닛 및 본체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 고정 지지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 이동 지지부재의 설치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 이동 지지부재의 동작을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화상독취유닛 20: 화상형성유닛
30: 급지유닛 40: 원고 자동급지유닛
110: 본체 프레임 111: 제 1 설치부
111b: 제 1 고정지지부 112: 제 2 설치부
112a: 가이드홀 112c: 걸림홀
113: 고정 지지부재 113a: 제 2 고정 지지부
114: 이동 지지부재 114a: 가이드돌기
114b, 114c: 이동 지지부 114d: 걸림부

Claims (13)

  1.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는 화상독취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화상독취유닛이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 지지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화상독취유닛의 일측을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 지지부재와,
    상기 이동 지지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부는 상기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며 그 중앙에 나사 설치를 위한 체결공이 마련된 제 1 고정 지지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독취유닛의 일측을 설치하기 위해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된 제 1 설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고정 지지부는 상기 제 1 설치부의 상면에 마련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지지부는 한 쌍이 상기 제 1 설치부의 상면에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독취유닛의 타측을 설치하기 위해 상기 본체 프레임의 타측에 마련된 제 2 설치부와,
    상기 제 2 설치부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 지지부는 상기 고정 지지부재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화상독취유닛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 2 고정 지지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지부재는 그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화상독취유닛의 하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지지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지부는 한 쌍이 상기 이동 지지부재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화상독취유닛의 하면 두 곳을 지지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마련된 가이드홀과,
    상기 이동 지지부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에 마련된 걸림홀과,
    상기 이동 지지부재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걸림홈을 관통하여 상기 걸림홈 인접부에 걸리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홈의 상하 길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긴 상하 길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그 상단이 상기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고 그 하단이 상기 이동 지지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지지부재를 상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1.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는 화상독취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 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화상독취유닛의 세 곳이 고정 설치되는 세 개의 고정 지지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화상독취유닛의 일 측을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 지지부재와,
    상기 이동 지지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화상독취유닛의 일측이 설치되는 제 1 설치부와,
    상기 화상독취유닛의 타측이 설치되는 제 2 설치부와,
    상기 제 2 설치부에 고정되는 고정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 지지부는 상기 제 1 설치부의 상면 양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며 중앙에 체결공이 마련된 제 1 고정 지지부와, 상기 고정 지지부재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화상독취유닛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 2 고정 지지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지부재는 그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화상독취유닛의 하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지지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90131122A 2009-12-24 2009-12-24 화상형성장치 KR2011007421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122A KR20110074216A (ko) 2009-12-24 2009-12-24 화상형성장치
US12/969,886 US8737046B2 (en) 2009-12-24 2010-12-16 Image forming apparatus
EP10195808.0A EP2343602B1 (en) 2009-12-24 2010-12-17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122A KR20110074216A (ko) 2009-12-24 2009-12-24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4216A true KR20110074216A (ko) 2011-06-30

Family

ID=43798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1122A KR20110074216A (ko) 2009-12-24 2009-12-24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37046B2 (ko)
EP (1) EP2343602B1 (ko)
KR (1) KR2011007421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6569A (ja) * 2012-01-31 2013-08-15 Canon Inc 画像形成システム
JP6463134B2 (ja) 2015-01-06 2019-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構造体、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構造体の製造方法
JP6589407B2 (ja) * 2015-06-19 2019-10-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612568B2 (en) * 2015-07-17 2017-04-04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in which add-on device is mounted
JP6561921B2 (ja) * 2016-06-20 2019-08-2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047926B2 (ja) * 2018-09-18 2022-04-0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読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7106A (en) * 1967-12-26 1970-10-27 Eastman Kodak Co Motion picture projector gate system for accommodating multiple film formats
JPS5778050A (en) * 1980-10-31 1982-05-15 Toshiba Corp Cas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image forming apparatus
JP2905541B2 (ja) * 1990-03-14 1999-06-14 株式会社リコー 原稿読取装置
JP3603022B2 (ja) 2000-12-22 2004-12-15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2002229292A (ja) * 2001-02-06 2002-08-1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構造体
JP4939462B2 (ja) * 2008-02-28 2012-05-23 株式会社リコー 構造体、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37046B2 (en) 2014-05-27
US20110157795A1 (en) 2011-06-30
EP2343602A3 (en) 2016-09-07
EP2343602B1 (en) 2019-03-27
EP2343602A2 (en) 201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4216A (ko) 화상형성장치
JP4939462B2 (ja) 構造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4438713B2 (ja) 画像読取装置
KR102165652B1 (ko) 화상독취장치 및 이를 갖춘 복합기
US20050044664A1 (en) Self-locked hinge device and a multi-function peripheral using the same
US20150043045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JP4059218B2 (ja) 給紙装置
US20100270732A1 (en) Paper feeding device
JP5356294B2 (ja) 電気的接続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US11196890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JP4144635B2 (ja) 画像読取装置
US6581926B2 (en) Structure for fixing roller
JP6561921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157960Y1 (ko) 원고독취용 독취판
JP7124612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センサーユニット
KR20140107753A (ko) 화상독취장치 및 이를 갖춘 복합기
JP423087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145420A (ja) 画像形成装置
JP6079821B2 (ja) 画像読取装置
JP2016114893A (ja) 画像形成装置
JP2024010895A (ja) 電子機器及び記録装置
JP2009135827A (ja) 画像読取装置
KR200172312Y1 (ko) 사무용기기의용지카세트용지정렬장치
JP2009227448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212652A (ja) 原稿読み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