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3117A -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의 배터리팩 냉각과 예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팩 냉각, 예열 그리고 폐열회수 발전방법 - Google Patents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의 배터리팩 냉각과 예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팩 냉각, 예열 그리고 폐열회수 발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3117A
KR20110073117A KR1020090130287A KR20090130287A KR20110073117A KR 20110073117 A KR20110073117 A KR 20110073117A KR 1020090130287 A KR1020090130287 A KR 1020090130287A KR 20090130287 A KR20090130287 A KR 20090130287A KR 20110073117 A KR20110073117 A KR 20110073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thermoelectric element
electric vehicle
cooling
battery pa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호
서인수
이흥열
이준호
양학진
박영규
김철현
유병역
강대준
윤 정
설동균
김중귀
조형희
신상우
박슬기
이상훈
김범석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130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3117A/ko
Publication of KR20110073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31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7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by electric or electromagnetic means
    • H01M10/6572Peltier elements or thermoelectr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60L58/2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by coo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5Heating or keeping w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접촉 자기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배터리팩을 고온의 작동환경(여름철)인 경우 효과적으로 냉각하고, 저온의 작동환경(겨울철)인 경우 예열 및 폐열회수 발전할 수 있도록 하여 전체 시스템의 효율 향상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원공급 및 저장을 위한 배터리팩을 구비한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에 있어서; 배터리팩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열전소자가 상기 배터리팩에 설치되고, 상기 열전소자에는 직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직류전원 공급장치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의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의 배터리팩 냉각과 예열 장치 및,이를 이용한 배터리팩 냉각, 예열 그리고 폐열회수 발전방법이 제공된다.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전기자동차, 배터리팩, 냉각, 예열, 폐열

Description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의 배터리팩 냉각과 예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팩 냉각, 예열 그리고 폐열회수 발전방법{cooling and preheating device for battery packs in on-line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cooling and preheating the battery packs and power generation from waste heat of the battery pack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접촉 자기유도 충전 방식으로 운행되는 전기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접촉 자기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배터리팩을 고온의 작동환경(여름철)인 경우 효과적으로 냉각하고, 저온의 작동환경(겨울철)인 경우 예열 및 폐열회수 발전할 수 있도록 하여 전체 시스템의 효율 향상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국내 기온은 계절에 따른 변화가 매우 크기 때문에 온도에 민감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계절별로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의 구동 전략을 세워 적절히 대응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화학전지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화학반응속도가 상승하여 향상된 배터리 성능을 보이는 반면 충전(discharge)되는 속도 역시 증가하기 때문에 최 적의 성능이 나타나는 온도 대역이 존재한다(~30℃).
따라서 여름철의 경우 배터리팩의 주변 온도가 최적 운전 온도에 비해 높기 때문에 강제적으로 배터리팩을 주변 온도 이하로 냉각을 시켜주어야 한다.
또한 배터리팩의 온도가 국소적으로 변화가 클 경우 열응력이 집중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운전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분포를 확보하여야 한다.
반면 겨울철에는 주변 온도가 영하로 떨어지는 등 매우 낮기 때문에 원활한 배터리의 화학반응을 위해 예열이 필요하다. 한편, 운전시 배터리팩에서 발생하는 열을 활용하지 못하고 그냥 버리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그러나, 기존의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는 배터리팩을 냉각시키거나 예열시킬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았으며, 배터리팩에 대해서 계절별 특성에 맞는 구동 전략도 세워져 있지 않다.
한편, 운전시 배터리팩에서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기존에는 배터리팩에서 발생하는 열을 활용하지 못하고 그냥 버리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의 전기자동차의 배터리팩을 여름철과 같은 고온환경에서는 강제적으로 주변 온도 이하로 냉각을 시키는 한편, 겨울철과 같은 저온 환경에서는 원활한 배터리의 화학반응이 이루어지도록 예열하며, 또한 겨울철 운전시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효과적으로 회수하여 발전함으로써 전체 시스템 효율 향상을 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원공급 및 저장을 위한 배터리팩을 구비한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에 있어서; 배터리팩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상기 배터리팩에 설치되는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에는 직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직류전원 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의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의 배터리팩 냉각과 예열 장치가 제공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열전소자 및 직류전원공급장치가 설치된 배터리팩을 구비한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의 제어에 있어서; 고온의 여름철 운전 환경일 경우 열전소자를 구동하여 배터리팩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고, 저온의 겨울철인 경우 배터리팩의 원활한 초기 구동을 위해 열전소자로 배터리팩을 예열하며, 차량 운전 시 배터리팩의 온도 상승시 상기 배터리팩과 주변 외기의 온도 차이를 이용하여 보조 발전을 수행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의 배터리팩의 냉각, 예열 그리고 폐열회수 발전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열전소자가 배터리팩에 적용됨에 따라 여름에는 배터리팩을 주변온도 이하로 효과적으로 급속 냉각시킬 수 있으며, 겨울철에는 주변 온도가 낮을 때 원활한 배터리의 화학반응을 위해 배터리팩을 효과적으로 예열할 수 있다.
또한 겨울철 운전 시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효과적으로 회수하여 전체 시스템 효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열전소자는 추가적인 냉매 및 펌프가 필요 없으며 기계적인 진동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기 때문에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의 경량화 및 수명연장에 기여할 수 있다.
그리고, 열전소자는 기존의 컴프레서 개념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 소형의 크기로서, 극전환 스위치의 부착만으로 냉각과 발열이 이루어지며, 저소음 저진동이며, 프레온 가스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오염의 문제가 없으므로 환경친화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첨부도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열전소자가 적용된 본 발명의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에 적용된 열전소자의 계절별 적용 동작을 보여주는 참고도이며, 도 3은 월평균 기온과 본 발명의 배터리팩에 적용된 열전소자의 작용 관계를 설명하는 참고 그래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전원공급 및 저장을 위한 배터리팩(1)을 구비한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에 있어서, 배터리팩(1)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해 열전소자(2)가 배터리팩(1)에 설치되고, 상기 열전소자(2)에는 직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직류전원 공급장치(미도시)가 연결된다.
즉, 배터리팩(1) 상면에는 상기 배터리팩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거나, 상기 배터리팩(1)을 냉각 혹은 예열하기 위한 열전소자(2)가 설치되고, 상기 열전소자(2)에는 직류전원 공급장치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직류전원의 극전환을 통해 냉각부 및 발열부가 전환되도록 하는 극전환 스위치가 구비된다.
상기 열전소자는(Thermoelectric module)은 n형, p 형 열전반도체(Thermoelectric semiconductor)를 전기적으로는 직렬로 열적으로는 병렬로 되도록 π형으로 연결한 모듈의 형태로 사용되며, 직류 전류(DC)를 흘렸을 때는 열전효과에 의해서 모듈의 양면에 온도차가 발생하고 또, 동시에 발전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즉, 열전소자는 열전재료를 이용하여 직류전원의 공급만으로 냉각, 가열, 항온 및 발전을 동시에 이룰 수 있는 간편하고 확실한 열과 전기의 교환을 위한 소자이다.
참고로, 열발전 원리인 Seebeck 효과, 전자냉각 원리인 Peltier 효과, 온도구배가 있는 도체에 전류를 흘리면 도체 내부에서 열이 흡수 또는 발생되는 Thomson 효과를 통틀어 열전 현상이라 하는데, 이러한 효과를 일으키는 소자를 열전소자라고 한다.
즉, 상기한 열전발전의 원리인 Seebeck 효과는 온도차에 의해 열기전력(thermoelectromotive force)이 발생하여 폐회로 내에서 전류가 흐르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그리고, 전자냉각의 원리인 Peltier 효과는 동일한 형상을 한 두 개의 서로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진 회로에 직류전기를 흘리면 한 접합부에서는 흡열이 일어나고 다른 접합부에서는 발열이 일어나며, 전류의 방향을 반대로 하면 흡열과 발열이 반대로 일어나는 현상을 말한다.
한편, Thomson 효과는 온도기울기가 있는 도체에 전류를 흘리면 열역학 제2법칙에 의해 도체 내부에서 열이 흡수되거나 또는 열이 발생되는 현상을 말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의 배터리팩 냉각과 예열 장치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열전소자(2)를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배터리팩(1)에 사용하여 고온의 작동환경(여름철)인 경우 효과적으로 냉각하고, 저온의 작동환경(겨울철)인 경우 열전소자(2)로 예열 및 폐열회수 발전을 하여 전체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좁은 배터리룸 내에 위치한 다수의 배터리팩(1)의 상부에 열전소자(2)를 부착하여, 고온의 여름철 운전 환경일 경우 열전소자(2)를 구동하여 배터리팩(1)에 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반면 저온의 겨울철인 경우 배터리팩(1)의 원활한 초기 구동을 위해 열전소자(2)로 예열을 할 수 있으며, 운전시 배터리팩(1)의 온도와 주변 외기의 온도 차이로 인한 보조 발전을 할 수 있다. 즉, 배터리팩(1)으로부터 나와서 버려지게 될 폐열을 회수하여 보조 발전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국내 기온은 계절에 따른 변화가 매우 크기 때문에 온도에 민감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계절별로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의 구동 전략을 세워 적절히 대응시켜야 한다.
일반적으로 화학전지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화학반응속도가 상승하여 향상된 배터리 성능을 보이는 반면 충전(discharge)되는 속도 역시 증가하기 때문에 최적의 성능이 나타나는 온도 대역이 존재한다(~30℃, 도 3 참조). 따라서 여름철의 경우 배터리팩(1)의 주변 온도가 최적 운전 온도에 비해 높기 때문에 강제적으로 배터리팩(1)을 주변 온도 이하로 냉각을 시켜줘야 한다.
또한 배터리팩(1)의 온도가 국소적으로 변화가 클 경우 열응력이 집중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운전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분포를 확보하여야 한다. 따라서 배터리팩(1)에 배치된 열전소자(2)를 국소적으로 구동시켜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분포가 확보되도록 주변온도 이하로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 열전소자(2)는 추가적인 냉매 및 펌프가 필요 없으며 기계적인 진동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기 때문에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의 경량화 및 수명연장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겨울철에는 주변 온도가 영하로 떨어지는 등 매우 낮기 때문에 원활한 배터리의 화학반응을 위해 예열이 필요하다. 따라서 여름철 냉각을 위해 적용된 열전소자(2)를 겨울철 예열용 발열소자로 응용할 수 있다.
또한 겨울철에는 배터리팩(1) 주변의 온도가 배터리팩의 온도에 비해 매우 낮기 때문에 여름철 냉각용으로 적용된 열전소자(2)를 폐열회수용으로 역이용할 수 있다. 열전현상으로 얻을 수 있는 기전력의 크기는 열전소자(2)의 양단간의 온도 차이에 정비례하기 때문에 겨울철 운전 시 배터리팩(1)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효과적으로 회수하여 전체 시스템 효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의 전기자동차의 배터리팩에 열전소자를 적용함으로써, 고온 환경에서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의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에 대해 냉각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저온 환경에서 예열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운전시 폐열을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정적인 방열, 예열 및 발전으로 국내 기후 조건 하에서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의 전기자동차의 효율 향상 및 수명 연장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열전소자를 배터리팩에 적용하여 국내 기후조건 하에서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의 효율향상 및 수명 연장을 기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방열, 예열 및 폐열회수 발전으로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의 전기자동차 및 사용자의 안정성을 보장하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팩 설계시 시스템의 소형화에 도움을 주게 되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다.
도 1은 열전소자가 적용된 본 발명의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에 적용된 열전소자의 계절별 적용 동작을 보여주는 참고도
도 3은 월평균 기온과 본 발명의 배터리팩에 적용된 열전소자의 작용 관계를 설명하는 참고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배터리팩 2: 열전소자

Claims (2)

  1. 전원공급 및 저장을 위한 배터리팩을 구비한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에 있어서;
    배터리팩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열전소자가 상기 배터리팩에 설치되고,
    상기 열전소자에는 직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직류전원 공급장치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의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의 배터리팩 냉각과 예열 장치.
  2. 열전소자 및 직류전원공급장치가 설치된 배터리팩을 구비한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의 제어에 있어서;
    고온의 여름철 운전 환경일 경우 열전소자를 구동하여 배터리팩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고,
    저온의 겨울철인 경우 배터리팩의 원활한 초기 구동을 위해 열전소자로 배터리팩을 예열하며,
    차량 운전 시 배터리팩의 온도 상승시 상기 배터리팩과 주변 외기의 온도 차이를 이용하여 보조 발전을 수행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의 배터리팩의 냉각, 예열 그리고 폐열회수 발전방법.
KR1020090130287A 2009-12-23 2009-12-23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의 배터리팩 냉각과 예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팩 냉각, 예열 그리고 폐열회수 발전방법 KR201100731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287A KR20110073117A (ko) 2009-12-23 2009-12-23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의 배터리팩 냉각과 예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팩 냉각, 예열 그리고 폐열회수 발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287A KR20110073117A (ko) 2009-12-23 2009-12-23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의 배터리팩 냉각과 예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팩 냉각, 예열 그리고 폐열회수 발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117A true KR20110073117A (ko) 2011-06-29

Family

ID=44403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287A KR20110073117A (ko) 2009-12-23 2009-12-23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의 배터리팩 냉각과 예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팩 냉각, 예열 그리고 폐열회수 발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311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1723A (ko) 2017-04-28 2018-11-08 전자부품연구원 배터리 히터, 그를 포함하는 배터리 히터 조립체 및 배터리 시스템
KR20200085384A (ko) 2018-12-21 2020-07-15 전자부품연구원 비행체의 콜드 스타트용 배터리 히터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KR20240017274A (ko) 2022-07-29 2024-02-07 한국앤컴퍼니 주식회사 저온 출력 향상을 위한 필름 히터가 장착된 시동용 lib 팩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1723A (ko) 2017-04-28 2018-11-08 전자부품연구원 배터리 히터, 그를 포함하는 배터리 히터 조립체 및 배터리 시스템
KR20200085384A (ko) 2018-12-21 2020-07-15 전자부품연구원 비행체의 콜드 스타트용 배터리 히터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KR20240017274A (ko) 2022-07-29 2024-02-07 한국앤컴퍼니 주식회사 저온 출력 향상을 위한 필름 히터가 장착된 시동용 lib 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2605B2 (ja) 車両用の電源装置
US20150229011A1 (en) Battery System and Motor Vehicle
US20120129020A1 (en) Temperature-controlled battery system ii
US20080268333A1 (en) Integral battery thermal management
KR100868492B1 (ko) 열전소자가 구비된 태양전지 발전장치
US20090014047A1 (en) Thermoelectric element
RU2016147956A (ru) Узел антенны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охлаждением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JP2012195313A (ja) 車両用の電源装置
AU2012218168A1 (en) Household system with multiple peltier systems
Arjun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eltier based solar powered portable refrigeration unit
KR102248103B1 (ko) 열전 소자를 적용한 차량 파워 모듈
KR20110073117A (ko)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의 배터리팩 냉각과 예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팩 냉각, 예열 그리고 폐열회수 발전방법
WO2014180368A1 (zh) 终端散热系统及方法
CN104602484B (zh) 便携式设备及其散热装置
CN212323769U (zh) 无线充电座
KR20160126501A (ko) 텐트의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난방방법과 장치
GB2450784A (en) Thermoelectric power generator
KR20120118529A (ko) 펠티어소자를 이용한 냉온컵
US10873116B2 (en) Charging device having thermoelectric module
KR101826873B1 (ko) 냉각 장치 및 냉각 방법
KR200415926Y1 (ko) 발전기능을 가진 히터
KR200322613Y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각 및 발전장치
KR20120118532A (ko) 펠티어 소자와 자가 충전방식을 이용한 신발 냉난방 장치
JP3590325B2 (ja) 電子部品等冷却装置
RU83656U1 (ru) Термоэлектрический генера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