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2997A - 스웨르티아마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스웨르티아마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2997A
KR20110072997A KR1020090130127A KR20090130127A KR20110072997A KR 20110072997 A KR20110072997 A KR 20110072997A KR 1020090130127 A KR1020090130127 A KR 1020090130127A KR 20090130127 A KR20090130127 A KR 20090130127A KR 20110072997 A KR20110072997 A KR 20110072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opic dermatitis
skin
lotion
swertiamarin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윤희
이상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90130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2997A/ko
Publication of KR20110072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99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3Liquid compositions with two or more distinct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2Suppositories; Bougies; Bases therefor; Ov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웨르티아마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PAR-2의 활성에 관여하는 트립신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가려움증을 개선하고, 피부 장벽의 손상을 방지하며,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하는 등 피부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스웨르티아마린, 아토피, 가려움증, 피부장벽, 피부염, 트립신

Description

스웨르티아마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Cosmetic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wertiamarin}
본 발명은 피부 가려움 완화, 피부 장벽 기능 회복, 아토피 피부염 (Atopic Dermatitis, AD)의 예방 또는 치료 등의 효과가 있는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웨르티아마린 (swertiamarin)이 트립신 저해제로서, 각질형성세포 (keratinocyte)에서 트립신에 의해 PAR-2 (Protease Activated Receptor-2)가 활성화되는 것을 저해함으로써 각질형성세포에서 분비되는 가려움을 유발하는 신호를 차단하여 가려움을 방지하고, 가려움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긁음으로 인한 피부장벽 손상 및 아토피 피부염의 악화를 방지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 피부염은 주로 유아와 소아기에 발병하는 만성 재발성 피부염으로서, 주로 5세 이하의 영, 유아에서 발병하며, 약 10-20%의 유병률을 지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성인이 되면서 그 발병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 나, 성인에게서도 1 내지 3 %의 유병률이 나타나고, 전 세계 인구의 약 2 내지 5 %가 아토피 피부염으로 고통받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Lotti T et al ., Dermatologic therapy , 2008;21:96-100).
아토피 피부염은 주로 극심한 소양감 (itch)과 건조 피부, 홍반, 삼출 등을 동반한다. 특히, 극심한 소양감으로 인하여 피부를 긁는 행위 (scratch)를 반복하게 되고, 피부를 긁음으로써 피부에 상처 (sore)가 유발되며, 이를 통하여 다시 소양감이 나타나게 되는 “itch-scratch-sore”의 반복을 통하여 피부의 염증이 심해지는 악순환이 나타나게 된다. 이와 함께 피부를 긁음으로써 피부장벽 손상, 또는 이차 감염이 유발되며, 태선화 (笞癬化)가 나타나 단단하고 거친 잔주름들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피부 두께도 두꺼워지게 된다.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은 현재까지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지만 크게 유전적 요인, 면역학적 이상, 피부장벽의 기능 이상, 신경면역학적 이상,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전적 요인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각질세포의 분화과정에서 생성되는 단백질인 필라그린 (filaggrin) 유전자의 널 돌연변이 (null mutation)이다 (McGrath JA , Australas J Dermatol ., 2008;49:67-73). 필라그린의 돌연변이와 아토피 피부염의 발병과 중등도에 관련성이 존재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면서, 프로필라그린 (profilaggrin)을 필라그린으로 만드는 세린 프로테아제 (serine protease)와 세린 프로테아제 저해제인 lymphoepithelial Kazal-type trypsin inhibitor (LEKTI)의 유전자 SPNK5의 유전자 돌연변이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Lissens W et al ., J Invest Dermatol ., 2006;126:1609-1621).
아토피 피부염의 면역학적 기전에 대한 연구는 주로 helper type 1 T (Th1) 세포 및 helper type 2 T (Th2) 세포에서 유래하는 사이토카인 (cytokine)의 불균형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다. 특히, Th2 세포에서 유래하는 사이토카인인 인터루킨-4 (IL-4), IL-5, IL-6, IL-10, IL-13 등이 아토피 피부염의 병변 부위에서 과증식되어 있는 것이 보고 되면서, Th1/Th2 불균형에 의한 면역학적 이상이 아토피 피부염의 주요 원인인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Stavropoulos PG et al ., Int J Dermatol., 2008;47:219-224).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피부 장벽의 기능 이상은 유전적인 이상 및 피부장벽을 구성하는 세라마이드 등 지질의 이상에 기인한다. 피부 장벽의 각질층 (stratum corneum)은 피부에서 투과막 (permeability barrier)과 항균막 (antimicrobial barrier)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경우 이들 두 가지 장벽 장애를 가지고 있다. 즉,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경우 병변부 및 정상피부에서 세라마이드 (ceramide)가 감소되어 각질층의 구조적 부전을 유발하며, 이러한 세라마이드의 감소는 증가된 글루코실세라마이드/스핑고미엘린 데아실라제의 활성 (Takagi Y et al ., Lab Invest ., 2003;83:397-408 ; Imokawa G et al ., J Invest Dermatol ., 2002;115:406-423)과 감소된 산성 & 중성 스핑고메엘리나제의 활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WinotoMorbach S et al ., J Invest Dermatol ., 2004;122:1423-1431). 또한, 아토피 환자의 경우 정상 및 병변부 피부에서 고밀도의 황색포도상구균 (S.aureus) 세균 집락을 형성하고, 이차세균 감염의 빈도가 증가하고, 바이러스 및 곰팡이 감염에 취약하며, 두 가지 항균성 펩타이드인 human cathelicidin product LL-37과 human b-defensin 2 및 3도 감소된다 (Ong PY et al ., J immunol ., 2003;171:3262-3269).
환경적 요인으로는 비누의 사용으로 인한 피부 표면 pH의 증가, 건조한 공기로 인해 표피를 통한 수분 손실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의 증가, 및 심리적 스트레스 등이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하기 위하여, 보습 및 피부장벽을 복구하는 세라마이드와 같은 지질복합체를 적용하거나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1-0044622호), 가려움증 치료를 위한 항히스타민제의 경구 복용, 항염증을 위한 스테로이드제제의 적용과 같은 방법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피부 면역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올리고당을 적용하는 방법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0-0029754호) 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스테로이드, 항히스타민제, 면역 억제제 등의 경구 투여는 졸림, 면역력 저하 및 국소 투여에 따른 피부에 대한 안전성 저하,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배합시의 안정성 등의 문제점이 있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심한 가려움증을 유발하며, 계속해서 긁다 보면 상처가 나게 되고 이로 인해 세균감염 및 외부 알러젠에 의한 2차 감염이 발생하여 T 세포나 대식세포와 같은 면역세포들이 활성화되어 TNFα를 비롯한 여러 가지 사이토카인과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히스타민, 뉴로펩타이드 등이 분비되어 염증 및 가려움증을 일으켜 다시 긁게 되어, 아토피 피부염 증상이 증폭되는 현상이 반복되어 더욱더 심각한 상태로 발전하게 된다. 따라서, 아토피 피부염의 특징 중 의 하나인 가려움증을 완화하면, 이상의 아토피 피부염의 증폭 사이클을 차단하여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며 가려움증 완화 효과가 있는 물질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최근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병변 부위에 프로테아제-활성화 수용체 2 (protease activated receptor 2, PAR-2)가 과량 발현되어 있고, 또한 PAR-2를 활성화 시키는 트립타아제 (tryptase)의 양도 4배 정도 증가되어 있으며, 외부에서 PAR-2을 활성화시키는 물질을 처리하였을 때 아토피 환자가 정상인에 비해 가려움에 대한 민감도가 훨씬 높다는 등의 다양한 결과들로부터, 아토피 피부염의 가려움증에 PAR-2가 깊게 관여한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Martin Schmelz et al., J. Neurosci . 2003;23(15):6176-80). PAR-2는 각질 형성세포, 비만세포 (mast cell) 및 신경 세포에 존재하는 G단백질 결합 수용체 (G protein-coupled receptor)로서, 트립신이나 비만 트립타아제와 같은 세린 프로테아제에 의해 PAR-2 N말단 부위의 tethered peptide ligand (SLIGRL)가 분해된 후, PAR-2 특정 부위에 결합함으로써 활성화되는 특이한 기전을 가지고 있다(Saifeddine M et al .. Biological Chemistry , 2008;128:18-25). 이러한 PAR-2가 활성화되면 NO와 TNFα의 분비를 유도하여 염증을 유발하며, 히스타민, substance P 및 CGRP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의 분비를 촉진함으로써, 가려움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artin Steinhoff et al ., J. Invest . Dermatol ., 2006;126:746-54).
또한, 피부장벽 기능이 손상되면, 각질층 내에서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이 급격히 증가되고, 이를 통하여 PAR-2가 활성화되며 (Crumrine D et al ., J.Invest.Dermatol., 2006;126:2074-2086), 아토피 피부염의 유발 및 악화 효과가 있는 알레르겐의 일종인 집먼지 진드기 (dust mite)나 바퀴벌레 유래 물질도 PAR-2 활성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Hershenson MB et al .,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2003;112:1112-1118). 또한 피부 장벽이 손상된 피부에 알레르겐을 도포하는 경우, 이러한 PAR-2의 활성화에 의하여 피부장벽 기능의 회복이 저해되며, PAR-2에 대한 저해제를 알레르겐과 동시에 도포하는 경우 이러한 장벽 회복의 기전이 정상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Youm JK et al ., J invest Dermatol., 2008;128(8):1930-1939).
이에 본 발명자들은 PAR-2의 활성을 저해할 수 있는 트립신 저해제를 개발함으로써, 이를 화장료 조성물과 약학적 조성물에 적용하여 부작용이 없고 안전하면서도, 피부 가려움증을 완화시키고, 피부 장벽 기능을 회복시키며,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의 가려움증, 피부 장벽 기능,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에 효능이 있는 스웨르티아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이 되는 물질의 활성을 저해시키는 스웨르티아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아토피 피부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스웨르티아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스웨르티아마린은 스웨르티아마로시드 (swertiamaroside)라고도 불리우는 분자량 374.33988의 세코이리도이드 글리코시드 (secoiridoid glycoside)로서, 이는 용담과 (Gentianaceae family) 식물인 Swertia chirata, S. japonica , S. angustifolia, Enicostemma littorale Blume 등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웨르티아마린은 일반적으로 피부 온도를 상승시키고 혈류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항콜린성 (anticholinergic), 항자극성 (antinociceptive), 항부종성 (antiedematogenic), 항산화 (antioxidant) 활성이 있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스웨르티아마린 성분은 우수한 트립신 활성 저해능을 가짐으로써, 트립신에 의한 PAR-2의 활성을 저해하여 가려움을 억제시키고, 피부 장벽을 개선시키며,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웨르티아마린을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대비 0.0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005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스웨르티아마린 유효성분의 함량이 총 조성물 중량대비 0.00001 중량% 미만인 경우 PAR-2 활성을 저해시키는 효과에 도달하기 어려우며, 10 중량% 초과인 경우 증가 함량에 비해 효과가 뚜렷하게 증대되지 않아 비경제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가려움증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은 트립신에 의한 PAR-2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PAR-2는 프로테아제-활성화 수용체로서, 일반적으로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경우 병변 부위에 PAR-2가 과량 발현된다. 이러한 PAR-2가 활성화되면 피부에 염증과 가려움증이 유발되므로, 근본적으로 PAR-2를 활성화시키는 트립신을 저해함으로써 아토피 피부염이나 가려움증을 저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제형도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제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전술한 스웨르티아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스웨르티아마린은 일반적으로 피부 온도를 상승시키고 혈류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항콜린성, 항자극성, 항부종성, 항산화 활성이 있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스웨르티아마린 유효성분은 우수한 트립신 활성 저해능을 가짐으로써, 트립신에 의한 PAR-2의 활성을 저해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스웨르티아마린을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대비 0.0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005 내지 10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스웨르티아마린 유효성분의 함량이 총 조성물 중량대비 0.00001 중량% 미만인 경우 PAR-2 활성을 저해시키는 효과에 도달하기 어려우 며, 10 중량% 초과인 경우 증가 함량에 비해 효과가 뚜렷하게 증대되지 않아 비경제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 기능은 트립신에 의한 PAR-2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PAR-2는 프로테아제-활성화 수용체로서, 이러한 PAR-2가 활성화되면 피부에 염증과 가려움증이 유발되므로, 스웨르티아민 유효성분을 PAR-2 활성을 저해할 수 있는 트립신 저해제로 사용함으로써 아토피 피부염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일반적인 약학적 조성물이 제형될 수 있는 제제이면 모두 가능하다.
고형 제제로서 산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캡슐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부형제, 착향제, 결합제, 방부제, 붕해제, 활택제, 충진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반고형 제제로서 좌제,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투명겔제, 또는 반투명겔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한 착색제, 안정화제, 점성화제, 겔화제, 계면활성제, 오일, 유지, 실리콘 성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액상 제제로서 용액제, 현탁액제, 또는 유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한 착색제, 착향제, 안정화제, 점성화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반고형 제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나 부형제와 함께 혼합하여 투여될 수 있으며, 1회 투여 또는 반복 투여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은 스웨르티아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각질 형성 세포에서 트립신에 의해 PAR-2가 활성화되는 것을 저해하고, 아토피 피부염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가려움증의 개선 및 피부 장벽 기능을 개선하는 등 각종 피부 질환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스웨르티아마린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 연고의 제조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을 갖는 스웨르티아마린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 연고를 제조하였다.
조성 중량 %
스웨르티아마린 0.1
디에틸 세바케이트 8.0
경납 5.0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6.0
벤조산 나트륨 적량
바셀린 to 100
제조예 2. 스웨르티아마린을 포함하는 화장용 크림의 제조
하기 표 2와 같은 조성을 갖는 스웨르티아마린을 포함하는 화장용 크림을 제조하였다.
조성 중량 %
스웨르티아마린 0.01
스테아린산 15.0
세탄올 1.0
수산화칼륨 0.7
글리세린 5.0
프로필렌글리콜 3.0
방부제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제조예 3. 스웨르티아마린을 포함하는 스킨토너의 제조
하기 표 3과 같은 조성을 갖는 스웨르티아마린을 포함하는 스킨토너를 제조하였다.
조성 중량 %
스웨르티아마린 0.001
에탄올 10.0
폴리라우린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1.0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6.0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to 100
비교예 1. 스웨르티아마린을 포함하지 않은 피부 외용 연고의 제조
하기 표 4와 같은 조성을 갖는 스웨르티아마린을 포함하지 않은 피부 외용 연고를 제조하였다.
조성 중량 %
스웨르티아마린 -
디에틸 세바케이트 8.0
경납 5.0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6.0
벤조산 나트륨 적량
바셀린 to 100
비교예 2. 스웨르티아마린을 포함하지 않은 화장용 크림의 제조
하기 표 5와 같은 조성을 갖는 스웨르티아마린을 포함하지 않은 화장용 크림을 제조하였다.
조성 중량 %
스웨르티아마린 -
스테아린산 15.0
세탄올 1.0
수산화칼륨 0.7
글리세린 5.0
프로필렌글리콜 3.0
방부제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비교예 3. 스웨르티아마린을 포함하지 않은 스킨토너의 제조
하기 표 6과 같은 조성을 갖는 스웨르티아마린을 포함하지 않은 스킨토너를 제조하였다.
조성 중량 %
스웨르티아마린 -
에탄올 10.0
폴리라우린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1.0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6.0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to 100
실험예 1 : 스웨르티아마린의 트립신 저해효과
트립신의 기질인 BAPNA (N-a-benzoyl-DL-arginine p-nitroanilide)의 가수분해능에 대한 스웨르티아마린의 저해효과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을 위해, 먼저 100 mM의 Tris-HCl (pH 8) 완충액을 사용하여 0.1 mg/ml의 트립신 (Sigma, Cat No. T8003), 1.58mM의 BAPNA (Sigma, Cat No.B4875), 각각 0.5 ㎍/㎖ (양성 대조군 A)와 5 ㎍/㎖ (양성 대조군 B)인 양성 대조군 STI (Soybean Trypsin Inhibitor, Sigma, Cat No. T6522)을 제조하였다. 스웨르티아마린 (제조사: Chengdu Biopurity Phytochemical Ltd.)은 100 mM의 Tris-HCl (pH 8) 완충액을 사용하여 각각 100 ㎍/㎖, 200 ㎍/㎖, 및 400 ㎍/㎖ 농도로 제조하였다.
96 well-plate의 well에 각각 BAPNA 90 ㎕를 넣고, 그 각각의 well에 Tris-HCl 완충액 (대조군) 100 ㎕, 양성 대조군 (STI) 100 ㎕, 스웨르티아마린 100 ㎕를 넣었다. 그 후, 트립신 10 ㎕을 각각의 well에 동시에 넣은 다음, 상온에서 15분간 반응시키고, 410 nm 파장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흡광도 측정에 의해, 트립신의 활성에 대한 저해율 (%)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시료 농도(㎍/㎖) 트립신 저해율(%)
대조군(Tris-HCl 완충액) - -
양성 대조군 A 0.5 10
양성 대조군 B 5 71
스웨르티아마린 100 22
스웨르티아마린 200 39
스웨르티아마린 400 79
상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양성 대조군인 STI에 비해 스웨르티아마린은 높은 농도에서 트립신 저해효과가 높으나, 스웨르티아마린이 시험관 내 (in vitro )에서 트립신의 활성을 강력하게 저해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 스웨르티아마린의 PAR -2 활성 저해 효과
스웨르티아마린을 각질형성세포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 내 칼슘의 농도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PAR-2 활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W. Luo et al., Brain Rsearch 2005;1047:159-167).
이를 위해, 10 %의 우태아 혈청을 포함하는 DMEM 배양 배지에서 HaCaT 세포를 계대 배양한 후, 96 well-black plate의 각 well에 2×104개의 HaCaT 세포를 넣고 24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그 후, 배양 배지를 버리고 Fluo-4 calcium assay kit (Invitrogen, Cat No. F36206)을 사용하여 각각 100 ㎍/㎖, 200 ㎍/㎖ 및 400 ㎍/㎖의 농도로 녹인 스웨르티아마린을, 상기 각 well에 50 ㎕씩 넣고, 37 ℃에서 30분간, 그리고 상온에서 30분간 배양하였다. 칼슘 이온 (Ca+)의 influx를 측정하기 직전, 트립신을 최종농도가 1 ㎍/㎖가 되도록 50 ㎕씩 처리하였다. 494 nm의 파장으로 여기 (exitation)시켰을 때 516 nm의 파장으로 방출 (emission)되는 형광을 통해, 세포 내 칼슘 이온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1 ㎍/㎖의 트립신을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의 세포 내 칼슘 이온의 양을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1 ㎍/㎖이 트립신이 포함된 각 스웨르티아마린의 농도에 따른 세포 내 칼슘 농도의 변화를 PAR-2 활성 저해율 (%)로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시료 PAR-2 활성 저해율(%)
대조군 -
스웨르티아마린 100 ㎍/㎖ 33
스웨르티아마린 200 ㎍/㎖ 49
스웨르티아마린 400 ㎍/㎖ 65
상기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웨르티아마린은 HaCaT 세포에서 트립신에 의한 PAR-2 활성을 강력하게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 가려움증 및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효과
상기 제조예 1의 피부 외용 연고를 이용하여 가려움증과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아토피 피부염으로 진단된 환자 중, 다른 전신 질환이 없으며, 최근 한 달간 경구 항생제 및 면역 억제제를 사용하지 않았고, 가려움증이 심한 환자 20명을 선정하였다. 이들의 연령은 2세 내지 33세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14.82세였고, 남자 9명 및 여자 11명이었다. 실험 시작 전 일주일 간 환자들의 스테로이드 외용제의 국소 도포를 제한하였다. 제조예 1의 피부 외용 연고를 8주간 12 내지 14시간 간격으로 하루에 2회 환부에 도포하였다. 8주 후, 가려움증과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정도를 문진 및 육안으로 판단하여, 뚜렷한 효과, 효과 있음, 차이 없음의 3 단계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평가 항목 뚜렷한 효과(명) 효과 있음(명) 차이 없음(명)
제조예 1 가려움증 개선 4 13 3
아토피피부염 개선 2 13 5
상기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예 1의 스웨르티아마린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 연고는 피시험자의 가려움증 및 아토피 피부염을 각각 85 % 및 75 % 개선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와는 별도로 피부에서 어떠한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스웨르티아마린은 피부에 안전하며 가려움증과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에도 뛰어난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Claims (8)

  1. 스웨르티아마린 (swertiamar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웨르티아마린은 조성물 총 중량대비 0.0000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려움증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은 상기 조성물이 트립신에 의한 PAR-2 (protease activated receptor 2)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제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스웨르티아마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웨르티아마린은 조성물 총 중량대비 0.0000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는 상기 조성물이 트립신에 의한 PAR-2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좌제,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투명겔제, 반투명겔제, 용액제, 현탁액제, 또는 유제로 제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0090130127A 2009-12-23 2009-12-23 스웨르티아마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 KR201100729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127A KR20110072997A (ko) 2009-12-23 2009-12-23 스웨르티아마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127A KR20110072997A (ko) 2009-12-23 2009-12-23 스웨르티아마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997A true KR20110072997A (ko) 2011-06-29

Family

ID=44403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127A KR20110072997A (ko) 2009-12-23 2009-12-23 스웨르티아마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29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18191A1 (fr) * 2014-03-10 2015-09-11 Lucas Meyer Cosmetics Utilisations cosmetiques de la swertiamarine
CN115463056A (zh) * 2021-06-11 2022-12-13 云南英格生物技术有限公司 青叶胆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18191A1 (fr) * 2014-03-10 2015-09-11 Lucas Meyer Cosmetics Utilisations cosmetiques de la swertiamarine
WO2015136198A1 (fr) * 2014-03-10 2015-09-17 Lucas Meyer Cosmetics Utilisations cosmétiques de la swertiamarine
US20170020796A1 (en) * 2014-03-10 2017-01-26 Lucas Meyer Cosmetics Cosmetic uses of swertiamarin
US11285093B2 (en) 2014-03-10 2022-03-29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Cosmetic uses of swertiamarin
CN115463056A (zh) * 2021-06-11 2022-12-13 云南英格生物技术有限公司 青叶胆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2257932A1 (zh) * 2021-06-11 2022-12-15 云南英格生物技术有限公司 青叶胆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463056B (zh) * 2021-06-11 2023-09-29 云南英格生物技术有限公司 青叶胆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45245T3 (es) Extractos vegetales para el tratamiento y prevención de infecciones
Varothai et al. Moisturizers for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ES2363019T3 (es) Utilización de pirlindol para el tratamiento de las enfermedades que están caracterizadas por una proliferación de los linfocitos t y/o una hiperproliferación de queratinocitos en particular la dermatitis atópica y la psoriasis.
ES2600909T3 (es) Composiciones que contienen berberina o análogos de la misma para tratar rosácea o trastornos de la piel relacionados con enrojecimiento de la cara
US20070190043A1 (en) Use of a topical medicament comprising riluzole
KR102385070B1 (ko) 전복에서 유래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190661A1 (ko) 이소세코타나파솔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려움증 억제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9855283B2 (en) Composition comprising GPCR19 agonist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lergic dermatitis
US9629854B2 (en) Composition comprising GPCR19 agonist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lergic dermatitis
KR20110072997A (ko) 스웨르티아마린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
KR102077047B1 (ko) 벤토나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79468A (ko) 스피루리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극완화 또는 항소양효능을 가진 화장료 조성물
KR102587300B1 (ko) 아토피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70087B1 (ko) 면역억제제 및 트랜스글루타미나제 2 억제제를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2023529202A (ja) ペンタペプチド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アレルギー性疾患又はかゆみの予防、改善又は治療用組成物
KR102417303B1 (ko)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6822648B2 (ja) トリプターゼ阻害剤組成物
US20110039946A1 (en) Method of improving atopic dermatological diseases, in which a composition comprising magnolol, honokiol or a combination thereof is administered to a patient with atopic dermatological diseases
KR102348081B1 (ko) 리나린 또는 아카세틴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24105B1 (ko) 봉독을 포함하는 피부 소양증 개선용 조성물
KR20110052037A (ko) 가려움 및 아토피 피부염 완화에 효과적인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503612B1 (ko) 피부외용제 조성물
US20230309921A1 (en) Window of Opportunity Skin Treatment Regimen and Composition for Preventing the Onset of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CN107337714B (zh) 抗组织胺、抗敏的肽及其应用
US11234959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a compound of the avermectin family for the treatment and/or prevention of hand eczem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