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2839A - 줄기세포 배양용 조성물과 줄기세포 배양방법 - Google Patents

줄기세포 배양용 조성물과 줄기세포 배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2839A
KR20110072839A KR1020090129931A KR20090129931A KR20110072839A KR 20110072839 A KR20110072839 A KR 20110072839A KR 1020090129931 A KR1020090129931 A KR 1020090129931A KR 20090129931 A KR20090129931 A KR 20090129931A KR 20110072839 A KR20110072839 A KR 20110072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cells
medium
stem cell
composition
medium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9801B1 (ko
Inventor
황동연
이동율
서종배
신동승
이태규
Original Assignee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보람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보람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29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801B1/ko
Publication of KR20110072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03Embryonic cells ; Embryoid bodies
    • C12N5/0606Pluripotent embryonic cells, e.g. embryonic stem cells [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30Organ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999Small molecul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본배지에 멜라토닌 수용체 항진제를 포함하는 줄기세포성 유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본배지에 멜라토닌 수용체 길항제를 포함하는 줄기세포 분화 유도용 배지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상기 배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줄기세포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줄기세포를 배양하거나 줄기세포의 분화를 유도할 수 있다.
줄기세포 (stem cell), 줄기세포성(stemness), 분화(differentiation), 줄기세포 배양액(stem cell culture media)

Description

줄기세포 배양용 조성물과 줄기세포 배양방법{COMPOSITIONS FOR STEM CELL CULTURE MEDIA AND METHOD FOR CULTURING THE STEM CELL USING THE COMPOSITIONS}
본 발명은 줄기세포 배양에 이용하는 배지 조성물 및 줄기세포 배양 방법에 대한 것이다.
줄기세포란 특정한 세포로 분화가 진행되지 않은 채 유지되다가, 필요한 경우 신경, 혈액, 연골 등 생물체를 구성하는 모든 종류의 세포로 분화할 능력을 가진 세포를 말한다.
이러한 줄기세포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째는 수정란으로부터 발생한 배아로부터 얻는 것(배아줄기세포)이고, 둘째는 성인이 된 몸의 각 부분에 간직되어 있는 줄기세포(성체줄기세포)를 회수하는 것이다. 기능적인 면에서 차이는 있지만 배아줄기세포나 성체줄기세포는 모두 여러 종류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인간 배아줄기세포는 우리 몸의 모든 세포를 생성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만 능분화능(pluripotency)를 가졌으며, 자기와 닮은 세포들을 무한정 만들어 낼 수 있는 자기재생(self-renewal) 능력이 있다. 이 두 가지 성질을 합하여 “줄기세포성(stemness)”이라고 부른다.
현재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줄기세포성 유지에 관여하는 몇 가지의 신호전달체계가 밝혀져 있다. 그 대표적인 것들이 FGF(Fibroblast Growth Factor) 신호전달체계(signaling pathway)와 TGF-Beta(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Activin 신호전달체계라고 할 수 있다. 또한 Oct4(Octamer Binding Transcription Factor-4), Nanog, Sox2(SRY(Sex Determining Region-Y) Box-2)들과 같은 세포질 내에 존재하는 전사인자들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iswas A, Hutchins R., Stem Cells Dev. 2007(2), 213-22; Darr H, Benvenisty N., Regen Med. 2006(3), 317-25).
이와 관련하여 이들 신호전달체계의 구성요소들인 SMAD 2/3(Sma and MAD(Mothers Against Decapentaplegic) Related Protein-2/3), ALK4(Activin Receptor-Like Kinase-4), ALK5(Activin Receptor-Like Kinase-5), ALK7(Activin Receptor-Like Kinase-7), Nodal, Cripto, LEFTY1(Left-right determination factor-1)와 LEFTY2(Left-right determination factor-2)도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줄기세포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Xiao L, Yuan X, Sharkis SJ., Stem Cells. 2006(6), 1476-1486; Besser D., J Biol Chem. 2004(43), 45076-45084; 및 James D, Levine AJ, Besser D, Hemmati-Brivanlou A., Development. 2005, 132(6), 1273-1282).
이와 더불어 WNTs(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Family Members) 단백질들과 WNT 신호전달체계도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줄기세포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신호전달체계의 구성요소인 GSK-3b(Glycogen Synthase Kinase-3b)의 활성 억제와 이에 따른 베타-카테틴(beta-catenin)의 증가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보고되었다 (Miyabayashi T, et . al, Proc Natl Acad Sci USA. 2007, 104(13), 5668-5773).
또한 S1P(Sphingosine-1-Phosphate)도 EDG(Endothelial Differentiation Gene) 수용체 및 이와 연계된 G-단백질을 통하거나, 또는 PDGF(Platelet Derived-Growth Factor)를 통한 신호 전달 체계에 의해서 줄기세포성 유지에 관여함이 보고되었다(Chase LG, Firpo MT., Curr Opin Chem Biol. 2007(4), 367-372; 및 Inniss K, Moore H., Stem Cells Dev. 2006(6), 789-796. ).
줄기세포, 특히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배양하기 위해 현재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방법은, 생쥐 배아섬유아세포(mouse embryonic fibroblast)를 피더(feeder) 세포로 이용한 공배양(co-culture)이다. 이는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줄기세포성을 유지하면서 배양하기 위하여 필요한 인자들을 피더 세포가 공급해 주는 방식이다. 현재까지는 피더 세포에서 제공되는 어떤 인자들이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줄기세포성 유지에 중요한 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가 없다.
생쥐 배아섬유아세포를 이용한 공배양을 통해 배양된 인간 배아줄기세포는 임상에 이용하는 데 어려움이 많다. 왜냐하면 이종 간의 감염물질(xenogen)에 의한 전염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피더 세포가 없는 상태에서 인간 배아줄 기세포를 배양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동물 유래 물질들이 완전히 제거된 피더-프리(feeder-free) 배양용 배지와 배양 용기의 코팅 물질(extracellular matrix)을 이용하여, 장기간 안정적으로 인간 배아줄기세포들을 배양하는 방법이 확립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해결해야 할 가장 중요한 사항은, 피더 세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장기간 배양할 수 있는, 동물 유래물질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배지를 만드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줄기세포성에 관여하는 신호전달체계와 리간드 물질 등을 발굴해 내고 줄기세포성 유지 기작을 폭넓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줄기세포성 유지에 중요한 신호전달체계 및 리간드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줄기세포성 유지에 관여하는 신호전달체계에 관여하는 물질을 찾아내기 위해 연구를 계속하였다. 또한 이와 반대로 이들 신호전달체계를 저해시켜 줄기세포의 분화를 유도하는 물질에 대하여도 동시에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줄기세포성을 유지하는 물질과 줄기세포 분화를 유도하는 물질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줄기세포성 유지용 배지 조성물과 줄기세포 분화유도용 배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줄기세포성 유지용 배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줄기세포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방법과; 줄기세포 분화유도용 배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줄기세포의 분화를 유도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배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감염-프리(xenogen-free)용 및 피더-프리(feeder-free culture)용 배양 배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본배지에 멜라토닌 수용체 항진제를 포함하는 줄기세포성 유지용 배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기본배지는 줄기세포 배양을 위한 배지로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배지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본배지는 인위적으로 합성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제조된 배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업적으로 제조되는 배지의 예를 들면,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MEM(Minimal Essential Medium), BME(Basal Medium Eagle), RPMI 1640, F-10, F-12, α―MEM(α―Minimal essential Medium), G-MEM(Glasgow's Minimal Essential Medium), IMDM(Isocove's Modified Dulbecco's Medium), MEF 및 mTeSR-1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줄기세포성을 유지하는 화합물 및 줄기세포성 유지를 저해하고 줄기세포의 분화를 유도하는 화합물을 찾기 위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소분자화합물 탐색 방법이 수행되었다.
첫 번째로, 줄기세포성 유지에 관여하는 소분자 화합물을 탐색하는 방법이다.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Matrigel(BD Biosciences, USA)”이라는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로 코팅한 배양 용기에 도포한 후, 이 인간 배아줄기세포에 분화유도 배지를 넣어 주어 자연 분화를 유도하면서 소분자 합물을 처리하였다. 그리고 배양 마지막 날에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콜로니 형성 여부, 콜로니 모양 관찰, 알칼린 포스파테이즈(alkaline phosphatase) 염색, 그리고 여러 가지 종류의 미분화 표지(Oct4, SSEA4, Tra1-60, Tra1-81 등)들에 대한 면역염색을 실시하여 줄기세포성을 계속 유지하게 하는(즉, 분화를 억제시키는) 소분자 화합물들을 찾아낸다.
두 번째는, 줄기세포성을 저해한, 즉 줄기세포의 분화를 유도하는 소분자 화합물을 찾아내는 방법이다.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Matrigel로 코팅한 배양용기에 도포하여 준 후, 미분화유지 배양 배지(예를 들면, mTeSR-1(Stemcell Technologies, USA))를 이용하여 배양하면서 소분자 화합물을 처리하였다. 그 다음 배양 마지막 날에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콜로니 형성 여부 및 콜로니 모양 관찰, 알칼린 포스페이트(alkaline phosphatase) 염색, 그리고 여러 가지 종류의 미분화표지(Oct4, SSEA4, Tra1-60, Tra1-81)들에 대한 면역염색을 통하여 인간 배아줄기세포들의 줄기세포성을 저해한 소분자 화합물을 찾아낸다.
그 결과, 멜라토닌 수용체 항진제가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줄기세포성을 유지해 주는 데 관여하며, 반대로 멜라토닌 수용체 길항제가 줄기세포성 유지를 저해하고 분화를 유도하는 성질을 보이는 것을 알아냈다.
상기 멜라토닌 수용체 항진제는 이 기술분야에 이미 알려진 것은 모든 멜라토닌 수용체 길항제를 모두 포함한다. 구체적인 예로 N-[2-(5-메톡시-1H-인돌-3-일) 에틸] 아세트아미드(N-[2-(5-methoxy-1H-indol-3-yl) ethyl] acetamide); N-[2-(2-이오도-5-메톡시-1H-인돌-3-일) 에틸]아세트아미드(N-[2-(2-iodo-5-methoxy-1H-indol-3-yl) ethyl] acetamide); N-[(2R)-2-(6-클로로-5-메톡시-1H-인돌-3-일) 프로필] 아세트아미드(N-[(2R)-2-(6-chloro-5-methoxy-1H-indol-3-yl) propyl] acetamide); N-부타노일-2-(2-메톡시-6H-이소인돌로[2,1-a] 인돌-11-일) 에탄아민(N-butanoyl-2-(2-methoxy-6H-isoindolo[2,1-a] indol-11-yl) ethanamine); 3-(1-아세틸-3-메틸-피페리딘)-5-메톡시인돌(3-(1-acetyl-3-methyl-piperidine)-5-methoxyindole) 및 N-{2-[3-(3-아미노페닐)-7-메톡시-1-나프틸] 에틸} 아세트아미드로(N-{2-[3-(3-aminophenyl)-7-methoxy-1-naphthyl] ethyl} acetam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멜라토닌 수용체 항진제를 상기 배지 조성물 내에 0.001 내지 1000 uM 포함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멜라토닌 수용체 항진제의 함량이 0.001 uM 미만인 경우에는 줄기세포성 유지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멜라토닌 수용체 항진제의 함량이 1000 uM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세포독성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줄기세포성 유지용 배양 조성물을 통해 배양되는 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 또는 성체줄기세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성체 줄기세포는 모든 조직의 성체 줄기세포에서 유래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성체 줄기세포는 신경 줄기세포, 간 줄기세포, 조혈 줄기세포, 제대혈 줄기세포, 표피 줄기세포, 위장관 줄기세포, 내피 줄기세포, 근육 줄기세포, 중간엽 줄기세포 및 췌장 줄기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현재 사용되는 피더-프리 배양 방법은, 동물 유래물질들이 포함이 되어 있다. 임상용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얻기 위해서는 이 동물 유래물질들이 완전히 배제된 새로운 배양 배지가 필요하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줄기세포성 유지용 배지 조성물은, 피더 세포를 사용하지 않고도, 배아줄기세포를 배양할 수 있는 감염물질-프리(xenogen-free)용 및 피더-프리(feeder-free culture)용 배양 배지를 만드는 데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앞서 언급한 멜라토닌 수용체 항진제와 같은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줄기세포성 유지에 관여하는 물질들을 이용하면, 피더-프리 그리고 감염-프리 상태의 배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고, 이 배지 조성물을 통해 배아줄기세포를 배양할 수 있다.
또한, 생쥐 배아섬유아세포 대신에 인간유래 세포들을 피더 세포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역시 기존의 동물 유래물질이 함유된 배지 대신에 새로운 감염-프리 배지를 사용해야 임상용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배양할 수 있다. 이러한 배지를 개발하는 데에도 상기 언급한 멜라토닌 수용체 항진제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기본배지에 멜라토닌 수용체 길항제를 포함하는 줄기세포 분화유도용 배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멜라토닌 수용체 길항제를 상기 배지 조성물 내에 0.001 내지 1.000 uM 포함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멜라토닌 수용체 길항제의 함량이 0.001 uM 미만인 경우에는 줄기세포 분화 유도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멜라토닌 수용체 길항제의 함량이 1000 uM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세포독성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멜라토닌 수용체 길항제는 이 기술분야에 공지된 모든 멜라토닌 수용체 길항제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예로, N-부타노일 2-(5,6,7-트리하이드로-11-메톡시벤조(c)사이클로헵트[2,1-a]인돌-13-일) 에탄아민(N-butanoyl 2-(5,6,7-trihydro-11-methoxybenzo(c)cyclohept[2,1-a] indol-13-yl) ethanamine); N-(4-페닐테트랄린-2-일) 프로판아미드(N-(4-phenyltetralin-2-yl) propanamide); 5-하이드록시에톡시-N-아세틸트립타민(5-hydroxyethoxy-N-acetyltryptamine); N-[2-(2-벤질-1H-인돌-3-일)에틸] 아세트아미드(N-[2-(2-benzyl-1H-indol-3-yl)ethyl] acetamide); N-(2-나프탈렌-1-일에틸) 사이클로부탄카복사미드(N-(2-naphthalen-1-ylethyl) cyclobutanecarboxamide) 및 N-(2-{7-[3-({8-[2-아세틸아미노)에틸]-2-나프틸}옥시)프로폭시]-1-나프틸}에틸) 아세트아미드(N-(2-{7-[3-({8-[2-acetylamino)ethyl]-2-naphtyl}oxy)propoxy]-1-naphthyl}ethyl) acetam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줄기세포 분화유도용 배지 조성물에 이용되는 기본배지 및 줄기세포의 종류는 앞서 언급한 것과 동일하다.
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해서는 특정 세포로의 분화가 필수적이다. 만약 일정 수의 배아줄기세포가 분화되지 않고 계속 남아서 존재한다면 이들은 생체에 이식 후에 “테라토마”라는 암을 형성하게 될 확률이 높다. 이 때 멜라토닌 수용체 길항제를 이용하여 분화를 더 촉진시킨다면, 더 많은 분화세포를 얻을 수 있을 것이며 암 발생 빈도가 훨씬 줄어들 것이다.
또한 이들 멜라토닌 수용체 길항제는 줄기세포의 분화를 유도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멜라토닌 수용체 길항제를 이용하면 줄기세포를 특정 계통(lineage)이나 특정 형태(type)의 세포로 분화를 유도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그들 특정 세포들을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동일하게, 멜라토닌 수용체 길항제를 이용하면, 피더-프리 그리고 감염-프리 상태의 배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고, 이 배지 조성물을 통해 배아줄기세포의 분화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멜라토닌 수용체 항진제를 포함하는 줄기세포성 유지용 배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줄기세포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멜라토닌 수용체 길항제를 포함하는 배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줄기세포의 분화를 유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멜라토닌 수용체 항진제를 포함하는 배지 조성물 또는 멜라 토닌 수용체 길항제를 포함하는 배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감염-프리용 및/또는 피더-프리용 배양 배지를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배양 배지를 이용하여 줄기세포성을 유지시키거나 줄기세포의 분화를 촉진하여 원하는 특정 세포를 원하는 시기에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줄기세포성 유지용 배지 조성물의 제조 및 줄기세포 미분화 확인
Matrigel(BD Biosciences, USA)로 코팅한 96 웰플레이트의 각 웰에 인간 배아줄기세포(CHA6 cell line, 차의과학대학교, 한국)의 콜로니의 조각들을 도포해 주었다. 그 뒤 분화유도 배지인 MEF 배지(DMEM high-glucose(Welgene)+ 10% FBS(Welgene)+ 1% pennicillin/streptomycin (Caisson)+ 1% NEAA(GIBCO)+ 0.1% b-mercaptoethanol(GIBCO))를 넣어 주어 인간 배아줄기세포 배양을 시작하였다(37.0℃, 5.0% CO2). 이 때 배아줄기세포는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 당 5조각의 덩어리를 넣어 주었다. 그 다음 앞서 언급한 멜라토닌 수용체 항진제인 멜라토닌(N-[2-(5-메톡시-1H-인돌-3-일)에틸] 아세트아미드)(Sigma) 1 uM 을 약 5-7일에 걸쳐 매일 새 로운 배지에 첨가하여 배아줄기세포를 배양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대조군으로 인간줄기세포를 분화억제용 배지(도 1의 (a)) 멜라토닌을 포함하지 않은 MEF 배지(도 1의 (b)), 및 분화촉진인자 레티노익산(retinoic acid)를 포함한 MEF 배지(도 1의 (c))에 배양하였다.
알칼린 포스파테이즈 염색(alkaline phosphatase staining)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먼저 세포를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para-formaldehyde)로 1-2분간 고정시킨 후 1x TBST(20 mM Tris-HCl, pH 7.4, 0.15M NaCl, 0.05%, Tween-20)로 한 번 씻어 주었다. 패스트 레드 바이올렛(Fast red violet), 나프톨(naphtol)과 H2O를 2:1:1로 섞어 15분간 처리해준 뒤 1x TBST로 한 번 씻어 주고 1x PBS로 갈아 주었다.
그 결과 도 1의 (b)에 나타난 것과 같이, MEF 배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세포들이 분화되어 널리 퍼지게 된다. 이에 반해 1 uM의 멜라토닌을 처리했을 때 세포들이 덜 퍼지게 되어 어느 정도 콜로니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미분화 표지인 알칼린 포스파테이즈(alkaline phosphatase)의 발현이 상당히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도 (d)). 즉 멜라토닌이 줄기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미분화 상태를 유지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멜라토닌을 넣어주지 않은 분화조건인 배지(MEF medium)나 분화유도 물질이 첨가된 배지(MEF+RA)경우는 인간 배아줄기세포가 거의 분화됨을 알 수 있다(도 1의 (b)와 (c)).
실시예 2: 줄기세포 분화용 배지 조성물의 제조 및 줄기세포 분화 확인
Matrigel(BD Biosciences, USA)로 코팅한 96 웰플레이트의 각 웰에 인간 배아줄기세포(CHA6 cell line, 차의과학대학교, 한국)의 콜로니의 조각들을 도포해 주었다. 그 뒤 미분화 유지 배양 배지인 mTeSR-1(Stemcell Technologies, USA: bFGF, TGFb, LiCl, GABA, pipecolic acid 가 포함되어 있는 배지)을 넣어 주어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배양을 시작하였다(37.0℃, 5.0% CO2). 이 때 배아줄기세포는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 당 5조각의 덩어리를 넣어 주었다.) 그 다음 멜라토닌 수용체 길항제인 N-부타노일 2-(5,6,7-트리하이드로-11-메톡시벤조(c)사이클로헵트[2,1-a]인돌-13-일)에탄아민 1 uM 을 약 5-7일에 걸쳐 매일 새로운 배지에 첨가해 주었다. 대조군으로서는 분화를 유도하는 배지인 MEF 배지를 이용하였다.
상기 줄기세포의 분화 유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DAPI로 핵을 염색하여 세포들의 존재 및 분포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미분화된 세포들을 구분하기 위하여 미분화 표지인 Oct4에 대한 항체(anti mouse, Santa Cruz #sc5279, U.S.A.)를 사용하여 인간 줄기세포들의 염색 정도를 조사하였다(적색 형광). 먼저 세포를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para-formaldehyde) 용액으로 고정시킨 후 1x PBST(1xPBS, 0.05% Tween-20)로 5분씩 3번 세척해 주었다. 10% 노멀 고트 세럼(normal goat serum)으로 30분간 블랏킹(blocking)한 후 일차항체인 OCT4 항체로 상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1x PBST로 10분간 3번 세척해 준 뒤 형광이 붙어있는 이차항체로 45분간 반응시킨다. 1x PBST로2번 씻은 후 DAPI를 5분간 처리하여 핵을 염색하고 1x PBST로 10분씩 두 번 더 씻어 주었다.
그 결과,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미분화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배양 조건(도 2의 (a))에서, 1 uM N-부타노일 2-(5,6,7-트리하이드로-11-메톡시벤조(c)사이클로헵트[2,1-a]인돌-13-일)에탄아민을 처리하면, 도 2의 (b)와 (e)와 같이 인간 배아줄기세포들이 줄기세포성을 잃어버리고 분화가 유도되었다(세포들이 주변으로 퍼짐).
도 2의 (c)와 (f)에서 볼 수 있듯이, 대조군으로 이용한 분화 유도 배지인 MEF 배지를 사용했을 때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콜로니들의 형태가 없어지면서 세포들이 넓게 퍼지게 되고 이 때 미분화표지인 Oct4도 발현되지 않게 된다.
도 1은 멜라토닌 수용체 항진제가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줄기세포성을 유지하는 것을 나타내 주는 세포 염색 사진이다.
도 2는 멜라토닌 수용체 길항제가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분화를 유도함을 보여주는 세포 염색 사진이다.

Claims (14)

  1. 기본배지에 멜라토닌 수용체 항진제를 포함하는 줄기세포성 유지용 배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토닌 수용체 항진제는 N-[2-(5-메톡시-1H-인돌-3-일) 에틸] 아세트아미드; N-[2-(2-이오도-5-메톡시-1H-인돌-3-일) 에틸]아세트아미드; N-[(2R)-2-(6-클로로-5-메톡시-1H-인돌-3-일) 프로필] 아세트아미드; N-부타노일-2-(2-메톡시-6H-이소인돌로[2,1-a] 인돌-11-일) 에탄아민; 3-(1-아세틸-3-메틸-피페리딘)-5-메톡시인돌 및 N-{2-[3-(3-아미노페닐)-7-메톡시-1-나프틸] 에틸} 아세트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성 유지용 배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토닌 수용체 항진제는 상기 배지 조성물 내에 0.001 내지 1000 uM 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성 유지용 배지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배지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MEM(Minimal Essential Medium), BME(Basal Medium Eagle), RPMI 1640, F-10, F-12, α―MEM(α―Minimal essential Medium), G-MEM(Glasgow's Minimal Essential Medium), IMDM(Isocove's Modified Dulbecco's Medium), MEF 및 mTeSR-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성 유지용 배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 또는 성체줄기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성 유지용 배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가 신경 줄기세포, 간 줄기세포, 조혈 줄기세포, 제대혈 줄기세포, 표피 줄기세포, 위장관 줄기세포, 내피 줄기세포, 근육 줄기세포, 중간엽 줄기세포 및 췌장 줄기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성 유지용 조성물.
  7. 기본배지에 멜라토닌 수용체 길항제를 포함하는 줄기세포 분화유도용 배지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토닌 수용체 길항제는 상기 배지 조성물 내에 0.001 내지 1000 uM 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 분화유도용 배지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토닌 수용체 길항제는 N-부타노일 2-(5,6,7-트리하이드로-11-메톡시벤조(c)사이클로헵트[2,1-a]인돌-13-일) 에탄아민; N-(4-페닐테트랄린-2-일) 프로판아미드; 5-하이드록시에톡시-N-아세틸트립타민; N-[2-(2-벤질-1H-인돌-3-일)에틸]아세트아미드; N-[2-(2-벤질-1H-인돌-3-일)에틸] 아세트아미드; N-(2-나프탈렌-1-일에틸) 사이클로부탄카복사미드 및 N-(2-{7-[3-({8-[2-아세틸아미노)에틸]-2-나프틸}옥시)프로폭시]-1-나프틸}에틸) 아세트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 분화유도용 배지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배지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MEM(Minimal Essential Medium), BME(Basal Medium Eagle), RPMI 1640, F-10, F-12, α―MEM(α―Minimal essential Medium), G-MEM(Glasgow's Minimal Essential Medium), IMDM( Isocove's Modified Dulbecco's Medium), MEF 및 mTeSR- 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 분화유도용 배지 조성물.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 또는 성체줄기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 분화유도용 배지 조성물.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가 신경 줄기세포, 간 줄기세포, 조혈 줄기세포, 제대혈 줄기세포, 표피 줄기세포, 위장관 줄기세포, 내피 줄기세포, 근육 줄기세포, 중간엽 줄기세포 및 췌장 줄기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 분화유도용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줄기세포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방법.
  14. 제6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줄기세포의 분화를 유도하는 방법.
KR1020090129931A 2009-12-23 2009-12-23 줄기세포 배양용 조성물과 줄기세포 배양방법 KR101249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931A KR101249801B1 (ko) 2009-12-23 2009-12-23 줄기세포 배양용 조성물과 줄기세포 배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931A KR101249801B1 (ko) 2009-12-23 2009-12-23 줄기세포 배양용 조성물과 줄기세포 배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839A true KR20110072839A (ko) 2011-06-29
KR101249801B1 KR101249801B1 (ko) 2013-04-03

Family

ID=44403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931A KR101249801B1 (ko) 2009-12-23 2009-12-23 줄기세포 배양용 조성물과 줄기세포 배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98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0038A1 (ko) * 2016-10-24 2018-05-03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에티오나마이드를 이용한 줄기세포 증식능 향상 방법
KR20180136195A (ko) * 2017-06-14 2018-12-24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줄기세포를 멜라토닌 처리 하여 증식 촉진 또는 생존율을 증가시키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818B1 (ko) 2016-05-17 2018-09-20 주식회사 피토스 피토스핑고신-1-포스페이트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줄기세포 성장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줄기세포 배양배지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0038A1 (ko) * 2016-10-24 2018-05-03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에티오나마이드를 이용한 줄기세포 증식능 향상 방법
KR20180136195A (ko) * 2017-06-14 2018-12-24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줄기세포를 멜라토닌 처리 하여 증식 촉진 또는 생존율을 증가시키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9801B1 (ko) 201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6335B2 (en) Cryopreserved endocrine cells that express chromogranin A
US20220025321A1 (en) Methods for reprograming non-pluripotent cells into pluripotent stem cells
EP3019596B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programing non- pluripotent cells into pluripotent stem cells
ES2860423T3 (es) Métodos y sistemas para convertir células precursoras en tejidos gástricos mediante diferenciación dirigida
KR101658876B1 (ko) 다능성 세포의 처리
JP6905938B2 (ja) プライム型多能性幹細胞のナイーブ型多能性幹細胞への復帰
JP6581655B2 (ja) 多能性幹細胞由来ケラチノサイトの生成およびケラチノサイト培養の維持
SG175367A1 (en) Small molecules supporting pluripotent cell growth and methods thereof
EP3565887A1 (en) Methods for generating skeletal muscle progenitor cells
KR20210049779A (ko) 장관 신경전구세포의 제조 방법
KR101249801B1 (ko) 줄기세포 배양용 조성물과 줄기세포 배양방법
Jiang et al. Transcriptome profile of bovine iPSCs derived from Sertoli Cells
CN117120064A (zh) 用于建立和维持早期胚胎样细胞的培养基和方法
WO2020203532A1 (ja) 多能性幹細胞の製造方法
EP3950933A1 (en) Cell population including pluripotent stem cells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1313535B1 (ko) 인간 배아줄기세포 또는 역분화 만능줄기세포의 줄기세포성 유지용 배지 및 이를 이용한 배양방법
KR101133553B1 (ko) 줄기세포성 유지 또는 줄기세포 분화를 위한 줄기세포 배양용 조성물
Bieberich et al.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pluripotency
KR102276781B1 (ko) cP1P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줄기세포 증식 촉진용 조성물
JP2022007610A (ja) 多能性幹細胞由来フィーダー細胞
JP6501413B2 (ja) 細胞培養用組成物
JP2023090959A (ja) 幹細胞の製造方法、及び癌細胞化のリスク低減方法
CA3221435A1 (en) Serum free media for suspension culture of mammalian livestock pluripotent stem cells
JP2024006674A (ja) 精巣体細胞様細胞の製造方法、精巣体細胞様細胞、精子の形成方法、中期中胚葉様細胞を精巣体細胞様細胞に分化誘導する方法、精巣体細胞様細胞の製造用培地サプリメント、及び精巣体細胞様細胞の製造用培地キット
US20120238019A1 (en) Stem cell culture media for maintaining stemness or inducing differentiation of stem 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