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2615A - 광대역 rf 수신기의 rssi 장치 - Google Patents

광대역 rf 수신기의 rssi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2615A
KR20110072615A KR20090129621A KR20090129621A KR20110072615A KR 20110072615 A KR20110072615 A KR 20110072615A KR 20090129621 A KR20090129621 A KR 20090129621A KR 20090129621 A KR20090129621 A KR 20090129621A KR 20110072615 A KR20110072615 A KR 20110072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signal
rssi
output
low p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129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5536B1 (ko
Inventor
이진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텔레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텔레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텔레칩스
Priority to KR1020090129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536B1/ko
Publication of KR20110072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4Automatic detun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5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bandpass amplifiers (H.F. or I.F.) or in frequency-changers used in a (super)heterodyne receiver
    • H03G3/3068Circuits generating control signals for both R.F. and I.F. s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8Input circuits, e.g. for coupling to an antenna or a transmission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 RF 수신기의 RSSI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RF 입력 신호의 크기에 따라 RF 수신기의 이득을 증/감폭 제어하기 위한 이득 제어 루프를 구성함에 있어서 원하는/원하지 않는 신호의 세기를 구별하여 이득 제어 루프를 제어해서 최적의 수신 환경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광대역 RF 수신기의 RSSI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BBIC와는 별개로 RF 수신기 내부에 이득 제어 루프를 구성하여 RF 신호의 이득을 제어해서 BBIC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부담을 줄이고 RF 신호에 대해 최적의 수신 환경을 제공하고, BBIC에 RF 신호의 세기 정보를 제공하는 RSSI용 ADC를 제거해서 BBIC를 구현함에 있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부담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RF 수신기,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Description

광대역 RF 수신기의 RSSI 장치{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apparatus of wide-band RF receiver}
본 발명은 광대역 RF 수신기의 RSSI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RF 입력 신호의 크기에 따라 RF 수신기의 이득을 증/감폭 제어하기 위한 이득 제어 루프를 구성함에 있어서 원하는/원하지 않는 신호의 세기를 구별하여 이득 제어 루프를 제어해서 최적의 수신 환경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광대역 RF 수신기의 RSSI 기술에 관한 것이다.
RF 수신기는 무선 환경에서 원하는 신호를 검출하고 신호의 세기를 증/감폭하여 후단 BBIC(Base Band IC) ADC의 입력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RF 수신기에서 입력되는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여 최적의 신호 세기로 이득 제어하기 위해서는 빠르고 정확한 신호 세기 검출이 필수적이다. 특히 RF 수신기에 입력되는 신호에는 원하는 채널의 신호뿐만 아니라 다른 채널의 신호도 함께 수신되므로 이에 대한 구분 없이 이득 제어를 할 경우 시스템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야 기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BBIC에는 이를 구분하기 위한 연산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포함되어야 하므로 BBIC 구현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광대역 RF 수신기에서 많이 사용되는 이득 제어 루프는 RFE(RF Front-end)단과 BBA(Base Band Analog)단으로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구성된다. RFE단의 경우 원하는 신호만을 필터링할 수 있는 트랙킹(Tracking) 기능 구현이 어려우므로 RFE단은 수배에서 수십배까지의 대역폭에 입력되는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여 후단 BBIC에 전압 형태로 전달하고 이를 통해 BBIC는 RFE단의 이득 제어를 수행한다. BBA단의 경우 채널 선택 저역 통과 필터(Channel Select Low Pass Filter)를 통과한 신호가 BBA AGC(Automatic Gain Control)를 거치면서 신호 대역폭만을 증폭할 수 있으므로 직접적인 제어는 후단 BBIC가 수행한다.
RF단과 BBIC 간의 제어 인터페이스를 살펴보면, BBIC에서 검출된 입력 신호 세기 정보를 참조하여 RFIC로 제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제어의 경우 I2C(Inter-Integrated Circuit) 또는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가 사용되어야 하며 연속 제어(Continuous Control)의 경우 제어 신호가 전압 형태로 전달되어야 한다. 이러한 RF단과 BBIC 간의 제어 인터페이스의 경우 하드웨어 복잡화 및 처리 속도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RFE단에서 전달되는 신호 세기 정보에서 원하는/원하지 않는 신호의 구분이 필수적인데 이는 이득 제어 블록의 제어 순서를 정의하여 수신기의 시스템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서이다. 이득 제어 블록의 제어 순서는 대표적으로 이득(Gain)/잡음 지수(Noise Figure)/IIP3(Third Order Input Intercept Point) 등의 지수를 기준으로 정하게 되는데 이들 지수는 일반적으로 트레이드 오프(Trade-off) 관계에 있게 된다. 따라서 제어 순서를 결정하는 것에 의해 수신기의 감도(Sensitivity)/선형성(Linearity) 등의 성능이 결정되므로 위에서 언급된 원하는/원하지 않는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 구분은 필수적이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BBIC가 RSSI용 ADC 출력 값의 연산을 통해 호스트 역할을 수행해야 하며 그 결과 BBIC의 연산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 경우 BBIC에서는 RF RSSI 전용 ADC가 필요하게 되므로 하드웨어의 복잡화 및 처리 속도에 큰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대역 RF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RF 신호의 세기 검출 및 수신되는 RF 신호에 해당하는 이득 제어를 BBIC와는 별개로 독립적인 수행을 통해 RF 수신기 내부에 이득 제어 루프를 형성하여 BBIC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부담을 줄이고 최적의 수신 상태를 만드는 광대역 RF 수신기의 RSSI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RF 수신기의 RSSI 장치는 RF 신호를 입력받아 저잡음 증폭하고 로컬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캐리어 신호를 제거하는 RFE(RF Front-end)단; 캐리어 신호가 제거된 기저 대역 신호를 저역 통과 필터링하고 이득 제어해서 BBIC(Base Band IC)의 ADC로 출력하는 BBA(Base Band Analog)단; 및 RFE단의 기저 대역 신호와 BBA단의 저역 통과 필터링된 신호를 입력받아 서로 비교하여 비교 결과 레일-투-레일(Rail-to-Rail) 직류 출력 전압을 생성해서 RFE단의 이득을 제어하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RFE단은, RF 신호를 입력받아 광대역의 저잡음 증/감폭을 수행하는 RVGLNA(RF Variable Gain Low Noise Amplifier); 및 RVGLNA의 저잡음 증/감폭된 신호에서 로컬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캐리어 신호를 제거하는 VGM(Variable Gain Mixer);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BBA단은, 캐리어 신호가 제거된 기저 대역 신호를 입력받아 채널 대역폭으로 저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하는 VLPF(Variable Low Pass Filter); 및 VLPF에 의해 저역 통과 필터링된 신호를 이득 제어해서 BBIC의 ADC로 최적의 신호 스윙을 전달하는 BVGA(BB Variable Gain Amplifier);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RSSI단은, BBA단의 저역 통과 필터링된 신호를 입력받아 VLPF의 이득을 보상해서 레일-투-레일 직류 출력 전압을 생성하여 비교기로 출력하는 BB RSSI단; BB RSSI단의 직류 출력 전압과 RF RSSI단의 직류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RF RSSI단으로 출력하는 비교기; 및 RFE단의 기저 대역 신호를 입력받아 비교기의 비교 결과를 참조하여 레일-투-레일 직류 출력 전압을 생성해서 RFE단의 RVGLNA와 VGM에 출력하는 RF RSSI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BB RSSI단은, BBA단의 저역 통과 필터링된 신호를 입력받아 차등 증폭하는 증폭기; 증폭기의 출력을 저역 통과 필터링하는 저역 통과 필터; 저역 통과 필터의 출력과 VLPF의 이득을 보상한 임계치를 비교하는 진폭 비교기; 및 진폭 비교기의 출력을 차지 펌프하고 저역 필터링하여 레일-투-레일 직류 출력 전압을 생성하여 비교기로 출력하는 전압 발생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RF RSSI단은, RFE단의 기저 대역 신호를 차등 증폭하는 증폭기; 증폭기의 출력을 저역 통과 필터링하는 저역 통과 필터; 비교기의 출력값에 따 라 서로 다른 LNA 기준 전압과 MIXER 기준 전압을 출력하는 기준 전압 발생기; 저역 통과 필터의 출력과 LNA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LNA 비교기; LNA 비교기의 출력을 차지 펌프하고 저역 필터링하여 레일-투-레일 직류 출력 전압을 생성해서 RFE단의 RVGLNA로 출력하는 LNA 전압 발생기; 저역 통과 필터의 출력과 MIXER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MIXER 비교기; 및 MIXER 비교기의 출력을 차지 펌프하고 저역 필터링하여 레일-투-레일 직류 출력 전압을 생성해서 RFE단의 VGM과 비교기로 출력하는 MIXER 전압 발생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BBIC와는 별개로 RF 수신기 내부에 이득 제어 루프를 구성하여 RF 신호의 이득을 제어해서 BBIC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부담을 줄이고 RF 신호에 대해 최적의 수신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BBIC에 RF 신호의 세기 정보를 제공하는 RSSI용 ADC를 제거해서 BBIC를 구현함에 있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부담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RF 수신기의 RSSI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RSSI단에서의 RF RSSI단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광대역 RF 수신기의 RSSI 장치를 구성하는 장치 블록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광대역 RF 수신기의 RSSI 장치는 RF 신호를 입력받아 저잡음 증폭하고 로컬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캐리어 신호를 제거하는 RFE(RF Front-end)단(100); 캐리어 신호가 제거된 기저 대역 신호를 저역 통과 필터링하고 이득 제어해서 BBIC(Base Band IC)의 ADC로 출력하는 BBA(Base Band Analog)단(200); 및 RFE단(100)의 기저 대역 신호와 BBA단(200)의 저역 통과 필터링된 신호를 입력받아 서로 비교하여 비교 결과 레일-투-레일(Rail-to-Rail) 직류 출력 전압을 생성해서 RFE단(100)의 이득을 제어하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RFE단(100)은, RF 신호를 입력받아 광대역의 저잡음 증/감폭을 수행하는 RVGLNA(RF Variable Gain Low Noise Amplifier)(110); 및 RVGLNA(110)의 저잡음 증/감폭된 신호에서 로컬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캐리어 신호를 제거하는 VGM(Variable Gain Mixer)(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BBA단(200)은, 캐리어 신호가 제거된 기저 대역 신호를 입력받아 채널 대역폭으로 저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하는 VLPF(Variable Low Pass Filter)(210); 및 VLPF(210)에 의해 저역 통과 필터링된 신호를 이득 제어해서 BBIC의 ADC로 최적의 신호 스윙을 전달하는 BVGA(BB Variable Gain Amplifier)(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SSI단(300)은, BBA단(200)의 저역 통과 필터링된 신호를 입력받아 VLPF(210)의 이득을 보상해서 레일-투-레일 직류 출력 전압을 생성하여 비교기(320)로 출력하는 BB RSSI단(310); BB RSSI단(310)의 직류 출력 전압과 RF RSSI단(330)에서의 MIXER 전압 발생기(337)의 직류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RF RSSI단(330)으로 출력하는 비교기(320); 및 RFE단(100)의 기저 대역 신호를 입력받아 비교기(320)의 비교 결과를 참조하여 레일-투-레일 직류 출력 전압을 생성해서 RFE단(100)의 RVGLNA(110)와 VGM(120)에 출력하는 RF RSSI단(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BB RSSI단(310)은, BBA단(200)의 저역 통과 필터링된 신호를 입력받아 차등 증폭하는 증폭기; 증폭기의 출력을 저역 통과 필터링하는 저역 통과 필터; 저역 통과 필터의 출력과 VLPF(210)의 이득을 보상한 임계치를 비교하는 진폭 비교기; 및 진폭 비교기의 출력을 차지 펌프하고 저역 필터링하여 레일-투-레일 직류 출력 전압을 생성하여 비교기(320)로 출력하는 전압 발생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F RSSI단(330)은, RFE단(100)의 기저 대역 신호를 차등 증폭하는 증폭기(331); 증폭기(331)의 출력을 저역 통과 필터링하는 저역 통과 필터(332); 비교기(320)의 출력값에 따라 서로 다른 LNA 기준 전압과 MIXER 기준 전압을 출력하는 기준 전압 발생기(333); 저역 통과 필터(332)의 출력과 LNA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LNA 비교기(334); LNA 비교기(334)의 출력을 차지 펌프하고 저역 필터링하여 레일-투-레일 직류 출력 전압을 생성해서 RFE단(100)의 RVGLNA(110)로 출력하는 LNA 전압 발생기(335); 저역 통과 필터(332)의 출력과 MIXER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MIXER 비교기(336); 및 MIXER 비교기(336)의 출력을 차지 펌프하고 저역 필터링하여 레일 -투-레일 직류 출력 전압을 생성해서 RFE단(100)의 VGM(120)과 비교기(320)로 출력하는 MIXER 전압 발생기(3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F RSSI단(330)은 RFE단(100)을 구성하는 RVGLNA(110) 및 VGM(120)에서 처리된 AC 신호를 입력받아 차등 증폭기(331)와 저역 통과 필터(332)를 거쳐 DC 신호로 변환하여 변환된 DC 신호와 설정된 임계치인 TOP(Take Over Point) DC를 비교해서 비교 결과인 출력 신호로 하이 신호 또는 로우 신호를 전압 발생기(335, 337)로 출력한다. 이때, 변환된 DC 신호와 설정된 임계치의 비교를 위해 사용되는 비교기(334, 336)에는 연속적인 미세 변화로 인한 출력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비교기(334, 336)의 출력은 PMOS 전류 셀(Current Cell)과 NMOS 전류 셀로 구성된 차지 펌프(Charge Pump)에 입력되고 차지 펌프의 출력이 저역 통과 필터를 거치면 레일 투 레일 직류 출력 전압(Rail-to-Rail DC Tuning Voltage)이 생성된다. 레일 투 레일 직류 출력 전압은 RFE단(100)의 이득을 제어한다. 기준 전압 발생기(333)에 의해 설정된 임계치인 TOP DC는 LNA 비교기(334)와 MIXER 비교기(336)에 각각 설정되고 병렬 비교를 통해 각각의 RFE단(100)을 구성하는 블록의 이득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RSSI단(300)은 BBA단(200)의 VLPF(210)의 출력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여 RFE단(100)의 RSSI 출력 DC와 비교해서 원하는/원하지 않는 신호의 전력을 감지하여 이득 제어하고자 하는 RFE단(100) 블록의 우선 순위를 조정한다. 이는 VLPF(210)의 경우 인밴드 신호(In-band Signal)만을 통과시키므로 이를 이용하면 인밴드 신호와 아웃밴드 신호간의 차이 또한 검출이 가능하다.
RFE단(100)의 RSSI 출력은 광대역의 입력 신호 세기를 모두 포함하고 BBA단(200) VLPF(210)의 RSSI 출력은 저역 통과 필터를 통과한 인밴드의 신호 세기를 포함하므로 이들 두 개의 출력 전압을 서로 비교하면 원하는/원하지 않는 신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RFE단(100)의 RSSI 출력보다 BBA단(200)의 RSSI 출력이 작을 경우 RSSI단(300)은 원하지 않는 신호가 원하는 신호보다 신호의 세기가 더 강하게 입력되는 상황으로 판단하여 RFE단(100)에서의 RVGLNA(110)의 이득은 하이로 유지하고 VGM(120)의 이득을 로우 상태로 제어한다. 이러한 RSSI단(300)의 이득 제어를 통해 시스템의 잡음 지수가 최소한으로 유지되어 RF 수신기의 감도가 확보된다.
위의 경우와 반대로 RFE단(100)의 RSSI 출력보다 BBA단(200)의 RSSI 출력이 클 경우 RSSI단(300)은 원하는 신호가 원하지 않는 신호보다 신호의 세기가 더 강하게 입력되는 상황으로 판단하여 RFE단(100)의 RVGLNA(110)의 이득은 로우로 유지하고 VGM(120)의 이득은 필요에 따라 하이/로우로 제어한다. 이러한 RSSI단(300)의 이득 제어에서 시스템 잠음 지수는 양호한 상태로 유지되어 RF 수신기의 선형성이 확보된다.
RSSI단(300)에서의 비교기(320)의 출력 신호인 원하는/원하지 않는 신호 전력 감지(Wanted/Unwanted Signal Power Detection) 정보는 RF RSSI단(330)으로 입력된다. 비교기(320)의 출력 신호는 RF RSSI단(330)의 기준 전압 발생기(333)에 입력되고 기준 전압 발생기(333)는 비교기(320)의 출력 신호에 기반하여 LNA 비교기(334)와 MIXER 비교기(336)에 임계치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비교기(320)의 출력 신호가 1(High)일 경우 원하지 않는 신호가 원하는 신호보다 신호의 세기가 더 강하게 입력되는 상황이므로 기준 전압 발생기(333)는 TOP_LNA 값을 홀딩하고 TOP_MIXER 값을 낮추거나 높인다. 이를 통해 RF RSSI단(330)의 LNA 전압 발생기(335)는 고정된 직류 출력 전압을 RFE단(100)의 RVGLNA(110)에 출력하여 이득을 고정시키고 MIXER 전압 발생기(337)는 유동적인 직류 출력 전압을 RFE단(100)의 VGM(120)에 출력하여 이득을 우선 제어한다.
반대로 비교기(320)의 출력 신호가 0(Low)일 경우 원하는 신호가 원하지 않는 신호보다 신호의 세기가 더 강하게 입력되는 상황이므로 기준 전압 발생기(333)는 TOP_LNA 값을 낮추거나 높이고 TOP_MIXER 값을 홀딩한다. 이를 통해 RF RSSI단(330)의 LNA 전압 발생기(335)는 유동적인 직류 출력 전압을 RFE단(100)의 RVGLNA(110)에 출력하여 이득을 우선 제어하고 MIXER 전압 발생기(337)는 고정된 직류 출력 전압을 RFE단(100)의 VGM(120)에 출력하여 이득을 고정시킨다.
RSSI단(300)에서 RFE단(100)에 직류 출력 전압을 출력하는 RF RSSI단(330)에서의 전압 발생기의 출력단에 ADC를 추가할 경우 연속 제어(Continuous Control)와 함께 디지털 제어 구성이 가능하므로 RF RSSI단(330)의 레일 투 레일 RSSI 출력 전압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다양한 구조의 이득 제어 루프의 형성이 가능하다.
일반적인 VGA(Variable Gain Amplifier)의 이득 제어 방법에는 연속 전압 제 어 방법과 디지털 코드 워드를 통한 제어 방법으로 구분된다.
VGA의 이득 제어 신호로 직접 RSSI 출력 전압이 사용되지 않고 ADC와 인터페이스하여 원하는 비트의 해상도로 디지털 제어가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VGA 방식에서 좀 더 정확하게는 PGA(Programmable Gain Amplifier) 방식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특히 RSSI 출력 전압이 레일 투 레일의 연속적인 전압값을 가지므로 ADC의 풀 스케일(Full Scale)을 사용할 수 있어 보다 정교한 제어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RF 수신기의 RSSI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RSSI단에서의 RF RSSI단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Claims (6)

  1. RF 신호를 입력받아 저잡음 증폭하고 로컬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캐리어 신호를 제거하는 RFE(RF Front-end)단;
    상기 캐리어 신호가 제거된 기저 대역 신호를 저역 통과 필터링하고 이득 제어해서 BBIC(Base Band IC)의 ADC로 출력하는 BBA(Base Band Analog)단; 및
    상기 RFE단의 기저 대역 신호와 상기 BBA단의 저역 통과 필터링된 신호를 입력받아 서로 비교하여 비교 결과 레일-투-레일(Rail-to-Rail) 직류 출력 전압을 생성해서 상기 RFE단의 이득을 제어하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대역 RF 수신기의 RSSI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FE단은,
    RF 신호를 입력받아 광대역의 저잡음 증/감폭을 수행하는 RVGLNA(RF Variable Gain Low Noise Amplifier); 및
    상기 RVGLNA의 저잡음 증/감폭된 신호에서 로컬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캐리어 신호를 제거하는 VGM(Variable Gain Mixer);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RF 수신기의 RSSI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BBA단은,
    캐리어 신호가 제거된 기저 대역 신호를 입력받아 채널 대역폭으로 저역 통과 필터링을 수행하는 VLPF(Variable Low Pass Filter); 및
    상기 VLPF에 의해 저역 통과 필터링된 신호를 이득 제어해서 BBIC의 ADC로 최적의 신호 스윙을 전달하는 BVGA(BB Variable Gain Amplifier);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RF 수신기의 RSSI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RSSI단은,
    상기 BBA단의 저역 통과 필터링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VLPF의 이득을 보상해서 레일-투-레일 직류 출력 전압을 생성하여 비교기로 출력하는 BB RSSI단;
    상기 BB RSSI단의 직류 출력 전압과 RF RSSI단의 직류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상기 RF RSSI단으로 출력하는 비교기; 및
    상기 RFE단의 기저 대역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비교기의 비교 결과를 참조하여 레일-투-레일 직류 출력 전압을 생성해서 상기 RFE단의 RVGLNA와 VGM에 출력하는 RF RSSI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RF 수신기의 RSSI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BB RSSI단은,
    상기 BBA단의 저역 통과 필터링된 신호를 입력받아 차등 증폭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의 출력을 저역 통과 필터링하는 저역 통과 필터;
    상기 저역 통과 필터의 출력과 상기 VLPF의 이득을 보상한 임계치를 비교하는 진폭 비교기; 및
    상기 진폭 비교기의 출력을 차지 펌프하고 저역 필터링하여 레일-투-레일 직류 출력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비교기로 출력하는 전압 발생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RF 수신기의 RSSI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RF RSSI단은,
    상기 RFE단의 기저 대역 신호를 차등 증폭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의 출력을 저역 통과 필터링하는 저역 통과 필터;
    상기 비교기의 출력값에 따라 서로 다른 LNA 기준 전압과 MIXER 기준 전압을 출력하는 기준 전압 발생기;
    상기 저역 통과 필터의 출력과 상기 LNA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LNA 비교기;
    상기 LNA 비교기의 출력을 차지 펌프하고 저역 필터링하여 레일-투-레일 직류 출력 전압을 생성해서 상기 RFE단의 RVGLNA로 출력하는 LNA 전압 발생기;
    상기 저역 통과 필터의 출력과 상기 MIXER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MIXER 비교기; 및
    상기 MIXER 비교기의 출력을 차지 펌프하고 저역 필터링하여 레일-투-레일 직류 출력 전압을 생성해서 상기 RFE단의 VGM과 상기 비교기로 출력하는 MIXER 전압 발생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RF 수신기의 RSSI 장치.
KR1020090129621A 2009-12-23 2009-12-23 광대역 rf 수신기의 rssi 장치 KR101045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621A KR101045536B1 (ko) 2009-12-23 2009-12-23 광대역 rf 수신기의 rssi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621A KR101045536B1 (ko) 2009-12-23 2009-12-23 광대역 rf 수신기의 rssi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615A true KR20110072615A (ko) 2011-06-29
KR101045536B1 KR101045536B1 (ko) 2011-06-30

Family

ID=44406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621A KR101045536B1 (ko) 2009-12-23 2009-12-23 광대역 rf 수신기의 rssi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5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997B1 (ko) * 2019-12-03 2021-04-2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Sdr 무전기의 적응형 자동이득제어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493B1 (ko) 2005-09-01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기에서 이득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5536B1 (ko) 201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8717B2 (en) RF peak detection scheme using baseband circuits
WO2021147743A1 (en) Receiver circuits with blocker attenuating rf filter
US7873342B2 (en) Low IF receiver of rejecting image signal and image signal rejection method
WO2021147737A1 (en) Receiver circuits with blocker attenuating mixer
WO2007113931A1 (ja) 受信機
JP2006121146A (ja) 無線受信機のフィルタ制御方法および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無線受信機用集積回路
US9800277B2 (en) Interference detection and mitigation in radio frequency receivers
US10039066B2 (en) Automatic gain control method and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WO2012017627A1 (ja) 高周波受信装置及び無線受信機
US20240056047A1 (en) Integrated circuit devices with receiver chain peak detectors
US7373125B2 (en) Off-channel signal detector with programmable hysteresis
KR101045536B1 (ko) 광대역 rf 수신기의 rssi 장치
JP2006237793A (ja) 高周波信号受信部とこれを用いた高周波信号受信装置
US8223900B2 (en) Receiver with mixed-mode automatic gain control
KR100651493B1 (ko) 수신기에서 이득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4679230A (zh) 一种射频信号处理方法、装置及接收机
WO2011074164A1 (ja) 自動利得制御装置、受信機、電子機器、及び自動利得制御方法
CN110011678B (zh) 一种适用于突变信道的超外差接收机的自动增益控制系统和方法
JP2011199599A (ja) 受信機
CN107276603B (zh) 用于控制通信装置的放大器的方法和系统
US8300732B1 (en) DC offset removal using digital feedback
CN115276694B (zh) 一种跳频接收机及其增益自动控制方法
JP7175116B2 (ja)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US20160087661A1 (en) Radio Receiver
JP2009164980A (ja) 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