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0625A -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0625A
KR20110070625A KR1020090127501A KR20090127501A KR20110070625A KR 20110070625 A KR20110070625 A KR 20110070625A KR 1020090127501 A KR1020090127501 A KR 1020090127501A KR 20090127501 A KR20090127501 A KR 20090127501A KR 20110070625 A KR20110070625 A KR 20110070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review
learning
providing
bookma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정자
진영규
김기범
진영민
이지원
김문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127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0625A/ko
Publication of KR20110070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06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온라인 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된 학습 계획 정보를 통해 강의 컨텐츠, 복습 컨텐츠 등의 학습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따른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학습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학습 컨텐츠 제공부, 상기 제공된 학습 컨텐츠에 대한 복습 컨텐츠를 복습 컨텐츠 제공 주기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복습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습 컨텐츠 제공 주기는 상기 복습 컨텐츠의 제공 횟수에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학습 컨텐츠, 복습 주기, 북마크

Description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CONTENTS}
본 발명은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라인 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된 학습 계획 정보를 통해 강의 컨텐츠, 복습 컨텐츠 등의 학습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따른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기술이 발전하고, 특히 초고속 인터넷이 급속도로 보급됨에 따라 학습 방법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주로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한 학습 방법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동영상을 통한 동영상 학습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 동영상 학습은 시간과 장소에 구속되지 않고 수준 높은 교육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인터넷 학습 서비스 제공 기술은 강의를 위한 VOD 또는 사용자에 의해 편집될 수 있는 학습 계획표를 제공하는 것이 주류를 이루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동영상 학습을 제공한 후, 사용자가 특정 부분을 다시 보고 싶어하는 경우, 해당 부분을 용이하게 찾아주기 위하여 동영상마다 북마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단순히 강의 동영상이나 학습 계획표만을 제공하므로 학습자의 체계적인 학습에 도움이 되지 못하였으며, 동영상마다 북마크가 관리되므로 사용자가 동영상마다 하나하나 접근을 하여 북마크 정보를 확인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테스트 등을 통해 기억 지수를 관리하고, 기억 지수에 따라 과거 학습했던 내용을 제공하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으나, 단순히 테스트를 통해 기억 지수를 관리하므로 시간 경과에 따른 망각 효과를 고려하지 않아 충분한 복습 효과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학습 계획표 등을 이용하여 학습자가 강의 동영상, 복습을 위한 요약노트, 북마크 정보 등을 요청하고, 요청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며, 특히 복습 횟수에 따라 기간이 증가하는 복습 주기에 따라 복습용 요약 노트를 제공하여 체계적인 학습 관리를 할 수 있는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하나의 북마크 정보에서 사용자가 모든 북마크를 확인할 수 있는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학습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학습 컨텐츠 제공부, 상기 제공된 학습 컨텐츠에 대한 복습 컨텐츠를 미리 설정된 복습 컨텐츠 제공 주기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복습 컨텐츠 제공부 및 상기 학습 컨텐츠에 대하여 설정된 북마크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북마크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습 컨텐츠 제공 주기는 상기 복습 컨텐츠의 제공 횟수에 비례하여 증가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북마크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학습 컨텐츠에 대해 등록된 하나 이상의 북마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있어서, 상기 학습 컨텐츠 제공부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학습 계획 정보 및 상기 학습 계획 정보에 대응하는 강의 컨텐츠의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계획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학습 계획 처리 모듈 및 상기 학습 계획 데이터에 포함된 강의 컨텐츠의 링크 정보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강의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강의 컨텐츠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있어서, 상기 복습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강의 컨텐츠 또는 상기 복습 컨텐츠의 제공 정보를 이용하여 복습 컨텐츠의 제공 일정을 설정하는 복습 일정 관리 모듈 및 상기 학습 계획 데이터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요청된 복습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복습 컨텐츠 제공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a) 사용자 단말에 학습 계획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학습 계획 데이터를 통해 강의 컨텐츠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요청된 강의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d) 상기 강의 컨텐츠의 제공 이후 복습 컨텐츠 제공 주기에 따라 복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습 컨텐츠 제공 주기는 상기 복습 컨텐츠의 제공 횟수에 따라 증가하는 것인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 학습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학습 계획 데이터를 통하여 사용자가 강의 컨텐츠, 복습 컨텐츠 및 북마크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고, 특히 복습 컨텐츠 제공 횟수에 따라 증가하는 복습 주기를 기준으로 복습 컨텐츠가 제공하므로, 인간의 망각 주기에 따라 복습 컨텐츠를 제공하여 기존의 암기하고 망각하는 획일화된 학습방법을 지양하고 단기기억을 장기기억으로 전환시켜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북마크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강의 컨텐츠에 대한 하나 이상의 북마크 정보를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자신이 설정한 북마크를 한번에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학습 컨텐츠를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학습 컨텐츠가 제공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10)은 유무선 인터넷 망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 예를 들어 IPTV 셋탑박스(20), 노트북(30) 등과 연결된다.
사용자 단말(20 내지 30)은 인터넷 포털 서버 또는 IPTV 서버 등을 통하거나 또는 직접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10)로 학습 컨텐츠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10)은 사용자의 학습 컨텐츠 제공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하는 학습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20 내지 30)에 제공할 수 있다.
학습 컨텐츠는 강의 동영상뿐만 아니라 복습용 컨텐츠로써 요약 노트, 각 강의 동영상에 설정된 북마크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 내지 30)을 이용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인터넷 포털 서버 또는 IPTV 서버 등에 로그인 등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10)에 학습 컨텐츠 제공을 요청하거나 또는 직접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10)에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학습 컨텐츠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10)은 학습 컨텐츠 제 공부(100), 복습 컨텐츠 제공부(200), 북마크 정보 제공부(300), 학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400), 복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500) 및 북마크 정보 데이터베이스(600)을 포함한다.
학습 컨텐츠 제공부(100)는 사용자로부터 학습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받은 학습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도시 생략)로 제공한다. 학습 컨텐츠 제공부(100)에 의해 제공되는 학습 컨텐츠는 학습 계획 컨텐츠, 강의 동영상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학습 컨텐츠 제공부(100)는 사용자 단말(도시 생략)에 의해 설정된 학습 계획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별 학습 계획 컨텐츠를 생성하고, 학습 계획 컨텐츠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된 강의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학습 컨텐츠 제공부(100)는 사용자 단말로 제공된 강의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복습 컨텐츠 제공부(200)로 제공하며, 사용자에 의해 강의 동영상에 대해 요청된 북마크의 정보를 북마크 정보 제공부(300)로 제공한다.
복습 컨텐츠 제공부(20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복습 컨텐츠 요청에 응답하여 요청된 시기에 대응되는 복습 컨텐츠를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도시 생략)에 제공한다.
복습 컨텐츠 제공부(200)는 학습 컨텐츠 제공부(100)로부터 사용자에게 제공된 강의 동영상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습 일정 데이터를 갱신한다. 복습 일정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강의에 대한 복습 일정 정보를 포함한다.
복습 컨텐츠 제공부(200)는 사용자의 복습 컨텐츠 요청에 응답하여 복습 일 정 정보에 따라 복습 대상이 되는 강의의 복습 컨텐츠, 예를 들어 요약 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복습 컨텐츠 제공부(200)는 사용자에게 복습 컨텐츠를 제공하고 복습 일정 데이터에서 복습 컨텐츠가 제공된 강의의 복습 일정을 갱신하여 해당 강의의 복습 일정을 변경할 수 있다. 복습 일정은 해당 강의의 복습 횟수에 따라 다른 주기로 갱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강의를 처음 학습한 경우, 이후 복습 일정은 학습일로부터 3일 후로 갱신될 수 있으며, 1회 복습한 경우 이후 2회 복습 일정은 1회 복습일로부터 7일 후로 갱신될 수 있으며, 이후 순차적으로 15일, 30일 등의 간격으로 복습 일정 주기가 갱신될 수 있다.
'에빙하우스의 망각 곡선'에 따르면 인간의 기억은 시간에 반비례하고, 감소하는 기억을 장기 기억으로 영구히 보존하기 위해서는 망각곡선의 주기에 따라서 적절한 시점에 적절한 반복이 중요하다고 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복습 횟수, 즉 복습 컨텐츠 제공 횟수에 따라 복습 컨텐츠 제공 주기가 제공되면, 망각곡선의 주기에 따라 적절한 시점에 복습 컨텐츠를 제공하여 학습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북마크 정보 제공부(300)는 학습 컨텐츠 제공부(100)로부터 북마크 생성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된 강의 동영상 컨텐츠의 특정 부분에 대한 북마크 데이터를 생성한다.
북마크 정보 제공부(30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북마크 정보의 제공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모든 북마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북마크 정보 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북마크에 대응하는 강의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링크도 또한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학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400)는 강의 동영상 컨텐츠 및 학습 계획 컨텐츠를 저장하며, 복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500)는 복습 일정 데이터, 복습 컨텐츠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또한, 북마크 정보 데이터베이스(60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생성된 북마크 데이터 및 북마크에 따른 링크 정보 등을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컨텐츠 제공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컨텐츠 제공부(100)는 학습 계획 처리 모듈(110), 강의 컨텐츠 처리 모듈(120) 및 학습 컨텐츠 관리 모듈(130)를 포함한다.
학습 계획 처리 모듈(110)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 고유한 학습 계획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학습 계획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 학습 계획 데이터는 도 8에 도시된 학습 계획표(800)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학습 계획표(800)는 사용자에 의해 구성된 시간별 학습 계획을 포함하며, 시간별 학습 계획은 구체적으로 시간별로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강의의 내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계획표(800)는 오후 6시 내지 6시 35분에 '영어독해'(810), 오후 6시 40분 내지 7시에 '리스닝'(820), 오후 8시 내지 8시 45분에 '수학'(830), 오후 10시 내지 11시에 '복습'(840)과 같이 시간 별 학습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학습 계획표(800)는 시간별 학습 내용과 함께 해당 학습에 관련한 학습 컨텐츠, 복습 컨텐츠 또는 북마크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계획표(800)에 포함된 '영어독해'(810) 부분은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아이콘 등의 버튼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특정 버튼부, 예를 들어 '영어독해'(810)를 선택하면 '영어독해'에 해당하는 학습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학습 계획표(800)에 별도로 위치한 '북마크 보기' 버튼부(850)를 선택하여 북마크 정보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처럼 학습 계획 처리 모듈(110)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마다 고유한 학습 계획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학습 계획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사용자의 변경 요청이 있는 경우 이에 따라 생성된 학습 계획 데이터를 변경한다.
강의 컨텐츠 처리 모듈(120)은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강의 컨텐츠를 학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400)로부터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 강의 컨텐츠 처리 모듈(120)은 강의 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에게 해당 강의 컨텐츠의 제공 요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인증하고,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에게 요청된 강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강의 컨텐츠 처리 모듈(120)은 사용자에게 제공된 학습 계획표(800)를 통해 강의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학습 계획표(800)에 포함된 각각의 강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버튼부가 선택되면, 선택된 버튼부에 대응 하는 강의 컨텐츠에 대한 제공 요청이 강의 컨텐츠 처리 모듈(120)로 전송된다.
강의 컨텐츠 처리 모듈(120)은 이처럼 사용자 단말에 제공된 학습 계획표를 통해 강의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된 강의 컨텐츠를 학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400)에서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 강의 컨텐츠는 동영상 컨텐츠, 오디오 컨텐츠 또는 텍스트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학습 컨텐츠 관리 모듈(130)은 사용자에게 제공된 강의 컨텐츠에 대해 제공 일자 등 강의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학습 시기 정보를 복습 컨텐츠 제공부(200)로 전송한다. 복습 컨텐츠 제공부(200)로 전송한 학습 시기 정보는 복습 컨텐츠 제공부(200)에 의해 제공되는 복습 컨텐츠의 선택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학습 컨텐츠 관리 모듈(130)은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북마크 생성 요청 정보를 북마크 정보 제공부(300)로 제공할 수 있다. 북마크 생성 요청 정보는 사용자 정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북마크 명칭, 강의 컨텐츠 정보, 북마크가 설정될 강의 컨텐츠 내의 시간 정보, 북마크 생성 요청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습 컨텐츠 제공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습 컨텐츠 제공부(200)는 복습 일정 관리 모듈(210) 및 복습용 컨텐츠 제공 모듈(220)을 포함한다.
복습 일정 관리 모듈(210)은 학습 컨텐츠 제공부(100)로부터 특정 강의 컨텐츠에 대한 학습 시기 정보, 즉 강의 컨텐츠의 제공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강의 컨텐츠에 대한 복습 일정 정보를 생성하여 복습 일정 데이터에 이를 포함한다. 복습 일정 관리 모듈(210)은 사용자별로 복습 일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복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사용자별 복습 일정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강의 컨텐츠에 대한 복습 일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가 '영어독해', '리스닝', '수학'의 강의 컨텐츠를 학습한 경우, 복습 일정 관리 모듈(210)은 제 1 사용자에 대하여 3개의 강의 컨텐츠에 대한 복습 일정 정보를 생성하고 제 1 사용자에 대응하는 복습 일정 데이터에 생성한 복습 일정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복습 일정 관리 모듈(210)은 강의 컨텐츠의 학습 시기 또는 복습 시기로부터 미리 설정된일정한 기간이 경과한 일자에 해당 강의에 대한 복습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복습 일정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복습 컨텐츠 제공 주기가 복습 횟수에 따라 1일, 3일, 10일, 30일, 90일로 증가하도록 설정된 경우, 강의 컨텐츠 학습 시기로부터 1일 후에 복습 컨텐츠가 1차로 제공되고, 복습 컨텐츠가 1차 제공된 시기로부터 3일 후에 2차 제공되며, 2차 제공된 시기로부터 10일 후에 복습 컨텐츠의 3차 제공이 수행되도록 복습 일정 관리 모듈(210)은 복습 일정, 즉 복습 컨텐츠의 제공 일정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복습 횟수가 0회인 경우, 복습 컨텐츠 제공 주기는 1일이 되고, 복습 횟수가 1회, 2회, 3회일 때 복습 컨텐츠 제공 주기는 각각 3일, 10일, 30일이 될 수 있다.
복습 일정 관리 모듈(210)은 복습 컨텐츠의 제공 횟수에 따라 복습 컨텐츠 제공 주기도 동시에 증가시켜 복습 일정을 설정하므로, 반복 학습에 따라 사용자가 학습 내용을 기억할 수 있는 기간이 증가하는 상황을 반영하여 적절한 시기에 복습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한다.
복습용 컨텐츠 제공 모듈(220)은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복습 컨텐츠 제공 요청에 응답하여 복습 일정 데이터로부터 제공 대상이 되는 복습용 컨텐츠의 정보, 예를 들어 복습용 컨텐츠의 식별 정보 등을 획득한다. 복습용 컨텐츠 제공 모듈(220)은 획득한 복습용 컨텐츠의 정보를 이용하여 복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500)로부터 복습용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복습용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복습용 컨텐츠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번호 필드(f10), 제목 필드(f20), 복습 횟수 필드(f30), 생성 일자 필드(f40), 예상 복습 일자 필드(f50) 및 링크 정보 필드(f60)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레코드 타입을 이용하여 관리될 수 있다.
관리 번호 필드(f10)는 각각의 복습용 컨텐츠에 고유한 관리 번호를 포함하며, 제목 필드(f20)는 복습용 컨텐츠의 명칭을 포함한다. 복습용 컨텐츠의 명칭은 복습용 컨텐츠 제공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복습 횟수 필드(f30)는 복습용 컨텐츠가 사용자에게 제공된 횟수가 기록된다. 복습 횟수는 이후 복습용 컨텐츠가 제공되는 주기를 결정하는 것에 이용될 수 있다. 생성 일자 필드(f40)는 복습용 컨텐츠에 대응하는 강의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일자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며, 예상 복습 일자 필드(f50)는 강의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에 제공된 시기 또는 복습용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에 제공된 시 기와 복습용 컨텐츠 제공 주기에 따라 복습용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에 제공될 예정일 시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링크 정보 필드(f60)는 관리 번호 필드(f10)에 기록된 관리 번호에 대응되는 복습용 컨텐츠의 링크 정보를 포함한다.
복습용 컨텐츠는 요약노트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요약 노트 등의 복습용 컨텐츠는 강의 컨텐츠 제공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복습용 컨텐츠 제공 모듈(220)은 학습 컨텐츠 제공부(100)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제공된 학습 계획표를 통해 복습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학습 계획표에 포함된 복습용 컨텐츠에 대응하는 버튼부, 예를 들어 도 8의 '복습' 버튼부(840)가 선택되면, 복습용 컨텐츠에 대한 제공 요청이 복습용 컨텐츠 제공 모듈로 전송된다.
복습용 컨텐츠 제공 모듈(220)은 이처럼 사용자 단말에 제공된 학습 계획표를 통해 복습용 컨텐츠의 요청을 수신하고, 복습 일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습용 컨텐츠를 복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500)에서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 복습용 컨텐츠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관리자에 의해 생성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직접 생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북마크 정보 제공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북마크 정보 제공부(300)는 북마크 처리 모듈(310), 북마크 요청 수신 모듈(320) 및 북마크 컨텐츠 제공 모듈(330)을 포함한다.
북마크 처리 모듈(310)은 학습 컨텐츠 제공부(100)로부터 북마크 생성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북마크 생성 요청 정보에 따라 북마크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미리 생성된 북마크 데이터를 수정하고, 생성하거나 수정한 북마크 데이터를 북마크 정보 데이터베이스(600)에 저장한다.
북마크 데이터는 각각의 사용자마다 하나 이상의 강의 컨텐츠에 대한 하나 이상의 북마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북마크 데이터는 사용자마다 생성되며 각 북마크 데이터는 다양한 강의 컨텐츠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설정 요청된 북마크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북마크 데이터는 북마크 명칭, 북마크가 설정된 강의 컨텐츠의 명칭, 강좌 명칭, 학습 시기, 북마크 생성 시기, 북마크 링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북마크 처리 모듈(310)은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에 대응하는 북마크 데이터를 북마크 정보 데이터베이스(600)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북마크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
북마크 데이터는 도 9에 도시된 북마크 정보 제공 표(900)와 같은 형식으로 사용자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북마크 정보 제공 표(900)에서 '제목' 필드(91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북마크의 명칭이며, '과목명'(920), '강좌 제목'(930), 'VOD 제목'(940)의 필드는 북마크가 등록된 강의 컨텐츠의 정보를 나타낸다.
'해당 동영상 링크' 필드(970)는 북마크가 등록된 강의 컨텐츠와 링크된 버튼부(971)를 포함하며, 사용자에 의해 버튼부(971)가 선택되면 북마크가 등록된 강의 컨텐츠가 북마크가 등록된 부분부터 사용자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요약노트 링크' 필드(980)는 북마크가 등록된 강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복습 컨텐츠와 링크된 버튼부(981)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 동영상 링크' 필드(970)의 버튼부(971)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에 의해 '해당 요약노트 링크' 필드(980)의 버튼부(981)가 선택되면 북마크가 등록된 강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복습 컨텐츠, 예를 들면 해당 강의의 요약노트가 사용자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북마크 요청 수신 모듈(320)은 사용자 단말(도시 생략)로부터 북마크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한 북마크 정보 제공 요청을 북마크 처리 모듈(310)로 전송한다. 또한, 북마크 요청 수신 모듈(320)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북마크된 강의 컨텐츠의 제공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한 북마크 강의 컨텐츠 제공 요청을 북마크 컨텐츠 제공 모듈(330)로 제공한다.
북마크 컨텐츠 제공 모듈(330)은 사용자가 요청한 북마크된 강의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 북마크 컨텐츠 제공 모듈(330)은 직접 북마크된 강의 컨텐츠를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거나 또는 북마크 정보 데이터베이스(600)로부터 북마크된 강의 컨텐츠의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에 북마크 강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북마크 컨텐츠 제공 모듈(330)은 북마크된 강의 컨텐츠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저장 경로 등을 북마크 정보 데이터베이스(600)로부터 검색하고, 검색한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400)로부터 직접 북마크된 강의 컨텐츠를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북마크 컨텐츠 제공 모듈(330)은 사용자가 요청한 북마크에 대한 링크 정보를 북마크 정보 데이터베이스(600)에 서 검색하고, 검색한 북마크 링크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은 북마크 링크를 이용하여 북마크된 강의 컨텐츠와 연결하여 북마크 강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컨텐츠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S105)에서,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에 학습 계획 데이터, 예를 들어 학습 계획표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학습 계획 데이터는 강의 컨텐츠, 복습 컨텐츠 또는 북마크 데이터의 제공을 사용자가 요청할 수 있는 버튼 등의 컨텐츠 요청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10)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한다. 컨텐츠 제공 요청 신호는 학습 계획 데이터에 포함된 컨텐츠 요청 메뉴를 통해 생성될 수 있다.
단계(S115)에서, 단계(S110)에서 수신한 컨텐츠 제공 요청 신호에 따라 요청된 컨텐츠의 종류를 판단한다. 즉, 학습 계획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가 요청할 수 있는 컨텐츠는 강의 컨텐츠, 복습 컨텐츠 또는 북마크 데이터를 포함하므로, 단계(S110)에서 요청된 컨텐츠가 강의 컨텐츠, 복습 컨텐츠 또는 북마크 데이터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120)에서는, 단계(S115)에서 강의 컨텐츠가 요청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요청된 강의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S110)에서 수신한 컨텐츠 요청은 요청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 즉 강의 컨텐츠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처럼 컨텐츠 요청을 분석하여 강의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S125)에서는, 단계(S120)에서 획득한 강의 컨텐츠 정보에 대응하는 강의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 제공되는 강의 컨텐츠는 동영상 컨텐츠, 오디오 컨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동영상 또는 오디오와 함께 텍스트 컨텐츠가 동시에 제공될 수 있다.
단계(S130)에서는, 단계(S115)에서 복습 컨텐츠가 요청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에게 제공될 복습 컨텐츠를 검색한다. 즉, 사용자 별로 생성된 복습 일정 데이터를 분석하고, 복습 컨텐츠가 요청된 시기에 복습이 계획된 복습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한다.
예를 들어, 2009년 12월 1일에 복습 컨텐츠 제공이 요청된 경우, 복습 일정 데이터로부터 2009년 12월 1일에 복습이 계획된 강의인 '영어독해'의 정보를 획득하고, '영어독해'의 복습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습 일정은 학습 시기 및 복습 횟수에 따라 증가하는 복습 컨텐츠 제공 주기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이렇게 설정된 복습 일정에 따라 복습 컨텐츠가 검색된다.
단계(S135)에서, 단계(S130)에서 검색된 복습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복습 컨텐츠는 요약 노트 형식의 텍스트 파일일 수 있으며, 강의 컨텐츠의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직접 작성하여 등록할 수 있다.
단계(S130)에서 검색된 복습 컨텐츠가 복수 개인 경우, 즉 위의 예시에서 2009년 12월 1일에 복습이 계획된 강의가 '영어독해'뿐만 아니라 '수학'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 복수 개의 복습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습 컨텐츠는 학습 시기 등의 일정한미리 설정된 기준 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결정된 순서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단계(S140)에서는, 단계(S135)에서 제공된 복습 컨텐츠에 대한 관리 정보를 수정하여 저장한다. 즉, 사용자 단말로 제공된 복습 컨텐츠의 복습 일정을 갱신하고 저장한다. 단계(S135)에서 복습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에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의 복습 횟수가 변경되며, 이에 따라 제공된 복습 컨텐츠의 복습 일정도 변경된다.
예를 들어, 복습 횟수가 0회, 1회, 2회, 3회, 4회일 때의 복습 컨텐츠 주기가 각각 1일, 3일, 10일, 30일, 90일이며 단계(S135)에서 '영어독해'의 복습 컨텐츠가 총 1회 제공된 것인 경우, '영어독해'의 복습 컨텐츠의 다음 제공 주기는 3일이 된다. 따라서, '영어독해'의 복습 컨텐츠의 이후 복습 일정은 3일 후인 2009년 12월 4일로 변경되어 저장된다.
단계(S145)에서는, 단계(S115)에서 북마크 정보가 요청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S105)에서 제공된 학습 계획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생성된 북마크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
북마크 데이터는 각각의 사용자 마다 생성되며, 하나 이상의 강의 컨텐츠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북마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북마크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은 북마크된 강의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으며, 북마크된 강의 컨텐츠에 대한 복습 컨텐츠, 예를 들어 해당 강의의 요약 노트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S150)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계(S145)에서 제공된 북마크 데이터를 통해 북마크 관련 컨텐츠의 요청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북마크 관련 컨텐츠는 북마크가 등록된 강의 컨텐츠 또는 북마크가 등록된 강의 컨텐츠에 대한 복습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55)에서는, 단계(S150)에서 북마크 관련 컨텐츠의 요청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된 컨텐츠, 예를 들어 북마크가 등록된 강의 컨텐츠 또는 이와 관련된 복습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 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학습 컨텐츠가 제공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컨텐츠 제공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습 컨텐츠 제공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북마크 정보 제공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컨텐츠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복습용 컨텐츠의 데이터베이스 레코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계획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북마크 정보 제공표를 도시한 도면.

Claims (10)

  1.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학습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학습 컨텐츠 제공부,
    상기 제공된 학습 컨텐츠에 대한 복습 컨텐츠를 미리 설정된 복습 컨텐츠 제공 주기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복습 컨텐츠 제공부 및
    상기 학습 컨텐츠에 대하여 설정된 북마크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북마크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습 컨텐츠 제공 주기는 상기 복습 컨텐츠의 제공 횟수에 비례하여 증가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북마크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학습 컨텐츠에 대해 등록된 하나 이상의 북마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컨텐츠 제공부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학습 계획 정보 및 상기 학습 계획 정보에 대응하는 강의 컨텐츠의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계획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학습 계획 처리 모듈 및
    상기 학습 계획 데이터에 포함된 강의 컨텐츠의 링크 정보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강의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강의 컨텐츠 처리 모듈
    을 포함하는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습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강의 컨텐츠 또는 상기 복습 컨텐츠의 제공 정보를 이용하여 복습 컨텐츠의 제공 일정을 설정하는 복습 일정 관리 모듈 및
    상기 학습 계획 데이터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요청된 복습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복습 컨텐츠 제공 모듈
    을 포함하는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습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생성되어 상기 강의 컨텐츠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것인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북마크 제공부는
    상기 북마크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북마크 처리 모듈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된 상기 북마크 데이터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북마크 데이터에 등록된 북마크에 대응하는 강의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북마크 컨텐츠 제공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인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6.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 학습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에 학습 계획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학습 계획 데이터를 통해 강의 컨텐츠, 복습 컨텐츠 또는 북마크 데이터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요청된 강의 컨텐츠, 복습 컨텐츠 또는 북마크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d) 상기 강의 컨텐츠의 제공 이후 복습 컨텐츠 제공 주기에 따라 복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습 컨텐츠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 경우 미리 설정된 복습 컨텐츠 제공 주기에 따라 복습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복습 컨텐츠 제공 주기는 상기 복습 컨 텐츠의 제공 횟수에 따라 증가하는 것인 학습 컨텐츠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북마크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학습 컨텐츠에 대해 등록된 하나 이상의 북마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학습 컨텐츠 제공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계획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학습 계획 정보 및 상기 학습 계획 정보에 대응하는 강의 컨텐츠의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학습 컨텐츠 제공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복습 컨텐츠에 대한 요청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복습 컨텐츠 제공 주기에 따라 제공 대상이 되는 복습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c2) 상기 검색된 복습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c3) 상기 제공된 복습 컨텐츠의 제공 횟수 정보를 수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수정된 제공 횟수 정보에 의해 상기 제공된 복습 컨텐츠의 이후의 제공 시기가 설정되는 것인 학습 컨텐츠 제공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d) 상기 제공된 북마크 데이터에 등록된 북마크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등록된 북마크에 대응하는 강의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학습 컨텐츠 제공 방법.
KR1020090127501A 2009-12-18 2009-12-18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706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501A KR20110070625A (ko) 2009-12-18 2009-12-18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501A KR20110070625A (ko) 2009-12-18 2009-12-18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625A true KR20110070625A (ko) 2011-06-24

Family

ID=44402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501A KR20110070625A (ko) 2009-12-18 2009-12-18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062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003B1 (ko) * 2013-06-13 2014-04-18 소재구 학습 습관 형성을 위한 학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43792A (ko) 2019-03-19 2019-12-31 (주)인더스트리미디어 학습 콘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200116186A (ko) 2019-03-14 2020-10-12 (주)인더스트리미디어 수업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210017478A (ko) * 2019-08-08 2021-02-17 고나연 예습과 복습을 통한 학습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120761A (ko) 2022-02-10 2023-08-17 주식회사 빌리브커머스 메타휴먼을 이용한 메타버스에서의 교육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003B1 (ko) * 2013-06-13 2014-04-18 소재구 학습 습관 형성을 위한 학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16186A (ko) 2019-03-14 2020-10-12 (주)인더스트리미디어 수업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190143792A (ko) 2019-03-19 2019-12-31 (주)인더스트리미디어 학습 콘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210017478A (ko) * 2019-08-08 2021-02-17 고나연 예습과 복습을 통한 학습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120761A (ko) 2022-02-10 2023-08-17 주식회사 빌리브커머스 메타휴먼을 이용한 메타버스에서의 교육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38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capability constraint generation
US11250721B2 (en) Integrated student-growth platform
US9110950B2 (en) Expert locator based on user polling
US20210216560A1 (en) User customised search engine using machine learn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readability analysis
KR20110070625A (ko)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90378092A1 (en) Lifelong employment records including competency data and methods of forming same
Carter et al. Essential skills and knowledge for troubleshooting e-resources access issues in a web-scale discovery environment
JP2013235238A (ja) 学習支援システム
CN110490781A (zh) 一种基于云平台的ppt备授课系统及方法
Nash et al. Moodle 3 E-Learning Course Development: Create highly engaging and interactive e-learning courses with Moodle 3
Moisa Adaptive learning management system
US11017682B2 (en) Generating customized learning paths
Buchner Moodle 4 Administration: An administrator's guide to configuring, securing, customizing, and extending Moodle
KR101527741B1 (ko) 온라인 보팅 및 퀴즈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55372A (ko) 시간 속성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마이크로 러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학습 컨텐츠 관리 방법
JP2005084176A (ja) 学習システム
Firmansyah et al. Improvement Google Classroom Feature to Make It More Comfortable to Use with Google App Script
Patel et al. Smart attendance application using android and php
CHIBUEZE DEVELOPMENT OF A WEB-BASED STUDENT PROJECT MANAGEMENT SYSTEM
CN117853287A (zh) 一种用于碳排放管理教学的培训系统及其使用方法
Odijk The CLARIN infrastructure in the Netherlands: What is it and how can you use it?
Reefman et al. DESIGN REPORT
Murphy Mental Health Advisor: Project Report
Walden A Guide to Writing and Tracking Meaningful Individualized Service Plans
Case et al. Improving the computer science pipeline for underrepresented grou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