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8881A - 투명 전도성층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투명 전도성 필름 - Google Patents
투명 전도성층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투명 전도성 필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68881A KR20110068881A KR1020100126886A KR20100126886A KR20110068881A KR 20110068881 A KR20110068881 A KR 20110068881A KR 1020100126886 A KR1020100126886 A KR 1020100126886A KR 20100126886 A KR20100126886 A KR 20100126886A KR 20110068881 A KR20110068881 A KR 2011006888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parent conductive
- conductive layer
- forming
- carbon nanotubes
- carb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5—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F77/20—Electrodes
- H10F77/244—Electrodes made of transparent conductive layers, e.g.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투명 전도성층 형성 방법을 이용하여 전기전도성 및 투과도가 우수한 투명 전도성층을 얻을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투명 전도성 필름 등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형성된 투명 전도성층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 은 실시예 4 및 비교예 4 에서 제조된 투명 전도성 필름의 디지털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는 실시예 4 및 비교예 4 에서 제조된 투명 전도성 필름의 파장에 따른 투과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 탄소 나노 입자 | 바인더 수지1 ) |
광중합 개시제2 ) |
용매 (PGMEA) |
패턴 간격 (㎛) |
고정부/ 비고정부 |
||||
종류 | 길이 (㎛) |
직경 (nm) |
종횡비 (길이/직경) |
함량 (중량부) |
||||||
1 | MWCNTs | 3 | 17 | 176 | 0.1 | 30 | 3 | 잔량 | 20 | 20/80 |
2 | MWCNTs | 3 | 17 | 176 | 0.3 | 30 | 3 | 잔량 | 20 | 20/80 |
3 | MWCNTs | 3 | 17 | 176 | 0.5 | 30 | 3 | 잔량 | 20 | 20/80 |
4 | MWCNTs | 3 | 17 | 176 | 1.0 | 30 | 3 | 잔량 | 20 | 20/80 |
5 | MWCNTs | 12 | 18 | 666 | 0.1 | 30 | 3 | 잔량 | 20 | 20/80 |
6 | MWCNTs | 12 | 18 | 666 | 0.3 | 30 | 3 | 잔량 | 20 | 20/80 |
7 | MWCNTs | 12 | 18 | 666 | 0.5 | 30 | 3 | 잔량 | 20 | 20/80 |
8 | MWCNTs | 12 | 18 | 666 | 1.0 | 30 | 3 | 잔량 | 20 | 20/80 |
9 | TWCNTs | 5 | 3 | 1666 | 0.3 | 30 | 3 | 잔량 | 20 | 20/80 |
10 | SWCNTs | 3 | 1 | 3000 | 0.3 | 30 | 3 | 잔량 | 20 | 20/80 |
11 | MWCNTs | 3 | 17 | 176 | 0.5 | 30 | 3 | 잔량 | 20 | 5/95 |
12 | MWCNTs | 3 | 17 | 176 | 0.5 | 30 | 3 | 잔량 | 10 | 20/80 |
13 | MWCNTs | 3 | 17 | 176 | 0.5 | 30 | 3 | 잔량 | 30 | 20/80 |
14 | MWCNTs/ TWCNTs |
3/5 | 17/3 | - | 0.25/0.25 | 30 | 3 | 잔량 | 20 | 20/80 |
15 | TWCNTs/ Graphene3 ) |
5 | 3 | - | 0.25/0.25 | 30 | 3 | 잔량 | 30 | 20/80 |
16 | Graphene3 ) | - | - | - | 0.5 | 30 | 3 | 잔량 | 20 | 20/80 |
실시예 | 탄소 나노 튜브 | 바인더 수지1 ) |
광중합 개시제2 ) |
용매 (PGMEA) |
패턴 간격 (㎛) |
고정부/ 비고정부 |
||||
종류 | 길이 (㎛) |
직경 (nm) |
종횡비 (길이/직경) |
함량 (중량부) |
||||||
17 | MWCNTs | 3 | 17 | 176 | 0.5 | 30 | 3 | 잔량 | 50 | 20/80 |
18 | MWCNTs | 3 | 17 | 176 | 0.5 | 30 | 3 | 잔량 | 20 | 95/5 |
19 | MWCNTs | 20 | 17 | 1176 | 0.3 | 30 | 3 | 잔량 | 20 | 20/80 |
20 | TWCNTs | 10 | 3 | 3333 | 0.3 | 30 | 3 | 잔량 | 20 | 20/80 |
21 | SWCNTs | 6 | 1 | 6000 | 0.3 | 30 | 3 | 잔량 | 20 | 20/80 |
22 | SWCNTs | 0.1 | 1 | 100 | 0.3 | 30 | 3 | 잔량 | 20 | 20/80 |
비교예 | 탄소 나노 입자 | 바인더 수지1 ) |
광중합 개시제2 ) |
용매 (PGMEA) |
패턴 간격 (㎛) |
고정부/ 비고정부 |
||||
종류 | 길이 (㎛) |
직경 (nm) |
종횡비 (길이/직경) |
함량 (중량부) |
||||||
1 | MWCNTs | 3 | 17 | 176 | 0.1 | 30 | 3 | 잔량 | - | 100/0 |
2 | MWCNTs | 3 | 17 | 176 | 0.3 | 30 | 3 | 잔량 | - | 100/0 |
3 | MWCNTs | 3 | 17 | 176 | 0.5 | 30 | 3 | 잔량 | - | 100/0 |
4 | MWCNTs | 3 | 17 | 176 | 1.0 | 30 | 3 | 잔량 | - | 100/0 |
5 | Graphene3 ) | - | - | - | 0.5 | 30 | 3 | 잔량 | - | 100/0 |
전도성(Ω/㎠) | 투과도(%, 550 nm) | |
비교예1 | 1011 | 90 |
비교예2 | 108 | 80 |
비교예3 | 105 | 76 |
비교예4 | 2,200 | 70 |
비교예5 | 30,000 | 88 |
실시예1 | 1011 | 95 |
실시예2 | 106 | 90 |
실시예3 | 23,000 | 85 |
실시예4 | 1,500 | 75 |
실시예5 | 1010 | 88 |
실시예6 | 106 | 85 |
실시예7 | 10,000 | 75 |
실시예8 | 1,000 | 65 |
실시예9 | 38,000 | 95 |
실시예10 | 500 | 95 |
실시예11 | 23,000 | 91 |
실시예12 | 20,000 | 86 |
실시예13 | 83,000 | 87 |
실시예14 | 800 | 93 |
실시예15 | 400 | 92 |
실시예16 | 1800 | 93 |
실시예17 | 150,000 | 88 |
실시예18 | 105 | 77 |
실시예19 | 107 | 81 |
실시예20 | 105 | 90 |
실시예21 | 8000 | 91 |
실시예22 | 38,000 | 90 |
Claims (13)
- 기판 상에 탄소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투명 전도성 조성물을 코팅하여 전도성 막을 형성하는 코팅 단계;
상기 전도성 막에 마스크를 개재하고 선택적으로 경화하여 고정부와 비고정부를 형성하는 패턴 형성 단계; 및
상기 패턴이 형성된 전도성 막을 현상하여 비고정부를 제거함으로써 비고정부내의 탄소 나노 입자를 표면으로 노출시키는 탄소 나노 입자 노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도성층 형성 방법. -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 입자는 탄소 나노 튜브 및 그라핀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도성층 형성 방법. -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패턴 형성 단계에서 고정부와 비고정부의 비율이 90:10 내지 5:9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도성층 형성 방법. -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패턴 형성 단계에서 고정부 사이의 이격된 간격이 상기 탄소 나노 튜브의 길이에 대하여 100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도성층 형성 방법. -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패턴 형성 단계에서 경화가 열 경화 또는 광 경화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도성층 형성 방법. -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 입자가 투명 전도성 조성물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도성층 형성 방법. -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 입자가 투명 전도성 조성물의 고형분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도성층 형성 방법. -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 튜브가 종횡비(길이/직경)가 1000이하인 다중벽 탄소 나노 튜브, 종횡비가 3000이하인 얇은벽 탄소 나노 튜브 및 종횡비가 5000이하인 단일벽 탄소 나노 튜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도성층 형성 방법. -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 튜브의 길이가 1 내지 15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도성층 형성 방법. -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 튜브의 직경이 1 내지 20 n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도성층 형성 방법. -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 튜브가 산(acid)처리하여 카르복실 그룹을 도입하고 이를 2000 ℃까지 열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도성층 형성 방법. -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유리 또는 투명 고분자 필름일 수 있으며,
상기 투명 고분자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설폰, 아크릴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도성층 형성 방법.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의 투명 전도성층 형성 방법으로 형성된 전도성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도성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5022 | 2009-12-15 | ||
KR20090125022 | 2009-12-1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68881A true KR20110068881A (ko) | 2011-06-22 |
Family
ID=44401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26886A Ceased KR20110068881A (ko) | 2009-12-15 | 2010-12-13 | 투명 전도성층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투명 전도성 필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68881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42819A1 (ko) * | 2011-09-23 | 2013-03-28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그래핀 박막의 제조 방법 |
KR101321097B1 (ko) * | 2012-02-27 | 2013-10-23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탄소나노튜브 투명전극, 이의 제조 방법, 및 탄소나노튜브 투명전극용 코팅용액 |
KR20130135189A (ko) * | 2012-05-31 | 2013-12-1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도성 필름,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 필름의 제조방법 |
US9437823B2 (en) | 2011-09-23 | 2016-09-06 | Chung-Ang University Industry-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 Production device for a graphene thin film |
-
2010
- 2010-12-13 KR KR1020100126886A patent/KR20110068881A/ko not_active Ceas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42819A1 (ko) * | 2011-09-23 | 2013-03-28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그래핀 박막의 제조 방법 |
US9388050B2 (en) | 2011-09-23 | 2016-07-12 | Chung-Ang University Industry-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 Production method for a graphene thin film |
US9437823B2 (en) | 2011-09-23 | 2016-09-06 | Chung-Ang University Industry-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 Production device for a graphene thin film |
KR101321097B1 (ko) * | 2012-02-27 | 2013-10-23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탄소나노튜브 투명전극, 이의 제조 방법, 및 탄소나노튜브 투명전극용 코팅용액 |
KR20130135189A (ko) * | 2012-05-31 | 2013-12-1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도성 필름,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 필름의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75627B1 (ko) | 도전성 부재, 그 제조 방법, 터치 패널 및 태양 전지 | |
Giardi et al. | Inkjet printed acrylic formulations based on UV-reduced graphene oxide nanocomposites | |
KR101644680B1 (ko) | 도전성 부재, 그 제조 방법, 터치 패널 및 태양 전지 | |
KR102349263B1 (ko) | 금속 나노와이어 기반의 투명 전도성 코팅 | |
KR100869163B1 (ko) | 탄소나노튜브와 바인더를 함유하는 투명전도성 필름의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투명전도성 필름 | |
KR100779642B1 (ko) | 카본 나노튜브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 |
JP4653716B2 (ja) | 高導電性インク組成物および金属導電パターンの作製方法 | |
CN104205244B (zh) | 导电性组合物、导电性部件、导电性部件的制造方法、触摸屏和太阳能电池 | |
TWI692036B (zh) | 場效型電晶體的製造方法及無線通信裝置的製造方法 | |
KR101667129B1 (ko) | 도전성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40016331A (ko) | 도전성 부재, 도전성 부재의 제조 방법, 터치 패널 및 태양 전지 | |
KR20110119354A (ko) | 그라펜을 이용한 투명 대전방지 코팅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투명 대전방지 코팅 | |
CN104221098A (zh) | 导电性部件的制造方法、导电性部件、使用了该导电性部件的触控面板 | |
WO2012147815A1 (ja) | 導電性部材、その製造方法、タッチパネル及び太陽電池 | |
JP5646671B2 (ja) | 導電性部材、その製造方法、タッチパネル、及び太陽電池 | |
KR20110068881A (ko) | 투명 전도성층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투명 전도성 필름 | |
JP2013201004A (ja) | 導電性パターン部材、その製造方法、タッチパネル及び太陽電池 | |
JP2013200997A (ja) | 導電性部材、導電性部材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 | |
KR101306778B1 (ko) | 터치 패널용 미세 전극 패턴 구현을 위한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응용 | |
TWI479512B (zh) | 製備一具有一預定圖案奈米碳管膜的導電板的方法及具有一預定圖案奈米碳管膜的導電板 | |
WO2025057653A1 (ja) | 導電膜の製造方法、タッチパネル、ディスプレイパネ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1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7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12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04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10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4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12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711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7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705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5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4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12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6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