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8509A - 작동위치 검출부를 구비한 포펫형 체크밸브 조립체 - Google Patents

작동위치 검출부를 구비한 포펫형 체크밸브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8509A
KR20110068509A KR1020090125497A KR20090125497A KR20110068509A KR 20110068509 A KR20110068509 A KR 20110068509A KR 1020090125497 A KR1020090125497 A KR 1020090125497A KR 20090125497 A KR20090125497 A KR 20090125497A KR 20110068509 A KR20110068509 A KR 20110068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ppet
contact
fluid
check valve
val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5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0204B1 (ko
Inventor
문일윤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25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204B1/ko
Publication of KR20110068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41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valve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52Means for additional adjustment of the rate of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가 이동하는 배관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유체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체크밸브 조립체에 있어서, 일정 크기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밸브 몸체부; 상기 밸브 몸체부의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유체가 순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유체를 통과시키며, 상기 유체가 역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타측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배출구를 차단하여 상기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포펫; 상기 포펫의 외부면에 장착되며 도체의 재질로 형성된 접점 접촉부와, 상기 밸브 몸체부의 내부면에 장착되되 상기 포펫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접점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접점부를 포함하는 작동위치 감지부;를 포함하는 체크 밸브 조립체가 개시된다.
체크밸브, 배관, 유체

Description

작동위치 검출부를 구비한 포펫형 체크밸브 조립체{Poppet Type Check Valve Assembly Including Position Indicator}
본 발명은 유체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체크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체크밸브 내부에서 유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 이동하는 포펫의 위치를 감지하여, 체크밸브가 열리거나 닫힌 상태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는 작동위치 검출부를 구비한 포펫형 체크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크밸브(Check Valve)는, 유체가 이동하는 배관의 일측에 장착되어 유체의 역류에 따른 위험 방지와 기능 확보를 목적으로, 미리 정해진 일측 방향만의 유체의 이동을 허용하고 반대 방향의 흐름을 차단하는 밸브이다.
이러한 체크밸브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나, 그 중 포펫형(Poppet Type) 체크밸브는 밸브의 내부에 위치한 포펫이 상기 유체가 유동할 때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유체의 이동방향으로 이동하여 밸브를 여닫는다.
여기서, 도 1은 종래의 포펫형 체크밸브의 구성과 순방향의 유체가 유입될 경우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는 종래의 포펫형 체크밸브에 역방향의 유체가 유입될 경우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포펫형 체크밸브(10)는, 유입구(11)로 유체가 유입되어 배출구(12) 방향으로 진행하는 순방향 유동(도 1의 화살표 방향)이 발생할 경우 포펫(13)이 유체의 유동압력에 의해 유입구(11) 측에서 배출구(12) 측으로 이동하면서 밸브(10)가 열려 유체가 흐를 수 있게 된다.
반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2)로 유체가 역류하여 유입구(11) 방향으로 진행하는 역방향 유동(도 2의 화살표 방향)이 발생할 경우, 상기 포펫(13)이 역류하는 유체의 유동압력에 의해 밀리면서 상기 배출구(12) 측에서 유입구(11) 측으로 이동하면서 밸브(10)가 닫히게 되어 역류된 유체가 더 이상 유입구(11)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차단된다.
이러한 종래의 포펫형 체크밸브(10)는, 역방향 유동 발생 시 유체가 유입구(11)를 통해 이동하지 않도록 밸브(10)를 차단하는 클로징 시스템의 안전을 도모하는 단순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언제 유동에 문제가 발생했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별도의 유량계 또는 차압계 등의 센서를 설치하여 유체의 유동 변화를 감시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기구와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포펫이 이동하는 현재의 위치를 검출하는 작동위치 검출부가 구비되어, 별도의 유량계 및 차압계 등의 추가적인 센서의 설치없이 유체의 유동 방향을 전기적 신호로 지시하고 기록할 수 있도록 구비된 작동위치 검출부를 구비한 포펫형 체크밸브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작동위치 검출부를 구비한 포펫형 체크밸브 조립체는, 유체가 이동하는 배관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유체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체크밸브 조립체에 있어서, 일정 크기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밸브 몸체부; 상기 밸브 몸체부의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유체가 순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유체를 통과시키며, 상기 유체가 역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타측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배출구를 차단하여 상기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포펫; 상기 포펫의 외부면에 장착되며 도체의 재질로 형성된 접점 접촉부와, 상기 밸브 몸체부의 내부면에 장착되되 상기 포펫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접점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접점부를 포함하는 작동위치 감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접점 접촉부는, 상기 포펫이 상기 밸브 몸체부의 내부공간 내 에서 회전되더라도 상기 접점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포펫의 외부면의 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점 접촉부와 포펫의 사이에는, 상기 접점 접촉부와 포펫의 외부면을 전기적으로 이격시키는 절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접점부는, 상기 밸브 몸체부의 내부면에 복수 개로 장착되되 상기 포펫이 이동하는 이동선상에 장착되며, 상기 접점 접촉부는, 상기 포펫이 이동함에 따라 각각 상이한 접점부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점부는, 상기 밸브 몸체부의 내부면에 장착되되, 상기 밸브 몸체부의 외부면에서 전기적인 접점이 가능하도록 상기 밸브 몸체부의 벽면을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 몸체부의 외부에는 상기 접점부와 접촉되어 전기적인 회로가 구성되는 작동위치 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작동위치 검출부는, 상기 포펫이 이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접점 접촉부와 접점부의 전기적 접촉을 통해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포펫이 작동하여 이동한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위치 검출부를 구비한 포펫형 체크밸브 조립체에 의하면,
첫째, 밸브의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이동 방향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유체의 이동 방향에 문제가 있음을 용이하게 감시할 수 있는 효과 가 있다.
둘째, 유체의 이동 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별도의 유량계 및 차압계 등의 센서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설비의 설치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포펫의 이동 경로에 따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접점부를 다수 설치할 경우, 상기 포펫의 현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넷째, 유체의 역방향 유동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기록하고 지시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어느 시점에서 역방향 유동이 발생하였는지 알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역방향 유동 발생시 프로그램화된 일련의 조치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위치 검출부를 구비한 포펫형 체크밸브 조립체(100)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위치 검출부를 구비한 포펫형 체크밸브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a는 도 3의 포펫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도 3의 포펫의 외부면에 절연부가 장착된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작동위치 검출부를 구비한 포펫형 체크밸브 조립체에 순방향 유체 이동시 동작원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작동위치 검출부를 구비한 포펫형 체크밸브 조립체에 역방향 유체 이동시 동작원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동위치 검출부를 구비한 포펫형 체크밸브 조립체(100 : 이하 '체크밸브'라 함)는, 유체가 이동하는 배관(미도시)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유체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방향 제어 밸브 조립체로서, 밸브 몸체부(110), 포펫(120), 작동위치 감지부(130) 및 작동위치 검출부(14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밸브 몸체부(110)는, 일정 크기의 밸브 내부공간(111)이 형성되되,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2)와 유입된 유체가 상기 밸브 내부공간(111)을 거쳐 배출되는 출구인 배출구(11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밸브 몸체부(110)의 내부면에는 상기 포펫(120)의 이동에 따라 포펫(120)의 외부면에 장착되는 접점부(132a,132b)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접점 접촉부(131)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접점부(132a,132b)는, 상기 밸브 몸체부(110)의 내부면에 장착되 되, 상기 밸브 몸체부(110)의 외부면에서 전기적으로 접점이 가능하도록 밸브 몸체부(110)의 벽면(114)을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포펫(120)은, 상기 밸브 몸체부(110)의 밸브 내부공간(111)에 위치하여 유입구(112)와 배출구(113)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유체가 순방향(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일측방향(유체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유체를 통과시킨다.
반면에, 상기 유체가 역방향(도 6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타측방향(유체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되, 유입구(112)를 차단하여 유체의 역류를 방지한다.
상기 작동위치 감지부(130)는, 상기 포펫(120)의 외부면에 장착되며 도체의 재질로 형성된 접점 접촉부(131)와, 상기 밸브 몸체부(110)의 내부면에 장착되되 포펫(1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접점 접촉부(131)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접점부(132a,132b)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접점 접촉부(131)는, 포펫(120)이 밸브 몸체부(110)의 밸브 내부공간(111)에서 회전되더라도 상기 접점부(132a,132b)와 접촉되도록,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펫(120)의 외부면의 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점부(132a,132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몸체부(110)의 내부면에 복수 개로 장착되되 상기 포펫(120)이 이동하는 이동선상에 장 착되며, 상기 접점 접촉부(131)는, 포펫(120)이 이동함에 따라 각각 상이한 접점부(132a 또는 132b)와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 도 5 및 도 6에는 상기 접점부(132a, 132b)가 2개의 접점부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며, 상기 접점부는 1개로 구성되어도 상기 접점 접촉부(131)과의 접촉여부를 통해 역방향의 유체이동을 감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3개 이상의 접점부로 구성될 경우에는 각 접점부가 접점 접촉부(131)와 개별적으로 접촉되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포펫(120)의 현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포펫(120)은, 상기 접점 접촉부(131)와 전기적으로 이격되도록 부도체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에는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과 이동의 유동성을 고려하여 내식성 및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펫(120)과 접점 접촉부(131)의 사이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점 접촉부(131)와 포펫(120)의 외부면을 전기적으로 이격시키는 절연부재인 절연부(1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121)가 상기 포펫(120)의 외부면에 장착될 경우에는, 상기 포펫(120)은 도체의 재질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더불어, 상기 포펫(120)의 일측에는 일정 크기의 내부공간(125)이 형성되되, 상기 내부공간(125)에는 유체의 이동이 없을 시에 상기 포펫(12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며, 역방향의 유체유동이 발생하였을 시에 미세한 크기를 갖는 역류압력에도 용이하게 유입구(112)가 차단되도록 유입구(112)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27)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작동위치 검출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몸체부(110)의 외부에 위치하되, 상기 접점부(132a,132b)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회로가 구성되도록 구비되며, 포펫(120)이 이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접점 접촉부(131)와 접점부(132a,132b)의 전기적인 접촉을 통해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전달받아 포펫(120)이 작동하여 이동한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위치 검출부(140)의 일측에는, 상기 전달받은 전기 신호를 데이터 형태로 저장 및 기록하는 데이터 저장부(미도시)와, 상기 전기 신호에 따라 포펫(120)의 현재 위치를 외부로 나타내어 지시하는 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작동위치 검출부(140), 데이터 저장부 및 표시부의 구성을 통해, 유체의 역방향 유동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기록하고 외부로 지시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어느 시점에서 역방향 유동이 발생하였는지 알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역방향 유동 발생시 프로그램화된 일련의 조치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위치 검출부를 구비한 포펫형 체크밸브 조립체의 동작원리를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12)에서 배출구를 향하여 이동하는 순방향의 유체가 유입되면, 상기 순방향 유체의 이동방향과 대향하는 포펫(120)의 외부면(유입차단부(122), 포펫 몸체부(126) 등 도 5의 점선 표시부분)이 상기 유체의 유동압력에 의해 압박되어 밀리면서 포펫(120)이 배출구(113) 측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포펫(120)의 일측에는 유체가 상기 포펫 몸체부(126)의 내·외부를 소통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복수 개의 내부 유입로(12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내부 유입로(124)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포펫 몸체부(126)의 내부공간(125)을 거쳐 배출구(113)로 배출된다.
이러한 포펫(120)이 배출구(113) 측으로 이동하여, 접점 접촉부(131)은 하나의 접점부(132b)와 접촉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접촉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가 발생하여 상기 작동위치 검출부(140)로 전달된다.
상기 작동위치 검출부(140)는, 전달된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순방향 유체가 체크밸브(100)의 내부를 소통하고 있음을 표시부를 통해 나타내며, 데이터 저장부에 현재 시간과 유체의 유동상태를 저장한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의 유동에 문제가 발생하여, 상기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된 유체가 역류하여 배출구(113)로 역방향의 유체가 유입될 경우에는, 상기 역방향 유체의 이동방향과 대향하는 포펫(120)의 외부면(포펫 몸체부(126)의 내부면 등 도 6의 점선 표시부분)이 상기 유체의 유동압력에 의해 압박되어 밀리면서 포펫(120)이 유입구(112) 측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유입구(112)의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돌출되어 형성된 유입차단부(122)가 상기 유입구(112)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포펫(120)의 걸림턱(123)이 상기 유입구(112)의 유입면(116)과 접촉하게 되면서, 상기 유입구(112)를 차단하게되어 상기 역방향의 유체가 유입구(112)를 통해 더 이상 역류되지 않도록 작동한다.
이러한 포펫(120)이 유입구(112) 측으로 이동하는 동작에 의해, 접점 접촉부(131)은 다른 하나의 접점부(132a)와 접촉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접촉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가 발생하여 상기 작동위치 검출부(140)로 전달된다.
상기 작동위치 검출부(140)는, 전달된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역방향 유체가 체크밸브(100)에 의해 차단되었음을 표시부를 통해 나타내며, 데이터 저장부에 현재 시간과 유체의 유동상태를 저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동위치 검출부를 구비한 포펫형 체크밸브 조립체(100)의 구성을 통해, 체크밸브(100)의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이동 방향을 외부에서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유체의 이동 방향에 문제가 있음을 용이하게 감시할 수 있음은 물론, 유체의 이동 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별도의 유량계 및 차압계 등의 센서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설비의 설치단가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펫(120)의 이동에 따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접점부(132a,132b)를 다수 설치할 경우, 상기 포펫(120)의 현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검 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포펫형 체크밸브의 구성과 순방향의 유체가 유입될 경우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포펫형 체크밸브에 역방향의 유체가 유입될 경우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위치 검출부를 구비한 포펫형 체크밸브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a는 도 3의 포펫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도 3의 포펫의 외부면에 절연부가 장착된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작동위치 검출부를 구비한 포펫형 체크밸브 조립체에서 순방향 유체 이동시 동작원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작동위치 검출부를 구비한 포펫형 체크밸브 조립체에서 역방향 유체 이동시 동작원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체크밸브 110...밸브 몸체부
120...포펫 130...작동위치 감지부
140...작동위치 검출부

Claims (6)

  1. 유체가 이동하는 배관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유체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포펫형 체크밸브 조립체에 있어서,
    일정 크기의 밸브 내부공간(111)이 형성되되, 상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2)와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13)가 구비된 밸브 몸체부(110);
    상기 밸브 몸체부(110)의 밸브 내부공간(111)에 위치하여 상기 유입구(112)와 배출구(113)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유체가 순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유체를 통과시키며, 상기 유체가 역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타측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유입구(112)를 차단하여 상기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포펫(120);
    상기 포펫(120)의 외부면에 장착되며 도체의 재질로 형성된 접점 접촉부(131)와, 상기 밸브 몸체부(110)의 내부면에 장착되되 상기 포펫(1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접점 접촉부(131)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접점부(132a,132b)를 포함하는 작동위치 감지부(130);
    를 포함하는 포펫형 체크 밸브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접촉부(131)는,
    상기 포펫(120)이 상기 밸브 몸체부(110)의 밸브 내부공간(111) 내에서 회전되더라도 상기 접점부(132a,132b)와 접촉되도록, 상기 포펫(120)의 외부면의 둘레 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펫형 체크 밸브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접촉부(131)와 포펫(120)의 사이에는, 상기 접점 접촉부(131)와 포펫(120)의 외부면을 전기적으로 이격시키는 절연부(12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펫형 체크 밸브 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접점부(132a,132b)는, 상기 밸브 몸체부(110)의 내부면에 복수 개로 장착되되 상기 포펫(120)이 이동하는 이동선상에 장착되며,
    상기 접점 접촉부(131)는, 상기 포펫(120)이 이동함에 따라 각각 상이한 접점부(132a 또는 132b)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펫형 체크 밸브 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132a,132b)는,
    상기 밸브 몸체부(110)의 내부면에 장착되되, 상기 밸브 몸체부(110)의 외부면에서 전기적인 접점이 가능하도록 상기 밸브 몸체부(110)의 벽면(114)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펫형 체크 밸브 조립체.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몸체부(110)의 외부에는 상기 접점부(132a,132b)와 접촉되어 전기 적인 회로가 구성되는 작동위치 검출부(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작동위치 검출부(140)는, 상기 포펫(120)이 이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접점 접촉부(131)와 접점부(132a,132b)의 전기적 접촉을 통해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포펫(120)이 작동하여 이동한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펫형 체크 밸브 조립체.
KR1020090125497A 2009-12-16 2009-12-16 작동위치 검출부를 구비한 포펫형 체크밸브 조립체 KR101090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497A KR101090204B1 (ko) 2009-12-16 2009-12-16 작동위치 검출부를 구비한 포펫형 체크밸브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497A KR101090204B1 (ko) 2009-12-16 2009-12-16 작동위치 검출부를 구비한 포펫형 체크밸브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509A true KR20110068509A (ko) 2011-06-22
KR101090204B1 KR101090204B1 (ko) 2011-12-06

Family

ID=44400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5497A KR101090204B1 (ko) 2009-12-16 2009-12-16 작동위치 검출부를 구비한 포펫형 체크밸브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02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15028A (zh) * 2016-06-17 2017-12-26 奚勇 一种无回流旋转式流量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82636A (zh) * 2016-04-27 2016-08-24 北京长安汽车工程技术研究有限责任公司 一种单向阀总成、制动系统及车辆
CN110397770B (zh) * 2019-07-31 2020-11-13 江苏圣泰阀门有限公司 一种止回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5447A (ja) * 1999-01-14 2000-07-25 Tlv Co Ltd 開度表示機能付き逆止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15028A (zh) * 2016-06-17 2017-12-26 奚勇 一种无回流旋转式流量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0204B1 (ko) 201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7992B2 (en) System for monitoring backflow preventer condition
US20090194719A1 (en) Fluid supply monitoring system
US802058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leak within a duplex valve assembly
US9218923B2 (en) Device for indicating the state of a switching apparatus
US20080185050A1 (en) Fluid supply monitoring system
TWI689674B (zh) 閥、閥的異常診斷方法及電腦程式
US9882326B2 (en) Configurable switch emulator module
EP0360460B1 (en) Flow switches
CA2794811A1 (en) Dynamic self-checking interlock monitoring system
KR101090204B1 (ko) 작동위치 검출부를 구비한 포펫형 체크밸브 조립체
US20080053537A1 (en) Check valve assembly including position indicator and method of operation
JP2004157117A (ja) 漏水検出用逆止弁およびそれを用いた漏水警報システム
JP4764793B2 (ja) 弁体変位検出機能付き弁および同機能付き逆止弁
US10982793B2 (en) Valve control head
US10317003B2 (en) Double block and bleed system for an orifice fitting
KR20140103912A (ko) 무선 흐름 감시 장치
JP2006274704A (ja) ポンプゲート及びポンプゲートのフラップ弁の異常検出方法
KR200256119Y1 (ko) 유체감지용 이중 체크밸브
US11406856B2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valve
US20220178121A1 (en) Fluid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using the same
KR20060048507A (ko) 이동체의 위치감시용 트랜스듀서
WO2011134855A1 (en) A valve unit with a sensor device for monitoring the position of a plug on its operating path with respect to a corresponding valve seat, particularly for supplying gas through a gas metering apparatus
JP2019190996A (ja) 超音波ガスメータ
RU2270394C1 (ru) Сигнализатор наличия металлических частиц в масле или иной жидкости
JP2008135555A (ja) 変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