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8403A -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8403A
KR20110068403A KR1020090125343A KR20090125343A KR20110068403A KR 20110068403 A KR20110068403 A KR 20110068403A KR 1020090125343 A KR1020090125343 A KR 1020090125343A KR 20090125343 A KR20090125343 A KR 20090125343A KR 20110068403 A KR20110068403 A KR 20110068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olyolefin
adhesive composition
thermoplastic ela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5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9741B1 (ko
Inventor
천제환
천정미
정부영
안희정
차길수
Original Assignee
안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희정 filed Critical 안희정
Priority to KR1020090125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741B1/ko
Publication of KR20110068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7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26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28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1/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hlorop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폭시 수지,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클로로프렌 고무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혼합고분자를 기재한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비극성 및 난접착 특성을 갖는 소재인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의 접착시 버핑처리, 세척제, 프라이머 및 플라즈마처리와 같은 복잡한 전처리 공정이 생략되어 작업 공정이 간소화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우수한 접착특성을 유지하고, 또한 톨루엔이나 자일렌 등과 같은 독성 유기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지 않아 유독성 가스가 발생하지 않아 쾌적한 작업환경에 의해 작업자의 신체에 위해성이 없는 친환경적인 것이 장점이다.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접착제, 에폭시 수지,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클로로프렌 고무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Description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Adhesive composition for polyolefine thermoplastic elastomer}
본 발명은 에폭시 수지,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클로로프렌 고무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혼합고분자를 기재한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비극성 및 난접착 특성을 갖는 소재인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의 접착시 전처리 공정이 생략되어 공정이 간단하고, 우수한 접착력을 유지하며, 톨루엔이나 자일렌 등의 독성 유기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동안 폴리염화비닐(PVC) 수지는 가격에 비해 성형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물성 및 내찰상성 등의 특성이 우수하여 다용화 되어 왔지만, 폴리염화비닐(PVC) 수지에 함유되어 있는 가소제에 의한 냄새가 자극적이며 소각시에 발암물질인 다이옥신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최근, 환경규제 강화측면에서 사용에 많은 제한을 받고 있는 합성수지이다.
최근에는 폴리염화비닐(PVC) 수지 탄성체의 대체 소재로서,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가 각광을 받고 있다.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는 고온에서 유연하게 되어 성형할 수 있고, 상온에서는 고무탄성체의 성질을 내는 고분자 재료로 성형성이 우수하며 재료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성이 좋으며 또한 가소제의 사용도 불필요하고 열경화성 고무에 비해 비중이 낮으며 제품생산의 다양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는 하드 세그먼트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이고, 소프트 세그먼트로서가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DM)을 비롯한 올레핀계 고무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비극성 고분자 화합물로 높은 내부 결정성을 갖는 난접착 특성을 갖는 소재로서, 통상적인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의 접착시에는 접착력의 특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난접착 특성을 갖는 소재인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를 접착하기 위해서는 그동안 버핑, 세척제, 프라이머 및 플라즈마와 같은 복잡한 전처리 공정을 거쳐야 하며, 또한 톨루엔이나 자일렌 등의 독성 유기용제를 사용하여 프라이머나 접착제를 제조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작업 공정이 복잡하고, 상기와 같은 전처리를 위한 설비가 필요하므로 경제적인 문제가 있으며 독성 유기용제의 사용으로 발생하는 유독성 가스에 의해 작업환경의 오염으로 인해 인체에 유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난접착 특성을 갖는 소재인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 조성물의 특허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129326호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 유리물품을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 조성물을 제안하고 있지만 이와 같은 접착제 조성물은 자일렌, 톨루엔 등과 같은 유독성 유기용제를 사용하므로 작업환경의 오염으로 인해 인체에 유해한 문제점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58469호에 폴리올레핀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한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이 공개되어 있지만 상기와 같은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은 100~200℃의 고온에서 작업하며 도포할 때에 어플리케이터가 필요하고, 접착제가 냉각 응고되기 전 단시간 내에 피착제와 접착을 해야 하는 등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의 취급 문제와 작업상 까다로운 공정조건의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방안으로, 에폭시 수지,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클로로프렌 고무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혼합고분자를 기재한 접착제 조성물로서, 비극성 및 난접착 특성을 갖는 소재인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의 접착시 버핑처리, 세척제, 프라이머 및 플라즈마처리와 같은 복잡한 전처리 공정이 생략되어 작업 공정이 간소화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우수한 접착특성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혼합 고분자 기재를 용해시키기 위한 용매로서, 톨루엔이나 자일렌 등과 같은 독성 유기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지 않아 유독성 가스가 발생하지 않아 쾌적한 작업환경에 의해 작업자의 신체에 위해성이 없는 친환경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함을 다른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혼합 고분자 기재가 주제인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혼합 고분자 기재는 에폭시 수지 20~35 중량부,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15~45 중량부, 클로로프렌 고무 20~30 중량부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10~15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혼합 고분자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점착 부여제 5~15 중량부, 첨가제 5~15 중량부 및 3~5종의 혼합용제 250~74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염화폴리올레핀 수지는 염화에틸렌 수지나 염화프로필렌 수지 중에서 염화폴리올레핀 분자 내에 수소의 일부가 염소로 치환되어 차지하는 염화도가 10~40 중량%인 것을 단독 또는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는 무니점도가 20~60이고, 아세틸렌을 출발원료로 하는 클로로프렌 고무 또는 부타디엔을 출발원료로 하는 클로로프렌 고무 중에서 단독 또는 병용하여 사용하며,
상기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은 접착제 조성물의 고형분이 15~30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비극성 및 난접착 재질의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를 접착시 복잡한 전처리 공정이 생략되어 작업 공정이 간소화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우수한 접착특성을 유지하며, 또한 톨루엔이나 자일렌 등과 같은 독성 유기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지 않아 유독성 가스가 발생하지 않아 쾌적한 작업환경에 의해 작업자의 신체에 위해성이 없는 친환경적인 것이 장점이다.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에폭시 수지,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클로로프렌 고무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혼합 고분자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점착 부여제 5~15 중량부, 첨가제 5~15 중량부 및 3~5종의 혼합용제 250~740 중량부로 이루어진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 고분자 기재로 사용되는 사용되는 고분자는 에폭시 수지 20~35 중량부,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15~45 중량부, 클로로프렌 고무 20~30 중량부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10~15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 고분자 사용량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
상기 고분자 기재로 사용되는 본 발명에 사용된 에폭시 수지는 통상적인 에폭시 수지로서 접착성, 기계적 특성, 내산, 내알칼리, 내수성 등의 특성이 뛰어난 비스페놀 에이 타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에폭시 수지의 사용량은 20~35 중량부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접착력이 감소할 우려가 있고, 3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접착제의 응집력이 저하되며 다른 기재와의 상용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염화폴리올레핀 수지는 접착성 및 충격성을 보강하기 위해 사용하는 수지로서, 상기 염화폴리올레핀 수지의 사용량은 15~45 중량부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화폴리올레핀 수지의 사용량이 1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접착 강도 개선 효과가 미약하며, 4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용해도가 떨어진다.
또한 상기 염화폴리올레핀 수지는 염화에틸렌 수지나 염화프로필렌 수지 중에서 분자 내에 수소의 일부가 염소로 치환되어 염소를 포함함으로서 전체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중량에 대해 염소가 차지하는 중량을 나타내는 염화도가 10~40 중량%인 것을 단독 또는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 염화도가 20~30 중량%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상기 범위 내에서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에 보다 우수한 접착 강도를 발현할 수 있는 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 고분자 기재로 사용되는 클로로프렌 고무는 무니점도가 20~60인 것이 바람직하며, 아세틸렌을 출발원료로 하는 클로로프렌 고무 또는 부타디엔을 출발원료로 하는 클로로프렌 고무 중에서 단독 또는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로로프렌계 고무는 20~3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클로로프렌계 고무의 사용량이 20 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에는 가공성은 양호하나 응집력이 저하되고 접착력이 감소하게 될 우려가 있고, 클로로프렌계 고무의 사용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제의 분자량이 증가하여 인장강도 등의 역학 물성이 증가하고 반발탄성도 향상되는 반면에 다른 기재와의 상용성 및 용해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분자 기재로 사용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기계적 강도, 내구성, 내열성, 내마모성, 신축성, 탄성, 유연성, 저온특성이 우수하고 높은 접착 강도를 발현하는 수지로서, 다루기에 용이하고 다른 수지와의 혼합이 용이하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카프로락톤을 각각 주성분으로 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중에서 단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10~1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사용량이 10 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에는 접착제의 탄성 및 기계적 강도 개선의 효과가 떨어지게 되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사용량이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유연성이 필요이상으로 증가하여 응집력이 저하되므로 접착력이 감소할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점착 부여제는 접착제 조성물에 점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하는 화합물로서, 석유수지계 중에서 구체적인 예를 들면 지방족(C5)계 점착 부여제, 방향족(C9)계 점착 부여제, C5/C9 공중합체 점착 부여제, 수첨지환족계 점착 부여제 중에서 단독 또는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점착 부여제의 사용량은 5~15 중량부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제의 사용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점착 보강의 효과가 떨어져 초기 접착력이 현저히 감소하며, 점착 부여제의 사용량이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접착제의 응집력이 저하되어 초기 접착력 및 상태접착력이 감소하여 접착제로 적합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첨가제는 실리카류 및 금속산화물인 타이타늄다이세라믹사이드, 알루미늄세라믹사이드, 마그네슘세라믹사이드, 징크옥사이드, 산화철 중에서 단독 또는 그 이상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리카류는 구체적으로 제오실-155, 제오실-175(제조사 : Rhodia silica), 에어로실-200, 에어로실-300(제조사 : Degussa)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5~1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첨가제의 사용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가공성과 신도, 경도, 인장성질, 내열성등의 성질이 낮아질 우려가 있고, 첨가제의 사용량이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용제에 잘 용해되지 않으며, 특히 고형분이 조절이 용이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용제는 구체적인 예를 들면, 메틸사이클로헥산, 메틸에틸케톤, 사이클로헥산, 아세톤, 초산에틸, 사이클로헥산올, 이소프로판올, n-프로판올, 에탄올 중에서 용해가 가능한 조합이나 혼합비를 구성하여 3~5종 을 선택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제를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장안정성 및 용해도가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제는 고형분의 농도가 작업성이나 기재 자체의 안정성을 위한 관점에서 총 고형분이 15~30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들면서 상세히 설명하는바, 본 발명이 다음의 실시 예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 제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를 각각 아래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하고, 그 조성표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온도조절과 속도조절이 가능한 혼련장비에 클로로프렌 고무(A-100, DENKA) 20 중량부를 넣고 용융시키며 실리카(A-200, Degussa) 5 중량부를 첨가하여 60~110℃의 온도에서 5~20 분 동안 혼련한 후 이를 혼합 가능한 반응기에 넣고 에폭시 수지(YD-128, 국도화학) 35 중량부와 염화폴리올레핀 수지(Superchlon 822S, Nippon Paper) 30 중량부 그리고 열가소성 폴리우레탄(NEOTIE 3202, 호성케멕스) 15 중량부에 사이클로헥산 36 중량부, 메틸사이클로헥산 108 중량부, 메틸에틸케톤 108 중량부, 초산에틸 72 중량부 그리고 이소프로판올 36 중량부를 넣고 200rpm으로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다음으로, 점착 부여제(ESCOREZ 1404, Exxon) 15 중량부를 첨가하여 200rpm으로 충분히 교반하여 용해시켜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클로로프렌 고무(A-100, DENKA) 20 중량부, 실리카(A-200, Degussa) 10 중량부, 에폭시 수지(YD-128, 국도화학) 25 중량부, 염화폴리올레핀 수지(Superchlon 822S, Nippon Paper) 45 중량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NEOTIE 3202, 호성케멕스) 10 중량부와 사이클로헥산 36 중량부, 메틸사이클로헥산 108 중량부, 메틸에틸케톤 108 중량부, 초산에틸 72 중량부, 이소프로판올 36 중량부, 점착 부여제(ESCOREZ 1404, Exxon) 10 중량부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고형분 25%인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클로로프렌 고무(A-100, DENKA) 25 중량부, 실리카(A-200, Degussa) 10 중량부, 에폭시 수지(YD-128, 국도화학) 25 중량부, 염화폴리올레핀 수지(Superchlon 822S, Nippon Paper) 40 중량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NEOTIE 3202, 호성케멕스) 10 중량부와 사이클로헥산 35 중량부, 메틸사이클로헥산 106 중량부, 메틸에틸케톤 106 중량부, 초산에틸 71 중량부, 이소프로판올 36 중량부, 점착 부여제(ESCOREZ 1404, Exxon) 8 중량부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고형분 25%인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클로로프렌 고무(A-100, DENKA) 30 중량부, 실리카(A-200, Degussa) 5 중량부, 에폭시 수지(YD-128, 국도화학) 30 중량부, 염화폴리올레핀 수지(Superchlon 822S, Nippon Paper) 30 중량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NEOTIE 3202, 호성케멕스) 10 중량부와 사이클로헥산 33 중량부, 메틸사이클로헥산 99 중량부, 메틸에틸케톤 99 중량부, 초산에틸 66 중량부, 이소프로판올 33 중량부, 점착 부여제(ESCOREZ 1404, Exxon) 5 중량부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고형분 25%인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클로로프렌 고무(A-100, DENKA) 10 중량부, 실리카(A-200, Degussa) 10 중량부, 에폭시 수지(YD-128, 국도화학) 15 중량부, 염화폴리올레핀 수지(Superchlon 822S, Nippon Paper) 10 중량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NEOTIE 3202, 호성케멕스) 65 중량부와 사이클로헥산 34 중량부, 메틸사이클로헥산 101 중량부, 메틸에틸케톤 101 중량부, 초산에틸 67 중량부, 이소프로판올 33 중량부, 점착 부여제(ESCOREZ 1404, Exxon) 2 중량부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고형분 25%인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클로로프렌 고무(A-100, DENKA) 10 중량부, 실리카(A-200, Degussa) 2 중량부, 에폭시 수지(YD-128, 국도화학) 35 중량부, 염화폴리올레핀 수지(Superchlon 822S, Nippon Paper) 15 중량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NEOTIE 3202, 호성케멕스) 40 중량부와 사이클로헥산 34 중량부, 메틸사이클로헥산 101 중량부, 메틸에틸케톤 101 중량부, 초산에틸 67 중량부, 이소프로판올 33 중량부, 점착 부여제(ESCOREZ 1404, Exxon) 10 중량부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고형분 25%인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위 : 중량부)
조성성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에폭시 수지1) 35 25 25 30 15 35
염화폴리올레핀 수지2) 30 45 40 30 10 15
클로로프렌 고무3) 20 20 25 30 10 10
열가소성 폴리우레탄4) 15 10 10 10 65 40
점착부여제5) 15 10 8 5 2 10
실리카6) 5 10 10 5 10 2
사이클로헥산 36 36 35 33 34 34
메틸사이클로헥산 108 108 106 99 101 101
메틸에틸케톤 108 108 106 99 101 101
초산에틸 72 72 71 66 67 67
이소프로판올 36 36 36 33 33 33
주 1) YD-128 : 국도화학
2) Superchlon 822S : Nippon Paper(염화도 ; 20~30 중량%)
3) A-100 : DENKA
4) NEOTIE 3202 : 호성케멕스
5) ESCOREZ 1401 : Exxon
6) A-200 : Degussa
2.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의 박리강도 평가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각각의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시험방법에 따라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의 박리강도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1)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의 접착 시편 제조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로 제조된 피착체를 10×120mm의 크기로 제단하여 이들을 서로 접착할 수 있도록 준비한 다음 전처리 공정 없이 피착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60에서 5분간 건조한 다음 피착제끼리 접합하여 약 5kgf의 하중으로 압착하여 접착하였다
2) 박리 강도
얻어진 각 접착 시편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 상온하에서, 만능인장시험기를 사용하여 크로스 헤드의 이동 속도를 150±20mm/min으로 하여 박리 강도(kgf/㎝)를 측정하였다. 접착 시편은 5개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측정gks 결과 아래 [표 2]의 내용과 같다.
평가항목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박리 강도(kgf/㎝) 8.51) 8.21) 7.91) 7.41) 1.8 2.4
주 1) 피착체 파괴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실시예 1 내지 4는 각각 중량 범위내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제조된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피착제의 접착 시편에 대한 박리 강도가 모두 우수하였으나 비교예 1은 고분자 기재 중에서 에폭시 수지, 염화 폴리올레핀의 사용량이 범위 미만으로 첨가하였고 또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사용량이 범위를 초과하였으며 점착 부여제의 사용량이 범위 미만으로 첨가됨으로써 응집력이 약하며 접착 보강효과가 미흡하여 피착체에 부착성이 떨어져 박리강도가 현저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교예 2는 고분자 기재 중에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사용량이 범위를 초과하여 첨가되고 또한 첨가제의 사용량이 범위 미만으로 사용됨으로써 응집력이 저하되어 박리 강도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복잡한 전처리 공정이 없이도 비극성 및 난접착 재질의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를 접착할 때에 박리강도가 우수하며 독성 유기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아 환경친화적인 조성물로서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그 우수성이 확인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는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설명하고, 그 우수성을 확인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혼합 고분자 기재가 주제인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혼합 고분자 기재는 에폭시 수지 20~35 중량부, 염화폴리올레핀 수지 15~45 중량부, 클로로프렌 고무 20~30 중량부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10~15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혼합 고분자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점착 부여제 5~15 중량부, 첨가제 5~15 중량부 및 3~5종의 혼합용제 250~74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폴리올레핀 수지는 염화에틸렌 수지나 염화프로필렌 수지 중에서 염화폴리올레핀 분자 내에 수소의 일부가 염소로 치환되어 차지하는 염화도가 10~40 중량%인 것을 단독 또는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는 무니점도가 20~60이고, 아세틸렌을 출발원료로 하는 클로로프렌 고무 또는 부타디엔을 출발원료로 하는 클로로프렌 고무 중에서 단독 또는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은 접착제 조성물의 고형분이 15~30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메틸사이클로헥산, 메틸에틸케톤, 사이클로헥산, 아세톤, 초산에틸, 사이클로헥산올, 이소프로판올, n-프로판올, 또는 에탄올 중에서 3~5종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
KR1020090125343A 2009-12-16 2009-12-16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 KR101149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343A KR101149741B1 (ko) 2009-12-16 2009-12-16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343A KR101149741B1 (ko) 2009-12-16 2009-12-16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403A true KR20110068403A (ko) 2011-06-22
KR101149741B1 KR101149741B1 (ko) 2012-06-01

Family

ID=44400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5343A KR101149741B1 (ko) 2009-12-16 2009-12-16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7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673B1 (ko) * 2011-04-26 2013-08-21 한국신발피혁연구원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
KR20190053442A (ko) * 2017-11-10 2019-05-20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접착강도가 우수한 프라이머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673B1 (ko) * 2011-04-26 2013-08-21 한국신발피혁연구원 난접착 신발 소재용 프라이머 조성물
KR20190053442A (ko) * 2017-11-10 2019-05-20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접착강도가 우수한 프라이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9741B1 (ko) 201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10448B (zh) 基于液态橡胶的粘结剂和密封胶
EP3020773B1 (en)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JP2011046957A (ja) 接着剤
KR101061073B1 (ko) 접착보강용 프라이머 조성물
JP5894147B2 (ja) 粘接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接着方法、並びに積層体及びタイヤ
JP5909226B2 (ja) 粘接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接着方法、並びに積層体及びタイヤ
WO2001081485A1 (en) Water dispersed primers
CA3055748A1 (en) Adhesive composition for use in roofing materials
WO1997021739A1 (fr) Procede de production de polymere organique epoxyde, composition de resine thermoplastique, composition pour couche d'impression, composition pour gomme non vulcanisee, moulages en gomme, et procede de production de ces moulages
JP2006169456A (ja) ゴム接着用ホットメルト接着剤およびこの接着剤を用いた接着方法
KR101149741B1 (ko)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용 접착제 조성물
JP5129556B2 (ja) 接着剤組成物
KR101771751B1 (ko)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
KR101484906B1 (ko) 폴리우레탄계 사출부품용 프라이머 조성물
JP2004277617A (ja) 低温流動性良好なバインダー樹脂溶液組成物
JP2011063672A (ja) クロロプレンゴムラテックス接着剤組成物
US7026410B2 (en) Solventless method for preparation of carboxylic polymers
KR20150061936A (ko) 신발 부품용 저독성 프라이머 조성물
KR100983806B1 (ko) 사출부품에 착색이 용이한 1액형 선처리제 조성물
EP3360942A1 (en) Adhesive composition
WO2004035630A1 (en) A solventless method for preparation of carboxylic polymers
EP3012302B1 (en) Release liner for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KR20130106168A (ko) 프라이머 조성물
JP7176599B1 (ja) (メタ)アクリル系接着剤組成物、積層体及びタイヤ
JPH0694207B2 (ja) ポリオレフィン成形品と極性を有する異種材料との複合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