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7967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7967A
KR20110067967A KR1020090124768A KR20090124768A KR20110067967A KR 20110067967 A KR20110067967 A KR 20110067967A KR 1020090124768 A KR1020090124768 A KR 1020090124768A KR 20090124768 A KR20090124768 A KR 20090124768A KR 20110067967 A KR20110067967 A KR 20110067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rror
preamble
sequence
n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우
장갑석
이우용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24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7967A/ko
Publication of KR20110067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9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2001/125Arrangements for preventing errors in the return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수신되는 프레임의 수신 성공 여부를 검증하고, 검증 결과에 따라 ACK 프레임 또는 NACK 프레임을 송신단으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송수신 방법이 개시된다. 프레임 송수신 방법에서는, 수신되는 프레임에 대한 에러 검증을 하는 단계와, 수신되는 프레임에 에러가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NACK 프레임을 전송하되, 이 NACK 프레임은 프리앰블만 포함하고 헤더는 포함하지 않는다. 만일, 수신되는 프레임에 에러가 없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ACK 프레임을 전송하되, 이 ACK 프레임은 프리앰블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프리앰블과 헤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NACK 프레임 또는 ACK 프레임의 전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가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Figure P1020090124768
데이터 프레임, 프리앰블, ACK, NACK, 에러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FRAM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신되는 프레임의 에러를 검증하고, 검증 결과에 따라 ACK 프레임 또는 NACK 프레임을 송신단으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송수신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는 지식경제부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7-S-002-03, 과제명: Multi-Gigabit 무선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반이중(half duplex) 방식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송신 링크와 수신 링크가 시간 분할하여 사용한다. 송신단은 데이터가 전송되는 채널의 상태를 감시하고, 채널의 상태에 따라 데이터의 재전송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송신단은 수신단으로부터 ACK(Acknowledgment) 프레임 혹은 NACK(negative Acknowledgment) 프레임을 수신하고, ACK 프레임 혹은 NACK 프레임으로부터 에러 발생 여부를 검증한 후에 그 결과에 따라 데이터의 재전송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ACK 프레임은 수신단에서 받은 데이터에서 구별 가능한 에러가 없음을 알리는 것이고, NACK 프레임은 수신단에서 받은 데이터에 에러가 있는 정보를 받았음을 알리는 것이다.
수신단에서는 송신단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고, 데이터 프레임의 에러 여부를 판단한다. 수신단은 에러 여부 판단한 다음 SIFS(Short Inter-Frame Spacing) 시간 후에 ACK 프레임 또는 NACK 프레임을 생성하여 송신단으로 내보낸다. 에러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수신단의 수신 모뎀에서는 헤더(header)와 페이로드(payload)를 각각 순환 중복 검사(CRC;Cyclic Redundancy Check)한다.
수신 모뎀은 순환 중복 검사(CRC)에 앞서 헤더와 페이로드의 데이터에 대한 복조 및 채널부호 디코딩을 수행한다. 따라서, 수신 모뎀의 지연(latency)이 있으면, 그 만큼 ACK 프레임의 생성 시점이 늦어진다. 특히, 채널 코드로서 블록 코드를 이용하는 경우 지연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왜냐하면, 블록 코드는 패리티 정보가 원래 정보 뒤에 붙어서 전송되므로, 한 블록을 다 수신할 때까지는 채널 부호 디코더의 출력이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설계시에 수신 모뎀에서의 지연 시간 이상의 간격을 갖도록 SIFS가 설계되어야 한다. 이 경우에 SIFS(short inter-frame spacing) 간격이 길면 길수록 데이터가 채널에서 사용되는 시간이 감소하므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의 이용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ACK 프레임 또는 NACK 프레임 송수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레임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전송 채널을 이용함에 있어서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에 할당되는 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무선 채널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레임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송수신 방법은 수신 데이터 프레임에 에러가 존재하는지를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데이터 프레임에 에러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프리앰블만 포함하고 헤더는 포함하지 않는 NACK 프레임을 송신단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송수신 방법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수신 데이터 프레임에 에러가 없는 것으로 판정되면, 프리앰블과 헤더를 포함하는 ACK 프레임을 상기 송신단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신 데이터 프레임에 에러가 없는 것으로 판정되면, 프리앰블만 포함하고 헤더는 포함하지 않는 ACK 프레임을 상기 송신단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 데이터 프레임의 일부에 대한 에러 검증이 이루어지면 상기 ACK 프레임 또는 상기 NACK 프레임의 프리앰블의 전송을 시작하고, 상기 수신 데이터 프레임의 에러 검증이 완료되면, 상기 프리앰블의 나머지 구간에 에러 여부 를 나타내는 정보를 삽입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프리앰블은 정해진 패턴이 반복되며 커버 시퀀스에 의해 커버링되는 동기 시퀀스와 채널 추정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ACK 프레임의 동기 시퀀스에 대한 커버 시퀀스와 NACK 프레임의 동기 시퀀스에 대한 커버 시퀀스는 서로 다른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ACK 프레임은 동기 시퀀스의 마지막 패턴이 이전 패턴과 다른 커버 시퀀스 값으로 커버링되고, 상기 NACK 프레임은 동기 시퀀스 모든 패턴이 동일 커버 시퀀스 값으로 커버링될 수 있다.
또는, 프리앰블은 정해진 패턴이 반복되며 커버 시퀀스에 의해 커버링되는 동기 시퀀스와 채널 추정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ACK 프레임의 채널 추정 시퀀스에 대한 커버 시퀀스와 상기 NACK 프레임의 채널 추정 시퀀스에 대한 커버 시퀀스는 서로 다른 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송수신 장치는 수신 데이터 프레임에 에러가 존재하는지를 검증하는 에러 검증부 및 상기 에러 검증부에서 상기 수신 데이터 프레임에 에러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면, 프리앰블만 포함하고 헤더는 포함하지 않는 NACK 프레임을 생성하여 송신단으로 전송하는 프레임 처리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에러 검증부에서 상기 수신 데이터 프레임에 에러가 없는 것으로 판정하면, 상기 프레임 처리부는 프리앰블과 헤더를 포함하는 ACK 프레임을 상기 송신단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에러 검증부에서 상기 수신 데이터 프레임에 에러가 없는 것으로 판정하면, 상기 프레임 처리부는 프리앰블만 포함하고 헤더는 포함하지 않는 ACK 프레임을 상기 송신단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ACK 프레임 및/또는 NACK 프레임의 전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전체 전송 채널에서 데이터 프레임 전송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송신단(10)과, 송신단(10)에서 전송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단(20)을 포함한다. 수신단(20)은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의 상태 검사를 통해 에러를 검증하고, 검증 결과에 따라 에러 유무를 알리는 ACK 프레임 또는 NACK 프레임을 송신단으로 송신한다. 송신단(10)은 수신단(20)으로부터 수신된 ACK 프레임 또는 NACK 프레임을 참조하여, 데이터 프레임 재전송 또는 전송율 변경 또는 현재의 전송 상태의 유지 여부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송신단(10)과 수신단(20)이 일대일로 통신을 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단말들 사이에 직접 링크의 설정을 허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예컨대 직접 링크의 설정을 규정하고 있는 IEEE 802.11e에 따른 무선랜(WLAN) 시스템 또는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시스템에 본 실시예가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송 신단은 자신에게 채널이 할당된 경우에 하나의 프레임만을 전송하도록 허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왜나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단이 전송하는 ACK 프레임 및/또는 NACK 프레임은 헤더가 포함되지 않기 때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송수신 장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송수신 장치는 에러 검증부(21)와 프레임 처리부(22)를 포함한다. 먼저, 송신단(10)은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단(20)으로 전송한다(200). 데이터 프레임은 소정의 프리앰블과 프레임 헤더, 및 데이터가 삽입되는 페이로드를 포함한다. 프리앰블은 동기화를 맞추고 채널 추정 등을 위하여 프레임의 전반부에 삽입되는 임의의 약속된 신호이다. 프레임 헤더는 프레임 식별자(frame ID), 송신원(source ID), 수신원(destination ID)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수신단(20)의 에러 검증부(21)는 송신단(10)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에러를 검증한다(202). 구체적으로, 에러 검증부(21)는 프레임(100)이 수신되면 디모듈레이션 및 채널 디코딩을 거치고, 소정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순환 중복 검사(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수행한다.
프레임 처리부(22)는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ACK 프레임 또는 NACK 프레임을 생성하고, 이를 송신단(10)으로 전송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프레임 처리부(22)는 에러 검증부(21)에서 수신 데이터 프레임 일부에 대한 에러 검증이 이루어지면 프리앰블을 생성(204)과 동시에 송신단(206)으로 전송을 시작한다(206). 이 경우에, 에러 검증부(21)에서 모든 페이로드에 대한 순환 중복 검사(CRC;cyclic redundancy check)가 끝나는 시점까지 기다릴 필요 없이 일부 페이로드에 대한 에러 검증이 이루어지면 프리앰블의 전송을 시작할 수 있으므로, SIFS 등과 같은 채널 아이들(channel idle)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는, 프레임 처리부(22)는 에러 검증부(21)에서 수신 데이터 프레임 전부에 대한 에러 검증이 된 이후에 ACK 프레임/NACK 프레임을 생성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는 기존의 프레임 송수신 알고리즘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전자의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프레임 처리부(22)는 스위칭 시점에 도달하면 순환 중복 검사(CRC;cyclic redundancy check) 결과에 따라 프리앰블의 나머지 구간에 ACK 정보 또는 NACK 정보를 삽입하여 ACK 프레임 또는 NACK 프레임을 생성을 완료하고(208), 이를 송신단(10)으로 전송한다(210). 여기서, 스위칭 시점은 모든 페이로드에 대한 에러 검증이 완료되는 시점이다. 본 실시예에서 NACK 프레임은 프리앰블만 포함하고 헤더는 포함하지 않는다. NACK 프레임이란 수신단(20)에서 데이터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했다는 것을 알려주는 프레임이므로, 헤더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필요는 없다. 반면, ACK 프레임은 헤더를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ACK 프레임이 헤더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NACK 프레임 및/또는 ACK 프레임에 프리앰블만 포함시키고 헤더를 포함시키지 않기 때문에, NACK 프레임/ACK 프레임의 전송에 할당되는 시간이 감소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에 보다 긴 시간을 할당할 수 있어서, 보다 효율적인 채널 운용이 가능 하다. 프리앰블만을 이용하여 ACK 프레임과 NACK 프레임을 구분하는 일례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송신단(10)은 수신단(20)으로부터 수신된 응답 프레임이 ACK 프레임인지 NACK 프레임인지를 판단한다(212). 일반적으로 프리앰블의 전반부 구간을 이용하여, 신호 감지, 위상오차 추정 및 보상, 자동 이득 조절을 수행하고, 프리앰블의 후반부를 이용하여, 심볼 동기를 찾는다. 송신단(10)은 심볼 동기를 찾기 위해서, 수신된 응답 프레임의 프리앰블과 약속된 프리앰블간의 상호상관(cross-correlation)을 수행한다. 이 상관값이 약속된 부호를 가진 피크일 때는 동기가 이루어지게 되며, 송신단(10)의 모뎀은 수신 동작을 수행하여, 수신된 프레임이 ACK 프레임이라고 판단한다. 그런데, NACK 프레임은 상호상관 결과가 약속된 부호와는 반대인 피크값이 나타나므로, 동기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그 결과 수신단(10)의 모뎀은 수신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송신단(10)의 모뎀은 소정의 시간 동안 아무런 프레임도 수신하지 못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 송신단(10)은 수신단(20)에서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에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NACK 프레임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하여 동일한 프레임을 재전송한다).
그리고, 송신단(10)은 ACK 프레임 또는 NACK 프레임 여부를 판단 결과를 통해 따라 채널 상태를 확인하여, 데이터 프레임의 재전송 또는 전송율 변경 또는 현재 상태 유지 여부를 판단한다(214). 이어서, 송신단(10)은 판단 결과에 따라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단(20)으로 전송한다(216).
이와 같이, 수신 데이터 프레임 전체에 대한 에러 검증이 완료되기 전에 ACK 프레임 또는 NACK 프레임에 대한 전송을 시작하면, 채널 내에서 ACK 프레임과 NACK 프레임 송수신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SIFS 등과 같은 프레임간 간격도 단축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예에서는 모든 페이로드의 에러 검증이 완료되기 이전에 프리앰블의 전송을 시작한다. 그리고, 모든 페이로드에 대한 에러 검증이 완료되는 시점에 구별 가능한 ACK 정보 또는 NACK 정보를 나머지 프리앰블에 삽입하여 송신단으로 전송한다. 이로써, 종래 보다 SIFS(short inter-frame spacing) 시간을 짧게 하여 ACK 프레임 또는 NACK 프레임을 송수신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채널 내에서 줄어든 SIFS(short inter-frame spacing) 시간을 데이터 송수신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전체 데이터 전송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전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신단은 데이터 프레임이 수신되면 에러 검증을 하고 SIFS(Short Inter-Frame Spacing) 시간 후에 ACK 프레임 또는 NACK 프레임을 생성한다. 에러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프레임(100)이 수신되면 헤더(102)와 페이로드(104)에 대하여 각 기 순환 중복 검사(CRC)를 수행한다. 이때, 수신부의 수신 모뎀에서는 자체 지연(L1)이 발생한다. 그리고, 헤더(102) 디코딩 지연(L2) 및 페이로드의 디코딩 지연(L3)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페이로드(104)에서는 L1+L3만큼의 지연을 가지므로 SIFS(Short Inter-Frame Spacing)는 L1+L3 이상의 간격을 가지도록 설계해야 한다.
종래에는 수신단(20)에서 수신 데이터 프레임의 모든 페이로드에 대한 에러를 검증이 끝나는 시점인 "A" 시점에 ACK 프레임 또는 NACK 프레임을 생성하여 송신단(10)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모든 페이로드에 대한 에러 검증이 완료된 후에 ACK 프레임 또는 NACK 프레임의 전송을 시작하므로, SIFS(Short Inter-Frame Spacing)가 채널에서 차지하는 시간이 길어 채널에서 차지하는 데이터가 채널에서 사용되는 시간이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전체 데이터 전송율이 떨어진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신 데이터 프레임의 일부에 대한 에러 검증이 이루어지는 "B" 시점에 프리앰블의 전송을 시작하고, 데이터 프레임의 에러 검증이 완료되는 "A" 시점이 되면 프리앰블의 후반부에 에러 여부를 나타내는 ACK 정보 또는 NACK 정보를 추가하여 전송한다. 이에 따라, L4의 시간만큼 SIFS(Short Inter-Frame Spacing) 시간을 줄여 ACK 프레임 또는 NACK 프레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NACK 프레임은 헤더를 포함하지 않는 프리앰블로만 구성할 수 있고, ACK 프레임은 프리앰블은 포함하되 헤더가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헤더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수신단(20)에서 ACK 프레임 또는 NACK 프레임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ACK 프레임 또는 NACK 프레임 전송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송신단(10)에서는 프리앰블 이후에 수신되는 헤더에 대한 디모듈레이션 및 채널 디코딩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프리앰블에 대한 디모듈레이션 및 채널 부호 디코딩만 수행해도 ACK 프레임인지 NCAK 프레임인 지 확인할 수 있으므로, ACK 프레임 또는 NACK 프레임 검증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단축된 시간을 데이터 송수신에 이용할 수 있는바, 전체 채널에서의 데이터 사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CK 프레임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NACK 프레임 구성도로서, ACK 프레임 및 NACK 프레임은 프리앰블로 구성된다. 프리앰블은 정해진 패턴이 반복되는 것으로서, 커버 시퀀스에 의해 커버링되는 동기 시퀀스와 채널 추정 시퀀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ACK 프레임의 동기 시퀀스에 대한 커버시퀀스와 NACK 프레임의 동기 시퀀스에 대한 커버 시퀀스 값을 서로 달리함으로써 구분된다. ACK 프레임은 동기 시퀀스의 마지막 패턴이 이전 패턴과 다른 커버 시퀀스 값으로 커버링된다. 예를 들어, 8개의 반복되는 동기 시퀀스 패턴 중에 n=0~6까지의 7개 패턴은 커버 시퀀스 값 1로 커버링 되고, 마지막 8번째 동기 시퀀스 패턴은 커버 시퀀스 값- 1로 커버링 될 수 있다. NACK 프레임은 모든 동기 시퀀스 패턴이 동일한 커버 시퀀스 값으로 커버링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ACK 프레임은 모든 동기 시퀀스 패턴이 커버 시컨스 값 1로 커버링 될 수 있다. 또는, ACK 프레임의 n=0~6까지의 7개 패턴은 커버 시퀀스 값 -1로 커버링 되고, 마지막 동기 시퀀스 패턴이 커버 시퀀스 값 1로 커버링 될 수 있다. 이 경우, NACK 프레임은 모든 동기 시퀀스 패턴이 커버 시퀀스 값 -1로 커버링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CK 프레임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NACK 프레임 구성도로서, ACK 프레임 및 NACK 프레임은 프리앰블로 구성된다. 프리앰블은 정해진 패턴이 반복되며 커버 시퀀스에 의해 커버링되는 동기 시퀀스와 채널 추정 시퀀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ACK 프레임의 채널 추정 시퀀스에 대한 커버 시퀀스와 NACK 프레임의 채널 추정 시퀀에 대한 커버 시퀀스 값을 서로 달리함으로써 구분된다. 예를 들어, ACK 프레임은 채널 추정 시퀀스를 커버 시퀀스 값 1로 커버링되고, NACK 프레임은 채널 추정 시퀀스를 커버 시퀀스 값 -1로 커버링 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ACK 프레임은 채널 추정 시퀀스를 커버 시퀀스 값 -1로 커버링되고, NACK 프레임은 채널 추정 시퀀스를 커버 시퀀스 값 1로 커버링 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송수신 장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전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CK 프레임 구성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NACK 프레임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CK 프레임 구성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NACK 프레임 구성도이다.

Claims (9)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수신 데이터 프레임에 에러가 존재하는지를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데이터 프레임에 에러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프리앰블만 포함하고 헤더는 포함하지 않는 NACK 프레임을 송신단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송수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데이터 프레임에 에러가 없는 것으로 판정되면, 프리앰블과 헤더를 포함하는 ACK 프레임을 상기 송신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송수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데이터 프레임에 에러가 없는 것으로 판정되면, 프리앰블만 포함하고 헤더는 포함하지 않는 ACK 프레임을 상기 송신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송수신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데이터 프레임의 일부에 대한 에러 검증이 이루어지면 상기 ACK 프레임 또는 상기 NACK 프레임의 프리앰블의 전송을 시작하고,
    상기 수신 데이터 프레임의 에러 검증이 완료되면, 상기 프리앰블의 나머지 구간에 에러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삽입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송수신 방법.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은 정해진 패턴이 반복되며 커버 시퀀스에 의해 커버링되는 동기 시퀀스와 채널 추정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ACK 프레임의 동기 시퀀스에 대한 커버 시퀀스와 NACK 프레임의 동기 시퀀스에 대한 커버 시퀀스는 서로 다른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송수신 방법.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프리앰블은 정해진 패턴이 반복되며 커버 시퀀스에 의해 커버링되는 동기 시퀀스와 채널 추정 시퀀스를 포함하고,
    상기 ACK 프레임의 채널 추정 시퀀스에 대한 커버 시퀀스와 상기 NACK 프레임의 채널 추정 시퀀스에 대한 커버 시퀀스는 서로 다른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송수신 방법.
  7. 무선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 데이터 프레임에 에러가 존재하는지를 검증하는 에러 검증부;
    상기 에러 검증부에서 상기 수신 데이터 프레임에 에러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하면, 프리앰블만 포함하고 헤더는 포함하지 않는 NACK 프레임을 생성하여 송신단으로 전송하는 프레임 처리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송수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검증부에서 상기 수신 데이터 프레임에 에러가 없는 것으로 판정하면, 상기 프레임 처리부는 프리앰블과 헤더를 포함하는 ACK 프레임을 상기 송신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송수신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검증부에서 상기 수신 데이터 프레임에 에러가 없는 것으로 판정하면, 상기 프레임 처리부는 프리앰블만 포함하고 헤더는 포함하지 않는 ACK 프레임을 상기 송신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송수신 장치.
KR1020090124768A 2009-12-15 2009-12-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100679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768A KR20110067967A (ko) 2009-12-15 2009-12-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768A KR20110067967A (ko) 2009-12-15 2009-12-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967A true KR20110067967A (ko) 2011-06-22

Family

ID=44400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768A KR20110067967A (ko) 2009-12-15 2009-12-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796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0116B1 (ko) Tti 번들링에 의한 업링크 송신 강화
WO2018127228A1 (zh) 一种随机接入反馈、处理方法、基站及终端
US9112696B2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a method of transmitting a retransmission packet
JP2021192556A (ja) 複数個の端末と同時に通信する無線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送/受信方法
CA2939662C (en) Harq frame data structure and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th harq in systems using blind detection
US106592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w latency acknowledgements
KR101446585B1 (ko) 통신 시스템의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9150421B (zh) 一种重复传输的方法和终端设备
JP2007535845A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パケットの連結
JP2005260939A (ja) パケットフォーマット
RU2008120630A (ru) Подтверждение установления связи с помощью четырех способов для устойчивой оценки канала и предсказания скорости
US11705992B2 (en) Infrastructure equipment,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KR101335904B1 (ko) 무선 시스템의 링크 버짓을 개선하는 방법 및 시스템
EP2911329A1 (en) Channel transmission method, device, base station and terminal
US201102001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mu-mimo system
CN111786749B (zh) 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US7317687B2 (en) Transmitting data frames with less interframe space (ifs) time
JP5073810B2 (ja) 中継方式を使用する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再伝送のための非同期式制御メッセージ伝送装置及び方法
KR2011006796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09150417A (zh) 发送和接收上行信息的方法和装置
KR20100005672A (ko)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데이터 전송 방법
KR20180108740A (ko) 데이터 송신 방법,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장비
JPH0851414A (ja) 無線通信arq方法
KR101368467B1 (ko) 무선 신호의 처리시간 획득 방법
CN114175541A (zh) Harq确认的集成信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