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7835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7835A
KR20110067835A KR1020090124598A KR20090124598A KR20110067835A KR 20110067835 A KR20110067835 A KR 20110067835A KR 1020090124598 A KR1020090124598 A KR 1020090124598A KR 20090124598 A KR20090124598 A KR 20090124598A KR 20110067835 A KR20110067835 A KR 20110067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supporter
hole
cloth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5882B1 (ko
Inventor
박혜용
김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4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882B1/ko
Publication of KR20110067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 D06F2103/6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related to systems for water or steam used for conditioning or finis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0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되 일측 벽을 관통하는 램프홀이 구비된 의류수용부와, 상기 의류수용부로 스팀 또는 열풍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공급장치부와, 램프, 상기 램프홀에 위치하여 상기 램프가 상기 램프홀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램프서포터, 상기 램프서포터에 구비되는 빛투과방지부를 포함하는 램프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 건조, 탈취, 주름제거, 램프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관련된 각종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장치,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장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 또는 주름을 제거하기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최근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 건조, 탈취 및 주름제거가 하나의 장치로 해결할 수 있도록 개발되는 추세이다. 다만, 최근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이용하고 있어 의류의 탈취나 주름제거에는 미흡한 면이 있었다.
즉,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이 회전하는 동안 탈취나 주름제거가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드럼에 투입된 의류는 곧게 펴진상태가 아니라 구겨진 상태이므로 주름제거나 탈취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의류의 건조, 탈취, 주름제거 및 살균이 용이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램프어셈블리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램프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되 일측 벽을 관통하는 램프홀이 구비된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로 스팀 또는 열풍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공급장치부; 및 램프와, 상기 램프가 상기 램프홀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램프서포터와, 상기 램프서포터에 구비되는 빛투과방지부를 포함하는 램프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빛투과방지부는 불투명재질의 램프서포터를 구비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서포터는 상기 램프가 수용되는 램프관통홀과, 상기 램프관통홀의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램프를 고정하는 램프후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후크는 높이방향으로 절개되어 구비되는 절개부를 더 포함하 고, 상기 램프는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어 상기 램프의 위치를 고정하는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서포터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램프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램프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커버는 상기 램프홀의 지름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커버 지지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수용부는 상기 커버 지지리브에 대응하는 결합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홀의 외주면에 안착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램프커버가 관통하는 커버관통홀을 구비한 홀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커버는 상기 램프홀의 외주면 상단에 안착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지지리브는 상기 안착부의 상단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서포터의 외주면에는 상기 안착부와 결합하는 서포터후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터후크는 상기 램프서포터의 외주면 하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되 상기 안착부를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의류의 건조, 탈취, 주름제거 및 살균이 용이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램프어셈블리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램프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의류처리장치로써 의류를 리프레쉬(refresh)하며 열풍을 공급하는 리프레셔(refresher)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후술하는 히트펌프를 구비할 수 있는 기타 장치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리프레쉬(refresh)라 함은 의류를 향해 공기(air), 열풍(heated air), 수분(water), 미스트(mist), 스팀(steam) 등을 제공하여 의류의 구김제거(removing wrinkles), 냄새제거(deodorizing), 살균(sanitizing), 정전기 제거(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또는 가열(warming) 등을 수행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의류에는 옷(clothes), 의복(apparel)뿐만 아니라, 신발, 양말, 장갑, 모자, 목도리 등과 같이 사람이 착용할 수 있는 대상과 함께 인형, 수건, 이불과 같이 사람이 사용을 하는 대상을 포함하며,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대상물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1), 상기 의류수용부(1)을 개폐하는 도어(3),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에 의류를 거치하기 위한 지지대(4, 51), 상기 의류수용부(1)로 공기나 열풍을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와 수분, 미스트(miast) 또는 스팀(steam)을 공급하는 증기발생장치가 구비되는 공급장치부(7),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를 밝혀주는 램프어셈블리(9)를 포함한다.
상기 의류수용부(1)은 상기 공기공급장치(71, 도4참고)와 연통하는 공기유입부(13) 및 필터부(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증기발생장치(73, 도4참고)와 연통하는 증기유입부(1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는 의류가 움직임 없는 상태에서 상기 공기공급장치 또는 상기 증기발생장치에서 공급되는 열풍이나 증기 등에 의해 의류가 리프레쉬(refresh)되 도록 상기 의류수용부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대는 의류수용부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선반(4)과 상기 의류수용부의 상부에 고정되는 행어바(51)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선반(4)은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된 프레임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공급장치부(7)에서 공급되는 열풍이나 증기가 선반을 관통할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선반에 거치된 의류로 열풍과 가열증기 등이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옷걸이(200)에 거치된 의류를 지지하기 위한 행어바(51)는 지지부(53)에 의해 상기 의류수용부(1)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투입된 의류는 종래 드럼식 의류처리장치에 투입된 의류와 같이 엉킨 상태가 아니므로 탈취 및 주름제거는 물론이고 의류의 건조에 있어서도 월등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의류수용부(1)의 상부에 구비되는 행어바(51)는 의류를 수평방향(도면상 좌우 또는 전후방향)으로 흔들어줄 수 있는 무빙행어(moving hanger)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무빙행어는 상기 의류수용부(1)로 열풍이나 증가가 공급되는 동안 의류를 흔들어주되 의류끼리 엉키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의류의 건조, 탈취, 주름제거 및 살균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의류의 리프레쉬 성능이 증가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무빙행어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무빙행어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와 도3을 참고하여 상기 무빙행어에 대해 설명한다.
무빙행어(5)는 옷걸이(200)에 거치된 의류를 지지하기 위한 행어바(51), 행어바(51)의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부(53)를 포함한다. 지지부(53)는 상기 의류수용부(1)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행어바(51)는 양단이 지지부(53)에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무빙행어(5)는 모터(55), 상기 모터에서 제공되는 회전운동을 행어바(51)의 수평방향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동력변환부(59), 모터(55)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동력변환부(59)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57) 및 상술한 각 구성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의류수용부의 상단 외주면에 구비되는 프레임(52)를 포함한다.
동력전달부(57)는 모터(55)에 구비되는 주동풀리(571), 상기 주동풀리와 벨트(575)로 연결되는 종동풀리(573), 상기 종동풀리의 중심에 결합하는 회전축(577)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행어바(51)는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슬롯(511)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력변환부(59)는 슬롯(511)에 삽입되는 슬롯삽입부(595), 회전축(577)에 결합하는 축 결합부(591), 슬롯삽입부와 축 결합부를 이어주는 회전암(59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축 결합부와 종동풀리 사이에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하우징(58)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심미감을 위해 상기 동력변환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변환부 커버(5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모터(55)가 회전하게 되면 종동풀리(573)가 회전하게 되므로 종동풀리에 결합된 회전축(577)도 회전하게 되고, 슬롯삽입부(595)는 소정 의 지름을 가지는 원운동을 할 것이다.
한편, 행어바(51)에 구비된 슬롯(511)은 행어바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도록 구비되며, 나아가 그 길이가 슬롯삽입부(595)의 회전궤적 지름보다 더 길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슬롯(511)은 슬롯삽입부(595)가 원운동을 하더라도 수평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슬롯(511)에 결합된 행어바(51)는 수평방향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도 4는 공급장치부(7) 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공기공급장치(71), 증기발생장치(73)를 포함한 주요 구성요소만을 도시하였으며, 상기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배관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상기 공급장치부(7)는 상기 의류수용부(1)으로 공기 또는 열풍을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71), 상기 의류수용부로 수분, 미스트 또는 스팀(이하, 증기)을 공급하는 증기발생장치(73)를 포함하되 상기 의류수용부의 하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급장치부(7)가 의류수용부(1)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이유는 의류수용부으로 공급되는 열풍 및 가열증기 등은 상승하려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이다.
즉, 상기 공급장치부(7)가 의류수용부(1)의 하부에서 열풍 또는 증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되기만 하면 별도의 순환장치없이도 증기나 열풍을 의류수용부 내부에 골고루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공급장치부(7)의 내부에는 의류수용부(1)로 공기 또는 열풍을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71)가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공기공급장치는 의류수용부(1)에 구비되는 필터부(미도시)에 연결되는 흡입부(711), 의류수용부(1)의 공기유입부(13)에 연결되는 배출부(715), 상기 흡입부와 배출부 사이에 구비되는 열교환부(713)를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부(713)는 히트펌프(heat pump)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히트펌프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7131), 압축기(7133), 응축기(7135) 및 팽창밸브(미도시)를 구비하게 되며, 이에 의해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게 된다.
즉, 증발기(7131)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게 되어, 공기를 냉각시켜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하게 된다. 또한, 압축기(7133)를 거쳐 응축기(7135)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에 주변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방출함으로써 주변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와 응축기가 열교환기의 기능을 하게 되어, 공기공급장치(71)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7131)와 응축기(7135)를 거쳐 제습 및 가열되어 의류수용부(1)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히트펌프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종래의 전기식 히터 등을 사용하여 가열된 공기에 비하여 온도는 다소 낮을 수 있지만, 별도의 제습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공기를 제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히트펌프에 의해 수용공간으로 다시 공급되는 공기는 상대적으로 '저온 건조공기'에 해당하게 된다(여기서, '저온'이란 절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가열된 공기에 해당하지만 종래의 가열 공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저온 건조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의류의 리프레쉬 또는 건조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에 고온에 의해 의류에 변형 또는 파손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히트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는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의 열풍에 비하여 온도는 낮지만, 별도의 제습장치 없이 제습된 공기를 공급하게 되므로, 의류를 용이하게 건조시키며 리프레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흡입부(711)는 의류수용부의 필터부(미도시)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는데 이는 의류수용부(1)에서 공기공급장치(71)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될 수 있는 이물질을 여과함으로써 깨끗한 공기만을 의류수용부으로 공급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상기 의류수용부는 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되 상기 필터부는 상기 관통홀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비시키는 것이 필터부의 청소에 유리할 것이다.
상기 배출부(715)는 의류수용부의 공기유입부(13)에 연결되어 열교환을 통해 가열된 공기를 의류수용부으로 유동시키는데 공기의 유동이 용이하도록 배출팬(717)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공급장치부(7)에는 의류수용부(1)로 증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증기발생장치(7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증기발생장치(73)는 내부에 물을 가열하는 히터(미도시)가 구비되면 스팀을 발생시키게 되고, 물에 진동에너지를 공급하는 진동수단(미도시)이 구비되면 미스트를 발생시키게 된다.
증기발생장치(73)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으로는 외부의 수도꼭지 등이 사용되거나, 또는 공급장치부(2)의 일측에 제공되는 컨테이너(container) 타입의 물공급원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 타입의 물공급원은 바람직하게 공급장치부(2)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치부 도어(75)에 구비될 수 있으며, 물공급원은 장치부 도어(75)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물공급원을 공급장치부(7)에서 분리하여 물을 채우고 다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증기발생장치(73)에서 생성된 증기는 상기 증기유입부(11)에 구비되는 분사노즐(미도시)를 통해 의류수용부의 내부로 공급되는데, 상기 증기발생장치(73)와 분사노즐(미도시)는 배관(미도시)을 통해 연결된다.
공급장치부(7)의 배면부에는 쿨링팬(77)을 구비할 수 있다. 쿨링팬(77)은 공급장치부(7)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켜 상기 공기공급장치(71) 및 증기발생장치(73)에 의해 공급장치부(7) 내부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5는 램프어셈블리와 의류수용부의 결합 사시도이다.
상기 의류수용부(1)의 상부는 무빙행어의 프레임(52)이 안착되는 위치에 지지부(53)가 삽입되는 지지부 수용홀(17)과, 동력변환부(59)가 삽입되는 변환부 삽입홀(18)과, 램프어셈블리(9)를 수용하는 램프홀(19)을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램프홀(19)의 주변에는 상기 램프어셈블리의 램프커버(93)가 고정되는 결합보스(16)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램프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고하여 상기 램프어셈블리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램프어셈블리(9)는 상기 램프홀(19)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홀커버(91)와, 상기 홀커버(91)의 상부에 구비되어 램프(97)를 보호하는 램프커버(93)와, 상기 램프커버의 상부에 구비되어 램프를 고정하는 램프서포터(95)를 포함한다.
상기 홀커버(91)는 상기 램프홀(19)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램프홀(19)의 외주면 상단에 안착하는 안착부(911)와, 상기 램프홀(19)의 지름과 거의 동일한 지름을 가지는 홀 삽입부(913)와, 후술할 램프커버(93)가 삽입될 수 있는 커버관통홀(915)을 포함한다.
상기 홀 삽입부(913)의 일단은 상기 램프홀(19)을 관통하여 상기 의류수용부(1)의 내부로 돌출되는데, 이는 상기 의류수용부(1)의 내부로 공급되는 스팀이나 열풍이 상기 램프홀(19)을 통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로 하여금 심미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커버관통홀(915)에는 램프(97)를 보호하기 위한 램프커버(93)가 삽입된다. 상기 램프커버(93)는 후술할 램프의 발광부(971)에서 방출되는 빛이 의류수용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발광부(971)에서 방출되는 빛이 의류수용부로 공급될 수 있는 한 필요에 따라 색상을 가진 재질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램프커버(93)는 상기 홀커버(91)의 안착부(911)에 지지되는 커버 지지리브(933)와, 후술할 램프서포터(95)를 지지하되 램프를 보호하는 서포터 수용 부(9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지지리브(933)는 상기 램프커버(93)의 지름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되 의류수용부의 상기 결합보스(16)와 대응하는 결합홀(9331)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 지지리브(933)는 후술할 램프서포터(95)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서포터 결합리브(93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수용부(931)는 상기 커버 지지리브(933)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며 저면이 폐쇄된 형태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램프커버(93)는 후술할 램프(97)가 의류수용부로 공급되는 스팀이나 열풍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램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서포터 수용부(931)에 결합하는 램프서포터(95)는 램프(97)를 상기 램프홀(19)에고정한다. 상기 램프서포터(95)는 램프(97)가 삽입되는 램프관통홀(951)을 중앙에 구비하고, 상기 램프관통홀의 외주면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램프후크(953), 상기 램프후크(953)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절개부(955), 상기 서포터 결합리브(9333)가 수용되는 리브 수용홈(957) 및 상기 홀커버의 안착부(911)와 결합하는 서포터후크(959)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램프(97)는 상기 램프관통홀(951)에 삽입되도록 구비되고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971)와, 상기 발광부(971)를 지지하는 하우징(973)과, 상기 하우징(973)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절개부(955)에 삽입되는 리브(975)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램프어셈블리는 도어(3)를 열면 상기 발광부(971)에 전류를 공급하고, 도어(3)가 닫히면 전류공급을 중단하도록 상기 발광부에 연결된 스위치와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램프(97)는 상기 리브(975)가 상기 절개부(955)에 삽입된 뒤 상기 하우징(973)의 배면을 상기 램프후크(953)가 지지되므로 상기 램프서포터(95)에 고정된다.
램프(97)가 고정된 상기 램프서포터(95)는 상기 램프커버(93)의 서포터 수용부(931)에 안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리브수용홈(957)에 삽입되는 상기 램프커버의 서포터 결합리브(9333)가 결합위치를 가이드하게 되므로 램프서포터와 램프커버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램프서포터의 외주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서포터후크(959)가 구비되는데 상기 서포터후크(959)는 상기 홀커버의 안착부(911)를 수용하게 되므로 상기 램프어셈블리의 조립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도4참고).
한편, 상기 발광부(971)의 제어를 위한 와이어(wire)는 상기 램프서포터(95)의 상부에 위치하게 될 것이므로 사용자가 의류수용부의 내부에서 상기 와이어를 볼 수 있다면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심미감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램프어셈블리는 상기 와이어와 같은 발광부 제어를 위한 구성이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빛투과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빛투과방지부는 상기 램프서포터(95)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에 구비되는 빛투과방지 필름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하고, 불투명재질의 램프서포터(95)를 제작함 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다만, 불투명재질의 램프서포터(95)를 이용한다면 상기 램프어셈블리의 조립과정을 보다 간소화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무빙행어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무빙행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공급장치부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램프어셈블리와 의류수용부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6은 램프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Claims (11)

  1.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되 일측 벽을 관통하는 램프홀이 구비된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로 스팀 또는 열풍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공급장치부;
    램프와, 상기 램프가 상기 램프홀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램프서포터와, 상기 램프서포터에 구비되는 빛투과방지부를 포함하는 램프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빛투과방지부는 불투명재질의 램프서포터를 구비함으로써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서포터는 상기 램프가 수용되는 램프관통홀과, 상기 램프관통홀의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램프를 고정하는 램프후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후크는 높이방향으로 절개되어 구비되는 절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램프는 상기 절개부에 삽입되어 상기 램프의 위치를 고정하는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서포터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램프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램프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커버는 상기 램프홀의 지름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커버 지지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수용부는 상기 커버 지지리브에 대응하는 결합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홀의 외주면에 안착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램프커버가 관통하는 커버관통홀을 구비한 홀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홀커버는 상기 램프홀의 외주면 상단에 안착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지지리브는 상기 안착부의 상단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서포터의 외주면에는 상기 안착부와 결합하는 서포터후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후크는
    상기 램프서포터의 외주면 하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되 상기 안착부를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090124598A 2009-12-15 2009-12-15 의류처리장치 KR101635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598A KR101635882B1 (ko) 2009-12-15 2009-12-15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598A KR101635882B1 (ko) 2009-12-15 2009-12-15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835A true KR20110067835A (ko) 2011-06-22
KR101635882B1 KR101635882B1 (ko) 2016-07-04

Family

ID=44400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598A KR101635882B1 (ko) 2009-12-15 2009-12-15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8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5296A (ko) * 2004-03-26 2005-09-29 주식회사 대연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용 조명등커버 및 분진커버
KR20060019957A (ko) * 2004-08-30 2006-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의 조명장치
KR20070021533A (ko) * 2005-08-18 200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와 그 내부 조명용 엘이디 어셈블리와 그 제어 방법
KR20080109507A (ko) * 2007-06-13 2008-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5296A (ko) * 2004-03-26 2005-09-29 주식회사 대연 전동식 세탁물 건조대용 조명등커버 및 분진커버
KR20060019957A (ko) * 2004-08-30 2006-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의 조명장치
KR20070021533A (ko) * 2005-08-18 200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와 그 내부 조명용 엘이디 어셈블리와 그 제어 방법
KR20080109507A (ko) * 2007-06-13 2008-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5882B1 (ko) 201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63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05363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155002B1 (ko) 의류 처리 장치
US8539694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1295383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10099919A (ko) 의류처리장치
KR101710390B1 (ko) 의류 처리장치
KR10115500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191205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20130025154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147774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48638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64651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12881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63588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15500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12881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840195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10137467A (ko) 의류처리장치
KR20110137468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