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7569A - 내비게이션 화면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내비게이션 화면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7569A
KR20110067569A KR1020090124212A KR20090124212A KR20110067569A KR 20110067569 A KR20110067569 A KR 20110067569A KR 1020090124212 A KR1020090124212 A KR 1020090124212A KR 20090124212 A KR20090124212 A KR 20090124212A KR 20110067569 A KR20110067569 A KR 20110067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creen display
navigation
display setting
n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후
임남주
Original Assignee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4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7569A/ko
Publication of KR20110067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5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5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output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to the driv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내비게이션 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화면 출력 프로세스가 동시에 실행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화면 표시 설정으로 서로 다른 상기 화면 출력 프로세스를 표시하거나, 상기 미리 설정된 화면 표시 설정이 없는 경우에는 초기 화면 표시 설정으로 상기 화면 출력 프로세스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화면 표시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화면 표시 설정으로 상기 화면 출력 프로세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화면 표시 방법에 대한 것이다.
내비게이션, 프로세스, 화면 표시, NIP(Navigation In Picture), PIP(Picture In Picture)

Description

내비게이션 화면 표시 방법{Display method of navigation}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 화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내비게이션 프로세스와 다른 프로세스간에 화면을 표현 할 수 있는 방법으로 NIP, PIP 표시 방법을 분리해서 화면 배치에 대한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방법이며,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제외한 기타 프로그램(방송, 오디오, 비디오, 하이패스, 교통정보, 팝업등) 프로세스간에 화면을 동시에 표출 할 수 있는 상태에서 NIP와 PIP를 분리함으로 인해서 화면 배치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프로세스가 존재하며, 내비게이션과 다른 프로세스 화면을 동시에 표시하기 위한 NIP 방식이 제공되며, 다른 프로세스들 간에 화면 표시를 위해서 PIP 화면이 표시된다.
그런데 종래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멀티태스킹으로 다양한 프로세스가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 화면 배치를 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에 대한 화면 배치에 대한 부족으로 인해서 내비 게이션 화면에 다른 프로세스에 화면이 가림으로 중요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다른 프로세스 화면이 표시됨으로 인해 중요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내비게이션 정보 외에 방송, 비디오, 오디오, 사진앨범, 차계부, 노래방, 하이패스, 교통정보 등 다양한 프로세스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에 다른 프로세스 화면 배치로 인한 내비게이션 정보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프로세스와 다른 화면 표시 프로세스에 따라서 화면 배치를 동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PIP방식의 표시 방식을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PIP 화면과 NIP 화면을 서로 간에 이동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설정에서NIP와 PIP화면을 선택하면 프로세스 실행시 자동으로 NIP 혹은 PIP화면으로 전환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비게이션 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화면 출력 프로세스가 동시에 실행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화면 표시 설정으로 서로 다른 상기 화면 출력 프로세스를 표시하거나, 상기 미리 설정된 화면 표시 설정이 없는 경우에는 초기 화면 표시 설정으로 상기 화면 출력 프로세스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 기 화면 표시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화면 표시 설정으로 상기 화면 출력 프로세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화면 표시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화면 출력 프로세스는 내비게이션 프로세스, 방송 프로세스, 동영상 출력 프로세스, 음악 프로세스, 하이패스 프로세스, 교통 정보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화면 표시 설정은 NIP(Navigation In Picture) 화면 또는 PIP(Picture In Picture)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초기 화면 표시 설정은 NIP(Navigation In Picture)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면 표시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는, 관리 프로세스로 화면 표시 설정 변경이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관리 프로세스로 상기 화면 출력 프로세스 실행이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프로세스가 상기 화면 표시 설정 변경에 따라 상기 관리 프로세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면 표시 설정 변경은 NIP 화면과 PIP 화면 상호간에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리 프로세스는 상기 화면 출력 프로세스의 화면 표시를 관리하는 프로세스로서, 상기 미리 설정된 화면 표시 설정 및 상기 화면 표시 설정 변경이 입력되어 저장되어 있어, 상기 미리 설정된 화면 표시 설정 및 상기 화면 표시 설정 변경에 따라 상기 화면 출력 프로세스의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다양한 프로세스간에 동일한 화면을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멀티태스킹 환경 화면 배치 방안으로 NIP 방식과 PIP 방식의 효율적인 전환과 다양한 화면 표시 방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제1 및 제2 등의 표현은 발명을 보다 상세히 표현하기 위한 수단일 뿐 발명을 상기 표현으로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 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내비게이션 화면 전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내비게이션 화면 방법으로서 NIP 화면(10)과 PIP 화면(20) 간의 화면 전환을 나타내고 있다.
내비게이션 프로세스를 실행 하면 내비게이션 화면이 표시된다. 내비게이션 프로세스 실행 중에 다른 화면 출력 프로세스를 실행하면 실행 프로세스 화면으로 인해서 내비게이션 화면이 가려지게 된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을 실행 하는 도중에 방송 프로세스를 실행하게 되면 방송 화면으로 인해서 내비게이션 화면이 가려지게 된다. 따라서 NIP 화면(10)을 이용하여 내비게이션과 방송 화면을 분할 하여 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NIP 화면(10)에서 PIP 화면(20)으로의 자유로운 화면 전환과 화면 배치를 자유로이 할 수 있도록 내비게이션에서의 NIP 화면(10)과 PIP 화면(20) 간의 화면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내비게이션에서의 NIP 화면과 PIP 화면의 전환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S100 단계는 내비게이션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계이다.
S200 단계는 내비게이션 프로세스 실행 도중에 다른 화면 출력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단계이다. 여기서는 예를 들어 방송 프로세스라고 한다.
S300 단계는 내비게이션 화면과 방송 화면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 설정을 결 정하는 단계이다. 내비게이션 화면 실행 중에 방송 화면이 표시되게 되면 NIP 화면 으로 표시 할 것인지, PIP 화면으로 표시 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화면 표시 설정을 결정하게 된다.
NIP 화면으로 화면 표시 설정을 하는 경우 S400 단계로 가서 NIP 화면 배치로 내비게이션 화면과 방송 화면을 표시하게 되고, PIP 화면으로 화면 표시 설정을 하는 경우 S500 단계로 가서 PIP 화면 배치로 내비게이션 화면과 방송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이 때 화면 표시 설정은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화면 표시 설정이 미리 NIP 화면으로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S300 단계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NIP 화면으로 화면 표시를 결정하게 되고 이후 S400 단계로 진행하게 된다.
S400 단계와 S500 단계는 S300 단계에서 결정한 화면 표시 방법에 따라 각각 NIP 화면 또는 PIP 화면으로 화면 표시를 하는 단계이다.
S600 단계는 NIP 화면 표시와 PIP 화면 표시 간에 화면 표시 전환을 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S400단계에서의 NIP 화면과 S500 단계에서의 PIP 화면 설정은 상호간에 자유로운 전환이 가능하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관리 프로세스를 통한 화면 전환을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내비게이션 화면은 표시 방법은 관리 프로세스(200)을 통해서 화면 전환이 수행된다.
S310 단계는 내비게이션 프로세스(100)가 내비게이션 실행을 관리 프로세스(200)로 통보하는 단계이다.
S320 단계는 내비게이션 프로세스가 실행 도중 방송 프로세스가 실행되어 방송 프로세스(300)가 방송 실행을 관리 프로세스(200)에게 통보 하는 단계이다. 즉 S320 단계는 내비게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도중에 방송 프로세스와 같은 기타 프로세스의 실행을 관리 프로세스(200)로 알리는 단계이다.
S330 단계는 관리 프로세스(200)에서 화면 표시 설정을 판단하는 단계이다. 내비게이션 프로세스가 단독으로 실행되고 있는 동안 방송 프로세스(300)가 실행되면 관리 프로세스(200)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화면 표시 설정이 어떻게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S330 단계에서 화면 표시 설정이 NIP로 되어 있다고 하면, 관리 프로세스(200)는 내비게이션 화면의 배치를 NIP 로 전환하기 위해서 내비게이션 프로세스(100)를 제어한다.
S340 단계는 관리 프로세스(200)가 S330 단계에서 판단 결과 화면 표시 설정이 NIP 로 되어 있는 경우에 내비게이션 프로세스(100)를 제어하여 맵 화면 배치를 NIP 화면으로 변경하는 단계이다.
S350 단계는 내비게이션 프로세스(100)가 맵 화면 배치 변경을 관리 프로세스(200)로 알리는 단계이다.
S360 단계는 화면 표시 설정이 NIP에서 PIP로 변경되는 경우 관리 프로세 스(200)에서 변경되는 화면 표시 설정을 판단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서 화면 변경이 입력되는 경우 관리 프로세스(200)가 화면 표시 설정이 NIP에서 PIP로 변경되는 것을 판단하는 단계이다.
S370 단계는 관리 프로세스(200)가 NIP에서 PIP 로 화면 표시 설정이 변경되어 이를 방송 프로세스(300)에게 알리고 변경되는 PIP 화면 표시로 방송 프로세스(300)를 제어 하는 단계이다.
S380 단계는 방송 프로세스(300)가 방송 화면 배치를 PIP 로 변경 하였음을 관리 프로세스(200)에게 알리는 단계이다.
이상에서는 내비게이션 프로세스가 실행 되는 도중에 실행되는 기타 프로세스로 방송 프로세스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그 외 동영상 출력 프로세스, 음악 프로세스, 하이패스 프로세스, 교통 정보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내비게이션 화면 전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내비게이션에서의 NIP 화면과 PIP 화면의 전환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관리 프로세스를 통한 화면 전환을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NIP(Navigation In Picture) 화면
20 : PIP(Picture In Picture) 화면
100 : 내비게이션 프로세스
200 : 관리 프로세스
300 : 방송 프로세스

Claims (7)

  1. 내비게이션 화면 표시 방법에 있어서,
    화면 출력 프로세스가 동시에 실행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화면 표시 설정으로 서로 다른 상기 화면 출력 프로세스를 표시하거나, 상기 미리 설정된 화면 표시 설정이 없는 경우에는 초기 화면 표시 설정으로 상기 화면 출력 프로세스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화면 표시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화면 표시 설정으로 상기 화면 출력 프로세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화면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출력 프로세스는 내비게이션 프로세스, 방송 프로세스, 동영상 출력 프로세스, 음악 프로세스, 하이패스 프로세스, 교통 정보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화면 표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화면 표시 설정은 NIP(Navigation In Picture) 화면 또는 PIP(Picture In Picture)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화면 표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화면 표시 설정은 NIP(Navigation In Picture)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화면 표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는,
    관리 프로세스로 화면 표시 설정 변경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관리 프로세스로 상기 화면 출력 프로세스 실행이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프로세스가 상기 화면 표시 설정 변경에 따라 상기 관리 프로세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화면 표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 설정 변경은 NIP 화면과 PIP 화면 상호간에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화면 표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프로세스는 상기 화면 출력 프로세스의 화면 표시를 관리하는 프로세스로서, 상기 미리 설정된 화면 표시 설정 및 상기 화면 표시 설정 변경이 입력되어 저장되어 있어, 상기 미리 설정된 화면 표시 설정 및 상기 화면 표시 설정 변경에 따라 상기 화면 출력 프로세스의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화면 표시 방법.
KR1020090124212A 2009-12-14 2009-12-14 내비게이션 화면 표시 방법 KR201100675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212A KR20110067569A (ko) 2009-12-14 2009-12-14 내비게이션 화면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212A KR20110067569A (ko) 2009-12-14 2009-12-14 내비게이션 화면 표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569A true KR20110067569A (ko) 2011-06-22

Family

ID=44399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212A KR20110067569A (ko) 2009-12-14 2009-12-14 내비게이션 화면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756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5905A (ko) * 2014-08-28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
CN111795706A (zh) * 2020-06-29 2020-10-20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导航地图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301141B1 (ko) * 2020-09-14 2021-09-09 김동규 차량에 부착되는 전자 장치 및 차량에 부착되는 전자 장치의 작동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5905A (ko) * 2014-08-28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
US11449220B2 (en) 2014-08-28 2022-09-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 sensitive display and method for managing the display
US11762550B2 (en) 2014-08-28 2023-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 sensitive display and method for managing the display
CN111795706A (zh) * 2020-06-29 2020-10-20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导航地图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301141B1 (ko) * 2020-09-14 2021-09-09 김동규 차량에 부착되는 전자 장치 및 차량에 부착되는 전자 장치의 작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229172A (ja) 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
JP5040901B2 (ja) 車載情報装置及び車載情報システム
US20130215332A1 (en) Image and sound controller
JPWO2017068759A1 (ja) 車載表示システムおよびこの車載表示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06243200A (ja) マルチ画面用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10067569A (ko) 내비게이션 화면 표시 방법
KR20140014457A (ko) 상태 바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9032307A (ja) 自動運転のために車両の運転操作を選択するためのシステム
CN105094331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JP2006251258A (ja) プレゼンテ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プレゼンテーション支援方法
JP2005352464A5 (ko)
JP2009129223A (ja) 画像編集装置と画像編集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と画像編集方法
KR101638612B1 (ko)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38033A (ko) 단말의 볼륨 조절 장치 및 방법
JP6703431B2 (ja) 発表資料の作成を支援するプログラム、装置、及び方法
JP2009109742A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2010066714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ledバックライト制御方法
JP6325231B2 (ja) 情報表示システム、情報表示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290781A5 (ko)
US20160284050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JP2010243942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方法
JP2010213125A (ja) 画像再生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164882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6901351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2023043728A (ja) 車載装置、車両、車載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